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http://dx.doi.org/10.17548/ksaf.2015.12.22.

35

색채 상징성을 통한 문학과 영화의 융합 연구:


『위대한 개츠비』를 중심으로
김세희*
최 인 순 **
* 서경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부 비주얼콘텐츠디자인 석사
** 서경대학교 국제비지니스어학부 영어과 전공 교수

A Convergent Study on Literature and Film through the Color Symbolism


in The Great Gatsby
Kim, Se Hee *
Choi, In Soon **
*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 in Visual Contents Design
** Professor, Dept. of International Business Languages, Seokyeong University

KOREA SCIENCE & ART FORUM


한국과학예술포럼

KOREA SCIENCE & ART FORUM Vol.22_Regular article or full paper


* Contribution : 2015.7.1._Examination : 2015.11.1._Revision : 2015.11.16._Publication decision : 2015.12.30.

- 35 -
목차 synthesis technique, and others. The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the literary subject
Abstract of 'the American Dream' through the various color
국문초록 expressions of 'the green light' in the film. We
I. 서론 come to conclusion that the integrated
1.1. 연구배경 및 목적 reinterpretation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1.2. 연구방법 및 범위 artisty of literature and the commercialism of
II. 이론적 배경 movies has made it possible to overcome the
2.1. 문학의 영화화 linguistic boundaries and create the new dimensional
2.2. 영화 색채의 상징성과 역할 reality with the aesthetic and visual images.
Ⅲ. 『위대한 개츠비』: 문학과 영화의 색채 표현
3.1. 원작 F. 스콧 피츠제럴드(F. Scott Fitzgerald)의 국문초록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 줄거리 팽
영화 산업의 창에 따라 영화 장르의 위도 확대 범
3.2.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소설에서 되었으며, 그 가운데 원작 문학을 영화로 제작한 작품
‘녹색 불빛(Green Light)’의 상징적 의미 들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가장 큰 이유로는
3.3. 바즈 루어만(Baz Luhrmann)감독의 <위대한 바쁜 삶
현대인의 에서 활자로 된 소설, 인 매체 등 쇄
개츠비(The Great Gatsby)>영화에서 ‘녹색 뮤
일방적 커 니케이션 매체 보다는 시·지각적이고 재
불빛(Green Light)’의 표현 방식 현적인 형태로 영화화되어 문학과 터테인 트를 동 엔 먼
3.4. 색채 표현 방법 분석 결과 시에 즐길 쌍
수 있는 방향적 커 니케이션을 통해 지 뮤
IV. 결론 오
식과 감을 동시에 충족시키고 어 하기 때문이다. 싶
Reference 따라서 문학의 영화화는 단순한 시각적 재현에서 나
Endnote 아가, 관객의 감상력과 주제의식의 이해를 증진시 야 켜
할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네마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Abstract 소설의 영화화 방안을 모 해보고자, 채--특히 ‘ 색 색 녹
With the expansion of the film industry, the 색 빛불 ’--를 중심으로 하여 F. 스 콧
피츠제 드(F. 럴
scope of the movie genre has been enlarged. 『
Scott Fitzgerald)의 작품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Especially, the novel-adapted movies have come into Gatsby) 』 소설과 2013년 즈 바
루어만(Baz
the spotlight since the modern movie-goers desire to Luhrmann)감독이 CG (Computer Graphic), 영상합성
attain knowledge and satisfy their five senses 털
등 디지 특수효과를 활용하여 재구성 영화화한 <위
simultaneously. They, therefore, opt for the 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를 중심으로 연구하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꿈
였다. 특히 ‘미국의 ’이라는 문학적 주제가 ‘ 녹색
for them to enjoy literature and entertainment at the 빛 색
불 ’의 다양한 채 표현 방식을 통하여 영화로 구현
same time, rather than the one-sided communication 되는 과정을 집중적으로 추적한다. 문학적 예술성과
in the form of the printed matter such as novels. 영화적 상업성의 융·복합을 거친 통합적인 재해석은
Therefore, the filming process of the novel does not 언 뛰 넘
어적 한계를 어 어 심미적인 시각적 이미지를
simply mean the visual reproduction; it should try 갖춘 새로운 차원의 리얼리 로 구현되어 원작 문학 티
to enhance the viewers' appreciative ability and 의 인문학적 가치를 높여주었다는 결론에 이른다.
their understanding of the thematic matter.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ethod to maximize Key Words
the cinematic effect by focusing on the color The Great Gatsby(위대한 개츠비), Color Symbolism
imagery--especially 'the green light'--in F. Scott (색채상징성), Green Light(녹색 불빛), Convergence
Fitzgerald's novel, The Great Gatsby and Baz of literature and film(문학과 영화의 융·복합)
Luhrmann's 2013 film of <The Great Gatsby>,
which makes the effective uses of the digital special
effects such as CG(computer graphic), image

- 37 -
I. 서론 대체하여 강력한 파급력을 지닌 영화의 문화적 가치
를 재평가한다. 더불어 향후 소설 작품의 영화화에서
1.1. 연구배경 및 목적 소설의 추상적이고 요약적인 서술이나, 감성적이며 정
신적 측면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때 이를 효과
현대사회의 디지털 과학기술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 색
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채의 상 성에 집중 징
태블릿PC, 컴퓨터, IPTV 등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색
하여 모 하고자 한다.
사람들은 다양한 영상매체를 접하며 문화생활을 즐기
고, 문화예술을 향유한다. 그 중심에는 영화를 비롯하 1.2. 연구방법 및 범위
여 시각적 문화 예술 시장이 크게 자리잡고 있으며,
2014년도 한국 영화산업 매출은 사상 최초 2조 원 대 연구의 범위는 1925년 F. 스콧 피츠제럴드(F. Scott

