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1

lOMoARcPSD|10237456

한.베 관용표현 대조 - hope it will help you

Văn học Hàn Quốc (Trường Đại học Hà Nội)

Scan to open on Studocu

Studocu is not sponsored or endorsed by any college or university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UCI]I804:11028-200000282877

석사학위논문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베 관용표현 대조 연구

A Contrastive Study of Idiomatical Expressions in Korean


and Vietnamese

상명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전공

팜 응웬 녓 브이

2020 년 2 월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석사학위논문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베 관용표현 대조 연구

A Contrastive Study of Idiomatical Expressions in Korean


and Vietnamese

상명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전공

팜 응웬 녓 브이

2020 년 2 월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베 관용표현 대조 연구

A Contrastive Study of Idiomatical Expressions in Korean


and Vietnamese

지도교수 이 지 영

본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상명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전공

팜 응웬 녓 브이

2020 년 2 월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팜 응웬 녓 브이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

심사위원 !

심사위원 !

상명대학교 대학원

2020 년 2 월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차 례

표 및 그림차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

국문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

1.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3. 선행 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2.1. 관용표현의 개념 및 범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2.2. 관용표현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3. 한국어-베트남어 관용표현의 형식 대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3.1. 관용표현 형식 대조 분석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3.2. 관용표현 형식 대조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3.2.1. 동형동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3.2.2. 부분 동형동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3.2.3. 이형동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3.2.4. 동형이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3.2.5 한국어에만 있는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4. 한국어-베트남어 관용표현의 문화 의미 대조 ·
··
·
··
··
··
·
··
··
·
··
··
··
·
··
··
·
··
··
··
·
··
··
·
·58

4.1. 문화와 관련된 관용표현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4.2. 관용표현의 유래와 문화 의미 대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4.2.1. 생활 문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4.2.2. 민속 문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4.2.3. 자연 문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4.2.4. 신체 언어문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4.2.5. 기타 언어문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5.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7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8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표 및 그림 차 례

<표 1> 사전의 관용표현 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표 2> 학자별 관용표현 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표 3> 베트남어 관용표현 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표 4> 관용표현의 분류 및 비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5> 동형동의 관용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표 6> 부분 동형동의 관용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표 7> 이형동의 관용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 8> 문화 요소와 관련된 관용표현의 분류 및 비율 ·


·
··
··
·
··
··
··
·
··
··
·
··
··
·
··
··
··59

<표 9> Ô 의식주Õ 문화와 관련된 관용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표 10> Ô생활용품Õ 과 관련된 관용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표 11> Ô전통 문화Õ와 관련된 관용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표 12> 자연 문화 관련 관용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표 13> 신체 언어문화 관련 관용표현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표 14> 신체 언어문화 관련 관용표현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표 15> 기타 언어문화 관련 관용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그림 1> 무릎을 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그림 2> 날개( 를) 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 i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국 문 요 약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베 관용표현 대조연구

외국어 습득에 있어 그 나라의 역사, 가치관, 문화 및 예절, 사고방식

을 안다는 것은 유용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관용표현을 연구하는 것은 매

우 유의미한 작업이다. 관용표현은 한 나라의 역사, 가치관, 문화, 사회적

인 요소들이 반영 되는 표현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관용표현은 두 개 이

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전혀 다른 제3의 의미를 나타낸다. 따라서 문화적

배경이 다른 외국인 학습자가 배우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와 베트남어 관용표현의 대응

형태와 의미, 문화요소들을 대조 분석함으로써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한국

어 관용어 표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본 연구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제2 장에서는 국어와 베트남어

관용표현의 정의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양국의 관용표현은 둘 이상의 단

어가 결합하여 구와 절의 형태로써 제3의 의미를 나타내는 특수 표현이

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제3장에서는 관용표현 목록을 제시하였다. 목록

선정은 한국어 교육기관인 경희대, 서울대, 연세대 총 세 개의 대학교에

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 그리고 베트남 대학교와 베트남에 있는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교재에 나오는 관용표현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

고 베트남에서 출판한 한- 베 사전에 나오는 관용표현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교재에 나오는 관용표현 및 사전에서 나타나는 관용표현 목록 중 두

- ii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번 이상 나타난 관용표현을 정리하였다. 선정한 관용표현 133개를 바탕으

로 김은령(2014) 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동형동의 표현, 이형동의 표현, 부

분 동형동의 표현, 동형이의 표현 및 한국어에만 있는 표현으로 5개의 유

형을 분류하여 대조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동형동의 표현은 33개, 부분

동형동의 표현은 46 개, 이형동의 표현 49 개, 동형이의 표현 1개, 마지막으

로 한국어에만 있는 표현은 4 개였다. 한국과 베트남은 같은 한자-유교 문

화권이라는 공통점이 있어서 문화와 일상생활에 비슷한 점이 많기 때문에

생각보다는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관용표현의 표현 양상에 대한

의미 파악이 가능했다고 본다.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관용표현과

베트남어 관용표현을 대조 비교를 함으로써 관용표현을 효과적으로 학습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이다.

- iii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관용표현은 유행어처럼 한 순간에 만들어져서 사라져 버리는 말이 아

니라 오랜 시간 언중에 의해 사용된 말을 의미한다. 관용표현은 한국어의

특징일 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나라의 언어에서도 나타나는 일반적인 표

현 양식이다. 한 나라의 관용표현은 그 나라의 사회, 역사, 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특수한 표현 양식이기에 사회, 문화,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 없

이 외국인 학습자들이 관용표현을 학습하기는 쉽지 않다.

관용표현을 습득하고 자유롭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표현을 구성하

는 어휘뿐만 아니라 관용표현에 담긴 그 나라의 문화도 자세히 알아야 한

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관용표

현을 어떻게 가르치느냐 하는 문제는 한국어 교육에서는 매우 중요한 연

구 과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한국어와 베트남 관용어에 대한 연구는 다른 언어연구에 비

하여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용어 연구의 필요성과 현실의 괴

리로 인해 이 연구의 의의가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 또한 베트남과 한국

관련 연구자나 학습자에게는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면 포

괄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 문화, 사회 측면에서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밝고 확장된 미래와 함께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1 )

1) Nguyen Thi Thanh Hoa(2013)는 한국은 베트남에서 최고의 투자 국가 중 하나이며,


한국어 능력이 있으면 한국 기업이나 여행 회사에서 좋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기회가

- 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이러한 양국의 관계를 고려해 볼 때도 사용자의 번역 오류를 극복하기 위

한 두 언어 간의 대조연구가 시급하다.

베트남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관용표현을 자주 사용하지만 대화할 때

습관적으로 사용하면서 왜 이렇게 표현하는지 또는 베트남 사람인데 베트

남의 관용표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면 다른 나라의 관용표현

을 공부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 Phan Hoang Tan(2017)의 연구에 따르면,

속담의 의미를 알고 있는 고등학생은 89.72%를 차지하지만 관용표현을 아

는 경우에는 13.01%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 결과가 나왔다.2) 그러나 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할 때 관용표현을 알고 있는 학생 비율이 43.62%

에 달하였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은 생활과 공부 환경의 큰 변화로 인해 의사소통

의 필요성이 증가하며 의사소통 목적을 지원하기 위해 관용표현 사용이

더 필요하므로 고등학생보다 대학생들이 관용표현을 더 자주 접하기 때문

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등학교보다 대학교에서 공부하는 요구 사항이

높기 때문에 학생들은 학업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관용표현 사용을 포

함한 여러 언어 능력을 익히게 된다. 특히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공부할 때 유능한 한국어 구사자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재나 한국어

매우 많다. 베트남에서는 한국어 전공이 있는 대학교와 한국어학원이 점점 늘어나면서


매년 수적으로 증가하는 학습자를 끌어 들이고 있다.
2) Phan Hoang Tan(2017)은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이 현상은 여러 가지 이유로 설명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학교의 교과서 내용이 속담 용어만 중심적으로 언급하지만 관용표현
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다. 속담 개념과 속담 사용 방법은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수업에서 널리 배운다. 그러나 관용표현에 대한 내용은 교과 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
다. 따라서 학생들은 속담 개념을 더 많이 접하게 되나 관용표현 개념에 접하는 기회가
없다. 두 번째, 관용표현 특성과 속담 특성이 다름으로 인해 학습자 인식에서 남기는 인
상이 다르다 . 베트남 속담은 고정식이며 특정 조건은 보장해야한다는 특성이 있다 . 한편
관용표현은 습관에 의해 형성되는 특성이 있으며 특정 조건 사항이 없다. 따라서 속담은
종종 새롭고 호기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재미있는 기억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관용표현은
학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지 않으므로 쉽게 잊어버린다.

- 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능력시험 문제에서 자주 나오는 한국어 관용표현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

다.

본고는 이러한 필요성을 절감하기 때문에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이 효

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관용표현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하기로 한다. 특히

한국어 관용표현은 베트남어 관용표현과 형태는 같으나 의미 파악이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해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관용표현을

대조 분석하기로 한다. 즉,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단어 중

한국인의 풍습과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관용표현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

다. 한국어 표현 중 Ô외래어, 방언, 속담, 관용표현, 금기어, 호칭, 인칭대

명사, 의성어, 의태어Õ 등은 대체로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알아야 하고,

문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3) . 따라서 한국어 학습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한국어 관용표현은 매우 중요하다.

1.2. 연구 내용 및 방법

관용표현은 둘 이상의 단어가 합성되어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의미

단위이다. 즉, 관용표현이란 두 어휘 이상이 결합하여 다른 제3의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그래서 관용표현을 배울 때, 구성 요소 A와 B의 의미

를 전부 다 알더라도 총체의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가 있다. 특히 관

용표현의 경우, 모국어 화자가 일정 부분 습관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외

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학습하는 데 있어 제일 어려운 부분이라고 볼 수 있

다.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공부할 때 한국어 관용표현을 배워도 한

국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한국 문화나 한국 생활

3) Myat Thida Oo (2016:1)에서 내용을 참고함

- 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속에서 나타내는 표현이기 때문에 문화생활을 직접 접한 경험이 없는 베

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잘 응용할 수 없다. 따라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관용표현 사이에는 차이점뿐만 아니라 공통점도 있어서 두 언어의 관용표

현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면 의사소통에 크게 도움이 된다.

관용표현 속에 숨어 있는 어려운 어휘들은 바로 확인하도록 구성하고

예문을 수록하여 해당 표현을 어떤 경우에서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자연

스럽게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 한국어 관용표현 목록을 선정하고 대응되

는 베트남 관용표현을 찾아보고 비교하는 것만으로도 한국어 관용표현을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에서 연구의 목적,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그리고 국어교

육학의 관용표현 연구, 한국어 교육학의 관용표현 연구, 한국어와 외국어

대조언어학에서 관용표현 연구를 나누어서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제2 장에서 각 언어에서의 관용표현 개념, 범주, 특징 등 관용표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다.

제3 장에서 한국어 교육 기관인 세 개의 대학교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

는 교재에서 나타난 관용표현, 베트남에 있는 한국어 교재나 사전에서 나

오는 관용표현으로 선정하고 표현 형식 및 의미에 따라 다섯 가지 유형

즉 동형동의 표현, 이형동의 표현, 부분 동형동의 표현, 동형이의 표현 및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표현으로 나누고자 한다. 또한 관용표현의 품사와

의미에 대해 간단하게 밝혔다. 그리고 예문을 제시하여 이를 통해서 학습

자가 관용표현을 사용하는 환경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제4 장에서는 대조 대상인 관용표현 중에 조항록(2004), 김명화(2013)

에서의 논의에 따라 한국어 관용표현의 문화 의미를 다섯 가지-생활 문

화, 민속 문화, 자연 문화, 신체 언어문화, 기타 언어문화-로 분류해서 양

국의 문화를 살펴보았다. 관용표현에서 나타나는 한국 문화와 베트남 문

- 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화의 비슷한 점과 차이점을 모색해, 한국어 관용표현을 통해 베트남 학습

자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흥미도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양국의 문화 차이를 알아보면서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같은 형태인데 다

른 의미를 가지는 표현을 제시해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활용

능력을 높이고자 한다.

1.3. 선행연구

1.3.1. 국어교육학의 관용표현 연구

국어의 관용표현에 대한 연구는 개념, 범주, 명칭, 형태적, 생성 요인,

의미적, 통사적, 활용적인 특징과 유형분류, 의미구조 등 여러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관용표현의 개념이나 범주에 대한 논의하는 김문창(1974), 정옥주

(1984), 황수미(1994), 이창호(1997) 등을 들 수 있다. 홍미랑(1989), 강위규

(1990), 문금현(1990), 최경봉(1992), 김진해(1995), 심지연(2009) 등의 논의

들은 관용표현의 개념이나 범위를 구분할 뿐만 아니라 관용표현의 의미적

측면에서 여러 유형을 구분하거나 관용표현의 의미 형성을 언급하였다.

강위규(1990)는 관용표현을 일종의 은유 표현이라 규정한 후 은유가

사은유가 된 후 관용표현으로 생성된다고 논의하였다. 문금현(1990) 은 한

국어 관용표현을 형태적 Ô 의미의 불투명성 여부, 사적제약의 정도성, 고정

성 여부Õ를 기준으로 하여 반투명한 유형, 반불투명한 유형 또는 불투명

한 유형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최경봉(1992) 의 연구는 국어 관용어가 의

미적인 측면에서 어려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해당 연구

에서 Ô 의미적 관련성 단절, 유추 불가능성, 의미의 전이, 단일 의미소를

- 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기반으로 관용어의 합성성을 정도에 따라 반투명 관용어, 반불투명 관용

어 그리고 근접투명 관용어를 나누었다.

김진해(1995)는 관용어의 형태 및 통사론적 제약을 논의하였다. 관용

어마다 다른 제약을 보이는 수식, 피- 사동, 주제화 및 분열문 변형등의

통사적 변형은 관용어가 어떤 어휘소를 형성하는가에 따라 좌우 된다고

논의하였다. 심지연(2009) 은 관용어의 의미적 특정으로 Ô관용 의미의 합성

성, 관용 의미 합성의 정도성, 그리고 관용 의미의 비유성Õ 으로 나누어 설

명했다.

이상의 논의들을 관용표현의 유형에 관심을 가지거나 관용표현의 의

미의 정도성을 인식한 연구들이라는 면에서 의미가 있으나 그 근간은 기

존 의미론의 관점을 따른다는 것이 특징이다.

1.3.2. 한국어 교육학의 관용표현 연구

외국어로서의 관용표현 교육에 관한 초창기 연구자인 유덕자(1997)를

비롯해 2010년 전에 한국어 관용표현에 대한 연구 수가 약간 적지만 외

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특히 한국어 관용표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

2010년 이후에는 김은경(2010), 구효진(2010), 김애심(2017), 권현지(2017)등

을 중심으로 한 연구를 볼 수 있다.

유덕자(1997)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측면에서 관용어 교육에

대해 교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적절한 문맥 및 상황에 맞는 다양한 예문을 들고 그 안에서 생소한 관용

어와 함께 한국 고유 문화를 익혀나가는 것이 관용어를 이해하고 표현하

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 구효진(2010)은 더 나아가 외국

인 학습자에게 관용표현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탐

- 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구하여 수업지도안 모형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재에 실린 관용표현 목

록을 모두 만들어 각 학교별로 어휘 목록이 어느 정도로 일치하는지를 분

석하고, 관용표현을 Ô 초급, 중급, 고급Õ중 주로 어느 단계에서 다루고 있는

지를 파악하였다. 특히 한국어능력시험에 나타난 관용표현을 정리하여 관

용표현이 학습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제시되는지, 어휘수와 목록은 어느 정

도 일치하는지를 교육기관의 교재와 비교·분석했다.

또한 김선정"강현자(2006), 송혜원(2005), 윤지훈(2007), 전혜영(2001),

조현용(2001), 김애심(2017), 권현지(2017), 최유나(2017) 등도 교재에 반영

된 관용표현 교육에 대한 연구들이 있다.

전혜영(2001)은 관용표현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법은 세 단계로

제시되었으며 각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자세히 논

의하였다. 조현용(2001)은 어휘교육의 일반적인 측면을 다루기 위해 관용

표현 교육의 시기와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Ô 비언어적 행

위 관련 관용표현Õ이라는 용어는 행위와 관련된 표현을 의미하고 의사소

통을 잘 하기 위해 비언어적 행위와 관련된 한국어 관용표현에 대한 교육

방안을 강조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비언어적 행위 교육의 현

황을 검토하여 관용표현의 목록을 선정하였다. 송혜원(2005)은 한국어 교

재에서 출현한 관용표현을 분석하며,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관용표현 의미

의 투명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관용표현의 목록을 마련하였다.

또한 학습 단계별로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김선정"강현자(2006)는 한국어 능력 시험에서 나오는 관용표현과 교재

에서 나타나는 관용표현을 정리하여 분석하며 한국어 관용표현을 위한 교

육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관용표현에 대한 교재 모형을 제시하였

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윤지훈(2007)은 선행연구를 기준으로 관용표현의

범주와 정의를 규정하였다. 요지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관용표

- 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현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관용표현의 개념이나 범주를 명확하게 정

해야 한다고 주창하였다. 그 부분이 명확해질 때 관용표현 교재나 교수법

에 대한 체계가 이루어지고, 다양한 방안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학습지도 방법도 더불어 논의하였다. 최유나(2017)는 한국

어 교재 및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관용표현, 인식 조사 등의 분석 결과로

관용표현 목록을 초금, 중금, 고급으로 만들고 단계별로 교육방안을 제안

하였다. 등급 기준은 사용빈도, 난이도, 투명도에 근거하여 등급별로 분류

하였다.

권현지(2017)는 관용어 안에 내포되어 있는 한국의 문화 요소 추출의

목적을 가지면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활용 방안과 교재를 분석

하였다. Ô 생활 문화, 자연 문화, 신체언어문화, 민속 문화, 기타 언어 문화Õ

로 다섯 가지 분류기준을 제시하여 분석했다. 관용어 교육 방법은 Ô 상황-

문맥을 통한 교육, 문화적 배경을 통한 교육, 의미적 유기성을 통한 교육Õ

세 가지 방법에 언어 교육 문화 교육의 Ô연계성, 적절성, 통합성Õ 을 적용

한 교육 학습 방안을 논의하였다. 김애심(2017)은 관용어를 활용하여 어휘

와 문화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설문조사 결

과 관용어를 통해 어휘와 문화를 같이 학습하는 것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다섯 가지로 문화를 분류한 것을 기초로 어휘와 문화를 통합하여

교육하기에 적합한 모든 모형을 적용해 개발한 모형으로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별 교육방안과 그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들은 한국인 학습자 뿐만 아니라 외국인 학습자까지를 대

상으로 한 연구로 관용표현 교육에 대한 교재를 분석하여 지도 방안을 여

러 가지로 제안하였다. 특히 관용표현 안에 내포 문화 요소를 추출하여

어휘와 문화를 동시에 교육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들이 특히 주목된다.

- 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1.3.3. 한국어-외국어 관용표현 대조 연구

다음은 한국어 관용표현을 대조- 분석한 연구를 언어권별로 살펴보기

로 한다. 언어 간 대조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중국어

와 한국어의 관용표현을 대조한 연구들로 김양옥(2004), 김혜원(2006), 소

적(2012), 교언림(2013) 이 있다. 그리고 신체어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한 대

조 연구는 포사박(2013), 왕부어(2019), 황진리(2019), 왕방(2010), 웅계지

(2010), 이정임(2017), 왕지화(2009) 가 있다.

중국어- 한국어 색채어 관용표현에 대한 대조 연구는 유춘정(2013),

장걸(2016)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문화적으로 접근하여 한국어와 중

국어 관용표현의 양상과 내포 문화를 비교하고 문화 교육을 연구한 황정

아(2008), 우여나(2018), 황정혜(2010)가 있다. 그리고 관용표현을 통해 한

국과 중국의 음식 문화를 대조한 곽문정(2013), 막효뢰(2010), 임자여(2013)

등을 들 수 있다.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관용표현 교육 방안의 연구로는

박융배(2006), 신혜인(2010), Ma Jun(2013), 소천(2013), 요금휘(2011), Li

Shasha(2016)가 있다. 더불어 장정정(2010)이 관용표현 교육의 수준별 목

록 선정 방법을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일본어 학습자를 위한 대조 분석 연구 중 신체 관련된 관용

표현을 대조한 연구로는 윤소원(2004), 장세영(2005), 박승연(2010), 이연니

(2011), 이은정(2015), 하채령(2017), Adachi Norico(2015)가 있다. 그리고 음

식 문화 관련 관용표현을 대조한 김계연(2012)이 있다. 이밖에는 감정 표

현 관련 관용표현을 대조 분석한 두쿠나가 이즈미(1999), 루린지예(2016)

가 있다.

한편 한국어 관용표현을 영어 관용표현과 대조한 김수정(2011), 그리

고 정주은(2016)은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한국어와 영어 관용어를 대조

- 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분석하였다.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관용어를 대조한 연구로 벨라로바 아이게림

(2015)는 양국 간에 신체어휘 관용어에 나타나는 감정 표현을 비교하였다.

한국어 교육을 위한 스페인어와 한국어 관용표현 대조를 연구한 민혜선

(2016),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신체 관용표현을 대조 연구한 나세르자노바

(2016), 한국어와 불가리아어 Ô머리Õ 관련 관용표현을 대조 연구한 Zafirova

Lilyana Dimova(2016), 한국어와 태국어의 신체관용표현을 대조 연구한

Simuang Kewalin (2016)이 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2016 년경에는 한국어

와 외국어 관용표현 대조 연구가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베트남 경우에는 Tran Thi Lan Anh(2011)은 한국 관용표현과

베트남 고정구의 대응을 통해서 양국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알아보고 분석

하였다. 그는 관용표현의 형식, 의의, 특징을 살펴보며 대응을 제시하였

다. 따라서 한국 관용표현을 베트남어로 변역할 때 참조하면 실수를 줄이

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레 타잉 짜(2011)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신체

어휘 관용구의 대조를 하다가 양국의 신체어 의미, 그 신체어를 이용한

관용구 의미 양상을 형식, 의미 관계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하였으나 궁극

적으로 관용의미 생성 양상에 대한 설명이나 그 공통점, 차이점을 초래한

원인까지는 많이 밝히지 못한 점이 있다고 한다. T ran Nguyen My Hoan,

Nguyen Thi My Phuong, Pham Nguyen Nhat Vy(2014)의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관용표현의 구성을 비교하며 양국 관용표현을 통하여 문화에 대

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 베트남 학습자가 한국어 관용표현의 제3 의 의

미를 쉽게 이해하도록 다양한 예시와 베트남어 대응 의미를 제공하였다.

응웬 티 꾸잉 안(2013)의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은유(concetual

metaphor)를 통하여 Ô 미움Õ, Ô두려움Õ, Ô화Õ, Ô기쁨Õ, Ô 슬픔Õ이라는 인간의 기

본적인 감정에 대한 개념화 양태를 살펴보았다. 살펴본 방법과 같이

- 1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Nguyen Nhu Y 외(1993) 『관용구 해명 사전』, Nguyen Luc(2009) 『베트

남어 관용어 사전』 그리고 Nguyen Ngoc Vu(2009) 「신체어를 포함하는

영어 관용구와 베트남어 관용구 대조 연구」 논문에서 추출한 자료를 이

용하여 설정된 다섯 가지 감정, 즉 미움, 두려움, 화, 기쁨, 슬픔은 베트남

어 신체관용표현에서 어떤 생리적 반응을 나타내는지를 정리한 후 이의

개념화 양태를 찾아보았다. 한국어 관용표현에는 은유에 의해 감정을 표

출하는 표현이 주를 이루지만 신체어를 수반하지 않으며 신체 관용어를

사용하더라도 은유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감정으로 표출하는 경우는 극

히 드문 경우라고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관용표현에 대하여 국어학, 양국 언어 간

비교 및 대조분석 측면 그리고 관용표현에 있는 교육 측면으로 기존의 연

구들을 검토했다. 검토한 결과 한국어의 관용표현에 대한 연구들이 한국

어 교육학 및 국어학에서 끊임없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베

트남 유학생이나 베트남 학습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베트남어와

의 비교나 대조 연구가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관용표현에 있어

언어 간 비교나 대조 분석이 미진한 것을 실감하였다. 비교 및 대조 분석

을 통해 한국과 다른 나라 사이에 공통점 및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형태나 의미를 대조할 때 왜 그렇게 표현하는지, 왜 차이가

존재하는지는 아직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국 언어의 관용표현을 대조 분석해 보고 분석 결

과를 바탕으로 하여 베트남 학습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와 사

전에 나오는 관용표현의 목록을 선정할 것이다. 이로 의해 관용표현을 통

하여 양쪽 언어 간 문화적 배경 및 요소를 찾아내고자 한다. 무엇보다 공

통점, 차이점을 찾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차이점의 원인까지도 탐색하고

자 한다.

