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

축산물 바로 알리기 연구회 제 4차 연구 월례발표회

“육식의 반란Ⅲ – 팝콘치킨의 고백”


(전주 MBC TV, 2014년 12월 5일 방영)

2014.12.18

최윤재, 박태은, 한건구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1
목차
Ⅰ. 문제제기 7. 한국의 육계 생산
1. 팝콘치킨이란? 8. 결론
2. 팝콘치킨에 대한 문제제기
IV. 부적절한 정보
Ⅱ. 국내 육계산업 현황
1. 육계산업에 대한 선정적인 표현
1. 국내 육계수급 현황
2. 방송내용의 부적절한 정보
2. 육계품종 및 개량 현황

3. 육계 출하체중 현황 V. 종합적 고찰
1. 소형닭∙대형닭 생산 이원화
III. 방송내용
2. 대형닭 생산의 긍정적 효과
1. 프랑스의 육계 생산
3. 육계 출하일령 연장을 위한 과제
2. 네덜란드의 육계 생산 – 과거
4. 친환경 축산 생산기반 미비
3. 네덜란드의 육계 생산 – 현재
5. 친환경 축산을 위한 최근 축산 관련법 개정
4. 미국의 육계 생산 – 과거
6. 동물복지
5. 미국의 육계 생산 – 현재

6. 일본의 육계 생산 VI. 결론

2
Ⅰ. 문제제기

팝콘치킨이란?
 토종 닭에 비해 3배나 빨리 자라도록 육종된 육계를 표현
 출생 후, 한 달 정도 사육 후 출하되는 육계로 크기가 작음 (1.5 kg)

(전주 MBC, 2014-12-05 방영)

3
문제제기

팝콘치킨에 대한 문제제기

단기간 빠르게
열악한 성장하는 브로일러 치킨 중심의 유통구조
사육환경으로 품종 도입 마리 단위로 판매하여
항생제 과다사용 및 질병에 취약한 특징 체중이 적을수록
장기 사육의 어려움 유리한 구조

이른 출하시점 (평균 32일)으로


출하체중 1.5 kg의 팝콘치킨 생산

국제 경쟁력 약화 소비자의 불만
양계사양관리 악화
높은 생산비 문제 및 낮은 중량의 계육
지속 가능한 친환경
수출의 어려움 소비 다양성 무시
양계 확립에 걸림돌
4
Ⅱ. 국내 육계산업 현황

국내 육계수급 현황

공급 (천톤) 1인당
자급률 수출
년도 소비량
수입육 국내산 (%) (천톤)
(kg)
2001 85 267 7.3 75.4 42
2005 53 301 7.5 74.5 15
2007 38 380 8.6 71.5 13
2010 99 436 10.7 71.5 0.5
2011 109 456 11.4 61.4 0.5
2012 118 464 11.6 70.3 1.3
2013 104 474 11.5 72.8 1.9

출처 : 2014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및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통계자료

 2005년 이후 백색육 선호 추세, 닭고기 소비량 > 소고기 소비량


 최근 닭가슴살 등 부분육 수요 증가로 미국, 브라질 위주 수입물량 지속
 국내 계열업체 유통비중 조사결과 통닭 61%이며, 부분육은 21%에 불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농업전망)

 국내의 소형닭 생산방식  부분육 생산이 어렵고 닭고기 수출 저해 (외국: 대형, 부분육 유통형태)
5
국내 육계산업 현황

육계품종 및 개량현황
 국내 육계품종현황
품종 비율 GP수입회사 수입국
로스 (308) 35.87% 삼화육종 영국/미국
아바에이커 26.94% 한국원종 영국/미국
코브 22.21% 하림 영국/미국
인디안리버 15.43% 청정원종 영국/미국

출처 : 한국육계협회 통계자료 (2013-2014년 현재)

