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9


지식기반사회가 고도화됨에 따라 대학의 경쟁력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하고


있으며, 새로운 지식 창출과 창조적 인재 양성이라는 대학의 역할이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21세기를 주도할 새로운 지식 창출은 대학의 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면 창조적 인재 양성은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동
안 대학의 이러한 두 가지 핵심기능 중 연구 성과의 평가는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교육의 성과는 대학 운영의 과정 요인이자 질적인 성과로서 평가에 한
계로 작용해 왔으며, 이러한 이유는 대학의 질 점검과 책무성 평가를 위한 각
종 고등교육 평가에 타당하게 연계되지 못한 점이 있었다.
OECD는 현재 각국에서 대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나 평가지표가 대체로 연구 성과 중심, 양적 산출중심, 정량평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대학의 교육력을 설명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교육성과가 대학평가에 직접적으로 연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성과 측정을 위한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실제로 OECD 주요국에서는 대학생의 학습 경험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평
가도구들을 개발하여 다양한 대학평가와 연계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대학운영
및 교육과정 개선, 정부정책과 연계, 인재의 사회 진출 및 채용에 연계하여 평
가의 효용성을 제고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수행된 본 연구는 총 3개년에 걸쳐 이루어진다. 비록 첫
해의 연구이지만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및 실태분석을 통해 우
리 사회가 대학에 거는 기대를 높이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어 한국 고등교육
의 질적 수준과 실질적인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10년 12월
한 국 교 육 개 발 원

원 장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첫째, 그 동안 블랙박스로 남아있던 대학에서의 교수-학


습 활동, 학습참여도, 교육만족도, 학습활동에 대한 평가현황 등을 포함하는 학습경
험 분석에 적합한 검사를 개발하고, 둘째, 개발된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
하여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특성과 현황을 파악하며, 셋째, 도출된 연구결과에 기
초하여 대학의 교수-학습 과정을 개선하고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방안을 대학차원, 정부차원 등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은 크게 대학생 학습과정의 개념과 구성요소 정립, 대학생 학습과정 조
사도구 개발 및 조사, 한국 대학생의 학습실태 분석(설문조사, 학습일지), 2차년도
도구개발을 위한 전략 개발, 정책적 시사점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학습과정이란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관점’에서 계획된 교육
과정 안에서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지식과 능력을 신장해 가는 과정이며, 수업을 중
심으로 하되 대학생의 다양한 학습활동이 진행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학습과정의
구성요소로는 대학생의 학습과정이 크게 수업 중 활동과 수업 외 활동으로 대별된
다고 보고 수업 중 활동에 수업준비, 수업참여, 과제수행, 평가 및 시험이 포함되고
수업 외 활동에 독서, 학습동아리, 자기계발 활동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점을 이론
적 전제로 하여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에 착수하였다. 그리고 학습과정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기보다 학습 성과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며, 학습과정 분석
은 학습과정이 학습 성과에 얼마나 효과적인가에 대한 분석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
을 전제하고 있다.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서 대학생 학습과정을 실제로
조사한 국내외 사례를 수집・검토하였다. 기초연구를 통해 선정한 문항과 이 연구에
서 설정한 학습과정 개념 틀을 통해서 조사지 초안을 만든 후 연구진 협의, 전문가
자문, 파일럿 조사를 거쳐 최종조사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조사지는 대학생 학습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조사결
과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

- i -
요도・신뢰도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업 외 학습경험으로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검증된 문항 또는 소분류로는 도서
관 이용 빈도, 다양한 배경의 학생 간 교류, 학습 스터디 및 자기계발 활동, 음주로
인해 학업이 방해된 경험이 있는지에 관한 것 등으로 나타났다. 중요도가 낮은 것으
로 검증된 문항으로는 도서관 이용 목적 중 과제를 위해서 이용하는 경우・시험공부
를 위해 이용하는 경우,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 활용 목적 중 수업 준비 목적이
아닌 인터넷 활용, 읽기・쓰기 분량에 관한 질문 중 수업과 상관없이 개인적 즐거움
또는 학문적 풍요로움을 위해 읽는 도서 수, 각종 주제별 대화경험 중 컴퓨터 및 과
학기술, 에너지 공해, 화학, 유전학 등에 관한 토론, 예술・스포츠 및 자기계발 활동
중 공연 및 각종 전시회 관람,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중 교내외에서 종교 활
동을 하는 것 등으로 나타났다.
수업 중 학습경험으로서 중요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검증된 문항 또는 소분
류는 질의에 대한 응답・질문・발표, 수업내용의 연계・종합・대안모색・응용, 타인에게
학습내용을 설명, 교수와의 상호작용,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등에 관한 것이었
다. 중요도와 신뢰도가 낮은 문항 또는 소분류는 동료들과의 협동을 통한 수업과제
수행, 수업참여의 성실성 중 수업시간에 메신저를 하거나 문자를 보냄, 시험 및 과
제의 분량에 관한 것 등이었다.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수업만족도 관련 문항 대부분의 중요도가 매우 높은 것으
로 나타났으나, 단 전공수업의 전반적인 질에 대한 만족도 문항 중 이해수준보다 기
억수준을 강조하는가에 대한 문항은 중요도가 보통이었다. 학습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제시한 문항 중 중요도가 매우 높았던 문항으로는 대인관계 능력, 의사소통 능
력, 자신감, 양적 문제의 분석능력, 원리의 응용력, 분석적・논리적 사고력, 문제해
결 능력 등을 꼽을 수 있다. 중요도가 낮은 문항은 외국어 실력이었다. 2차년도 도
구를 개발시에 올해 조사도구 상의 각 문항에 대한 중요도・신뢰도를 고려・반영하여
야 할 것이다.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라는 양적 방법이외에도 학습일지
작성이라는 질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국・공・사립, 대학소재지, 계열을 고려하여 현
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30명을 선정하여 2주 분량의 학습일지를 작성하도록 하