- 1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1.3.4. 관용표현과 문화의 관계 연구

형태 및 의미를 대조할 뿐만 아니라 관용표현의 표현 양상과 문화요

소를 대조하기로 하기 위해 먼저 관용표현과 문화의 관계 연구들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김명화(2013)는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관용표현

이 포함하고 있는 문화적 의미를 체면 문화, 민속 문화, 음식문화, 결혼

문화, 역사 문화 총 다섯 가지 분류하였다. 조항록(2004) 은 한국 문화 주

제를 Ô 사상 문화, 민속 문화, 의식주 문화, 역사 문화, 제도문화, 예술 문

화, 관념과 가치관, 일상생활 문화, 문학과 기타 총 아홉 가지 분류하였

다. 박영순(2006) 은 한국 문화를 Ô 예술문화, 생활문화, 정신문화, 언어문화,

제도문화, 역사, 문화제, 학문, 산업 기술 총 아홉 가지 분류하였다. 황정

혜(2010)의 연구에서는 한국어 관용표현에 반영된 문화 요소를 범주화하

고 자연법칙, 사고방식, 의식주문화, 전통적 문화, 역사문화, 언어문화로

나누웠다. 관용표현에 반영된 문화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비교문화요소와

대조문화요소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Myat Thida Oo(2016)의 연구에서는

관용표현에 반영되는 문화 주제를 Ô한국인의 가치관, 한국인의 생활, 한국

사회Õ 총 세 가지 나누었다. 이러한 세 가지 주제를 고려하여 한-미얀마

양국 간의 문화 요소를 비교 대조하였다. 조현용(2003) 에 따르면 관용표현

에는 그 언어의 문화가 반영되어 있어 언어문화의 배경을 알지 못 하면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위에 제시한 연구들은 문화를 여러 가지로 분류하지만 베트남

학습자 대상으로 한 연구로 베트남 학습자의 문화를 선택하여 대조하기로

한다. 4장에서는 선정한 관용표현을 Ô생활 문화, 민속 문화, 자연 문화, 신

체언어문화, 기타 언어문화Õ로 다섯 가지를 분류하고자 한다.

- 1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2. 이론적 배경

2.1. 관용표현의 개념 및 범주

한- 베 관용표현의 개념과 다양한 범주를 정리하려고 한다. 관용표현

의 개념과 범주에 대하여 사전적 논의와 연구자들의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2.1.1. 한국어

관용표현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학자들마다 연구 목적과 대상에 따라

관용표현을 지칭하는 말과 정의가 다양하다. 관용어, 관용구, 관용표현,

익힘말, 익은말, 익은이은말, 이디엄, 성어, 성구, 은어, 고사어, 비속어, 숙

어 등과 같은 용어로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관

용표현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관용표현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재를 살펴보면 예문을 통해 관용표현의 의미와 쓰는 방법

을 알 수 있겠지만 더 깊이 연구하면 관용표현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해야

한다.

먼저 관용표현에 대하여 사전적 정의부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 사전의 관용표현 개념

사전 개념

문법적으로 정상적인 이론적인 표현과는 다른 비이론적

- 1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비문법적인 관용적인 표현, 즉 형태론적 관용어, 즉 형

태론적 관용구. 문법적 구조는 정상적이지만, 각 구성

요소의 의미를 그대로 합성해서는 전체적인 의미를 이

해할 수 없는 표현, 즉 의미론적 관용구. 두 부류의 특


국어국문학
성을 모두 가진 표현으로 즉, 의미론적, 형태론적 관용
사전(1971)
구, 또는 둘 이상의 단어가 합쳐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

어 흡사 복합어나 한 단어처럼 쓰이는 숙어도 관용구와

특별한 다름이 없다.

관용구: 형태론적 관용구란 문법적으로 정상적인 논리

적 표현과는 다른 비논리적- 비문법적인 관용적인 표현

이다. 그리고 의미론적 관용구란 문법적 구조는 정상적


국어국문학
이지만 각 구성 요소의 의미들을 그대로 합쳐서는 전체
사전(1987)
적인 뜻을 이해할 수 없는 표현이다. 위의 두 부류의

특성을 다 가진 표현. 즉 형태-의미론적 관용구 등이

있다.

관용표현: 일반적 습관이 되어 사용되는 말. 문법을 굳

언어학 사전 이 지키지 않으나 다년 습관적으로 쓰이는 말로 보통

(1993) 둘 이상의 단어가 합해서 전체가 독특한 의미를 나타내

는 표현이다.

우리말 큰 관용어란 일반적으로 늘 쓰는 말, 익은이은말이다. 관용

사전 (1994) 구란 익은이은말이다.

국어대사전 관용어란 일반적으로 습관이 되어 사용되고 있는 말이

(1997) 다. 또 문법상 논리적으로 맞지 않으며 다년 관용이 되

- 1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어 쓰이는 말이다. 둘 이상의 단어가 늘 붙어서 쓰이는

것 또는 합쳐서 전체가 독특한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

등을 이름이다 (= 숙어, 이디엄 (idiom), 익은말).

관용어란 습관적으로 쓰이는 말이다. 관용구란 두 개

표준국어 이상의 단어를 결합하면서 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

대사전(1999) 의 의미를 기지고 있지 않고, 특수한 의미를 기지고 있

는 어구다 (= 성어. 관용어. 숙어).

새국어대사전 관용표현이란 보통 습관적으로 쓰이는 말이고 문법에

(1999) 어긋나나 오랫동안 관용되는 말이다.

관용표현이란 일반 생활에 관습적으로 쓰이는 말이면서

국어대사전 어법이나 문법으로써 규정할 수 없는 말이다. 문법상

(2006) 논리적으로는 맞지 않고 다년 관용이 되어 널리 쓰이는

말이다.

위 <표 1> 에서 정리한 사전적 정의에 따른 관용표현의 개념은 습관적

으로 쓰는 말로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다른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이라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관용표현에 대해 여러 학자들이 정의한 개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 표 2> 학자별 관용표현의 개념

학자 관용표현 개념

Makkai(1972) 적어도 두 개의 자립 형태소의 존재. 이들 형태소가 다

- 1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른 환경에서 다른 의미로 기능할 수 있는 능력. 의미적

해석상의 관용표현(decoding idiom) 의 중의성. 구성 요소

들의 뜻으로부터 추론 못 하는 의미의 불예측성. 관습

화(institutionalisation).

두 개 이상의 단어로 합쳐 진 언어형태로써 탈문법적이

박영순(1985) 고 비논리적이지만 언중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

는 특수한 말이다.

두 어절 이상으로 구성된 하나의 구(절)로서 문법, 의

미, 통사 등 제 관점에서 볼 때 특수한 구조를 가지며

각 구성요소 간의 종합도가 특별히 긴밀하여 일반적으

김문창(1974) 로 분리불가한 일종의 화석형을 Ô숙어Õ 로 설정하고, 이

를 다시 Ô 의미론적 숙어Õ 와 Ô 통사론적 숙어Õ 로 구분함.

속담, 고사 성어, 은어, 비유어, 금기어, 수수께끼 등을

포함하는 전체를 Ô관용어Õ 로 한다.

두 개 이상의 단어로 합하여 하나의 단어와 다름없는


심재기(1986)
통사적과 화용론적 기능을 수행하는 일군의 결합어휘

관용표현이란 특정 환경에서 경험한 내용을 보다 효과

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태까지 사용해 온 보편적인 표

강위규(1990) 현 대신에 다른 단어 형식을 빌려 표현한 데서 발생되

고, 이렇게 발생된 새로운 표현이 대중성을 얻어 언어

사회에 쓰일 때 관용표현이 된다.

관용어의 의미는 구성 요소의 의미가 아닌 제3 의 의미


임지룡(1992)
를 지니게 된다. 관용어의 구성은 고정된 표현형식을

- 1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띠게 된다.

관용표현이란 습관적으로 굳이 쓰이는 표현이라고 했고

문금현(1996) 관용표현을 협의의 관용표현과 광의의 관용표현으로 나

누었다.

관용표현이란 일정 시간 지속적, 반복적으로 언어 공동


민현식(2003)
체에서 통용되는 표현이다.

Ô언어 내부에서 형식적으로 두 개 이상의 단어를 구성

주경미(2008) 하며, 의미적으로는 구성된 단어의 총체 의미가 아닌

제3의 의미로 나타나고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체Õ라

고 정의한다.

위 < 표 2> 에서 여러 학자들은 관용표현의 개념을 다양하게 정의하였

다. 사용되는 용어가 다양하지만, 공통점으로 추출되는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면 관용표현은 Ô 구조상으로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지만 단일

의미를 가지면 그 의미는 각각의 어휘가 지난 합이 아닌 제3의 의미로 이

해되는 표현Õ이라고 정의한다.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관용표현은 Ô둘 이상

의 낱말이 합하여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습관적인 말Õ 이라고 정의하고 있

어 일반적인 관용표현의 개념과 같은 의미로 정의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관용표현의 사전적 개념과 학자들이 정의한 개념을 종

합해서 다시 정리한다. 첫째 관용표현은 습관적으로 쓰는 말이다. 둘째는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구 또 절 형태이다. 셋째 제3 의 의미를 나타

내는 독특한 표현이다. 마지막은 언중의 근본적인 사고나 사회의 문화를

반연한다.

관용표현의 개념처럼 관용표현의 범주도 학자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 1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있다. 그래서 먼저 학자들이 정의한 범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심재기(1986)의 연구에서 관용어의 화용론적 특징에 따라 관용어를

분석하여 관용표현을 어휘적 측면의 관용표현 (속어, 금기 어, 비유어, 은

어, 비속어) 과 어구 및 문장차원의 관용표현 (고사성어, 속담) 으로 분류하

였다.

양영회(1995)는 관용표현이란 구성 요소들이 합하여 다른 의미를 표

현하는 구 이상의 단위로 한 언어 공동체에서는 널리 쓰이는 언어 형식이

라고 했다. 이러한 관용표현의 하위범주로는 결속 연어, 숙어, 속담을 들

수 있다.

문금현(1966)은 관용표현의 범위를 의미적인 차원과 크게 형식적인

차원에서 관용구절, 관용어, 순수 관용문으로 구분하고, 상용 구절이나 속

담, 순수 직유표현 또는 순수 은유표현은 제외한다고 주장했다.

관용표현의 유형을 분류할 때 넓은 의미의 관용표현과 좁은 의미의

관용표현에 대한 용어를 다르게 사용하거나 기준의 차이로 인해 약간씩

범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나 Ô 관용성Õ과 Ô제3 의 의미의 생산Õ을

관용표현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규정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대체로 일관성

으로 가지고 있다. 관용표현은 다음과 같이 광의의 관용표현 ( 격언과 금

기담, 비유, 간접 화행, 상투적 인사, 상용구절)과 협의의 관용표현 (순수

융합 합성어, 순수관용어, 순수관용구, 속담적 관용구, 순수관용절, 속담적

관용절, 순수관용문, 속담적 관용문, 속담문)으로 분류된다.

2.1.2. 베트남어

대부분 베트남인들이 Ô속담Õ 라는 용어를 알고 있지만 베트남인 학자

들이 Ô 속담Õ과 구별하여 Ôqu‡n d ụng ng ữ/ ng ữ c ố địnhÕ ( 관용구/ 고정된

- 1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구)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일본어, 한국어를 같은 외국어 학습자들

이 Ô 관용어, 관용구Õ 라는 용어를 배우다가 베트남어의 Ôqu‡n dụ ng ngữ/

ngữ c ố địnhÕ ( 관용구/고정된 구)도 있는 것을 알아보았다. 중-고등학교

에서 사용하는 국어 교과서에서는 속담과 성어에 대해 자세히 정의하는

데 반면 소설, 문학 작품, 신문기사, 방송, 실생활에서 늘 사용하는 관용

표현은 언급하지 않는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관용표현을

배울 때 한국어 관용표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베트남어 관용표현도 알아

봐야 한다.

< 표 3> 베트남어 관용표현의 개념

학자/ 사전 개념

관용표현이란 어떤 내용을 강조하고 연결하거나 간


Nguy ễn Thiệ n
접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텍스트에 반복해서 나타내
Gi‡ p (1985)
는 표현이다.

관용구의 의미는 구성 요소의 의미 합이 아니지만

Ho ˆng Ph• 외 습관적으로 쓰여서 관용구의 의미를 판단할 수 있

(2010) 다. 관용구는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고정적인 단어복

합체다.

Nguy ễn V)n Tu 관용구는 구성 요소의 독립된 의미가 궁극적으로 사

(1976) 라지며 의미의 통일체가 이뤄진 고정적인 구다.

관용표현은 구성 요소의 의미 합이 아닌 제3의미를


Nguy •*n Nh+ ,
가진 고정적인 어휘복합체다. 문장에서 단어의 기능
(1996)
을 한다.

- 1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Ho ˆng V )n 관용어 구성 단어의 의미만으로 전체 의미를 관습적

Hˆ nh (2008) 으로 사용되는 고정적인 어휘 복합체라고 한다.

관용구는 상징성을 가진 의미의 완전체로 이르는 고


Hồ L • (1976)
정적인 구다.

위 < 표 3> 를 살펴보면 베트남 사전에서 베트남어의 성어, 관용어, 속

담을 명확히 구분하고 있어서, 관용어와 성어의 구분 요소로서 문장의 구

성 요소인 단어들의 의미로부터 전체 의미 유추 가능 여부를 기준으로 제

시하고 있다. 또한 성어와 속담의 구분 기준은 문장구조면에서 구( 句)와

절(節) 을 기준으로, 내용면에서 교훈, 삶에 대한 풍자 여부에 두고 있지만

일상 언어생활에서 둘 사이의 경계를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아서 한국의

예와 마찬가지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위에서 살펴본 베트남 관용표현의 사전적 개념과 학자들이 정의한 개

념을 종합해서 다시 정리한다. 첫째 오랜 기간 사용되어 익숙하여 친숙하

게 쓰는 말이다. 둘째는 여러 단어로 조합된 정형화된 구문이다. 셋째 구

문을 구성하는 각 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표현이다.

베트남어 관용표현의 범주가 Ô두 개 단어 이상의 구Õ 로 되어 있지만

둘 이상 단일어로 이루어진 구성을 융합합성어인지 관용표현인지 통일되

지 않았다. 이는 베트남어에서 결국 단어와 구의 구별 문제다. Nguy ễn

V) n Tu (1976), Nguyễ n Thiện Gi‡p (1978), Hồ L• (1976), Hoˆng V)n

Hˆ nh (2008) 등이 관용표현의 개념, 범주를 논의하였다. 언어 유형의 특징

으로 베트남어에서 합성어에 대한 개념, 범주가 학자마다 다르고 아직 통

일되지 않고 있다. Nguyễn Tˆi Cẩn (2004)에서는 Ô베트남어에서 합성어와

- 2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구의 경계를 정확히 그을 수 없으며 유동성을 띠고 있다. 따라서 합성어,

구정적인 구, 일반구의 구별은 문법에서 제일 어려운 문제다. 베트남어

화자는 단어보다 형태소-음절 단위를 더 인식하다Õ라고 지적하였다. Mai

Ngọ c Chừ 외(1997)에서는 관용표현이 다음과 같이 속담(Thˆ nh ng ữ)과 고

정적인 구( 고유명사 고정적인 구, 관용어) 로 분류된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관용표현에 대한 개념, 범주의 공통점과 차이점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공통점은Ô 여러 단어의 결합으로 하나의 의미를

형성하는 구로서, 결합 요소인 각 단어의 의미로는 전체 구의 의미를 해

석하기 어렵지만 오랜 기간 사람들이 일상에서 사용하여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는 말Õ 로 정리한다. 차이점은 한국에서는 관용표현을 광의의 관용표

현, 협의의 관용표현으로 분류하고, 베트남에서는 속담과 고정적인 구로

분리한다는 점이다.

2.2. 관용표현의 특성

2.2.1. 한국어

일반적으로 관용표현은 통사적인 특성과 의미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

다. 관용표현의 특성에 대해서 학자들의 견해들이 일치하는 부분도 있고

그렇지 않은 부분들도 있다. 관용표현은 일반적인 특성이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특성의 전부가 모든 관용표현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관용성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강위규(1990)에 의하면 관용표현은 특정 환경에서 경험한 내용을 효

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태까지 사용해 온 보편적인 표현을 대신하여

다른 언어 형식을 빌려 표현한 데서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새로운 표

- 2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현이 대중성을 얻어 언어사회에 통용될 때 생겨나게 된다. 따라서 관용표

현은 다른 양식을 빌려 쓴다는 차용성, 이에 대응되는 일반적인 표현이

존재한다는 동의성, 은유적인 표현에서 비롯된다는 은유성이라는 특성을

지녀야 하고, 동시에 아울러 고정된 형태가 대중성을 얻어 통용된다는 대

중성과 고정성의 특성을 지녀야 한다.

Fernando(1978)는 관용표현의 통사적 기준, 사회언어학적 기준, 의미

적 기준을 제시하여 논의한 바 있다. 그가 제시한 의미적 기준은 중의성,

비합성성, 문자적인 동의어의 존재이고, 통사적 기준은 어휘적인 통사 단

위라는 점, 두 개 이상 단어의 독립형태소로 이루어진 통사 단위라는 점,

통사규칙 적용의 제한에 의한 비생산성이며, 사회언어학적 기준은 인습성

이다.

Ma Jun(2013)은 관용표현의 특성을 구조의 다양성, 변형의 제약성, 은

유성, 비합성성, 중의성으로 나누어서 설명하였다. 관용표현의 특성을 통

해서 관용표현은 광범위하고 다양하여 몇 가지 특성으로 전체를 일반화시

킬 수 없으며 같은 특성이라도 그 정도가 다양하다고 논의하였다.

위의 학자들이 제시한 관용표현의 특징을 외국인 학습자들의 이해력

과 관련된 영역의 의미적인 부분과 통사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ㄱ. 비합성성: 구성 요소의 의미의 합과 다른 제3의 새로운 의미

를 가짐

ㄴ. 투명성의 정도 차이: 유추가 가능한 은유적 표현이 화석화된

것으로 통사적으로 화석화된 정도의 차이를 보임.

ㄷ. 강조 효과: 화자의 표현의도를 강조하여 상대방에게 전달 효

과가 큼.

- 2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의미적 특징 중에 비합성성, 투명성의 정도 차이, 강조효과로 세 가

지 분류하다. (1 ㄱ)는 관용표현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으로 관용표현의 의

미가 구성성분의 의미의 합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두 개 이상의 의미소

가 합쳐졌지만 그 구성성분 개개 의미의 합이 아닌 제3 의 새로운 의미를

나타낸다. (1 ㄴ)는 관용표현은 은유표현이므로 원관념과 보조 관념 사이에

존재하는 유연성이 불투명하더라도 관습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표현이다4 ).

그리고 의미의 투명성 여부에 따라서 불투명한 유형, 반 불투명한 유형,

반투명한 유형으로 나누어 본다. 불투명한 유형에 속하는 관용표현은 축

자 의미론 관용 의미와의 유연성이 약하고 자의성이 강하여 축자 의미에

의해서는 관용 의미를 전혀 예측 할 수 없으면, 연상 작용이 일어나지 않

고, 생성 배경도 짐작할 수가 없는 표현이다. 반불투명한 유형에 속하는

관용표현은 축차 의미와 관용 의미와의 유연성 약간 느껴지고 축자 의미

에 의해서 관용 의미들 어느 정도 예측할 수는 있으나, 연상 작용한 관용

표현 의미가 구체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반불투명한 유형은 불투명한

유형과 반투명한 유형의 중간 정도가 된다고 하겠다. 반투명한 유형에 속

하는 관용표현은 축자 의미와 관용 의미와의 유연성이 강하고 자의성이

약하여 축자 의미에 의해서 관용 의미를 비교적 쉽게 예측할 수 있다. (1

ㄷ)는 보통 화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은 관용표현을 이용하여 보다 더

강조하고 상대방에서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은 통사적 특징

에 따라 아래와 같이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2) ㄱ. 어순 재배치: 전체가 한 덩어리로 어순재배치에 참여하는 것

이 전형적이고 구성요소의 수에 따라 어순 재배치의 가능성이

4) 문금현(1996)에서 ' 불투명, 반불투명, 반투명' 의 3유형으로 나누면서 각 유형들의 관계는


단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상호 침투가 가능 하여 통시적으로
끊임없이 자리바꿈을 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 2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달라지기도 함.

ㄴ. 삽입과 생략: 어순도치를 통해 관형화와 주제화가 가능함.

ㄷ. 대치: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요소가 개입되면 관용 의미를 잃

기 쉬움.

ㄹ. 피동화 사동화: 관용표현 피동 사동의 변화가 자유롭지 못함.

첫째 (2 ㄱ) 특징에서는 관용표현은 일반적으로 어순의 재배치가 적용

되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관용표현의 일부 요소의 어순을 재배

치하여도 의미상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인 표현과

달리 관용표현에서는 어순 재배치를 통해 단순히 어순만 바꾸는 경우가

있는 반면 관형화나 주제화를 이루는 경우가 있다. 먼저 어순재배치가 허

용되지 않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흔히 관용표현이 하나의 의미소로

인정되므로 관용표현 전체를 이동하여 도치시키더라도 일반문과 큰 차이

없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관용표현의 구성요소를 분리시킨 이동 및 도치

의 경우는 매우 어색하고 관용표현의 의미를 상실하여 화자의 의도를 정

확하게 전달할 수 없다. 이러한 관용표현의 어순재배치는 전형적인 것으

로서 대부분의 관용표현에 작용될 수 있다. 5) 둘째 (2 ㄴ)특징에서 관용표

현은 구성 요소가 하나의 의미 단위로 작용하기 때문에 두 요소 사이에

다른 요소가 개입되면 관용의미를 잃기 쉽다. 그러나 문맥만 자연스럽게

주어진다면 내적 확장이 가능한 경우도 있는데 주로 '목적어+ 서술어'또는

'주어+ 서술어'구성에서 가능하다. 이때도 수식어의 종류에 따라 정도의 차

이가 있는데 수식어가 관형어인 경우는 삽입에 제약을 보이고 부사어인

5) 문금현 (1999:134)의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관용표현이 관형화되면 대부분 관용 의미를


잃고 축자적인 의미로 해석되지만, 적당한 문맥이나 언어적 상황이 주어지면 관형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관형화는 Ô목적어+서술어Õ 또는 Ô주어+서술어Õ 구성에서만 가능하
다.

- 2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경우는 비교적 자유롭다.6) 관용표현에서 생략은 일정한 문맥만 주어지면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목적어나 주어 등 체언류는 앞뒤 문

맥에 의해 의미 전달이 가능할 때 생략이 일어난 것이다. 반면 서술어가

생략되는 경우는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와 같이 생성 과정에

서 생략된 것들을 제외하고는 의사합성어가 대부분이다. 이것들이 생략

가능한 것은 단어 자체가 관용 표현을 대신하여 굳어졌기 때문이다.7) 셋

째 (2 ㄷ) 특징에서는 관용표현을 구성 요소 중 한 요소가 다른 단어로 대

치되면 대부분 관용 의미를 잃게 되므로 심한 제약을 받는다. 관용표현에

서 어휘 형태소를 대치시킬 수 있는 경우는 두 단어의 관계가 유의어로써

평어와 속어의 관계라든가 미세한 의미 차이를 가지는 경우에 가능하며,

간혹 전혀 다른 의미의 단어로 대치되는 경우도 있다.8) 넷째 (2 ㄹ)특징은

일반적으로 관용표현은 피동 표현에 제약을 가지지만 Ô주어+ 서술어Õ구성

의 관용표현들이 Ô 목적어+서술어Õ 구성의 관용표현들과 상호 관계에 있는

경우, 능동화 및 피동화가 가능하다.9) 관용표현의 사동화는 타동사에 사

동 접미사기 결합되는 단형 사동화와 '- 게 하다'의 결합에 의한 장형 사

동화로 나눌 볼 수 있다.'목적어+서술어' 구성의 관용표현들은 단형 사동

화에는 제약이 있으나 장형 사동화에는 제약이 없는 경우가 많다.10)

2.2.2. 베트남어

Le Dinh Tu(2009) 는 이들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형태와 의미에

6) 문금현 (1999:135-137)에서 내용을 참고함


7) 문금현 (1999:146-147)에서 내용을 참고함
8) 문금현 (1999:140)에서 내용을 참고함
9) 문금현 (1999:143)의 내용을 참고 함
10) 문금현 (1999:144)의 내용을 참고 함

- 2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서 친숙하고 안정된 표현이다. 관용표현에서 단어는 여전히 상대적 독립

성을 유지하므로 구성 단어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말뭉치의 의미를 추론

하는 것이 종종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언어 구조의 이유를 설명 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 요정처럼 아름다운"이라는 비교 관용표현입니다. 이 관용

표현에서 사용 된 단어의 의미에 따라 즉시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구조의 의미를 이해하기 때문에 때로는 그 구성을 약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용표현을 조금 더 확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끼리처럼

강하다" 라는 관용표현은 "물소처럼 강하다"로 대체 될 수 있다. 따라서

관용표현에서 구성하는 단어 사이의 관계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많은 관용

표현이 자유 구처럼 사용된다. 즉 한국 특징과 다른 점을 보일 수 있다.

