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2022년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영어┃


EBS 수능특강 14강 고3

Gateway 본 자료는 이그잼포유에서 제작하였습니 지


다. 저작권법에 의하여 무단전재나 무단 문
복제 및 전송을 금하며, 도서로의 모든 분
The Essence of Film Art Destroyed by Sound And Color 석
출판권과 파일 전송권은 이그잼포유에 있
(소리와 색채에 의해 파괴된 영화 예술의 본질)
습니다. 본 콘텐츠의 레이아웃 및 편집에
대한 저작권 침해 행위 또한 금지하고 있
습니다.
내용 소리와 색채가 없는 영화에서는 영화의 본질인 환상의 예술이 가능했는데
기술의 혁신이 영화적 환상을 현실의 재현으로 착각하도록 만들면서 영화
를 사실주의를 전달하는 도구로 전락시켰다.

Flow Check
1 수식대상과 수동관계
서술형 대비 영화의 본질은 환상의 예술
↱=cinema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
→ 소리와 색채의 도입이 영화적 환상을 현실의
Cinema is valuable not for its ability (to make visible the hidden 재현으로 생각하게 하면서 본질을 파괴시킴
1
S V C 󰃌 󰃤 ‘만드는 (능력)’ O·C p.p. ‘숨겨진’
‘가치 있는’↲ ‘make+O+O·C’에서 O가 길어서 O·C와 위치가 바뀜↲ 도입 (1)
not A(,) but B ’A가 아니라 B’로 두 전치사구[부사구]가 대비됨 영화가 가치가 있는 이유
󰃃 ‘윤곽들’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 → 우리 현실의 숨겨진 특성을 보이게 만드는
outlines of our reality), but for its ability (to reveal {what reality 능력 때문이 아니라 현실이 가리고 있는 것, 즉
환상의 차원을 드러내는 능력 때문
O1 󰃤 우리의 현실 󰃥 󰃤 ‘드러내는’ 목·관(O1) S2
↱재귀대명사의 강조용법 {선행사포함 관계 ⬇
대명사절}→reveal
itself veils — the dimension of fantasy}). 의 목적어 전개 (2~5)
‘그 자체’ V2 [O2x] 󰃃 ‘차원’ 󰃤 󰃃 ‘환상’ → 이것이 최초의 위대한 영화 이론가들에 의
대시→what reality itself veils를 부연설명하는 명사구 연결
해 영화를 사실주의로 밀어붙였던 소리와 그
밖의 다른 기술 혁신의 도입을 공공연히 비난
어휘 veil 가리다 = hide, screen, cover, mask, conceal, obscure, disguise, camouflage, dissimulate
한 이유임
→ 영화는 환상의 예술이기에 이러한 혁신은
해석 영화는 우리 현실의 숨겨진 주요 특성을 보이게 만드는 능력 때문이 아니라 현실 완전히 불필요했음
자체가 가리고 있는 것, 즉 환상의 차원을 드러내는 능력 때문에 가치가 있다. → [추가] 설상가상으로 그것들(=소리와 색채
등의 혁신)은 영화 제작자와 관객을 영화의
환상적인 차원에서 멀어지게만 할 수 있을
2 지칭 (=영화가 가치 있는 것은 현실 자체가 가리고 있는 것,
뿐이어서, 잠재적으로 영화를 현실의 재현
즉 환상의 차원을 드러내는 능력 때문이라는 것) 을 위한 단순한 전달 장치로 변형시킴
This is why+S+V ‘이것이 ~하는 이유이다’ → 무성 흑백 영화의 비사실주의가 지배하는
{보어역할 명사절} ↱=unanimously ‘만장일치로’ 동안은 영화적 환상을 현실의 재현으로 생
This is {why, [to a person,] the first great theorists of film decried 각할 수 없없음(=영화는 환상의 예술이었
S V 관·부 한 사람처럼(=이구동성으로) S 󰃤 1
V 1 음)
↳명사절을 이끄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부사= the reason (why, that, for which) ⬇
󰀳󰃃 ‘도입’ (형용사구=전치사구) 󰀳󰃰기술상의 󰀳󰃃 혁신
반전 (6~7)
the introduction (of sound and other technical innovations
1
그러나 소리와 색채는 바로 그러한 착각(=영화
O 󰃤 소리 󰃥 other+복수명사(구)
적 환상을 현실에 대한 묘사로 착각하는 것)을
↱소괄호로 예시삽입 (관계사절)→선행사는 the introduction
만들겠다고 위협하였음
(such as color)) (that pushed film in the direction of realism)}. → 그럼으로써 영화 예술의 본질 자체를 파괴함
~와 같은 주·관 V2 O2 ‘~의 방향으로’ 󰃃 사실주의 → [Rudolf Arnheim의 말 인용]
↳=which * decry 공공연히 비난하다 “예술가의 창의적 힘은 (1)현실과 (2) 재현의 매
체(=예술=영화)가 일치하지 않는 곳에서만 발
해석 이것이 최초의 위대한 영화 이론가들이 영화를 사실주의 쪽으로 밀어붙였던 소리와 (색 휘될 수 있음”
채와 같은) 그 밖의 다른 기술 혁신의 도입을 이구동성으로 공공연히 비난한 이유이다.

▌ Grammar✚ 1
3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부사 why
지칭 (=소리와 색채와
[이유 부사절] ↱󰃌 ‘전적으로’ 같은 다른 기술 혁신들) 관계부사 why는 선행사 the reason을 포함하
[Since cinema was an entirely fantasmatic art,] these innovations 며 명사절 역할의 완전한 절을 이끌 수 있다.
1 1 1 이때 why는 the reason why/that/for which로
󰃥 S V C S
바꾸어 쓸 수 있다.
󰃰 ‘불필요한’↱(×) necessary, essential, fundamental 
본문 전환 This is why, to a person, ~
were completely unnecessary.
= This is the reason why, to a person, ~
V 󰃌 완전히 C ** fantasmatic 환상의
= This is the reason that, to a person, ~
해석 영화는 전적으로 환상의 예술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혁신은 완전히 불필요했다. = This is the reason for which, to a person, ~

- 1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4
지 연결어 (영화는 완전히 환상의 예술이었기 때문에 소리‧색채
문 등의 혁신은 완전히 불필요했으며 그리고 더 심하게는~)
분 지칭 (=these innovations)
석 ↱ can do nothing but+동·원 ‘~할 수밖에 없다’
And what’s worse, they could do nothing but turn filmmakers
󰃥 설강가상으로 S V(조동사+동·원1) O 󰃥 (+동·원2) O1
turn A away from ‘A를 B에서 멀어지게 하다’
and audiences away from the fantasmatic dimension of cinema,
󰃥 O2 󰃌 󰃤~로부터 ‘환상적인 차원’ 󰃤
[분사구문]→ (=and[as] they potentially transformed~) ↱󰃃 ‘전달’ ↱󰃃 ‘장치’
[potentially transforming film into a mere delivery device for
󰃌잠재적으로 현재분사 O1 󰃤 ‘단순한 전달 장치’ 󰃤
↳‘변형시키는’→ 주절 주어 they(=these innovations)와 능동관계
transform A into B ‘A를 B로 변형시키다’
representations of reality].
󰃃 ‘재현, 표현’ 󰃤 󰃃 ‘현실‘

어휘 can do nothing but+동사원형 ‘~할 수밖에 없다’


= cannot help 동명사 = cannot but 동사원형 = cannot help[choose] but 동사원형
= have no (other) choice[option] but to부정사 = have no alternative[other way] but
to부정사 =be forced[obliged, impelled, compelled, urged] to부정사

해석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그것들은 영화 제작자와 관객을 영화의 환상적인 차원에서


멀어지게만 할 수 있을 뿐이어서, 잠재적으로 영화를 현실의 재현을 위한 단순한
전달 장치로 변형시켰다.

5
[부사절] 󰃃 ‘비현실주의’ (형용사구)
[As long as the irrealism (of the silent black and white film)
~하는 동안 S1 󰃤 ‘무성 흑백 영화’
predominate ‘지배하다’ ↱=일반적인 사람(관객) 󰀳󰃰 ‘영화의’
predominated,] one could not take filmic fantasies for
V1 S V O 󰃤
representations of reality. (mis)take A for B ‘A를 B로 생각하다’
현실의 재현
빈칸 추론

어휘 as[so] long as+S+V ‘~하는 한’ = in so[as] far as S+V

해석 무성 흑백 영화의 비사실주의가 지배하는 동안은 영화적 환상을 현실의 재현으로


생각할 수 없었다.
▌ Grammar✚ 6

분사구문 관련 현재분사(destroying)의 이해
thereby destroying 이하의 분사구문은 구조상
6 두 가지 이해가 가능하다. ‘소리와 색채는 ~ 위
협했고, 그것에 의해 ~ 파괴했다.’라고 이해하
연결어 (무성 흑백 영화의 비사실주의가 지배하는 동안은 면 다음과 같이 전환된다.
영화적 환상을 현실의 재현으로 생각할 수 없었지만~)
본문 전환 But sound and color threatened ~,
↱앞 문장의 ‘무성 흑백 영화’와 대비됨 󰀳threaten ‘위협하다’ 󰀳 such+a(n)+󰃃
and thereby (they) destroyed ~
But sound and color threatened to create just such an illusion,
= But sound and color threatened ~, and
󰃥 S V O O1 ‘그러한 착각’ (they) thereby destroyed ~
[분사구문]= and thereby (they) destroyed ~ =‘관객들이 영화적 환
(부사 thereby는 절 앞과 중간 모두 가능하다.)
[thereby destroying the very essence of film art]. 상을 현실에 대한 묘
사로 착각하는 것’
󰃌그것에 의해 현재분사 ‘바로 그 본질’ 󰃤 ‘영화 예술’ [다른 분석]
‘영화는 전적으로 환상의 예술이라는 본질’ ‘소리와 색채는 ~ 창조하겠다고, 그것에 의해
빈칸 추론
~ 파괴하겠다고 위협했다.’라고 이해하면 다음
과 같이 전환된다.
해석 그러나 소리와 색채는 바로 그러한 착각을 만들겠다고 위협하였으며, 그럼으로써 본문 전환 But sound and color threatened to
영화 예술의 본질 자체를 파괴했다. create ~, and thereby (to) destroy ~

- 2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7 ▌ Grammar✚ 7

[양태 부사절] put ‘표현하다, 말하다’ (형용사구) ‘where’에 대한 이해

[As Rudolf Arnheim puts it,] “The creative power (of the artist) 1. 장소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또는 선행사 분
󰃥 S1 V1 O1 S 󰃤 를 포함하는 관계부사 where: ‘~한 곳에서’ 석
come into play ‘작동하다’ [장소 부사절]→=in the place where[that/in which] ~ → 뒤에 완전한 절이 이어져 시간 접속사
can only come into play [where reality and the medium of when에 상응하는 장소 접속사로, 또는 ‘전

V 󰃤 ~한 곳에서 S 1 󰃥 1
S2 󰃤 2 치사구 선행사를 포함하여 장소 부사절을
↳장소부사절을 이끄는 󰃥 또는 선행사 포함 관계부사 이끄는 관계부사 ’(변형 어법 용어로 전치
사구(PP) 역할을 하는 ‘융합 관계부
representation do not coincide.”]
1
사’(fused relative adverb))로 사용되어
󰃃 ‘재현’ V (복수) coincide ‘일치하다, 동시에 일어나다’
빈칸 추론 ‘in[at, to 등] the place (where, that, in[at]
which)’를 나타낼 수 있다.
본문 전환 ~can only come into play in the
해석 Rudolf Arnheim의 말대로, “예술가의 창의적 힘은 현실과 재현의 매체가 만나지
place (where, that, in which) reality and the
않는 곳에서만 발휘될 수 있다.”
medium of representation do not coincide.
e.g. He found it where she put it.
= He found it in the place (where, that, in
which) she put it.

2. 불완전한 절이 이어지는 의문대명사, 관계부


사 where
→ where는 완전한 절이 이어지는 의문부사나
관계부사로 쓰이지만, 또한 전치사 to나
from의 목적어가 빠진 불완전한 절이 이어져
의문대명사나 관계부사로도 쓰일 수 있다.
e.g. [의문대명사]
Where are you from [O×]?
Where are you going to [O×]?
e.g.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is the place where he comes from [O×].

3. 명사절을 이끄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부사


→ ‘~한 곳’이라는 뜻으로 뒤에 완전한 절이 이
어지며, the place (where, that, in[at]
which)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뒤에 전치
사 from의 목적어가 빠진 불완전한 절이
이어져 ‘명사절을 이끄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로 쓰여 the place (where,
which, that)를 나타낼 수도 있다.
e.g. [관계부사]
This is where we used to play.
= This is the place (where, that, in[at] which)
we used to play.
e.g. [목적격 관계대명사]
This is where he comes from [O×].
= This is the place (where, which, that) he
comes from.

<알아두기>
{ } 명사구, 명사절 ▌ ( ) 형용사적 수식어 ▌ [ ] 부사적 수식어
󰃃 명사 ▌ 󰃰 형용사 ▌ 󰃌 부사 ▌ 󰃤 전치사 ▌ 󰃥 접속사 ▌ p.p. 과거분사 ▌ -ing 현재분사
S 주어 (S1, S2… 종속절의 주어) ▌ V 동사 (V1, V2… 종속절의 동사) ▌ O 목적어 (O1, O2… 종속절의 목적어)
I·O 간접 목적어 (I·O1, I·O2… 종속절의 간접 목적어) ▌ D·O 직접 목적어 (D·O1, D·O2… 종속절의 직접 목적어)
C 보어 (C1, C2… 종속절의 보어) ▌ O·C 목적격 보어 (O·C1, O·C2… 종속절의 목적격 보어)
S1 – S2 주어 병렬 (V1 – V2 동사 병렬, O1 – O2 목적어 병렬 …) ▌ 자
◯ 자동사 ▌ 타 ◯ 타동사

*이그잼포유 표기방식입니다.