 연도별 육계 성장률 변화
• 품종 개량을 통해 육계성장률 증가 및
최고성장률 도달시기 감축
• 육계 1.6 kg 도달 일령
98일 (50년 전) vs 30일 (현재)
• 개량에 따른 부작용
1) 체격 불균형 : 가슴살이 커지면서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 다리에 강한 하중
2) 장기기능 약화 : 심장, 폐 기능이 빠른 성장을
감당하지 못하는 수준
3) 활동성 저하 : 약 80% 시간 동안 앉아서 보냄
4) 폐사율 증가 : 동일 연령의 산란계에 비해
폐사율 7배, 면역력 약화

출처 : The European Coalition for Farm Animal, Compassion in world farming trust (2005) 6
국내 육계산업 현황

육계 출하체중 현황
 육계 출하체중 및 연령 변화

출하일령
출하체중

• 출하 체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

• 1990년 이후 육계
출하일령은 40일 후반에
머무른 상태

출처 : National chicken Council, US broiler performance (2011)

 국가별 육계 출하체중 (kg)


• 미국 2.6, 중국 2.5, 일본 2.7, 러시아 2.7, 한국 1.5
• 외국은 대형닭 (2.5 kg 이상) 위주 생산
• 한국은 소형닭 (1.5 kg 이하) 위주 생산

우리나라만 소형닭 위주로 생산되는 이유는? 외국의 사례는?


7
III . 방송내용

프랑스의 육계 생산
1. 사육 공간
- 11수/m2 (한국 대비 2배 이상)

- 방사 공간: 수 당 4m2

2. 3~4달 사육, 3 kg 이상 사육하여 출하


3. 5,000개의 농장 (1억 수)에서 동물 복지를 고려하여 생산 중

<프랑스의 친환경 농장>


8
방송내용

네덜란드의 육계 생산 - 과거

1. 6단 케이지에서 사육
- 가축공장으로 표현

2. 45일 사육, 2.6 kg 이상 출하


3. 사육, 출하, 도계 모두 전자동화된 시설

<네덜란드의 6단 케이지 계사>

9
방송내용

네덜란드의 육계 생산 - 현재

1. 동물 복지형 사육으로 변화 중
2. 2003년 조류 독감 발병
- 유럽 전역으로 퍼져 3억 마리 매몰  동물 복지형 사육에서 해결책을 강구

3. 사육 공간
- 닭에게 과거에 비해 2배 넓은 공간 제공
- 방사 지향하여 항생제 없이 생산하도록 노력

4. 소비자의 변화
-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 증가
- 비싸도 안전한 축산물 구매
- 소비자가 동물복지와 동물의 건강,
식품의 안전을 요구

<네덜란드의 동물 복지 계사>

10
방송내용

미국의 육계 생산 - 과거

1. 연간 1인당 45 kg 소비
2. 짧은 시간에 빠르게 자라도록 육종: 팝콘치킨
- 브로일러 생산 (육계)

- 전 세계로 수출

3. 빠른 성장으로 인해 닭의 건강 악화
- 다리 골절 문제

- 심장 문제

- 면역력 약화

4. 사료 내 항생제 첨가
- 질병 예방

- 성장 촉진

<미국 계사>

11
방송내용

미국의 육계 생산 - 현재

1. 밀식사육의 폐해를 줄여가고 있음


2. 엘렌사의 예
- 농가에서 질병 발생시, 회사 방역팀이 와서 약을 처방

- 질병 발생시, 모두 회사의 책임 (국가의 배상 없음)

<엘렌사 위탁농가 인터뷰> 12


방송내용

일본의 육계 생산

1. 다품종 소량 판매
2. 넉넉한 공간, 120일 이상 사육
3. 일부는 산지에서 닭을 잡아 음식점으로 공급
- 신선한 닭을 횟감으로도 사용

예) 산닭시장

- 한국은 자가 도축은 불법

- 한국에서 산닭 판매자는 벌금내며 영업 (건강한 토종닭 소비가 어려움)