한국어 관용표현이 고정성이 있지만 베트남 관용표현이 고정성이 없고 구

성 요소 어휘가 다른 어휘로 자유롭게 대치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레타잉짱(2011)은 한국 관용표현의 특징처럼 베트남어에서는 이른 바

대칭성이 있는 관용구의 앞 절과 뒷 절의 순서 고정성도 언급되었다고 한

다. 베트남 관용구의 통사적 제약 특징에 대해 설명하는 예문을 제시하였

다.

관용표현의 특징에 대한 여러 관점이 존재하는 이유는 양국 언어가

완벽하게 똑같지 않고 어떤 학자가 한국어 관용표현이 Ôqu‡n dụ ng ( 관용)

ngữ ( 구)Õ 라는 용어로 변역하면 다른 학자가 이렇게 변역하지 않고 한국

관용표현과 같은 개념과 특징이 있는 용어를 베트남어에 Ô 고정적인 구Õ라

는 용어로 달리 쓰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어 관용표현과 같은 특징이

있는 경우만 고찰하고자 한다.

Ô 고정적인 구Õ(관용표현) 라는 용어에서 첫째 특성이 바로 형태적 고정

성이다. 즉 Ô 고정적인 구Õ 의 구성 어휘는 다른 어휘로 대치되면 관용 의미

가 완전히 사라진다. 둘째, 구성 어휘는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앞

- 2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절과 뒷 절의 순서 ( 어순 배치)도 고정성이 있다. 셋째, 삽입과 생략이 불

가능하다. 두 요소 사이에 다른 요소가 개입되면 관용의미가 없어지다.

넷째, 위에서 언급한 개념처럼 Ô고정 구Õ의 의미는 각 구성요소의 의미가

아닌 제3 의 의미를 나타내는 특징이다.

베트남어에 일반적인 표현과 관용표현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11)

(3) ㄱ. 일반적인 표현: 실생활에 있는 상황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다. 이는 강조하지 않는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내용을 대충 묘사하거나 길게 표현하므로 같은 상황에서 동

시에 사용할 수 없다.

ㄴ. 관용표현: 삶의 상황들을 비교하면서 대조하는 표현이다. 의

미가 강조되고 주의를 끈다. 내용을 간명하게 표현하지만 의

미가 함의된다. 같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

(3)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일반적인 표현보다 관용표현을 이용하면 강

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관용표현은 같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표현은 이러한 특성이 없다. 이에 따라서 한국어 관

용표현의 특성이 베트남어 관용표현의 특성과의 의미적 특성을 비교했을

때 강조효과가 비교적 같았음을 볼 수 있다.

이 장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학자들이 정의한 개념을 관용표

현의 사전적 의미를 정리한 후 한국어 관용표현이 Ô 구조상으로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지만 단일 의미를 가지면 그 의미는 어휘가 지닌 합이 아닌

11) Tr ần Nguy ễn Mỹ Ho ˆn, Hu5 nh Thị Mỹ Ph+ợng, Phạm Nguy ễn Nhật Vy (2014), Bi•n
soạn s ổ tay qu‡n ng ữ th™ng d ụng Hˆ n Quốc 에서 내용을 참고하였음.

- 2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제3 의 의미로 이해되는 표현Õ 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베트남 관용표현

은 Ô구성 단어의 의미 합이 아닌 제3 의미를 가지는 고정적인 어휘복합체Õ

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양국의 특성을 살펴보면 Ô 관용표현의 구성 어휘는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어순 배치 또한 공정성이 있으며 삽입과 생략

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제3의 의미가 존재하기 때문에 관용표현의 강조

효과가 크다Õ라는 공통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한국어 관용표현은 광의의 관용표현 (격언과 금기담, 비유, 간접

화행, 상투적 인사, 상용구절)과 협의의 관용표현 ( 순수융합 합성어, 순수

관용어, 순수관용구, 속담적 관용구, 순수관용절, 속담적 관용절, 순수관용

문, 속담적 관용문, 속담문)으로 분류되었다. 베트남어 관용표현은 속담

(Thˆ nh ngữ) 과 고정적인 구( 고유명사 고정적인 구, 관용어)로 분류되었다.

다음 장에서는 관용표현의 형태와 의미를 분석하여 양국의 차이점을 밝히

기 위한 본고의 논의를 이어가고자 한다.

- 2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3. 한국어- 베트남어의 관용표현 형식 대조

3.1. 관용표현 형식 대조 분석 방법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기반이 되는 문화와 분리될

수 없으며, 이 점은 한국어와 언어생활에 대한 언어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불러일으킨다. 관용어는 문화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고, 이러한

관점에 따라 본고에서는 관용표현 목록을 선정함에 있어 문화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 어휘를 중심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대조 분석은 언어의 전이를 다루는 것으로 다른 언어의 차이점과 공

통점을 밝혀 외국어 학습자를 돕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김은령 (2014)은

동형이의 표현, 이형동의 표현, 동형동의 표현, 부분 동형동의 표현, 한국

어 단독 표현 등으로 다섯 단계로 분류했다. 또는 사모토 마리(2002) 는 한

- 일 동형의 같은 표현과 의미는 같으나 단어가 다른 표현의 두 단계로 난

이도를 분류하였다. 이양금(2015) 은 의미는 유사하나 표현이 일부분 다른

항목, 의미와 표현이 유사한 항목, 의미는 유사하나 표현이 많이 다른 항

목, 한국어의 관용어가 영어의 관용어가 아닌 항목, 그리고 한국어의 관

용어가 영어 표현에 없는 항목 총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황정혜(2010)는

동의이형, 이의동형, 동의동형,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표현으로 네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상에서 논의한 한국어 학습용 관용어 선정의 세 가지 기준을 바탕

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관용어 목록을 추출하였다.

첫째, 기존의 대다수 베트남에 있는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서울대 『한국어 1∼6 』, 경희대 『한국어 1∼6 』, 연세대

『한국어 1 ∼6』) 와 베트남에서 출판하는 한- 베 관용어 사전 세 가지에

- 2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사용된 관용표현을 정리하였다. 모든 관용어 항목 총 622개 중 중복하여

2 번 이상 나타난 것을 정리하니 총 133 개다.

둘째, 관용표현 133 개를 대조 작업을 통해 Ô동형동의, 부분 동형동의,

이형동의, 동형이의 또는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표현Õ 다섯 가지로 나누었

다. 동형동의와 부분 동형동의는 문화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형태와 의미

가 일치하거나 형태는 부분적으로 다르지만 의미가 같아서 관용표현의 이

해가 비교적 쉽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형동의와 동형이의에서 관용표

현 구성 요소에 같은 형태이지만 다른 의미를 가지는 표현과 같은 의미이

지만 다른 형태가 있는 표현들을 대조 분석 한다. 특히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표현으로 베트남어에는 없는 표현이므로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관용표현을 이해하기 위해 외국인 학습자들이

인지적으로 이해 못 하는 한국 문화를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재 세 가지 및 한- 베 관용어 사전 세 가지에 수록

한 관용표현을 바탕으로 연구에서 추출한 133 개의 관용표현 목록은 다음

과 같다.

<표 4> 관용표현의 분류 및 비율

유형 관용표현 개수 비율

가슴이 내려앉다/ 가슴이 찢어지다/ 가슴에

못( 을) 박다/ 가시밭길을 가다/ 골치가 아프

동형동의 다/ 꿈도 못 꾸다/ 날( 을) 잡다/ 눈 깜짝 할 33/133 24.8%

사이( 에)/ 눈(에) 띄다/ 눈(을) 감다/ 눈(을) 붙

이다/ 눈독(을) 들이다/ 눈에 선하다/ 다리

- 3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 를) 놓다/ 도마 위에 오르다/ 등(을) 돌리다/

마음 아프다/ 마음을 졸이다/ 문을 닫다/ 바

람( 을) 쐬다/ 속을 태우다/ 손(을) 놓다/ 손

( 을) 잡다/ 얼굴(이) 두껍다/ 얼굴을 내밀다/

진땀( 을) 빼다/ 찬물을 끼얹다/ 틀에 박히다/

팔짱을 끼고 보다/ 하늘의 별 따기/ 한턱내다

/ 허리띠( 를) 졸라매다/ 혀를 차다.

가슴이 뜨끔하다/ 가시방석에 앉다/ 간( 이)

떨어지다/ 간이 콩알만 해지다/ 귀를 기울이

다/ 귀가 가렵다/ 귀에 거슬리다/ 귀에 못이

박히다/ 낯이 붉히다/ 눈앞이 캄캄하다/ 눈에

거슬리다/ 눈에 불을 켜다/ 눈코 뜰 새 없다/

다리( 을) 뻗고 자다/ 돈방석에 앉다/ 마음( 을)

먹다/ 마음( 을) 놓다/ 머리(를) 식히다/ 목( 을)

빠지다/ 물불( 을) 가리지 않다/ 발등에 불이


부분
떨어지다/ 발 디딜 틈이 없다/ 배꼽( 을) 잡다/ 46/133 34.6%
동형동의
뿌린 만큼 거둔다/ 비행기(를) 태우다/ 손( 을)

보다/ 손꼽아 기다리다/ 손발( 을) 맞다/ 손

( 을) 썩히다/ 손에 땀을 쥐다/ 손에 익다/ 시

간 가는 줄 모르다/ 어깨가 가볍다/ 어깨가

무겁다/ 오리발( 을) 내밀다/ 입(이) 가볍다/

입이 떨어지지 않다/ 입이 무겁다/ 입이 심심

하다/ 제 눈에 안경/ 쥐구멍에 들어가다/ 쥐

도 새도 모르다/ 코가 납작해지다/ 코가 높다

- 3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 코앞에 닥치다/ 허리가 휘다.

간에 기별도 안 가다/ 국수(를) 먹다/ 귀가

뚫리다/ 귀가 얇다/ 기( 가) 막히다/ 기가 죽다

/ 게 눈 감추듯/ 꿀 먹은 벙어리/ 날개가 돋

치다/ 녹초가 되다/ 누워서 떡 먹기/ 눈 밖에

나다/ 눈( 이) 높다/ 눈( 을) 돌리다/ 눈에 밟히

다/ 담( 을) 쌓다/ 뜸( 을) 들이다/ 마음이 굴뚝

같다/ 마음을 비우다/ 맛을 들이다/ 머리에

피도 안 마르다/ 목에 힘을 주다/ 물과 기름/

미역국( 을) 먹다/ 바가지( 를) 긁다/ 바가지( 를)


이형동의 49/133 36.8%
쓰다/ 바람( 을) 넣다/ 바람(을) 맞다/ 바람( 을)

피우다/ 발( 을) 끊다/ 발( 을) 벗고 나서다/ 배

( 가) 아프다/ 상다리가 부러지다/ 손( 이) 크다

/ 손에 잡히다/ 색안경( 을) 끼다/ 어깨가 처지

다/ 엎친 데 덮치다/ 입(을) 모으다/ 입에 침

이 마르다/ 입이 짧다/ 애(를) 먹다/ 애( 를)

쓰다/ 쥐 죽은 듯하다/ 코가 비뚤어지다/ 파

김치가 되다/ 한눈(을) 팔다/ 한솥밥( 을) 먹다

/ 허리가 부러지다.

동형이의 눈에 익다 1/133 0.8%

한국어에
그림의 떡/ 깨가 쏟아지다/ 날개(를) 펴다/ 무
만 있는 4/133 3.0%
릎을 치다/
표현

- 3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위 < 표4> 를 보면 형태와 의미가 일치하는 표현은 33개, 형태가 부분

적으로 일치하나 의미가 일치하는 표현은 46 개, 형태가 일치하나 의미가

불일치하는 표현은 1 개, 한국어만 있는 표현은 4개이고 형태가 불일치하

나 의미가 일치하는 표현은 49개로 제일 많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양국

의 표현의 형태와 의미 측면에 같은 점이 많지만 당연히 차이점이 존재한

다. 차이점과 관련해 어느 부분에서 다른 점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어는 교착어로서 조사와 어미가 문법 기능을 결정한다. 따라서

기본 어순은 Ô 주어+목적어+ 서술어Õ의 순서이더라도 어순이 크게 중요하지

않고 자유롭다는 것이 특징이다. 베트남어는 Ô 주어+서술어+ 목적어Õ의 문장

구조를 가지어 문장을 만들 때 조사가 쓰이지 않다. 베트남어는 고립어로

서 조사와 어미가 없으며 어순이 문법 기능을 결정하기 때문에 Ô 주어+서

술어+ 목적어Õ의 어순을 엄격히 지켜야 한다. 따라서 어순에 대한 차이점

이 있기 때문에 관용표현의 어법 구조를 분석할 때 구성 요소만 비교하고

자 한다.

L• Huy Khoa 의 관용어 사전 및 국립국어원 한국어-베트남어 학습사

전에서 나타나는 133 개의 한국어는 베트남어로 번역되었다. 한국어 관용

표현에 대응하는 베트남어 관용표현이 존재하면 Ô 관용어Õ로 나타나지만

대응하는 것이 없으면 Ô설명한 양식Õ 으로 나타난다. 번역한 관용표현에 의

해 구성 요소의 품사를 분석하고 한국어 관용표현의 구성 요소와 비교하

려고 한다. 의미는 같지만 품사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양국의 관용

표현 형태는 불일치한다. 이 장에서 형태( 품사)와 의미의 관계를 밝히도록

대조 분석하고자 한다. 위 <표 4>에서 동형동의, 부분 동형동의, 이형동

의, 동형이의 또는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표현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동

형동의 표현에서 Ô명사+ 동사Õ를 구성되는 표현, Ô 명사+형용사Õ 를 구성되는

표현으로 분류하다. 부분 동형동의 표현은 한 요소가 일치하나 나머지 요

- 3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소의 품사와 의미가 불일치한 표현, 한 요소가 일치하나 나머지 요소의

의미가 불일치하지만 품사가 같은 표현으로 분류한다. 이형동의 표현은

구성 요소의 품사가 같으나 의미만 다른 표현, 요소의 의미가 불일치하거

나 한 요소의 품사가 같지만 나머지 요소가 다른 표현, 요소 개수가 변경

되는 표현 그리고 같은 품사를 가진 요소이지만 의미가 다른 표현 총 세

가지로 분류한다. 동형이의 표현에서는 한 개의 관용표현이 있다. 마지막

한국어에만 있는 표현은 총 네 개 있지만 베트남어 관용표현과 대응하는

표현이 없으므로 설명 형식으로 제시하기로 한다.

3.2. 관용표현 형식 대조 분석

3.2.1. 동형동의

동형동의 관용표현이란 한국어와 베트남어 관용표현에는 의미와 형태

가 같거나 비슷한 표현이다. 선정한 관용표현 목록 충 133 개 가운데 동형

동의 관용표현은 총 33개로 확인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형태와 의미를

대응하는 관용표현 전체 비율은 24.8%를 차지한다.

<표 5> 동형동의 관용표현

번호 한국어의 관용표현 베트남어의 관용표현

1 가슴이 내려앉다 r ớt tim ( 내려앉은 심장)

2 가슴이 찢어지다 x Ž l˜ng (찢어지는 마음)

nh+ đ—ng đinh vˆo l˜ng


3 가슴에 못(을) 박다
( 가슴에 못을 박은 듯)

- 3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4 가시밭길을 가다 đi đ+ờng ch™ng gai ( 가는 가시밭길)

5 골치가 아프다 đau đầu (아픈 골치)

6 꿈도 못 꾸다 m= c >ng kh™ ng m= tới ( 꿈도 못 꾸다)

7 날( 을) 잡다 ch ọn ngˆ y (잡는 날)

8 눈 깜짝 할 사이( 에) trong ch ớp mắt ( 눈 깜짝 할 사이)

9 눈( 에) 띄다 đập vˆo mắt ( 띄는 눈)

10 눈( 을) 감다 nhắ m mắt (감는 눈)

11 눈( 을) 붙이다 ch ợp mắt ( 붙이는 눈)

12 눈독( 을) 들이다 để mắt ( 들이는 눈독)

13 눈에 선하다 s ống độ ng tr+ớc mắt (눈앞에 선하다)

14 다리( 를) 놓다 lˆm c ầu nố i (놓는 다리)

15 도마 위에 오르다 bị l• n thớt ( 도마 위에 오르다)

16 등( 을) 돌리다 quay l+ng (돌리는 등)

17 마음 아프다 đau l˜ng (아픈 마음)

18 마음을 졸이다 l˜ng nh+ lửa đố t (마음을 졸인 듯)

19 문을 닫다 đ— ng cửa ( 닫는 문)

20 바람( 을) 쐬다 h— ng gi— ( 쐬는 바람)

21 속을 태우다 l˜ng nh+ lửa đố t (속을 태운 듯)

22 손( 을) 놓다 bu™ ng tay ( 놓는 손)

23 손( 을) 잡다 bắt tay (잡는 손)

24 얼굴( 이) 두껍다 mặt d ˆy ( 두꺼운 얼굴)

- 3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25 얼굴을 내밀다 lộ mặt (내미는 얼굴)

26 진땀( 을) 빼다 đổ mồ h™i (빼는 진땀)

27 찬물을 끼얹다 d ội g‡o n +ớc lạnh (끼얹는 찬물)

28 틀에 박히다 đ— ng khung (박히는 틀)

khoanh tay đứng nh“n


29 팔짱을 끼고 보다
( 팔짱을 끼고 보다)

30 하늘의 별 따기 h‡ i sao tr•n trời ( 하늘의 별 따기)

31 한턱내다 đ‹i mộ t chầ u ( 한턱내다)

thắt l+ng buộ c bụng


32 허리띠( 를) 졸라매다
( 배를 졸라매는 허리띠)

33 혀를 차다 tặc l+ỡi (차는 혀)

동형동의 관용표현의 품사를 분석할 때 두 가지로 분류된다. Ô 명사+

동사Õ 로 구성되는 관용표현이고 Ô 명사+ 형용사Õ로 구성되는 관용표현이 있

다. 관용표현의 내부를 살펴보면 한국어 관용표현의 명사와 베트남어 관

용표현의 명사가 의미를 일치하면서 동사의 의미도 같아서 제3의미까지

유사하다. 예시를 보면 어떤 상황에서 관용표현을 쓰는지 알게 된다.

첫째 Ô명사+ 동사Õ를 구성되는 한국어의 관용표현이 Ô동사+ 명사Õ를 구

성된 베트남어의 관용표현을 대응한다.

(4) ㄱ. 가슴이 내려앉다 -> rớt ( 내려않다) tim ( 가슴)

명사 동사 동사 명사

ㄴ. 가슴이 찢어지다 -> xŽ (찢어지다) l˜ ng (가슴)

명사 동사 동사 명사

- 3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4 ㄱ)는 (사람이) 큰 충격으로 놀라거나 맥이 탁 풀린다는 의미다. (4

ㄱ) 관용표현의 예를 들어 Ô아버지의 사고 소식을 들은 어머니는 가슴이

내려앉다. (M ẹ t™i đ‹ lo s ợ đến rớt tim khi nghe tin ba bị tai nạn

giao th™ng.)Õ 또는 Ô할아버지께서 편찮으시다는 전화를 받고 가슴이 내려

앉았다. (Nhận đ+ợc điệ n tho ại n—i lˆ ™ng t™i kh™ng kho ẻ, t™ i đ‹ lo

lắng tim muốn rớt ra ngo ˆ i.)Õ

(4 ㄴ)가 슬픔이나 분함 때문에 가슴이 째지는 듯한 고통을 받는다고

의미한다. Ô 평생 고생만 하시다가 돌아가신 할머니를 생각할 때마다 나는

가슴이 찢어지는 것 같았다. (M ỗi khi ngh J đến ng+ời bˆ đ‹ khổ sở cả

đời vất vả vˆ đ‹ qua đời c ủa t™ i, t™i đau nh+ x Ž l˜ ng.)Õ 그리고

Ô 제가 한 잘못 때문에 아버지께서 다른 사람에게 머리를 숙이시는 모습을

보니 가슴이 찢어졌다. (V“ t™ i đ‹ lˆm sai n• n nh“n thấy ba t™i c œi

đầu t r+ớc ng+ời kh‡c nh+ vậy lˆm t™ i đau nh+ xŽ l˜ng.)Õ 등과 같은

예문이 있다.

(4 ㄱ~ㄴ) 를 살펴보면 어순이 다르지만 한국어나 베트남어 표현의 구

조가 같고 의미도 일치한다. 두 개의 표현에서 Ô 가슴Õ이 하나만 있지만 베

트남어 경우에 ÔtimÕ (심장) 과 Ôl˜ngÕ (마음)을 표시한다. Ô 가슴Õ을 대응하지

만 베트남어에 고정 구절이라서 다른 단어로 바뀔 수 없이 고정적으로 사

용한다. 위에 보다시피 표현 구조는 명사와 동사로 구성되는 표현이다.

(4 ㄱ~ㄴ) 표현 이외에 Ô가슴에 못( 을) 박다, 가시밭길을 가다, 꿈도 못

꾸다, 날(을) 잡다, 눈 깜짝할 사이(에), 눈(에) 띄다, 눈(을) 감다, 눈(을) 붙

이다, 눈독(을) 들이다, 다리(를) 놓다, 도마 위에 오르다, 등( 을) 돌리다,

마음을 졸이다, 문을 닫다, 바람( 을) 쐬다, 속을 태우다, 손( 을) 놓다, 손

(을) 잡다, 얼굴(이) 내밀다, 진땀(을) 빼다, 찬물을 끼얹다, 틀에 박히다,

- 3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팔짱을 끼고 보다, 하늘의 별 따기, 한턱내다, 허리띠( 를) 졸라매다, 혀를

차다Õ 라는 표현도 명사와 동사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내부에 한국어의 Ô명

사Õ 뜻은 베트남어의 Ô 명사Õ 뜻을 대응하며 한국어의 Ô동사Õ 뜻이 베트남

어의 Ô 동사Õ 뜻과 같다.

둘째 Ô명사+ 형용사Õ를 구성되는 한국어의 관용표현이 Ô형용사+ 명사Õ

를 구성되는 베트남어의 관용표현에 대응한다.

(5) ㄱ. 골치가 아프다 -> đau ( 아프다) đầu ( 골치)

명사 형용사 형용사 명사

ㄴ. 눈에 선하다 -> s ống độ ng (선하다) tr+ớc (앞에) mắt (눈)

명사 형용사 형용사 명사

(5 ㄱ)관용표현이 ( 사람이) 일이나 사태를 해결하기가 성가시거나 어렵

다는 뜻이 있다. Ô 회사에 복잡한 일이 터져 아침부터 골치가 아프다. (V“

đủ thứ việ c phức tạp ở c ™ng ty n• n s ‡ng s ớm đ‹ đau đầu rồi.)Õ

또는 Ô누가 그런 골치 아픈 일을 하려고 하겠어요? (Ai mˆ muố n lˆm

việc đau đầu nh+ vậy chứ?)Õ등과 같은 예문이 있다.

(5 ㄴ)가 (무엇이) 잊히지 않고 눈앞에 보이는 듯 기억에 생생하다는 의

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Ô 아이들이 기뻐하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H“nh

ảnh những đứa trẻ vui mừng hiện l•n số ng độ ng t r+ớc mắt t™ i.)Õ 그

리고 Ô 내 대학 합격 소식을 듣고 눈물 흘리던 돌아가신 어머니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H“nh ả nh ng+ời mẹ đ‹ mất củ a t™i kh—c khi bˆ nghe

tin t™i đậ u đại h ọc vẫn c ˜n hiệ n diện r › rˆng tr+ớc mắt t™ i.)Õ.