를 파하며, 2013년 대비 7.6% 증가했다. 영화진 위 흥 Fitzgerald)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원회(위원장 김세훈)가 발표한 <2014년 한국 영화산 Gatsby)』와 2013년 바즈 루어만(Baz Luhrmann)감독
업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전체 영화산업 이 재구성하여 영화화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매출은 2조 276 원으로 사상 최초 2조 원 대를 넘 (Leonardo Dicaprio)와 캐리 멀리건(Carey Mulligan)주
섰 갱
어 고, 최고 매출 기록을 신했다”1)고 한다. 연의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로 제한한다.
오늘 날 영화 산업은 1차 콘텐 츠를 기반으로 디지 털 1926년, 1949년, 2001년, 2013년 영화화된 <위대한
기술과 예술 문화가 융·복합되어, 이른 OSMU(One 바 개츠비> 4편의 영화 작품 중에서 2013년 칸영화제

Source Multi Use: 하나의 자원을 대로 하여 다양 막
개 작으로 선정된 루어만 감독의 영화로 연구의 범
한 사용처 개발)의 전략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함 위를 제한한 이유로는 가장 최근 제작된 영화로써, 그
으로써 문화적 가치와 산업의 부가가치를 극대화시키 털
의 영화는 현대 디지 기술 수준이 융합되어 영상
고 있다. OSMU의 대표적 문학의 영화화 사례로는 이미지 프로세싱 완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3D로 제
1999년 조 K.앤 롤링 (Joan K. Rowling)의 소설 시리 작·영상 되었다. 뿐만 아니라 소설내용의 재현을 위해
『 』
즈 해리포터(Harry Potter) 가 2000년대 영화, 게 CG(Computer Graphic)을 활용한 화려한 영상미를 제
임 등으로 활용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시각 매체를 통 공하여 완성도 높은 영화화를 이루어 냈다는 평을 받

한 스 리 감상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변화한 패러 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인 미학적이고 시각적 표
다임에 발맞추어, 문화예술 산업 제작자들은 책과 같 현방법 분석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은 활자형태의 인 매체에서 나아가 디지 기술을 털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방법 및

융·복합시 으로써 시각 기호로 체계화한 새로운 매 범위에 대해 서술할 것이며, 제 2장에서 첫째, 문학의
체 전환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영화화에 대한 개념을 살펴 둘
보고 째, 영화 채의 상색
특히 소설의 영화화는 대표적인 매체 전환이자 매 징성과 역할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 3장에서는 1차적
체 확장이다. 문학 작품은 문자로서 시각적이고 각 청 럴
으로 1925년 피츠제 드의 문학 작품 위대한 개츠 『
적인 특 징묘 사에 집중하여 상상 속에서의 형상화를 』
비 를 분석하고 1920년대 시대적 배경을 살펴
본다. 2
이루어내지만, 영화로 전환이 되었을 때는 문자적 추 차적으로는 문학 작품에서 미학적으로 표현된 시각적

상의 세계가 미장 (Mise-en-scene)에 의해 영상적 징
상 요소 중 ‘ 녹색 빛불 (Green Light)’을 중점으로 하

구상의 세계로 겨진다.2) 그만 영화의 시각적 이 큼 여 문학과 영화의 표현방법과 특성을 구체적 실례를

미지가 전체 스 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들어 비교분석하고, 1차적으로 진행된 분석결과를 바
경제적 관점에서 이러한 소설과 영화의 융합 기술 탕으로 하여 제 4장에서는 영화에서의 채표현이 미 색

발전은 디지 시대에서 글로벌 문화 컨텐
츠 시장의 치는 영향과 효과적인 표현 방법들을 종합하여 연구
경쟁력을 키워줄 것이다. 문화적 관점에서는 원작 소 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설 작품의 배경이 되는 역사, 사회, 문화에 대한 전반
적인 요소들이 영화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된다면 Ⅱ. 이론적 배경
문학에 대한 이해와 독해능력을 향상시 줄 수 있을 켜
것이라고 예상된다. 2.1. 문학의 영화화
본 연구는 소설의 서사적이고 미학적인 어적 표 언
현이 영화화 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시각화가 이루어 문학 작품의 영화화는 문학적 변형들에 의거한 특
졌는지 구체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원작 소설의 활자를 황
정한 상 의 산물이다. 또한 문학에서 설정된 요소의

- 38 -
역사성 이해가 영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매우 큰 영향 받는다. 또한 영화는 공간 이미지가 인물과 조화를 이
을 미친다. 1960년대부터 인지도가 높은 문학 원전을 루어 구체적인 시각적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작품 이
영화화하기 시작했으나, 그 당시에는 관념적 미학에 깊
해에 이와 안목을 더해주는 문학적 훈련을 가능하

근거하여 영화의 본질이 환적, 환상적인 것의 구현 게 한다. 이에 따라 수용자는 소설의 독자이면서 동시
일 뿐이라고 여겨져, 영화 작가들은 기성 문학계에서 읽
에 영화 관객으로 확장되어 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적 존재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다. 그러나 이후 많 체 적 험 콘텐 오
츠를 제공받아 감을 통한 문화 활동을

