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 ➺

Clarinet&Basson 관현악연주법

202331051 클라리넷 이은호 ( 석


사)
202334019 클라리넷 경해봉 ( 박


목차 (Contents)

클라리넷의 발달과정

바순의 발달과정

구조와 명칭
클라리넷의 종류와
연주기법


클라리넷의
발달과정  클라리넷 명칭의 기원

클라리넷의 고음역 음색이 당시 트럼펫이었던 클라리온와 비슷하다


느껴 악기이름을 작은 클라리온이라는 의미의 클라리네트 or
클라리네토라고 붙였고 지금까지 이어져 클라리넷이 되었다 .

 최초의 클라리넷

18 세기 초 크리스토프 데너가 프랑스의


샬뤼모라는 민속악기를 모델로 삼아 클라리넷을
만들어냈다 .

 몸체 상단 앞뒤에 하나씩 총 2 개의 키를 부착해 1.5


옥타브였던 음역을 3 옥타브로 넓히고 개구부를 벨
모양으로 넓혀 저음의 소리를 키웠다 .


18c-20c 까지의 클라리넷
10 키 (Key) 의 C 조 클라리넷

4 키의 나무 클라라넷

1750 1808-1810 년추정 1811-1823 년추정 1811-1823


년경 년추정

스트라스부르그의 Bühner &Keller


뮐러식의 13 키 클라리넷
가 제작한 8 키의 클라리넷
4
독일식 클라리넷과 프랑스식 클라리넷

5


클라리넷의 음역과 특징
 클라리넷의 근본인 클라리온와
샬뤼모는 아직까지도 클라리넷 연주에
남아 저음역은 샬뤼모 음역이라 불리고
중음역은 클라리온 음역이라고 불리고
있다 .

 샬뤼모 음역은 어둡고 음침한 분위기를 나타내지만 가끔


익살스러운 표현을 나타내는 장면에서도 쓰이고 있다 .

 클라리온 음역은 옛 클라리온의 음색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일반적으로 클라리넷 이라고 하면 이
음역을 떠올리는데 맑고 포근함 음색을 낼 수 있는 중간
음역 이다 .

 클라리넷의 고음역은 다른 용어로 알티시모 (Altissimo)


음역 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는데 찌르는 듯하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기도 하지만 화려하고 빛나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 . 6


 바순은 영국과 프랑스식 명칭이며 바순과 관련된 다양한
은연중에 같은 더블리드 악기인
오보에족의 베이스를 가리키고 있다 . 이름들
 바순의 이탈리아와 독일식 명칭은 파곳
(fagotto,Fagott) 인데 ,
이것은 이탈리아어의 il-fagotto( 묶음 ) 와
라틴어 Fagus( 너도 밤나무 ) 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

 파곳 (Fagott), 커틀 (Curtal), 둘시안


(Dulcian) 등은 바순과 혼용되기도 하고 ,
때로는 아예 다른 악기를 가리키는
이름이기도하다 . 이 이름들이 일관성을
가지고 사용된 것도 아니었고 , 이 이름이
지칭하는 악기는 모양새도 매우 다르다

 둘시안은 바순과 가장 가까운 고악기다 . https://youtu.be/jRU1IzlZRu8?si=PuJyRAaAlhW8SKEP




바순의 발달과정
바순 음역대와 종류

바순의 음역은 B♭1( 시♭ ) 음부터 F5( 파 ) 음까지 세


옥타브 반에 이른다 .
바순 악보는 주로 낮은음자리보표에 기보하며 , 음역이
높을 경우 테너음자리보표를 사용한다 .
바순은 실제 소리나는 음과 기보된 음이 동일하다 .

바순은 목관악기 섹션에서 테너와 베이스 음역을 ,


콘트라바순은 베이스와 콘트라베이스 음역을
담당한다 .
https://youtu.be/nrvMrjWxWxk?si=Zv8j6Yrg-MLbdjNz
9


구조와 명칭  크룩 (crook or bocal)
 마우스피스 (mouth  테너 조인트 (tenor joint)
piece)  버트 (butt or bottom)
 배럴 조인트 (barrel  베이스조인트 (bass joint)
joint)  벨 (bell)
 윗관 (upper joint)
 아랫관 (lower joint)  바순의 전체 관의 길이는
 벨 (bell) 295cm 이지만 연주를 위해
조립된 악기의 길이는
 클라리넷은 벨과 150cm 이다
마우스피스를 포함한
전체의 길이가  바순의 관을 만드는데
67cm(Bb),71cm(A) 이 쓰이는 재료로는 단풍나무
다. ( 독일식 바순 ) 장미나무
( 프랑스식 바순 ), 이집트
 클라리넷 재질 또는 소 아시아산의
그라나딜라 ( 무화과나무 등이 쓰인다 .
아프리카흑단나무 ) 라는 10

11
 리드는 ‘ Arundo Donax’ 또는 ‘ Music cane’
이라고 불리는 갈대과의 식물로
만들어지는데 그 줄기를 케인이라고 하며
케인의 크기나 모양은 대나무와 비슷하게
생겼다

 케인은 남부 프랑스 , 스페인 , 이탈리아의


해안이나 지중해 연안지역의 늪지대나
해안근처의 웅덩이 또는 냇가 등에
자생하는 큰 갈대의 일종을 칭하나 ,
리드용 케인은 자생이 아닌
목관악기용으로 재배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베어내는 과정부터 주의 깊게 건조된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https://youtu.be/SmcejnpvI1s?si=aODGnc4zqNWaBBhm

https://youtu.be/8-PRA2U44fE?si=-wXeFrGWccXN1gMZ
12
클라리넷 종류
 클라리넷은 단일 악기만으로 대규모
편성의 관현악곡도 연주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 이는
클라리넷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

 악기 크기와 음높이가 다양하여 24


종 이상의 악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https://youtu.be/8xDFOWj2Ne8?si=quJvNN64g_TMLE-Q
14
클라리넷의 다양한 기법들
 글리산도 (Glissando)
입술의 압력과 동시에 키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며 얻을 수 있는 주법이다 .
https://youtu.be/cH2PH0auTUU?si=TkPad9ZTPdr3UEy3

 플라토텅깅 (Frullato)
비브라토의 일종으로서 혀의 떨림에 의한 방법과 인후를 진동시킴으로써 가능하다 .
https://youtu.be/pZ9mNVd3a40?si=-1E-8Fl_WW51RzN
l
 슬랩텅깅 (Slaptongue)
입술사이에 혀를 밀어 넣음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막는 기법
이 효과는 낮은 음역과 중간음역에서 더 효과적이다 .

https://youtu.be/BsHgv5U_AHA?si=y4X_2tjXmSjgTMCo

 멀티포닉스 (Multiphonics)
다성연주기법으로 음을 연주할 때 동시에 여러음이 나는 주법 https://youtu.be/qYe0TCQLfY8?si=e2
-EGHRtSEPg_EjJ
https://youtu.be/6hxKESWf3Kk?si=GJfs2Jxb5pPrMhZu 순환호흡
15
❊ ❊

감사합니

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