(5 ㄱ~ㄴ) 를 살펴보면 이 표현 구조는 명사와 형용사로 구성되는 표현

이다. Ô마음 아프다, 얼굴( 이) 두껍다Õ라는 표현도 Ô 명사+ 형용사Õ 라는 어법

- 3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에 한국어의 Ô 명사Õ 뜻은 베트남어의 Ô명

사Õ 뜻에 대응하며 한국어의 Ô형용사Õ 뜻은 베트남어의 Ô형용사Õ 뜻과 같

다.

3.2.2. 부분 동형동의

부분 동형동의 관용표현이란 형태가 부분적으로 불일치하나 의미가

일치하는 표현이다. 위에 제시한 관용표현 목록 충 133 개 가운데 부분 동

형동의 관용표현은 총 46개로 확인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부분 동형동

의 관용표현은 전체의 34.6% 차지하였다.

<표 6> 부분 동형동의 관용표현

번호 한국어의 관용표현 베트남어의 관용표현

1 가슴이 뜨끔하다 cắn rứt l+=ng t‰m ( 뜨끔한 양심)

2 가시방석에 앉다 ngồ i tr•n lửa (불 위에 앉다)

3 간(이) 떨어지다 rụ ng tim (떨어지는 심장)

4 간이 콩알만 해지다 gan chuột nhắt (생쥐 간)

5 귀를 기울이다 lắ ng tai ( 잘 듣는 귀)

6 귀가 가렵다 ngứa tai (가려운 귀)

7 귀에 거슬리다 ch+ớng tai (거슬리는 귀)

ch‡n đến mang tai


8 귀에 못이 박히다
(귀밑까지 지루하다)

9 낯이 붉히다 đỏ mặ t (붉히는 낯)

- 3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10 눈앞이 캄캄하다 t+=ng lai m• mịt (캄캄한 미래)

11 눈에 거슬리다 ch+ớng mắt ( 거슬리는 눈)

12 눈에 불을 켜다 nổ cả mắ t (폭발하는 눈)

tố i mắt tối m> i


13 눈코 뜰 새 없다
(어두운 눈 어두운 코)

ngủ thẳng c ẳng (쭉 뻗는 다리를


14 다리(를) 뻗고 자다
자다)

15 돈방석에 앉다 ngồ i tr•n nœ i tiề n (앉는 돈산)

16 마음(을) 먹다 quy ết t‰ m (결심한 마음)

17 마음(을) 놓다 y• n t‰m ( 움직이지 않는 마음)

18 머리(를) 식히다 lˆ m nhẹ đầu ( 가벼이 하는 머리)

19 목(을) 빠지다 dˆi cổ (긴 목)

kh™ng quản ch™ ng gai


20 물불(을) 가리지 않다
(창과 가시를 가리지 않다)

n+ớc tới ch‰n mới nhả y


21 발등에 불이 떨어지다
(발등에 물이 와야 뛰다)

kh™ng c— chỗ chen ch‰n (틈이 없


22 발 디딜 틈이 없다
이 디디는 발)

23 배꼽(을) 잡다 ™m bụ ng (잡는 배)

gieo g“ gặt nấy


24 뿌린 만큼 거둔다
(무엇을 뿌리어 그것을 거둔다)

25 비행기(를) 태우다 đi tˆu bay giấ y

- 4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종이비행기를 태우다)

26 손(을) 보다 đụng tay (대는 손)

đếm từng ngˆy (chờ đợi)


27 손꼽아 기다리다
(날짜를 꼽아 기다리다)

t‰ m đầu S hợp
28 손발(이) 맞다
(마음, 머리, 생각이 맞다)

29 속(을) 썩이다 lˆ m buồn l˜ ng (썩이는 속)

30 손에 땀을 쥐다 đổ mồ h™ i tay ( 땀을 흘리는 손)

31 손에 익다 quen tay ( 익은 손)

32 시간 가는 줄 모르다 kh™ng biết giờ giấc (모르는 시각)

33 어깨가 가볍다 nhẹ g‡nh ( 가벼운 멀대)

34 어깨가 무겁다 nặng g‡nh (무거운 멀대)

35 오리발(을) 내밀다 vờ vịt (오리인 척하다)

36 입(이) 가볍다 miệng bŽp x Žp ( 잰 입)

37 입이 떨어지지 않다 kh™ng mở miệng ( 열지 않은 입)

38 입이 무겁다 k’n miệ ng (빼곡한 입)

39 입이 심심하다 buồn miệng ( 심심한 입)

40 제 눈에 안경 vừa mắ t (맞는 눈)

41 쥐구멍에 들어가다 độn thổ ( 땅속에 들어가다)

42 쥐도 새도 모르게 Kh™ng ai hay biết ( 아무도 모르다)

43 코가 납작해지다 kh™ng c˜ n mặt m> i

- 4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얼굴이나 코가 없다)

44 코가 높다 tự cao (높은 자신)

gầ n ngay tr+ớc mắt


45 코앞에 닥치다
(눈앞에 닥치다)

46 허리가 휘다 c˜ng l+ng (휘는 허리)

부분 동형동의 관용표현의 품사를 분석할 때 부분적으로 품사와 의미

를 일치하지만 다른 부분을 같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최소한 한 요소가

같은 의미, 같은 품사를 가지고 나머지 요소는 같은 의미가 있지만 품사

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고 또 같은 품사인데 의미가 다른 요소가 있는

경우도 있다.

첫째, Ô 명사+형용사/ 동사Õ로 구성되는 한국어의 관용표현 의미가 Ô동

사/ 형용사+명사Õ 를 구성되는 베트남어의 관용표현 의미에 대응한다. 즉

Ô 명사Õ 요소가 일치하지만 나머지 품사 및 의미 요소에서는 불일치하는

표현이다.

(6) ㄱ. 가슴이 뜨끔하다 -> c ắn r ứt (뜨끔하다) l+=ng t‰m ( 가슴)

명사 형용사 동사 명사

ㄴ. 귀에 거슬리다 -> ch+ớng (거슬리다) tai ( 귀)

명사 동사 형용사 명사

(6 ㄱ)이 자극을 받아 마음이 깜짝 놀라거나 양심이 가책을 받다는 뜻

이 있다. Ô거짓말을 한 지수는 양심에 가책을 느껴서 가슴 한쪽이 뜨끔했

다. (Jisun, ng+ờiđ‹ n—i dố i, cả m thấy h ối h ận vˆ c ắn rứt l+=ng t‰m.)Õ

- 4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또는 Ô제가 민수의 물건을 망가뜨려서 민수를 보고 가슴이 뜨끔했다.

(M “nh đ‹ lˆm h+ đồ củ a Minsu n•n nh“n thấy c ậu ấy lˆ l+=ng t‰m

m“nh lại cắn rứt.)Õ 등과 같은 예문이 있다.

(6 ㄴ)이 순순히 받아 들어지지 않고 언짢은 느낌이 들면 기분이 상한

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Ô 수진이는 친구의 불평이 귀에 거슬려서

짜증이 일었다. (Sujin r ất bực m“nh v“ lời phˆn nˆn củ a bạn c™ ấy

nghe thậ t ch +ớng tai.)Õ 그리고 Ô 보라는 버스 뒷좌석에서 큰 소리로 떠드

는 학생들의 목소리가 귀에 거슬렸다. (Bora thấy phiền phức v“ tiếng

tr˜ chuy ện qu‡ lớn củ a nh ững đứa h ọc sinh ngồi ph’a ghế sau xe

buSt.)Õ

(6 ㄱ~ㄴ) 을 보면 양국 간 관용표현 구조는 같은 명사가 있지만 한 쪽

은 동사로 구성되나 한 쪽은 형용사로 구성되어 부분 형태가 대응하지 않

음을 알 수 있다. (6 ㄱ) 경우에 한국어에 Ô뜨끔하다Õ 라는 동사가 Ôcắn r ứtÕ

를 의미하지만 베트남어에 Ôcắ n rứtÕ ( 뜨끔하다)는 형용사다. (6 ㄴ)경우에

도 Ô거슬리다Õ 라는 동사가 Ôch+ớngÕ 라는 의미가 있지만 Ôch+ớngÕ는 동사

가 아니라 형용사다.

(6 ㄱ~ㄴ) 이외에 Ô귀가 가렵다, 다리(를) 뻗고 자다, 낯이 붉히다, 발

디딜 틈이 없다, 손에 익다, 속( 을) 썩이다, 허리가 휘다Õ 라는 관용표현의

구성 요소도 같은 경우가 있다.

둘째, 구성 요소 중에 Ô명사Õ 나 Ô 동사Õ나 Ô 형용사Õ라는 한 개의 요소가

의미 또 품사에 대해 고정하고 나머지 요소는 품사가 일치하지만 의미만

다르다. 예를 들어 Ô 명사+ 동사1Õ로 구성되는 한국어의 관용표현 의미가

Ô 동사2+ 명사Õ 로 구성되는 베트남어의 관용표현 의미를 대응하지만 구조

를 보면 Ô 명사Õ 요소의 의미 또 품사가 같지만 Ô동사1Õ과 Ô동사2Õ가 같은

품사여도 Ô 동사1Õ 의 뜻이 Ô 동사2Õ 의 뜻과 다르다. 이와 같은 경우에 Ô형용

- 4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사Õ 요소의 의미 및 품사가 같지만 Ô 명사1Õ 과 Ô명사2Õ가 같은 품사여도 뜻

만 다르다. 또 Ô동사Õ 요소의 의미 및 품사가 같지만 Ô명사1Õ의 뜻이 Ô명사

2Õ의 뜻과 같지 않다.

(7) ㄱ. 머리를 식히다 -> lˆ m nhẹ (가벼이 하다) đầu ( 목)

명사 동사1 동사2 명사

ㄴ. 눈앞이 캄캄하다 -> t+=ng lai ( 미래) m• mịt ( 캄캄하다)

명사1 형용사 명사2 형용사

ㄷ. 쥐구멍에 들어가다 -> độn (들어가다) thổ (땅)

명사1 동사 동사 명사2

(7 ㄱ)이 복잡한 생각으로부터 벗어나 마음을 진정시킨다고 의미한다.

예를 들어 Ô 보영이 머리를 식히기 위해 음악을 듣는다. (Boyoung nghe

nhạc để lˆm nhẹ đầu)Õ 또는 Ô우리는 머리를 식히기 위해 가까운 공원

에서 산책을 했다. (Chœ ng t™ i đi dạo ở c ™ng vi•n gần nhˆ để th+

gi‹ n đầu —c)Õ.

(7 ㄴ)이 어찌할 바를 몰라 아득하다는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Ô이

돈으로 온 식구가 한겨울을 나야 한다는 생각에 나는 눈앞이 캄캄하였다.

(NghJ đế n c ả gia đ“nh phải trả i qua m•a đ™ ng với s ố tiền nˆy t™i

thấy t+=ng lai thật m• mịt.)Õ 또는 Ô 겨울이 들이닥칠 터인데 당장 먹을

쌀도 없으니 눈앞이 캄캄하다. (M • a đ™ng s ắp đến nh+ng kh™ng c —

c=m để )n t+=ng lai thật m• mịt.)Õ.

(7 ㄷ)이 매우 부끄러워 그 자리를 피하고 싶다는 뜻이다. Ô 너무 창피

해서 쥐구멍에 들어가고 싶은 심정이다. (V“ xấu hổ qu‡ n•n chỉ muốn

chui vˆo lỗ chuột.)Õ 그리고 Ô 나는 실수가 너무나 부끄러워 쥐구멍에 들어

- 4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가고 싶은 마음이었다. (T™ i xấu hổ v“ lỗi lầm c ủa m“nh n •n ch ỉ muốn

độn thổ v“ xấ u hổ .)Õ등과 같은 예문이 있다.

(7 ㄱ~ㄷ) 을 살펴보면 양국 간 관용표현 구조는 같은 요소가 있고 나

머지 요소가 대응하지 않다. (7 ㄱ)경우에 양국 표현은 같은 Ô머리Õ (đầu)

라는 명사를 표시하지만 한국어의 Ô식히다Õ 라는 동사는 베트남어의 Ôlˆm

nhẹÕ (가벼이 하다)라는 동사와 불일치하다. (7 ㄱ) 이외에 Ô 간이 콩알만 해

지다, 귀를 기울이다, 귀에 못이 박히다, 눈에 불을 켜다, 눈코 뜰 새 없

다, 마음(을) 먹다, 마음(을) 놓다, 목(이) 빠지다, 발등에 불이 떨어지다,

손(을) 보다, 손에 땀을 쥐다, 오리발(을) 내밀다, 입(이) 가볍다, 입이 떨어

지지 않다, 입이 무겁다, 입이 심심하다, 제 눈에 안경, 코가 납작해지다Õ

라는 관용표현의 구성 요소도 같은 경우가 있다. 그리고 (7 ㄴ)경우에 Ôm•

mịtÕ 를 의미하는 Ô 캄캄하다Õ라는 형용사가 일치하지만 Ô눈앞Õ 이라는 명사가

Ôt+=ng laiÕ (미래) 와 대응하지 않는 요소다. (7 ㄴ) 이외에 Ô 어깨가 가볍다,

어깨가 무겁다, 코가 높다Õ라는 관용표현의 구성 요소도 같은 경우가 있

다. 마지막 (7 ㄷ)경우에 Ô 들어가다Õ라는 동사가 ÔđộnÕ (들어가다) 라는 동

사와 같지만 한국어에 Ô 쥐구멍Õ으로 표시하며 베트남어에 ÔthổÕ (땅) 를 이

용하여 형태가 부분적으로 다르다. (7 ㄷ) 이외에 Ô가시방석에 앉다, 간( 이)

떨어지다, 다리(를) 뻗고 자다, 돈방석에 앉다, 물불( 을) 가리지 않다, 배꼽

(을) 잡다, 비행기(를) 태우다, 뿌린 만큼 거둔다, 손꼽아 기다리다, 손발

(이) 맞다, 시간 가는 줄 모르다, 쥐도 새도 모르게, 코앞에 닥치다Õ라는

관용표현의 구성 요소도 같은 경우가 있다.

3.2.3. 이형동의

이형동의란 형태가 불일치하나 의미가 일치하는 표현이다. 133개의

선정한 관용표현 중에 이형동의 관용표현은 총 49개로 확인되었다. 이는

- 4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본 연구에서 이형동의 관용표현은 1위를 차지하였다. 36.8%에 도달하였

다.

< 표 7> 이형동의 관용표현

번 한국어의
베트남어의 관용표현
호 관용표현

간에 기별도 안 chẳng bỏ d ’nh r)ng


1
간다 (이 사이에 끼게 부족하다)

2 국수( 를) 먹다 uống r +ợu mừng (마시는 축배)

3 귀가 뚫리다 nghe hiểu ( 알아듣다)

4 귀가 얇다 nhẹ d ạ cả tin (연약한 마음이 쉽게 믿다)

5 기( 가) 막히다 Ngỡ ngˆng ( 놀라다)

6 기가 죽다 nhụt ch’ ( 없어진 기운)

7 게 눈 감추듯 )n nh+ h• m (백 호랑이 먹는 모습 같다)

8 꿀 먹은 벙어리 c‰m nh + hến (침묵하는 조개)

9 날개가 돋치다 b‡n đắt nh+ t™ m t+=i (생새우 팔린 듯)

10 녹초가 되다 r‹ rời ( 흩어지다)

11 누워서 떡 먹기 nh+ tr ở bˆn tay (손바닥을 뒤집듯)

12 눈 밖에 나다 mấ t cảm t“nh (없어진 감정)

13 눈( 이) 높다 kŽ n ch ọn ( 까탈스럽게 고르다)

quan t‰m đến c ‡i kh‡c (다른 것에 관심하


14 눈( 을) 돌리다
다)

- 4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15 눈에 밟히다 v+=ng vấn ( 연연하다)

16 담( 을) 쌓다 Nghỉ ch=i (놀이를 그만두다)

17 뜸( 을) 들이다 ngậ p ngừng (머뭇거리다)

thiết tha
18 마음이 굴뚝같다
(진심으로 원하다)

19 마음을 비우다 vứt bỏ tham vọ ng (버리는 욕심)

20 맛을 들이다 say m• ( 심취하다)

머리에 피도 안 miệng c˜n h™i sữa


21
마르다 (젖먹이에 지나지 않은 입)

22 목에 힘을 주다 ra vẻ ta đ‰y (행세하는 자신)

23 물과 기름 ch— với m•o (강아지와 고양이)

tr+ợt vỏ chuối
24 미역국( 을) 먹다
(미끄러지는 바나나껍질)

25 바가지( 를) 긁다 cằn nhằn (투덜거리다)

26 바가지( 를) 쓰다 mua hớ (부주의한 구매)

27 바람( 을) 넣다 xœ i giụ c (선동하다)

28 바람( 을) 맞다 bị cho leo c ‰y (나무를 타게 되는 것)

29 바람( 을) 피우다 cắm s ừng ( 꽂는 뿔)

30 발( 을) 끊다 kh™ ng c˜ n qua lại ( 넘나들지 않다)

발( 을) 벗고 나서
31 sẵn sˆ ng nhảy vˆo ( 뛰어들 준비를 하다)

32 배( 가) 아프다 ghen tị (부럽다)

- 4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상다리가 부러지
33 thịnh soạn (맛있는 음식을 많이 차리다)

34 손( 이) 크다 rộng l+ợng (후하다)

35 손에 잡히다 bắt đầu quen việ c ( 일을 익히기 시작한다)

36 색안경( 을) 끼다 c— định kiến (있는 선입견)

37 어깨가 처지다 thấ t vọng ( 실망하다)

ho ạ v™ đ=n ch ’
38 엎친 데 덮치다
(재난은 혼자 오지 않는다)

39 입( 을) 모으다 đồng thanh ( 동일한 소리)

40 입에 침이 마르다 khen hết lời ( 모든 말로 칭찬하다)

41 입이 짧다 kŽ n )n (가려먹다)

42 애( 를) 먹다 khổ s ở ( 고생스럽다)

43 애( 를) 쓰다 cố gắ ng (노력하다)

44 쥐 죽은 듯하다 y•n lặng nh+ tờ (정물처럼 조용하다)

45 코가 비뚤어지다 say b’ tỉ ( 곤드레만드레 취하다)

46 파김치가 되다 Kiệ t sức ( 지치다)

nh+ ng+ời mất h ồn


47 한눈( 을) 팔다
(혼이 없어지는 사람과 같다)

số ng chung một m‡ i nhˆ (한 지붕 아래서


48 한솥밥( 을) 먹다
살다)

mang trọ ng tr‡ch lớn


49 허리가 부러지다
(맡은 중책)

- 4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이형동의 관용표현의 품사를 분석할 때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하고

있다. 첫째 Ô 명사1+ 동사1Õ 로 구성되는 한국어 관용표현인데 같은 의미가

있는 베트남어 관용표현이 Ô명사2+동사2Õ로 구성된다. 둘째 Ô 명사1+ 동사/

형용사Õ 로 구성되는 한국어 관용표현인데 같은 의미가 있는 베트남어 관

용표현이 Ô명사2+형용사/ 동사Õ 로 구성된다. 셋째 한국어 경우에 요소가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지만 베트남어 경우에는 요소가 줄여서 한 개로 구

성된다. 넷째 구성 요소 개수가 유지되고 품사 종류도 같지만 양국에서

사용하는 이미지가 불일치한다.

첫째, Ô명사+ 동사Õ 로 구성되는 표현인데 내부 요소를 보면 Ô명사1Õ의

한국어의 관용표현과 Ô 명사2Õ 의 베트남어의 관용표현이 같은 품사이지만

의미가 같지 않아서 1번과 2번을 붙여 구별하게 된다. 그리고 Ô동사1Õ의

한국어의 표현과 Ô동사2Õ 의 베트남어의 표현도 마찬가지다.

(8) ㄱ. 국수( 를) 먹다 -> uống ( 마시다) r +ợu mừng ( 축배)

명사1 동사1 동사2 명사2

ㄴ. 바람(을) 맞다 -> bị cho leo ( 타게 되다) c ‰y (나무)

명사1 동사1 동사2 명사2

(8 ㄱ) 표현이 ( 사람이) 결혼식에 초대를 받거나 결혼식을 올리는 의미

가 있다. 예를 들어 Ô 마이씨가 애인이 있다고요? 우리도 곧 국수를 먹게

되겠어요. (Mai c— ng+ời y •u r ồi hả ? Chœng m“nh chắc sẽ đ+ợc uống

r+ợu mừng r ồi.)Õ 또는 Ô 너는 혼기가 다 찼는데 언제 국수 먹게 해 줄 거

야? (Con đ‹ đến tuổi lấ y chồ ng r ồi, khi nˆo mới cho ™ ng bˆ uống

r+ợu mừng vậy?)Õ

- 4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8 ㄴ)이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상대가 만날 약속을 지키지 않

아 헛걸음한다는 말이다. Ô나는 친구를 세 시간이나 기다렸지만 결국 바

람을 맞았다. (T ™i đ‹ đợi bạn 3 tiế ng r ồi cuố i c• ng bị cho leo c‰ y.)Õ

그리고 Ô저번에 한 번 바람을 맞아서 이번에 그분이랑 같이 안 갈겁니다.

(L ần tr+ớc t™ i đ‹ bị cho leo c‰y mộ t lần n• n lần nˆy t™i sẽ kh™ng

đi với anh ta nữa.)Õ 등과 같은 예문이 있다.

(8 ㄱ~ㄴ) 을 살펴보면 명사1 뜻이 명사2 뜻과 같지 않고 동사1 뜻도

동사2 뜻과 대응하지 않지만 양국 간 표현은 일치하지 않으나 표현 의미

가 같다. (8 ㄱ~ㄴ) 표현 경우에는 Ô명사+ 동사Õ로 구성되는 표현이다. Ô게

눈 감추듯, 날개가 돋치다, 눈 밖에 나다, 눈(을) 돌리다, 담( 을) 쌓다, 마

음을 비우다, 목에 힘을 주다, 미역국( 을) 먹다, 바람(을) 피우다, 손에 잡

히다, 색안경(을) 끼다, 엎친 데 덮치다, 입에 침이 마르다, 허리가 부러지

다Õ 라는 표현은 같은 구성이 있다.

둘째, 양국 표현에 같은 품사이지만 의미가 다른 Ô명사Õ 요소를 구성

되는 표현을 살펴보면 Ô 동사Õ 요소로 구성하는 한국어 표현이 Ô 형용사Õ 요

소를 가진 베트남어 표현에 대응한다. 반대로 Ô 형용사Õ 요소로 구성하는

한국어 표현이 Ô 동사Õ 요소를 가진 베트남어 표현이 대응한다. 즉 Ô 명사Õ

요소를 빼면 나머지 요소의 품사 및 의미가 완전히 다르다.

(9) ㄱ. 입( 을) 모으다 -> đồng ( 동일하다) thanh (소리)

명사1 동사 형용사 명사2

ㄴ. 귀가 얇다 -> nhẹ dạ ( 연약한 마음이) cả tin (쉽게 믿다)

명사1 형용사 명사2 동사

(9 ㄱ) 표현이 여러 사람이 같은 의견을 말하다. 예를 들어 Ô학생들은

윤 교수님의 수업이 가장 재미있고 유익하다고 입을 모았다. (Tất cả c ‡c

- 5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họ c sinh đều đồ ng thanh n—i lˆ tiếc học c ủa gi‡o s+ Yoon lˆ thœ vị

vˆ bổ ’ch nhấ t.)Õ 또는 Ô무리한 다이어트는 건강을 해친다고 의사들은 입

을 모아 이야기한다. (Tất cả c‡c b‡c s J đề u đồ ng thanh n—i việc

giả m c‰n qu‡ mức g‰y ảnh h+ởng đến sức kho ẻ.)Õ

(9 ㄴ) 표현이 남의 말을 쉽게 받아들인다고 의미한다. Ô그 사람이 그

렇게 귀가 얇아서 무슨 일을 하겠는가? (Anh ta dễ tin ng+ời nh+ vậy

kh™ng biế t sẽ lˆm đ+ợc việ c g“ đ‰y?)Õ 그리고 Ô그 사람은 귀가 얇아서

잘 어르기만 해도 우리 편에 설 거야 (ï ng ta nh ẹ dạ cả tin lắm n•n d •

c— d ụ d ỗ mộ t chœ t th“ c> ng sẽ đœng về ph’a chœng ta)Õ 등과 같은 예

문이 있다.