- 3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Gateway


분  단어 우리말 뜻  단어 우리말 뜻

01. valuable 가치 있는 02. visible 눈에 보이는

03. hidden 숨겨진 04. reveal 드러내다

05. dimension 차원 06. fantasy 환상

07. veil 가리다 08. theorist 이론가

09. to a person 만장일치로 10. introduction 도입

11. innovation 혁신 12. realism 사실주의

13. entirely 전적으로 14. completely 완전히

15. unnecessary 불필요한 16. what’s worse 설상가상으로

can do nothing but+


17. ~할 수밖에 없다 18. potentially 잠재적으로
동사원형

19. transform 변형시키다 20. mere 단순한

21. representation 재현, 표현, 묘사 22. predominate 지배하다

23. filmic 영화의 24. illusion 착각, 환상

25. threaten 위협하다 26. come into play 작동하다

27. coincide 일치하다 28. *decry 공공연히 비난하다

29. **fantasmatic 환상의

Gateway 다음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As long as the irrealism of the silent black and white film
predominated, one could not take filmic fantasies for representations of
reality. [정답] ④
[소재] 기술 혁신이 영화적 환상에 미친 영향
[해석] 영화는 우리 현실의 숨겨진 주요 특성을 보
Cinema is valuable not for its ability to make visible the hidden
이게 만드는 능력 때문이 아니라 현실 자체가 가리
outlines of our reality, but for its ability to reveal what reality itself
고 있는 것, 즉 환상의 차원을 드러내는 능력 때문
veils — the dimension of fantasy. ( ① ) This is why, to a person, the 에 가치가 있다. 이것이 최초의 위대한 영화 이론가
first great theorists of film decried the introduction of sound and other 들이 영화를 사실주의 쪽으로 밀어붙였던 소리와
technical innovations (such as color) that pushed film in the direction (색채와 같은) 그 밖의 다른 기술 혁신의 도입을 이
구동성으로 공공연히 비난한 이유이다. 영화는 전적
of realism. ( ② ) Since cinema was an entirely fantasmatic art, these
으로 환상의 예술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혁신은 완
innovations were completely unnecessary. ( ③ ) And what’s worse, they
전히 불필요했다.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그것들은 영
could do nothing but turn filmmakers and audiences away from the 화 제작자와 관객을 영화의 환상적인 차원에서 멀
fantasmatic dimension of cinema, potentially transforming film into a 어지게만 할 수 있을 뿐이어서, 잠재적으로 영화를
mere delivery device for representations of reality. ( ④ ) But sound 현실의 재현을 위한 단순한 전달 장치로 변형시켰
다. 무성 흑백 영화의 비사실주의가 지배하는 동안
and color threatened to create just such an illusion, thereby destroying
은 영화적 환상을 현실의 재현으로 생각할 수 없었
the very essence of film art. ( ⑤ ) As Rudolf Arnheim puts it, “The
다. 그러나 소리와 색채는 바로 그러한 착각을 만들
creative power of the artist can only come into play where reality and 겠다고 위협하였으며, 그럼으로써 영화 예술의 본질
the medium of representation do not coincide.” 자체를 파괴했다. Rudolf Arnheim의 말대로, “예
술가의 창의적 힘은 현실과 재현의 매체가 만나지
* decry 공공연히 비난하다 ** fantasmatic 환상의
않는 곳에서만 발휘될 수 있다.”

- 4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1 지


Our Desire to Affiliate with Others and Efforts to 석
Overcome Social Isolation
(다른 이들과 관계를 맺으려는 우리의 욕구와 사회적 고립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Flow Check
내용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관계를 지향하는 동물이며 고립을 극복하기 위해 관
계 지향을 어렵게 하는 상황에서도 인터넷, 이메일, 전화에 힘입어 이동하 인간은 관계를 지향하는 동물
→ 인터넷, 이메일, 전화 같은 모든 장치에서 관계
는 생활 방식에 적응해 왔다.
를 열망하고 추구함 → 멀리 떨어져 있어도 고
립을 극복할 수 있는 생활방식에 적응해 옴
1 도입 (1~2)
서술형 대비
take ~ for granted ‘~을 당연하게 여기다’ 살면서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것
󰀳가목적어 {진목적어 역할의 명사절1} → 우리의 자녀들은 자라면서 우리와 멀어지게
We take it for granted {that our children will grow up and 될 것이고 손자들은 우리와 다른 도시에서 살
S V O O·C 󰃥 S1 V11 󰃌 󰃥 게 될 것이며, 우리가 살면서 몇 번 어쩌면
{진목적어 역할의 명사절2} 󰀳󰃃 ‘손자’ 아주 여러 번 직업을 바꾸게 되리라는 것을
grow away}, {that our grandchildren will live in different cities 당연하게 여김
1 1 1 → 직업을 바꾸면서 사는 장소와 친구들도 보
V2 󰃌 󰃥 S V 󰃤 다른 도시
’포함’이나 ‘제외’를 나타내는 전치사(from) 뒤에서는 통 바꾸리라는 것을 당연하게 여김
대명사와 재귀대명사
{진목적어 역할의 명사절3} ↱a little(x) ⬇
둘 다 가능함
from ourselves}, and {that we will change jobs at least a few or 전개 (3~4)
󰃤 재귀대명사 󰃥 󰃥 S1 V1 O1 최소한 몇 번의 󰃥
이로 인해 확대가족을 잃고, 뒤에 남겨 두고 떠
↳=us 󰀳a few와 many가 수식하는 공동 명사
나온 가족을 대체하기 위해 찾았던 그 친구들
perhaps many times in our lives}. 을 잃음
󰃌 아마도 󰃰 많은 󰃤

어휘 take A for granted ‘A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다 cf) take A for B ’A를 B로 여기다‘ 반전 (5)
❤ 주제문 그러나 인간은 관계를 지향하는 동
해석 우리는 우리의 아이들이 자라면서 멀어지게 될 것이고, 우리의 손자들이 우리와 물로서, 생물학적으로 무리에서 너무 멀리 떨
다른 도시에서 살게 될 것이며, 우리가 살면서 적어도 몇 번 혹은 어쩌면 아주 어져 삶을 보내도록 되어 있지 않음
여러 번 직업을 바꾸게 되리라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결론 (6~7)
우리가 공상의 세계, 예술, 이동하는 생활방식
이 일으키는 사회적 고립을 극복하는 방법
2
→ 우리가 발명한 모든 장치에서 관계를 열망
󰀳가목적어 {진목적어 역할의 명사절} 하고 추구함
We also take it for granted {that [with such job changes,] we → 인터넷, 전화, 이메일 통신에 힘입어, 우리는
S 󰃌 또한 V O O·C 󰃥 󰃤 󰃰 S1 그러한 생활 방식에 적응함
󰃌 보통 󰀳will에 이어지는 동·원 (where·that·in which가 생략된 관계사절) e.g. 주말부부와 LDRs, 곧 장거리 연애
will usually also change {the place (we live)} and {the friends (we (long-distance romances)를 당연하게 받아들이
V1조동사) 󰃌 또한 (+동·원) O11 S2 V2 󰃥 O12 S2 기 시작함

have)}. {명사구1}→change의 목적어 (who(m)·that이


change의 목적어←{명사구2} 생략된 관
V2 [O2×]
계사절)

해석 우리는 또한 그렇게 직업을 바꾸면서 우리가 사는 장소와 우리가 가진 친구들도


보통은 바꾸리라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지칭 (=우리의 아이들과 손자들이 우리와 멀어져 살게 될


3 것이고 우리도 살면서 직업을 당연히 몇 번씩 바꾸게 될 것
이고, 이에 따라 사는 장소와 친구들도 바꾸게 되는 이동성)
󰀳~이 원인이 되어, ~ 때문에 󰀳‘확대된’ →(수식 대상과 수동관계)
With all this mobility, we lose our extended families.
󰃤 ‘이동성’ S V O

해석 이 모든 이동성으로 인해, 우리는 확대가족을 잃는다.

- 5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4 who(m)·that 생략 ‘대체하기 위해’ ▌ Grammar✚ 1 2


지 ∨

And then we lose those friends ( we had found [to replace 가목적어 it

분 그러고는 S V O S1 V1 [O1x] to부정사 5형식의 목적어는 명사(구, 절)이 될 수 있는데,


석 (과거분사구)→the families 수식 (관계사절) [부사적 용법의 명사절이 목적어가 된 경우에는 가목적어 it을
the families (left behind)]). to부정사구] ‘목적’ 사용한다.
O2 과·분 󰃌 leave ~ behind ‘뒤에 남겨 두다’ e.g. [목적어가 명사구인 경우]
↳수식 대상(the families)과 수동관계 I took your nod as a sign of yes.
(나는 네가 고개를 끄덕이는 것을 ‘예스’의 표
해석 그러고는, 뒤에 남겨 두고 떠나온 가족을 대체하기 위해 우리가 찾았던 그 친구들
시로 생각했다.)
을 잃는다. e.g. [목적어가 명사절인 경우]
Don’t take it for granted that I can always
가목적어 진목적어(that절)
5 help you.
(내가 항상 너를 도울 수 있다고 당연히 생각
연결어 (우리의 이동하는 생활방식으로 인해 확대가족을 잃고,
하지 마라.)
떠나온 가족을 대치하기 위한 친구들도 잃지만~) ↱󰃌 ‘생물학적으로
Yet humans are affiliative animals — ∧ biologically not meant
[참고] 목적어가 길고 그 뒤로 오는 부사나 보
그러나 S V C humans are 생략 󰃌 p.p.
be meant to부정사 ~ 어가 짧을 때 목적어를 대신하여 가목적어 it을
대시로 affiliative animals에 대한 부연설명
하기로 되어 있다 쓰고 부사 또는 보어 다음에 긴 진목적어를 쓴
to spend their lives too far from the pack.
다. 그러나, 현대 영어에서는 to부정사가 목적
+to부정사 O1 너무 멀리 떨어져 ‘무리’
어일 때 가목적어 it을 쓰지만, 다른 명사구/절
* affiliative 관계를 지향하는
목적어일 때는 대부분 그냥 뒤로 이동시키기도
해석 그러나 인간은 관계를 지향하는 동물로서, 생물학적으로 무리에서 너무 멀리 떨어 한다. (이 경우 타동사와 목적격 보어 혹은 부
사구간의 결합력이 강해 하나의 표현처럼 보이
져 자신의 삶을 보내도록 되어 있지 않다.
기도 한다.)
e.g. Make (it) sure that you be on time

6 tomorrow. (내일 시간을 꼭 지켜야 한다는 것


long for ‘~을 열망하다’ (affiliation=) 지칭 앞 절에 대한 부연설명 연결
을 명심하라.)
We long for affiliation, we seek it — [in fantasy], [in art], and [in → 가목적어 it을 안 쓸 수도 있는데, 이 경우
S V 󰃤 ‘관계, 제휴’ S V O 3개의 부사구가 A, B, 󰃥 󰃤 make sure를 ‘~을 확실히 하다’라는 의미의
등위접속사 and 역할 and C의 형태로 연결됨
타동사구처럼 간주한 하나의 표현처럼 보이
(관계사절)→all the devices 수식
기도 한다.
that 생략 (선행사에 all이 포함되어 that이 which보다 훨씬 선호됨)
all the devices ( we have invented [to overcome the social
∨ e.g. They take (it) for granted we have no
possible motive for doing such a thing.
S1 V1 [O1×] ‘극복하기 위해’ 󰃰 ‘사회적인’
(그들은 우리가 그런 일을 할 동기가 있을 가
󰃃 ‘고립’ (관계사절)→the social isolation 수식 generate ’일으키다, 생성하다‘
능성이 없다는 것을 당연시 여긴다.)
isolation (that our mobile lifestyle generates)])]. → ‘take+목적어+for granted’라는 표현에서 목
O2 목·관 S3 V3 [O3×] 적어에 해당하는 we 이하의 명사절이 for
granted 뒤로 이동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
해석 공상의 세계에서, 예술에서, 그리고 우리의 이동하는 생활 방식이 일으키는 사회 도 가목적어 it의 여부에 관계없이 take for
적 고립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가 발명한 모든 장치에서 우리는 관계를 열망하고, granted를 하나의 타동사구로 생각하는 것
그것을 추구한다. 이 가능하다. 단, 대명사 목적어일 경우에
는, take it/him/them for granted로 쓴다.

7 [분사구문]→being fueled ~ fuel ‘연료를 공급하다, 자극하다’


So now, [fueled by Internet, telephone, and e-mail
그래서 이제 과·분 󰃤 󰃥 (전치사 by의 목적어인 명사(구)가
‘A, B, and C’의 구조로 병렬 연결됨)
↳주절의 주어 we와 수동관계 p.p.
󰀳adapt to ‘~에 적응하다’
communications,] we have adapted to that lifestyle and have
통신 S V1(현재완료) 󰃤 그러한 생활 방식 󰃥
take ~ for granted ‘~라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다’
begun to take for granted commuting spouses, and “LDRs” —
V2(현재완료) O O·C1 O11 ‘주말 부부’ 󰃥 O12
long-distance romances. 1
‘take O for granted’에서 O 가 1 “LDRs”과
길어서 O·C1와 위치가 바뀜 동격어구 연결
‘장거리 연애’
어휘 adapt v. ◯
자 ~에 적응하다(to) ◯
타 적응하다·시키다, (책·연극 등을) 각색하다

cf) adopt v. 채택‧입양하다 ≠ adept a. 숙련된, 정통한

해석 그래서 이제 인터넷, 전화, 이메일 통신에 힘입어, 우리는 그러한 생활 방식에 적


응했고 주말부부와 LDRs, 곧 장거리 연애(long-distance romances)를 당연하게 받
아들이기 시작했다.

- 6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1


 단어 우리말 뜻  단어 우리말 뜻 분

01. take ~ for granted ~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다 02. mobility 이동성

03. extended family 확대가족 04. replace 대체하다

05. long for ~을 열망하다 06. affiliation 관계, 제휴

~하기로 되어 있다,
07. biologically 생물학적으로 08. be meant to do
~하지 않으면 안 되다

09. pack 무리 10. fantasy 공상의 세계

11. device 장치 12. overcome 극복하다

13. isolation 고립 14. generate 일으키다

15. fuel 활력을 불어넣다, 자극하다 16. adapt 적응하다

17. commuting spouses 주말부부 18. * affiliative 관계를 지향하는

[정답] ④
[소재] 인간의 관계 지향성
[해석] 우리는 우리의 아이들이 자라면서 멀어지게
될 것이고, 우리의 손자들이 우리와 다른 도시에서
살게 될 것이며, 우리가 살면서 적어도 몇 번 혹은
어쩌면 아주 여러 번 직업을 바꾸게 되리라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우리는 또한 그렇게 직업을 바꾸
1.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면서 우리가 사는 장소와 우리가 가진 친구들도 보
통은 바꾸리라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이 모든 이
Yet humans are affiliative animals — biologically not meant to spend
동성으로 인해, 우리는 확대가족을 잃는다. 그러고
their lives too far from the pack. 는, 뒤에 남겨 두고 떠나온 가족을 대체하기 위해
우리가 찾았던 그 친구들을 잃는다. 그러나 인간은
관계를 지향하는 동물로서, 생물학적으로 무리에서
We take it for granted that our children will grow up and grow away,
너무 멀리 떨어져 자신의 삶을 보내도록 되어 있지
that our grandchildren will live in different cities from ourselves, and 않다. 공상의 세계에서, 예술에서, 그리고 우리의 이
that we will change jobs at least a few or perhaps many times in our 동하는 생활 방식이 일으키는 사회적 고립을 극복
lives. ( ① ) We also take it for granted that with such job changes, we 하기 위해 우리가 발명한 모든 장치에서 우리는 관

will usually also change the place we live and the friends we have. 계를 열망하고, 그것을 추구한다. 그래서 이제 인터
넷, 전화, 이메일 통신에 힘입어, 우리는 그러한 생
( ② ) With all this mobility, we lose our extended families. ( ③ ) And
활 방식에 적응했고 주말부부와 LDRs, 곧 장거리
then we lose those friends we had found to replace the families left 연애(long-distance romances)를 당연하게 받아
behind. ( ④ ) We long for affiliation, we seek it — in fantasy, in art, 들이기 시작했다.
and in all the devices we have invented to overcome the social [Solution Guide]
isolation that our mobile lifestyle generates. ( ⑤ ) So now, fueled by 주어진 문장은 인간이 관계를 지향하는 동물이라는
내용인데, 연결어 Yet으로 보아 그 앞에는 관계 지
Internet, telephone, and e-mail communications, we have adapted to
향성을 어렵게 하는 상황이 언급되어야 한다. 또한,
that lifestyle and have begun to take for granted commuting spouses, 주어진 문장 다음에는 변화된 상황에서도 관계를
and “LDRs” — long-distance romances. 지향하는 인간의 구체적인 생활 방식이 언급되는

* affiliative 관계를 지향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④이다.

