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의 설계방법론에 관한 연구

- 알도 로씨, 까를로 아이모니노, 조르죠 그라씨의 건축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sign Methodology of Neo-Rationalism Architecture in Italy
- Focusing on the Architectural Theories of Aldo Rossi, Carlo Aymonino and Giorgio Grassi -
2)
2)

*
김 의 용
Kim, Eui-Yong
………………………………………………………………………………………………………………………………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perspectives by which Italian Neo-Rationalism architects attempted to analyse urban and
process how they introduced architectural typology theory into their works. The architectural typology theory has been
mentioned by modern architects when they attempt to reconstruct the spirit of place and historicity those are lost in modern
architects. In this paper, perspectives for analysing urban concepts and design process in introducing architectural typology
theory are mentioned by focusing Aldo Rossi, Carlo Aymonino, and Giorgio Grassi representative Italian Neo-Rationalism
architects. As a conclusion, comparisons between the all are presented: Aldo Rossi considers the urban as an assembly of
various parts and values the formation whereas Carlo Aymonino approaches the urban based on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parts and gives more attentions to the function in architectural typology. Finally, Giorigio Grassi considers
the city as the logical construction including historical consistency and permanence. As a sequence, he regards only the
fundamental archetypical typology as the permanent aspect. For this reason, his works have been existed by means of the
moderate and ascetic manner consisting of constructing orders and rules.
………………………………………………………………………………………………………………………………
키워드 : 신합리주의 건축, 알도 로씨, 까를로 아이모니노, 조르죠 그라씨, 도시해석, 건축유형
Keywords : Neo-Rationalism Architecture, Aldo Rossi, Carlo Aymonino, Giorgio Grassi, Urban Interpretation, Architectural Typology
………………………………………………………………………………………………………………………………

1. 서 론 로써 차별화를 선택했던 근대건축의 대안 중 하나로 이탈


리아 신합리주의 건축이 주목받게 된 것도 기존의 도시와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역사적 전통을 재해석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경직된 기능 위주의 건축으로 세계의 건축을 일률적으로 일반적으로 공시적이고 통시적인 두 측면 모두의 맥락성
통일하려고 시도했던 국제주의 건축양식이 특히 문제가 되 을 중요시하는 신합리주의 건축은 대상지역의 보편적 성격
었던 것은 역사에 대한 전면적 부정과 건축물이 들어서는 을 추출하고, 그것의 재해석과 새로운 창조를 통해서 기존
장소에 대한 사고의 부재였다. 보편화될 수 있는 추상미학 의 도시적 맥락이나 지역에 새로운 건축물을 개입시키는
과 표준화로 대변되는 국제주의 건축양식은 기존의 역사뿐 방법을 선택한다. 그러나 동일한 지역에서 동일한 자료가
만 아니라 건축의 장소성과 지역성까지도 배격하게 됨으로 추출되고 제공된다할지라도, 그 해석과 인식의 방법에서 건
써,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 도시적 축가들 개개인의 차이점이 발생하는데, 구체적으로 본 논문
맥락과는 무관하게 존재하는 건축의 문제, 어디서나 동일한 에서 목적하는 것은 바로 동일한 대상과 현상을 해석하는
문법으로 구사된 건축의 문제들을 남기게 되었다. 결국, 근 신합리주의 건축가들의 접근방법을 분석하여, 설계과정의
대건축의 위기에 따른 비판은 국제주의 건축에 의해서 상 동일점과 차이점을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2) 이러한
실된 장소의 역사와 도시적 맥락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 작업은 근대건축이후, 유럽에서 새로운 대안적 흐름으로 자
켰으며, 도시와 건축의 형태와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리하고 있는 신합리주의 건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기본
가능하게 하였다.1) 의식적으로 역사성과 장소성을 배격함으

축 이후에 점증하고 있었던 역사와 도시에 대한 관심에 새로운 이


* 정회원, 동명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과 부교수 정표를 제시해 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2004학년도 동명정보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 2)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설계 작품에 대한 이론적 적
여 이루어진 것임. 용성이나 설계기법들이 구체적으로 분석되고 연구되어야 한다. 그
1) 1960년대 이후부터 미대륙에서는 로버트 벤츄리(Rober Venturi) 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차이와 그것들이 설계방법에 끼친
의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건축이론과 작품과의 관계에 대한
Architecture)이, 유럽에서는 특히 이탈리아 건축가인 알도 로씨 구체적인 분석과 연구는 후속 연구를 통하여 보완되어야 할 것이
(Aldo Rossi)의 '도시의 건축(Architettura della citta')'이 근대건 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2권 5호(통권211호) 2006년 5월 145