(9 ㄱ~ㄴ) 를 살펴보면 명사1 뜻이 명사2 뜻과 같지 않고 한 쪽에 동사/

형용사로 구성되고 한 쪽에 형용사/ 동사로 구성되었다. 그러므로 양국

간 표현은 일치하지 않으나 표현 의미가 같다. (9 ㄱ~ㄴ) 이외에 Ô 꿀 먹는

벙어리, 누워서 떡 먹기, 머리에 피도 안 마르다, 쥐 죽은 듯하다, 한눈

(을) 팔다, 한솥밥(을) 먹다Õ 라는 표현도 같은 구조를 형성한다.

셋째, 요소 개수가 변경이 있는 경우가 있다. 한국어 표현 내부에 Ô명

사+ 동사Õ나 Ô 명사+ 형용사Õ로 구성되는 표현인데 의미를 대응한 베트남어

대응 표현에서는 Ô 동사Õ나 Ô 형용사Õ 로 구성되는 표현이 된다. 요소 개수가

감소나 의미 변화는 없다.

(10) ㄱ. 손(이) 크다 -> r ộng l+ợng (후하다)

명사 형용사1 형용사1

ㄴ. 맛을 들이다 -> say s+a ( 심취하다)

명사 동사1 동사2

- 5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10ㄱ) 이 어떤 일을 하는 데에 돈이나 물건의 쓰임새가 넉넉하고 크

다고 의미한다. 예를 들어 Ô손이 큰 어머니는 친구가 오면 언제나 음식을

푸짐하게 차리곤 하셨다. (Ng+ời mẹ rộng l+ợng c ủa t™ i lœ c nˆo c>ng

chuẩ n bị thậ t nhiều đồ )n cho bạn t™i khi đến ch=i.)Õ 또는 Ô수지 집

에서 저녁 먹고 나서 손이 큰 수지 어머님이 음식을 싸주어 집에 가서 먹

으라고 하셨다. (Yn tối ở nhˆ Suji xong th“ ng+ời mẹ hˆo ph—ng củ a

Sujin c˜n g— i cả đồ )n k• u t™i đem về )n đi.)Õ

(10ㄴ) 이 좋아하거나 즐긴다고 표현한다. Ô베트남 사람들이 축구에 맛

을 들이다. (Ng+ời Việt Nam say m• m™ n b—ng đ‡.)Õ 그리고 Ô처음에는

힘들지만 맛을 들이면 너도 즐겁게 할 수 있을 거야. (Ban đầu h =i vất

vả nh+ng mˆ nếu đam m• th“ bạn c> ng c — thể s ẽ lˆm mộ t c‡ch vui

vẻ th™ i.)Õ 등과 같은 예문이 있다.

(10ㄱ~ ㄴ)을 살펴보면 한국어의 관용표현이 Ô명사+ 동사/형용사Õ 로 구

성되지만 베트남어의 관용표현은 동사나 형용사 또 명사만 구성되었다.

따라서 요소 수량이 일치하지 않지만 표현 의미가 같다. Ô간에 기별도 안

가다, 귀가 뚫리다, 기( 가) 막히다, 기가 죽다, 녹초가 되다, 눈(이) 높다,

눈에 밟히다, 뜸( 을) 들이다, 마음이 굴뚝같다, 바가지( 를) 긁다, 바가지( 을)

쓰다, 바람(을) 넣다, 발(을) 끊다, 발(을) 벗고 나서다, 배(가) 아프다, 상다

리가 부러지다, 어깨가 처지다, 입이 짧다, 애(를) 먹다, 애( 를) 쓰다, 코가

삐뚤어지다, 파김치가 되다Õ라는 표현도 같은 구조가 있다.

넷째, 다른 품사가 아니라 Ô명사Õ 만으로 구성되는 표현이 있다. 한국

어 표현에 Ô 명사Õ가 베트남어 표현에서 Ô 명사Õ와 불일치하다. 즉 한국 사

람이 이러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표현하지만 베트남 사람이 다른 이미지를

사용하여 표현해도 의미가 다르지 않다.

- 5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11) 물과 기름 -> ch— (강아지) với (과) m•o ( 고양이)

명사1 명사2 명사3 명사4

(11) 표현이 ( 어떤 대상이 다른 대상과, 또는 둘이상의 대상) 기름이

물 위로 뜨듯이 한데 어울리지 못하여 겉도는 생태에 대한 의미를 가진

다. 예를 들어 Ô형과 나는 물과 기름처럼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 (Anh trai

vˆ t™i kh™ ng ho ˆ hợp với nhau nh+ n+ớc với dầu.)Õ 그리고 Ô그 부부가

물과 기름처럼 매일 싸워서 결국 이혼했다. (V ợ chồ ng đ— c ứ c‹i nhau

nh+ ch— với m•o n•n cuố i c• ng đ‹ ly h™n.)Õ 등과 같은 예문이 있다.

마지막 내부에 살펴보면 요소 품사가 다 명사로 구성되나 의미만 다

르다. 한국어 관용표현에서 기름 및 물과 같은 반대 이미지를 사용하고

베트남 경우에는 고양이와 강아지 이미지를 사용한다.

3.2.4. 동형이의

관용표현 133개 중에서 동형이의 관용표현은 한 개이다. 양국의 문화

와 언어가 다르므로 같은 형태로 쓰는 표현인데 의미가 완전 다르다. 학

습자들이 사용할 때 의미를 잘 이해 못 하면 오해가 생길 수 있다.

(12) ㄱ. 눈에 익다 -> quen (익다) mắt ( 눈)

명사 동사 명사 동사

(12ㄱ) 표현이 한국어에 무엇이 자꾸 보아서 눈에 익숙하다는 의미이

다. 베트남어에 Ô )n cắ p quen tay, ngủ ngˆ y quen mắtÕ (훔치는 속에 익

고 낮잠을 자는 눈에 익다)는 Ô바늘 도둑이 소도둑 되다Õ 라는 뜻을 가진

- 5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다. Ô 저 사람은 누구지? 눈에 익은 얼굴인데 이름을 잘 모르겠네. (Ng+ời

đ— lˆ ai vậy? Nh“n quen lắ m mˆ kh™ng nhớ t• n.)Õ 그리고 Ô10 년 만에

돌아온 고향은 여전히 눈에 익고 정겨웠다. (Qua 10 n)m mới trở lại qu•

h+=ng vẫn quen thuộc nh+ ngˆ y x+a.)Õ 등과 같은 예문이 있다.

3.2.5. 한국어에만 있는 표현

Ô 그림의 떡, 깨가 쏟아지다, 날개(를) 펴다, 무릎을 치다Õ라는 표현이

한국어에만 있고 베트남어에는 없는 표현으로 총 4개 있다.

(13) ㄱ. 그림의 떡: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이용할 수 없거나 차지할

수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N — i về những thứ mˆ cho d •

c— vừa S lắm c> ng kh™ ng thể lấy đ+ợc hay kh™ ng sử

d ụng đ+ợc).

ㄴ. 깨가 쏟아지다: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과 또는 둘 이상의 사

람이) 오붓하거나 몹시 아기자기하여 재미가 나다. (Quan hệ

củ a ng+ời nˆy vˆ ng+ời kh‡ c, hay mố i quan hệ giữa hai

ng+ời rấ t tốt đẹp, hạnh phœc vˆ vui vẻ).

ㄷ. 날개(를) 펴다: 생각, 감정, 힘 따위를 힘차고 자유롭게 펼치

다. (Tự do thể hiện mạnh d ạn suy nghJ, t“nh c ảm, s ức

mạnh).

ㄹ. 무릎을 치다: 갑자기 어떤 사실을 알게 되었거나 희미한 기

억이 떠오를 때 또는 매우 기쁠 때 무릎을 탁 치다. (Khi

biết đ+ợc mộ t sự thật nˆ o đ— hay sực nhớ ra điều hy

hữu hay lˆ qu‡ vui v“ việc g“ đ— đ+ợc v’ nh+ đầu gối

- 5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bị chạm vˆ bật l•n).

베트남어에 없으므로 학습자들이 학습할 때 어려워하는 표현이어서

관용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이를 교육할 때 암기

를 핵심으로 하여 가르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표현들을 학습자 스스

로 추측하고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학습자가 지루하

지 않고 흥미롭게 배울 수 있다.

한국에만 있는 표현이라서 학습자가 쉽게 이해하고 학습하도록 시각

적인 자료- 그림, 사진, 사물, 만화 비디오 등을 제시한다. 옛날 풍습과 관

련된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시각적인 자료는 이해를 용이하게 한다. 그

다음에 의미를 쉬운 말로 풀어서 설명하거나 상황을 예시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황이 있는 예문을 통해서 의미와 쓰임, 상황을 알게 하는 방법

이다. 마지막 한국의 독특한 문화를 반영하는 관용표현은 문화적인 함축

의미를 설명하거나 유래를 설명한다. 풍부하고 재미있는 설명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며, 문화 이해와 아울러 언어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

다.12) 예를 들어 Ô 그림의 떡Õ이라는 표현은 ÒÔ 탐스럽지만 손에 넣을 수 없

다Õ 는 뜻으로 바라는 모습이기는 하나 실제로 이용할 수 없거나 이루어지

가 힘든 경우를 이르는 말Ó이라고 설명한다13). 또한 박정아 외(2015)는 초

등학교 교사로 아이들을 가르칠 때 속담, 관용표현에 담긴 함축적인 의미

를 파악하도록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들었다14) .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12) 전혜영 (2001:181)의 연구에서 이러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13)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서 정의한 내용을 참고함
14) 박정아 외(2015), 속담 한 상 푸짐하네, 개암나무 출판사.
보고 못 먹는 것은 그림의 떡
Ò어느 숨 속에 여유가 살았습니다. 여유는 어제 저녁부터 아무것도 먹지를 못했어요.
먹을 것을 구하려 다니느라 지친 여유는 더 이상 걸을 수가 없었어요. 그때였습니다.
저 멀리 포도밭이 보였어요. 여유는 포도를 보자 드디어 배고픔을 면할 수 있다는 생

- 5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학습자들은 관용표현을 쉽게 습득할 수 있었다.

(13ㄴ) 표현이 가족의 분위기 관련 관용표현이라고 한다.15) 조항록 외

(2019)에서 인간관계에 대해 연습할 때 Ô 깨가 쏟아지다Õ 라는 관용표현을

제시하였다. 예문 연습을 통해 관용표현의 뜻이 이해되면서 실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16 ) 이 예문을 보면 신혼 기간 중이라

서 결혼 생활이 매우 좋고 행복하고 재미있다는 말을 대신하여 Ô 깨가 쏟

아지다Õ 라고 함을 나타난다. 아를 통해 한국 사람이 신혼부부에게 (13 ㄴ)

표현을 쓰는 이유는 깨가 쏟아지는 것처럼 오붓하고 아기자기하고 사이좋

게 사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예문과 같이 학습하면 표현의 의

미를 파악하게 되고 사람관계, 그중에서 좋은 관계에 대해 말할 때 사용

하는 표현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에만 있는 (13 ㄷ~ ㄹ) 표현이라서 L • Huy Khoa 의 사전

에서는 한 어휘로 표시하지 않고 의미를 설명적인 형식으로 표시하였다.

베트남인 학습자가 가장 바르게 이해하고 싶으면 모국어로 설명하면서 묘

사하는 그림을 보는 방법도 있다. 즉 시각적인 자료-그림을 활용하는 학

습 방법이다.

각에 젖 먹던 힘까지 내어 포도밭으로 갔습니다. 그런데 막상 가보니 포도는 생각보다


높은 곳에 덜려 있었지요. 그나마 제일 낮은 데에 열린 거라도 따 보려고 손을 뻗고
발돋움을 하고 뛰어도 보았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어요. 온 힘을 다해 뛰었지만 포도를
딸 수 없자 크게 실망한 여우가 힘없이 중얼거렸습니다. 배가 고파 죽을 지경인데 탐
스러운 포도를 눈앞에 두고도 먹지 못하다니 정말 안됐지요? 보고 못 먹는 것은 Ô그림
의 떡Ô은 이처럼 아무 실속이 없는 경우에 쓰는 말입니다Ó
15) 조항록, 채윤미 (2019: 64), Practical Korean 5 - Advanced (한국어판)에서 내용
16) 조항록 외(2019: 30), Practical Korean 5 Workbook
가: 지영 씨, 결혼 축하해요. 결혼 생활 어때요?
ㄴ: 아직 신혼이라 그런지 깨가 쏟아지는 재미가 있어요.

- 5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 그림 1> 무릎을 치다 < 그림 2> 날개(를) 펴다

위 <그림 1> 를 보면 이 남자가 무릎을 치고 머리 옆에서 불을 나타나

고 얼굴에서 웃음이 나왔다. 즉 희미한 기억이 떠오를 때 또는 매우 기쁠

때 무릎을 탁 치다.

위 < 그림 2>에서 독수리가 날개를 펴고 있다. 독소리가 힘차고 자유

롭게 펼치는 그림처럼 사람의 생각, 감정, 기세를 힘차게 펼치는 뜻이다.

이 장에서 교재 세 개에 나오는 관용표현 및 사전 세 개에서 나타나

는 그 목록 중 두 번 이상 출현한 표현들을 정리하여 본 논문의 대조 대

상으로 삼았다. 그렇게 선정한 관용표현 133 개를 바탕으로 김은령(2014)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동형동의 표현, 부분 동형동의 표현, 이형동의 표현 ,

동형이의 표현 및 한국어에만 있는 표현 등을 크게 다섯 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한국어와 베트남어 관용표현을 대조 분석하였다. 분류하여 대조

분석한 그 결과는 관용표현 133 개 중에 동형동의 표현은 33개 (24.8%), 부

분 동형동의 표현은 46 개 (34.6%), 이형동의 표현은 49 개 (36.8%), 동형이

의 표현은 1 개 (0.8%), 마지막으로 한국어만 있는 표현은 총 4개 (3.0%)를

차지하고 있다. 그 중 형태가 부분 동형동의 표현과 이형동의 표현이 가

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한국의 문화, 일상생활은 같은

점이 많아서 이해하는 것과 관용표현을 교육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었다.

- 5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4. 한국어-베트남어 관용표현의 문화 의미 대조

외국인 학습자들은 어떤 외국어를 배울 때 제2 언어이기 때문에 외우

는 방법 이외에 모국어와 대조하여 이해하면 쉽게 습득할 수 있다. 특히

제3 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관용표현을 외우다가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관련 관용표현을 모국어로 번역한 후에 모국어의 언어문화

배경지식을 자동으로 상기하여 이에 따른 추측 과정을 거쳐 이해하도록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앞에서 보다시피 관용표현 구조를 동형동의,

부분 동형동의 또는 이형동의 관용표현 수가 많아서 양국은 다른 민족이

지만 같은 동양 문화권에 속하고 유사성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관용표현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말일뿐만 아니라 해당 국가의

문화 특색을 반영할 수가 있고 관용표현은 한 나라의 정신세계와 생활 및

문화로 볼 수가 있다. 한국의 관용표현은 구성 요소는 의미의 합으로 쓰

이지 않고 제3 의 새로운 의미단위를 형성하는 특이한 언어형식으로 한국

의 문화적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이 장에서 관용표현에 반영되어 있

는 문화적인 요소를 찾고 한국과 베트남 양국 간의 문화를 비교 대조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런 대조를 통해서 언어문화 차이를 밝힐 뿐만 아니라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관용표현을 학습하는 데 쉽게 접근할 수 있

다.

4.1. 문화와 관련된 관용표현 분류

선정한 관용표현 133개를 문화 주제 별로 분류하여 생활 문화, 민속

문화, 자연문화, 신체언어문화, 기타 언어문화의 다섯 개 종류로 분류하여

- 5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표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문화 주제마다 관용표현의 유래나 관용표현들

속에 담긴 양국의 문화 특징을 탐색한다.

< 표 8> 문화 요소와 관련된 관용표현의 분류 및 비율

문화 구분

요소 관용표현 개수 비율

가시방석에 앉다/ 깨가 쏟아지다/ 누워서 떡

먹기/ 다리(을) 놓다/ 도마 위에 오르다/ 문을

닫다/ 바가지(를) 긁다/ 비행기(를) 태우다/ 틀

생활 에 박히다/ 한턱내다/ 허리띠( 를) 졸라매다/ 돈


21/133 15.8%
문화 방석에 앉다/ 꿀 먹은 벙어리/ 담(을) 쌓다/ 뜸

( 을) 들이다/ 미역국(을) 먹다/ 바가지( 를) 쓰다/

파김치가 되다/ 한솥밥( 을) 먹다/ 그림의 떡/

색안경( 을) 끼다.

민속 기( 가) 막히다/ 기가 죽다/ 날을 잡다/ 국수( 를)


5/133 3.8%
문화 먹다/ 상다리가 부러지다.

가시밭길에 가다/ 게눈 감추듯이/ 물불( 을) 가

리지 않다/ 바람( 을) 넣다/ 바람( 을) 맞다/ 바람

자연 을 쐬다/ 바람(을) 피우다/ 뿌린 만큼 거둔다/


15/133 11.3%
문화 찬물을 끼얹다/ 하늘의 별 따기/ 오리발( 을) 내

밀다/ 쥐구멍에 들어가다/ 쥐도 새도 모르다/

물과 기름/ 쥐 죽은 듯하다/

신체 골치/ 머리: 골치가 아프다/ 머리(를) 식히다/ 86/133 64.7%

- 5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머리에 피도 안 마르다.

귀: 귀를 기울이다/ 귀가 가렵다/ 귀가 뚫리다/

귀가 얇다/ 귀에 거슬리다.

얼굴/ 낯: 낯이 붉히다/ 얼굴(이) 두껍다/ 얼굴

을 내밀다.

눈: 눈 깜짝 할 사이(에)/ 눈 밖에 나다/ 눈앞

에 캄캄하다/ 눈(이) 높다/ 눈에 거슬리다/ 눈

( 에) 띄다/ 눈에 선하다/ 눈에 밟히다/ 눈에 불

을 켜다/ 눈(을) 감다/ 눈( 을) 돌리다/ 눈(을) 붙

이다/ 눈독(을) 들이다/ 눈에 익다/ 눈코 뜰 새

없다/ 제 눈에 안경/ 한눈( 을) 팔다.

언어 입/ 맛/ 혀: 입(을) 모으다/ 입( 이) 가볍다/ 입이

문화 떨어지지 않다/ 입이 무겁다/ 입이 심심하다/

입이 짧다/ 입에 침이 마르다/ 맛을 들이다/

혀를 차다.

코/ 허리: 코가 납작해지다/ 코가 높다/ 코가

비뚤어지다/ 코앞에 닥치다/ 허리가 휘다/ 허

리가 부러지다.

마음/ 가슴: 가슴이 내려앉다/ 가슴이 뜨끔하

다/ 가슴이 찢어지다/ 가슴에 못(을) 박다/ 마

음이 굴뚝같다/ 마음(을) 먹다/ 마음(을) 놓다/

마음 아프다/ 마음을 졸이다/ 마음을 비우다.

간/ 담: 간(이) 떨어지다/ 간이 콩알만 해지다/

간에 기별도 안 가다/ 진땀(을) 빼다.

- 6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등/ 목: 등(을) 돌리다/ 목( 을) 빠지다/ 목에 힘

을 주다.

다리/ 발/ 무릎: 다리(을) 뻗고 자다/ 무릎을 치

다/ 발( 을) 끊다/ 발(을) 벗고 나서다/ 발등에

불이 떨어지다/ 발 디딜 틈이 없다.

날개/ 어깨: 날개가 돋치다/ 날개(를) 펴다/ 어

깨가 가볍다/ 어깨가 무겁다/ 어깨가 처지다.

배/ 속: 배가 아프다/ 배꼽( 을) 잡다/ 속을 썩이

다/ 속을 태우다.

손/ 팔: 손꼽아 기다리다/ 손(을) 놓다/ 손( 을)

보다/ 손( 을) 잡다/ 손(이) 크다/ 손에 땀을 쥐

다/ 손에 잡히다/ 손에 익다/ 팔짱을 끼고 보

다.

기타 꿈도 못 꾸다/ 시간 가는 줄 모르다/ 녹초가

언어 되다/ 엎친 데 덮치다/ 애( 를) 먹다/ 애(를) 쓰 7/133 4.4%

문화 다

위 <표 8>를 보면 생활 문화와 관련된 한국어 관용표현은 21개, 민속

문화와 관련된 관용표현은 5 개, 자연 문화와 관련된 관용표현은 15개, 기

타 언어문화와 관련된 관용표현은 7개이고 신체 언어문화와 관련된 관용

표현은 86 개로 제일 많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한국어 관용표현은 신체와

관련된 것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화 분류로 한국어 관용표현의

문화적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문화적 주

제별로 분류된 한국어 관용표현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대응되는 베

- 6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트남어 관용표현과 비교-대조하고 한다.

4.2. 관용표현의 유래와 문화 의미 대조

관용표현에는 내포된 문화 요소가 많아서 문화적 이해도가 낮으면 의

미를 추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관용표현은 각기 특수한 어원이나 유래를

가지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어원이나 유래 속에서 한국어 역사와 문화,

전통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관용표현은 한국인의 사고방식이나 생활 상식

을 언어와 함께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국가의 사회, 생활, 인문도 반영

한다. 이에 한국어 관용표현을 잘 이해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표현 속에

나타나는 문화를 잘 파악해야 한다. 한국어 관용표현이 가지는 문화적 의

미를 파악하기 위해 앞에서 관용표현을 분류하였다. 본 절에서 분류된 문

화 주제를 바탕으로 한국과 베트남의 관용표현에 반영되는 문화적 의미를

대조 및 비교하고자 한다, 즉 관용표현에 나타나는 문화 요소인 Ô생활 문

화, 민속 문화, 자연 문화, 신체 언어문화, 기타 언어문화Õ 를 중심으로 양

국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할 것이다.

4.2.1. 생활 문화

생활 문화란 일상생활에 입은 것, 먹는 음식, 생활 용품 등과 관련된

문화를 가리킨다. 실생활에서 집과 밥과 옷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가장

기본적인 것이므로 생활필수품과 관련된 표현이 많이 사용될 수가 있다.

생활 문화 관련한 관용표현은 자주 접하면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가르칠 때도 이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활문화의

의, 식, 주와 관련된 관용표현은 초급에서 제일 많이 적용될 수 있을 것

- 6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으로 보인다.

생활 문화에서는 의식주와 관련하는 언어가 제일 많이 차지하고 있

다.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매일 먹는 것, 입은 것,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하

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Ô의식주Õ 문화와 관련된 한국어 관용표현은 초, 중,

고급 단계에 다 분포하고 있다. 일단 Ô 의, 식, 주Õ 관련 관용표현을 살펴보

고자 한다.

<표 9> Ô 의식주Õ 문화와 관련된 관용표현

문화
관용표현 한국어 의미 베트남어 의미
주제

Thắt l+ng buộ c bụng.


검소한 생활을 하다.
Zối đầu với c™ ng việ c
마음을 먹은 일을 이
bằng sự s ẵn s ˆng vˆ
허리띠(를) 루려고 새로운 결의
의 quy ết t‰m cao để đạt
졸라매다 와 단단한 각오로 일
đ+ợc c™ ng việc mˆ m“nh
에 임하다. 배고픔을
mong muố n.
참다.
Nhịn đ— i

두 사람의 사이가 매 Quan hệ giữa hai ng +ời


깨가
우 좋아 행복하고 재 rấ t tốt đẹ p, hạnh phœ c,
쏟아지다
미나다. vui vẻ

하기가 매운 쉬운 것
누워서 d ễ nh+ trở bˆn tay (d ễ
을 비유적으로 이르
떡 먹기 nh+ anh b‡nh Tok)
는 말

- 6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Khao, đ‹i (Tiếp đ‹i

남에게 크게 음식이 ng+ời kh‡c bằ ng r+ợu


한턱내다
나 술을 대접하다. ho ặc thức )n một c‡ch

ho ˆnh tr‡ng)

C‰m nh+ h ến (Ng+ời


하고 싶은 말이나 자
꿀 먹는 kh™ng diễn đạt đ+ợc lời
신의 생각을 말하지
벙어리 muốn n— i hay S nghJa c ủa
못하고 있는 사람
ch’nh m“nh)

일이나 말을 할 때에, Ngậ p ngừng (L ˆm cho

쉬거나 여유를 갖기 ng+ời nghe thấy hồ i h ộp


뜸(을) 들이
위해 서둘지 않고 가 hay chờ đợi bằng c‡ch

만히 있는 경우를 비 d ừng lại trong mộ t thời

유적으로 이르는 말 gian khi n—i hay lˆm việc.)