은 문학 작품이 준히 영화화 되면서 영화가 제공하 하게 되는 것이다. 문학과 영화의 서사전달 수단의 비
는 시각적 이미지의 기능을 통하여 이야기의 보충이 교를 정리하면 아래 [표-02]와 같다.
나 확장, 연장이 가능하다고 여겨져 예술적 가치를 인
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소설의 영화화는 매체 [표-02] 문학과 영화의 서사전달수단 비교
학적으로 문학의 확장이라는 실천적 단초의 역할까지 영화 문학
맡게 되었다.3) 청
시 각 요소가 동시에 문자들의 나열을 통한
문학이 영화화 되는 과정에서 서사 전달 방식의 차 공간 구성 작용하는 복합적 구성의 단선적 구성의
이가 나타나는데 아래 [표-01]와 같이 화자, 중개자의 시공간 예술 시공간 예술
위치, 서술내용, 화자의 발화 내용, 텍스트 간의 경계 서사 전달 목소리, 대사, 행위, 표 인물의 외적·피상적
등이 달라진다. 즉, 영화 속에서 서술자는 단순히 서 요소 정, 의상, 외적 영상 움직임
사물이 형성되기 위한 요건만이 아니며 이야기를 구
현하고 진술, 전달한다. 뿐만 아니라 그 이야기의 양
서사 전달 화면 구성을 통한 암시 문자를 통한 직접적 표
표현 방법 적, 간접적 반영 현
상과 수용자의 심미적 반응이 결정되는 것에 직접적
인 영향을 행사하는 존재인 것이다. 이러한 서술자의 서술자아와 체 자아가 험
의도를 영화화하는데 있어서 영화 감독과 메라가 카 서사 전달
외적 조 망 양상을 지 녀 구분 가능하므로 다양한
야 하며, 현재 시점만 가 시점 표현이 가능하며,
어떠한 위치, 관념 등으로 연출하느 에 따라 주제 면냐 시점
능 망
내적 조 양상 표현 또
에서 동일할 지라도 그 이야기의 양상과 전달 효과, 한 가능함
심미적 작용에 영향을 받게 된다. 서사 전달
시각적, 기호학적 사회학적
기능
[표-01] 문학과 영화의 서사 전달 방식 차이

화자
영화
카메라
문학
서술자
2.2. 영화 색채의 상징성과 역할
중개자의
관객과의 경계선에 위치
현실과 가상 세계 중간
영화는 문학과 다르게 시청각 요소가 동시에 작용
위치 에 위치
하는 복합적 구성의 시공간 문화 예술로 배우의 목소
리, 대사, 행위, 표정, 의상, 소품 등의 미장센을 통해
화면의 공간 구조 텍스트 내부
카 험
줄거리 서사 전달이 이루어지는 영상 콘텐츠이다. 미
서술내용 메라에 비춰지는 인물 인물체 에 의거하여 진
들과의 반응 술
망 장센은 한 화면의 내부에 동시다발적으로 다층적 메
카메라의 인물 서술과 내적 조
시지를 함축하여 보여주며, 미장센에 의해 만들어진
움직임, 각도,
화자의 이 필연적으로 수반 시
위치, 거리 등 시각적 요
발화내용

점,
색채는 기호학적 시각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관하여
프랑스 대표적 영화감독 장뤼그 고다르(Jean-Luc
어조

Godard, 1967)는 차이로서의 색채 형식 구축은 자율적


텍스트
없음 있음
간의 경계
기능을 하며, 가장 1차적으로 드러나는 영화 색채가
내포하고 있는 은밀한 서사 내용은 공개된 상황에서
더불어 문학의 영화화는 글 안에서 추상적인 이미 보여짐으로써 알레고리적 내러티브 요소로 기능한다고
지를 영화 속에서 공간 구성과 서사 전달 표현방법 주장하였다. 즉, 문학의 영화화에 있어 색채의 상징적
요소, 시점 등 구체적인 이미지로 표현시 전달해 켜 줌 미학은 이데올로기의 숨은 의도를 드러내기 위한 미장
으로써 대중에게 훨씬
빠르게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센의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4)

파악시 주며, 이는 인문학적으로도 문학의 가치를 높 영화에서 색채는 연출, 촬영, 조명, 무대미술, 패션,
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매체전환으로 인정 메이크업,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등 영화 제작 구성

- 39 -
요소들의 복합적인 작용을 통하여 재현되며, 완전한 저
스트 에그(West Egg) 대 택에서 열린다. 매주 요 토

리얼리 과 환영을 유기적으로 작용하게 한다. 또한 백 람
일 수 명의 사 들은 개츠비의 집으로 몰려 온다. 호

영화 채는 여타의 영화적 구성 장치들과 동등한 티
화스러운 파 에 참석하기 위해서이다. 은 정신 닉 곧
자율적 요소로 기능하여 텍스트적 서사에서 의미를 티 멸
나간 이 파 자체를 경 하기에 이른다. 나중에 개츠

증식시 이데올로기를 지지하거나 재생산 한다. 더불 던
비는 그의 전 애인이 데이지와 우연히 마주치기를
털 놀
어 디지 시대에는 테크 로지와 문화 예술 융합으 바 런 티
라며 이 파 를 연다는 것을 에게 해준다. 데 닉 말

로 채 연출 방법이 다양해져 문학의 이해와 영화 오
이지와 개츠비는 래되지 않아 그의 부 을 받은 탁 닉
예술성의 상호작용을 한층 더 극대화 시 주고 있 켜 의 주선으로 만난다.
다.5) 이에 있어서 영화 제작자는 이미 확립되어 있는 맨 탄 텔
결국 하 의 호 에서, 은 개츠비의 데이지에 톰