- 7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지 Exercise 02


석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tate of Anxiety
(불안 상태의 요인이 되는 요소들)

내용 불안의 근본 원인은 사람마다 다양하지만 불안감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과 Flow Check


거의 고통스러운 기억, 실직과 돈 문제와 걸린 현재의 삶, 심각한 병이나 우 불안의 근본 원인
울증 같은 것들이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 과거의 기억 또는 현재의 상황, 심각한 병이
불안을 야기할 수 있음

도입 (1~3)
1 differ ‘다르다’
사람마다 다른 불안의 근본 원인
The root cause of anxiety differs from person to person. → 정확히 무엇이 불안을 야기하는지 누구도
S 󰃤 󰃃 불안 V ‘사람마다’
알지 못함
→ [반전] 그러나 궁극적으로 불안 상태의 원인
해석 불안의 근본 원인은 사람마다 다르다. 에는 몇 가지 다른 요인들과 관련되어 있음

설명 (4~8)
2 연결어 불안의 근본원인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사실은~ {간접의문문}→knows의 목적어 불안을 일으키는 몇 가지 요인

In truth, no one knows precisely {what causes anxiety}. [요인 1] 과거, 어린 시기의 고통스러운 경험
1 1 → 어린 시절의 고통스러운 경험은 나이가 들
사실 S V 󰃌 정확히 의문사 V O
어서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음
[요인 2] 현재 삶의 상황
해석 사실, 정확히 무엇이 불안을 야기하는지 누구도 알지 못한다.
→ e.g. 실직 상태이거나, 금전적 문제가 있거
나, 혹은 가까운 누군가를 잃었을 때, 불안
의 정도가 높아질 수 있음
3 [요인 3]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건강 문제
→ e.g. 중병을 앓고 있거나 우울증과 같은
연결어 (정확히 무엇이 불만을 야기하는지 누구도 알지 못하지만)
심리적 문제를 겪고 있을 때
be involved ‘관련되다’ (관계사절)
However, several different factors are involved (that ultimately
그러나 S V(수동) 주·관 󰃌궁극적으로
lead to ‘~을 초래하다’ ↳=which
lead to a state of anxiety).
V1 󰃤 ‘불안 상태’

해석 그러나 궁극적으로 불안 상태의 원인이 되는 몇 가지 다른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다.

4 ↱one of+복수명사 ↱‘과거의 경험’ (전치사구)


One of these includes past experiences or experiences (from ▌ Grammar✚ 4

S(단수) V(단수) O1 󰃥 O2 󰃤 one of+복수명사 ‘~들 중의 하나’

a young age). 대명사로 사용되는 one은 수사 개념의 영향을


어린 시기 받아 ‘한 개/사람으로서 같은 부류‘를 뜻한다.
따라서 ’one of+복수명사‘의 ’~들 중의 하나‘라
는 표현에서 one을 단수로 취급하여 동사 또
해석 그 중 하나는 과거의 경험이나 어린 시기의 경험을 포함한다.
한 단수로 수일치를 시킨다.

5
such as의 목적어인 명사(구)가
‘고통스러운 경험’ (형용사구) ‘A, B, C, or D’의 구조로 병렬 연결됨
Painful experiences as a child, (such as abuse, neglect, the loss
S 󰃤 ~로서 ~와 같은 ’학대’ ’방임’ 󰃃 ’죽음’
of a parent, or bullying,) can lead to anxiety in later life.
󰃤 󰃥 ‘약자 괴롭히기’ V 󰃤 󰃃 ‘불안’ ‘나이가 들어서’

해석 학대, 방임, 부모의 사망, 약자 괴롭히기와 같은 어린 시절의 고통스러운 경험은


나이가 들어서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 8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6 연결어 불안의 요인들 중 하나로 어린 시절의


고통스러운 경험이 나이가 들어서 불안으로 이 지
어질 수 있으며 또한 ~ 문
󰃰 ‘현재의’ ‘상황’ 󰃌 ‘또한’ ‘불안’ 분
Your current life situation can also cause anxiety. 석
S V O
어휘 current a. 현재의, 지금의, 통용되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n. (강물·바닷물 등의) 흐름, 해류, 물살, (공기의) 흐름, 기류, 전류

해석 현재 삶의 상황 또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부사절(조건)] ‘실직 중인’ ‘금전적 문제’


[If you are out of work, have money issues, or have lost
󰃥 S1 V11 C1 V12 O1 󰃥 V13(현재완료)
(형용사구)
someone (close to you),] your anxiety levels may rise.
O1 ~와 가까운 S V

어휘 rise-rose-risen-rising v. ㉶ 오르다 n. 상승, 증가, 출세, 봉기, 발생


≠ raise-raised-raised-raising v. ㉹ 올리다, 키우다, 모금하다, 제기하다 n. 인상

해석 만약 실직 상태이거나, 금전적 문제가 있거나, 혹은 가까운 누군가를 잃었을 때,


불안의 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실직 상태이거나 금전적 문제가 있거나, 연결어


8
가까운 누군가를 잃었을 때와 같이 현재의 삶의 ▌ Grammar✚ 8
상황이 불안을 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
dash(대시)의 용법
󰃰 ‘신체적’ 󰃰 ‘정신적인’ 󰃌 ‘또한’
Physical or mental health problems can also lead to anxiety — 1. 특히 비격식체에서 흔히 쓰이는 ‘대시(—)’는
S V 󰃤 󰃃 ‘불안’ 콜론이나 세미콜론, 괄호와 같은 역할을 한다.

[시간 부사절]→‘~할 때’ 앞의 절의 상황에 대한 예시 연결 e.g. There are three things I can never

for example, [when you are living with a serious illness or remember — names, faces, and I’ve forgotten
the other. 내가 절대 기억하지 못하는 세 가지
예를 들어 󰃥~할 때 S1 V1(be+-ing1) 󰃤 심각한 질병 󰃥
가 있는데 이름과 사람 얼굴, 그리고 나머지
↱living과 병렬 tackle ‘(힘든 문제와) 씨름하다’
하나는 잊어버렸다.
tackling a psychological issue (such as depression)].
e.g. We had a great time in Greece — the
(+-ing2) 심리적인 문제 ~와 같은 󰃃 ‘우울증’
kids really loved it. 우리는 그리스에서 즐거운
(형용사구)
시간을 보냈다. 아이들이 정말 좋아했다.

해석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건강 문제 또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는데, 예컨대 중병을 2. 추가로 내용을 덧붙일 때도 사용한다.
안고 살고 있거나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을 때 그러하다. We’ll be arriving on Monday morning — at
least, I think so. 월요일 아침에 도착할 거예
요. 늦어도 말이죠.

3. 갑작스럽고 놀라운 정보를 전할 때도 대시


를 쓴다.
And then we met Joseph — with Lisa, believe
it or not! 그러고 나서 조셉을 만났어. 안 믿을
지 모르겠지만 리사와 함께 있었다니까!

- 9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2


분  단어 우리말 뜻  단어 우리말 뜻
석 야기하다, 초래하다
01. cause 02. anxiety 불안
근원, 원인

03. precisely 정확히 04. involved 관련된, 연루된

05. ultimately 궁극적으로 06. lead to ~을 초래하다

07. include 포함하다 08. painful 고통스러운

09. abuse 학대 10. neglect 방임

11. loss 죽음 12. bullying 약자 괴롭히기

13. current 현재의 14. out of work 실직 중인

15. tackle (일이나 문제 따위와) 씨름하다 16. psychological 심리적인

17. depression 우울증

[정답] ④
[소재] 불안의 근본 원인
[해석] 불안의 근본 원인은 사람마다 다르다. 사실,
정확히 무엇이 불안을 야기하는지 누구도 알지 못
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불안 상태의 원인이 되는
몇 가지 다른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다. 그 중 하나
2.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는 과거의 경험이나 어린 시기의 경험을 포함한다.

Your current life situation can also cause anxiety. 학대, 방임, 부모의 사망, 약자 괴롭히기와 같은 어
린 시절의 고통스러운 경험은 나이가 들어서 불안
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삶의 상황 또한 불안을
The root cause of anxiety differs from person to person. In truth, no 야기할 수 있다. 만약 실직 상태이거나, 금전적 문
one knows precisely what causes anxiety. ( ① ) However, several 제가 있거나, 혹은 가까운 누군가를 잃었을 때, 불
안의 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different factors are involved that ultimately lead to a state of anxiety.
건강 문제 또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는데, 예컨대
( ② ) One of these includes past experiences or experiences from a
중병을 안고 살고 있거나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
young age. ( ③ ) Painful experiences as a child, such as abuse, 제와 씨름하고 있을 때 그러하다.
neglect, the loss of a parent, or bullying, can lead to anxiety in later [Solution Guide]
life. ( ④ ) If you are out of work, have money issues, or have lost 주어진 문장은 현재 삶의 상황이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과거의 경험이나 어린 시기의 경
someone close to you, your anxiety levels may rise. ( ⑤ ) Physical or
험으로 인한 불안과 관련된 내용이 끝나고 바로 실
mental health problems can also lead to anxiety — for example, when
직, 금전 문제 등 현재의 좋지 못한 상황이 불안을
you are living with a serious illness or tackling a psychological issue 높이는 예로 이어지는 부분에서 내용의 흐름이 자
such as depression. 연스럽지 못하므로,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④이다.

- 10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3 지


Different Ideas on the Nature of Life 석
(생명의 본질에 관한 서로 다른 생각들)

내용 생명의 본질에 관해 Descartes를 포함한 철학자들은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 Flow Check
차이가 없다고 생각했지만, 자연주의자들은 무생물과는 달리 생물체는 특정 생명의 본질에 관한 상반된 의견
한 힘이 생물체를 통제한다고 믿었다. → 생물과 무생물의 차이가 없다고 생각한 철학자
들 vs. 특정한 힘이 생물체를 통제한다고 믿은
자연주의자들
1
도입 (1)
󰃃 ‘본질’ ‘생명’ 󰃃 ‘속성’ 생명의 본질(즉, 살아 있다는 것의 속성)
The nature of life, the property of being living, has always been → 항상 철학자들에게 어려운 문제였음
S 동격 S 󰃤 동명사 C1 V(현재완료)

a puzzle for philosophers.
C 󰃤 ‘철학자들’ 전개 ① (2~4)
어휘 property 속성, 특성, 재산, 자산, 소유물, 소지품 Descartes의 이에 대한 해결법
→ 그것(생명의 본질)을 무시함으로써 해결하려 함
→ 생물체란 실은 그저 기계일 뿐이라고 말함
해석 생명의 본질, 즉 살아 있다는 것의 속성은 항상 철학자들에게 어려운 문제였다.
여러 분야의 배경을 가진 다른 철학자들
→ Descartes를 따르는 경향이 있었음
→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것처
2 럼 행동함

지칭 (=생명의 본질에 관한 문제) ⬇


Descartes tried to solve it by simply ignoring it. 전개 ② (5~8)
S V O O1 󰃤 󰃌 동명사 지칭 (=생명의 본질)
반전 이것(=생물과 무생물 간의 차이가 없
by+동명사 ‘~함으로써’(수단·방법)
다는 생각)은 자연주의자를 만족시키지 못함
→살아 있는 생물체에는 무생물계에는 존재하
해석 Descartes는 그저 그것을 무시함으로써 그것을 해결하고자 했다.
지 않는 특정한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확신

→생물체의 움직임과 다른 생명의 징후들은 보
3 nothing but = only ‘오직, 그저 ~뿐인’ 이지 않는 힘, ‘활력’에 의해 통제된다는 결론
An organism is really nothing but a machine, he said. 을 내림 (행성과 별의 움직임이 Newton이
S V 󰃌 C 󰃤 중력이라고 부른 초자연적이고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통제되는 것과 같음)
→이 활력을 믿는 이들을 활력론자라고 부름
해석 생물체란 실은 그저 기계일 뿐이라고 그는 말했다.

▌ Grammar✚ 4
4 (전치사구=형용사구)
as if[as though] 가정법
other+복수명사 ↱‘철학자들’ ↱󰃤~를 지닌
‘as if+가정법’ 구문은 ‘마치 ~인 것처럼’의 의
And other philosophers, particularly those (with a background
미로 ‘실제 ~이 아니면서 …인 것처럼’의 뜻을
󰃥 S 󰃌 ‘특히’ ‘사람들’ ‘배경’
나타낸다. as if절의 동사는 be동사의 경우
in mathematics, logic, physics, and chemistry), tended to follow were가 오는 것이 원칙이나, 구어에서는 were
󰃤 ‘수학’ ‘논리학’ ‘물리학’ 󰃥 ‘화학’ V1 C(to부정사) 대신 was가 오기도 한다.
지칭 (=Descartes) [부사절] ‘마치 ~인 것처럼’ e.g. [가정법 과거] - 주절과 같은 시점
him and operated [as if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living You act as if you were a teacher. 너는 마치
O1 󰃥 V2 ~처럼 유도󰃌 V1 S1 󰃤‘~사이에’ 󰃃‘생물’ 선생님인 것처럼 행동한다.

matter생략 ↳as if+가정법 과거(과거형 동사) e.g. [가정법 과거완료] -주절보다 이전 시점



and inanimate matter]. ↳주절과 동일한 시제를 이야기함 You act as if you had been a teacher. 너는
마치 선생님이었던 것처럼 행동한다.
󰃥 󰃰‘무생물의’
as if와 as though는 직설법 상황에서 ‘실제 ~
* inanimate 무생물의
일 수도 있는 상황에서 …인 것처럼’의 뜻으로
도 쓰일 수 있다.
해석 그리고 다른 철학자들, 특히 수학, 논리학, 물리학, 화학 분야의 배경을 가지고 있
e.g. [직설법]
는 사람들은 그를 따르는 경향이 있었고, 마치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는 차이가 없
He acts as if he is a teacher. 그는 선생님인
는 것처럼 행동했다.
것처럼 행동한다.

