You are on page 1of 20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1571-1610
목차

• 시대
• 생애
• 회화 특징
• 작품
카라바죠의 시대

• 르네상스 시대

• 후기 르네상스 시대 ( 매너리즘 )

• 바로크 시대
르네상스 시대 미술

• 1400-1600

15 세기부터 시작된 르네상스는 인체와 과학에 대한 탐구나 자연의 형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려는
경향이 있음

유화의 발명으로 다양하고 풍부한 색채로 화가들의 재능을 드러낼 수 있는 시기였음


공간감과 거리감을 표현하는 원근법과 명암법은 르네상스 시대의 혁신과 창조적인 발견이라 할 수
있음
후기 르네상스 시대 미술 ( 매너리즘 )
라파엘로가 죽은 후인 1520-1600

르네상스의 전성기에 완성된 예술 양식 뒤를 이어 나타나 1600 년대 바로크 양식이 시작될 때까지 ,


회화를 중심으로 유럽 전역에서 유행한 예술 양식 - 르네상스에서 바로크로 이행하는 과도기

매너리즘은 화면에 사물을 겹겹이 배치하여 원근법이나 공간의 비례를 무시했으며 인체를 왜곡시킴
열광적 감정 , 긴장과 부조화의 느낌 , 신경 불안의 감각을 전달함
바로크 시대 (1600-1750)

• 바로크의 어원은 포르투갈어 흠이 있는 진주를 뜻하는 barroco 라는 단어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함


• 17 세기 유럽 절대 왕권 시대
• 종교개혁이 유럽전역을 휩쓸면서 가톨릭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반종교개혁 운동을 일으킴

신도들을 끌어들이는 과정에 사용되었던 것이 바로 바로크 미술임


• 17~18 세기 프랑스로 건너간 바로크 미술은 절대주의의 영향 속에서 왕권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발전함
바로크 시대 미술

1600-1750 년까지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반종교 개혁을 배경으로 발전한 미술
양식을 말함
르네상스의 고전주의 법칙에서 벗어나 이성과 절제보다 감정에 호소하는 조형적 특징을 드러낸 시기
역동적이며 과장된 남성 경향의 특징을 나타냄
지나치게 과장되거나 웅장한 규모의 작품을 통해 격정적이고 감성적인 양식
사실주의 , 풍부하고 강렬한 색채 , 대조되는 빛과 그림자로 특징지어 짐
바로크 시대 미술
카라바조 시대적 배경 , 로마

• 1592 년 카라바죠는 밀라노를 떠나 로마로 넘어가게 됨


• 프랑스 , 스페인은 왕정국가 , 독일 , 이탈리아는 군주 국가였으나 로마는 로마라는 도치를 포함해
교황령이라는 넓은 영토를 교황과 교황청이 직접 통하치고 있던 종교 국가의 수도였음
• 로마에서는 자유로움과 인문학에 대한 높아진 관심으로 인해 종교적인 그림뿐 아니라 세속적인
그림 또한 널리 퍼져나가고 있었음
• 갤러리의 등장으로 미술 작품의 수요가 증가 됨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길들여지지 않는 영혼과 한줄기 빛


카라바죠의 생애
• 1571 년 9 월 29 일 밀라노에서 태어남

• 1576 년 흑사병을 피하기 위해 카라바조로 이주함 ,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죽음

• 1584~1588 년 4 년동안 티치아노의 제자 시모네 페테르차노의 도제로 들어감

• 1592 년 로마로 이주함

• 1594 년 프레스코화로 명성이 있는 아르피노로 알려진 주세페 체사리의 조수생활을 하면서


정물화를 그리며 수련함
카라바죠의 생애
• 1600 년 미술 애호가인 프란체스코 델 몬테 추기경이

작품 도박꾼들에 매료되어 후원자를 자처함


카라바죠의 생애

• 1600 년 성 마태의 순교와 성 마태의


소명으로 유명새를 얻게

• 1602 년 성 마태와 천사를 그렸으나
인수를 거부하게 됨
• 이후 성 마태의 영감을 그림
카라바죠의 생애
• 1606 년 5 월 테니스 경기 중 상대방을 논쟁 중 살해하고 반다 카피탈레를 천명받아 로마를 도망쳐
나옴