- ii -
여 이를 분석하였다. 학습일지 분석을 통해 2차년도 조사도구에 추가해야 할 문항을
개발하였다. 수업 외 학습경험 중 자기주도학습 역량강화 지원에 관한 것으로 발표,
글쓰기, 토론방법, 독서방법, 학습법 등을 교육하는 것에 대한 질문을 추가해야 할
것으로 드러났다. 또 대외경험 중 연합동아리 활동, 학점교류, 인턴십 등에 대한 질
문을 추가하여야 하며, 개인 사교육 경험으로 영어 및 외국어 교육, 일반교양 및 예
술, 취미활동 관련 교육을 추가할 필요가 있으며, 교내외 직업 활동, 다양한 인터넷
활동에 대해 질문할 필요가 있었다. 수업 중 학습경험으로는 수업형태에 대한 질문
을 추가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결과와 학습일지 분석 결과 드러난 대학생들의 학습과정 상의 부정적 특
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점은 한국 대학생들은 수업
외 활동에서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사회봉사 참여도가 저조하며, 그리고 글쓰기
능력이 부족하고,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경험이 적다는 점 등이었다. 그리고 학
습일지를 통해 학습장애요인을 찾아본 결과, 비효과적인 수업활동이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었는데 이는 주로 교수요인과 관계가 있었다. 즉, 교수의 전달력, 수업설계
역량에서 문제가 발견되었다. 학습장애요인을 학생개인의 측면에서 접근하면 학생개
인의 학습의지 부족을 들 수 있다. 또 정보화의 영향으로 일상화되어 있는 인터넷을
통한 학습활동이 오히려 학습을 방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너무 많은 시간을 직업
활동에 투자하는 것도 학습시간의 부족을 초래하여 결국 학습장애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학습장애요인을 극복하고 학습과정을 개선하여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기 위해 우선 정부의 역할은, 첫째, 대학생 학습과정 측정도구에 의한 결과를
대학정보공시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고, 둘째,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에 참고자료로
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좋은 학습모델을 개
발하여 이 모델들을 대학에 확산함으로써 대학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학습과정 조사와 고등교육에 관한 유관 데이터
를 연동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고등교육 정책에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다섯째, 정부는 대학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소
비자들에게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 다음으로 대학은 첫째, 교수학습센터의 기능 회
복 및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수업과정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센터의 기

- iii -
능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수들의 교수능력 개선을 위한 컨설팅 기
능 강화가 필요하고, 셋째, 학생들의 학습능력 증진을 위해서도 교수-학습센터의
컨설팅 기능이 강화될 필요가 된다. 넷째,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결과는 대학의 발전
계획 수립은 물론 대학 자체평가를 위한 질적 지표의 구축에 활용해야 하며, 마지막
으로 대학도 소비자들에게 학생들에게 어떠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어
떠한 학습경험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차년도에는 본 연구를 토대로 더 정교화된 학습과정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더 면
밀한 학습일지 분석방법을 동원하여 대학생 학습과정을 밀도있고 심층적으로 분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iv -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 연구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가. 연구 설계 ······································································································· 6
나. 연구 내용 ······································································································· 8
다. 연구의 시사점 ······························································································ 10

3. 연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가. 선행연구 분석 ······························································································ 12
나. 전문가협의회 ································································································ 12
다. 설문조사 ······································································································· 13
라. 통계분석 ······································································································· 18
마. 대학생 학습일지 작성 ················································································· 18
바. 심층면접 및 면담 ························································································ 19