김의용

틀을 제시할 것이며, 지역적 정체성과 문화적 독자성을 확 하에 놓이게 된다. 이탈리아 리얼리즘이라는 지적흐름들은
보하려는 한국건축에도 도시, 역사,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 대전 발발 전의 상황과는 완전히 다른 예술적 지평을 가져
식과 이해를 돕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오게 되었는데, 전후 복구 작업이 진행되면서 역사 도심을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어떤 방식으로 처리해야하는가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리얼
본 연구의 범위는 지리적으로는 이탈리아로, 시기적으로 리즘적인 현실인식은 신합리주의 건축가들에게 커다란 영
는 1970년대의 현대 건축가들로 한정한다. 특히, 대전 후 향을 미치게 된다.6) 즉, 역사 도심의 재건과 신개발 지역의
이탈리아 건축계의 지적 논의를 주도했던 까사벨라 콘티누 문제, 그리고 이에 따른 역사 도심의 문제 해결은 건축가들
이타(Casabella Continuita')를 중심으로 공동작업을 수행하 에게 도시와 장소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을 구하게 만들
면서 신합리주의 건축을 출범시키는 역할을 했던 1970년대 었던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은 “B.B.P.R”로 대표되는 전통
이후의 현대 건축가들중에서3) 알도 로씨(Aldo Rossi), 까를 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경향과 “텐덴자(Tendenza) 그룹”
로 아이모니노(Carlo Aymonino), 죠르죠 그라씨(Giorgio 으로 대표되는 근대건축의 성과를 계승하려는 경향으로 크
Grassi)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3인의 건축가들은 시 게 이분화 된다.7) 특히, 근대건축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기적으로 1960년대 이후 신합리주의 건축을 탄생시킨 주도 그것의 한계와 재해석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로저스와 루드
적인 건축가들이며, 건축역사에 대한 문제를 새롭게 제기한 비코 콰로니(L.Quaroni)에 의해서 1920년대 이탈리아 합리
로져스(Ernesto N, Rogers)에 의해 자극을 받은 젊은 건축 주의 건축이 재평가 받으면서, 신진 건축가들의 새로운 건
가들이었다.4) 축이론인 합리적 건축(Architettura razionale)이 주목 받게
실지로, 신합리주의 건축은 이탈리아에서만 일어났던 건 된다.
축의 새로운 흐름은 아니다. 스페인, 독일, 프랑스에서도 지 1960년대부터 로져스의 제자들인 알도 로씨, 까를로 아이
역성과 역사성을 중시하는 신합리주의 건축은 발생하나, 모니노, 조르죠 그라씨의 저서들이 발표되면서,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신합리주의 건축은 그 시작의 원천에 내에서 도시와 건축의 관계를 역사성과 지역성의 문제로
쥬세페 떼라니(Giuseppe Terragni)로 대표되는 이탈리아 합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다.8) 특히, 신합리주의 건축가
리주의 건축이 있기 때문에, 출발점 자체가 차별화된다고 들의 전면적인 활동은 1970년대 토리노(Torino)시청사 공모
할 수 있다.5) 또한, 이들 3인의 건축가 모두는 1960년대 이 전에서 이슈화되면서, 도시와 건축의 관계, 기능과 형태의
후 도시해석과 건축유형학이라는 방법을 통해 건축의 장소 문제, 도시적 삶과 건축적 질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성과 역사성의 회복을 목표로 작품 활동을 펼쳐나갔던 건 되었고, 논쟁의 영역이 전통과 고전의 문제에서 도시 문제
축가들로, 건축형태와 건축언어의 구성 원칙을 도시와 건축 로까지 확장되는 과정에 이르게 되었다.9)
역사에서 찾아내려고 시도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러한 이유에서 본 논문에서는 이들 3인 건축가들이 활동했
던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의 특성과 건축이론, 그리고 3
인 건축가의 설계방법론을 연구범위로 한정한다.

2.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의 형성과정과 특성


2-1. 역사적 형성과정
2차대전 이후 파시즘의 몰락과 함께 이탈리아 예술계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여 표현하려는 리얼리즘의 영향 그림 1. 토리노(Torino) 시청사 공모전 출품작들 : 도시와 건축의
관계에 대한 문제의식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3) Ignasi de Sola Morales, Critical Discipline, Oppositions reader,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88, p.662 6) 리얼리즘이란 창작과정을 통해서 예술가가 사회적 현실을 인식
4) 본 연구에서 다루는 3인의 건축가 이외에도 그레고티(V. 하며 또한 그 인식의 결과를 예술작품으로서 감상자에게 제공하는
Gregotti), 까넬라(G. Canella), 폴레젤로(G.Polesello) 등의 건축가들 것이다. 실지로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되는 3명의 건축가들은 리얼리
을 함께 비교분석하여야 신합리주의 건축가들의 다양한 설계방법 즘 내지는 마르크시즘이라는 관점을 토대로 도시를 해석하거나, 건
론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도시나 건 축유형학에 대한 접근을 수행한다.
축에 대한 저서를 가지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작품을 7) 텐덴자는 이탈리아의 역사적 도시와 건축에 관심을 갖고 이 모
전개한 3인의 건축가들을 본 연구의 일차적인 대상으로 삼았으며, 두를 회복하고자 시도하였으며, 건축적 질서의 상대적 자율성을 강
보다 많은 건축가들과의 비교는 후속연구를 통해서 보완될 것이다. 조하려 하였다. 특히, 1973년 제15회 밀라노 트리엔날레(Triennale)
5) 이탈리아 합리주의 운동은 로마(Roma)와 밀라노(Milano)를 중 에서 로씨는 자신들의 건축적 성격을 “합리적 건축(architettura
심으로 다양한 성격을 가지면서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합리 razionale)”이라는 용어로 설명하면서, 1930년대의 이탈리아 합리주
주의 건축의 출발은 그루포 7(gruppo 7)의 결성과 더불어 시작되 의 건축과의 차이를 분명히 한다. 즉, 이 그룹은 이탈리아 합리주
게 된다고 할 수 있는데, 그들은 미래파 운동의 실패원인을 전통과 의 건축을 단순히 재생하거나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에 대한
역사에 대한 부정에 있었다고 보면서, 강한 역사적 연속성과 전통 논리적인 접근과 건축 유형학을 통한 건축형태의 자율적 질서를
수용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더불어 기존의 도시환경과 근대건축 재구축하는 합리적 해결방법을 추구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이탈리
의 종합을 통해 지역성과 역사성을 함유한 이탈리아만의 독특한 아 합리주의 근대건축과 구별하여 신합리주의라고 불리게 되었다.
근대건축을 추구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측면들이 신합리주의 8) 이 저서들은 기존의 도시와 건축을 직접 연구하여 얻어낸 결론
건축에서 일정정도 연속되는 성격이라고 할 수 있다. 들을 건축이론으로 구축한 것으로, 건축가 개개인들의 건축이론을

14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2권 5호(통권211호) 2006년 5월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의 설계방법론에 관한 연구

