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 철근콘크리트

4. 콘크리트 탄성계수( E c ) 1) 특징 ③ 건조수축에 의한 수축균열 감소 ④ 콘크리트의 응력 여기서, q=


ρf y
① 상재하중과 무관하게 물 때문에 생긴다. 4) 설계 항복강도 압축면에서 0.85 f ck 로 α = β 1 c 까지 등분포 f ck
1) 할선(시컨트) 계수 사용
공 1 철근콘크리트의 기본 개념 2) f ck ≤ 30 MPa 인 보통콘크리트 ② 철근이 건조수축에 저항한다. ① 전단철근 : f y ≤ 400 MPa ⑤ 등가응력 깊이비 2. 복철근 직사각형보

식 E c = 4, 700 f ck (M Pa ) (콘크리트 : 인장응력, 철근 : 압축응력) ② f y 〉 400 MPa 인 경우 ∙ f ck ≤ 28 M Pa : β 1 = 0.85 1) 등가응력깊이( a )


1. RC가 일체식 구조가 되는 이유
파 : 변형률 0.0035에 상응하는 응력값 사용 ( A s - A s' )f y
3) f ck 〉 30 MPa 인 보통콘크리트 ∙ f ck 〉 28 MPa a=
① 부착강도가 크다.

0 .8 5 f c k b
E c = 3,300 f ck+ 7,700 ( MPa)
2) 건조수축에 의한 응력 β 1 = 0.85 - 0.007 ( f ck - 28 ) ≥ 0.65
② 철근이 부식되지 않는다.
① 정정 구조물 2 강도설계법의 개요 2) 설계휨강도( M d )
③ 열팽창계수가 거의 같다.
E s ․ε c s 3 보의 휨설계 a
④ 콘크리트는 압축, 철근은 인장에 강하다. 5. 철근의 탄성계수( E c ) : E c = 2.0×10 5 MPa f sc = , f ct = ρ f sc 1) 재료가 파단점 또는 파단점 부근에 위치 M d = φ M n = φ [ f y ( A s - A s ' )( d -
2
) + f y A s' ( d - d ' ) ]
1+nρ
2) RC를 완전(탄)소성체로 취급 1. 단철근 직사각형보
2. 콘크리트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 ② 부정정 구조물 3) 압축철근이 항복할 조건
1) 평형 철근비( ρ b )
f s c = 0 , f c t = E c ․ε c s 3) 소성이론 적용
200, 000 43
6. 탄성계수비( n ) : n = = 0.0 03 ( c - d ' )
: 물-시멘트비(W/C) 4,700 f ck f ck ε s' = ≥ εy

4) 안전성 확보가 가장 중요 0.85 f ck β 1 600 c
ρb=
C fy 600 + f y 600
추정식 : f 28 =- 21+ 21.5
W 5) 설계 개요 ∴ c≥ d'
접 접 9. 철근 접 접 접 600 - f y
7.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 2) 평형보의 중립축위치( C b )
3. 배합강도( f cr ) 는 는
1) 철근의 종류
는 ① 휨부재 : M u ≤ φ M n ( φ = 0.85 ) 는 는
4) 최대 철근비( ρ max )
곳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형증가현상 곳 곳 곳 0.003 600 곳
① 원형 철근(SR) ② 전단부재 : V u ≤ φ V n ( φ = 0.80 ) Cb= d= d ① 압축철근이 항복하지 않은 경우
{
f cr ≥ f ck + 1.34 s f 600 + f y
εc ε cE c ε cE cA c 0.003 + y
1) 크리프 계수( φ ) : φ=
εe
=
fc
=
P ② 이형 철근(SD) ③ 비틀림부재 : T u ≤ φ T n ( φ = 0.80 ) Es f s'
띠 철근 : φ = 0.70
f cr ≥ ( f ck - 3.5 ) + 2.33 s ρ m ax = 0.75ρ b + ρ '
3) 철근비 제한 : 취성파괴 방지 fy
∙SD 30에서 숫자의 의미 f y = 300 MPa ④ 압축부재 :
나선철 근 : φ = 0.75
(옥외 : 2.0, 옥내 : 3.0) P u ≤ φP n

{
f c ≤ f ck
일 확률 : 1
(1%)이하 ∙이형 철근 사용 이유 : 부착강도가 커서 정착길 ① 최대 철근비( ρ max ) : ρ max = 0.75ρ b ② 압축철근이 항복한 경우
100 2) 크리프의 특징 6) 설계하중 : 계수하중( U )
f cr ≤ ( f ck - 3.5 ) ρ m ax = 0.75ρ b + ρ '
자료가 없거나 실험 횟수가 15회 미만인 경우
① 변형의 증가율은 감소된다.
② 응력이 큰 경우 크리프는 증가한다.
이와 이음길이가 절약된다.
2) 주철근
U = 1 .4 D + 1 .7 L ② 최소철근비( ρ min ) : (f1.4
y
,
0.25 f ck
fy )중큰값 3. T형보
7) 설계시 기본가정 사항 ③ 연성파괴 발생조건 : ρ m in ≤ ρ ≤ ρ m ax 1) T형보의 유효폭 : 다음 중 최소값
f ck(MPa) f cr(MPa) ③ 강도가 큰 경우 크리프는 감소한다.
① 콘크리트의 최대변형률 : 0.003 A s fy
4) 등가응력 깊이 : a= ① 대칭 T형보
21미만 f ck + 7.0 ②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 0.85 f ckb
8. 콘크리트의 건조수축(shrinkage) 5) 설계 휨강도 ꀊ 16t + b w ·

3) 배력철근의 배치목적

21~35 f ck + 8.5 ③ 철근의 응력

콘크리트가 건조하면서 수축하는 현상 ε s 〈 ε y → f s = E s ․ε s ꀈ양쪽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① 응력분포 a
35초과 M d = φM n = φ [ A s f y( d - ) ] = φ[ f ck q b d 2 ( 1 -0.59q )]