미역국(을)
시험에서 떨어지다. Tr+ợt vỏ chuối (thi tr+ợt)
먹다

파김치가 몹시 지치고 피곤한


Kiệt s ức
되다 상태가 되다.

Thứ mˆ cho d • c— vừa S


마음에 들어도 실제
lắm c >ng kh™ ng thể lấy
그림의 떡 로 쓸 수 없거나 가
đ+ợc ho ặc kh™ ng sử
질 수 없는 것
d ụng đ+ợc.

한솥밥(을) (어떤 사람이 다른 사 Chỉ những ng+ời s ống

먹다 람과, 또는 둘 이상의 chung mộ t nhˆ (c •ng )n

- 6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사람이) 함께 생활하

며 집안 식구처럼 가

깝게 지내다.
chung mộ t nồi c=m)
(어떤 사람이 다른 사
Chỉ những ng +ời lˆm việ c
람과 또는 둘 이상의
giố ng nhau
사람이) 비슷하거나

동일한 일에 종사하

다.

Z—ng cửa (kết thœc c ™ng


하루의 장사나 일을
việc hay việc bu™ n b‡n
마치다.
문을 닫다 củ a một ngˆy)
장사나 사업을 그만
Nghỉ bu™n b‡n hay kinh
두다.
doanh.

(사람이 무엇과) 관심 Kh™ ng hề quan t‰m đến



이 없어 전혀 관계하 việc nˆo đ— .

지 않다. nh+ ng+ời d+ng (Cắt đứt

담(을) 쌓다 (어떤 사람이 다른 사 mối quan hệ tr+ớc đ‰y

람과, 또는 둘 이상의 củ a ng+ời nˆy với ng+ời

사람이) 서로 사귀던 kh‡c hoặ c củ a hai ng+ời

사이를 끊다. hay nhiều ng+ời với nhau)

위 <표 9> 를 보면 Ô 의Õ생활과 관련된 관용표현의 경우, Ô 허리띠(를) 졸

라매다Õ 가 있다. 한국어 표현이나 베트남 표현에서 똑같은 Ô허리띠Õ 로 구

성되어 있다. 옛날 한국에서 경제가 어려울 때 검소하게 살던 방식을 보

- 6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여 주는 표현이다. 베트남의 경우에는 Ò계획한 어떤 것을 위해서 굶주림

을 견디며 절약하는 것Ó을 표현한다17) . 또는 Ò어려운 환경에서 절약하기

위해 매우 제한적으로 소비한다18) Ó라는 것을 뜻한다. 허리띠를 매는 동작

은 농부의 익숙한 행동이다. 농부들은 맑은 날이건 궂은 날이건 허리띠를

맨다. 바람이 불거나 몸을 구부릴 때 옷을 벌어지지 않도록 허리띠를 단

단히 매야 한다. 옛날 베트남 시장에서 상인들은 항상 허리에 작은 파우

치를 맸다. 배 또는 허리 주위에 착용해 돈이나 쌀을 넣었던 천 파우치

다. 매일 일하기 전에 허리띠를 매고 일을 마친 뒤 푸는 행동은 베트남

노동자들에게 습관과 같다. 이처럼 이런 표현들은 양국의 역사와 생활 문

화를 반영한다.

< 표 9>에 제시한 Ô깨, 떡, 꿀, 미역국, 파김치Õ 등과 같은 Ô 식Õ 생활을

관련된 표현이 있다. 한국 음식의 대표는 떡, 김치, 미역국 등으로써 전통

적인 음식이고 특별한 날에 한국 사람들이 먹는 음식이다. 외국인들이 한

국에 여행하면 반드시 먹어보고 싶은 것이 떡이다. 한국인에게 떡은 상고

시대부터 생업의례음식, 무속의례음식, 명절음식, 통과의례음식, 제사음식,

선물용 음식으로 쓰였으며 이러한 관습이 지금까지 계승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며 밥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식의 성격까지도 가진다. 떡은

농경문화의 정착과 함께 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음식 중 하나이다. 한

국민족은 떡은 별식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좋은 일에 더욱 좋은 일이 겹

침을 의미하는 Ô 밥 위에 떡Õ 이라는 속담이 있다. Ô그림의 떡Õ이라는 표현

은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사용할 수 없거나 차지할 수 없는 환경을 이르

는 말이다.

또한 Ô누워서 떡 먹기Õ 라는 속담도 관용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표

17) 언어학원, 문화정보 출판사, 베트남 관용어 사전 (2011)에서 정의한 내용을 참고함
18) 사전학센터, 다낭 출판사, 베트남 사전 (2011)에서 정의한 내용을 참고함

- 6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현은 어떤 일을 하는 것이 상당히 쉬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뜻이 있

다. 이러한 표현에서 보면 떡이 음식뿐만 아니라 한국 생활에서 관용적으

로 Ô 좋은 것Õ 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또한 관용표현은 문화가 반영된 유래담이 존재한다. 이러한 재미있는

유래담을 알아보면 관용표현의 의미가 더 쉽게 이해된다. 예를 들어 Ò옛

날 한 벙어리가 꿀을 너무 많이 먹어 배탈이 났어요. 아내가 왜 그러냐고

묻자 계속 꿀단지만 손으로 가리켰지요. 그래서 아내는 꿀이 먹고 싶어서

그러는 줄 알고 꿀물을 탔대요. 꿀을 많이 먹어 배탈이 났는데 또 꿀을

먹으라니 벙어리는 얼마나 애가 탔겠어요.Ó19) 그래서 Ô 꿀 먹는 벙어리Õ라

는 유래담이 있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이 관용표현을 배울 때 벙어리와

꿀의 관계를 이해 못 하는 경우가 있으니 이 유래담을 통하여 Ô하고 싶은

말이나 자신의 생각을 말하지 못 하고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Õ 이라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 관용표현 가운데 Ô 미역국을 먹다Õ라는 표현은 시험에

서 낙방하거나 탈락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미역은 원래 미끌미끌한 특

징이 있어서 여자가 아이를 낳은 뒤에 미역국을 먹는 것은 미역 자체에

산모가 필요로 하는 영양분이 많다는 측면 이외에도 미처 배 안에서 빠져

나오지 못한 태반 등이 미역처럼 쉽게 미끄러져 나오라는 의미도 담고 있

다. 이에 반해 미역국의 미끌미끌한 촉감이 주는 선입견에 의해 시험을

보거나 할 때 미역국을 먹는 것이 금기시되는 경우도 있다.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베트남의 관용표현 중에는 Ô 바나나 껍질에 미끄러지다Õ라는

표현이 있다. 옛날에 한국에는 바나나가 많지 않았지만 베트남에서는 밥

이 부족한 가난한 시절에 밥 대신 먹는 것이 바나나였다. 특히 베트남 남

19)김충실 외 (2006:16) 관용어로 배우는 한국어에서 참고함

- 6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부 지역에서 바나나는 밥이랑 같이 먹는 음식이다. 이처럼 습관적인 베트

남 생활에서 바나나의 이미지는 한국의 미역국과 비슷해서 관련된 관용표

현이 생겨나 것이다.

한편 베트남 문화에서도 한국의 떡처럼 관용표현에서 자주 나타나는

음식은 바로 Ôx™i (쏘이)Õ 라고 한다. 쏘이는 고기, 채소, 과일, 콩과 같은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지은 베트남식 찹쌀밥이다. 특별한 날에는 특별한

쏘이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설날과 같은 명절이나 결혼식에는 베트남에

서 재배되는 각이라는 과일을 이용하여 쏘이 각이라는 붉은색이 나는 쏘

이를 만들기도 하고 큰 시험을 앞두고 있을 때에는 시험은 전날에 녹두가

들어간 노란색의 쏘이를 만들어 먹는다. 베트남에서 녹두는 시험을 합격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음식을 통해서 중요한 의미를 나타내는 관용

표현도 있다. 예를 들면 Ô )n mˆy ( 거지) đ˜i (요구하다) x™ i g ấc (쏘이각)Õ

라는 표현이 어떤 사람이 욕심 많아서 쏘이 각 (x™ i gấc)과 같은 더 좋은

것을 원한다는 뜻이다. 의미가 일치하는 한국어 관용표현은 Ô찬밥 더운밥

가리다Õ 라는 표현이다.

< 표 9>에서 제시한 Ô주Õ 와 관련된 관용표현의 대부분이 건물 구조의

일부분에 대한 Ô문, 담Õ 과 같다. 한국어의 Ô문을 열다/ 닫다Õ등이 베트남에

서도 같은 Ô영업Õ 라는 의미를 가지는 표현이라는 점에서 양국 언어 간 공

통점이다. 또는 Ô 담을 쌓다Õ 라는 표현이 인간관계에 대한 의미를 가져 있

는 표현이다. 베트남 집이든 한국 옛날 집이든 집 앞에서 마당도 있고 담

도 있다. 담는 집을 위한 개인 공간을 구성하고 이웃과의 관계를 방해하

는 장애물이다. 한국 현대 집의 담이 없어지지만 Ô 담Õ의 개념이 한국과 같

고 이와 관련된 표현도 유사하므로 양국 언어 간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

다.

생활 문화에서 Ô 생활용품Õ과 관련된 관용표현 개수가 적지 않다. 사람

- 6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들이 오랫동안 용품을 쓰다가 생활 속에서 일반 물건이 아니고 특별한 의

미를 가지닌 물건이 되어서 속담이나 관용표현에서 언급하게 되다.

< 표 10> Ô 생활용품Õ과 관련된 관용표현

문화
관용표현 한국어 의미 베트남어 의미
주제

ngồi tr•n lửa (Cảm thấ y


가시방석에 (사람이) 불안하거나
bất an, lo lắng kh™ ng
앉다 초초한 느낌이 들다.
y •n)

B ị l•n thớt ( Zối t+ợng

도마 위에 어떤 대상이나 문제가 hay vấn đề nˆo đ—

오르다 비판의 대상이 되다. trở thˆ nh đố i t+ợng

ph• ph‡n

đ—ng khung (suy nghJ,


'행동이나 생활이 딱딱
물건 틀에 hˆnh động hay sinh
하게 느껴질 정도로 규
박히다 ho ạt mộ t c‡ ch rập
격화되다.
khu™n, cứng ng ắt)

Ngồ i tr•n đố ng tiền


돈방석에 썩 많은 돈을 가져 안
(Tho ải m‡i khi c — nhiều
앉다 락한 처지가 되다.
tiền)

바가지( 를)
잔고시를 늘어놓다. Cằn nhằn, cˆu nhˆu
긁다

바가지( 를) 손해 보다. 피해를 당 Mua hớ (mua với gi‡

- 6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쓰다 하다. cao h=n)

주관이나 선입견에 얽 Mang theo định kiến


색안경( 을)
매여 좋지 아니하게 보 nˆo đ— vˆ đ‡nh gi‡
끼다
다 ng+ời kh‡c

비행기( 를) Cho đi tˆu bay giấ y


지나치게 칭찬하다
태우다 (khen ngợi qu‡ mức)

상대편과 관련을 짓기
다리( 을) Lˆ m cầu nối cho hai
위하여 중간에 다른 사
놓다 ng+ời
람을 넣다

한국 사람이 자주 쓰는 용품인 Ô 바가지Õ라는 것이 한국어 관용표현에

서 많이 나타난다. 외국인들이 바가지 어휘를 배울 때 무슨 용품인지 모

르는 경우도 있다. 예전에 바가지가 박을 두 쪽으로 쪼개거나 또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그와 비슷하게 만들어 물을 푸거나 물건을 담는 데 쓰는 그

릇이다. Ô바가지 긁다Õ라는 관용표현은 옛날에 Ô쥐들이 돌아다닐 때 귀신

을 쫓는다Õ 하여 바가지를 득득 문지르던 데서 비롯된 말이다. 이처럼 듣

기 싫다는 공통성으로 인해 흔히 아내가 남편에게 경제적 불평 따위를 말

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또 요금이나 물건 값이 실제 가격보다

훨씬 더 비싸게 지불하여 억울한 손해를 본다는 의미로 Ô바가지 쓰다Õ,

Ô 바가지 씌우다Õ라는 표현이 있다. Ô바가지를 쓰다Õ 라는 말은 옛날에 중국

에서 들어온 Ô 십인계Õ라는 놀음에서 유래되었는데, 1 에서 10 까지 숫자가

쓰인 바가지를 엎어 놓고 돈 내기를 하여, 못 맞히면 돈을 잃기 때문에

Ô 바가지를 썼다Õ고 하였다. 그것이 변하여 요즘은 남의 속임수에 결려 부

당하게 많은 돈을 치르거나 책임을 도맡아 지게 되었다는 뜻으로 사용하

- 7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고 있다.2 0)

옛날 베트남 사람들도 물을 푸는 데에 바가지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베트남 생활에서 바가지의 이미지가 외로움이나 다른 사람의 기분을 나쁘

게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용품이다. 예를 들면 Ôdộ i ( 끼얹다) g‡o ( 바가지)

n+ớc lạnh ( 찬물)Õ 라는 표현이 잘되어 가고 있는 일에 뛰어들어 분위기를

흐리거나 일을 망친다는 뜻이다. 이러한 의미를 같은 한국어 표현이 Ô찬

물을 끼얹다Õ라고 한다. 요즘 베트남에서는 위에 있는 뜻 이외는 Ô어떤 일

을 기대하지 말고 찬물을 끼얹으면서 일깨운다Õ 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한

국 관용표현과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베트남인 학습자가 Ô 바가지Õ

라는 표현을 이해하기가 어렵다.

4.2.2. 민속 문화

민속 문화는 세시 풍속을 비롯한 무속 문화, 신앙 문화, 관점 등을

비롯한 각종 문화 양상을 말한다. 민속은 얘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생활양

식이나 풍습, 신양 등을 말하기 때문에 한 민족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

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Ô 전통 문화Õ 관련 관용표현을 살펴보고자 한다.

< 표 11> Ô 전통 문화Õ 와 관련된 관용표현

문화
관용표현 한국어 의미 베트남어 의미
주제

풍습 날을 잡다 결혼 날짜를 정하다 Chọ n ng ˆ y, định ng ˆy

20) 김충실 외(2006:155), 관용어로 배우는 한국어에서 참고함

- 7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장례나 이사 따위를 할 (h ™n lễ)

때에 길일을 가려 정하 Zịnh tr+ớc ngˆ y cho

다. việc nˆo đ—.

국수(를) 결혼식에 초대를 받거나 Uố ng r +ợu mừng (t ổ

먹다 결혼식을 올리다. chức lễ c+ới)

상다리가 상에 음식이 매우 많이 thịnh soạ n (chu ẩn bị

부러지다 차려져 있다. qu‡ nhiề u đồ )n)

어떠한 일이 놀랍거나

언짢아서 어이없다.
기(가)
어떻다고 말할 수 없을 Ngỡ ngˆ ng
막히다
관점 만큼 좋거나 정도가 높

다.

M ất h ứng, hết hứng


기가 죽다 기세가 꺾여 약해지다.
thœ

< 표 11> 를 살펴보면 풍습에 대한 표현 중에 Ô 국수를 먹다Õ 라는 표현

이 있다. 한국의 조선시대에는 국수가 더욱 널리 퍼졌다. 그러나 밀 생산

량이 많지 않아 주식으로는 되지 못했고, 생일, 혼례 등의 경사스러운 날

이나, 점심에 별식으로 만들어 먹었다. 그래서 『춘향전』의 변 사또 생

일잔치에 참여한 이 도령의 상에도 면이 올라와 있다. 잔치 때 국수를 대

접하는 풍습은 지금도 여전하다. 그래서 결혼식 때에 하객에게 국수를 대

접했기 때문에 Ô 국수 먹다Õ 라는 말은 오늘날 결혼식을 빗대어 이르는 관

용어가 되기까지 하였다. 지난날에는 결혼식을 추수 뒤에 많이 하였다.

근자에는 따뜻한 봄에 많이 하더니, 요사이는 국수 먹는 계절이 따로 없

- 7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는 것 같다. 따라서 Ô 국수(를) 먹다Õ 는 결혼식 피로연에서 흔히 국수를 대

접하는 데서, 결혼식을 올리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이와 같이 베트남 결혼식 때에도 손님들에게 축배를 대접하는 관습이

있으므로 Ôuống r+ợu mừngÕ ( 축배를 마시다) 라는 관용표현이 Ô 결혼하다Õ

는 의미로 쓰인다. 베트남 신앙에서 베트남 사람들이 Ôv™ tửu bấ t thˆnhÕ

(술 없으면 예절이 없다) 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신과 연결하기 위한 필수

조건은 술이 있어야 하는 풍습이다. 특히 베트남 축제, 제사, 결혼식 또

일상생활에서도 반드시 있어야 부족하지 않는 것이 바로 술이다. 어떤 베

트남 민족은 친구나 친지가 집에 방문하면 밥과 술을 준비하여 대접한다.

베트남의 음주 문화는 일반적으로 다른 나라와 다르다. 베트남 음주 문화

와 특히 흥미로운 차이점은 외국인들이 술의 맛을 느끼기 위해 너무 느리

게 마신다. 그러나 베트남 사람들은 외국인처럼 복잡하지 않지만 술을 마

시는 문화와 의식에는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단지 즐기기만을 원한

다.

Ô 기가 죽다Õ, Ô 기가 막히다Õ라는 표현이 한국 생활에 자주 쓰는 표현

이지만 베트남 학습자들이 이 Ô 기Õ를 배울 때 이해 못 할 수도 있고 대화

할 때에 잘 활용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한국 사람이 평소에 쓰는 말 중

에 Ô기Õ 라는 글자가 들어간 말이 의외로 많다. 있는 힘을 다할 때는 Ô기를

쓰다Õ 라고 하거나, 억눌리거나 어려운 지경에서 벗어났을 때는 Ô기를 편

다Õ 라고 한다. 또 Ô 기가 죽었다Õ, Ô 기가 살았다Õ 는 말도 쓴다. 여기서 Ô기

(氣)Ô 란 활동하는 힘, 그러니까 한국사람 몸의 원동력을 말한다. 동양 철학

에서는 만물이 생겨나고 움직이는 근원적인 힘을 Ô기Õ 라고 한다. 두렵거나

놀라서, 아니면 큰 슬픔 때문에 잠시 정신을 잃은 것을 Ô 기절Õ이라고 하는

데, 이 말도 몸속을 흐르는 기가 어느 한순간 끓어진 상태를 뜻하는 것이

다. 이렇게 사람이 살아 움직이는 원동력인 기가 막힌다면 꼼짝도 할 수

- 7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없다. 그래서 어떤 일에 놀라서 어이가 없을 때 무엇을 말할 수 없을 만

큼 정도가 심할 때 Ô 기가 막히다Õ 고 한다. 어이가 없어 말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Ô 기가 차다Õ 라는 말도 쓴다.

예전에 Ô기가 막히다Õ라는 한국 관용표현이 베트남어로 번역할 때 Ô놀

라다Õ 라는 표현이지만 요즘 Ôcạ n lời (말이 없다), hạn h‡n lời (말이 가물

다)Õ 라는 표현이 Ô 기가 막히다Õ라는 한국어 표현과 유사성이 더 높다. 한

편에 한국의 Ô 기Õ가 기운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베트남에서 이러한

Ô 기운Õ이 속담, 속어, 문학 속에서 흔히 나타난다. 그 중에서 Ôc— ch ’ th“

n•n Õ ( 의지가 있는 것이 좋다)라는 속담을 모르는 베트남 사람이 없다.

이는 강한 의지와 강한 생활 정신을 장려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속담이

다. 옛날부터 베트남 사람 속에는 기운, 의지력 등이 발견되었다. 식민지

침략에 대한 많은 전쟁에서 베트남 민족의 의지력과 정신력이 크게 증진

되었다. 프랑스와 미국과 같은 강력한 제국의 침공으로 베트남 사람은 극

도로 시급한 상황에 어려움을 극복하는 의지로 베트남 국민들은 외국 침

략자들과 맞서 싸웠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어려움과 희생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백성은 여전히 물러서지 않았으며 프랑스 식민지 주의자들과 미국

제국주의자들을 정복하고 국가 밖으로 몰아내어 국민들에게 평화를 가져

왔다. 그 승리는 의지와 기운의 결실이었다.

4.2.3. 자연 문화

한국과 베트남이 Ô목축문화, 농경문화Õ를 가지고 있는 나라여서 옛날

부터 사람들이 재배하거나 사육하면서 자연 현상, 동물, 식물을 접속하는

실생활로 인해 소, 말, 닭, 말, 호랑이, 쥐, 개 등 같은 여러 동물 및 바람,

불, 물, 하늘, 별, 강 등 같은 여러 자연 현상 등이 들어간 관용표현이 많

- 7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이 있다. 나라마다 동물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이미지가 다르고 사고방식

도 반영되기 때문에 언어문화의 표현에 차이가 생기다. Ô자연Õ 관련 관용

표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2> 자연 문화 관련 관용표현

문화
관용표현 한국어 의미 베트남어 의미
주제

게 눈 감추 음식을 허겁지겁 빨리 먹어 치 ( Yn) Rấ t nhanh,

듯 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t rong nh‡y mắt.

어떤 행위를 하고 그런 행위를
오리발(을)
한 일이 없다고 완강하게 거짓 V ờ vịt
내밀다
증언을 하다

쥐구멍에 부끄럽거나 매우 곤란하여 어


동 độ n thổ
들어가다 디에라도 숨고 싶어한다.

감쪽같이 행동하거나 처리하여
쥐도 새도
아무도 그 경위나 행방을 모르 Kh™ng ai hay biết
모르다
게.

마치 쥐가 죽은 것처럼 아무
쥐 죽은
소리도 내지 않고 꼼짝하지도 Y •n lặ ng nh+ tờ
듯하다
않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자 가시밭길에 Zi đ+ờng ch™ng


힘겹고 험한 삶을 살다
연 가다 gai

경 물불(을) 어떠한 어려움이나 위험이 있 Kh™ng quản ch™ng

- 7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가리지 gai, kh™ng quản


어도 신경 쓰지 않고 강행하다
않다 s ống chết

바람(을) 남을 부추겨서 무슨 행동을 하 Xœ i giục, khuy ến

넣다 려는 마음이 생기게 만들다. dụ

바람(을) 상대가 만나기로 할 약속을 지 B ị cho leo c‰y (bị

맞다 키지 아니하여 헛걸음 하다. thấ t hẹn)

기분 전환을 위하여 바깥이나

바람을 딴 곳을 거닐거나 다니다. H —ng gi—, thay

쐬다 다른 곳의 분위기나 생활을 보 đổ i kh™ng kh’

고 듣고 하다.

한 이성에만 만족하지 아니하


바람(을) Ngoạ i t“nh, bị cắm
치 고 몰래 다른 이성과 관계를
피우다 s ừng
가지다.

뿌린 만큼 자기가 한 행동에 따른 결과를 Gieo g“ g ặt nấy,

거둔다 얻기 마련이다 bụ ng lˆm d ạ chịu

잘되어 가고 있는 일에 뛰어들
찬물을
어 분위기를 흐리거나 공연히 D ội g‡o n+ớc lạnh
끼얹다
트집을 잡아 헤살을 놓다

무엇을 얻거나 성취하기가 매


하늘의 H ‡i sao tr•n trời,
우 어려운 경우을 비유적으로
별 따기 đậ p đ‡ v‡ tr ời
이르는 말

서로 어울리지 못하여 겉도는 Nh+ n+ớc với lửa,


물과 기름
서이 nh+ ch — với m• o

- 7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 표 12>에서 동물과 관련 관용표현 다섯 개 중에 이 Ô 쥐Õ를 언급한

표현이 총 세 개가 있다. 베트남에서 쥐에 관한 관용어는 쥐의 생태와 습

성, 외모와 동작들로부터 Ô작음, 재빠름, 하찮음, 탐욕스러움, 간사함Õ등의

인식으로 인하여 대부분이 부정적인 특성이 있다. 한국문화에서는 쥐는

결코 유익한 동물이 아니고 생김새가 얄밉고 성질이 급하고 행동이 경망

한데다 좀스럽다는 이미지를 지닌다. 쥐가 더욱 혐오스러운 것은 양식을

약탈하고 물건을 쏠아 재산을 축내기 때문이다.