• 1606 년 콜론나 가문의 보호를 받아 나폴리로 도피함 4 년간의 도피 생활

나폴리 – 몰타 – 시라쿠사 – 메시나 – 팔레르모 - 나폴리

• 1608 년 몰타에서 말다툼 ,1609 년 나폴리에서 말다툼에 개입됨

• 1610 년 38 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 그의 그림 경력은 10 년이 조금 넘음


카라바죠 작품 특징

• 카라바죠 자연주의적이고 사실주의적이면서 빛과 어둠의 극적인 대비를 통해 종교적인 기품을


캔버스에 담아낸 화가
• 사람과 사물 뿐만 아닌 빛과 어둠에 대해서도 세밀하게 관찰함 .
• 빛과 어둠의 대비를 통해 현실적인 리얼리즘과 종교적인 사실감을 드라마틱하게 살려냈음
• 예비 그림 없이 그리는 베네치아의 알라 프리마 작업 방법을 선호함
테네브리즘
• 이탈리아 어의 테네브라 (tenebra, 어둠 ) 를 어원으로 함
• 카라바지즘이라고도 함
• 키아로스쿠로와 비슷한 용어이지만 키아로스쿠로가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명암대비 효과를 모두
칭하는 포괄적 용어라면 테네브리즘은 그중 극적 효과를 의도한 것만을 지칭함
• 격렬한 명암대조에 의한 극적인 표현과 어두운 배경이 특징
• 그림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극적인 내용을 증가시킴
• 테네브리즘을 사용하며 카라바조를 추종하는 사람들을 가리켜 카라바지스티라고 함

후에 등장하게 될 바로크 미술 거장인 루벤스와 렘브란트 , 벨라스케스 등에게 많은 영감을 주게 됨


카라바죠의 작품
주신 바커스
(1598)
• 신화적 주제이지만 일상생활 속 한
장면을 그려놓은 것 같음
• 발그레한 뺨과 부드럽고 매끄러운
얼굴은 여성으로도 보이기도 하지만
근육적인 팔의 표현에서 남성임을
확인할 수 있음
• 양성애자로 알려진 카라바죠의 성
정체성을 보여줌
카라바죠의 작품
그리스도의 매장
(1602)
• 카라바조의 종교화 중에서 가장 전통적인
구도
• 카라바조 작품 중 초대형화에 속하는 그림

• 서민적 모델의 사실적 묘사나 비통해하고


있는 사람들 사이 카라바조의 테네브리즘
기법의 효과로 극적인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음
• 그리스도의 매장으로 엄청난 명성과 인기를
누리게 된다 .
카라바죠 작품
성모의 죽음
(1606)
• 기존 카톨릭 화풍과는 다른
사실주의적 화풍
• 테네브리즘 기법을 사용하여 극적으로
표현을 하여 성모 마리아의 죽음을
성스럽고 거룩하게 표현하지 않고
나약한 인간의 죽음으로 표현함
• 성모 마리아의 모델로 그의 애인이자
창녀를 씀
카라바죠의 작품 ( 자화상 )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
(1606~1607)
• 테네리즘 기법을 이용하여 골리앗의
머리가 둥둥 떠있도록 표현함
• 다윗과 골리앗의 얼굴 모두 카라바조
자신을 표현한 이중 자화상임
• 과거 선했던 카라바죠 ( 다윗 ) 이 살인을
저지른 죄인 카라바죠 ( 골리앗 ) 을 죽인
것을 의미
• 실제로 1606 년 살인을 저지른 후
도주한 상태에서 이 그림을 그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