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2022학년도 수시모집>

서울캠퍼스 미술계열 면접문제 및 해설

이 문제지의 남는 지면(앞면/뒷면)은 면접에 대비한 메모나 스케치 등으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습니
다. 단, 본교에서 지급한 재료(4B 연필, 지우개)만 사용해야 합니다.

1. (가), (나)는 모두 익숙한 대상을 관찰하여 주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작품에 담긴 발상의
과정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말하시오.

<출제의도>
- 작품 비교분석 및 관찰 능력
- 관찰 대상에 대한 주관적 해석과 응용방식 이해
- 형태 축약을 통한 조형
- 물리적 현상의 시각적 응용
브랑쿠시, <잠자는 뮤즈>, 1910, <잠자는 뮤즈>, 1923,
<탄생>, 1920

<평가기준>
- 논리적 사고를 통한 비교분석 능력
-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과정에 대한 이해
- 시각적 요소의 비교분석 능력

마린, <노매드 패턴스>, 2012

2. 아래에 제시된 작품을 참고하여, 자기 자신을 반영한 이미지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설명하시오.

<출제 의도>
- 미술에 대한 진정성 파악
- 개념을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능력 평가

<평가 기준>
- 시각언어 이해 능력
- 미술에 대한 진정성 파악
- 창의적 발상 능력 및 표현 능력
- 개념과 조형적 요소의 조합 능력

프리다 칼로, <우주와 대지와


정연두, <내 사랑 지니>, 나와 디에고와 세뇨르
2001-2005 홀로틀의 사랑의 포옹>, 1949
<2022학년도 수시모집>

세종캠퍼스 미술계열 면접문제 및 해설

1. 다음에 제시된 작품들의 의도를 해석하고, 적용된 발상의 원리를 설명하시오.

<‘세상을 녹색으로’ 제70회 식목일 기념 조형물>, 라메르, <중력의 역전>,


서도호, <틈새 집>, 2010
2015 2003

<출제의도>
-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발상의 방법과 그 특징을 이해하고 있는지 파악합니다.
- 작품의 주제를 해석하는 능력을 파악합니다.

<평가기준>
- 작품의 의도를 해석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능력
- 작품들이 어떠한 발상법에 의해 창의적인 결과를 창출하였는지 파악하는 능력

2. 아래 제시된 오른쪽 작품은 한 벽면을 차지한다. ‘환경파괴’를 주제로 왼쪽 예시처럼 증강현실


세계를 상상하여 다음 페이지에 표현하시오.
*증강현실: 현재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이나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환경을 덧입혀서, 마치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주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 또는 그러한 기술로 조성된 현실을 의미한다.

증강현실 예시: 데이비드 호크니, <이스트 월드게이트에 찾아온 봄>, 2011


큐리스코프(Curiscope), 여러 개의 캔바스에 나누어 그린 후 합쳐서 만든 거대한 하나의 작품
<버츄얼리티(Virtuali-Tee)>

<출제의도>
- 사회적 주제와 상상력에 대한 문제입니다. 또한 현실 세계와 디지털세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메타버스 시대에 있어
증강현실에 대한 이해 능력과 기본적인 표현 능력을 보는 문제입니다.

<평가기준>
- 현실세계와 디지털세계를 연결하는 상상력
- 디자인적 묘사를 통한 상상력의 표현 능력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