f ck + 10

︳ 보의 경간의 1
2
② 주철근 간격 유지 ε s 〈 ε y → f s = f y = E s ․ε y


4

▸ 토질및기초 ③ 건조밀도에 의한 간극비( e ) : e=


G s⋅ γ w
-1 ⑥ 액성지수( L I , IL) : LI =
w n- w p
=
w n- w p 제2장 흙의 투수성과 침투 ⑤ Hazen 공식 : K = C ⋅ D 10 2 6. 동결심도( Z )
Z = C⋅ F=C⋅
γd IP w L- w p
1. 모관현상 θ⋅ t
제1장 흙의 기본적 성질과 분류 γt w L- w n w L- w n
④ 습윤밀도와 건조밀도의 관계 : γd= ⑦ 연경지수( C I , Ic) : CI = = 4⋅ T ⋅ cos α 4. 비균질 토층의 평균투수계수
γ w⋅ D
1+
w IP w L- w p ① 모관상승고( h c ) : hc=
1. 흙의 각 성분의 상관관계 100
① 수평방향 평균투수계수( K h )
⑧ 유동지수( F I , I f ) : FI =
w 1- w 2
=
w 1- w 2
0 .3
제3장 유효응력
Vv W ② 표준온도(15℃)에서의 모관상승고 :
n ⑤ 습윤중량과 건조중량의 관계 : log N 2 - log N 1 N2 hc=
( K 1 ⋅ H 1 + K 2 ⋅ H 2 + K 3⋅ H 3 )
① 공극비( e ) : e= = Ws= D 1
Vs 100 - n w log K h= 1. 유효응력의 개념
1+ N1 H
100
① 전응력( σ ) : σ = γ ⋅ z
c
e ⋅ D 10
V e ⑨ 터프니스지수( I t ) : PI ③ Hazen 공식 : hc=
⋅γ w
② 공극률( n ) : n = v ×100 = ×100( %) Gs+e T I= ② 수직방향 평균투수계수( K z )
⑥ 포화밀도( γsat ) : ② 중립응력( u ) : u = γ w ⋅ H
V 1+e γ sat = FI
소성지수 ( I p )
1+e
Vw H
Kz=
2μ보다 작은 입자의 중량백분율 ( % )
⑩ 활성도( A ) :
⋅γw
③ 포화도( S ) : S= ×100(% ) ⑦ 수중밀도( γ sub ) : γ ' = γ sat - γ w =
G s-1 A=
2. Darcy의 법칙 H1 H H ③ 유효응력( σ ' ) : σ ' = σ - u
Vv γ sub =
1+e + 2 + 3
K1 K2 K3
u
④ 함수비( w ) : w=
Ww e max - e ① 전수두( h t ) : ht= +z
Ws
×100( %) ⑧ 상대밀도( D r ) : Dr = ×100 4. 흙의 입도분석 γw ③ 등가등방성 투수계수( K ' ) 2. 모관영역의 유효응력
e max - e min
K h⋅ K z
W Δh ① 완전히 포화된 흙의 모관포텐셜( φ )
⑤ 비중( G s ) ① 잔유율( P r ) : P r = sr ×100(%) ② 동수경사( i ) : i=

γ d max γ d -γ dmin K' =
φ =- γ w ⋅ h
= ×100( %) Ws L

Ws γd γ dmax -γ dmin
v =K⋅ i = K⋅
γ 1 h
㉮ 비중( G s ) : Gs= s = ② 가적 잔유율( P r ' ) : P r' = Σ P r ③ Darcy의 법칙 : ④ 침투수량(단위폭당 침투량)
γw Vs γw 3. 흙의 연경도 L ② 부분적으로 포화된 흙의 모관포텐셜( φ )
③ 가적 통과율( P ' ) :
q = K ⋅H⋅
P ' = 1 0 0 - P r' Nf
⋅γ w ⋅ h
Ws v S
㉯ T℃에서의 흙 입자의 비중 : ① 수축한계( w s ) ④ 실제 침투속도( vs ) : vs= φ =-
⋅ (L 2- B )
GT = 1 V n Nd 100
W s +( W a - W b) ④ 비중계의 유효깊이 : L = L1+
2 A 100
( V -V 0 )⋅γ w
㉰ 15℃에서의 흙 입자의 비중 : G s = G T ⋅ K w s = w- [
Ws
×100](%) D 60 ③ 모관영역의 유효응력( σ ' )
σ ' = σ - u = σ- ( - γ w ⋅ h ) = σ + γ w ⋅ h
⑤ 균등계수( C u ) : Cu=
⑥ 체적과 중량의 관계 : S⋅ e = w⋅ G s 1 1
D 10
3. 투수계수
5. 간극수압
ws= ( - ) ×100( %)
D 30 2
h t= d ⋅H
R Gs n
D 10 ⋅ D 60
⑥ 곡률계수( C g ) :
K = D s2 ⋅ ⋅ ⋅C
Cg=
① 투수계수 :
γw e 3
① 임의의 점에서의 전수두( h t ) :
2. 단위무게 Nd

Ws 1 η 1+ e 3. 침투수압
② 수축비( R ) : R=
① 습윤밀도( γ t ) : V0 γw Q⋅ L ② 위치수두( h e )
A⋅ h⋅ t
1 ② 정수위 투수시험 : K= ① 단위면적당 침투수압( F )
w⋅ G s
③ 비중 값의 근사치( G s ) :
S⋅ e
Gs= 5. 흙의 공학적 분류방법 위치수두는 하류수면을 기준으로 하여 높이를 측정
F = i⋅ γ w ⋅ z
1 ws
2.3⋅ a ⋅ L
Gs+ G s+ -
⋅γ w = ⋅γ w
W 100 100 R 10 0 h1 하는데 기준선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값을 가진다.
① A선 :
A⋅T
γt=
V
=
1+e 1+e
I p = 0.73 ( w L - 20 ) ③ 변수위 투수시험 : K= log
h2
③ 압력수두( h p ) : h p = h t - h e ② 단위체적당 침투수압( j )
G s ⋅γ w
④ 소성지수( P I , IP) : P I = w L- w p ② B선 : w L = 50 %
j = i⋅ γ w
Ws
K = C v⋅ m v⋅γ w = C v ⋅ ⋅γ w ④ 간극수압( u p ) : u p = γ w ⋅ h p
② 건조밀도( γ d ) : av
γd=
V
=
1+e ④ 압밀시험 :
⑤ 수축지수( SI , IS) : SI = w p - w s ③ 군지수( G I ) : GI = 0.2 a + 0.005 ac + 0.01 bd 1+e1


▸상하수도공학 ① 저수지 용량 ( 가정법 ) : C =
2) 등비급수 방법 : P n = P 0(1 + r )n 3) 계획 1일 최대급수량 = 계획 1인 1일 최대급수 4) 심미적 영향물질에 관한 기준 t 일후 잔존하는 BOD(mg/ℓ)
Lt : 5,000
0.8 R
1/ t
량 ① 탁도 - 2도 이하 ② 색도 - 5도 이하 최초 BOD(mg/ℓ) 또는 최종BOD( BOD u )
La :

제1장 상수도시설 계획
r : 연평균 인구증가율 (= [ P0
Pt ] -1 ) × 계획 급수인구 ③ 경도 - 300㎎/ℓ이하 k 1 : 탈산소계수 ( day - 1 ) t : day
C : 저수지 용량(계획 1일 급수량의 배수)
R : 연평균 강우량(mm)
3) 최소자승법(最小自乘法) : y = a x + b = 계획 1일 평균급수량 × [1.3 (대도시, 공업도시), e : 자연로그의 밑(2.71...)
1. 상수도 계통도 ② 유량누가곡선법 (리플법)
y : 기준 년으로부터 x 년 후의 인구 1.5 (중소도시)] 2. 물의 자정작용 ② BOD 소모량 공식
수원 → 취수 → 도수 → 정수 → 송수 → 배수 → 급수
계획 1일 최대급수량
- k 1× t
x : 기준 년으로부터의 경과년수
4) 계획 시간 최대급수량 =
Y = L a - L t = L a ( 1 - 10 )
×C 1) 자정작용
n : 과거의 인구 자료 수 24 t 일 동안 소비된 BOD (mg/ℓ) 제4장 상수관로 시설
2. 상수도 시설계획 ① 자정작용인자 - 물리적 작용, 화학적 작용, 생물 Y :
여기서 C = 1.3( 대도시, 공업도시 ), 1.5( 중소도시 )
1) 상수도 시설 계획년차 : 5~15년 [ a=
n ∑ xy - ∑ x ∑ y
, b=
∑ x 2 ∑ y - ∑ x ∑ xy
] 2.0( 농촌, 소도시 )
학적 작용(가장 큰 역할 담당) ③ 수소이온 농도 (pH) 1. 도수 및 송수계획

n∑ x 2 - ∑ x∑ x n∑ x 2 - ∑ x∑ x
재 폭기 계수
2) 계획 급수인구 : 급수구역내 총인구× 급수 보급률(%) 1 10 - 14
자정 계 수 : f =
k 2 ( day - 1 ) pH = log = - log 〔 H + 〕 = log 1) 계획 도송수량
탈 산소 계수