< 표 12> 에서 Ô호랑이Õ 동물을 언급하지 않지만 Ô게 눈 감추듯Õ라는 표

현과 대응하는 Ô) n nh+ h•mÕ (백 호랑이 먹는 모습 같다)라는 베트남 표

현이 있다.21) 호랑이의 이미지는 풍부하고 다양하며 독특한 방식으로 베

트남 민속 문화에 들어왔다. 베트남처럼 호랑이가 많은 이름을 가진 곳은

거의 없다. 이것은 사람들의 문화생활에서 중요한 위치임을 증명한다. 시

간이 지남에 따라 삶과 종교의 발달로 호랑이는 베트남 사회의 많은 성격

특성을 지닌 마스코트가 되었다. 호랑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베트남 사

람들의 물질과 영적 삶의 특별한 이미지다. 베트남 문화의 경우 호랑이는

독보적인 힘을 나타내는 큰 힘의 상징이다. 힘과 민첩성을 위해 사람들은

호랑이를 정글의 주인으로 불렀다. 베트남 문화에는 호랑이에 대한 두 가

지 견해가 있는데 호랑이의 힘, 아름다움 및 지능을 강조하고 숭배하는

문화적 관점과 호랑이를 두려움과 경멸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이다. 이러

한 현상은 인간이 호랑이에 매우 집착하기 때문임을 의미한다. 통계에 따

르면, 베트남에는 호랑이와 관련된 속담, 방언, 관용구, 속담, 민요 등이

1,200개가 넘게 있다고 한다. 호랑이는 또한 많은 동화, 우화, 전설 및 일

화의 중심 주제다. 그리고 많은 시인들이 독창적인 시를 쓰게 만드는 감

21) 2 장에서 < 표 7>를 참고함

- 7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흥의 원천이 된다.

호랑이의 이미지는 한국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오늘날까지도 한

국 국민의 수호신으로 남아있는 신화이다. 호랑이는 용기와 힘을 상징한

다. 호랑이는 야생 동물의 세계에서 용맹스럽고 사납지만 한국인의 생각

에 따르면 호랑이는 여전히 인간과 가까운 동물이다. 호랑이의 이미지는

인류를 보호하는 마스코트인 셈이다. 백 호랑의 해는 한국인들에게는 호

랑이의 흰색이 행운의 신호가 될 것을 생각한다. 사람들은 호랑이 부적을

가져 다닐 때 모든 위험을 빠져나가며 보호된다고 생각하고, 사람들은 호

랑이가 나쁜 운을 방어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호랑이 그림이 있는 옷

을 입어 좋은 한해의 운수를 원한다.

앞에 언급하는 것처럼 Ô)n nh+ h•m (백 호랑이 먹는 모습 같다)Õ 라

는 베트남어 관용표현이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같은 의미를 가지는 Ô게 눈

감추듯Õ 라는 표현이 있다. Ô 호랑이Õ와 관련된 한국어 관용표현이 많으나

앞에서 해당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4.2.4. 신체 언어문화

신체언어는 인간의 활동과 제일 밀접하게 관련되며 일상생활에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다. 한국어 교재 안에서도 신체언어와 관련한 관용표현

이 흔히 언급하게 되었다. 다른 관용표현보다 신체 언어를 가지고 있는

표현을 접속할 때 학습자가 쉽게 연상할 수 있고 모르더라도 그 의미를

추측할 수가 있다. 특히 사람의 신체 언어를 사용하여 비유적인 의미를

갖고 있어서 습득하기가 어렵지 않다. 앞의 대조 과정을 살펴보면 동형동

의, 동형이의, 이형동의에서 신체 언어 관용표현 수가 많게 보인다. 이에

를 따르면 한국어의 관용표현처럼 신체 언어문화를 가지고 있는 베트남

- 7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관용표현이 많다. Ô신체Õ 관련된 관용표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표 13> 신체 언어문화 관련 관용표현 1

문화
관용표현 한국어 의미 베트남어 의미
주제

골치가 ( 사람이) 일이나 사태를 해결 đau đầu (về việc

아프다 하기가 성가시거나 어렵다. g“ đ—)

골치 머리(를) ( 사람이) 긴장을 풀고 마음을 lˆ m nhẹ đầ u (th+

/ 식히다 편안하게 하다. gi‹n đầu — c)

머리 머리에
아직 어른이 되려면 멀었다.
피도 miệng c˜n h™i sữa
또는 나이가 어리다.
안 마르다.

lắ ng tai (quan t‰m


귀를 남의 이야기나 의견에 관심
tới l ời n— i củ a
기울이다 을 가지고 주의를 모으다.
ng+ời kh‡ c)

ngứa tai (d +ờng


귀가
남이 제 말을 한다고 느끼다. nh+ ng+ời kh‡ c n—i
가렵다
귀 về m“nh)

귀가
말을 알아듣게 되다. nghe hiểu
뚫리다

귀가 얇다 남의 말을 쉽게 받아들인다. nhẹ dạ cả tin

귀에 어떤 말이 자신의 생각과 맞 ch+ớng tai (t‰m

거슬리다 지 않아서 기분이 좋지 않다. trạng kh™ng vui v“

- 7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c‰u n— i nˆo đ—

kh™ng hợp với suy

ngh J củ a m“nh)

낯이 성이 나거나 또는 부끄러워
đỏ mặ t (x ấu hổ )
붉히다 얼굴을 붉게 하다.

얼굴 얼굴(이) 부끄러움을 모르고 염치가 mặ t dˆ y (kh™ ng

/낯 두껍다 없다. biế t xấu hổ)

얼굴을 모임 따위에 모습을 나타내


lộ mặt (xuất hiệ n)
내밀다 다.

눈 깜짝
trong nh‡y mắ t,
할 사이 매우 짧은 순간
trong chớp mắt
(에)

눈 밖에 신임을 잃고 미움을 받게 되
mấ t cảm t“nh
나다 다.

눈앞에
어찌할 바를 몰라 아득하다. t+=ng lai m• mịt
캄캄하다

1. 정도 이상의 좋은 것만 찾 kŽ n chọ n, đ˜i hỏi
눈(이)
는 버릇이 있다. cao, ki• u k“, ki•u
높다
2. 안목이 높다. ngạ o

눈에 ( 무엇이) 보기에 마뜩하지 않 ch+ớng mắt (kh—

거슬리다 아 불쾌한 느낌이 있다. coi)

눈(에) (c‡ i g“ đ— nổ i bật)


두드러지게 드러나다.
띄다 đập vˆo mắt

- 8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눈에 ( 무엇이) 잊히지 않고 눈앞에 số ng động tr+ớc

선하다 보이는 듯 기억에 생생하다. mắ t

눈에 잊히지 않고 자꾸 눈에 떠오 v+=ng vấn kh™ ng

밟히다 르다. qu•n đ+ợc

1. nổ cả mắt (nổi
1. 몹시 욕심을 내거나 관심
눈에 불을 l˜ ng ham muốn
을 기울이다.
켜다 hoặ c r ất quan t‰m)
2. 화가 나서 눈을 부릅뜨다.
2. nổi giận

1. nhắm mắt (qua


사람의 목숨이 끊어지다.
눈(을) đời)
남의 잘못을 알고도 모르는
감다 2. nhắ m mắt cho
체하다.
qua

눈(을) đặt sự quan t‰m


관심을 돌리다.
돌리다 sang h+ớng kh‡c

눈(을)
잠을 자다. chợp mắt (ng ủ)
붙이다

để mắt (nh“n mộ t
눈독(을)
욕심을 내어 눈여겨보다. c‡ch đầy quan t‰m
들이다
vˆ nả y l˜ ng tham )

điề u g“ đ— nh“n

눈에 익다 여러 번 보아서 익숙하다. nhiều lầ n vˆ trở

n•n quen thuộ c

눈 코 뜰 정신 못 차리게 몹시 바쁘다. tố i mắ t tối m>i

- 8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새 없다 (bận rộ n)

보잘것없는 물건이라도 제 vừa mắt, hợp mắ t


제 눈에
마음에 들면 좋게 보인다는 (hˆi l˜ng về điều
안경
말 g“ đ—)

( 사람이) 해야 할 일에 마음 Nh+ ng+ời mất hồn


한눈(을)
을 쓰지 않고 정신을 딴 데 (ph‰n t‰m, kh™ ng
팔다
로 돌리다. tậ p trung)

맛을
좋아하거나 즐기다. Say m•, th’ch thœ
들이다

Zồ ng thanh (c• ng
입(을) ( 둘 이상의 사람이 어찌하다
n—i mộ t lời, c• ng
모으다 고) 모두 한결같이 말하다.
mộ t S kiến)

miệng bŽp x Žp (n—i


입(이) 말이 많고 비밀을 잘 지키지
nhiều, kh™ ng giữ
입/ 가볍다 않다.
đ+ợc b’ mật)
맛/
입이 kh™ng mở miệ ng,
혀 ( 사람아) 말이 쉬게 나오지
떨어지지 kh™ng hở miệng ( ’t
않다.
않다 n—i)

K’n miệng (kh™ ng


입이 말이 많지 않고 비밀을 잘
n—i nhiề u vˆ giữ
무겁다 지키다.
đ+ợc b’ mật)

입이 ( 사람이) 무엇이 먹고 싶어지 Buồ n miệng (muốn

심심하다 다. )n c ‡i g “ đ— )

- 8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 사람이) 음식을 적게 먹거나


입이 짧다 KŽn )n
가려 먹는 버릇이 있다.

입에 침이 ( 사람이) 다른 가람이나 물건 Khen hế t lời (tấm

마르다 에 대하여 거듭해서 말하다. tắ c khen)

tặ c l+ỡi (thể hiện


마음이 언짢거나 유감의 뜻
혀를 차다 sự kh™ ng vui ho ặc
을 나타내다.
hối tiếc)

Kh™ng c ˜n mặt m>i


코가 납작 몹시 무안을 당하거나 기가
(bị mất mặt, hổ
해지다 죽어 위신이 뚝 떨어지다.
thẹn)

잘난 체하고 뽐내는 기세가 Tự cao (ra vẻ tˆi


코가 높다
있다. giỏ i, v•nh v‡ o)

코가 비뚤 Say b’ tỉ (say m• m,
몹시 취할 정도로
어지다 say kh+ớt)

코/ 코의 바로 앞이라는 뜻으로
코앞에 Cận kề ngay tr+ớc
허리 곧 닥칠 미래를 비유적으로
닥치다 mắ t
이르는 말

허리가 감당하기 어려운 일을 하느 C˜ng l+ng (ch)m

휘다 라 힘이 부치다. chỉ lˆ m việ c)

어떤 일에 대한 부담이 감당하

허리 기 어려운 상태가 되다. 당당 Mang trọng t r‡ch

부러지다 한 기세가 꺾이고 재주를 펼 lớn (vất vả )

수 없게 되다. 몹시 우습다.

- 8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위 <표 13>에서 Ô눈Õ 과 관련된 관용표현은 양적으로 가장 많이 나타

난다. 눈은 인간의 감각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각기관으로서 인간은

눈으로 사물을 보고 판단하며 정보를 받아들인다. Ô 눈Õ이 지닌 가장 기본

적인 의미는 Ô 보다Õ라는 행위이다. Ô 보다Õ 행위는 Ô 눈으로 대상의 존재나

형태적 특징을 알고 대상을 즐기거나 감상하다Õ고 해석하고 있다. Ô 보다Õ

라는 개념적인 의미에서 확장되어 폭을 넓혀간다. 표준국어대사전을 살펴

보면 눈은 Ô 빛의 자극을 받아 물체를 볼 수 있는 감각 기관이며 의미 항

목으로는 시력, 사물을 보고 판단하는 힘, (Õ 눈으로Ô 꼴로 쓰여) 무엇을 보

는 표정이나 태도, 사람들의 눈길 또 감시Õ등으로 해석하고 있다22) . 한국

어에 Ô 눈Õ의 관용표현은 다양한 감정, 심리 상태를 나타낸다. 즉 Ô노여움,

놀라움, 분주함Õ 등 감정이나 심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관용표현이 많이 발

견되는데 대부분 부정적 감정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Ô 눈Õ의 표정에 의한

감정이나 심리 묘사는 한국어가 더 섬세하고 다양하다23) .

베트남어 경우에 Ô 눈Õ과 대응하는 표현이 있는가 하면 구조가 다르나

의미와 표현 방법은 일치한다. 즉 Ô바쁨Õ 을 표현할 경우 Ô 눈 코 뜰 사이가

없다Õ 처럼 Ôtối mắt tố i m> iÕ ( 어두운 눈, 어두운 코)를 비유적으로 표현하

고 있다. 또한 Ô 불만Õ을 표현할 때 Ô 눈에 거슬리다Õ 라고 표현하며 베트남

어경우에 똑같은 표현으로 Ôch+ớng mắtÕ (거슬리는 눈)라는 것을 사용한

다. Nguyen Thi Hien(2018) 은 신체 언어 중에 Ô슬픔Õ 을 의미하는 대표적인

표현이 Ô 눈물Õ이라고 한다. 베트남 사람이 감성주의의자여서 슬픔은 여러

면에서 깊이 인정된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에서 지배적인 근원은 눈물이

다. 슬플 때 사람들은 종종 울고 싶다. 예를 들어 Ô 눈 뒤쪽의 눈물Õ, Ô짧은

22) 국립국어원 표준어대사전의 Ô눈Õ 정의


23) 펑잉(2014:22)의 논문을 참고함

- 8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눈물의 긴 눈물Õ, Ô슬픈 눈물Õ이라는 표현이 있다.

사람의 다섯 감각 중에 미각이 중요한 감각이다. 생활 문화 가운에

Ô 식Õ에 대해 언급한 표현처럼 < 표 13> 에서 미각기관의 입, 혀 및 맛을 언

급한 관용표현이 있다. Ô입Õ 은 Ô사람의 입술에서 후두까지의 부분, 음식이

나 먹이를 섭취하며, 소리를 내는 기관이다Õ라고 정의된다.24) 사람들이 일

상에서 여러 가지 동작을 하는데 대부분을 Ô 입을 다물기, 입을 벌리기, 입

을 오므리기Õ 등이 있고 Ô 입Õ의 이미지가 사람이 하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

르는 말이며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한 번에 먹을 만한 음식물

의 분량을 세는 단위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베트남어에 Ô입Õ 이 먹고 말

하는 기관뿐만 아니라 음식을 먹는 사람의 수효, 깊이 있는 물건의 주둥

이라고 정의되었다. Ô 입Õ과 관련된 한국어 관용표현이 일곱 개중에 네 개

의 표현이 베트남어 관용표현과 유사하다. 기령 Ô입이 가볍다, 입이 무겁

다, 입이 떨어지지 않다, 입을 모으다, 입에 침이 마르다Õ 라는 표현의 제3

의미가 사람의 말에 대해 언급하다. 사람이 생활하면서 말이 매우 중요한

것이 확실하다. 말이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 수단이다. 말은 인간의 생

리 상태를 반영한다. 말을 통해 감정, 의지, 정신, 화자의 태도를 명확하

게 보여주고 청취자와 화사 자신에게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마

친다. 따라서 베트남 사람들은 의사소통을 할 때 항상 서로를 생각한다.

말하기는 선택을 고려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을 화나게 하는 저속한 행동

을 피해야 한다. 그래서 베트남의 아버지들은 항상 자녀와 손자에게 Ô먹

을 때 씹고 말할 때 생각하라Õ 라고 가르쳤다.

24) 국립국어원 표준어대사전의 Ô입Õ 정의

- 8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 표 14> 신체 언어문화 관련 관용표현 2

문화
관용표현 한국어 의미 베트남어 의미
주제

(사람이) 커다란 충격으


가슴이
로 놀라거나 맥이 탁 풀 r ớt tim (giật m“nh)
내려앉다
리다.

자극을 받아 마음이 깜작
가슴이
놀라거나 양심의 가책을 cắ n r ứt l+=ng t‰ m
뜨끔하다
받다

슬픔이나 분함 때문에 가
가슴이
슴이 째지는 듯한 고통을 xŽ l˜ng
찢어지다
받아

마음/ 가슴에 못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 nh+ đ—ng đinh

가슴 (을) 박다 의) 마음에 상처를 주다. vˆo l˜ng

thiết tha (hết l˜ng


마음이 무엇을 간절히 하고 싶거
muốn lˆm việc g“
굴뚝같다. 나 원하다.
đ—)

마음(을) 무엇을 하겠다는 생각을


quy ết t‰m
먹다 하다.

마음(을) (사람이) 마음을 편하게


y •n t‰m
놓다 가지다.

마음 아프다 슬프고 심통하다 đau l˜ng

마음을 걱정스러워 불안해하다 l˜ng nh+ lửa đốt

- 8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h ồi hộp, thấp
졸이다
thỏm)

마음을 B ỏ hết những tham


마음속의 욕심을 없애다
비우다 vọng trong l˜ ng

간(이) (사람이) 순간적으로 몹 r ụng tim (giật

떨어지다 시 놀라다. m“nh)

간이 콩알만 몹시 도려워지거나 무서 gan chuộ t nhắt

해지다 워지다. (nh ‡t gan)

ch ẳng bỏ d ’nh r )ng


간에 기별도 먹는 것이 너무 적어 먹
간/ 담 ( )n qu‡ ’t nh+ thể
안 가다 으나 마나 하다.
lˆ kh™ ng )n)

đổ mồ h™ i (v™
어려운 일이나 난처한 일
진땀(을) c• ng lo lắng khi
을 당해서 진땀이 나도록
빼다 gặp việc kh— kh)n
몹시 애를 쓰다.
hay việc nan giải)

뜻을 같이하던 사람이나 quay l+ng, ngo ải


등(을)
단체와 관계를 끊고 배척 mặt (với ai đ—
돌리다
하다. ho ặc điều g“ đ— )

목(을)
등/ 목 몹시 안타깝게 기다리다. (chờ) dˆ i cổ
빠지다

(사람이) 건만하게 굴거 ra vẻ ta đ‰y,


목에
나 남을 깔보는 듯한 태 v•nh v‡ o, ki•u
힘을 주다
도를 취하다. ngạo

- 8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ngủ thẳ ng cẳng


다리(을)
마음 놓고 편히 자다. (tho ải m‡i kh™ ng lo
뻗고 자다
lắng)

오가지 않거나 관계를 끊 kh™ng c ˜n quan lại


다리/ 발(을) 끊다
다. (c ắt đứt quan h ệ)
발/
s ẵn sˆng nhảy vˆo
무릎 발(을) 벗고
적극적으로 나서다. (mộ t c ™ng việ c nˆo
나서다
đ—)

발등에 불이 일이 몹시 절박하게 닥치 n+ớc tới ch‰n mới

떨어지다 다. nhảy

남이 잘되어 심술이 나
배가 아프다 ghen tị
다.
배꼽(을) 잡 웃음을 참지 못하여 배를
(c +ời) ™ m bụ ng
다 움켜잡고 크게 웃다.
Lˆ m buồn l˜ng
배/속 뜻대로 되지 아나하거나
(kh™ ng đ+ợc nh+
속을 썩이다 좋지 못한 일로 몹시 괴
S muốn n•n thấy
로워하다.
buồn vˆ lo lắng)
몹시 걱정이 되어 마음을 L˜ ng nh+ lửa đốt
속을 태우다
졸이다. (lo lắng)
기대에 차 있거나 안타까
손꼽아 기다 đếm từng ngˆy
운 마음으로 날짜를 꼽으
리다 (chờ đợi)
며 기다리다.
Bu™ng tay, phủi tay
손/ 팔 어떤 일을 그만두거나 잠
손(을) 놓다 (từ bỏ , hay cắt
시 멈추다.
đứt quan hệ )
(사람이 물건을) 문제가 đụ ng tay (s ửa
손(을) 보다
생겨서 고치다. ch ữa hay giải

- 8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quy ết c™ ng việc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
nˆo đ— )
을)혼내 주다.
cho biế t tay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
B ắt tay (hợp t‡c
과, 또는 둘 이상의 사람
손(을) 잡다 c• ng nhau lˆm
이) 서로 힘을 합쳐 돕
việc)
다.
씀씀이가 후하고 크다. Rộ ng l+ợng, hˆo
손(이) 크다
수단이 좋고 많다. ph— ng, rộ ng r‹i
아슬아슬하여 마음이 조
손에 땀을 Zổ mồ h™ i tay (h ồi
마조마하도록 몹시 애달
쥐다 hộ p, c)ng thẳng)
다.
Trở n•n c— thể
lˆm đ+ợc việc
마음이 차분해져 일할 마 (sau khi t“nh h“nh
손에 잡히다
음이 내키고 능률이 나다 đ‹ đ+ợc sắ p x ếp
ho ặc t‰m lS đ‹ ổ n
định)
Quen tay (thˆ nh
손에 익다 일이 손에 익숙해지다.
thạo c ™ng việc)
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 Khoang tay đứng
팔짱을 끼고
을 나서서 해결하려 하지 nh“n (kh™ ng đứng
보다
아니하고 보고만 있다. ra giải quy ết)

Ô 눈Õ처럼 슬픔을 표현하는 다른 신체 기관이 심장 (가슴/ 마음), 간, 내

장이다. 한국이 슬픔을 인정하기 위해 Ô 마음, 속Õ 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며 베트남은 이 상태를 인식하기 위해 심장, 간, 내장의 세 가지 개념을

사용하는데 Ô 내장Õ은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ÔRớt timÕ ( 내려앉은 심

장), ÔxŽ l˜ngÕ ( 찢어지는 마음), Ônh+ đinh đ—ng vˆo l˜ngÕ (가슴에 못을

박은 듯) 등이라는 표현들과 유사한 한국어 관용표현이 존재한다.

- 8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베트남 문화는 농업 기원 문화에 속한다. 베트남어에서는 농업 노동

에 대해 이야기하는 Ô손Õ 과 Ô 발Õ을 언급하는 관용표현이 많다. Ôch‰n lắm

tay b• n (흙 묻은 발과 더러운 손)Õ, Ôtay bắ p cˆy, ch ‰n bˆn cuốc (쟁기

를 든 손과 괭이를 파는 발)Õ 등과 같이 이는 언어에 반영되어 불가피한

객관적인 사실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한 관용표현을 통해 농부의 삶을 어

느 정도 엿볼 수 있다. 계절에는 농민들이 열심히 일하고 햇볕이 잘 쬐고

안개가 낀 다음 밭을 쟁기질하고 밭을 걷다가 쌀을 심어야 한다. 수고스

럽고 힘든 노동 생활은 Ôtay đ‹ thˆnh chaiÕ, Ômột ch‰n một tayÕ, Ôtay

lˆm hˆ m nhaiÕ 와 같은 관용표현에 반영되었다. 일반적으로 베트남어 관용

표현과 Ô손Õ 및 Ô 다리Õ 라는 단어가 있는 관용표현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서 널리 사용되며 문화의 정신적 가치를 반영하다.

4.2.5. 기타 언어문화

앞에서 제시된 문화 항목으로 분류되지 않았던 경우는 아래와 같이

기타 언어문화 항목으로서 살펴보겠다.

< 표 15> 기타 언어문화 관련 관용표현

문화
관용표현 한국어 의미 베트남어 의미
주제

(사람이) 어떤 일에 Kh ™ng biết giờ

시간 가는 줄 몰두하거나 바쁘게 giấc (v“ qu‡ bận


시간
모르다 지내서 시간이 어떻 r ộn ho ặc tập trung

게 지났는지 알지 못 mộ t việ c g“ đ—)

- 9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하다.

전혀 생각도 하지 못 M = c> ng kh™ ng


꿈도 못 꾸다
하다. m = t ới

맥이 풀어져 힘을 못 r ‹ r ời (mệt kh™ng


녹초가 되다
쓰고 축 늘어진 상태 c ˜n sức)

속이 상할 정도로 어
사람의 애(를) 먹다 khổ s ở, vất vả
려움을 겪다.
상태/
마음과 힘을 다하여
태도/
애(를) 쓰다 무엇을 이루려고 힘 c ố gắng
행동
쓰다.

ho ạ v™ đ=n ch’

어렵거나 나쁜 일이 (việ c kh— kh)n


엎친 데 덮치다
겹치어 일어나다 đế n c •ng mộ t

lœ c)

위 <표 15>에서 Ô시간Õ 을 언급한 표현이 동형동의 부분 관용표현이다.