이념과 내러 브 관습을 재창조하여 영화 채가 갖 색 대한 사랑을 확인하고, 개츠비가 주류 수업자라고 밀
킴 롭
는 의미화를 부가시 으로써 새 거나, 보다 풍부한 폭
확실한 증거 없이 로한다. 그는 개츠비에 대해 나름

독해의 가능성을 발전시 야 할 필요성이 있다. 관객 뒷
대로 조사했다고 주장했다. 여기에서 개츠비는 데이
색 징
은 영화 채를 상 적 가치를 갖는 하나의 독립적 녀
지로 하여금 그 가 더 이상 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톰
체계로 받아들여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영화 채는 색 던
것, 그와 함께 했 지난 5년을 지우고 자기에게로 돌
대중으로 하여금 영화의 예술성과 완성도를 평가하는 오 싶 말
아 고 다는 것을 하게 했다. 그 는 설이며 개 녀 망
잣대 역할을 하기도 한다. 말 말
츠비가 한 대로 하지만, 은 데이지와 개츠비 사 톰

이의 어 한 관계를 알아차 다. 그는 개츠비와 데이 렸
Ⅲ. 『위대한 개츠비』: 문학과 영화의 색채 표현 지가 같은 차를 타고 집으로 아가도 좋다고 하면 돌 말

서, 그 게 해도 둘 사이에 아무 일이 없을 거라며 개
3.1. 원작 F. 스콧 피츠제럴드(F. Scott Fitzger 츠비를 비 었다. 웃
ald)의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 줄 톰
한편 의 친구인 자동차 수리점 주인 조지 윌슨
거리 머
(George Wilson))과 그의 아내 틀(Myrtle)은 다툼 말
머 톰
중이었다. 틀은 과 부적절한 관계였고, 이것을 조
『위대한 개츠비』는 1925년 첫 출판된 이래 가장 녀 밖
지가 알았기 때문이다. 그 는 집 으로 도 쳐 나왔망
미국적인 소설 중의 하나이자 미국인들이 즐겨 읽는 돌 던
는데 그만 데이지와 함께 아가 개츠비의 차에 치
고전에 매년 선정될 정도로 대중들의 사랑을 받는 작 죽 뒤
여 었다. 한참 에서 따라 오던 톰 닉
과 조단과 은
품이다. 1920년대 전후 ‘잃어버린 세대(Lost 교통사고가 난 것을 발견했다. 은 톰 윌슨 이 드디어 한
Generation)'의 모습과 재즈 시대를 잘 그려냈으며 렸 엇
건 잡았다고 중얼거 지만 무 인가 잘못된 것을 발
‘미국의 꿈’에 대해 탐구한 작품이다. 재즈시대에는 잠 멈 황
견한 후 시 춰 상 을 보기로 했다. 은 톰 곧 그의
재즈와 춤이 유행했으며 대규모 파티가 열렸고 금주 숨 죽 됐
겨진 애인이 었다는 것을 알게 다. 충격적인 상
법이 시행되고 있었으나 밀주가 성행했다. 피츠제럴드 황 속에서 윌슨 란 말
은 거의 미쳐서 노 차에 대해 했
는 ‘재즈 시대의 왕자’라는 자신의 별명에 걸맞게 스 톰 윌슨
다. 은 란
에게 그 노 차는 자신의 것이 아니라
스로 직접 체험한 당대의 분위기를 작품으로 승화시 말 텔 놀
고 했다. 호 로 러가면서 윌슨 넣
의 차고에 기름
켰으며, 그가 평생 관심을 가졌던 부, 젊음과 사랑이 렀 톰
으려고 들 을 때는 이 개츠비의 노 차를 몰고 란
라는 주제를 작품 속에서 생동감 넘치는 서정성으로 톰
개츠비가 의 차를 몰고 있었기 때문에 은 톰 윌슨 에
묘사한다. 소설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렇 말
그 게 한 것이었다.
닉 캐러웨이(Nick Carraway)는 미드웨스트 출신의 톰 윌슨
은 에게 총을 건네고 개츠비가 어디 사는지
채권 딜러로 그의 이웃 제이 개츠비와 친구가 된다. 윌슨 멀
에게 알려준 후, 데이지와 함께 리 여행 떠날
제이 개츠비(Jay Gatsby)는 그의 롱 아일랜드 대저택 톰
준비를 했다. 한편 데이지를 으로부터 지 야한다 켜
에서 매일 밤 호화 파티를 벌이는 엄청난 부자이다. 굳 믿 녀
고 건히 고있는 개츠비는 그 로부터 전화가 오
개츠비의 막대한 재산은 많은 소문의 주제이다. 닉이 길 기다리고 있었다. 그때 윌슨 쏴
이 다가와서 총을
그의 파티에서 만나는 손님 중에 그의 과거를 정확히 죽
개츠비를 였다. 그후 윌슨 멀 떨은 리 어지지 않은곳
알고 있는 사람은 없었다. 닉은 재산이 많은 전 운동 잔 살
디 위에서 자 했다.
선수인 톰 부캐넌(Tom Buchanan)과 톰의 아내이자 죽 닉
개츠비의 음 후 은 그의 장례식이 참석할 사 람
닉의 사촌인 데이지(Daisy)의 집에도 들르고는 한다. 색 밀
들을 물 했다. 하지만 개츠비의 수업 동업자조차
개츠비는 그의 파티로 유명하다. 그 파티는 그의 웨 죽
그의 음을 애도하는 자리를 함께하기를 거절했다.