급수인구
+
= 〔H 〕 〔 O H -〕
4) Logistic Curve 방법 k 1 ( day - 1 ) ① 계획도수량 : 계획 취수량을 기준
급수구역내 총인구
3) 급수보급율(%) = × 100
K K pH < 7 : 산성, pH = 7 : 중성
∴ y= = 제2장 수질관리 ② 계획송수량 :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을 기준
① Goodrich 급수 보급율 1+ me -a x
1+e a- bx
3. 호소의 순환 및 부영양화 pH > 7 : 알칼리성
그 외 손실량 고려
여기서 t = day

P = 180 t - 0.10 여기서 y : 기준년 으로부터 x 년 후의 인구 1. 음용수 수질기준
1) 호소의 순환 2) 도송수방식
1) 미생물에 관한 기준 ① 전도현상 - 봄, 가을 제3장 수원 취수
3. 장래인구추정 x : 기준년 으로부터의 경과년수 ① 자연유하식 : 수원의 위치가 높고 도수로
① 일반세균 - 1㎖중 100이하 ② 성층현상 - 여름(가장 두드러짐), 겨울 1. 수원
1) 등차급수 방법 : P n = P 0 + n a K : 포화인구 길 때, 수압 신뢰성 좋다.
② 대장균군 - 50㎖중 검출불가
P n : n 년 후의 추정인구 m , a , b : 상수(최소자승법으로 구함) 2) 부영양화 1) 수원의 종류 : 지표수(상수원수 대부분 차지), ② 펌프압송식 : 지하수 수원일 경우, 수로를
P 0 : 현재인구 2) 무기물질에 대한 기준 ① 원인물질: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 지하수, 천수 짧게 할 수 있어 건설비 저렴하다.
n : 현재부터 계획년차 까지의 경과년수 4. 계획급수량 ① 비소 - 0.05㎎/ℓ ② 조류제거 : 황산구리 2. 취수 ․
3) 도송수관로의 유속
1년간 총급수량
P t : 현재부터 t년전의 인구
② 암모니아성 질소 : 0.5㎎/ℓ이하 ① 최소유속 : 0.3m/sec이상
1) 계획 1일 평균급수량 =
1) 계획취수량- 계획1일 최대 급수량기준 그 외에
365 3) 수질관계식
② 최대유속 : 3 m/sec이하
a= 연평균 인구 증가수 =
5~10 % 정도 여유를 둔다.
( P0- Pt
t ) 2) 계획 1일 평균급수량 = 계획 1일 최대급수량 ×
3) 유기물질에 관한 기준 ① BOD 잔존량 공식
2) 취수방법- 취수관, 취수문, 취수탑, 취수문 등
① 페놀 - 0.005㎎/ℓ이하
L t = L a・ e ≒ L a ・ 10
- k 1⋅t - k 1⋅t
[ 0.7(중소도시), 0.85(대도시, 공업도시) ] 3) 저수지취수
② 총트리할로메탄-0.1㎎/ℓ이하
▸ 철근콘크리트
② 총처짐=(탄성처짐)+(장기처짐) 3) 전단보강의 판정 5 철근의 정착과 이음 ③ 갈고리를 갖는 경우 : 150mm 이상, 8 d b 이상 ② 나선철근 : 6개 이상(원형)
c 지지조건 1방향 슬래브 보 ① V u ≤ φ V c : 이론상 전단보강이 불필요 1. 철근 간격 3) 축방향 철근비 : (1~8)%
공 ② 비대칭 T형보 l l ② 1
: 최소한의 전단보강 1) 주철근의 수평 순간격 4. 디발철근의 정착길이 4) 띠철근의 간격

단순지지 φ V c〈 V u ≤ φ V c
ꀊ 20 16 2
6t + b w

① 3다발 철근 : 20%증가 ② 4다발 철근 : 33%증가

4 ① 축철근 지름의 16배 이하
︳인접보와의 내측거리의 1 + b
① 25mm 이상 ② d b 이상 ③ 이상

l l b ws G

일단연속 A 3 max
v , min = 0.35
② 띠철근 지름의 48배 이하

2 w
24 18.5 fy


2) 주철근의 연직 순간격
︳ 보의 경간의 1 + b w

l l 1 5. 겹침 이음 ③ 단면 최소 치수 이하
12 양단연속 28 21 ③ Vu ≤
2
φV c : 설계전단보강이 불필요 ① 25mm 이상 ② 동일연직면내에 위치
3) 축철근의 간격 1) D35이하인 이형철근을 대상으로 한다. 5) 나선철근기둥의 설계기준강도 : 21MPa이상
2) T형보의 판정 캔틸레버 l l
4) 전단 철근량 2) 디발철근의 겹침이음 길이
V s ․s
A sf y 10 8 ① 40mm 이상 ② 1.5 d b 이상 6) 나선철근비
a= 〉t → T형보로 설계 ① 3다발 철근 : 20% 증가
f y ․d 나선철근의 전체적
0.85 f ck b ① 수직 스터럽 : A v=
f y ≠ 400 MPa 일 때는 ( 0.43+ 700 )를 곱한값을 사용
fy
2.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 ② 4다발 철근 : 33% 증가 ρs=
심부체적
≥ 0.45
Ag
Ac
f
- 1 ck
fy ( )
3) 등가응력깊이( a ) ② 경사스트럽(여러곳에서 굽힌 굽힘철근)
2) 균열 3) 완전한 이음은 철근 항복강도의 125%이상을
V s ․S
1) 굽힘 철근 : 5 d b 이상
( A s - A sf ) f y 0.85 f ck ( b - b w ) t
a=
0 .8 5 f ck b
여기서, A sf =
fy 접 w = 1.08β c f s 3
d cA ×10 - 5 (mm) ≤ w a 접
A v=
f y d ( sin α + cos α ) 접 2) 라멘 모서리 외측부 : 10 d b 이상 접
발휘하여야 한다. 접 2. 최소 편심( e min )
는 3) 피로 는 Vs 는 는 4) 겹침이음 길이 는
4) 설계 휨강도( M d ) ③ 한 곳에서 굽힌 굽힘철근 : Av= ① 나선철근 : 0.05t (t : 원의 지름)
곳 ① 기둥은 피로에 대해 검토하지 않아도 된다. 곳 f y sin α 곳 3. 철근의 정착 곳 ① A급 이음 : 1.0 l d 이상, 300mm 이상 곳
② 띠철근 : 0.10t (t : 단면최소치수)
M d = φ M n = φ [ A sf ․f y ( d -
t a
2
) + ( A s - A sf ) f y ( d -
2
)] ② 피로에 대해 검토하지 않아도 되는 철근응력 범위 5) 전단 철근의 간격제한 1) 이론상 정착길이 :
f d
ld= y b
② B급 이음 : 1.3 l d 이상, 300mm 이상
4v
(130~150)MPa
5) 최대 철근비( ρ max ) 2) 기본 정착길이 3. 중심축하중을 받는 기둥의 설계강도
b 4 전단 설계
구분 Vs ≤ ( f ck
3 )b d (
w
f ck
3 )b w d 〈 V s≤ ( 2 3f )b
ck
wd
① 인장을 받는 경우 :
0.6 d b f y 6 기둥 1) 띠철근 기둥
ρ m ax = 0 .7 5 ( ρ b + ρ f )․ w
b f ck
1) 전단응력( v ) d 1. 구조상세 P d = 0.80φ P n = 0.80φ[ 0.85 f ck ( A g - A st ) + f y A st )]
수직 이하, 0.25 d b f y
V 2
① 유효높이가 일정한 경우 : v= 스트럽 ② 압축을 받는 경우 : 1) 단면최소 치수 2) 나선철근 기둥
4. 처짐과 균열 b wd 60cm 이하 f ck
② 유효높이가 변하는 경우 ① 띠철근 : 200mm 이상, 60,000mm²이상
1) 처짐 경사 간격 절반( 1 )으로 감소 100 d b P d = 0.85φ P n = 0.85φ[ 0.85 f ck ( A g - A st ) + f y A st )]
M 2 ③ 갈고리를 갖는 경우 : ② 나선 철근 : 심부지름 200mm 이상
① 장기처짐=(탄성처짐)․ λ
1
v= [V- ( tan α + tanβ )] 스트럽 3 f ck
b wd d d 이하
굽힘 4 3) 정착길이의 제한 2) 축방향 철근수 4. 편심하중을 받는 기둥의 설계강도
ξ 2)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 ① 띠철근 삼각형 : 3개이상
여기서, λ=
1 + 50ρ '
철근 ① 인장을 받는 경우 : 300mm 이상 P d= φ(C c+ Cs- T s )
Vc= ( f ck
)b wd (N )
② 압축을 받는 경우 : 200mm 이상 사각형, 원형 : 4개 이상