4. 1970년대부터 건강하고 맛있는 토착 닭에 대한 선호 발생

<일본의 계사> 13
방송내용

한국의 육계 생산

1. 20여년 전 미국으로부터 종계 수입
- 재앙의 시작이라고 표현

2. 32일 사육, 평균 1.5 kg 출하 (소형닭 위주 유통구조)


3. AI 발생 만연
- 양적 성장위주의 무리한 사양환경이 하나의 원인
- 그 동안의 매몰 작업으로 인해 연속적인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됨

- 사회적 비용 발생, 소비자의 거부감. 이에 대한 대기업의 책임의식 부족

- AI의 발생과 후속 조치에 대해 대기업에 책임을 지워야 한다는 의견도 있음

<AI 살처분에 대한 거부감> 14


방송내용

한국의 육계 생산 (계속)

4. 한국에서만 사육 일수 짧고 출하 체중이 작은 이유?

1) 열악한 사육 시설
- 사육농가간에 거리가 짧음

- 전체 축사의 절반 가량이 아직 재래식 (비닐하우스+보온덮개) 계사

- 깔짚과 환기 시설이 열악함


- 암모니아 농도가 기준치의 4배 → 호흡기 질병 만연

- 일령이 증가할수록 폐사 급증 → 대량 폐사 전에 출하 위해 출하 시기가 점점 앞당겨짐

<한국의 비닐하우스 계사> 15


방송내용

한국의 육계 생산 (계속)

2) 치킨 중심의 유통 구조

- 전체 육계 시장의 60% 차지

- 치킨 업체에서는 중량 단위로 사서 마리 단위로 판매 → 중량이 작을 수록 치킨 업체는 이익

- 영계가 맛있다는 근거 없는 정보 → 소비자로 하여 작은 치킨 구매하도록 유도

*방송에서는 치킨 업체의 등장과 함께 만들어진 말이라고 소개

- 전국적으로 치킨 가맹점수는 3만여 개, 매일 200만 마리의 치킨의 판매되고 있음

- 소형닭의 고착화로 국내 소비자의 선택권 감소

- 건강한 토종닭 소비가 어렵고 소비자들은 대형 유통구조에만 의존하게 됨

16
방송내용

결론
1. 유럽, 미국, 일본이 변화하고 있는 지금도 한국 육계 축산은 제자리
- 현재 한국에서 소비되는 닭고기의 25%가 수입
- 매년 반복되는 AI로 살처분이 계속됨에도 친환경 축산시스템 구축이 더딤

2. 국산 닭고기의 가격 경쟁력 부족
- 수입 닭고기에 비해 2배 가까이 비쌈
- 하림과 동우에서 수출하기는 하지만 하림은 삼계탕, 동우는 산란 폐계 수출임

- 생닭의 수출이 요구됨

3. 청결한 환경에서는 45일 이상 사육으로 2.5 kg 이상 사육 가능

<대형닭과 소형닭의 차이> 17


방송내용

결론 (계속)
4. 현재 닭고기 산업은 대기업 중심
- 소비자의 요구보다는 기업의 이익대로 시장 형성

5. 현재 생산량이 소비량의 120%


- 육계 계열사들이 치킨 게임 중

6. 대형닭 사육을 통해 위 문제들이 해결 가능함


- 대형닭 사육으로 생산비 낮춰 가격 경쟁력 높이는 것이 가능함

- 밀사를 줄여 질병 없는 청정한 환경 구축이 선결과제

<미국의 앨런 하림 임원의 인터뷰>


18
IV. 부적절한 정보

육계산업에 대한 선정적인 표현

1. “우리 민족이 한 달도 안된 덜 큰 병아리를 먹었다는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2. “바람에 날리듯 벨트 위를 굴러다닌다.”
3. “조작된 DNA, 잃어버린 본능”
4. 옥수수 사료를 단백질로 바꾸는 도구에 불과한 백색가금이다
5. “팝콘치킨”
6. “불행한 한국의 작은 닭“
7. “병아리에 불과한 어린 닭이 식탁에 오르는 이상한 나라가 바로 한국이다.”