2-2. 신합리주의 건축의 이론적 특성 이다. 그러므로 유형은 도시의 성격을 결정짓는 요소임과
일반적으로 신합리주의 건축가들은 사회학, 미학, 철학, 동시에 건축형태의 최소인자로 자리하며, 건축의 고유한 특
정치경제학과 관련해서 건축의 도시적인 의미와 도시의 역 성을 담고 있는 축약된 인자인 것이다.
사적인 변천, 그리고 그 속에서 존재하는 건축의 변화과정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의 특성은 첫 번째, 장소성을
을 연구해서 도시의 건축에 대한 새로운 규범을 발견하고 회복시키고, 역사적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강한 상징적
인간 역사의 근원적인 동기를 밝혀내려는 경향이 있다.10) 형태를 사용한다. 이러한 상징적 형태들은 주로, 기하학적
이런 측면에서 이들은 건축의 역사성과 연속성을 강조하고 으로 구성된 기념비적 요소에 의해 도시 구성원들의 집단
건축에 도시의 특성과 성격을 담고 있는 존재론적인 측면 적 기억을 드러내며, 이런 집단적 기억에 의해서 도시의 특
을 강조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런 특성의 이면에는 역사 정한 공간과 장소가 장소성(spirit of place)을 획득하게 만
와 전통을 바라보고 복제할 대상이 아니라, 새롭게 무엇인 든다.
가를 만들어내는 근거로서의 인식이 있다. 즉, 새로운 것 두 번째는 근대건축의 성과와 이탈리아 합리주의 건축을
그리고 그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최초의 단서를 역사적 계승하는 것이다. 즉, 이데올로기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흔적이 보존되고 있는 도시에서 구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 것을 배제한 채, 근대건축 언어들의 물리적인 형태와 기능
서 이들은 건축과 도시의 관계회복의 매개체로서 건축형태 간의 관계를 복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근대 건축적 성과를
의 자율성을 강조하고, 건축 유형론을 통해서 도시와의 관 이어받으려는 신합리주의자들의 입장은 건축언어의 추상성
계성, 건축의 역사성을 확보하려 했다. 으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건축적 전형(典刑)을 추구하려는 신합리주의자 세 번째는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건축개념이다. 역사와 도
들의 태도는 건축형식의 근원을 건축자체의 역사 속에서 시에 대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의 과정에서 찾아낸
찾으려는 의지를 보여주며, 건축의 논의를 건축 내부의 자 건축유형학은 모든 시대 모든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
기 지시적 논리 체계 속에 놓음으로써 건축형식의 자율성 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14) 건축유형학의 이러한 성격으로
을 지원하려 했던 것이다.11) 즉, 기존의 특수한 사례와 구 인해, 건축의 역사와 설계과정이 과학적으로 분석되고, 합
체적인 사실들로부터 보편적인 가치와 규칙의 체계를 끌어 리적으로 파악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즉, 건축의 자율성
내어, 건축의 모범으로 삼으려는 자세를 견지하는 것이다. 회복을 위해 건축과 도시의 물리적 형태를 발견하고 구축
특히, 건축을 과학화하려했던 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 하려한다.
의 혁명주의 건축을 재평가하면서, 건축을 하나의 독립적인 네 번째는 건축설계과정에 끊임없이 역사적인 근거와 근
과학의 범주에 포함시켜 훨씬 객관적이고, 역사적인 법칙성 원을 도입하여, 도시에 존재하는 건축물의 역사적 연속성을
으로 파악하여 그것들의 형태적 표현들을 찾으려고 했다.12) 유지하고 강조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건축유형학은 도
이런 과정을 통해서 발견된 유형은 근원적인 것, 유일한 시적 성격과 건축의 형태적 측면을 동시에 공유하고 있는
것, 분류해서 더 이상 축소할 수 없는 성격과 그렇기 때문 최소한의 인자로, 도시적 맥락을 수용하는 건축적 근거로
에 반복 가능하다는 성격을 동시에 지니게 되며, 이러한 반 작용하게 된 것이다. 신합리주의 건축가들은 도시적 맥락의
복 가능성은 유형을 사용하는 작품에 역사적인 성격을 부 수용과 해석을 통해서, 도시의 역사적 연속성을 드러내고,
여 할 수 있다. 더불어 그들은 건축가가 디자인 과정에서 기존 도시의 성격을 특성화시키고 유지시키려 하는 것이다.
유형을 사용할 때, 하나의 작품을 성격화하는 유형의 요소 표 1.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의 특성
를 정확한 상태로 가져와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13)
구분 건축적 해석과정 건축적 표현
또한, 도시의 역사적인 성격이 축약되고 도시를 파악하고
상징적 표현/
분석하는 도구로서 건축유형학은 단절된 역사를 복원하는 역사성 집단적 기억을 통한 일상성의 회복
건축적 모뉴멘트
기제로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시해석 또는 도시 분석 이데올로기가 제거된 물리적 형태와 기능의 관
근대성 추상적 건축언어
계복원/근대건축 미학적 성과 계승
은 건축의 구축이전에 자신의 건축에 대한 방향설정과 건 자율적/합리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적용한 역사와
건축유형학
축의 역할 규정에 중요한 기준으로 그들에게 자리하는 것 적 건축 도시 분석

도시/건축 유형학을 통한 건축과 도시의 관계맺기 도시 맥락의 수용


직접 설계과정과 결과물에 적용함으로써 현실적인 설득력을 가지
면서 신합리주의 건축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들의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알도 로씨의 ‘도시의 건축(L'architettura della citta':1966)’, 3.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가의 설계방법론
까를로 아이모니노의 ‘도시의 의미(Il significato della citta':1975)’
그리고 조르죠 그라씨의 ‘건축의 논리적 구축(La costruzione 3.1. 도시 해석 개념15)
logica dell'architettura:1967)’ 도시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출발점을 두고 있는 신합리
9) G.Muratore 외 3명, ‘I Temi di questi tent'anni', Italia gli
주의 건축은 도시를 건축의 근거이자 근원으로 생각한다.
ultimi tent'anni, Zanichelli, 1988, p.41
10) Giorgio Ciucci & Francesco Dal Co, 같은 책, p.225-p.226 또한 그들은 건축을 하나의 오브제가 아니라, 도시적 환경
11) 김경수, 한국현대건축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
논문, 1989, p.45 14) Juan Pablo Bonta/서유석 역, 건축의 표현체계, 기문당, 1999,
12) V.M.Lampugnani/김경호 역, 현대건축사조개관, 기문당, 1999, p.164
p.299 15) 도시개념은 도시자체에 대한 건축가의 설계개념이 아니라, 도
13) Rafael Moneo, 'On Typology', Oppositions 13, 1978, p.23 시를 인식하는 관점이나 방법에 대한 개념을 말하는 것이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2권 5호(통권211호) 2006년 5월 147