- 40 -
버 씨
개츠비의 아 지인 개츠 가 개츠비의 장례식에 왔 죽
작가는 개츠비가 은 후에도 계속 을 발하는 빛
씨 억
다. 개츠 는 여전히 과거를 추 하고 있었다. 그는 녹색 빛
' 불 '을 통하여,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원히 생
닉에게 개츠비의 집이 찍힌 닳
아빠진 사진과 개츠비 명을 이어가야하는 미국의 과 미국 사회가 나아가 꿈
가어 을적렸 쓴
책을 보여주었다. 야 할 미래의 방향을 제시한다. 그는 화자 을 통하 닉
닉 씨 엉 눈 렇
, 개츠 , '부 이 ', 이 게 세 명만이 개츠비 여' 녹색 빛
불 '은 개츠비의 개인적인 비극을 능가하는
엉 눈
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부 이 '은 일 이 어느 여 찍 미래를 향한 경이로운 영상임을 분명히 한다:

름 개츠비의 파 에 참석한 적이 있는 아무 생각 없

는 사 이었다. 장례식을 전후로 조단, , 데이지와 톰 나는 개츠비가 데이지의 부두에서 처음으로 녹색
락 끊긴 뒤 닉 뉴
연 이 , 은 욕을 떠나 미드 스트로 아 웨 돌 빛
불 을 발견했을 때의 경이로움을 생각해 보았다. ...
갔다.6) 개츠비는 녹색 빛
불 , 우리 에서 매 년 로 물러가앞 뒤
는 흥청망청 믿
하는 미래를 었다. 그것은 우리를 그때
3.2. 피츠제럴드의『위대한 개츠비』소설에서 갔
피해 다, 그러나 그것은 문제가 안 된다--우리는 내
‘녹색 불빛(Green Light)’의 상징적 의미 일 더 리빨 뛸 멀
것이다, 더 리 우리의 를 치며.... 팔 뻗
뷰울리(Marius Bewley)가 단적으로 규정하듯이, I thought of Gatsby's wonder when he first
『위대한 개츠비』의 주제는 “미국의 꿈의 쇠락(the picked out the green light at the end of Daisy's
withering of American dream)”이다.
7) 미국 건설의 dock. ... Gatsby believed in the green light, the
원동력이자 미국적 정신의 뿌리인 '미국의 꿈'은 애초 orgiastic future that year by year recedes us. It eluded
에 무한한 가능성을 약속하는 신세계에서 새로운 삶 us then, but that's no matter--tomorrow we will run
과 물질적 번영의 이상향을 추구하고자 하는 꿈을 의 faster, stretch out our arms farther....(GB 180)
미하였다. 꿈의 대륙이었던 미국이 자본주의의 어두운
단면인 황금만능주의에 안주하면서 '미국의 꿈'의 의 3.3. 바즈 루어만(Baz Luhrmann)감독의 <위대
미는 물질적인 성공과 부의 축적을 향한 열망으로 의 한 개츠비(The Great Gatsby)>영화에서 ‘녹색 불
미가 변질되었고, 꿈은 쇠락하여 점차 악몽으로 바뀌 빛(Green Light)’의 표현 방식
게 된다. 이를 작가 피츠제럴드는 상업적 자본주의 미
국사회의 산물인 개츠비라는 인물의 사랑과 꿈, 좌절 바즈 루어만(Baz Luhrmann)은 1996년 <로미오와
과 파멸을 통해 형상화한다. 자신과는 출신 환경이 다 줄리엣(Romeo & Juliet)>, 2001년 <물랑루즈(Moulin
른 상류 사회의 여자를 되찾기 위한 일념으로 온갖 Rouge)> 등 작품에서 화려하고 강렬한 색채미를 보
불법적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버는데 몰두하 여주었으며 뮤직비디오를 보는듯한 다양한 시각적 매
지만, 결국 꿈을 이루지 못하고 비극적인 죽음을 맞는 체를 활용하여 연출함으로써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개츠비의 물질적 성공과 몰락, 죽음을 한 개인의 삶이 영화감독이다.
아니라 미국적 경험으로 승화시킴으로써, 작가는 변질 루어만 감독의 2013년도 영화 <위대한 개츠비(The
되어가고 있는 '미국의 꿈'에 대한 경종을 울리고 있 색
Great Gatsby)> 에서 채와 화면 구성 디자인의 조
다. 합은 영화의 전체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각적 요소
'미국의 꿈'을 상징하는 장치로써 작가는 '녹색 불 로 작용하는데, 특히 특정한 채에 집중함으로써 관 색
빛'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소설 전체를 채색하는 토
객에게 스 리의 예고와 결 을 시하는 중요한 요 말 암
'녹색 불빛'은 약속과 희망, 재생의 색이자 동시에 돈 소로 작용하였다. 이 같은 감독의 미장 을 센 컨셉 바탕
의 색이기도 하다. 소설의 도입부에 주인공 개츠비가 으로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서는 가장 중심적인 역
숭배자의 자세로 손을 뻗치고 있는 “부두 끝에 있는 색 녹색 빛
할을 하는 채는 ‘ 불 (Green Light)’이다. 루어
작고 멀리 있는 단 하나의 녹색 불빛”은 소설의 마지 만 감독은 영화 전체의녹색 톤 필름 , 세트장의 색
막에 “신세계의 녹색 가슴”과 비견되어, 결국 개츠비 녹색 톤 색 녹색 띄
배 , 을 고 있는 특정한 사물을 향한
의 꿈은 신세계를 발견한 탐험자의 비전과 상응한다. 카 앵 센
메라의 글, 미장 등을 보여 주며 인물의 위치와
그러나 개츠비가 추구하는 신성한 녹색 불빛은 결국 데 켜
적절히 배치시 영상미가 갖춰진 화면을 제공하였다.
이지 집 앞의 전구 불빛에 불과하다는 아이러니는 오로 털
또한 CG와 디지 이미지 프로세싱을 활용하여 문학
지 물질적 성공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는 개츠비의 꿈 징
의 상 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관객의
의 허망한 실체와 타락한 '미국의 꿈'을 상징한다. 이해를 도왔다.