즉 베트남에서 시간에 대한 표현이 한국에서 마찬가지로 표현을 한다. 그

러나 시간에 대해 말하면 베트남 문화에서 Ô 고무 시간Õ 25) 이라는 관점이

있으며 '고무 시간' 의 개념은 베트남 사람들의 사고와 생활 습관에 깊이

25) Nguyen Cung Thong (1996)는 때로 빨리 지나가고 느려지는 각 개인의 주관적인 인식


으로 '고무 시간'을 오해하지 말다. 예를 들어, 어릴 때 종종 새로운 경험을 통해 더 많
은 것을 배워야하므로 우리의 두뇌는 많은 정보를 처리 할 시간이 필요하고 시간이 더
느리게 지나가는 것 같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주변 환경이 더 친숙해지고
뇌가 받는 정보의 양이 많지 않으므로 처리 시간이 더 빠르다. 우리 외부의 시계는 여
전히 꾸준히 작동하고 있으며 시간은 정확히 같다. 예를 들어, 주소를 찾을 때 경로와
교통이 동일하더라도 올 때보다 갈 시간이 더 걸리는 것처럼 느껴지다.

- 9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뿌리 박혀 있다. 결혼식에 가고 파티가 시작되기 전에 몇 시간 동안 기다

린 적이 있나? 이 문제는 회사에서 회의하기 위해 시간을 맞이할 경우 더

욱 관련성이 높아지고 더 넓은 커뮤니티의 미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제

시간 근무와 같은 습관을 바꾸는 과정에는 특히 오랜 문화 전통에 내재된

많은 시간과 개인적인 경험이 필요하다. 베트남 사회는 여전히 농부들로

가득 차 있는데, 동쪽에서 천천히 떠오르고 서쪽으로 깨어나는 태양의 리

듬에 천천히 흐르는 시간의 개념이 있다. 이 시점26 )에서 왜 대부분의 베

트남 사람들이 늦는 습관이 정상적이고 허용이 가능한지 설명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렇지만 한국 나라가 한 민족 문화라서 베트남인과 한국인 사

이의 시간 인식과 시간 가치의 차이는 두 문화가 만나면 심리적 갈등을

일으켰다. 따라서 의사소통과 문화적 간섭에서 심리적 갈등을 피하기 위

해 양측은 의사소통되는 대상의 시간 개념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인식해

야 한다. 이 차이를 인식하면 양국이 서로의 의사소통 행동에 대해 더 많

이 이해하고 그에 따라 의사소통 행동을 조정할 수 있다27) .

나머지 관용표현은 인간의 행동, 상태, 태도와 관련된 경우이다. Ô애

26) Edward T. Hall (1959)이 단기산형과 다중시간형의 문화적 차이가 있다고 한다.
단시간형 (monochronic time): 이 관점에서 어떤 일은 한 번 예약되고 한 일은 다른
일과 밀접하게 뒤 따른다. 홀 이론에 따르면 단색 문화 (한 민족 문화)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일정이 대인 관계보다 우선하다. 이 문화는 계획, 시간 엄수 및 정확성을 강
조하다. 생산성을 기준으로 하는 문화이다. 이는 "제 시간"에 작업을 수행하는 것의
가치라고 한다. 그들은 시간을 잃거나 죽이거나 낭비 할 수 없다고 말한다. 반대로
관리되고 계획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중시간형 (polychronic t ime) : 홀 이론에 따르면 대인 관계는 다민족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다. 그들은 인생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간이 유연 할 수 있다고 생각하므
로 계획과 정확성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실제 가치는 "무엇" 이 아닌 " 누가"에 있
다. 그들의 시간 감각은 "자연적인 리듬", "지구" 및 " 계절"과 관련이 있다. 자연 현상
이 갑자기, 드물게 또는 동시가 아님에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할 때 이것은 매우 합
리적이다.
27) Pham Thi Hong Nhung(2009), 다문화 커뮤니케이션에서 시간 개념과 심리적 갈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 심리학 제5 권에서 참고함

- 9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를 먹다, 애를 쓰다Õ라는 표현 속에 애의 감정은 처해진 현실을 무력하게

수용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한계를, 시간이 정지된 듯 무겁고 지친 표현

이다. 정신적 고통이 지속된 것으로 육체적, 지적, 감정적으로 완전히 무

력한 느낌을 가지다. 슬픔은 복구 불가능한 상실로부터 일어나면, 사람의

신체언어는 축 늘어진 어깨와 숙인 머리 그리고 느린 동작으로 무력감을

표현한다고 말한다. Ô 녹초가 되다Õ라는 관용표현이 맥이 풀어져 힘을 못

쓰는 상태를 표현한다. Ô 꿈도 못 꾸다Õ 는 전혀 생각도 하지 못 한다는 의

미를 가진다. 그리고 Ô엎친 데 덮치다Õ는 어렵거나 나쁜 일이 겹치어 일어

난다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표현이 어떤 환경에 대부분 인간의 생각,

태도 또는 인간 상태를 묘사한다. 실생활에서 힘든 일이나 안 좋은 일이

언제든지 생길 수 있지만 아무도 장미로 가득 찬 길을 영원히 걸을 수 없

으며 가시와 도전만으로 길을 걷는 사람은 없다. 베트남 사람이든 한국

사람이든 같은 지구에 인간이라서 삶에서 응원의 말, 저극적인 태도 그리

고 긍정적인 마인드가 필요하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서로 상태를 보여줄

수 있고 이해를 주면 베트남 사람 또는 한국 사람도 마찬가지로 서로간의

인간관계가 개선될 것이다.

이 장에서 대조 대상인 관용표현 중에 조항록(2004), 김명화(2013)에

서의 논의에 따라 한국어 관용표현의 문화 의미를 다섯 가지- 생활 문화,

민속 문화, 자연 문화, 신체 언어문화, 기타 언어문화- 로 분류해서 양국의

문화를 살펴보았다. 대조 분석을 통해 관용표현에서 나타나는 한국 문화

와 베트남 문화의 비슷한 점과 차이점을 밝혀 한국어 관용표현을 통해 베

트남 학습자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흥미도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또한 양국의 문화 차이를 알아보면서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같은

형태인데 다른 의미를 가지는 표현을 제시해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활용 능력을 더 높이다.

- 9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5. 결론

이 연구는 한국어 관용표현과 베트남어 관용표현의 대응 양상을 살펴

보고 관용표현에 반영된 문화요소를 대조하는 것을 통해 한국인의 견해를

볼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정리하고 앞으로 연구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1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

를 검토하며 본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제2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관용표현의 정의 및 특성을 살펴보았

다. 양국의 관용표현은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구 또 절 형태가 되고

제3 의 의미를 나타내는 특수 표현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또한 양국의

특성을 살펴보면 Ô 관용표현의 구성 어휘는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어

순 배치가 공정성이 있으며 삽입과 생략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제3 의 의

미가 존재하기 때문에 관용표현의 강조 효과가 크다Õ라는 공통점이 있음

을 알 수 있다.

제3 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조 대상인 관용표현 목록을 선정하였다. 선

정하는 과정에 한국어 교육 기관인 경희대, 서울대, 연세대 총 세 개의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이면서 베트남 대학교와 베트남에 있는 한

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교재에서 나오는 관용표현 현황을 살펴보았

다. 그리고 베트남에서 출판한 한-베 사전에 나오는 관용표현 현황을 알

아보았다. 그 후에 교재에 나오는 관용표현 및 사전에서 나타나는 그 목

록 중 두 번 이상 출현한 표현들을 정리하여 본 논문의 대조 대상으로 삼

았다. 그렇게 선정한 관용표현 133개를 바탕으로 김은령(2014) 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동형동의 표현, 부분 동형동의 표현, 이형동의 표현 , 동형이

- 9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의 표현 및 한국어에만 있는 표현 등을 크게 다섯 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한국어와 베트남어 관용표현을 대조 분석하였다. 분류하여 대조 분석한

그 결과는 동형동의 표현은 33 개, 부분 동형동의 표현은 46개, 이형동의

표현은 49개, 동형이의 표현은 1 개, 마지막으로 한국어만 있는 표현은 총

4 개였다. 그 중 형태가 동형동의 표현과 이형동의 표현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한국의 문화, 일상생활은 같은 점이 많아서

이해하는 것과 관용표현을 교육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었다.

제4 장에서는 조항록(2004) 의 한국 문화 주제를 바탕으로 하고 김명화

(2013)의 한국 관용표현의 문화적 의미를 정리하여 기본적인 분류기준으

로 삼았다. 외국인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Ô생활 문화, 민속 문화, 자

연 문화, 신체언어문화, 기타 언어문화Õ로 다섯 가지를 분류하고 관용표현

을 통해 양국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하여 모색할 수 있을 지를 살펴보았

다. 관용표현 133개 중에 생활 문화 21 개 (21.4%), 민속 문화 5 개 (3.4%),

자연 문화 15 개 (13.8%), 신체 언어문화 86 개 (58.6%) 나머지 기타 언어문

화 7 개 (2.8%)를 차지하고 있다. 두 나라이라서 유사한 것보다 상이한 것

이 더 많다.

대조 분석 결과, 선 연구에서 양국의 관용표현을 차이점을 존재하는

것을 알지만 이 차이점의 원일을 찾지 못한 문제를 풀었다. 일단 관용표

현의 구성 요소의 형태를 살펴보면 같은 의미를 지닌 어휘가 한국어에서

Ô 동사Õ이지만 베트남에서는 Ô 형용사Õ이기 때문에 차이가 생겨난다. 또한

관용표현의 의미를 살펴보면 한국에서 이렇게 표현하고 이러한 이미지를

표시하나 베트남에서는 다른 이미지로 표현하는 것이 본국의 문화, 사회,

역사를 반영하는 원인이다. 그래서 형태를 대조 분석할 뿐만 아니라 관용

표현의 문화 의미를 분석하기로 했다. 관용표현의 문화 요소를 모색하여

- 9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약국의 문화 가운데 같은 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관용표현의 표현 양상에 대한

의미 파악이 가능했다고 본다. 한국어와 베트남어는 어법 구조가 조금 다

르지만 관용표현의 구성 요소에 큰 차이가 없어 양국의 가치관을 이해하

면 관용표현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결과를

통해서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그

렇지만 본 연구는 한계가 많이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선정된 목록이

실제로 한국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할 때 사용하고 있는 관용표

현인지 확인이 필요하지만 실제 조사 결과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둘째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려는 연구이지만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남아있다. 이는 연구자가 앞으로 보완이 필요한 부분

이라고 생각하고 후속연구로서 이어갈 것이다.

- 9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참 고 문 헌

강유화. 2017.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음식 관련 관용어 교육방안 연구. 선

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원구. 2014. 한국 문화 이해도가 한국어 관용표현 인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위규. 1990. 우리말 관용표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곽문정, 2013. 관용표현을 통한 한-중 음식 문화 대조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언림. 2013. 한-중 관용표현의 비교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구효진. 2010. 한국어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출판사.

권현지. 2017. 관용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계연. 2012. 일한 양국어의 飮·食관련 관용표현 대조연구. 한국 외국어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동국, 이상률. 2015.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 방

안 연구: 동물명이 포함된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언어과학 22:1.

언어학회

김명화. 2013. 관용어와 한국문화 교육. 한국(조선) 어교육연구 제8권. 중국

한국 조선어교육연구학회.

김문창. 1974. 국어 관용어의 연구. 서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9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김부경. 2005.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정- 강현자. 2006. 한국어 관용표현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단원

제시. 이중언어학 제32권. 이중언어학회.

김수정. 2011. 영어권 학습자의 Ô 눈Õ관용표현 습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양옥. 2004. 한국어와 중국어와 관용어 비교.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인. 2010. 관용적 표현을 통한 언어문화 통합 교육: 스페인어 학습자

중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애. 2017.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색채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한양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경. 2010. 외국어로서 한국어 관용어 교육 연구. 대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령. 2014.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관용표현 이해 전략 분석과 교수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애심. 2017. 문화적 배경을 활용하는 한국어 관용어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현. 2016. 러시아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신체 관용어 교육 방안 연

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해. 1995. 관용어의 통사, 의미론적 제약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김현진. 2015. 한국어 교육용 관용표현 연구. 한국어와 문화 제17집. 숙명

여자대학교.

- 9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김효주. 2017.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원. 2006. 중-한 관용표현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나세르자노바. 2016.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신체 관용표현 대조 연구. 상명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남영신. 2006. 국어대사전. 파주: 성안당.

도쿠나가 이즈미. 1999. 한국어와 일본어의 신체어휘 관용구 대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루린지예. 2016. 한·중 감정 표현 오관( 五官) 관용어 의미 대조 연구. 경

희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레타잉짱. 2011.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신체어휘 관용구 대조 연구. 고려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마녕. 2017.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감정표현 관용어 교육방안 연

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막효뢰. 2010. 한- 중 음식 관련 관용표현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문금현. 1990. 국어의 관용표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금현. 2000. 구어적 관용표현의 특징. 언어학 제25 권 1 호. 한국언어학회.

민현식. 2003. 관용표현의 범위와 유형에 대한 재고. 한국어 의미학 제12

권. 한국어 의미학회.

민혜선. 2016. 한국어 교육을 위한 스페인어와 한국어 관용표현 대조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근희. 201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 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 9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민정. 2003. 인간의 감정을 형상화 한 인체표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미주. 2010. 중국어 관용어 지도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박승연. 2010. 한-일 관용구의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영순. 1985. 관용어에 대하여. 국어교육 제53권. 한국어교육학회.

박영숙. 2010. 관용어의 유래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

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융배. 2006.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 방법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박인순. 2011. 검인정 중1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관용표현의 언어 문화적

고창.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정아 외. 2015. 속담 한 상 푸짐하네. 개암나무 출판사.

벨라로바 아이게림. 2015.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관용어 대조 연구. 성균관

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사모토 마리. 2002. 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환. 2013.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전남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87. 국어국문학사전.

소적. 201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표현 연구. 상명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10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소천. 2013.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 방안 연구. 전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현아. 2008. 몽골인을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혜원. 2005. 한국어 교재의 관용표현 분석과 지도 방안. 고려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혜인. 2010.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표현 및 교육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지연. 2009. 국어 관용어의 인지의미론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양영희, 1995. 第三回 養英學術硏究論文集. 서울: 財團法人 養英會

왕방. 2010. 신체 관련 관용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왕부어. 2019. 한-중 사지 관련 신체 관용어 대조 연구. 선문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지화. 2009. 한-중 신체어 관련 관용표현 대조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춘위. 2013. 관용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어문각. 1994. 우리말큰사전. 한글학회.

요금휘. 201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방안 연구. 경

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선미. 2007.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용표현 교육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01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우여나. 2018.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 방안 연구. 전

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웅계지. 2010. 한국어와 중국어의 신체 관련 관용어 대조연구. 서울시립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덕자. 199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관용어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환환. 2015. 한·중 관용표현의 거짓친구 대조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유춘정. 2013. 한- 중 색채어 관용표현의 대조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유파폰. 2016. 태국인을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방안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소원. 2004. 한- 일 신체어휘 관용구의 비교 분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윤지훈. 2007. 외국어로서 한국어 어휘 지도 방안: 관용표현 중심으로. 단

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응웬 티 꾸잉 안. 2013. 한.베 감정적 신체 관용표현 대조 연구. 경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희. 2014. 개념적 혼성 이론을 활용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 연구. 충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숭녕. 1999. 새국어대사전. 서울: 한국도서출판중앙회.

이양금. 2010. 대조를 통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양금. 2015. 한- 영 대조를 통한 한국어 문화어 교육방안 연구. 부산외국

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02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이연니. 2011. 한- 일 신체어휘 관용어의 비교 연구. 선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이윤정. 2007. 국어 관용표현 자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정. 2015. 한-일 신체 어휘 관용구에 관한 비교 연구. 조선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민, 배영남. 1993 .언어학사전. 서울: 박영사.

이정임. 2017. 한-중 신체 관련 관용어 비교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희승. 1997.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출판사.

이창호. 1997. 국어 관용어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지룡. 1992.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임자여. 2013. 한-중 음식 관련 관용어 대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장걸. 2016. 한-중 색채어 비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숙명여대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정정. 2010. 국인 학습자를 위한 관용표현 교육의 수준별 목록 선정 방

법. 대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혜영. 2001. 한국어 관용 표현의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 제12 권.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정세영. 2005. 한-일 신체어휘에 나타나는 관용구 비교- 대조 연구. 충남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옥주. 1984. 한국 숙어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주은. 2016. 문학작품을 활용한 한-영 관용어 대조 분석. 부산외국어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뢰. 201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부산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03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조항록. 2004.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한국어언어문화학 제

1 권 1 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조항록, 채윤미 (2019). Practical Korean 5 - Advanced (한국어판). 다락원

출판사.

조현용. 2000.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서울: 박이정

주경미. 2008. 20세기 초기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주경의. 2008. 20 세기 초기 국어의 관용표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최경봉. 1992. 國語 慣用語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유나. 2017. 한국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지영. 201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관용표현 지도 방안.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해영. 2016.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성어 비교 연구. 인문학연구 제52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최혜령. 2007.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표현 지도방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펑잉. 2014. 한국어 신체어휘 관용표현에 대한 중국어 대응표현 대조 연

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포사박. 2013. 한-중 신체 관용어 대조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채령. 2017. 한-일 양국어의 감정표현에 관한 신체어휘 관용구의 대조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허웅, 박지홍 共編. 1971. 국어국문학사전. 서울: 일지사.

홍미랑. 1989. 국어 관용어의 의미구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04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홍하영. 2017. 프랑스어 학습자를 위한 관용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수미. 1994. 북경어의 의미론 조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황정아. 2008. 한-중 관용어의 표현 양상과 내포 문화 비교.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정혜. 2010. 한-중 관용표현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진리. 2019. 한-중 기쁨 표현 신체 관용어 대조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포사박. 2013. 한- 중 신체 관용어 대조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dachi Noriko. 2014.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신체어휘 관용구 교육

방안: Ô가슴Õ 과 Ô눈Õ 이 들어가는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dachi Noriko. 2015.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신체어휘 관용구 교육방

안.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dam Makkai. 1972. Idiom st ructure in English. The Hague: Mouton

Zỗ Hữu Ch‰u. 1981. 베트남어 어휘 의미론. 하노이 교육 출판사.

Zỗ Hữu Ch‰u. 1986. 베트남어 어휘론. 하노이 국립대학교 출판사.

Edward T. Hall. 1959. The Silent language. Doubleday Publisher.

Fermando. 1996. Idioms and idiomaticity. New York: Oxfo rd University

Press.

Ho ˆng Ph•. 2010. 베트남어 사전. 다낭 출판사.

Hồ L •. 1972. 합성어와 구 경계. 언어학 제2권.

- 105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Hồ L •. 1976. 현대 베트남어 형태론. 과학사회 출판사.

L• Z“nh T+. 2009. 언어학 의미론. 하노이 출판사.

L• Huy Khoa. 2018. 중고급 TOPIK 시험대비 5000 개 단어-관용어- 문법 총

정리편. Alphabooks 출판사

Li Shasha. 2016.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용 표현 교육 방안 연

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Ma Jun. 2013.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관용표현 대조 연구: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i Ng ọc Chừ, V> Zức Nghiệu, Ho ˆng T rọng Phiế n. 1997. C= s ở ng™n

ngữ họ c vˆ tiếng Việt. 교육 출판사. Trang 153Ð165.

Nguy •*n Cung Th™ ng. 1996. Ph+=ng ph‡p giaiw quy •xt v‰xn đ•y - kh‡m

ph‡. (Problem solving strategies). 통계출판사.

Nguy ễn Lực. 2009. 관용구 사전. 청년출판사.

Nguy ễn Nh+ ,. 1993. 관용구 해명 사전. 하노이 교육 출판사.

Nguy ễn Nh+ ,. 2010. 베트남어 대사전. 호치민 국립대학교 출판사.

Nguy ễn Ngọc V >. 2009. 신체어를 포함하는 영어 관용구와 베트남어 관용

구 대조 연구. 호치민 사범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Nguy ễn Thiện Gi‡p. 1974. 베트남어 관용구 개념에 대하여. 언어학 제3

권.

Nguy ễn Thiệ n Gi‡p. 2008. 베트남어 어휘론. 교육 출판사.

Nguy ễn Thị Thanh Hoa. 2013. Nghi•n cứu đố i chiế u c ấu trœc cụm

độ ng từ trong tiếng Hˆn vˆ tiế ng Việt. 하노이 국립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Nguy ễn Tˆ i Cẩn. 2004. 베트남 문법. 하노이 대학 출판사.

Nguy ễn V)n Tu. 1978. 현대 베트남어. 대학 출판사.

- 106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Phạ m Thị H ồng Nhung. 2009. 다문화 커뮤니케이션에서 시간 개념과 심

리적 갈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 심리학 제5권.

Phan Ho ˆng Tấ n. 2017. 현대 사람들의 의사소통에 사용하는 속담. 관용

표현. 사이공대학교.

Simuang Kewalin. 2016. 한국어와 태국어의 신체관용표현 대조 연구: 정보

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Thida Oo Myat. 2015.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신체 관련 관용표

현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Thida Oo Myat. 2016. 한국어와 미얀마어 관용표현의 표현양상과 문화 요

소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Trầ n Thị Lan Anh. 2011. T“m hiểu y ếu tố v)n ho‡ trong một số Ôqu‡n

d ụng ngữÕ tiế ng Hˆn phổ biế n vˆ mộ t số giả i ph‡p n‰ng cao

hiệu quả giảng dạ y Ôqu‡n d ụng ngữÕ cho sinh vi• n chuy •n

ngữ. 다낭대학교.

Tr.Ng.M.Ho ˆn, H.T.M.Ph +ợng, Ph.Ng.Nh.Vy. 2014. Bi•n soạn s ổ tay qu‡n

ngữ th™ ng dụ ng H ˆn Quốc. Huflit University.

Zafirova Lilyana Dimova. 2016. 한국어와 불가리아어 Ô 머리Õ관련 관용 표

현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河 采 伶. 2015. 관용표현 「 손을 대다」 에 관한 고찰: 일본어와의 대조를

통한 의미 분류를 중심으로. 동국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黃 靖 雅. 2008. 한중 관용어의 표현 양상과 내포 문화 비교.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07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ABSTRACT

A Contrastive Study of Idiomatical Expressions


in Korean and Vietnamese

PHAM NGUYEN NHAT VY


Major in Korean Languge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To learn a foreign language, we not only study the language of

the country, but also have to understand the history, values, culture,

manne rs, and ways of thinking. They are valuable in language education.

The idiomatic expression is one of the expressions that reflects a

country's history, values, culture, and social factors. Howeve r, because

the idiomatic expression is a compound vocabulary in which two or more

words are combined and have a semantically third meaning, it is

extremely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xamines the forms and

meanings of Korean and Vietnamese idiom expressions and compares

cultural factors re flected in idiom expressions to acquire cultural

elements when Vietnamese learn Korean idioms. The contents of this

- 108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In this

chapte r, we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and explain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Chapter 2 examines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Vietnamese idioms. Idiomatic expressions in both countries are

similar in which two or more words combined to form a phrase or

clause and are special e xpressions that represent a third meaning.

The list of idiomatic expressions selected in Chapter 3 marks the

subject of this study. During the selection process,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idiomatic expressions in textbooks used by three

universities, Kyung Hee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as well as textbooks used by Vietnamese universities and

Vietnamese language institutions. We also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Korean-Vietnamese dictionary published in

Vietnam. After that, I summarized the idioms that appeared more than

once in the list of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textbook and in the

dictionary. Based on the 133 idiom expressions selected this way,

according to the procedure suggested by Kim Eun-ryong (2014), the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such as the expression of

homomorphism, the expression of hete romorphism, the expression of

partial homomorphism, the expression of homomo rphism, and the

expression only in Korea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33 expressions of homozygous, 46 expressions of partial homozygous, 49

- 109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lOMoARcPSD|10237456

expressions of dimorphism, 1 expressions of homozygous, and 4

expressions only in Korean. Among them, the shape of the homomorphic

and the expression of the Lee Hyung-dong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and Korea's culture and daily life have many similarities with

Vietnam, so understanding and educating idioms were not as difficult as

it seems.

In chapter 4, based on the Korean cultural theme of the Clause

(2004), the cultural meaning of Korean idiom expression by Myung-hwa

Kim (2013) will be summarized as a basic classifi cation standard. In order

to make it easier for foreign learne rs, five categories are classified into

'life culture (ritual liquor), folk culture (folk customs), natural culture

(animals, plants), body language culture, and other language culture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 patterns of Korean and Vietnamese idioms. I think it will be

an oppo rtunity for Vietnamese learners to learn idiom expressions

effectively by comparing Korean idiom expressions with Vietnamese

idiom expressions.

- 110 -

Downloaded by Giang Ph?m (phamgiang.101202@gmail.com)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