김의용

과 그 구성원들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의미를 담는 장소를 재생하는 장치로 작동하는 것이다.
즉, 근대건축이 건축 내부공간의 기능적 배치와 사용자의 로씨는 인공의 오브제와 예술품으로 구성되어있는 도시
편리함만을 보장하기 위하여 내외부 공간의 분리를 추구했 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성장하며, 그렇기 때문에 도시를 도
다면, 신합리주의 건축에서는 내외부 공간의 통합과 공간에 시 구성원들의 집단적 기억이 응집되어 있는 장소로 파악
대한 인간(사용자)의 인식적 측면을 중요시 했다. 그러므로 한다. 더불어 도시는 시간이 축적되어 구성되며, 이런 이유
신합리주의에서 건축은 도시환경이나 외부환경과도 밀접하 로 도시의 형태 속에서는 수많은 시간들이 동시에 공존하
게 관계를 맺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유럽의 역사도시들은 기도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19) 이것은 전체 집단의 경험
단순히 물리적 집적체로서의 도시가 아니라 지나간 시간적 으로 존재할 때만 역사는 유효하다는 헤겔적인 역사관을
인 요소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역사적 사실들이 내포된 시 보여주는 것으로, 영속성만이 과거를 현재와 구별하면서 과
간과 공간의 역사적 산물이기 때문에, 도시는 건축과 인간 거의 도시를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영속성은
의 역사와도 분리될 수 없는 존재인 것이다. 도시의 상태와 관련해 도시에서 고립되고 이탈된 형성물이
(1)알도 로씨(Aldo Rossi) 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영속성은 여전히 경험하고 있는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의 대표 주자인 알도 로씨는 과거의 형태를 통해서가 아니면 도시 체계에 특성을 부여
건축의 시작을 강한 역사적 연속성을 지니고 있는 이탈리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20)
아 도시에 두고 있다. 로씨는 언어학적 구조주의와 계몽주 이런 측면에서 그에게 도시 그 자체는 도시민들의 집단
의적 예술이론, 그리고 도시 지리학, 경제학, 그리고 마르크 적 기억이 되며, 그리고 기억이 형성물과 장소에 관련되어
스주의 이론에 입각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16) 이러한 있듯이 도시는 집단적 기억의 로쿠스(locus)가 되는 것이다.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로씨는 이성적인 건축이 어떻게 특히, 로쿠스는 기념물을 통해서 물리적인 실체로 드러나
축조되며, 건축이 도시의 축조에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관심 며, 이러한 기념물의 지속성과 영속성은 도시를 구성하는
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에게 도시는 최초에 정치적, 사회 기념물의 의의, 역사, 예술, 존재성, 기억으로부터 나온 결
적, 경제적 측면에서 발생된 것이었으나, 지형학과 건축물 과인 것이다.21) 이러한 사실로 인해 로씨에게 도시는 건축
의 축조로 인하여 역사적인 변형을 거치게 되었고, 그러므 형태들의 집적체이며,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개개 건물의
로 도시와 건축의 관계는 불가분적인 것이 된다.17) 형태들이야 말로 집단적인 기억의 핵이며, 기본단위이며,
특히 로씨에게 도시는 원소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에게 도시는 대표적인 건
사회적 내용으로부터 자 축의 단편을 찾아내는 탐험의 장으로 존재하며, 수많은 역
유롭게 되어있는 물리적 사적 지층들의 의미를 함유하고 있는 단편들의 종합체인
형태이며, 그렇게 축약되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로씨는 도시형태의 분석도
어 있기 때문에 도시에서 구로서 건축유형학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며, 그의 작품에서
얻어낸 유형들은 건축설 주로 나타나는 건축언어들도 도시 분석 과정을 거쳐서 추
계의 바탕이 된다고 생각 출되는 것이다.22)
한다. 왜냐하면 그는 도 (2)까를로 아이모니노(Carlo Aymonino)
시를 하나의 전체로 파악 근대건축의 어휘와 미학을 재해석하면서 브루탈리즘
하여, 그 속에서 한 단편 (Brutalism)적인 성향, 그리고 이탈리아적 서정성을 가지고
을 선택하고, 그 단편의 있는 까를로 아이모니노는 도시를 하나의 분석대상으로 관
그림 2. 집단적 기억으로의 유추적 도시
의미를 확장시켜가는 조 찰하기 보다는 도시형태와 건축 유형의 관계에 주목하면서
작과정으로 - 원래 맥락 속에서 갖는 의미, 단편 자체의 의 건축의 형태보다는 그것의 기능적 관계에 관심을 갖는다.
미, 새 맥락에서의 의미- 해석하기 때문이다.18) 그러므로, 왜냐하면 그는 도시가 미학적인 측면에도, 기능적인 측면에
도시는 유형 분류의 원자료들을 제시해주는 보고(寶庫)이 도 시작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23)
며, 그렇게 얻어낸 유형들을 재구성하고 변형시키는 것이 그는 도시의 최초 출발이 필요에 의해서 시작되었고, 그
건축가가 설계과정에서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 렇기 때문에 이 필요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고 나서야 아름
장하는 것이다. 다움에 대한 열망이 뒤따라온 것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이
그에게서 건축설계란 도시의 단편을 분석하여, 선택하고, 유로 건축 형태는 도시의 본질적인 요소가 될 수 없는 것
해체한 후, 재구성하는 작업의 과정이기 때문에 건축은 단 이다. 뿐만 아니라, 부르주와 근대사회의 탄생과 더불어 소
순히 도시 공간의 분석 결과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유구조, 생산양식, 정치적 선택 등이 건축적 형태를 예속했
자체로 도시적 질서를 규정하고 도시와 건축의 관계를 성
립시켜주는 매개체로 기능하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도시 19) Aldo Rossi, op. cit, p.60
에서 그의 건축은 공간적 구성체로 기능하지 않고 도시적 20) Aldo Rossi, ibid, p.57
21) Aldo Rossi, ibid, p.58
16) 조승구, 도시형태와 현대건축의 관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 22) 그의 건축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열주기둥, 무표정한 정사
권1호, 1998.01, p.54 각형 창호, 원형 모뉴멘트, 아케이드(arcade), 기하학적 배치 등과
17) Aldo Rossi, L'architettura della citta', cittastudi, 1966, p.14 같은 건축언어들은 모두 도시에서 분석해낸 기념물들의 형상화인
18) Anthony Vidler, The Third Typology, Opposition Reader, 것이다.
Princeton Press, 1988, p.16 23) Carlo Aymonino, Il significato della citta', Laterza, 1975, p.67