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표현으로 시청자들의 감정적인 반응을 유도


 ‘팝콘치킨’  방송에서 만들어 낸 편향되고 부적절한 표현

19
부적절한 정보

방송내용의 부적절한 정보

방송내용 진실

• 한국과 유럽 모두 토종닭이 육계와 별도로 사육. 사육기간 역시 3


개월 내외로 비슷
• 유럽은 3개월 사육하는 토종닭이 전부이고 한국은 한달 내외 기
품종 문제 간 동안 사육하는 육계만을 사육하여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오해
• 프랑스 토종닭(라벨루지)은 석 달이나 자라나 더 일으킴
이상 병아리가 아님. • 프랑스 토종닭(라벨루지):
• 한국과 비교하면 두배나 넓은 계사, 탁트인 자연, 사육밀도 11수/m2 평균 체중은 2.2 kg, 사육일수 80~90일
질병의 고통은 멀고, 고기의 품질은 월등하며 다리 연간 1억수, 시장 점유율-토종닭 12% (EU 8%), 일반육계
뼈도 훨씬 단단함. 92%
• 석달-넉달 사육, 3kg이 넘는 큼지막한 고기 • 한국 토종닭:
사육밀도 13.5수/m2, 평균체중 2.2kg, 사육일수 80~90일,
연간 5천만수, 시장 점유율-토종닭 7%, 일반육계 90%
• 품질에 있어서도 한국 토종닭과 프랑스의 토종닭의 차이가 없음

• 마치 한국에서만 밀식사육을 하고 있는 것처럼 왜곡 보도


• EU 경우 계사 형태에 따라 계사 바닥면적 m2 당 육계 사육중량
밀식사육 문제 을 33~42 kg으로 설정/ 한국은 m2 당 33~39 kg으로 EU보다 낮
• 다리뼈가 부러지거나 심장이 견디지 못해 대량으
은 수준을 유지. 미국은 출하체중에 따라 m2 당 31.8~41.8 kg 기
로 밀식 사육되는 브로일러는 항생제 불가피, 사료 준
에 성장촉진제 사용 • 육계의 문제는 전세계의 동일한 문제. 우리나라 또한 관절 문제
• 연간 7회 사육 열흘도 쉬지 못하고 다시 사육
나 급사병을 예방하기 위한 소등관리, 영양관리를 비롯한 과학적
일주일~열흘만에 재입식 인 사양기술을 도입하여 실행 중으로 세계적인 수준까지 도달
• 한국 육계농가 연 평균 사육회수 5~6회전이며 평균 휴지일수는
25일

20
부적절한 정보

• 현재 사료에 성장 촉진용 항생제는 법규로 사용금지하고 콕


항생제 문제 시듐 제어용 항콕시듐제만 사용토록 허가 (EU, 미국 역시 현
•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항생제를 선진국의 10배
재 사료에 항콕시듐제 사용)
이상 사용 • 질병에 의한 항생제 사용시 수의사의 처방에 의하여 적정량
• 한국에서 항생제를 규제 없이 사용
의 항생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무분별한 항생제는 사용 자제
• 엔노트릴(엔로프록사신) 같은 경우 잔류해서 사람 •
항생제 잔류: 한국과 유럽 기준 동일 – 씨프록삭신+엔로프
이 먹고 축적이 지속적으로 됐을 때 유전자 조작을 폭삭신의 합이 근육에서 100ppb 이하 기준
시킬 수 있어 유럽에서 금지품목 • 현재 유럽도 엔로트릴 사용가능

• 사육일령과 출하중량은 국가별로 다르며 오직 질병 때문에


출하일령와 질병과의 관계 일찍 출하하는 것은 아님
• 질병이 발생하기 전, 폐사가 발생하기 전에 출하를 • 유럽, 미국, 중국, 중동, 동남아 등 모든 나라들이 소비시장에
해야 해서 점점 출하일령이 당겨짐 따라서 출하일령과 출하 중량이 제각각 다름(1kg~4kg)

