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1.

창작의 시작,
주제와 발상( p.4)
▼신화, 종교, 전설을 이야기하다.
-예술가들은 신이라는 상상속의 존재를 형
주제 상화하고 보이지 않는 존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글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신
화와 종교적 가르침을 전하기도 한다.
주제는 작품을 통해 작가가 전하고 싶은 이야기
의 핵심이다. 예술가들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직접적인 설명에서부터 문화적 배경을 담은 상징
까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인간과 삶에 대해 소통하다.

인간과 삶에 대한 관심은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미술의 주제이다.
자연으로부터 얻다
예술가들에게 자연은 표현의 주제이
자 소재로 미적 영감의 원천이며, 동
경의 대상인 동시에 문화에 대비되
는 원초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풍경화는 자연과 문화에 대한 인간
의 다양한 시각을 반영한다.

모네(Monet, Claude/1840~1926/
프랑스)의 〈수련 연작〉이 전시된
프랑스 파리 오랑주리 미술관
(2012년)

특이한 형태와 색채의 하늘 간헐 온천(Fly Geyser/미국 네바다 주)


<루앙대성당> 모네, 캔버스에 유채
끌로드 모네 < 인상: 해돋이 > 1872년작. 교과서 112쪽
꿈과 상상의 세계를 담는다
-예술가들은 이성적 질서로 설명할 수 없으며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세계, 즉 꿈, 환상, 공상 속 이미지를 표현하기도 한다.

박경률 <아버지의 세계>, 캔버스에 아크릴물감, 2011년


알고 가기: 이렇게 주제 찾기 어때요?
• 사물에서 연상되는 에피소드를 찾는다.
• ‘만약’을 붙여 자신과 세상 이야기를 만든다.
• 꿈과 해몽을 이야기해 본다.
•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해 본다.
• 사물의 용도를 다르게 생각한다.
• 교훈적인 주제를 찾아본다.
• 우주, 교실, 극장, 도서관, 미술실 등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상의 장면을 생각한다.
• 개성 있는 나라, 사람들을 찾아본다.
• 나를 자랑한다.
• 가족의 소중함을 표현해 본다.
• 손과 발을 이용해 이야기를 만든다.
• 사회적 현상(전쟁, 자연 훼손 등)을 고발한다.
• 기쁨, 슬픔, 평온, 격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발산한다.
• 소지품과 자신을 연관시켜 발상한다.
• 내가 가장 싫어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표현한다.
• 은유적으로 빗대어 생각한다.
• 좋아하는 영화를 보며 주제를 찾는다.
발상
발상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는 예술적 표현 활동이다. 명상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떠
오르는 자연적 발상도 있지만, 단서가 되는 이미지를 선정하고 의도적인 사고 과정을 거쳐 하나
의 독립된 형태로 완성하는 좀 더 조직화된 발상도 있다.

헤머트(Hemmert, Hans/1960~/독일) 무제 초현실적 풍경 자연물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체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작가
(풍선에 공기, 풀/900×550×650cm/1998년) 는 사람이 죽으면 그 육신은 한 줌의 흙이 돼 자연과 하나가 된다는 것을 모티브로 인
간의 본질에 대해 표현한다.
박정용(1984~/한국) 달려가다(캔버스에 유채 물감/162.2×130.3cm/2013년)
박정용 <달려가다> 캔버스에 유채
다양한 발상을 위한 팁

발상의 시작은 내가 보고, 느끼는 일상에서부터 시작된다. 나의 감각을 확장하여


자연, 사회, 역사, 종교, 우주로 뻗어 나간다면 독특하고 참신한 발상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 가설에 의한 발상 가설을 세워 상상하고 추리한다.


• 대비 발상 서로 다른 것을 대비시킨다.
• 반대로 생각하는 발상 기존의 개념이나 가치를 정반대로 생각한다.
• 고정 관념에서 탈피해 보는 발상 고정 관념을 깬 발상을 해 본다.
• 온고지신(溫故知新) 옛 것을 통해 새로움을 발견한다.
• 유사 발상 유사한 주제를 연결시킨다.
• 사실이나 현상에 대해 의문을 품어 보는 발상 어떤 보편적인 사실에 의문을 품어 본다.
• 상식을 뒤엎어서 생각해 보는 발상 상식을 뒤집거나 벗어나 발상해 본다.
• 시점(관점)을 바꾸어 보는 발상 사물을 관찰할 때 정면, 측면, 후면, 수직, 수평 등
입체적으로 관점을 바꾸어 다양하게 관찰한다.
• 하이브리드(hybrid)에 의한 발상 다른 영역을 복합적으로 결합한다.
1. 마인드 맵으로 발상하기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한 마인드 맵을 통하
여 창의적인 표현을 해 보자. 중심부에
주제를 잡는 것이 좋으며, 가지마다 이미
지와 색을 달리해서 변화를 주는 것도 좋
다. 또한 상관 관계 표시와 그룹 짓기를 해
도 좋다.

마인드 맵(mind map)


주제에 대한 마음속의 생각을 핵심 단어,
이미지, 색을 사용하여 지도를 그리듯이
방사형으로 구조화하는 발상 방법이다.

김영서(학생 작품)
자연 세계(종이에
김현성(학생 작품) 배달 음식(종이에 펜과 색연필/21×30cm/2016년)
아크릴 물감/30×
42cm/2016년)
2. 접착 메모지 발상법
접착 메모지로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언어를 나열해 보자. 언어는 개념을 지배하
는 중요한 도구이기 때문에, 언어에 의해 예술적 이미지들이 발현되고 결합되어
독특한 주제를 탄생시킬 수 있다.