- 11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5

연결어 (Descartes가 생명의 본질을 무시하려고 했고, 그 외 다른 철학자들도 그를 따르며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것처럼 행동했지만~)

석 󰃰대부분의 ‘자연주의자들’
But this did not satisfy most naturalists.
󰃥그러나 S V O
지칭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는 차이가 없다는 생각)
(󰀲생명의 본질에 관한, Descartes와 그를 따르는 철학자들의 생각)

해석 하지만 이것은 대부분의 자연주의자를 만족시키지 못했다.

6 󰀳convince+O(사람)+that ‘O에게 ~라는 것을 확신시키다’의 수동표현


be convinced that ‘~라고 확신하다’ ‘특정한 힘’
They were convinced {that [in a living organism] certain forces
S V(수동) 󰃥 󰃤 생물체 S1(복수)
지칭 (=자연주의자들) {명사절}→ [참고] 형용사에 이어지는 접속사 that은 전통문법
에서는 전치사구 of‧about~ 등과 대등하게 쓰
인다는 점에서 부사절 접속사로 분석도 가능)
(관계사절)→certain forces 수식
are active (that do not exist in inanimate nature)}.
V1 C1 주·관 V2(복수) 󰃤 ‘무생물계’
↳=which
어휘 be convinced that S+V ‘~을 확신하다’ cf) be convinced[assured] of+명사(구)

해석 그들은 살아 있는 생물체에는 무생물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특정한 힘이 작용한다


는 것을 확신했다.

지칭 (=자연주의자들) {명사절}→concluded의 목적어


They concluded {that, [just as the motion of planets and stars
S V 󰃥 ~처럼 S2 (단수) 󰃤 ‘행성과 별’
󰀳are (x) 󰀳주어(the motion)와 수동관계 (과거분사구)
is controlled by an occult, invisible force (called gravitation by
V2(단수) 󰃤 ‘초자연적인’ ‘보이지 않는’ ‘불리는’ 󰃃‘중력’ 󰃤
두 형용사가 콤마로 긴밀히 연결되어 명사를 수식함 ↳force와 수동관계의 p.p.
‘움직임’ other+복수명사 󰀳manifestation 󰃃 ‘징후’
Newton),] the movements and other manifestations (of life) (in
S1 󰃤 ‘생명’ 󰃤
be controlled by ‘~에 의해 통제되다’ (형용사구)
organisms) are controlled by an invisible force, vis vitalis}.
‘생물체’ V1(수동) 󰃤 ‘보이지 않는 힘’ 동격
↳주어(the movements and other manifestations)와 수동관계
** occult 초자연적인 *** vis vitalis (= vital force) 활력
어휘 manifestation (감정∙현상의) 구현(된 것), 표명, 징후, 증상, (사상 등의) 발현, 나타남,
(질병의) 발병

해석 그들은 행성과 별의 움직임이 Newton이 중력이라고 부른 초자연적이고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통제되는 것처럼, 생물체의 움직임과 다른 생명의 징후들은 보이
지 않는 힘, ‘활력’에 의해 통제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관계사절)→Those 수식 ↱was(x) ‘활력론자’


Those (who believed in such a force) were called vitalists.
S(복수) 주·관 V1 󰃤 그런 힘 V(복수) C
↳=that ‘생물체를 통제하는 (능동) call A B ‘A를 B라고 부르다’
보이지 않는 힘인 활력’ → (수동) be called ~ ‘~라고 불리다’

해석 그런 힘을 믿는 사람들은 활력론자라고 불렸다.

- 12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3


 단어 우리말 뜻  단어 우리말 뜻 분

01. property 속성, 특성 02. philosopher 철학자

03. ignore 무시하다 04. organism 생물체, 생물

05. naturalist 자연주의자 06. convinced 확신하는

07. invisible 보이지 않는 08. gravitation 중력

09. manifestation 징후, 조짐 10. vitalist 활력론자

11. * inanimate 무생물의 12. ** occult 초자연적인

13. *** vis vitalis (= vital force) 활력

[정답] ③
[소재] 생명의 본질
[해석] 생명의 본질, 즉 살아 있다는 것의 속성은
항상 철학자들에게 어려운 문제였다. Descartes는

3.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그저 그것을 무시함으로써 그것을 해결하고자 했다.
생물체란 실은 그저 기계일 뿐이라고 그는 말했다.
But this did not satisfy most naturalists. 그리고 다른 철학자들, 특히 수학, 논리학, 물리학,
화학 분야의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를 따
르는 경향이 있었고, 마치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는
The nature of life, the property of being living, has always been a
차이가 없는 것처럼 행동했다. 하지만 이것은 대부
puzzle for philosophers. Descartes tried to solve it by simply ignoring 분의 자연주의자를 만족시키지 못했다. 그들은 살아
it. ( ① ) An organism is really nothing but a machine, he said. ( ② ) 있는 생물체에는 무생물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특정
And other philosophers, particularly those with a background in 한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확신했다. 그들은 행성과
별의 움직임이 Newton이 중력이라고 부른 초자연
mathematics, logic, physics, and chemistry, tended to follow him and
적이고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통제되는 것처럼, 생
operated as if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living and inanimate 물체의 움직임과 다른 생명의 징후들은 보이지 않
matter. ( ③ ) They were convinced that in a living organism certain 는 힘, ‘활력’에 의해 통제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
forces are active that do not exist in inanimate nature. ( ④ ) They 런 힘을 믿는 사람들은 활력론자라고 불렸다.
concluded that, just as the motion of planets and stars is controlled by [Solution Guide]
생명의 본질에 관해 Descartes를 포함한 철학자들
an occult, invisible force called gravitation by Newton, the movements
은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 차이가 없다고 생각했지
and other manifestations of life in organisms are controlled by an 만, 자연주의자들은 무생물과는 달리 생물체는 특정
invisible force, vis vitalis. ( ⑤ ) Those who believed in such a force 한 힘이 생물체를 통제한다고 믿는다는 내용의 글
were called vitalists. 이다. 주어진 문장에서 this는 기계론적 철학자들의
생각을 가리키고 ③의 바로 다음 문장의 They는
* inanimate 무생물의 ** occult 초자연적인 *** vis vitalis (= vital force) 활력
활력론적 자연주의자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③이다.

- 13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지 Exercise 04


석 How We Know Things Beyond Our Senses
(우리는 어떻게 우리의 감각을 벗어난 것들을 알고 있는가)

내용 우리의 감각은 시공간적으로 매우 제한되어 있지만, 과학 또는 상식을 통해 Flow Check


그 한계를 넘어선 지식을 가지게 된다. 과학과 상식
→ 우리의 제한된 감각의 범위를 넘어선 간접적인
지식을 갖게 해줌

도입 (1)
1
우리는 직접 인지하는 것을 훨씬 넘어서는 확
{명사절}→believe의 목적어 (현재분사구) 장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음
We all believe {that we have knowledge of facts (extending far ⬇
S 모두 V 󰃥 S1 V1 O1 󰃤 현·분 ‘훨씬’
↳생략 가능 ↳facts와 수동관계 전개 ① (2)
목적격 관·대 that, that, which 생략 extend beyond ‘~의 범위를 넘어서다’ 우리 감각의 범위는 시공간적으로 심하게 제한

beyond those ( we directly perceive)}. far beyond ‘~을 훨씬 넘어’ 되어 있음
2 3 3 3 → 우리의 직접적인 지각에 의한 지식은 [1]우
‘너머에’ O S 󰃌직접 V [O ×]
리가 태어나기 이전의 사건, [2]다른 공간에서
지칭 (=facts)
지금 발생하고 있는 사건, [3]미래의 모든 사건
에는 다다를 수 없음
해석 우리는 모두 우리가 직접 인지하는 것을 훨씬 넘어 확장되는 사실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

전개 ② (3~4)
반전 ❤ 주제문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2 󰃃 ‘범위’ ↱be limited ‘제한되다’ 그런 사실들에 대한 어떤 종류의 간접적인 지
The scope of our senses is severely limited in space and time; 식을 가지고 있다고 믿음
S(단수) 󰃤 우리 감각 V(단수) 󰃌심하게 p.p. ‘시공간적으로’ e.g. 빙하가 한때 북미의 광범위한 부분을 덮
긴밀한 내용의 완전한 절 연결←세미콜론(semicolon) 고 있었다는 것, 태양이 밤에도 계속 존
즉각적인 󰀳󰃰‘지각의’ reach to ‘~에 이르다’ 재한다는 것, 조류가 내일 밀려왔다 밀
our immediate perceptual knowledge does not reach to events 려갈 것을 알고 있음
S V 󰃤1
전개 ③ (5~7)
(관계사절)→events 수식 [시간 부사절] (관계사절)
(that happened [before we were born]), to events (that are 과학과 상식의 공통점
→ 우리가 직접 검증할 수 없는 사실에 대한
주·대 V1 󰃥 이전에 S2 V2 󰃤2 (복수) 주·관 V1(복수)
지식을 포함함
↳=which reach에 이어지는 3개의 전치사구(to~)가
A, B, or C의 구조로 연결됨 → 과학은 시공간의 모든 부분에 제한 없이 적
용되는 일반적인 법칙이나 이론을 확립한다
happening now in certain other places), or to any future events.
고 자처함
-ing 󰃌 󰃤 특정한 다른 공간 󰃥 󰃤3 󰃰 ’미래의’
→ 직접 관찰한 결과를 단지 요약한 것에 지나
어휘 be born v. 태어나다 ≠ bear(-bore-borne) v. 운반하다, 지니다, 참다, 낳다, 맺다, 행동하다
지 않는 것으로 이루어진 ‘과학’은 이름에
→ bear의 과거분사 born은 by 없이 출생을 의미할 때만 사용하고 다른 경우에는 과거
분사 borne을 쓴다. 걸맞지 않을 것임

해석 우리 감각의 범위는 시공간적으로 심하게 제한되어 있어 우리의 직접적인 지각에


의한 지식은 우리가 태어나기 전에 발생한 사건이나 어떤 다른 공간에서 지금 발
생하고 있는 사건, 미래의 모든 사건에는 이르지 못한다.

3 연결어 우리의 감각이 시공간적으로 심하게 제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명사절}→believe의 목적어 󰀳󰃰 ‘간접적인’
We believe, nevertheless, {that we have some kind of indirect
S V 그럼에도 불구하고 󰃥 S1 V1
‘indirect knowledge’는 앞의
knowledge of such facts}. ‘our immediate perceptual
knowledge’와 대비됨
O1 󰃤 ‘그런 사실들’
↳(=앞 문장의 does not reach to 뒤에 이어지는 세 가지 종류의 사건들)

해석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런 사실들에 대해 어떤 종류의 간접적인 지식을 가


지고 있다고 믿는다.

- 14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4 {목적어 역할 명사절1} glacier ‘빙하’



We know {that a glacier once covered a large part of North 문
1 1 1
S V 󰃥 S 󰃌 한때 V O 분
{목적어 역할 명사절2} ↱=existing {목적어 역할 명사절3} 석
America}, {that the sun continues to exist at night}, and {that
󰃥 S1 V1 O1 󰃤 󰃥 󰃥
tide ‘조수’ continue+to부정사·동명사 know의 목적어로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이끄는 완전한 절 3개가
the tides will rise and fall tomorrow}. A, B, and C의 구조로 병렬을 이룸
S1 V1 󰃌

해석 우리는 빙하가 한때 북미의 광범위한 부분을 덮고 있었다는 것, 태양이 밤에도 계


속 존재한다는 것, 조류가 내일 밀려왔다 밀려갈 것을 알고 있다.

5 common sense ’상식’ have ~ in common ‘~을 공통으로 지니다’


▌ Grammar✚ 5
Science and common sense have at least this one thing in
콜론(:) 용법
S V 적어도 O 󰃤
즉: 콜론(→과학과 상식의 한 가지 공통점에 대한 구체적 설명 연결) (관계사절) 콜론(colon)은 보통 '목록, 동격, (완전한 절에
common: Each includes knowledge of matters of fact (that are 이어진) 인용구, 요약이나 설명'에 해당하는 구
1 나 절이 보통 소문자로, 가끔 대문자로 시작해
S(단수) V(단수) O 󰃤 (복수) 주·관 V (복수)
↳Each of them(=science and common sense) ↳=which 이어진다.

not open to our direct inspection).


󰃌 C1 󰃤 ‘우리의 직접적인 검증’

해석 과학과 상식은 적어도 다음 한 가지는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 즉, 각각은 우리가


직접 검증할 수 없는 사실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

6 연결어 (과학과 상식 각각은 우리가 직접 검증할 수 없는 사실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


다는 한 가지 공통점을 지니는데 사실상 ~)
establish ‘확립하다’↰ 일반적인 법칙이나 이론
Indeed, science purports to establish general laws or theories
사실 S V O(to부정사) O1
(관계사절)→general laws or theories 수식
(that apply to all parts of space and time without restriction).
주·관 V2 󰃤 모든 부분 󰃤~없이 󰃃 제한
↳=which ↳apply to ‘~에 적용되다’
* purport to do ~한다고 자처하다
어휘 apply v. ㉹ ~을 –에 적용하다(~ to –), ~을 –에 바르다(~ to –), ~하려고 신청하다(+to
부정사), –에 자신을 전념시키다(oneself to –) ㉶ 적용되다(to), 해당하다(to), 지원
하다(to, for), 묻다(to), 전념하다(to)

해석 사실, 과학은 시공간의 모든 부분에 제한 없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법칙이나 이론 ▌ Grammar✚ 7


을 확립한다고 자처한다. ‘~로 구성되다’라는 뜻의 표현
<능동 표현>
(전체) consist of (재료)
7 (관계사절) ↱consist of ‘~로 이루어지다’ (자동사+전치사) =(전체) comprise (재료)
A “science” (that consisted of no more than a mere summary of cf) (재료) comprise (전체) ‘~을 구성하다’
S 주·관 V1 󰃤 ‘단지~에 지나지 않는’ ‘단지’ 󰃃 ‘요약’ 󰃤 <수동 표현>
↳=which deserve ‘받을 만하다’ (전체) be comprised of (재료)

the results of direct observation) would not deserve the name. =(전체) be made up of (재료)
=(전체) be composed of (재료)
‘결과’ 󰃤 󰃰 ‘직접적’ 󰃃 ‘관찰’ V O
e.g. 그 수집품은 그림들로 구성되었다.
어휘 no more than ‘오직 ~일 뿐’(=only)
The collection consists of paintings.
cf) not more than ‘많아야, 기껏해야’(=at most);
=The collection comprises paintings.
no less than ‘자그마치, ~씩이나’(=as much as); not less than ‘적어도, 최소한’(=at least)
consist of ~ ~로 구성되다 ≠ consist in ~ ~에 있다 ≠ consist with ~ ~와 일치하다 =Paintings comprise the collection.
=The collection is comprised of paintings.
해석 직접 관찰한 결과를 단지 요약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이루어진 ‘과학’은 이 =The collection is made up of paintings.
=The collection is composed of paintings.
름에 걸맞지 않을 것이다.