기업이익 문제 • 다른 나라에서도 통닭으로 판매 시 중량으로 구매, 마리로


• 체중으로 사와서 마리로 팔기 때문에 기업한테는
판매
이윤이 많이 남는 시스템이라 기업의 이익에 따라 • 기업(계열사)과 농장은 작게 키울수록 kg당 원가가 높아져
닭을 작게 키우는 것 손실이 커지므로 기업(게열사)에서는 대형닭을 생산하여 제
• 닭이 작을 수록 계열사는 부화장을 통해 병아리를
품을 개발하는데 지속적인 노력 중
많이 판다?

21
부적절한 정보

소비시장 문제 • 20~30년전 대가족 문화에서 대형닭을 선호하였으나 한국이


• 불행한 한국의 작은 닭, 영계가 맛있다는 한국정서 핵가족화 되고 치맥 문화가 발달하면서 소형 통닭을 선호하
와 함께 팔려나가고 있다. 는 시장으로 변화하고 한마리 단위 거래가 주류. 따라서 소
• 육계를 크게 키우려는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 기업 비자가 선호하는 작은 닭을 생산 공급
과 농가는 응답이 없다. • 우리도 부분육으로 사용하는 닭은 2~2.5kg 대형 닭을 사육
• 일본인 인터뷰 - 병아리에 불과한 어린닭이 식탁 하나 현재 소비시장이 형성되지 않아 적은 수준
에 오르는 한국은 이상한 나라 1.5kg 키우는 나라 • 일본은 음식문화가 대형닭을 요구하여 대형닭을 생산
는 한국밖에 없을 거다? • 아이러니하게 일본은 대형닭을 생산하지만 이미 수입닭 시
장은 40%이상 차지, 일본의 닭고기 생산체계는 근근이 연명

• 재래시장에서 산닭을 도계하여 판매하는 것이 성행할 경우


AI 등 질병 통제가 더욱 어려움
• 영세 도계 경우 위생관리가 어렵고, 콜드체인 등 유통 문제
산닭 도축 문제 • 중국 등 산닭 유통이 많은 나라에서도 산닭시장을 폐쇄하는
• 한국은 산닭을 잡아 파는 것이 범죄이나 일본은
추세
소량도축이 가능 • 세계적인 추세는 HACCP 등 안전기준이 강화된 도계장을
• 하루 이틀이면 부패가 시작되는 닭고기의 특성을
통해서 도계 유통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개인도계
아는 주부들만 산닭 시장 찾음 는 금지하는 추세이다.
• 일본은 음식문화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추세에 거슬러 시행

22
부적절한 정보

삼계와 육계의 차별성 • 삼계용 닭은 35~40일, 체중 800~1,100g 까지 사육하고 있으


• 삼계탕, 25일만에 나오는 500g 짜리로 너무 작고
며 삼계닭은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음식문화가 발전되어 온 닭
기 비린내가 난다. 병아리지 닭이 아니다. 이며 육계와 다른 품종을 사용하고 있음

밀집사육과 질병발병 문제 • 밀집사육과 질병발병과 연관이 있는 점은 사실이나, 철새로 전


• 현재 우리가 살처분하는 막대한 비용은 사회적 비 염되어 오는 AI가 오로지 현대 축산의 문제라고 볼 수 어려움
용이기 때문에 대기업들로부터 사회적 비용을 부 • 현재 독일 네덜란드 영국 등 에서도 한국에서 발생한 유형의
담하도록 책임을 지워야 함 AI가 발병함