- 41 -
다음의 [표-03]을 통하여 영화에서 ‘ 녹색 불빛’이 표

현되는 장면을 쳐하여 분석한다.
4. 00:13:29

[표-03] ‘Green Light’의 표현 장면 캡쳐 빛 분석


~
1. 00:01:03 00:01:34


1929년 시점에서 은 개츠비에 대하여 1922년 과거 이야기를
말 닉 억
요양원 의사에게 하는 과정에서 의 기 속 회상되는 모습

을 그 다. 이 장면에서 은 닉 녹색 빛
불 등대가 개츠비라는 인

물에게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직접적으로 급함으로써 관객

둣 깜빡 깜빡 빛
영화의 첫 시작 장면으로 부 가에 나는 초록불 빛 으로 하여금 주제와 관련하여 녹색 빛
불 에 관한 집중도를 높여
주는 장면이다.
푸 빛밤 늘
등대를 른 하 분위기와 함께 연출하고 화면 중심에 비
줌 녹색 빛
춰 으로서 관객에게 ‘ 색 징
불 ’이라는 채의 상 성을 강조시 5. 00:29:59
켜주고 있다.

2. 00:12:21

닉과 개츠비가 첫 대면하게 되는 순간 개츠비 뒤로 녹색 불빛의


폭죽이 터지면서 개츠비의 후광을 연출한다. 루어만 감독은 이
남 탐뷰
데이지의 편인 캐넌의 외도로 상처받은 데이지가 초록 러한 소품 활용에 있어서 녹색 톤을 주로 활용하였다. 무대에서
빛 바 닉 삶
불 등대를 라보며 과 의 공허함에 대한 대화를 나 다. 눈 춤추는 댄서의 복장, 폭죽, 조명 등 녹색 불빛 등대 외에도 디테
녹색 빛 카 앵
불 사이로 메라 글이 통과하며 보이는 다음 장면에 일한 녹색 톤의 특정한 사물들을 카메라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는 데이지 집을 향해 서있는 반대편의 개츠비가 클로즈업 된다. ‘녹색 불빛(Green Light)’의 색채 상징성을 한층 부각시킬 수 있
녹색 빛
불 양쪽에 서있는 주인공들의 장면 연출을 통해 개츠비 었다.
와 데이지의 거리감을 표현한다.
6. 00:48:26
3. 00:13:19

닉이 택시 안에서 바라본 나무 숲 사이 개츠비의 대저택이 온통


닉은 개츠비가 어둠속에서 무언가를 붙잡으려 한다고 생각하는 녹색 불빛을 띄고 있는 모습을 연출하였다.
장면이고, 녹색 불빛의 의미를 닉이 알아가는 과정이 영화의 전
개를 돕는다. 이 장면에서 아직 닉은 개츠비에 대한 정보가 없 7. 01:02:05
는 상태이므로 개츠비의 실루엣만 보여주는 것으로 마무리 된
다.

- 42 -
11. 02:01:47
데이지를 자신의 집으로 처음 불러들인 날, 개츠비는 자신의
경제적 능력을 어필하기 위해 비 싼옷 녀
들을 그 를 향해 지며 던
즐 거운 시간을 보낸다. 데이지는 값비 싼옷 굴
들 속에 얼 을 파 묻
렇 셔 흐 끼
고 “이 게 아름다운 츠들을 본 적이 없다”며 느 는데, 이
옷 들이 전반적으로녹색 빛깔 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8. 01:19:42

개츠비는 데이지와의 재회를 꿈꾸


며 그 의 전화를 기다린다. 녀

수영하 개츠비는 전화 벨소리가 울리자 데이지의 전화일거라

고 확신한다. 기 표정으로 데이지 집 의 불 등대를 앞 녹색 빛
바 꿈
라보며 자신의 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개츠비 자신의

욕 이 아직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생각하였을 때는 하 밤
늘 오 녹색 빛
에 로지 불 등대만 화면에서 보여졌으나, 반대로 자
꿈 믿
신의 이 이루어졌다고 는 순간에 개츠비가 라본 데이지의 바
집과 녹색 빛 맑
불 등대는 은 하 아래 화사한 분위기와 함께늘
연출된다는 점에서 개츠비의 내적 심리상태에 이입할 수 있도록
티 망 밀 즐긴
파 에서 개츠비는 데이지와 몰래 도 쳐 회를 다. 그러 도와주었다.

나 데이지는 특권층의 부유한 생활과 문화를 리고 개츠비에게
갈 의지가 없음을 보여 준다. 단순히 경제적인 것만 충족시키면 12. 02:07:45
믿 던
데이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었 개츠비는 이해가 안 된
다는 표정으로 강 건너 데이지 집 의 앞 녹색 빛 망
불 등대를 연
바 돈 뛰 넘
자실하여 라보는 장면이다. 만 가지고는 어 을 수 없는
앞 좌
가진 자들의 특권과 계급적 한계 에 부서지는 개츠비의 절

된 을 표현하기 위한 연출이라고 볼 수 있다.