6 = φ [ 0.85 f ck a b + ( A s ' - A s ) f y ]

▸ 토질및기초 4) 2 : 1분포법( tan θ = 1


2
법, kӦgler 간편법) 2. 압밀시험 ② 파괴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 σ ) 3. 예민비( S t ) 5. 공극극수압계수 및 응력경로
σ 1+ σ3 σ1-σ3 1) 공극수압계수
q s⋅ B ⋅ L
Ws q
A ⋅ G s⋅γ w
Q ① 흙 입자의 높이( H s ) : Hs= σ=
2
+
2
cos 2θ ① Terzaghi 공식 : St= u
4. 분사현상
( B+ z ) ⋅ ( L+ z ) 간극수압계수 =
Δσ z = = q ur Δu
( B + z )⋅ ( L + z )
③ 파괴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τ ) ① 공극수압계수 : Δσ
1) 한계동수경사( i c ) ② 초기 간극비( e 0 ) :
V
e0= v =
H-Hs
=
H
-1 ② Tschebotarioff 공식 : St=
qu
γ sub G s-1
Vs Hs Hs σ1-σ3 q u r' ② 등방압축시 때의 공극수압계수( B 계수)
τ= sin 2θ
ic=
γw
=
1+e 선행압밀하중 ( P c ) 2 Δu
현재의 유효상재하중 ( P 0 )
제4장 흙의 압축성 ③ 과압밀비( O C R ) : OCR =
④ 파괴면과 최대주응력면이 이루는 각(θ)
B=
Δσ 3
4. 현장에서의 전단강도 측정
2) 분사현상
1. 압밀이론 θ = 45° +
ø ③ 일축압축시 때의 공극수압계수( D 계수)
① 분사현상이 안 일어날 조건 : i < ic=
γ sub
=
G s-1 2 1) 표준관입 시험의 N 값의 수정
K 3. 압밀침하량 및 압밀시간 Δu
m v⋅ γ w
γw 1+ e ① 압밀계수( C v ) : Cv= x D=
① Rod 길이에 대한 수정 : N 1 = N ´⋅ ( 1 - ) Δσ 1
i ≧ i c = sub =
γ G s-1 ① t 법에 의한 압밀계수( C v ) 2. 전단강도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 200
② 분사현상이 일어날 조건 : e1-e2 ④ 삼축압축시에 생기는 공극수압
T 90⋅ d 2
1+ e Δe
γw ② 압축계수( a v ) : av= 1
Δ u = B ⋅ [ Δ σ 3 + A ⋅ ( Δ σ 1 - Δσ 3 )]
= 0.848 d 2 ② 토질에 의한 수정 : N 2 = 15 + ( N 1 - 15)
Δσ' σ' 2 - σ' 1 Cv= = 1) 전단응력 2
G s-1 t 90 t 90
ΔV S 5
③ 안전율 :
i
Fs= c =
1+e
② log t 법에 의한 압밀계수( C v ) ① 1면 전단시험 : τ= ③ 상재압에 의한 수정 : N = N ´⋅ ( )
i h ③ 체적변화계수( m v ) : mv=
V
=
av A 1.4 P + 1 2) K f 선과ø선의 관계
T ⋅d 2
Δ σ' 1+e1 S
L 0.197 d 2 ② 2면 전단시험 : τ= 여기서, P : 유효상재하중(kg/cm²) ≤ 2.8kg/cm² ① 내부마찰각( φ ) : φ = sin - 1 ( tan α )
e 1-e2 e1-e2 C v = 50 = 2A
5. 지중응력 ④ 압축지수( C c ) : Cc= =
t 50 t 50
m
② 점착력( c ) :
T⋅d 2
log σ ' 2 - log σ ' 1 σ' 2 2) 일축압축강도 2) N 값과 ø의 관계 c=
cos φ
1) 집중하중에 의한 연직응력 증가량( Δσ z ) log
σ' 1 ③ 압밀시간( t ) : t=
Cv ① 일축압축강도( q u )
⋅I C v⋅ t
Q 입도 및 입자 상태 내부마찰각
① 연직응력 증가량( Δσ z ) : Δσ z =
P⋅ (1 - ε)
⋅ log ( 2 )⋅ H
z2 ⑤ 시간계수( T v ) : Tv=
④ 압밀침하량( Δ H ) :
Cc σ' qu=
P
=
P
= 흙 입자가 모가 나고 입도가 양호
d2 ΔH =
1+e 1 σ' 1 A0 A A φ = 12 N + 25 제6장 토 압
3⋅ z 5
② 영향계수( I ) : I= ⑥ 압밀도( U ) 1-ε
흙 입자가 모가 나고 입도가 불량
q u = 2 c u⋅ tan (45° + 1. 토압의 이론
2⋅ π⋅ R 5 φ
) φ = 12 N + 20
ΔH t 2
2) 사각형 등분포하중에 의한 응력증가 ㉮ 압밀량 : U = ×100( % ) 흙 입자가 둥글고 입도가 양호 ① 수평응력( σ h )
ΔH 제5장 흙의 전단강도 N
① 연직응력 증가량( Δσ z ) : Δσ z = q s ⋅ I qu=
8 흙 입자가 둥글고 입도가 불량 φ = 12 N + 15 σ h = K o ⋅ σ v = K o ⋅ γ⋅ z
㉯ 과잉간극수압의 소산정도 1. Mohr-Coulomb의 파괴이론
② 영향계수 : I = f ( m , n ) ② 전단강도와 N 값의 관계
u -u u
U = i e ×100 = ( 1 - e ) ×100 ( % ) ① 흙의 전단강도 3) 베인전단시험에 의한 전단강도 ② 모래 및 정규압밀점토의 정지토압계수( K 0 )
3) New-Mark 영향원법 ui ui qu N
cu= = = 0.0625 N K 0 = 1 - sin φ '
C v⋅ t
T
Δσ z = 0.005⋅n ⋅q s
종류 일반 흙 모래 포화점토 2 16 qu S =c u =
π⋅ D 2 ⋅ (
㉰ 시간계수 : U =f ( T v) ∝ ( ) H D
+ )
τ = c' + σ ' ⋅ tan φ τ = σ ' ⋅ tan φ
2 qu ③ 과압밀점토의 정지토압계수( K 0( 과압밀) )
d2 공식 τ=cu ③ 변형계수( E 50 ) : E 50 = = 2 6
ε 50 2 ε 50