14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2권 5호(통권211호) 2006년 5월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의 설계방법론에 관한 연구

으며, 도시는 이것들의 물리


적 증거를 표현한 것이기 때
문에 근대를 관통하면서 도
시는 기존의 역사적 흔적의
표상인 형태가 자본에 종속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
으며, 이로 인해 도시에 존재
하는 건축의 형태는 본래의
의미를 상실하게 된 것으로
파악한다.24)
결국, 근대 자본주의의 발
전은 역사도시가 지니고 있 그림 4. 도시와 건축의 대응관계를 보여주는 베를린 프로젝트
는 도시형태의 의미를 왜곡
그림 3. 광장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도시 전통적으로 유럽 도시는 근대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으면
시켰으며, 형태 원래의 의미
서 도시구조와 시대적인 상황들의 불일치가 발생하여, 도시
를 상실하게 만든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건축에
의 의미 자체가 변형된 구조를 드러내게 된다. 이 지점에서
서는 형태보다 기능적 유용성이 더욱 중요한 가치기준이
그는 변형된 도시의 형태를 재조정하고, 변형 그 자체를 보
된다. 그러나 도시적인 모뉴멘트와 스케일, 그리고 도시적
여주는 장치로 건축을 이용한다. 물론 변형기제로서 건축은
인 형태들의 관계는 도시 분석을 통해서 디자인 요소로 활
도시 형태를 반영하고 지속성을 함유한 역사적이고 고전적
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되며, 설계과정의 길잡이로 활
이며 순수한 건축언어들이다.
용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25) 이렇게 건축이 도시의 건설요
그라씨는 건축의 실체적이고 구체적인 모습을 밝혀내기
소로서 자리하기 때문에, 그에게 건축적 결과물과 도시 구
위해서, 도시에 대한 경험을 건축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생
조 사이에는 가정적 관계26)가 수반된다. 이런 과정을 통하
각한다. 이것은 건축이 시간의 문제에 정확하게 대응해 온
여 건축가는 건축설계에 의미 있는 도시의 요소를 건축화
것처럼, 매번 새롭게 창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29) 이렇게
시킬 수 있는 근거와 유형들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시간적으로 매번 새롭게 창조될 때, 그라씨의 도시 해석적
러므로 아이모니노의 관점에서 볼 때 도시는 기능의 집적
방법은 도시에 존재하는 건축의 개별성에 관한 것이고, 그
체이며, 건축은 다른 건축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의미를 획
개별성은 다시금 불변성과 영속성을 지닌 유형의 선택을
득하게 되는 것이다. 즉, 맥락적인 측면에서 건축은 다른
통해서 건축의 언어로 표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건
건축물과, 때로는 다른 건축적 구성물과 관련된다는 것이
축은 구성적 규범과 원칙을 다시 수집하고, 그러한 사고의
다. 바로 이 “관계”에서 도시는 구성되며, 그 관계는 바로
토대위에 존재하면서 형태들을 구축할 때, 모든 결과물들이
도시의 외부공간과 건축적 형태의 상관관계로 표현되는 것
‘고전적 경향’30)에 다시 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
이다.
속성을 함유한 형태는 시대와 작품간의 유일한 관계를 결
(3)조르죠 그라씨(Giorgio Grassi)
정하기 때문에,31) 장식을 제거한 순수한 형태의 건축유형은
신합리주의 건축가 중에서 가장 엄격하고 금욕적인 태도
도시적 크기로 확장될 수도 있고 기존 도시의 특성을 받아
를 보이는 건축가가 조르죠 그라씨이다. 그는 건축을 단순
들이는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히 미학적 건설의 결과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 질서
그러므로 그의 도시개념은 도시적이고 건축적인 공간을
와 요소의 연속에 관련된 일종의 지적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창출하기 위해서만 형태의 구성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건축에서 타락한 언어들을 발견
왜냐하면 도시구조는 시간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시대적인
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새롭게 디자인할 수 있다고 생각하
조건과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결국 장소의 창출만이
고 있다.27) 그러므로 그의 건축은 표현물이 아니라 도시에
도시와 건축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대한 분석의 결과이며, 논리적으로 구축된 결과이어야만 한
때 건축가는 객관적인 건축언어의 사용으로 새로운 도시
다. 왜냐하면 건축은 사회적인 조건과 역사적인 조건 모두
공간과 건축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에 명확하게 대응해야하며, 이 때 건축가는 건물에 자신의
욕구를 부가해서는 안 되고 건물의 본질적인 성격을 해명
James Press, 1994, p.374
하고 그것을 객관적이고 보편적으로 표현해야하는 것이기 29) Antonio Monestroli, Considerazione sull'architettura di
때문이다.28) Giorgio Grassi, Controspazio, 1974. 10, p.72
30) 그라씨가 언급하는 고전적 경향이란 아름다움의 이상을 구체
24) Carlo Aymonino, ibid, p.vi 화시키는 형태이며, 인간의 삶에 관련된 측면을 표현하는 형태를
25) Carlo Aymonino, ibid, p.14 의미한다. 그렇게 함으로 형태는 건축적 경험의 지속적인 규범으로
26) 여기서 가정적이라는 것은 분석의 필요가 뒤따르는 것을 의미 남게 되는 것인데, 지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식을 배제한
한다. : Carlo Aymonino, ibid, p.146 순수한 형태만이 시간을 내포하는 진실한 형태가 되는 것이다. 왜
27) Juan Jose Lahuerta, L'architetto e i suoi modelli/Giorgio 냐하면 장식은 시대적이고 사회적인 상황과 조건에 따라 쉽게 변
Grassi, Le opere e gli scritti, Electa, 1966, p.18 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28) Emanuel Muriel ed., Contemporary Architects, 2nd ed. St, 31) Antonio Monestroli, ibid, p.7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2권 5호(통권211호) 2006년 5월 149