9. 01:21:38

개츠비는 탐뷰
캐넌의 거짓 로 인해 말
에게 틀을 인 윌슨 머 죽 범
인으로 지목된다. 때문에 그는 조지 이 복수의 총알을윌슨 쏜

맞고 데이지와의 을 이루지 못한 채 허무하게 는다. 이 게 죽 렇
죽음을 맞이하게 된 개츠비를 안타 게 생각하고 힘들어하 깝 던닉
은 5년뒤 던 돌
개츠비가 있 부두에 아와 그의 인생에 대해 반추
백 빛
하며 독 하는 장면이다. 초록 불 등대에 이 개츠비를 대신 닉
해서 이입되어 그의 인생을 되 아본다. 돌
데이지를 갖고 싶다는 욕망이 가득 찬 눈빛으로 녹색 불빛 등대
를 바라보고 있는 개츠비를 통해 그의 끈질긴 욕망을 나타내주 13. 02:08:01
는 장면이다.

10. 01:57:50

닉이 독백하는 장면으로, 그의 상상 속에 개츠비의 실루엣은 또


한번 녹색 불빛을 잡으려하고 있다. 잡히지 않는 녹색 불빛...
개츠비는 그의 꿈이 가깝게 있다고 믿었지만 과한 욕망이었기에
취 쌓
데이지를 쟁 하기 위해 부를 기까지의 과정을 에게 고 하 닉 백 결코 잡을 수 없는 것이었고, 깜빡깜빡 희미해지며 꺼져가는 불
는 장면으로 녹색 빛
불 등대와 데이지의 모습을 시 오버랩 켜 녹 빛을 보여주는 연출은 결국 이루지 못하고 비극적 결말을 맞게
색 빛 망
불 과 데이지를 향한 욕 이 일치한다는 것을 연출했다. 된 개츠비의 좌절된 꿈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43 -
3.4. 색채 표현 방법 분석 결과 IV. 결론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칸딘스키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시각적인 재현에서 더 나아
(Wassily Kandinsky) 등 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차 가 시네마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소설의 영화화
이에 의해 색채가 발생하는 것이며, 모든 색채는 독자 색
방안을 모 해보고자 하였다. 제 1장에서는 디지 기 털
적 표현가치를 지녀 의미 있는 실체를 만들 수 있다 술과 예술 문화가 융·복합 되어 생산되는 현대 사회
고 한다. 구소련 영화감독 에이젠슈타인(Sergei
8) 의 패러다임을 살펴
보았으며, 제 2장에서는 문학의 영
Eisenstein)은 이러한 논의를 가져와 영화에서 색채의 색 징
화화와 영화 채의 상 성과 역할에 관한 이론적 고
문화적 의미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더불어 기호학자 찰을 진행하였다. 제 3장에서는 문학의 영화화 사례
크리스테바(Julia Cristeva)는 이러한 색채 의미 발생 럴
연구로 1925년 피츠제 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 『 』
과정에 대해서 객관적이고 주관적이고 문화적인 삼중 와 루어만 감독의 2013년 영화 <위대한 개츠비>를
기록의 프로세스를 거쳐서 복합한 결정으로 해석된다 비교 분석하여 영화 속 시각적 채 상 성과 문학 색 징
고 하였다. 9) 이와 같은 이론을 종합해 보면, ‘녹색 언 색 징
의 어적 채 상 성 표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불빛’은 빛과 색 활용, 미장센을 통하여 영화를 전체 문학의 영화화는 활자 안에서의 추상적인 이미지들
적으로 이끌어 가며, 특정한 색을 다양한 시각적 연출 색
을 시각적 공간 구성과 채 효과 등을 통한 구체적
기법으로 표현시킴으로써 줄거리 안에 숨어있는 의도 인 이미지로 전환하여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대중
를 제시하는 역할을 충실히 했다고 할 수 있다. 으로 하여금 훨씬
빠르게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파악
루어만 감독은 원작 소설에서 ‘미국의 꿈’을 의미하 하도록 하여, 인문학적으로도 원작 문학의 가치를 높
는 ‘녹색 불빛’을 효과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심리적 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화는 문학과 다르게
색채감의 자극을 불러일으켰으며, 녹색의 심리적 연상 청
시 각 요소가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적 구성의 시공
은 작품의 문학적 성격을 파악하는 단서 역할을 하였 센
간 문화 예술로써, 미장 을 통해 줄거리 서사 전달이
다. 색채 상징성 표현 방법으로 첫째, 전체적인 푸른 센
이루어지며, 미장 에 의해 만들어진 영화 채는 여 색
빛 색상의 필름과 녹색 톤 색상의 소품을 활용하였다. 타의 영화적 구성 장치들과 동등한 자율적 요소로 기
녹색은 관객에게 지속적으로 노출되었다. 반복적 노출 능하였다. 더불어 색
채는 텍스트적 서사에서 의미를
은 통한 상징과 연상의 효과는 문학에서 전달하고자 켜
증식시 관객에게 전달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한 작품
하는 미국의 꿈을 상징하는 녹색 불빛이라는 서사적 돕
의 이해를 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미를 시각적 이미지로 극대화시켜 관객에게 정확히 연구의 분석 결과로는 첫째, 영화에서 ‘ 불 ’은 녹색 빛
전달할 수 있었다. 화면을 구성하는 다양한 영화 요소들과 어울려져 시
둘째, ‘재의 계곡(the valley of ashes)’을 배경으로 대 및 공간 분위기 연출의 심 기제로 작용하였다. 핵
이야기가 진행되는 장면에서는 필름, 소품, 의상 등 둘
째, 영화에서는 소품, 채 등 시각적 이미지 표색
색채와 연관된 모든 요소에서 채도를 극적으로 낮추 현에 있어 영화감독의 주관적인 의도가 포함되어 표
어 황량한 분위기를 극대화 시켜 ‘이스트 에그(East 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인문학적 상상
Egg)’와 ‘웨스트 에그(West Egg)’의 높은 채도와 밝 력을 영화에서 시각적으로 형상화 하는 과정에서 객
은 명도, 화려하고 장식적인 영화 구성요소가 대비되 색
관적 체 이데올로기가 확립될 수 있도록 사회적·문
도록 하였다. 대비적인 색채 형식 구축에 의해 부각된 티
화적 환경에 맞는 내러 브 변경이 고려되어야 하며,
녹색 불빛은 이른바 알레고리적 내러티브 요소로 작 원작 문학 작품의 정체성 재가 야기되지 않도록 주 혼
용하여, 결과적으로 보다 풍부한 독해의 가능성을 제 의해야 한다.
공하였고, 관객은 영화 색채를 상징적 가치를 갖는 하 셋
째,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비교 분석한 시각 예
나의 독립적 체계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술의 상 ‘ 징 녹색 빛
불 ’의 다양한 표현들을 으로 살펴봄
결국 ‘녹색 불빛'의 상징적 색채는 대중의 시각적 써, 문학의 영화화를 통하여 재해석된 문학 작품이 언
감성을 자극하여 작품의 예술적 효과를 한층 더 높여 뛰 넘
어적 한계를 어 어 상상적이고 심미적인 시각적
주었을 뿐만 아니라 악몽으로 변질된 미국의 꿈이라 이미지를 지닌 새로운 차원의 리얼리 로 구현될 수 티
는 주제를 제시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다. 앞
으로 바쁜
현대인들은 활자로 된 일방적 커 니 뮤