K 0( 과압밀 ) = K 0 ( 정규압밀 ) OCR

▸상하수도공학 ② 미소손실수두 ( h s ) 제5장 정수장시설 여기서 v s :독립입자의침강속도, g :중력가속도


ρ s :독립입자의비중, ρ :액체의비중
4. 염소소독(Chlorination) 3. 계획 우수량 산정
    · 1) 염소주입량 = 염소주입농도 × 유량 ×
 1 1) 우수유출량 산정식 ( 합리식 )
순도
1. 정수장 계획 μ :액체의점성계수, d :독립입자의직경

C ・ I・ A
1
1) 계획정수량 : 계획1일 최대급수량 기준 염소 주입 농도 = 염소 요구 농도 + 잔류 염소 농도
2. 상수관로 설계공식  Q=
여기서  : 미소손실계수 f i = 0 .5 , f o = 1 .0 2) 표(수)면적부하     360
2) 결합 잔류 염소 ( 클로라민 ) : NH 2 CL , NHCL 2, NCL 3
2) 정수처리 계통도  
1) 평균유속 공식 Q : 우수유출량 (m³ / sec), C : 유출계수,
여기서 침전지 체류시간(침전시간)
3 ) 유 리 잔 류 염 소 : HOCL , OCL -
3) 관두께 결정식 ( t ) ① 완속여과 : 취수→도수→착수정→보통침전지→완  
① Hazen-Williams공식(관수로) I : 강우강도 (mm / hr), A : 배수면적 (ha)
 속여과지→염소소독    침전지 높이
C ・ I・ A
 1
           
   
② 급속여과 : 취수→도수→착수정→혼화지→플록형 3) 침전제거율        Q= [ A : 배수면적(km²)일 경우 ]
여 기서 v : 평 균유 속 ( m/ sec ) C :평균 유 속계수
3 .6
여기서 t : 관의 두께(mm),  : 관내 수압(kg/cm²)   
R : 동 수반 경 ( m ) I :수면 경사 성지→약품침전지→급속여과지→염소소독  제6장 하수도시설 계획
2) 강우강도식 ( I )
D : 관의 내경(mm),
4) 약품침전지 1. 하수도 기본계획의 목표년도 : 20년
① T albot 식 I = ② Sherm an 식 I =
② Manning공식(개수로) a a
   : 관의 허용응력(kg/cm²) 2. 응집시설 t+b tn
      ① 용량 : 계획 정수량의 3~5 시간 분
  2. 하수도 배제방식
③ Japanese 식 I =
 a
 1) 플록형성지 ② 유효수심 : 3~5.5 m
3. 배수계획 1) 분류식 t+ b
여기서  : 조도계수(0.013~0.015) ① 용량 - 계획 정수량의 20~40분간 체류할 수 있 5) 보통침전지
1) 계획배수량 는 용량 ① 용량 : 계획 정수량의 8시간 분 ① 전 오수를 처리장으로 수송 시킬 수 있다. 여기서 t : 강우 지속시간(min)
③ Chezy공식(개수로, 관수로 공통) ① 평상시 : 계획 시간 최대급수량 ② 오수관,우수관을 별도로 매설 하므로 관거 부설비
② 속도경사( G ) 6) 여과지 a , b , n :상수
      
 

     : 마찰손실계 ② 화재시 :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1시간당 수량 +
G=
P⋅ η ① 완속여과지 가 많이 든다. 3) 유달시간 (min) = 유입시간 + 유하시간
소화 용수량 μ⋅ V
㉠ 여과속도 - 4~5m/day ③ 오염도가 심한 초기 우수를 처리할 수 없다.
수 여기서 P : 축 동력 ( watt ) η:효율
2) 배수시설
μ : 점 성계 수 ( kg/m⋅ sec ) V :응 집지 부피 ( m 3 ) ㉡ 여과지면적 : A = Q / V 2) 합류식 4. 계획오수량
2) 관수로의 손실수두 ① 배수지유효용량 여기서 Q : 계획정수량 V : 여과속도 ① 관거의 단면적이 커서 관거 내의 검사에 편리하다. 1) 계획오수량=생활오수량+공장폐수량+지하수량
① 마찰손실수두 (대손실) ㉠ 표준용량 : 계획 1일 최대 급수량의 8~12시간 분 ㉢ 모래층두께 : 70~90cm
3. 침전지 및 여과지 ② 오수관과 우수관을 하나로 매설 하므로 관거의 2) 계획 1일 최대오수량=(1인 1일 최대오수량
   · ·

 ㉡ 최소용량 : 계획 1일 최대 급수량의 6시간 분
(Darcy-Weisbach공식) ② 급속여과지 부설비가 저렴하다. ×계획인구)+공장폐수량+지하수량+기타 배수량
  1) 침전속도(Stokes 법칙)
② 배수지 위치 : 배수구역 중앙에 위치하여 관말에
여기서 h L :손 실 수 두 ( m ) , l :관 수 로 의 길 이 ( m )         ㉠ 여과지면적 : 150㎡이하 ③ 사설 하수도에 연결하기가 쉽다. 3) 계획 1일 평균오수량=계획 1일 최대오수량
D :관 의 직 경 ( m ) , v :유 속 ( m/ sec ) 서 압력이 최소동수압 1.5㎏/㎠이상 나타나는 곳.  
  ㉡ 여과속도 : 120~150 m/day × 0.7(중소도시) 또는 0.8(대도시, 공업도시)
g :중 력 가 속 도 ( m / sec ² ) , f :마 찰 손 실 계 수
▸ 철근콘크리트 ③ 마찰에 의한 손실
5. 직접 설계법의 제한 사항 3. 구조세목 1. PSC의 단점 7. PSC의 기본개념
1) W L ≤ 2W D ① 배력철근량 : 20%이상 ① 열에 약하다. ② 강성이 적다. ① 제1개념(응력개념, 균등질보의 개념) 감소율 = μ α + k l
공 7 슬래브 2) 3경간 이상 ② 피복두께 벽의 노출면 : 30mm이상 ③ 시공이 어렵다. ④ 공사비가 비싸다. P M
y∓
Pe

∙일반식 : f=
A
±
I I
y
1. 슬래브의 판별방법 3) 경간길이의 차는 장경간의 1
이하 흙과 접촉면 : 50mm 이상 10. 시간적 손실(프리스트레스 도입후 손실)


3 P M Pe
③ 전면벽의 구배는 1 : 0.02 이상 2.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연응력 : f 상연 =
A
±
Z Z ① 건소수축에 의한 손실 : Δ f P = E P ε sh
L 하연