• 보온덮개 하우스 계사가 30% 미국식 계사가 50% 수준으로


변화됨
계사시설문제 • 현재 급수, 급이, 환기, 습도 조절이 자동적으로 시스템화 된
• 보온덮개 비닐하우스 계사에서 열악하게 키운다. 환경조절계사로 많이 전환
미국이나 유럽같은 곳에는 이런 계사는 없다. • 삼계, 토종닭 같이 비교적 질병에 강하고 수익이 많이 나지 않
는 품종이 여전히 재래식 계사 이용

 편향되고 자극적인 정보로 국내 양계산업에 대한 무조건적인 불신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판단됨

23
V. 종합적 고찰

소형닭대형닭 생산 이원화

 생산 이원화 시스템

• 소형닭 생산은 국내에 정착된 ‘한 마리‘ 문화에 적합함


• 그러나, 소형닭에만 편중된 양계산업의 문제 해결을 위해 대형닭 생산도 중요
• 생산부터 유통까지 소형닭에 맞춰진 양계산업을 한번에 변화시키는 것은 불합리
• 따라서, 소형닭대형닭 이원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
• 대형닭 생산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활발한 홍보 및 교육이 필요
• 대형닭 생산을 위한 실증화 생산접목 연구가 동반되어야 함
• 친환경 및 동물복지 양계농장에서부터 대형닭 생산이 가능하도록 시범사업으로 운
영하면서 점차 확장시켜야 할 것

24
종합적 고찰

대형닭 생산의 긍정적 효과

 맛 인자 증가
<소형과 대형 닭고기의 맛 인자 차이>

구분 소형닭고기 (1.5 kg) 대형닭고기 (2.8 kg)

이노신 일인산 (IMP) (mg/100g) 121 131


필수지방산 (%) 23.1 29.3
전단력 (kg/inch2) 1.66 2.1

출처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소형닭은 성숙되기 전에 도계됨으로써 충분한 닭고기의 맛을 내기가 어려움


• 반면 대형닭고기 (42일령 2.8 kg)은
1. 감칠맛을 내는 이노신 일인산 함량이 소형닭고기에 비해 8.5% 증가
2. 필수지방산의 증가
3. 전단력이 높아 고기가 쫄깃해짐

* IMP: Inosine monophosphate 25


종합적 고찰

대형닭 생산의 긍정적 효과 (계속)

 생산비 절감
• 입추시 병아리 가격 부담 및 깔집, 연료비, 노동력 절감 (경영비 29% 절감)
• 높은 도체수율 및 부분육 생산으로 생산비 절감
(사육기간 증가에 따라 도체율과 다리육 생산량 비례적 증가)

<출하일령에 따른 생체중과 도체율>

구분 수컷 암컷

30일 35일 42일 30일 35일 42일

생체중 (g) 1,788 2,491 3,055 1,410 2,128 2,550

도체율 (%) 69.6 70.5 71.8 68.6 71.7 72.9

- 가슴육 371(30.0) 579(32.9) 749(34.2) 290(30.0) 508(33.3) 650(35.0)


- 다리육 338(27.1) 493(28.1) 627(28.6) 273(28.2) 418(27.4) 541(29.1)

출처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6
종합적 고찰

대형닭 생산의 긍정적 효과 (계속)

 부분육 생산으로 수입육 대체 및 수출 증대


• 닭고기 수입은 점차 증가 (주수입국: 미국과 브라질)
• 다리, 날개 등 닭고기 수입의 대부분 부분육 차지
<닭고기 부위별 수입량 (톤)>

년도 가슴육 날개육 다리육 전체육 계


2014 (1-10월) 1,861 4,994 100,835 0 107,690
2013 2,321 4,584 96,936 0 103,841
2012 6,071 2,013 109,662 24 117,770
2011 5,567 5,694 96,824 508 108,593
2010 6,749 7,037 84,748 378 98,912

출처 :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통계자료

• 국내에서 대형닭을 생산함으로써 부분육 수요 충당 가능 (자급률 향상)