4. 연구의 제한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Ⅱ. 이론적 배경 • 21
1. 대학생 학습과정 개념과 구성요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가. 대학생 학습과정의 중요성 ········································································· 23
나. 학습과정의 개념 정의 ················································································· 24
다. 학습과정의 구성요소 및 개념도 ································································ 26

2. 선행연구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가. 좋은 수업에 관한 연구 ··············································································· 28

- v -
나.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 33
다. 학습 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 ····································································· 35
라. 선행연구의 시사점 ······················································································ 39

3.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 국내 ・외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가. 국내 사례 ····································································································· 40
나. 국외 사례 ····································································································· 60

4. 시사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 69
1. 영역별 학습과정 실태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가. 응답자의 배경 및 생활특성 ······································································· 72
나. 수업 외 학습경험 ························································································ 85
다. 수업 중 학습경험 ························································································ 93
라. 수업 만족도 ······························································································· 100
마. 학습 성과 ··································································································· 106
바. 영역별・변인별 학습과정 실태 결과 ························································· 112

2. 학습과정과 학습 성과의 관계 탐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9
가. 분석 방법 ··································································································· 129
나. 분석 결과 ··································································································· 132

3.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의 주요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8

4. 학습장애요인 및 개선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2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 147


1. 학습일지 작성을 통한 대학생의 학습과정 조사 ·
··
··
··
··
··
··
··
··
··
··
··
··
··
··
··
··
··
··
··
·· 149
가. 학습일지초안 작성 ··················································································· 149
나. 1차 예비검사 실시 ··················································································· 150

- vi -
다. 1차 예비검사 결과 분석 및 학습일지 초안 수정 ································· 153
라. 2차 예비검사 실시 ·················································································· 154
마. 2차 예비검사 결과 분석 및 최종 학습일지 개발 ·································· 154
바. 최종 학습일지 검사 실시 ······································································· 154

2. 학습일지 분석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6
가. 표집 ············································································································· 156
나. 학습일지 분석틀 ························································································ 156

3. 학습일지에 나타난 한국 대학생의 학습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159
가. 수업활동 ····································································································· 159
나. 수업 외 학습활동 ······················································································· 181
다. 기타활동 ····································································································· 194

4. 학습과정의 주요한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8
가. 수업에서의 학습활동 ················································································ 208
나. 수업 외 학습활동 관련 ············································································· 210
다. 기타 활동: 학습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211

5. 학습장애요인과 개선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2
가. 대학생의 학습장애요인 분석 ···································································· 212
나. 시사점 및 개선방안 ··················································································· 214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 219


1. 조사도구 개발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1
가. 조사내용 ····································································································· 222
나. 타당도 검증 ······························································································· 223
다. 중요도・신뢰도 검증 ·················································································· 226

2. 조사도구 표준화 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1

- vii -
Ⅵ. 요약 및 정책제언 • 247
1.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9

2. 정책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2
가. 정부의 역할 ······························································································· 252
나. 대학의 역할 ······························································································· 255

3. 차년도 연구과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8

참 고 문 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9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5

Ⅶ. 부 록 • 271
[부록 1]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 ·
··
··
··
··
··
··
··
··
··
··
··
··
··
··
··
··
··
··
··
··
·· 273

[부록 2] 대학생 학습경험 국외 조사도구 문항 분석 ·


··
··
··
··
··
··
··
··
··
··
··
··
··
··
··
··
··
·· 289

[부록 3] 대학생 학습일지 작성지침 및 양식 ·


··
··
··
··
··
··
··
··
··
··
··
··
··
··
··
··
··
··
··
··
··
··
··
·· 299

- viii -


<표 Ⅰ-1> 연차별 주요 연구 내용 및 과제 ······································································ 7