1) 1방향 슬래브 : S
≤ 2 4) 기둥의 이탈은 10%이하
① 프리텐션 부재 : f ck ≥ 35 MPa ② 제2개념(강도개념, 내력모멘트개념) ② 크리프에 의한 손실 : Δ f P = n φ f c
L 5) 보의 상대강성은 0.2~5.0
2) 2방향 슬래브 : 〉 2 4. 확대기초 ② 포스트텐션 부재 : f ck ≥ 30 MPa RC와 같이 보고 외력모멘트는 내력모멘트가 저항한 ③ 릴렉세이션에 의한 손실 : Δ f P = r f P
S
1) 기초판의 저면적 : A=
P 다는 개념 (강선 및 강연선 : r = 5%, 강봉 : r = 3%)
2. 주철근 간격 8 옹벽과 확대기초 q a - γh
3. PS 강재 ③ 제3개념(하중평형개념, 등가하중개념)
1) 위험단면(최대 휨모멘트 발생단면) qB ( L - t) 2
1. 옹벽 2) 위험단면의 휨모멘트 : M= ① 인장강도의 크기 : 강연선〉강선〉강봉 8 Ps 11.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8 등분포 상향력 : u=
슬래브 두께의 2배이하, 300mm 이하 1) 옹벽의 안정조건 l2
3) 확대기초의 위험단면 ② 탄성계수( E P ) : E P = 2.0×10 5 MPa ① 프리스트레스 도입적후(손실 발생전)
2) 기타 단면 접 ① 전도에 대한 안정 접 ① 1방향 작용시 : d 떨어진 곳 접 접 접 휨압축응력 : f ca = 0.6 f ci
슬래브 두께의 3배이하, 400mm 이하 는 저항M 는 는 는 8.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응력 는 ② 모든 손실 발생후
전도M
Fs= ≥ 2.0 d 4. PS 강재 긴장 방법
② 2방향 작용시 : 떨어진 곳
곳 곳 2 곳 곳 ① 프리텐션 부재 : f ck ≥ 30 MPa 곳
휨압축응력 : f ca = 0.4 f ck
1 ① 기계적 방법 : 가장 일반적
3. 전단에 대한 위험단면 ( R 의 작용점이 옹벽저면 중앙 3
이내) 4) 구조상세 ② 포스트텐션 부재 : f ck ≥ 25 MPa
② 화학적 방법
마찰 저항 력
1) 1방향 슬래브 : d 떨어진 곳 ① 유효높이 12. 강재의 허용응력
주 동토 압
② 활동에 대한 안정 : Fs= ≥1.5 ③ 전기적 방법
d ∙흙위에 놓이는 경우 : 150mm 이상 9. 즉시 손실(프리스트레스 도입시 손실)
2) 2방향 슬래브 : 떨어진 곳 ④ 프리플렉스 방법 : 구조용 강재를 대상 ① 긴장시
2 ③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 : q max ≤ q a ∙말뚝위에 놓이는 경우 : 300mm 이상 ① 탄성수축에 의한 손실 0.8f pu 와 0.94f py 중 작은값이하
② 말뚝위에 무근콘크리트 확대기초를 두어선 안된다. ∙프리텐션 부재 : Δ f P = n f c
4. 2방향 슬래브의 분담하중 5. 프리텐션 공법 : 부+착에 의함 ② 프리스트레스 도입적후
2. 옹벽의 설계 ③ 무근 콘크리트 확대기호의 높이 : 200mm 이상
n f c․
1 N-1
① 롱라인 공법 : 연속식 ∙포스트텐션 부재 : ΔfP=
2 N ∙프리텐션 : 0.74f pu 와 0.82f py 중 작은값이하
구분 단변( S ) 장변( L ) 1) 캔틸레버식 옹벽
② 인디비듀얼 몰드 공법 : 단독식 ② 활동에 의한 손실 ∙포스트텐션 : 0.70f pu
L4 S4 캔틸레버로 설계 9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등분포하중 ws= w w L= w
Δ f P = E P․
L 4+ S 4 L 4+ S 4 Δl
2) 부벽식 옹벽 ∙일단정착 : l
L3
S3 미리 압축응력을 준 콘크리트 6. 포스트텐션 공법 : 정착에 의함
① 앞부벽 : 직사각형보로 설계
Δ f P = E P․
집중하중 Ps=
L 3+ S 3
P PL=
L 3+ S 3
P
∙양단정착 : 2Δl
② 뒷부벽 : T형보로 설계 l


▸ 토질및기초 4) 뒤채움 흙이 이질층인 경우의 토압 ③ 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 3. 직립사면의 안정해석 2)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일치하는 경우 2) 평판재하시험
⋅ y = v ⋅ ( 1±
① 전주동토압( P A ) σ=
P
±
M R 6e
) ① 한계고( H c ) ① 일반적인 흙 ① 지지력 계수 : K=
q
A I B B y
⋅ tan (45° + )
2. Rankine의 토압이론 P A = P A 1+ P A 2 + P A 3 4c ø τ c' γ sub tan φ
γ sat⋅ H ⋅ cos β⋅ sin β
Hc=2 Z0= Fs = f = + ② 재하판 크기에 따른 지지력계수
⋅ K A 1⋅γ 1⋅ H 1 2 + K A2⋅γ 1⋅ H 1 ⋅ H 2
1 γt 2 τd γ sat tan β
1) 사질토인 경우의 연직옹벽에 작용하는 토압 =
2 K 30 = 2.2 K 75
F s = sub ⋅
2q u γ
+ ⋅ K A 2⋅γ 2 ⋅ H 2 2
ø 1 - sin ø 1 제7장 사면의 안정 Hc= ② 모래지반 : tan φ
① 주동토압계수( K A ) : K A = tan 2 ( 45° -
2
)=
1 + sin ø 2 γt γ sat tan β K 40 = 1.5 K 75
1. 안전율( F s )
② 주동토압강도( σ ha ) : σ ha = K A ⋅σ v ② 작용점( y ) ② 안전율( F s ) :
H
Fs= c
③ 재하판 크기에 의한 영향
H
⋅ K A ⋅ γ⋅ H 2
1 H1 H2 H2 종류 공식 6. ø=0° (비배수 상태)인 균질한 점성토의 사면 점 토 모 래
③ 전주동토압( P A ) : PA=
2
(
3
+ H 2 )⋅ P A 1 + (
2
)⋅ P A 2 + (
3
)⋅ P A 3
y=
PA ① 전단에 대한 전단강도 ( τ f ) ① 원호의 길이( L a ) : L a = 2⋅π⋅ r ⋅ (
θ
) 지
4. 단순사면의 안정해석
전단응력 ( τ d )
1 Fs= 360
④ 작용점( y ) : q u ( 기초) = q u ( 재하 )⋅
y= H B ( 기초)
c u⋅ L a⋅ r
3 안전율 MR
지 q u ( 기초 ) = q u ( 재하 ) B ( 재하 )
5) 지하수가 있는 경우의 토압 H'
① 심도계수( N d ) :
W⋅d
N d= ② 안전율( F s ) : 력
저항 모 멘트 ( M R )
2) 수동토압 H Fs= =
② 모멘트에 대한 MD
① 전주동토압( P A )
회 전 모멘 트 ( M D )
Fs=
⋅N s
① 수동토압계수( K P ) : ø 1 + sin ø c 침
K P = tan 2 ( 45° + )= 안전율 ② 한계고( H c ) : Hc=
S ( 기초 ) = S ( 재하 )⋅ S ( 기초 ) = S ( 재하 )⋅[
2 1 - sin ø P A = P A 1 + P A 2+ P A 3+ P A 4 γt B ( 기초 ) 2B ( 기초)
하 ]2
② 수동토압강도( σ hp ) : σ hp = K P ⋅σ v = ⋅ K A⋅γ t ⋅ H 1 2 + K A ⋅γ t⋅ H 1 ⋅ H 2 +
1 1 ③ 평면 활동에 활동에 저항하는 힘 ( P R ) Hc 제8장 흙의 다짐 B ( 재하 ) B ( 기초 ) + B ( 재하 )