- 15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4


분  단어 우리말 뜻  단어 우리말 뜻

01. extend 확대되다, 뻗어 나가다 02. perceive 인지하다, 감지하다

03. scope 범위, 능력 04. severely 심하게

05. immediate 직접적인, 즉각적인 06. perceptual 지각의

07. nevertheless 그럼에도 불구하고 08. glacier 빙하

09. tide 조류, 조수 10. common sense 상식, 양식

11. inspection 검증, 점검, 검토 12. establish 확립하다, 규명하다

13. apply to ~에 적용되다 14. restriction 제한, 제약

단지 ~에 지나지 않는, ~일
15. consist of ~으로 이루어지다 16. no more than
뿐인

17. mere 단지 ~에 불과한 18. summary 요약

19. observation 관찰 20. deserve 받을 만하다, 가치가 있다

21. * purport to부정사 ~한다고 자처하다

[정답] ②
[소재] 감각 범위 밖의 간접적 지식
[해석] 우리는 모두 우리가 직접 인지하는 것을 훨
씬 넘어 확장되는 사실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고 믿는다. 우리 감각의 범위는 시공간적으로 심하
게 제한되어 있어 우리의 직접적인 지각에 의한 지
식은 우리가 태어나기 전에 발생한 사건이나 어떤
다른 공간에서 지금 발생하고 있는 사건, 미래의 모

4.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든 사건에는 이르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
리는 그런 사실들에 대해 어떤 종류의 간접적인 지
We believe, nevertheless, that we have some kind of indirect 식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빙하가 한때 북
knowledge of such facts. 미의 광범위한 부분을 덮고 있었다는 것, 태양이 밤
에도 계속 존재한다는 것, 조류가 내일 밀려왔다 밀
려갈 것을 알고 있다. 과학과 상식은 적어도 다음
We all believe that we have knowledge of facts extending far beyond 한 가지는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 즉, 각각은 우리
those we directly perceive. ( ① ) The scope of our senses is severely 가 직접 검증할 수 없는 사실에 대한 지식을 포함
limited in space and time; our immediate perceptual knowledge does 한다. 사실, 과학은 시공간의 모든 부분에 제한 없
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법칙이나 이론을 확립한다고
not reach to events that happened before we were born, to events
자처한다. 직접 관찰한 결과를 단지 요약한 것에 지
that are happening now in certain other places, or to any future
나지 않는 것으로 이루어진 ‘과학’은 이름에 걸맞지
events. ( ② ) We know that a glacier once covered a large part of 않을 것이다.
North America, that the sun continues to exist at night, and that the [Solution Guide]
tides will rise and fall tomorrow. ( ③ ) Science and common sense 우리의 감각은 시공간적으로 매우 제한되어 있지만,
과학 또는 상식을 통해 그 한계를 넘어선 지식을
have at least this one thing in common: Each includes knowledge of
가지게 된다는 내용의 글이다. 주어진 문장에
matters of fact that are not open to our direct inspection. ( ④ )
nevertheless가 있으므로 우리가 간접적인 지식을
Indeed, science purports to establish general laws or theories that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는 내용과 반대되는 내용이
apply to all parts of space and time without restriction. ( ⑤ ) A 그 앞에 나와야 하며, 그 뒤에는 감각의 제한 범위
“science” that consisted of no more than a mere summary of the 를 벗어나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식에 관한 내용이
오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므로, 주어진 문장이 들
results of direct observation would not deserve the name.
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②이다.
* purport to do ~한다고 자처하다

- 16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5 지


Human Needs to Be in Service to Life for Long-term 석
Survival
(인간은 장기적인 생존을 위해 생명체에 봉사할 필요가 있다)

Flow Check
내용 인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호 의존적인 생물망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
인간은 지구의 생명체에 봉사해야 함
에 장기적인 생존을 위해 지구의 생명체에 대해 봉사해야 한다. → 인간의 장기적 생존을 위해 필수적임

도입 (1~2)
사람, 공동체, 그리고 생물권의 건강과 안녕은
1 서로 연결되어 있음
(형용사구)→ The health and wellbeing 수식
→ 건강한 생명 시스템 패턴의 좋은 예: 우리 몸
The health and wellbeing (of people, communities, and the (e.g. 세포는 우리가 계속 생존하여 잘 성장하
S(복수) 󰃤 󰃃 ‘공동체들’ 󰃥
도록 많은 연결망 속에서 자기 조직화를 함)
biosphere) are interlinked. 전치사 of의 목적어
인 명사(구)가 ‘A, B, ⬇
󰃃 ‘생물권’ V(수동)(복수) interlink ‘~을 서로 엮다, 연결하다’
and C’의 구조로 병
↳‘연결되다’→주어와 수동관계 전개 (3)
렬 연결됨
인간은 서로 연결되어 상호 의존하는 생물망에
해석 사람, 공동체, 그리고 생물권의 건강과 안녕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자리 잡고 있음
❤ 주제문 그렇기에 인간은 살아있는 지구라는
몸 안의 세포이고 생명체에 대해 봉사해야 함
2 ⬇
exemplify ‘~의 좋은 예가 되다’ 앞의 절에 대한 예시를 연결함 반전 (4~5)
Our bodies exemplify the patterns of healthy living systems; 그러는 대신(=생명체에 대해 봉사하는 대신)
S V O 󰃤 󰃰 ‘건강한‘ 생명 시스템 우리 종은 생물망과 전쟁을 하는 인간 군집 속
연결어 (우리의 몸은 건강한 생명 시스템 패턴의 좋은 예시가 되는데 에서 자신을 조직화하고 패턴화해 왔음
그 예시로 세포는~) cell ‘세포’ [to부정사구] [비유] 만약 이 상태가 우리 자신의 몸속에 존
for example, our cells self-organize in many networks [to keep 재한다면, 그것은 세포가 숙주와 전쟁
예를 들어 S1 V1 󰃤 많은 연결망 to부정사 중인 자가 면역 질환과 유사함
󰃰 ‘잘 성장하는, 번창하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 ‘목적’ 결론 (6~7)
us alive and thriving]. keep+O+형용사 ~ ’O가 계속 ~하게 하다’ 유한한 살아있는 행성(=지구)에서의 무한한 경
O2 O·C21 󰃥 O·C22
제 성장
→ 숙주를 죽일 때까지 통제할 수 없이 자라나
해석 우리의 몸은 건강한 생명 시스템 패턴의 좋은 예가 되는데, 예컨대 세포는 우리가
는 세포인 우리 몸속 암의 논리와 유사함
계속 생존하여 잘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 많은 연결망 속에서 자기 조직화를 한다. → 몸속 세포에서 생물권까지, 살아 있는 지구
세계관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은 하나의 종
으로서 우리의 장기적 생존에 필수적임
3
주제문 & 서술형대비
= (Being) Nested in ~
↱= As they(=humans) are nested in ~ interconnected, interdependent
가 수식하는 공동명사
[분사구문]→주절에 대한 이유의 분사구문

[Nested in an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ent web of life,]
과·분 󰃤 󰃰 서로 연결된 󰃥 󰃰 상호 의존적인 ‘망’ 󰃤 [Culture Note]
↳ ‘자리잡은’ (주절의 주어 humans와 수동관계의 p.p.)
• living system(생명 시스템) 환경과 상호 작용
nest ‘둥지를 틀다, 자리잡다’ (형용사구)→ cells 수식 을 유지하며 개방적인 자기 조직화의 생명체
humans are similarly cells (in the body of a living Earth), and • self-organization(자기 조직화) 처리 기능을
S V1 󰃌 마찬가지로 C 󰃤 󰃃 ‘몸’ 󰃤 ‘살아 있는 지구’ 󰃥 높이기 위해 정보 처리계가 과거 경험의 기억
󰀳주어 humans에 이어짐 과 외부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자발적으로
thus need to be in service to life. 시스템 내부의 조직을 개조하고 변경해 가는
따라서 V2 O 󰃤 ‘봉사’ 󰃤 ‘삶’ 일
be in service ‘봉사하다, 일하다’

해석 서로 연결되어 상호 의존하는 생물망에 자리 잡고 있으므로, 인간은 마찬가지로


살아 있는 지구라는 몸 안에 있는 세포이고 그렇기 때문에 (지구의) 생명체에 대
해 봉사해야 한다.

- 17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4 ▌ Grammar✚ 2
지 주어 species에 동사(has~)를 단수로 수일치시킨 것으
연결어 (지구의 생명체에 대해 세미콜론(;) 용법의 정리
문 로 보아 단수로 쓰인 species이므로 itself가 쓰임↴
봉사하는 대신에~)
분 have(x) 현재완료(계속) 󰀳S(our species)와 동일 1. 완전한 절에, 소문자로 시작하는 완전한 절
석 Instead, our species has organized and patterned itself in 을 연결한다.
󰃌 대신에 S(단수) V(has+과·분1) 󰃥 과·분2 공유O 󰃤 e.g. It is a fine idea; let us hope that it is
󰃃 species going to work. 그거 좋은 생각이네요.
(단·복수 동형) (관계사절)→human communities를 수식
human communities (that are at war with the web of life)! 효과가 있기를 희망해 봅시다.
2. 소문자의 접속부사(구)가 쉼표로 앞에 연결
인간 군집 주·관 V1 󰃤 전쟁 󰃤 생물망
↳=which at war with ‘~과 전쟁 중인’ 된 완전한 절을 연결한다.
e.g. He was late for the test; however, he

해석 그러는 대신 우리 종은 생물망과 전쟁을 하는 인간 군집 속에서 자신을 조직화하 finished it in time. 그는 시험에 늦었다.
하지만, 그는 그것을 제때에 끝냈다.
고 패턴화해 왔다!
3. 소문자의 완전한 절에서 중복된 부분을 생
략해 연결시킬 때도 세미콜론을 쓸 수 있다.
e.g. The semicolon is a stop sign; the
5 지칭 (=우리 몸의 세포들이 자신들을 조직화하고 colon, a green light. 세미콜론은 멈춤
[조건 부사절] 패턴화하여 우리 몸과 전쟁을 하는 상황)
신호이고, 콜론은 녹색 신호이다. =The
[If this condition existed in our own bodies,] it would be akin semicolon is a stop sign; the colon
󰃥 S1 V1 󰃤 우리 자신의 몸속 S V C (is) a green light.
an autoimmune disorder에 대한 부연설명 연결 4. 또한, 쉼표가 쓰인 나열 구조에서 더 강한
to an autoimmune disorder — cells at war with the host organism. 구분을 나타낸다. 쉼표가 앞에서 사용되었을
󰃤 자가 면역 질환 세포 ~과 전쟁 중인 숙주 때 완전한 절을 연결하는 접속사 and, but,
↳‘세포가 자신의 숙주와 싸우는 것’ or, nor 등의 앞에서도 사용된다.
* be akin to ~과 유사하다 ** host 숙주 e.g. She traveled to Seoul, Korea; San
Francisco, USA; and Kyoto, Japan. 그녀
해석 만약 이 상태가 우리 자신의 몸속에 존재한다면, 그것은 세포가 숙주와 전쟁 중인 는 한국의 서울,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자가 면역 질환과 유사할 것이다. 일본의 교토로 여행했다.

󰃰 ‘무한한’ 󰃃 ‘성장’ (형용사구=전치사구) akin to~ ‘~과 비슷한’


Infinite economic growth (on a finite living planet) is akin to
S 󰃤 ‘유한한 살아있는 행성’ V C 󰃤
(현재분사구)→cells 수식
the logic of cancer in a body: cells (growing out of control
󰃃 ‘논리’ 󰃤 ‘암’ 󰃤 세포 현·분 통제할 수 없이
[시간 부사절]→ ‘~할 때까지’ ↳‘자라나는’ → 수식 대상과 능동관계
[until they kill the host]). 콜론(:) → cancer in a body와 동격의 어구
(cell~)를 연결함
󰃥 S1 V1 O1
지칭 (=cells)

해석 유한한 살아있는 행성에서의 무한한 경제 성장은 숙주를 죽일 때까지 통제할 수


없이 자라나는 세포인 우리 몸속 암의 논리와 유사하다.

[부사구=전치사구] from ~ to … ‘~부터 …에 이르기까지’ {동명사구 주어}


[From the cells in our bodies to the biosphere,] {aligning with
󰃤 세포 󰃤 우리 몸 속 󰃤 ‘생물권’ 동명사(단수) 󰃤
󰃰 ‘필수적인, 중요한’
a living Earth worldview} is fundamental to our long-term
‘살아있는 지구 세계관’ V(단수) C 󰃤
survival as a species. ↳동명사구를 주어로 하는 본동사

󰃃 생존 󰃤~로서 ‘종’
*** align with ~에 맞추어 조정하다

해석 우리 몸속 세포에서 생물권까지, 살아 있는 지구 세계관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은


하나의 종으로서 우리의 장기적 생존에 필수적이다.