• 삼계탕 뿐만 아니라 생닭 수출 경로 확대

27
종합적 고찰

육계 출하일령 연장을 위한 과제
과제 1 과제 2 과제 3

사양관리의 개선 동물복지 의식 개선
소비자가 대형닭 생산의 필요
동물 복지형 사육기준에서 자 성을 인지하고 관심을 가져야
육계의 유전능력을 최대로 발 란 육계들은 밀집 사육된 육계 만 대형닭 시장이 형성될 것
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사육 에 비해 질병에서 자유롭고 기
환경관리가 필수 본적인 행위를 보장받게 되며  양계산업 종사자들은 대형닭
스스로 생리적 리듬을 조절할 생산이 현재 양계산업의 경쟁
과밀사육환경에서 육계 출하
수 있게 됨 력 확보에 중요한 과제임을 인
일령만 늘린다면 폐사율이 증
가할 우려가 있음 생산과정에서 스트레스를 감 지하고 다방면으로 노력해야
소시켜 가축의 면역력이 강화 함
육계 깔집관리, 환기, 사육밀
되기 때문에 출하일령을 늘리
도 조절, 방역 등 사육환경 개
더라도 질병 문제가 적을 것 친환경 축산이 아직 정착되지
선이 선결과제
이미 육계 동물복지 가이드 않은 국내에서 갑자기 출하일
출하일령 증가에 맞는 사료급 령을 늦추기는 어려울 것. 철저
및 인증 기준이 확립. 인증 받기
여 시스템 확립 한 실증 연구와 정부의 적극적
위한 농가의 노력과 소비자의
의식 개선이 필요함 인 지원이 필요함

육계 출하일령 연장을 위해서는 친환경 축산이 필수!


28
종합적 고찰

친환경 축산 생산기반 미비
1. 열악한 사육여건에 있는 무허가 축사에 대한 정책적 배려 부족
- 축산농가 무허가 축사가 30~50% 수준을 차지함

2. 환경부의 사육제한 거리, 축산 분뇨 관리 선진화 대책 등 규제 강화에 대한 대책


3. 공동방제단 소독대상 확대 및 운영개선에 대한 지원부족
4. 지자체별 친환경 축산단지의 개발이 필요함
5. 도계산업 경쟁력 부족
6.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 정립

< 육계농가 계사형태>


조사농가 : 743개소

구분 무창 유창 무창,유창 총합계(비율)

판넬 236 72 2 310(62.2)

하우스 29 151 180(36.1)

하우스, 판넬 1 3 4 8(1.6)

총합계(비율) 266(53.4) 226(45.4) 6(1.2) 498(100.0)

출처 : 한국축산경제연구원 (2014.11월기준)
29
종합적 고찰
친환경 축산을 위한 최근 축산 관련법 개정
1.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 지원 (2011년부터)
- 닭 3만수 이상(육용종계 1만5천수 이상)을 대상으로 축사, 축사시설, 축산시설(방역시설, 생산성향상 시설 등) 지원
- 사업종료 후 1년 이내 반드시 HACCP인증 의무화, 사람용 소독시설, 차량용 소독조, 휴대용 방역기, 방역울타리 설치
- 지원규모(2013년 4265억원, 2014년 3817억원)도 문제지만, 조건이 까다롭고 소규모 농가에 대한 배려 부족
- 그 결과, 2014년 10월 15일 기준 2014년 지원액인 3817억원 중 44억원만 집행
- 최근 농축산업분야의 시설현대화 사업 지원 위해 농신보 특례 보증신설(개인∙단체: 30억, 법인 50억까지)

2. 축산법 개정(2011년 12월 29일): 친환경 축산을 위한 방안


3. 가축 전염병 예방법 개정 (2012년 9월부터 법 시행)
- 농장을 주기적으로 출입하는 차량에 대한 등록의무화 시행

4. 사육업 허가제 시행 (2013년부터)