활동을 일으키려는 힘 ( P D )
2 2 Fs= ③ 안전율( F s ) : Fs=
⋅ K P ⋅ γ⋅ H 2
H
⋅ K A ⋅γ sub ⋅ H 2 + ⋅γ w ⋅ H 2
③ 전수동토압( P P ) : PP=
1 2 1 2 대한 안전율 1. 다짐이론
2
W R⋅ H ⋅ N B⋅ N L
2
④ 높이에 대한 한 계 고 ( H c) 3) 노상토 지지력비 시험( C B R )
1 ① 다짐에너지( E ) :
사면 의 높이 ( H )
④ 작용점( y ) : 5. 무한사면의 안정 E=
y=
3
H ② 작용점( y ) 안전율
Fs= V ① 팽창비
1) 지하수위가 파괴면 아래에 있는 경우 현장의 γ d 다이얼게이지 최종읽음-다이얼게이지 최초읽음
팽창비=
3) 상재하중이 있는 경우의 연직옹벽에 작용하는 토압 H1 H2 H2 H2
② 다짐도( R ) : 실내다짐시험에 의한 γ dmax 공시체의 최초높이
+ H 2 )⋅ P A 1 + ( )⋅ P A 2 + ( )⋅ P A3 +( )⋅ P A4 R= ×100(%)
① 수직응력( σ ) : σ = γ⋅H⋅ cos 2β
( ×100(%)
① 임의의 점에서 수직응력( σ v ) : σ v = γ ⋅ z + q s
3 2 3 3
y=
PA

② 임의의 점에서 수평응력( σ ha ) : σ ha = K A ⋅( γ ⋅ z + q s )


2. 평면파괴면을 지닌 유한사면의 안정해석 ② 전단응력( τ ) : τ = γ⋅H⋅ cos β ⋅ sin β ② 노상토 지지력비( C B R )
시험하중 시험단위하중

4c
표준하중 표준단위하중
sin β⋅ cos φ ③ 안전율 2. 현장 다짐
③ 전주동토압( P A ) 3. 옹벽의 안정 ① 한계고( H c ) : H c=
γt 1 - cos (β - φ )
CBR = ×100 = ×100(%)
㉮ 일반적인 흙 1) 모래치환법(들밀도 시험)
P A = P A1 + P A2= K A⋅ q s⋅ H +
1
⋅ K A ⋅γ⋅ H 2 R v ⋅ tan δ Hc
2 ① 활동에 대한 안정 : Fs= >1.5 ② 안전율( F s ) : Fs= τf c' tan φ W sand
γ t ⋅ H ⋅ cos β⋅ sin β
Rh H Fs = = + ① 시험 구멍의 체적( V ) : V=
H H τd tan β γ sand
( P A1 × + P A2× ) Mr
2 3 ② 전도에 대한 안정 :
④ 작용점( y ) : y=
P A1 + P A2
Fs=
Mt
>2
㉯ 모래지반 : Fs=
tan φ
② 습윤단위중량( γ t ) : γt=
W
tan β V


▸상하수도공학
② Chezy 공 식 v =C RI ③ 바닥기울기 : 직사각형 1/100~1/50 6) 슬러지용적지수 ( SV I ) =
SV ( % ) 2) 펌프의 흡입구경(D)
MLSS 농도 ( mg /ℓ)
×10,000
1 8g
원형 및 정사각형 1/20~1/10
C =
n
R 1/6 =
f
4) 최종침전지 =
SV (% )     
M L SS ( % )
4) 계획 시간 최대 오수량 = 계획 1일 최대오수량 3) 관거의 외압 산정식 (Marston식) ① 유효수심 및 표면부하 : 유효수심 2.5~4.0m, 여기서   흡입구 유속(m/sec)
7) 슬 러지밀도지수 ( SDI ) =
100
1시간당 수량의 1.3~1.8배 W = C 1⋅ r⋅ B 2 표면부하 : 20~30㎥/㎡․day SVI   펌프의 토출유량(m³/min)
여기서 r : 매설토의 밀도(t/m³) C₁: 상수 ② 체류시간 : 3~5시간 3) 펌프의 축동력 ( P s )
B : 폭요소
3 ③ 바닥기울기 : 직사각형 1/100~1/50 3. 슬러지 처리시설         
제7장 하수관로시설 B =
2
d + 30      
원형 및 정사각형 1/20~1/10 1) 슬러지 처리 계통도: 농축→소화→개량→탈수→처분  
1. 하수관로 계획         
2) 함수율과 슬러지 부피와의 관계      
 
1) 하수관거의 계획 하수량 2. 활성슬러지법 설계공식
제8장 하수 처리장 시설 V1 100 - W 2 여기서   양수량(m³/sec)
1) BOD 용적부하 ( kgBOD / m ³・ day ) :
① 오수관거 : 계획시간 최대오수량 =
1. 하수처리 개요 V2 100 - W 1   펌프의 전양정(m)
② 우수관거 : 계획우수량 BOD・ Q BO D ・ Q
여기서 V 1 : 농축전슬러지부피 η 
BOD
Q・ t
1) 하수처리 흐름도 = = 펌프의 효율(0~1)
③ 합류관거 : 계획시간 최대오수량 + 계획우수량
V 2 : 농축후슬러지부피
V t
④ 차집관거 : 우천시 계획 우수량 (계획 시간 최대 하수 → 침사지 및 스크린 → 최초 침전지 → 폭기조 2) BOD 슬러지부하 ( kgBOD /kgMLSS・ day ) W 1 : 농축전슬러지함수율 4) 비교회전도 (N )
BOD・ Q W 2 : 농축전슬러지함수율

오수량의 3배) → 최종침전지 BOD   


M LSS・ V
= =    ×
M L S S・ t  
폭기조 부피 ( m 3 )
2. 하수관거 수리공식 2) 침사지
3) 체류시간 ( t ) = 여기서 펌프의 회전수(rpm)
1) 유량 : Q = A ・ v 유입수량 ( m 3 /day) × ( 1 + r)
① 평균유속 : 0.3 m/sec  
제9장 펌프장시설
② 체류시간 : 30~60 sec V   펌프 양수량(m³/min)
A : 관의 단면적(m²) v : 유속(m/sec) =
Q (1 + r )
1) 펌프의 전양정(H)   전양정 (m)
3) 최초침전지 V・ X V・X X・ t     Σ    
2) 유속공식 4 ) 슬 러 지 일 령 (SA ) =
SS ・ Q 5) 펌프의 특성곡선 : 양수량과 양정, 효율, 동력과의
= =
SS ․
① 유효수심 및 표면적부하 : 유효수심 2.5~4.0m, V SS
여기서    실양정(m)
・ R 2/3・ I 1/2
1 Q 관계곡선
① Manning v =
Σ   총손실수두(m)
표면적부하 : 25~40 ㎥/㎡․day
V・X V・X
n
n :조 도 계 수 , R :경 심 , I :동 수 구 배 ② 체류시간 : 2~4시간 5 ) 고 형 물 체 류 시 간 ( SR T ) = ≒
X r Q w + (Q - Q w)Xe XrQw    토출관 말단의 잔류 속도수두 6) 펌프의 시스템 수두곡선 : 총수두와 양수량과의
관계곡선
▸ 철근콘크리트
4. 순폭의 계산 ② 주형의 경제적인 높이( h )
1) 리벳이 일직선 배치 : 리벳구멍의 지름을 공제 P M

2) 전단응력 :
f ․t f
10 강구조 v=
∑ al h = 1 .1
(리벳구멍의 지름)=(리벳지름)+(3mm)

1. 리벳의 강도 3) 휨응력
2) 리벳이 지그재그 배치 ③ 플랜지의 단면적( A f )