- 18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5


 단어 우리말 뜻  단어 우리말 뜻 분

01. wellbeing 안녕 02. community 공동체, 군집

03. biosphere 생물권 04. interlinked 서로 연결된

05. exemplify ~의 좋은 예가 되다 06. thriving 잘 성장하는, 번성하는

07. interconnected 서로 연결된 08. interdependent 상호 의존적인

09. species 종 10. organize 조직화하다

11. autoimmune 자가 면역의 12. disorder 질환, 장애

13. infinite 무한한 14. growth 성장

15. finite 유한한 16. out of control 통제할 수 없는

17. fundamental 필수적인, 중요한 18. long-term 장기의

19. survival 생존 20. * be akin to ~과 유사하다

21. ** host 숙주 22. *** align with ~에 맞추어 조정하다

[정답] ②
[소재] 장기적 생존을 위한 인간의 노력
[해석] 사람, 공동체, 그리고 생물권의 건강과 안녕
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의 몸은 건강한 생명
시스템 패턴의 좋은 예가 되는데, 예컨대 세포는 우
리가 계속 생존하여 잘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 많은
연결망 속에서 자기 조직화를 한다. 서로 연결되어
상호 의존하는 생물망에 자리 잡고 있으므로, 인간
은 마찬가지로 살아 있는 지구라는 몸 안에 있는
세포이고 그렇기 때문에 (지구의) 생명체에 대해 봉
사해야 한다. 그러는 대신 우리 종은 생물망과 전쟁

5.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을 하는 인간 군집 속에서 자신을 조직화하고 패턴
화해 왔다! 만약 이 상태가 우리 자신의 몸속에 존
Nested in an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ent web of life, humans 재한다면, 그것은 세포가 숙주와 전쟁 중인 자가 면

are similarly cells in the body of a living Earth, and thus need to be in 역 질환과 유사할 것이다. 유한한 살아있는 행성에
서의 무한한 경제 성장은 숙주를 죽일 때까지 통제
service to life.
할 수 없이 자라나는 세포인 우리 몸속 암의 논리
와 유사하다. 우리 몸속 세포에서 생물권까지, 살아
있는 지구 세계관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은 하나의
The health and wellbeing of people, communities, and the biosphere
종으로서 우리의 장기적 생존에 필수적이다.
are interlinked. ( ① ) Our bodies exemplify the patterns of healthy [Culture Note]
living systems; for example, our cells self-organize in many networks to • living system(생명 시스템) 환경과 상호 작용을
keep us alive and thriving. ( ② ) Instead, our species has organized 유지하며 개방적인 자기 조직화의 생명체
• self-organization(자기 조직화) 처리 기능을 높
and patterned itself in human communities that are at war with the
이기 위해 정보 처리계가 과거 경험의 기억과 외부
web of life! ( ③ ) If this condition existed in our own bodies, it would 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자발적으로 시스템 내
be akin to an autoimmune disorder — cells at war with the host 부의 조직을 개조하고 변경해 가는 일
organism. ( ④ ) Infinite economic growth on a finite living planet is [Solution Guide]
주어진 문장은 인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호 의
akin to the logic of cancer in a body: cells growing out of control
존적인 생물망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지구의 생
until they kill the host. ( ⑤ ) From the cells in our bodies to the 명체에 대해 봉사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② 다음의
biosphere, aligning with a living Earth worldview is fundamental to our 문장에서 인간이 생물망과 전쟁을 하면서 자신을
long-term survival as a species. 조직하고 형성해 왔다는 내용이 이어지고, 이는
Instead(그러는 대신에)로 시작하면서 앞의 내용과
* be akin to ~과 유사하다 ** host 숙주 *** align with ~에 맞추어 조정하다
반대되는 내용으로 추론될 수 있기 때문에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②이다.

- 19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지 Exercise 06


석 Don’t Doubt the Existence of Truth or Truthfulness
(진실과 진실성의 존재를 의심하지 마세요)

Flow Check
내용 무엇이 진실인지 알기 어렵고 때로는 진실을 알아도 그것을 말하는 것은 진실을 알기는 어렵지만 진실과 진실성은 존재함
어렵지만, 진실성은 존재한다. → 진실의 미덕은 불편할 때조차 진실을 말하는
습관임

도입 (1)
1
현대의 세속적인 사람들은 가끔 진실성에 관한
‘세속적인’ 그 어떤 언급에도 냉소적인 웃음을 지음
Modern secular persons sometimes smile cynically at any →이는 현대 사회가 진실과 진실성을 성취하기
S 󰃌 가끔 V 󰃌 냉소적으로 󰃤 어려운 것으로 만들기 때문임
[이유 부사절]

mention of truthfulness [because modern society makes truth
주장 (2~5)
󰃃 ‘언급’ 󰃃 ‘진실성’ 󰃥 왜냐하면 S1 V1 O11
그러나 여전히 ‘진실’이라는 말은 의미가 있음
↱(×) easy 󰃃 ‘성취, 성과’ make+O+O·C
→ 진실성은 진실이라고 이해하는 것을 말하는
and truthfulness difficult accomplishments]. ‘~을 …으로 만들다’
습관을 의미함
󰃥 O12 O·C1
→ 때로는 무엇이 진실인지 알기 어렵고, 때로
* secular 세속적인
는 진실을 알아도 말하기조차도 어려움
→ 그러나 이것이 진실이나 진실성의 존재를
해석 현대의 세속적인 사람들은 가끔 진실성에 관한 그 어떤 언급에도 냉소적인 웃음 부정하는 것과 같은 것은 아님
을 짓는데, 이는 현대 사회가 진실과 진실성을 성취하기 어려운 것으로 만들기 때

문이다.
뒷받침 (6~8)
냉소적인 사람조차도 진실하게 행동하고 있지
2 않은 때를 알고 있음 (즉, 자신 스스로 진실하
지 않은 때를 알고 있음, 진실성은 존재함)
연결어 (현대 사회가 진실과 진실성을 성취하기 어려운 것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현대의 세 →진실성의 미덕은 진실을 말하는 것이 불편하
속적인 사람들이 진실성에 관한 어떤 언급에도 냉소적인 웃음을 짓지만~)
거나 개인적인 편의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
But still the term “truth” has meaning. 도 진실을 말하는 습관임
그러나 ‘여전히’ S V O →이런 미덕은 [1]진실한 것이 옳고 진실성이란
우리가 되려고 하는 사람과 관련이 있다는
해석 그러나 여전히 ‘진실’이라는 말은 의미가 있다. 본능적인 의식에 달려 있으며, [2]사람의 자
아 속에 그런 의식을 만들어 냄

3 the habit of+동명사 ‘~하는 습관’ {speaking의 목적어절}


And truthfulness means the habit (of speaking {what one
󰃥 S V O 󰃤 동명사 목·관 S1
↳ 선행사 포함 관계대명사
understands to be true}). (형용사구)
‘~하는 것(들)’
V1 [O1x] O·C1 =the thing(s) (that[which])

해석 그리고 진실성은 진실이라고 이해하는 것을 말하는 습관을 의미한다.

서술형 대비
4 {주어역할 to부정사구}
Sometimes, {to know {what is true}} is difficult, and sometimes
󰃌 때로는 ‘아는 것’(단수) 의문사 V1 C1 V(단수) C 󰃥 󰃌 때로는
{간접의문문}→know의 목적어
↱가주어 {진주어 역할 to부정사구}
it is difficult even {to speak {what one knows to be true}}.
S V C 󰃌조차 ‘말하는 것’ 목·대 S1 V1 [O1x] O·C1
↳=the thing(s) (that[which])
{선행사 포함 관계사절}→speak의 목적어

해석 때로는 무엇이 진실인지 알기 어렵고, 때로는 진실이라고 알고 있는 것을 말하기


조차도 어렵다.

- 20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5

지칭 앞 문장 내용(=때로는 무엇이 진실인지 알기 어렵고, 때로는 진실이라고 알고 문
있는 것을 말하기조차도 어려운 것) the same as ‘~와 같은 분
But this is not the same as {to deny the existence of truth or 석
그러나 S V 󰃌 C 󰃤 to부정사 󰃃 ‘존재’ 󰃤 󰃃 ‘진실’ 󰃥
truthfulness}. {명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
→the same as에 의해 주어
󰃃 ‘진실성’
this와 비교되고 있는 대상

해석 그러나 이것이 진실이나 진실성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과 같은 것은 아니다.

(진실성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할
6 수 있는 것일까라고 의심하는
사람을 가리킴)
‘현재진행(be being)+형용사’는 ▌ Grammar✚ 6
평소와는 다른 지금 이 순간의
’~조차’ ‘냉소적인 사람’ {명사절}→knows의 목적어 일시적인 상태를 나타냄 be being+형용사
Even the cynic knows {when he is not being truthful}: {when 주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는 be동사의 진
S V 󰃥 S1 V1 C1 {명사절} 행형에 이어질 수 없는 것이 보통이지만, 주어
↳명사절 접속사 when (~하는 때) when절과 동격연결 가 평소에는 그렇지는 않지만 지금 이 순간 보
he is deliberately deceiving someone or hiding the truth or 이고 있는 태도나 상태를 나타낼 때는
S1 1
V (be) 󰃌 일부러 (+현·분1) O 1
󰃥 (+현·분2) O 1
󰃥 ‘be+being+형용사’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twisting it for convenience}. is에 이어져 진행형을 이루는 세 개의


e.g. [6번 문장]
1 현재분사(deceiving, hiding, twisting)가 he is not being truthful
(+현·분3) O 󰃤 󰃃 ‘편의’
등위 접속사 or로 연결됨 그는 진실하게 행동하고 있지 않다
→ 평상시와 관계없이 지금 이 순간 진실을 숨
해석 냉소적인 사람조차도 자신이 진실하게 행동하고 있지 않은 때, 즉 자신이 일부러
기는 등 진실하지 않은 태도를 보이고 있다
누군가를 속이거나 진실을 숨기거나 편의상 그것을 왜곡하고 있는 때를 안다. 는 뜻
She’s being annoying.
→ 그녀가 평소에는 그렇지 않은데, 오늘따라
7 짜증나게 하고 있다는 뜻

↱󰃃‘미덕’ (형용사구) ↱동격의 전치사 [부사절]


The virtue (of truthfulness) is a habit of telling the truth [even
S 󰃤 󰃃 ‘진실성’ V C 󰃤 동명사 O1 ~조차
지칭 (=the truth) 타
◯ serve ‘~을 제공하다‘
when it is not convenient or does not serve a personal
󰃥~할 때 S1 V1 C1 󰃥 V1
convenience].
O1
어휘 serve v. 타
◯ <음식∙음료 등>을 내다, <사람>에게 식사를 내다, (용도∙목적상) 쓸모가 있
다, 도움이 되다, (편의 등) ~을 제공하다

◯ 음식[음료]을 내다, 손님을 응대하다, <특정 용도∙목적 등>으로 쓰이다

해석 진실성의 미덕은 진실을 말하는 것이 불편하거나 개인적인 편의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도 진실을 말하는 습관이다.

8 rest upon ‘~에 달려 있다’ [부사구]


This virtue rests upon and develops [in a person’s self]
S V1 󰃤 󰃥 V2 󰃤 한 사람의 자아
{명사구}→rests upon과 develops의 공통 목적어 {진주어 역할 to부정사구}
{the instinctive sense {that it is right {to be truthful}} and {that
동격 O 󰃥 S1 V1 C1 to부정사 C2 󰃥 󰃥
{동격절1} 가주어 {동격절2}
that이 이끄는 두 개의 동격절이 and로 연 come to부정사
결되어 the instinctive sense를 부연설명함 ‘~하게 되다’ 󰀳who·that 생략
truthfulness has to do with the kind of person (∨ we come to be)}}.
S1 V1 󰃤 S2 V2 C2 [C3×]
(관계사절)→the kind
have to do with ~ ‘~와 관련 있다’ of person을 수식

해석 이런 미덕은 진실한 것이 옳고 진실성이란 우리가 되어 가는 사람의 부류와 관련이


있다는 본능적인 의식에 달려 있으며, 사람의 자아 속에 그런 의식을 만들어 낸다.

- 21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6


분  단어 우리말 뜻  단어 우리말 뜻

01. cynically 냉소적으로 02. mention 언급

03. truthfulness 진실성 04. accomplishment 성취, 성과, 업적

05. term 말, 용어 06. deny 부정하다, 부인하다

07. existence 존재 08. cynic 냉소적인 사람

09. deliberately 일부러 10. deceive 속이다

11. twist 왜곡하다, 비틀다 12. convenience 편의, 편리

13. serve ~을 제공하다 14. virtue 미덕

15. rest upon ~에 달려 있다, ~에 의존하다 16. instinctive 본능적인

17. have to do with ~과 관련이 있다 18. * secular 세속적인

[정답] ③
[소재] 진실과 진실성의 존재
[해석] 현대의 세속적인 사람들은 가끔 진실성에 관
한 그 어떤 언급에도 냉소적인 웃음을 짓는데, 이는
현대 사회가 진실과 진실성을 성취하기 어려운 것
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진실’이라는
6.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말은 의미가 있다. 그리고 진실성은 진실이라고 이

But this is not the same as to deny the existence of truth or 해하는 것을 말하는 습관을 의미한다. 때로는 무엇
이 진실인지 알기 어렵고, 때로는 진실이라고 알고
truthfulness.
있는 것을 말하기조차도 어렵다. 그러나 이것이 진
실이나 진실성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과 같은 것은
Modern secular persons sometimes smile cynically at any mention of 아니다. 냉소적인 사람조차도 자신이 진실하게 행동
하고 있지 않은 때, 즉 자신이 일부러 누군가를 속
truthfulness because modern society makes truth and truthfulness
이거나 진실을 숨기거나 편의상 그것을 왜곡하고
difficult accomplishments. But still the term “truth” has meaning. ( ① )
있는 때를 안다. 진실성의 미덕은 진실을 말하는 것
And truthfulness means the habit of speaking what one understands to 이 불편하거나 개인적인 편의를 제공하지 않는 경
be true. ( ② ) Sometimes, to know what is true is difficult, and 우에도 진실을 말하는 습관이다. 이런 미덕은 진실
sometimes it is difficult even to speak what one knows to be true. ( ③ ) 한 것이 옳고 진실성이란 우리가 되어 가는 사람의
부류와 관련이 있다는 본능적인 의식에 달려 있으
Even the cynic knows when he is not being truthful: when he is
며, 사람의 자아 속에 그런 의식을 만들어 낸다.
deliberately deceiving someone or hiding the truth or twisting it for
[Solution Guide]
convenience. ( ④ ) The virtue of truthfulness is a habit of telling the 주어진 문장의 this는 ② 바로 뒤 문장의 내용(때
truth even when it is not convenient or does not serve a personal 로는 무엇이 진실인지 알기 어렵고, 때로는 진실이
convenience. ( ⑤ ) This virtue rests upon and develops in a person’s 라고 알고 있는 것을 말하기조차도 어렵다)을 의미
하고, 진실이나 진실성이 존재한다는 주어진 문장의
self the instinctive sense that it is right to be truthful and that
내용을 ③ 바로 뒤 문장이 추가적으로 설명하고 있
truthfulness has to do with the kind of person we come to be.
다. 따라서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 secular 세속적인 곳은 ③이다.