- 친환경 축산업으로의 전환과 효율적인 방역을 목적으로 시행
- 과도한 밀집사육을 막기 위해 단위면적 당 가축두수 설정, 각 축종별 일정사육규모 이상은 허가를 받도록 규정

5. 축산업 규제 강화 (2011년 후반기 이후): 사육제한 거리, 가축분뇨법 기준 강화


6. 최근 축산관련 법개정 및 이슈내용
- 지역단위 축산업 종합개발 사업 추진 (농림축산식품부)
- 축산물 이력제 확대
- 해외농업의 활성화를 위한 불필요한 규제 완화 (입법예고)
- 양분 총량제를 통한 사육두수 조절 추진 (환경부): 논의를 계속해 왔으며 현재 용역결과 기다리는 중

이 모든 법이 친환경 축산을 위한 것
이를 통하여 여건변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음 30
종합적 고찰

동물복지
 동물복지의 개념
1. 동물복지의 정의
- 가축이 단순히 본능적으로 움직이는 존재가 아니므로 불필요한 고통을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 기본 개념임

- 사육, 수송, 도축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동물복지 정책의 대상

2. 이상적인 동물복지의 기본 조건 – 다섯 가지 자유 (Five Freedoms)


① 기아∙갈증으로부터의 자유

② 불편함으로부터의 자유

③ 고통∙상처∙질병으로부터의 자유

④ 정상적인 활동을 할 자유

⑤ 공포∙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

3. 동물복지 목표
- 동물의 건강과 정상적인 기능의 보호

- 동물의 심리적 보호

- 종 특이적 본래습성에 따른 환경조건의 제공

4. 동물복지 문제의식 강화 – 한-EU FTA 체결 이후 더욱 중요해짐

31
종합적 고찰

동물복지 (계속)

 동물복지의 육계농장 인증기준 (2014년 육계 신설)

1. 인증사육규모 5. 홰
- 최소 인증 사육 마리수 육계 10,000수(토종닭 - 육계 1,000수(토종닭 800수, 삼계 1,700수)당
6,000수, 삼계 17,000수) 이상 농가 횃대 2m 제공

2. 급이 6. 깔짚
- 지름 33cm 이상 원형 또는 타원형 급이기를 - 방역∙소독관리 기준 제시 할 경우 재사용 인정
육계∙토종닭 65수, 삼계 110수당 1대 이상 설치 7. 조명도
3. 방역 및 위생 - 계사내부 최소 20 lux 이상
- 계사 전실설치, 올인-올아웃 적용 8. 공기오염도
4. 사육밀도 - 암모니아 25ppm, CO2 5,000ppm 이하
- 육계∙토종닭 m2당 19수 및 30 kg, 삼계 m2당 9. 방목장기준
35수 및 30 kg
- 방목장면적 3마리당 3.3m2 이상

동물복지에 대한 인증제도가 확립되면서 육계 동물복지에도 변화가 기대됨


소비자와 육계산업 종사자의 의식 개선이 필요함

32
VI. 결론

 ‘팝콘치킨의 고백‘ 방송은 국내양계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중요한 문제를 지적함

 위 방송을 통한 소비자의 의식 변화로 대형닭 생산에 대한 요구의 목소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 소형닭 생산에 대한 비판을 넘어선 선정적인 표현으로 축산 자체에 대한


거부감을 들게 하는 점이나 잘못된 정보제공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응이 필요

 육계의 출하일령 연장 및 출하체중 증가는 시장개방에 따른 국내 양계산업의 생존,


소비자의 선택권과 동물복지 측면에서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과제임

 친환경 축산시스템의 정착과 육계산업 종사자들의 의식개선이 선결되어야 할 것

 축산물 바로 알리기 연구회는 잘못된 정보에 대한 즉각 대응하고, 발전적 비판을 적극


수용하여 소비자 지향 선진 축산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

 위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소비자와의 소통을 통해, 소비자 지향 양계산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언하는 축산물 바로 알리기 연구회의 역할이 매우 큼

3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