1) 전단강도( ρ s ) 12M
최초구멍은 리벳구멍의 지름을 공제하고 그 후는 ① 일반식 : f= y
M Aw
∑ al 3
f ․h
A f=

-
ρ s = v a․
πd 2 6
① 단전단 : 순차적으로 ( d - 4pg )을 공제한다.
2
6M
4 ② 연응력 : f=
∑ al 2 ④ 스티프너(stiffner) : 복부판의 좌굴방지
ρ s = v a․
πd 2
② 복전단 : 2
3) L형강 : 전개한 폭에 대해 계산
⑤ 브레이싱(Bracing)
① 총폭 : b g = b 1 + b 2 - t 7. 용접부 강도
2) 지압강도( ρ b ) ∙횡력에 저항
② g= g1-t
ρ b = f b a ․ ( d ․t m in ) (허용응력)×(용접부 단면)〓(허용응력)×(목두께)×(유효깊이) ∙주형의 상호위치유지
p2
③ 4g
≥ d : bn= bg-d ∙비틀림 방지
3) 리벳강도( ρ a ) 8. 교량
접 ④ p2
〈 d : bn= bg- d- (d-
p2
) 접 접 ⑥ 스터드(stud) 접 접
ρs 와 ρ b 중 작은 값 4g 4g 1) 바닥판의 휨모멘트( M l )
는 는 는 콘크리트 상부 플랜지와 강재를 연결하는 연결재 는 는
곳 곳 L + 0 .6 곳 곳 곳
5. 용접부 단면 M l= P ( k g f․m )
2. 리벳수( n ) 9 .6

전하중 (P ) 1) 목두께( a ) : 용접부의 유효두께 ① 1등교(DB-24) : P = 9600 kgf


리벳 강도 ( ρ a )
n=
① 홈용접 : 모재면에 90° 방향 ② 2등교(DB-18) : P = 7200 kgf
a=t ③ 3등교(DB-13.5) : P = 5400 kgf
3. 부재강도 ② 필렛용접 : 모재면에 45° 방향
2) 충격계수
1) 압축재 : 전단면이 유효 S
a= = 0.707 S 15
P a = f a ․A g = f a ( b g ․t )
2 i= ≤ 0 .3
40 + L
2) 유효길이( l ) : 투영시킨 길이
2) 인장재 : 순폭을 고려 3) 판형교
P a = f a ․A n = f a ( b n ․t )
① 복부판의 전단응력( v )
6. 용접부 응력
V
P v=
1) 인장(압축)응력 : f= A wg


∑al

▸ 토질및기초 ② 지하수위가 기초의 저면에 위치한 경우 2) 단기 허용지지력 : qa= 2 qt+


1
⋅ γ⋅ D f⋅ N q ㉮ Drop hammer의 극한지지력 : ② 회수율
W h⋅ H 회수된 암석의 길이
3
-γ⋅D f 회수율 =
γ 1 = γ sub Q
암석 코어의 이론상 길이
Qa= 9. 순압력( q net ) : q net =
A
×100(%)
γ2= γt 6 ( S + 2.5 )
제9장 기초 ③ 지하수위가 기초 저면보다 밑에 위치한 경우 5. 말뚝의 지지력 ㉯ 단동식 Steam hammer의 극한지지력 Q ③ 암질지수( R QD )
10. 완전보상기초의 깊이( D f ) : D f = A ⋅
1. Terzaghi의 극한지지력 공식 1) 정역학적 지지력 W h⋅ H γt 10㎝이상으로 회수된 암석조각들의 길이의 합
㉮ D〈B인 경우 암석 코어의 이론상 길이
Qa= RQD = ×100(%)
6 ( S + 0.25 )
① Terzaghi의 공식
⋅ (γt-γ
1) 전반전단파괴의 극한지지력 D S1-S2
γ 1 = γ sub+
B sub )
㉮ 극한지지력 ㉰ 복동식 Steam hammer의 극한지지력 11. Prakash의 침하각( θ ) : θ = sin - 1 ( )
( W h + A P ⋅ P )⋅ H
B
① 극한지지력 γ2= γt 2
-e
q u = α⋅ c⋅ N c + β ⋅γ 1⋅ B ⋅ N r + γ 2⋅ D f⋅ N q
Q u= Q p+ Q f Qa=
㉯ D≥B인 경우 6 ( S + 0.25 )
= (α⋅c⋅N c +β⋅γ 1⋅B⋅N r +γ 2⋅D f⋅N q )⋅A P + U⋅L⋅f s W h⋅ H
② 형상계수 지지력에 영향이 없다. ③ Sander의 공식 : Q a=
Qu Qu 8S 제10장 연약지반 개량공법
㉯ 허용지지력 : Q a= =
기초 Fs 3
연속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2. Skempton 공식(점토 지반의 극한지지력) 1. 샌드 드레인 공법
형상계수 ② Meyerhof의 공식 6. 군말뚝
q u = c ⋅ N c + γ⋅ D f ㉮ 극한지지력 ① 모래 말뚝의 배열에 따른 영향원의 직경( D e )
r⋅ L
B
α 1.0 1.3 1.3 1 + 0.3 1) 판정기준( D 0 ) : D 0 = 1 .5
L ㉮ 정 삼각형 배열 : D e = 1.05 S
Q u = Q p + Q f = 40⋅ N ⋅ A p + ⋅ N s ⋅ A s
1
B 3. Meyerhof 공식(모래 지반의 극한지지력) 5 2) 군말뚝의 허용지지력 ㉯ 정 사각형 배열 : D e = 1.13 S
β 0.5 0.3 0.4 0 .5 - 0.1
L D
㉯ 말뚝 둘레의 모래층의 평균 N 치( N s ) ① φ 각: φ = tan -1

q u = 3⋅ N ⋅ B ⋅ ( 1 +
Df S ② 평균 압밀도( U age )
N ⋅ H 1 + N 2⋅ H 2 + N 3⋅ H 3
)
2) 국부전단파괴의 극한지지력 B
Ns= 1 ② 효율(Converse-Labarre) 공식 U age = 1 - ( 1 - U v )⋅ ( 1 - U h )
( m - 1 ) ⋅ n + ( n - 1 )⋅ m
H 1+ H 2+ H 3
⋅[
2 φ
c l= c
m⋅n
3 E=1- ]
4. 재하 시험에 의한 지지력 결정 ㉰ 허용지지력 90
Q ag = E ⋅ N ⋅ Q a 2. 페이퍼 드레인 공법에서 환산 직경( D )
2
φ l = tan - 1 (
3
tan φ ) 1) 장기 허용지지력 Q a=
Qu
=
Qu ③ 군말뚝의 허용지지력( Q ag ) :
Fs 3 2(t+ b)
q a = q t + ⋅ γ⋅ D f⋅ N q
1 D = α⋅
3) 지하수위의 영향 π
3 2) 동역학적 공식
① 지하수위가 기초의 저면보다 위에 위치한 경우 1 ① Hiley의 공식 7. 즉시침하량( S i ) : S i = q ⋅ B ⋅ (1 - μ2)
⋅Is
여기서, qt : 항복강도의 E 3. 토질 조사
W h⋅ h ⋅ e W h+ n ⋅W P
2
γ 1 = γ sub 2
1 Q u= ( ) ① 면적비( A r )
⋅(γt-γ
D 또는, 극한강도의 중 작은 값 1 W h+ W P
⋅y
γ2= γt- sub ) 3 S+ ( C 1 + C 2 + C 3) P M D o2 - D e2
Df 2 8. 최대압축응력( q max ) : q max = A +
I Ar= ×100 ( % )
D e2
② Engineering news 공식


▸상하수도공학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