- 22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7 지


Language Development in Bilingual Children 석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의 언어 발달)

내용 이중 언어 사용 아동들은 각 언어의 줄어든 투입량을 극복하기 위해 언어 Flow Check


를 교차해 지식을 이동할 수 있고, 언어 간섭을 경험할 수 있으며, 두 언어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의 언어 발달
는 비교적 독립적으로 발달하는 양상을 보인다. → 언어를 교차하여 지식 전달 가능, 언어 간섭
경험, 두 언어의 발달은 비교적 독립적으로 진
행됨

언어 발달 측면1 (1~2)
1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아이들은 각 언어에서
󰀳󰃰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transfer ‘이동하다, 옮기다’ 줄어든 투입량을 극복하기 위해 두 개의 언어
To some degree, bilingual children might be able to transfer 들을 교차하면서 지식을 이동할 수 있을지도
‘어느 정도는’ S V 󰃰 to부정사 모름
󰀳~와 교차하여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 → ‘목적’ e.g. 자신이 사용하는 (두 개의) 언어들 중 하
knowledge across their languages [to overcome the reduced 나에서 더 많은 단어를 알고 있는 이중 언어
O1 󰃤 O2 ‘극복하기 위해’ 줄어든(p.p.) 사용 아동들이 다른 언어에서도 더 많은 단어
를 알고 있음
input in each language]. ↳수식명사(input)와
수동 관계
‘투입량’ 󰃤 each+단수명사 ↳languages (x) ⬇

언어 발달 측면2 (3~4)
해석 어느 정도는,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은 각각의 언어에서 줄어든 투입량을 극복하기 반전 반면, 언어 간섭을 경험할 수도 있음
위해 자신이 쓰는 언어들을 교차하여 지식을 이동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e.g. 생후 16개월이 된 이중 언어 사용자가
운을 맞추는 낱말을 배울 수 있는지 조사를 한
최근 연구
2 → 서로 비슷하지 않은 언어들을 배우는 아동들
이 더 비슷한 언어들을 배우는 아동들보다
연결어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아동이 각 언어에서 줄어든
투입량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이 쓰는 언어들을 교차하여 더 나쁘게 수행했음(=더 잘 배우지 못했음)
지식을 이동시키는 예시로~) {명사절}→ found의 목적어 (관계사절)

For example, one study found {that bilingual children (who
언어 발달 측면3 (5~7)
예를 들어 S V 󰃥 S1 주·관
↳=생략 가능 ↳=that 반전 그러나, 이중 언어 사용 아동들의 실생
knew more words in one of their languages) also knew more 활 어휘량은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들이 얼마나
V2 O2 󰃤 one of+복수명사 ‘또한’ V1 비슷한지에 따라 다르지 않았음
→ 언어의 유사성이 아동들의 언어 습득의 전
words in their other language}.
1
반적인 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음
O 󰃤 자신의 다른 언어
을 시사함
→ 다른 연구에서는 이중 언어 사용 아동들의
해석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자신의 언어 중 하나에서 더 많은 단어를 알고 있는 이중 두 언어 발달이 비교적 독립적으로 진행됨
언어 사용 아동들이 자신의 다른 언어에서도 더 많은 단어를 알고 있다는 것을 을 시사함
알아냈다. e.g. 스페인과 영어를 배우는 유아들을 대상
으로 한 연구 → (스페인과 영어 중) 한 언어의
어휘량은 같은 언어에 있어서의 문법 발달은
3 예측했지만, 다른 한 언어에 있어서는 그러지
않았음 (=문법 발달을 예측하지 못했음)
연결어 (이중 언어 사용 아동들이 자신의 언어 중 하나에서 더 많은 단어를 알고 있을 때
다른 언어에서도 더 많은 단어를 알고 있다는 반면에~)
On the other hand, children might also experience language
반면에 S V 동·원
󰃃 ‘간섭’
interference. 언어 간섭(language interference)
O 이중 언어 사용자가 두 언어 간에 서로 영향을
끼쳐서 언어 사용에 혼동을 일으키는 현상
해석 반면에, 아동들은 언어 간섭을 경험할 수도 있다.

- 23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4 ▌ Grammar✚ 4
지 연결어 (아동들이 언어 간섭을 경
(현재분사구) {명사절}→investigating의 목적어 접속사 whether ‘~인지 아닌지’
문 험하는 예로~)
분 For example, [in a recent study (investigating {whether a bilingual ‘~인지 아닌지’의 뜻으로 명사절을 이끌어 주어
석 예를 들어 ‘한 최근의 연구’ ‘조사하는’ ‘~인지’=if 나 목적어 자리에 올 수도 있고, doubt와 같은
[부사구] ↳수식 대상과 능동관계 명사의 동격절을 이끌 수도 있다. 또한, ‘…이든
붙임표(hyphen)가 사용된 복합형용사 ↱(수식 대상과 능동관계) 아니든 어떻든 간에’라는 뜻의 양보의 부사절
에서 단위명사는 단수형 month 사용 ↱‘운을 맞추는’ (현재분사구) 을 이끌 수도 있다.
16-month-old could learn rhyming words})], children (learning e.g. [주어 자리] → 단수 취급
S1 (×)16-months-old V1 O1 S 현재분사 Whether it rains doesn’t matter.
수식 대상과 능동관계↲ 비가 오든 아니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
󰃰 ‘비슷하지 않은‘ ↱본동사 󰃌’더 열등하게‘ (현재분사구) = Whether it rains or not doesn’t matter.
dissimilar languages) performed worse than children (learning = Whether or not it rains doesn’t matter.
O1 V 󰃌(비교급) 󰃤 ‘배우는’ cf) whether와 같은 if가 이끄는 절은 주어로
↱󰃰(비교급) ‘언어들’ 수식 대상(children)과 능동관계↲ 사용되지 못한다.

more similar languages). e.g. [목적어 자리]


1 Do you know whether it is helpful? 그것이
O
도움이 되는지 아니?
→ doubt, ask, don’t know 등 다음에서 목적
해석 예를 들어, 생후 16개월이 된 이중 언어 사용자가 운을 맞추는 낱말을 배울 수
절을 이끌 수 있다.
있는지를 조사한 한 최근 연구에서, 비슷하지 않은 언어들을 배우는 아동들이 더
e.g. [부사절]
비슷한 언어들을 배우는 아동들보다 더 잘하지 못했다.
Whether it is true or not, we have heard it
and the perception becomes reality. 그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우리가 그것을 들었고 그런
5 인식은 현실이 된다.

연결어 (비슷하지 않은 언어를 배우는 아동들이 비슷한 언어를 배우는 아동들보다 라임을
맞추는 낱말을 더 잘 못 배웠지만~)
↱‘실생활의’ ▌ Grammar✚ 6
However, children’s real-world vocabulary sizes did not differ suggest의 용법
그러나 S V
and it[this/that] suggests ~ = which suggests ~ 1. to부정사를 취하지 않는다.
주절의 상황을 부연설명↰ suggest는 뒤에 ‘목적어+to부정사’의 형태를 취

[부사구] {간접의문문}→전치사 on의 목적어 [분사구문] 하지 않고 that절이나 동명사 구문을 쓴다.

[depending on {how similar their languages were}], [suggesting e.g. Her uncle suggested that she (should)
1 1 1 get a job in a bank. 그녀의 삼촌은 그녀에게
~에 따라 의문사 C S V 현재분사
의미상 주어와 능동관계↲ 은행에 취직하라고 제안했다.
Her uncle suggested getting a job in a bank.
{명사절}→suggesting의 목적어절 similarity ‘유사성’ ↱ 󰃰 ‘전반적인’
*Her uncle suggested her to get a job in a
{that language similarity might not affect the overall rate of
bank. (x)
󰃥 S2 V2 O2 󰃤
2. 간접목적어를 취하지 않는다.
language acquisition}]. 전치사 없이 간접목적어를 취하지 않는다.
‘언어 습득’ e.g. Can you suggest a restaurant to us?
저희에게 식당을 추천해 주시겠어요?
해석 그러나, 아동들의 실생활 어휘량은 자신의 언어들이 얼마나 비슷한지에 따라 다르 *Can you suggest us a restaurant? (x)
지 않았는데, 이는 언어의 유사성이 언어 습득의 전반적인 진도에 영향을 미치지 3. that절의 동사 형태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suggest 뒤에 나오는 that절에서 ‘~해야 한다’
라는 의미로 제안할 때 여러 가지 동사 형태를
쓸 수 있다. 주로 ‘should+동사원형’이 흔히 쓰
인다.
6 ‘연구’ {명사절}→suggests 목적어 (형용사구)
e.g. He suggests that she should get a job
Indeed, other research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in a bank.
실제로 S V 󰃥 S1(단수) 󰃤 실제 사용에서는 should는 당연히 있는 것으로
생략 가능↲
빈칸 추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should를 생략하고 ‘동
↱ proceed (x)
사원형’만 나오는 경우가 많다. suggest와 같이
bilingual children’s two languages) proceeds relatively
요구, 주장 동사로 that절 안에서 요구, 주장에
이중 언어 사용 아동들의 두 언어 V1(단수) 󰃌 ‘비교적’ 호응하는 ‘should+동사원형’을 쓰는 동사는 다
󰀲주절 동사 suggests가 ‘~해야 한다’는 당
↱dependently(x) 음과 같다.
위의 뜻이 없고 사실을 전달하고 있으므로
independently}. ‘(should)+동사원형’이 아니라 that절의 단 insist, ask, recommend, command, order,
󰃌 ‘독립적으로’ 수 주어에 수일치한 단수동사가 쓰였음 demand, propose, require …
4. 직접 제안하는 경우
I suggest …처럼 화자가 직접 제안할 경우에는
해석 실제로, 다른 연구는 이중 언어 사용 아동들의 두 언어발달이 비교적 독립적으로 대체로 should를 쓰지 않는다.
진행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 24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7

연결어 (이중 언어 사용 아동들의 두 언어는 비교적 독립적으로 발달한다는 예시로~)

[부사구] (형용사구)→a study 수식 분
For example, [in a study (of Spanish-English learning toddlers),] 석
예를 들어 󰃤 󰃤 ‘스페인어와 영어를 배우는 유아’
‘어휘량’ predict ‘예측하다’
vocabulary size (in one language) predicted grammatical
S 󰃤 (스페인어와 영어 중) 한 언어 V 󰃰 ‘문법의’
‘발달’ (형용사구=전치사구)→2개의 전치사구가 but not으로 대비됨
development (in that same language), but not (in the other
O 󰃤1 󰃥 󰃌 󰃤2 (나머지) 다른 한 언어
language). =did not predict grammatical
development
(다른 한 언어에서는 문법 발달을
예측하지 못했다)
* toddler 유아

해석 예를 들어, 스페인어와 영어를 배우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한 언어의


어휘량은 같은 언어의 문법 발달을 예측했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그러지 않았다.

- 25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7


분  단어 우리말 뜻  단어 우리말 뜻

01. bilingual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02. transfer 이동하다, 옮기다

03. reduced 줄어든, 축소된 04. input 투입량

05. language interference 언어 간섭 06. investigate 조사하다

(단어나 음절의) 운(율)을 맞


07. rhyme 08. rhyming word 운(율)을 맞추는 낱말, 운자
추다

09. depending on ~ ~에 따라 10. affect 영향을 미치다

11. overall 전반적인 12. acquisition 습득

13. proceed 진행되다 14. relatively 비교적

15. independently 독립적으로 16. predict 예측하다

17. grammatical 문법의 18. * toddler 유아

[정답] ⑤
[소재]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의 언어 발달
[해석] 어느 정도는,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은 각각의
언어에서 줄어든 투입량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이
쓰는 언어들을 교차하여 지식을 이동할 수 있을지
도 모른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자신의 언어 중
7.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하나에서 더 많은 단어를 알고 있는 이중 언어 사

Indeed, other research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bilingual 용 아동들이 자신의 다른 언어에서도 더 많은 단어
를 알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반면에, 아동들은
children’s two languages proceeds relatively independently.
언어 간섭을 경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생후 16
개월이 된 이중 언어 사용자가 운을 맞추는 낱말을
To some degree, bilingual children might be able to transfer 배울 수 있는지를 조사한 한 최근 연구에서, 비슷하
지 않은 언어들을 배우는 아동들이 더 비슷한 언어
knowledge across their languages to overcome the reduced input in
들을 배우는 아동들보다 더 잘하지 못했다. 그러나,
each language. ( ① ) For example, one study found that bilingual
아동들의 실생활 어휘량은 자신의 언어들이 얼마나
children who knew more words in one of their languages also knew 비슷한지에 따라 다르지 않았는데, 이는 언어의 유
more words in their other language. ( ② ) On the other hand, children 사성이 언어 습득의 전반적인 진도에 영향을 미치
might also experience language interference. ( ③ ) For example, in a 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제로, 다른 연
구는 이중 언어 사용 아동들의 두 언어발달이 비교
recent study investigating whether a bilingual 16-month-old could learn
적 독립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
rhyming words, children learning dissimilar languages performed worse
어, 스페인어와 영어를 배우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than children learning more similar languages. ( ④ ) However, 연구에서, 한 언어의 어휘량은 같은 언어의 문법 발
children’s real-world vocabulary sizes did not differ depending on how 달을 예측했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그러지 않았다.
similar their languages were, suggesting that language similarity might [Solution Guide]
주어진 문장은 이중 언어 사용 아동에게 두 언어의
not affect the overall rate of language acquisition. ( ⑤ ) For example,
발달이 비교적 독립적으로 진행된다는 내용으로, 언
in a study of Spanish-English learning toddlers, vocabulary size in one
어의 유사성이 언어 습득의 전반적인 진도에 영향
language predicted grammatical development in that same language, 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는 ⑤의 바로 앞 문장의 내
but not in the other language. 용을 구체화한다. ⑤의 다음 문장은 주어진 문장의
구체적인 예시라고 볼 수 있으므로, 주어진 문장이
* toddler 유아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⑤이다.