김의용

표 2. 신합리주의 건축가들의 도시와 유형개념 그는 이러한 해석적인 방법을 통해서 건축형태의 단순성
근거(reference)적 건 건 축 적 을 가장 보편적인 유형이외에 불필요한 것을 배제함으로써
도시개념 유형개념
축가 경향 강한 표현적 효과를 건축물에 부여한다. 그러므로 유형은
듀랑, 불레, 아돌프 도시적인 현실과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과는 상관없이 존재
로씨 총체적 집적체 형태중시 은유적
로스
하는 것이며, 유형은 오로지 아름다움에 대한 열망과 필요
르 꼬르뷔제, 고전주
아이모니노 기능의 복합체 기능중시 구성적 성에 의해 구축되는 것이며34) 이데올로기가 배제된 순수한
의, 브루탈리즘
쉰켈, 아돌프 로스,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다.35) 이러한 이유로 유형은 건축의
형태적 논리적 형태의 원
그라씨 힐베르자이머, 테세 절제적 기초를 구축하게 되며, 구체적인 도시의 사실과 역사성이
구축물 형성 중시
노프, 미스
배제된 상태에서 순수하게 존재하는 본질적인 형태를 유추
의 과정을 통해서 추출하는 것이다. 더불어, 건축에서 유형
3.2. 건축 유형학 은 인간의 규약과 모든 부분에서의 근원이며, 근원적인 원
신합리주의 건축에서 역사와 전통은 바라보고 복제해야 인이기 때문에 유형학은 건축의 분석적인 측면을 가질 수
할 대상이 아니라 새롭게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원천과 밖에 없으며,36) 이것이 다시금 도시에 개성을 줄 수 있는
근거로서 작용한다. 즉, 그것들은 재해석의 대상으로 새로 요소로 전환되는 것이다.
운 것을 만들기 위한 전제조건이고 고전인 것이다. 이 과정 그러므로 도시는 유형학적인 요소들의 집합체이며, 역사
에서 건축유형학은 건축의 역사성과 연속성, 그리고 도시의 적 시간을 함축하고 있는 공간이며 장소인 것이다. 또한 도
특성과 성격을 담고 있는 건축의 존재론적 측면을 강조하 시의 유형들은 역사적인 시간과 경험을 통해서 도시 구성
기 위해서 채택된 이론적 방법론이었다. 그러므로 신합리주 원들에 기억되기 때문에 ‘집단적 기억(collective memory)’
의 건축에서 유형개념이란 근본적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 을 불러일으키게 되고, 이 지점에서 건축가는 설계과정에
나가는데 필요한 참조할 수 있는 선례들을 이해하고 분류 도입할 수 있는 형태를 도시와 사회에 집단적으로 공유된
하면서 발견하게 된, 건축설계 과정의 최소한의 근거와 출 기억에 의해 선택하는 것이다. 결국, 로씨에게 유형은 건축
발점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적 실천물의 집합적인 성격, 스타일, 기능, 기술들에 변증법
(1) 알도 로씨 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영속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는 것
알도 로씨는 계몽주의 시대의 퀸시(Q. Quincy)와 듀랑 이며, 형태적, 역사적 연속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J.N.L. Durand) 그리고 이탈리아의 무라토리(S. Muratori), 것이다.37)
로져스 등이 유형에 대해서 취했던 개방적이고 유연한 입 (2)까를로 아이모니노
장을 취하고 있다. 특히, 그는 건축역사가나 이론가의 입장 도시의 기능을 필요와 기능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아이
에서보다는 건축가의 입장에서 유형의 발견과 조직화를 시 모니노는 건축유형의 개념을 공시적 측면에서의 도시적 의
도한다.32) 즉, 역사적 자료로서의 유형개념을 거부하고 건 미로 규정하며, 분류화를 통해서 계획의 바로미터로 사용할
축가의 주관을 더욱 개입시켜, 역사적인 자료인 유형의 해 수 있는 도구적이며 실천적인 자료로서 생각한다. 그러므로
석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형은 도시의 대 건축유형은 새로운 건축물에 대한 계획의 준거틀이며, 지속
표적인 단편을 찾아내어, 그 의미를 건축가의 해석을 통해 적인 첨가에 의해 건축적인 실천물에 효과적인 도구로 사
서 확장시켜가는 작업이며, 이런 해석적 측면을 강조하는 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한다.38)
그의 방법은 설계과정에서 건축가의 상상력과 창조력을 자
유롭게 하는 장점으로 나타난다. 결국, 로씨에게 유형학은
도시 형태의 분석도구로서 이용되며, 건물의 스케일과 도시
와의 갭을 잇은 교량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
이다.33)

그림 6. 페사로(pesaro) 대학:분석적 건축언어와 광장중심의 계획안

6, The Architectural Association, 1985.05, p.77


그림 5. 페루지아(Perugia) 시청사: 역사도시의 건축적 단편의 유추적 확장
34) Aldo Rossi, op. cit p.31.
35) Manfredo Tafuri, Storia dell'Architettura italiana, Einaudi,
32) 이러한 이유로 로씨에게 근거(reference)로서 작용하는 듀랑, 1992, p.170
아돌프 로스(Adolf Loos) 등의 건축은 현재에 가까운 유형적 요소 36) Aldo Rossi, op. cit, p.33
가 되기도 한다. 37) Anthony Vidler, ‘The Third Typology’, Opposition Reader,
33) Micha Bandini, 'Typology as a Form of Convention', AAfile Princeton Press, 1988, p.4

15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2권 5호(통권211호) 2006년 5월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의 설계방법론에 관한 연구