접착 메모지 발상법
접착 메모지를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정리하고
분류하는 발상법이다. 접착 메모지의 특성상 쉽게
아이디어를 더하거나 빼거나 옮길 수 있으므로 빠르게
분류, 정리하고 재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브레인스토밍 발상하기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은 두뇌에서 폭풍우가 몰아치는
것과 같은 현상을 비유한 말로 ‘양이 질을 낳는
다’라는 원칙에 따라 떠오르는 생각이나 아이
디어를 무조건 이야기하고 집단이 함께 생각을
발전시켜 나가는 방법이다.

브레인스토밍 규칙
브레인스토밍에는 지켜야 할 몇 가지 규칙이 있다.

1.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기발한 아이디


어와 창의적인 생각을 유도한다.
2. 타인의 생각에 대한 비판을 하지 말아야 한다. 다른
사람이 의견을 제시했는데 좋지 않다고 비판해 버리면
다음부터 의견 개진율이 급감해 버리기 때문이다.
3. 양질의 의견보다는 많은 양의 의견을 선호해야 한다.
높은 수준의 의견을 내놓기보다는 우선 자유롭게 아이
디어를 많이내어 좋은 아이디어를 선별하는 데에 중점
을 둔다.
4.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활용해 자신의 생각을 더하 권소정 외 5명(학생 작품) 나의 내면(종이에 색연필과 파스텔/30×42cm/2016년)
거나 뺀다.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에 자신의 생각을 더
하고 빼면서 더 창의적인 것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
이다.
4. 단어 나열을 통한 자동기술법

자동 기술법(automatism)
자동 기술법은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사용한 방법이다.
습관적 생각이나 고정 관념, 이성의 작용 등을 배제하고
무의식 상태에서 솟아오르는 이미지나 글들을 그대로
기록함으로써 새로운 발상을 추구하는 것이다.
활동 5 스캠퍼로 발상하기
스캠퍼는 기존의 것을 재구성하는 발상법이다.
개선하고 싶은 과제나 주제를 먼저 선정하고, 그
대상에 대해 대체, 조합 등 스캠퍼 질문들을 던
져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려 보자.

스캠퍼(SCAMPER)
• Substitute 대체하면? 사물의 소재, 형태, 용도,
방법 등을 다른 것으로 대체해 본다.
• Combine 조합하면? 사물 또는 사물의 기능을 결합하

새로운 대상을 만든다.
• Adapt 적용/응용하면? 원리나 방법, 형태 일부를
변형하여 다른 대상물에 응용한다.
• Modify/Magnify/Minify 확대하면 또는 축소하면?
크기, 무게, 모양, 색깔, 냄새, 기능, 배치, 디자인을 키
우거나
줄이는 등 대상의 일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시킨다.
• Put to other uses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
어떤 사물이나 아이디어를 전혀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
• Eliminate 제거하면? 대상의 성분, 기능 등 일부분을
없앤다.
• Rearrange/Reverse 재배열하면? 뒤집으면? 일의 형식,
순서를 재조정하거나 거꾸로 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다.
김시온 외 5명(학생 작품)
안경 스캠퍼(종이에 아크릴물감/30×42cm/2016년)
교과서 9쪽

필립 하스,

사계 중 겨울-
아르침볼도를
따라서
<겨울>, 아르침볼도 필립하스
6. 강제 결합을 통해 발상하기

강제 결합법은 어울리지
않는 요소들을 강제로 결
합함으로써 새로운 아이
디어를 창조하는 방법이
다. 사물을 보며 다른 무
엇인가와 결합시켜 독특
한 발상을 해 보자.

김가은 외 4명(학생 작품) 강제 결합법 아이디어 정리 김은영(학생 작품) 바나나침대


(종이에 펜과 색연필/30×21cm/2016년) (종이에 아크릴 물감/
25×20cm/2016년)
7. 언어에서 이미지로 전환하기

언어를 통해 발상하고 이미지로 시각화 할 수 있다.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와 관련된 단어들을 떠


올려 보고, 각 단어의 이미지를 조합해 보자

1. 자신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단어 8가지(명사, 형


용사, 동사, 감탄사 등)를 적어 본다.

2. 위의 단어들을 각각 그림으로 표현한 후, 이미지를


조합한다.

김민지, 김은영(학생 작품) 나(종이에 아크릴 물감, 색연필, 펜/20×27cm/2016년)


< 작품 설계, 아이디어 시각화 >

1. 주제(키워드) 설정 이중섭(1916~1956/한국) 길 떠나는 가족(부분/종이에 연


-사랑하는 가족, 그리운 가족 필과 유채 물감/20.3×26.7cm/1954년)

2. 자료수집 및 이미지 연상 3. 주제 정교화 스케치, 에스키스


-가족들과 행복했던 추억을 떠올
리며, 우리나라나 외국의 신화 속
이상 세계에 대해 연구한다.
4. 완성

이중섭
(1916~1956/한국)
신화에서(종이에
청먹, 채색/
9×14cm/1941년) 소달구지를 끄는 작가와 달구지에 탄 아들들과 부인의 행복한 모습을 그려 가족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하였다.
이중섭(1916~1956/한국) 길 떠나는 가족(종이에 유채 물감/29.5×64.5cm/1954년)
이중섭 <길 떠나는 가족> 종이에 유채 물감, 1954년작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