- 26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8 지


The Production and Efficient Use of Nutrients by Coral 석
Reef Communities
(산호초 군집에 의한 영양소 생산과 효율적인 사용)

내용 산호 군집은 영양소를 생산하는데, 이는 산호 자체뿐만 아니라 군집 전체에 Flow Check


도 중요하다.
산호초 집단의 영양분 생산과 효율적 사용
→ 산호나 산호의 생산물을 먹는 동물이 많이 발
견됨에 따라 산호의 일차 생산은 산호뿐 아니
1 목적격의 of (of 앞 명사가 타동사에서 파생) 라 산호초 군집 전체에 중요함
nutrients는 production과 use의 의미상 목적어
도입 (1~2)
↱󰃃 ‘생산’ ↱󰃰 ‘효율적인’ ↱ 󰃃 ‘영양소’ ↱ ~에 의한
The production and efficient use (of nutrients) (by coral reef ❤ 주제문 산호초 군집에 의한 영양소 생산과
S(복수) 󰃤 󰃤 ‘산호초’ 효율적인 사용은 일차 생산력을 높이는 결과를
result in ~ ‘결과적으로 ~이 되다’  coral reef communities는 가져옴
production과 use의
communities) result in high primary productivity. 의미상 주어 → 군집의 풍요도에 반영됨

󰃃 ‘군집’ V(복수) 󰃤 󰃰 ‘일차의’ 󰃃 ‘생산력’ ⬇


* coral reef 산호초
전개 ① (3~4)
어휘 community n. (집합적) 지역 주민, 지역사회, 마을, 공동체 의식, 생활공동체, 단체,
(동물의) 군집(群集), (식물의) 군락(群落) 반전 그러나, 과학자들은 산호초에 [1]정말
result in ~ ~을 초래하다, 유발하다 = cause ~, lead to ~, bring ~ about, give rise to ~, 얼마나 많은 일차 생산이 있는지, [2]어떤 특정
incur ~, invite ~, arouse ~, make for ~ 생물체가 가장 중요한 생산자인지 확신하지 못
primary a. 주요한, 주된, 제1의, 최초[초기]의, 초등의, 초등학교의 함
e.g. 황록공생조류(黃綠共生藻類)
해석 산호초 군집에 의한 영양소 생산과 효율적인 사용은 결과적으로 일차 생산력을 → 황록공생조류가 산호 안에 살고 있어서 정
높이게 된다. 확히 얼마나 많은 유기물을 생산하는지 측
정하기 어려움


2
전개 ② (5~6)
지칭 앞 문장 내용(=산호초 군집에 의한 영양소 생산과 효율적인 사용이
한동안, 산호 군락에는 살아 있는 조직이 거의
결과적으로 일차 생산력을 높이게 된다는 것)
없기 때문에 극소수의 동물들만이 산호를 먹는
↱ reflect ‘반영하다’의 수동태
다고 생각됨
This is reflected in the richness of the community.
→ 결과 따라서, 비록 황록공생조류가 많은
S V(수동) 󰃤 󰃃 ‘풍요도’ 󰃤 󰃃 ‘군집’
↳‘반영되다’→(주어와 수동관계) 유기물을 생산하더라도 그 산호초 군집의
나머지 부분에 전달되는 것이 많지 않을 것
이라고 생각함
해석 이는 군집의 풍요도에 반영되어 있다.

전개 ③ (7~8)
3
‘의문사(구)+평서문’ 어순 반전 그러나, 생물학자들이 더 면밀히 관찰
(산호초 군집의 영양소 생산 연결어
과 효율적 사용이 일차 생산력을 높 {간접의문문1}→형용사 sure에 이어지는 명사절 함에 따라 산호나 산호의 생산물을 먹는 동물
여서 군집의 풍요도에 반영되지만~) ‘얼마나 많은’ 󰀳󰃰 일차의 󰀳󰃃 생산 들을 더 많이 발견함
Scientists aren’t sure, however, {just how much primary production → 결과 따라서, 산호 황록공생조류에 의한
S V C 그러나 󰃌 의문사구 S1(단수) 일차 생산은 산호뿐만 아니라 군집 전체에
convinced=↲ {간접의문문2}→형용사 sure에 이어지는 명사절 도 중요할 수 있음
[장소 부사구] ‘어떤~’ ‘특정한 생물체’
there is [on coral reefs],} or {which particular organisms are the
유도󰃌 V1(단수) ‘산호초에’ 󰃥 의문형용사 S1 V1 ▌ Grammar✚ 1
󰃰중요한(최상급) 󰃃 ‘생산자’ result in+결과
most important producers}. ‘~가 결과가 되다, ~을 초래하다’의 뜻으로, 결
C1 과에 해당하는 명사(구)가 뒤에 이어진다. 뒤에
원인에 해당하는 명사(구)가 오면 result from
해석 그러나 과학자들은 산호초에 정말 얼마나 많은 일차 생산이 있는지, 또는 어떤 특 을 사용한다.
정 생물체가 가장 중요한 생산자인지 확신하지 못한다. [정리] result in+결과 ‘~을 초래하다’
result from+원인 ‘~로부터 발생하다’

- 27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4

문 there is no doubt that
‘~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석 {동격의 명사절}→doubt를 부연설명하는 완전한 절
There is no doubt {that zooxanthellae are very important}, but
유도󰃌 V(단수) S(단수) 󰃥 S1 V1 C1 󰃥
[이유 부사절] 지칭 (=zooxanthellae) ↱가주어 {진주어 역할 to부정사구}
[because they live inside corals,] it is hard {to measure exactly
󰃥 S1 V1 󰃤~안에 ‘산호’ S V C ‘측정하는 것’ 󰃌 ‘정확히’
{간접의문문}→measure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
{how much organic matter they produce}}.
얼마나 많이 O1 S1 V1

** zooxanthella 황록공생조류(黃綠共生藻類, 산호 등의 체내에 공생하는 와편모충(渦鞭毛蟲))


(pl. zooxanthellae)

해석 황록공생조류(黃綠共生藻類)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그


것은 산호 안에 살고 있기 때문에, 정확히 얼마나 많은 유기물을 생산하는지 측정
하기는 어렵다.

▌ Grammar✚ 5 6

5 {진주어 역할의 명사절} ‘It is+과거분사+that절’ 수동태 구문


↱가주어 ‘극소수의’ ‘산호’ that절을 목적어로 쓰는 문장을 수동태로 만들
[For a time] it was thought {that very few animals eat coral}, 때 that절은 문두로 보내지 않고 가주어 it을
‘한동안’ S V(수동) 󰃥 S1 V1 O1 사용하여 ‘It is+과거분사+that+S+V’로 쓴다.
↳‘생각되었다’→진주어인 that절의 내용과 수동의 관계 또한, 동사에 따라서는 that절 안의 주어(S)를
[이유 부사절] ↱little ‘거의 없는’ (부정의 의미) 문두에 놓고 ‘S+be p.p+to부정사’의 구조로 쓸
[since there is so little live tissue on a coral colony]. 수 있다.

󰃥 유도󰃌 V (단수) 1 1
S (단수) 󰃤 ‘산호 군락’ e.g. [5번 문장]
↳=as, because For a time it was thought that very few
animals eat coral, ~
해석 한동안, 산호 군락에는 살아 있는 조직이 아주 거의 없기 때문에 극소수의 동물들 본문 전환 For a time very few animals were

만이 산호를 먹는다고 생각되었다. thought to eat coral, ~

e.g. [6번 문장]


It was believed that most of it ~
6
3형식과 5형식이 모두 가능한 동사 believe는
서술형 대비 수동태로 it을 가주어로 할 수 있고 that절 안
연결어 (산호 군락에는 살아 있는 조직이 아주 거의 없
의 주어를 be believed to부정사의 앞으로 나
기 때문에 극소수의 동물들만이 산호를 먹는다고 생각
오게 해서 주어로 쓸 수 있다.
되었고 따라서~) {진주어 역할의 명사절}
↱가주어 ‘따라서’ [양보 부사절] ‘황록공생조류’ e.g.

It was therefore believed {that, [even though zooxanthellae We believe that he is a great singer. 우리는
그가 위대한 가수라고 생각한다.
S V(be+p.p.). 󰃥 ‘비록 ~일지라도’ S2
↳‘믿어졌다’→진주어인 that절의 =We believe him to be a great singer.
‘대부분의’ 지칭 (=the organic matter)
내용과 수동 관계 → It is believed that he is a great singer.
produce a lot of organic matter,] most of it is consumed by → He is believed to be a great singer.
V2 O2 S1 V1(수동) 󰃤
of뒤에 이어지는 단수대명사(it)에 맞추어 단수로 수일치↲ ▌ Grammar✚ 6
두 개의 완전한 절이 병렬구조 [부사구] most of ~ ‘대부분의~’
the coral and not much is passed on [to the rest of the
‘대부분의’를 뜻하는 한정형용사 most는 명사
‘산호’ 󰃥 S1 V1(수동) 󰃌 󰃤~에게 ‘나머지’
를 꾸민다. much에 정관사 the나 소유격, 지시
community]}. ‘전달되다’→주어(not much)와 수동관계 형용사가 단수명사를 꾸미는 명사구나, 단수대
‘군집’ ↳ pass on ‘전달하다’의 수동태
명사가 이어지면 전치사 of로 연결하고, much
는 ‘다량’ 뜻의 대명사로 쓰인다. 참고로, most
해석 따라서 황록공생조류가 많은 유기물을 생산하더라도, 그중 대부분은 산호에 의해 는 of 뒤에 이어지는 명사(구)나 대명사의 수에
소비되고 군집의 나머지 부분에 전달되는 것은 많지 않다고 믿어졌다. 따라 수가 결정된다.
[정리] most+명사; most of+대명사;
most of+the[소유격, 지시형용사]+명사

- 28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7 연결어 (황록공생조류가 많은 유기물을 생산하더라도,


그중 대부분은 산호에 의해 소비되고 군집의 나머지 지
[부사절] 부분에 전달되는 것은 많지 않다고 믿어졌지만~) 문
󰃃 ‘생물학자들’ ‘면밀하게’ 지칭 (=생물학자들) 분
[As biologists looked closer], however, they found more and 석
󰃥 S1 V1 󰃌 그러나 S V ‘점점 더 많은’
(관계사절)→animals 수식 지칭 (=corals)

more animals (that eat corals or their products).


O 주·관 V1 O11 󰃥 O21 product ‘생산물’

해석 그러나 생물학자들이 더 면밀하게 관찰함에 따라 산호나 산호의 생산물을 먹는


동물들을 더욱더 많이 발견했다.

8 연결어 (생물학자들이 더 면밀

(형용사구=전치사구)
하게 관찰함에 따라 산호나 산 ▌ Grammar✚ 8
호의 생산물을 먹는 동물들을
‘일차 생산’ ↱~에 의한 더욱더 많이 발견한 결과~) not only A but (also) B
Primary production (by coral zooxanthellae) therefore can be ‘단지 A뿐만 아니라 B도’라는 뜻으로, ‘not just‧
S 󰃤 따라서 V merely‧simply‧alone‧solely‧purely A but (also)
[부사구]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 B’ 표현으로 바꿀 수 있다. but 이하 표현 대신
important [not only to corals but also to the community 에 ‘but B as well’ 또는 ‘but B, too’도 쓰이며,
C ~뿐만 아니라 󰃤1 ~도 또한 󰃤2 전체를 ‘B as well as A’ 표현으로 바꿀 수도
important to ‘~에게 중요한’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에 의해 전치사구 있고, but 대신에 쉼표, 콜론, 세미콜론, 대시도
at large]. (to~) 2개가 연결되어 있음 사용된다.
본문 전환 ~ not only to corals but also to
~ at large ‘~ 전체’
서술형 대비 the community at large
= ~ to the community at large as well as to
corals
해석 따라서 산호 황록공생조류에 의한 일차 생산은 산호뿐만 아니라 군집전체에도 중
요할 수 있다.

- 29 -
2022년 EBS 수능특강 영어┃ 14강 고3

▌Exercise 08


분  단어 우리말 뜻  단어 우리말 뜻

01. production 생산 02. efficient 효율적인

03. nutrient 영양소, 영양분 04. primary 주된, 1차의, 초기의

05. productivity 생산력, 생산성 06. reflect 반영하다

군집(한 지역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


07. community 08. richness 풍부함, 풍요도
으며 생활하는 여러 종들의 집단)
there is no doubt ~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09. organism 생물체, 유기체 10.
that 없다

11. measure 측정하다 12. exactly 정확히

13. tissue 조직 14. colony 군락

15. pass on 전달하다 16. biologist 생물학자

17. product 생산물 18. ~ at large ~ 전체, 전체 ~

19. * coral reef 산호초 20. ** zooxanthella 황록공생조류

[정답] ⑤
[소재] 산호초 군집에 의한 영양소 생산과 사용
[해석] 산호초 군집에 의한 영양소 생산과 효율적인
사용은 결과적으로 일차 생산력을 높이게 된다. 이

8.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는 군집의 풍요도에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과학자
들은 산호초에 정말 얼마나 많은 일차 생산이 있는
As biologists looked closer, however, they found more and more 지, 또는 어떤 특정 생물체가 가장 중요한 생산자인
animals that eat corals or their products. 지 확신하지 못한다. 황록공생조류(黃綠共生藻類)
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그것은 산호 안에 살고 있기 때문에, 정확히 얼마나
The production and efficient use of nutrients by coral reef 많은 유기물을 생산하는지 측정하기는 어렵다. 한동
communities result in high primary productivity. This is reflected in the 안, 산호 군락에는 살아 있는 조직이 아주 거의 없
richness of the community. ( ① ) Scientists aren’t sure, however, just 기 때문에 극소수의 동물들만이 산호를 먹는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황록공생조류가 많은 유기물을
how much primary production there is on coral reefs, or which
생산하더라도, 그중 대부분은 산호에 의해 소비되고
particular organisms are the most important producers. ( ② ) There is 군집의 나머지 부분에 전달되는 것은 많지 않다고
no doubt that zooxanthellae are very important, but because they live 믿어졌다. 그러나 생물학자들이 더 면밀하게 관찰함
inside corals, it is hard to measure exactly how much organic matter 에 따라 산호나 산호의 생산물을 먹는 동물들을 더

they produce. ( ③ ) For a time it was thought that very few animals 욱더 많이 발견했다. 따라서 산호 황록공생조류에
의한 일차 생산은 산호뿐만 아니라 군집전체에도
eat coral, since there is so little live tissue on a coral colony. ( ④ ) It
중요할 수 있다.
was therefore believed that, even though zooxanthellae produce a lot [Solution Guide]
of organic matter, most of it is consumed by the coral and not much 산호 군집은 영양소를 생산하는데, 산호 자체뿐만
is passed on to the rest of the community. ( ⑤ ) Primary production 아니라 군집 전체에도 중요하다는 내용의 글이다.

by coral zooxanthellae therefore can be important not only to corals however가 있는 주어진 문장은 생물학자들이 더
면밀히 관찰했을 때 산호나 산호의 생산물을 먹는
but also to the community at large.
동물들을 더욱더 많이 발견했다는 내용으로,
* coral reef 산호초 ** zooxanthella 황록공생조류(黃綠共生藻類, 산호 등의 therefore와 함께 산호 황록공생조류에 의한 일차
체내에 공생하는 와편모충(渦鞭毛蟲)) (pl. zooxanthellae) 생산은 산호뿐만 아니라 군집 전체에도 중요할 수
있다는 내용 앞인 ⑤에 들어가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 3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