도시와 건축의 관계를 광장이라는 구체적인 공간요소를 만 결정된다고 이해하기 때문에,43) 형태에 대한 유형학적
중심으로 해결하는 그의 설계방법론은 이런 유형적 사고가 분석을 통해 구조주의적인 공시적 특성을 강화했고, 그리하
원형, 유형, 모델의 개념적 확장을 통해서 도시에서 건축으 여 불변성과 영원성에 특권을 부여한 것이다. 이런 측면 때
로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즉, 유형이 문에 그의 건축언어들은 장식을 완전히 배제한 금욕적인
시대적으로 다양하게 표현된 것을 모델(model)이라고 한다 근대건축의 언어들로 채워져 있으며, 그 근원에 건축언어의
면, 이런 모델은 항상 도시에 장소를 가지게 되고 그럼으로 순수성을 추구하였던 쉰켈, 아돌프 로스, 힐베르자이머, 베
써 정확하고 구체적인 형태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모델이 를라헤 등의 건축가들이 있는 것이다.44)
다시 반복되기는 하지만 작품들을 혼동하지 않게 하는 근 표 3.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가들의 도시해석과 건축유형개념 분석
거이기도 한 반면, 유형은 유일한 것이며 특징적인 요소로 작품 도시해석개념 건축유형개념
추출된 것으로 모델보다 차별화되며, 독자성을 가진 요소가 세그라타 역사적 기념성 로지에의 원형적 형태
되는 것이다.39)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복잡화 현상으로 시청광장과 죽음의 이미지 기하학적 단순 요소
기존의 분류체계로서의 유형이 그 효능을 상실했기 때문에, 기념비 과거에 대한 기억 추상적 형태
그에게 유형은 형태 유형과 기능유형으로 구분된다. 왜냐하
도시적 가로형태 롬바르디아 농가 유형
면 모델이 과거처럼 반복될 수 있는 특성을 잃어버렸고, 도 갈라라테제
알 회랑의 변형 집단적 기억 : 원형기둥 :
II
시적 조건들이 차별화되는 특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다.40) 이 도 도시적 일상성(회랑) Bar Type 근대주거유형
러한 이유에서 아이모니노는 유형의 형태적인 측면보다는 맥락적 배치 기하학적 단순요소
기능적인 측면이 건축과 도시의 관계 맺기를 수행하기에 로 산 까달도 자율적 도시 죽음의 재현
시 공동묘지 도시적 일상성과 건축 중정형 배치
더욱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는 것이고, 계획에서 중요
적 형태 신체형상의 유추
한 요소로 취급된다. 즉, 그는 유형이 도시 분석 과정에서
베니스의 문맥 활용(수 중세 베네치아 이동극장
도시와 건축, 건축 형태와 도시 형태의 관계에 기본적인 틀 세계의 상도시) 중세적 건축요소의 활용
을 제공해주고, 설계의 준거점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하는 것 극장 기억의 회상 (8각형 지붕, 구, 십자형
이다.41) 수공간과 이동성 창문)
보행자 동선의 연속성
(3)조르죠 그라씨
갈라라테제 도시적 기념성 도심지 주거형태(공동체
계몽주의의 아카데믹한 전통에서 가져온 유형에 대한 그 I 건축의 도시적 확장 성의 확보)
라씨의 사고는 그의 건축의 기본을 결정짓는 요소이다. 그 광장의 도입

가 관심을 가진 유형학의 적합성 연구는 건축설계의 결과 원형적 형태의 기념성 위계적 광장의 도입

물이 주관적으로 흐르는 것 뻬사로 건축의 작은 도시화 광장을 중심으로 한 기능

대학 회랑을 통한 기능적 의 배치와 통합
을 피하면서, 유형에 의해
연결 기하학적 요소 도입
추출된 형태의 객관성을 찾 아
역사적 맥락의 수용 사각, 원형, 삼각형의 기

는데 주목한다. 왜냐하면, 건 아벨리노 로마의 도시적 언어 학적 평면

축가의 주관에 의한 건축적 극장 수용 광장중심 기능전개

지형적 조건의 수용 기능중심의 공간배치
형태 선택은 유형 고유의 성 노
도시적 문맥의 활용 광장을 감싸는 회랑
격인 불변성과 영원성을 담 물리노 광장의 분화(보행자전 원형극장의 형태요소 도
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광장 용 & 아케이드) 입
한 그가 생각하는 건축은 항 재료적 측면의 과거유추
상 시간과 공간속에서 하나 도시/건축적 기념성 미스 반데 로헤의 재해석
트리에스테
였고, 그러한 건축의 형태는 도시공간의 대응 중정형식의 도입
시청사
불변성과 영원성을 지닌 가 가로적 연속성

장 강력한 요소이며, 그렇기 회랑의 도입


조 도시공간의 도입
때문에 건축의 요소와 형태 르
끼에띠 중심성의 확보
맥락적 배치
들은 지속성의 성격을 인식 학생기숙사 투시도적 공간성
죠 도시적 일상성
테센노프 재해석
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으
역사도시의 맥락수용 브리스(Ch.Et.Briseux)의
로 결정되어야만 하는 것이 그
아벨리노 지형적 조건의 반영(투 평면유형 수용

다.42) 도심재개발 과성) 산악도시의 유형적

그는 건축의 형태가 구성 성곽도시 이미지 배치 수용
그림 7. 키에티(Chieti)대학 기숙사 : 원리의 영속성과 건설의 기 사군토 도시적 대응(성곽도시) 극장유형 재해석
설계의 근거와 원형으서의 유형적 요소 나긴 진행의 전승을 통해서 원형극장 유적의 흔적 확장 벽의 유형적 복원
재개발 역사적 장소의 복원 로마의 재료적 질감도입

38) Carlo Aymonino, op. cit, p.78-82


그라씨에게 건축유형은 건축설계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
39) Carlo Aymonino, ibid, p.74-75
40) Carlo Aymonino, ibid, p.162
41) Carlo Aymonino, ibid, p.265-267 43) Antonio Monestroli, ibid, p.75
42) Antonio Monestroli, op. cit, p.74 44) Ignasi de Sola Morales, Critical Discipline, op. cit, p.665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2권 5호(통권211호) 2006년 5월 151