케이션 매체보다는 방향적 커 니케이션이 이루어 뮤
지는 매체를 더욱더 선호하게 되어 디지 영상 털 콘텐

- 44 -
츠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될 것이다. 또한 디지 영화 털 2) 조정래, “소설과 영화의 서사론적 비교연구”, 현대문
제작 기술, 4D 영상 기술, 활용 매체 등 영화의 형태 학의 연구, 22, pp.527-528, 2004.
는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통한 시· 철
3) 김중 , “소설과 영화의 서사전달 방식 비교 ‘우리들

지각적인 터테인 트 매체를 김으로써 지식과먼 즐 오 웅
의 일그러진 영 ‘을 대상으로”, 한국 어문화, 13, 언
감을 동시에 충족시키려는 욕구도 높아질 것이다. 이 pp.401-426, 1995.

러한 시대의 름 속에서 디지 기술과 융·복합 된 털 색 뮤
4) 김종국, 「영화 채 미학」, 커 니케이션 스, p.174, 2006. 북
문학의 영화화는 경제적, 문화적으로 OSMU의 창구 색
5) 김종국, “영화 채의 이데올로기 연구”, 동국대학교
효과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원작 소설과 영화 두 가지 대학원, p.55, 2003.
장르 모두의 예술 가치를 높여 줄 것으로 예상된다. ?
6) Http://kin.naver.com/qna/detail.nhn d1id11(2015.08.09)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설문을 통한 객관적이고 7) Marius Bewley, "Scott Fitzgerald's Criticism of
실증적인 분석이 어려 다. 때문에 향후 각 나라별웠 색 America", Sewanee Review, 62, pp.223-245, 1954.
채 이데올로기와 인지 심리이론을 으로 문학의 바탕 8) 김종국, op.cit, pp.1-5, 2002.

영화화에서 채가 원작 문학에 미치는 심리 영향에 9) ibid, pp.1-5.

대하여 심도 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는 ‘ 녹
색 빛
불 ’과 같은 서사적 어를 보편적 채 어로서 언 색 언
의 확립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서사적 채 상 성 색 징
표현의 주관적 분석 한계에서 어날 수 있을 것으로 벗
기대된다. 더불어 글로벌적인 영화 문화 츠 발전 콘텐
에 기여할 것을 기대하며 본 연구를 마무리 한다.

Reference
[1] Bewley, Marius, "Scott Fitzgerald's Criticism of
America", Sewanee Review, 62, 1954.
[2] Cho, Jung Rae, “The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novels and movies from a perspective of
narration", Modern Literature, 22, 2004.
[3] Dictionary of Literary Criticism Terms, Kookhak, 2006.
[4] Fitzgerald, Scott F, 「The Great Gatsby」,
Scribner, 2004.
[5] Kim, Jong kuk, 「The Aesthetics of the movie
colors」, Communication Books, 2006.
[6] Kim, Jong kuk, 「A Study on the Ideology of Film
Colors」, Ph.D.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2002.
[7] Kim, Jung Chul, “The Comparison of the narrative
communication between novels and movies: Our
Distorted Her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3, 1995.
[8] LG Communicatopia, 「Information revolution, Life
revolution, Consciousness Revolution」, Baik-san
Seo-dang, 2003.
[9] ?
Http://kin.naver.com/qna/detail.nhn d1id11(2015.08.09)

Endnote
1) 김현수, 「2014 한국 영화산업 결산 발표」, 2015 영

화진 위원회, p.6 2015.

- 4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