김의용

뿐만 아니라, 구축의 논리적인 측면까지도 결정짓게 하는


요소이다. 그는 형태연구를 통해서만 규칙을 만날 수 있고,
형태분석은 그 자체의 중요한 건축적 특성의 이해를 의미
하는 것이기 때문에 형태는 건축의 구축적 논리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좋은 건축 작품이 있을 때 우리는 건
축의 형태에 접근이 가능하고, 질서 잡힌 세계가 인식되는
것이며, 지속성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45) 그러므로
그에게는 역사적인 건물이나 장소들에서 건축적인 장소의
특별한 문제보다는 항상 건축의 문제가 중요하게 된다. 즉,
그에게는 새로운 건축과 과거의 건축은 동일한 것이 되는 그림 8. 신합리주의 건축가들의 설계방법 개념도

것이다.46)
소로 유형을 생각하고, 아이모니노가 유형을 도시를 분석하
다양한 건축유형은 도시의 복합적 구축에 관련된 명백한
는 도구로 생각하면서 도시의 기능과 형태의 관계를 더욱
표식이기 때문에, 그라씨의 건축은 지어질 장소의 특성이나
중시하는 경향을 보여준다면, 그라씨는 논리적으로 명확하
도시적 특성이 미약하고, 맥락적 연계성이 명확하지 않을
고, 순수한 형태적 결정체로 보면서 절제적이고 객관적인
때, 유형은 설계의 기준이 되기도 하며, 도시적 측면으로
건축을 만들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건축가들의 유형에 대한
확대되기도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라씨에게 유형을 포함
다양한 입장은 건축에서도 반영되어, 로씨가 건축 형태의
한 건축이 하나의 과정 즉, 건축이 명확한 이성에 의해 부
자율성을 중요시하고, 형태주의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과된 규칙을 준수하면서도 논리적 연결이 순차적이고 연속
있다면, 아이모니노는 도시와 건축의 기능적 관계를 중요시
적으로 일어나길 의도하기 때문이다.47) 그러므로 논리적으
함으로써, 건축과 도시공간의 구성적 측면이 건축적 표현으
로 명확하고, 순수한 형태적 결정체 이외에는 모든 것을 절
로 나타나게 한다. 마지막으로 그라씨는 도시에서 영속적인
제하는 객관적인 그의 건축은 진정으로 본질적인 요소만
요소인 건축의 개별자를 찾아내고, 건축의 원형적인 건축형
취급한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건축유형학은 교훈적이고,
태를 분석하여 사용함으로써, 금욕적이며 절제적인 건축공
개념적이며 구체적인 것이다.48)
간과 형태를 추구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5. 결론
참고문헌

장소성의 복원과 도시적 맥락의 수용을 지향했던 이탈리 1. Aldo Rossi, Architettura della citta', Citta'studi, 1995
아의 신합리주의 건축은 인문학적 측면의 강조를 통해, 도 2. Anthony Vidler 외, Opposition Reader, Princeton Press,1988
시와 건축의 역사적 연속성과 건축형태의 자율성을 확보하 3. Antonio Monestroli, Consideazioni sull'architettura di Giorgio
Grassi, Teoria e Progetto, Controspazio, 1974.10
려했던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다루
4. Carlo Aymonino, Il significato della citta', Laterza, 1975
었던 이탈리아 신합리주의 건축가들인 알도 로씨, 까를로
5. --------------, Piazze d'Italia, Electa, 1988
아이모니노, 조르죠 그라씨는 건축유형학을 사용하여 도시
6. --------, Carlo Aymonino, Architectural monographs No.45,
와 건축의 관계복원을 시도하였고, 역사도시에 산재해있는 Academy Editions, 1996
건축형태에서 규범을 추출하여 다시금 도시로 확장시키는 7. Giorgio Ciucci & Francesco Dal Co, Architettura italiana
설계방법론을 취하고 있다. 특히 이들 신합리주의 건축가들 del'900, Electa, 1993
은 도시를 해석하고 파악하는 관점을 토대로 건축유형의 8. Giorgio Grassi, I Progetti, le opere e gli scritti, Electa, 1996
해석적 측면들을 다양하게 변형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9.-------, La costruzione logica della architettura, Marsilio
editori, 1967
이는 그들의 설계방법론이 도시에 근원을 두고 있었음으로
10.------, Architettura lingua morta, Electa, 1988
가능했던 것이다.
11. G. Muratore 외 3명, Italia gli ultimi tent'anni, Zanichelli,
먼저, 로씨는 도시를 총체적인 건축과 역사의 집적체로
1988
보았으나, 아이모니노는 도시를 건축의 기능적 관계로 파악 12. Manfredo Tafuri, Storia dell'Architettura italiana, Einaudi,
했으며 그라씨는 영속성을 지닌 개별적 건축의 논리적 구 1992
축으로 파악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건축가들의 도시에 대한 13. Micha Bandini, 'Typology as a Form of Convention', AAfile
이런 개념은 도시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표현하는 기제인 6, The Architectural Association, 1985.05
건축유형 개념에서도 차이를 보이면서 나타나게 된다. 로씨 14. Juan Pablo Bonta/서유석 역, 건축의 표현체계, 기문당, 1999
15. V.M.Lampugnani/김경호 역, 현대건축사조개관, 기문당, 1995
가 형태의 기본적인 요소이며 도시의 성격을 담고 있는 요
16. 윤장섭, 서양현대건축, 보성출판사, 1999
17. 김경수, 한국현대건축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
45) Giorgio Grassi, "Questione di Progettazione‘, “Architettura
문, 1989
lingua morta", Electa, 1988, p.27
18. 조승구, 도시형태와 현대건축의 관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권
46) Ignasi de sola Morales, 'L'intervento architettonico: i limiti
1호, 1998.01
dell'imitazione', "architettura lingua morta", ibid, p.8
(接受: 2006. 1. 23)
47) Juan Jose Lahuerta, op. cit, p.8
48) Ignasi de sola Morales, ibid, p.15

152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2권 5호(통권211호) 2006년 5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