<표 Ⅰ-2> 연구영역 별 내용 및 방법 ············································································· 10
<표 Ⅰ-3> 응답자의 배경변인별 분포 ·············································································· 16
<표 Ⅱ-1> GOMS・KEEP 조사도구 개요 ········································································· 44
<표 Ⅱ-2> GOMS・KEEP 조사 내용 ················································································ 45
<표 Ⅱ-3> 국내 대학의 대학생활 의견조사 문항비교 ··················································· 57
<표 Ⅲ-1> 부모학력 ··········································································································· 74
<표 Ⅲ-2> 학비충당방법 ···································································································· 75
<표 Ⅲ-3> 주당 공부시간 ·································································································· 78
<표 Ⅲ-4> 직업 활동 시간 ································································································ 80
<표 Ⅲ-5> 시설 및 서비스 만족도 ··················································································· 84
<표 Ⅲ-6> 도서관 활용 ····································································································· 85
<표 Ⅲ-7> 도서관 이용 목적 ·························································································· 86
<표 Ⅲ-8>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 87
<표 Ⅲ-9> 글쓰기 태도 ··································································································· 87
<표 Ⅲ-10> 읽기・쓰기 분량 ······························································································ 88
<표 Ⅲ-11> 다양한 배경의 학생 간 교류 ········································································ 89
<표 Ⅲ-12> 각종 주제별 대화 경험 ················································································· 90
<표 Ⅲ-13> 예술, 스포츠 및 자기계발 활동 ·································································· 90
<표 Ⅲ-14>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 91
<표 Ⅲ-15> 학습 스터디 및 자기계발 활동 ···································································· 92
<표 Ⅲ-16> 대외 경험 ······································································································· 92
<표 Ⅲ-17> 수업 준비 ······································································································· 93
<표 Ⅲ-18> 질의에 대한 응답, 질문, 발표, 노트필기 ··················································· 94
<표 Ⅲ-19> 동료들과의 협동을 통한 수업과제 수행 ····················································· 94
<표 Ⅲ-20> 수업내용의 연계, 종합, 대안모색, 응용 ···················································· 95

- ix -
<표 Ⅲ-21> 타인에게 학습내용을 설명 ··········································································· 96
<표 Ⅲ-22> 수업참여의 성실성 ························································································ 97
<표 Ⅲ-23> 수업 방법 ······································································································· 97
<표 Ⅲ-24> 시험 및 과제분량 ·························································································· 98
<표 Ⅲ-25> 교수와의 상호작용 ························································································ 99
<표 Ⅲ-26>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 100
<표 Ⅲ-27> 수업의 전반적인 질에 대한 만족도 ··························································· 101
<표 Ⅲ-28> 수업의 전반적인 질에 대한 만족도 ·························································· 102
<표 Ⅲ-29> 수업 평가에 대한 만족도 ··········································································· 104
<표 Ⅲ-30> 교수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 ······································································· 105
<표 Ⅲ-31> 대인관계 능력 ······························································································ 106
<표 Ⅲ-32> 의사소통 능력 ······························································································ 107
<표 Ⅲ-33> 정보처리 기술 활용 능력 ··········································································· 107
<표 Ⅲ-34> 종합적 사고력 ······························································································ 108
<표 Ⅲ-35> 자기 관리 역량에 관한 성과 ······································································ 109
<표 Ⅲ-36> 글로벌 역량에 관한 성과 ············································································ 110
<표 Ⅲ-37> 대학 추천 의사 ···························································································· 110
<표 Ⅲ-38> 수업 외 학습경험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 종합 ···························· 111
<표 Ⅲ-39> 수업 중 학습경험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 종합 ··························· 117
<표 Ⅲ-40> 수업만족도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전공) ····································· 120
<표 Ⅲ-41> 수업만족도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교양) ····································· 123
<표 Ⅲ-42> 대학 추천 의사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 ········································ 126
<표 Ⅲ-43> 학습 성과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 ················································· 127
<표 Ⅲ-44> 학습성과 회귀모형에 투입된 예측변인군 구성 ········································ 130
<표 Ⅲ-45>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의 기술통계와 문항척도 ········································ 131
<표 Ⅲ-46> 인지적 사고능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 요약 ····························· 133
<표 Ⅲ-47>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 요약 ············ 133
<표 Ⅲ-48> 인지적 사고능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 135
<표 Ⅲ-49>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 137
<표 Ⅳ-1> 대학생 학습일지 양식(초안) ········································································· 153

- x -
<표 Ⅳ-2> 학습일지 양식(최종) ······················································································ 154
<표 Ⅳ-3> 학습일지 작성 참가자 표집 ·········································································· 155
<표 Ⅳ-4> 학습일지 대상 학생 표집 현황 ···································································· 156
<표 Ⅳ-5> 대학생 학습일지 활동영역 및 세부기술내용 ·············································· 158
<표 Ⅴ-1> 주요국의 학습과정에 관한 조사도구 개요 ················································· 223
<표 Ⅴ-2> 도서관 이용 빈도 ·························································································· 226
<표 Ⅴ-3> 도서관 이용목적 ···························································································· 227
<표 Ⅴ-4>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 227
<표 Ⅴ-5> 글쓰기 태도 ··································································································· 228
<표 Ⅴ-6> 읽기・쓰기 분량 ······························································································ 228
<표 Ⅴ-7> 다양한 배경의 학생 간 교류 ······································································· 229
<표 Ⅴ-8> 각종 주제별 대화 경험 ················································································· 229
<표 Ⅴ-9> 예술, 스포츠 및 자기계발 활동 ·································································· 230
<표 Ⅴ-10>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 230
<표 Ⅴ-11> 학습 스터디 및 자기계발 활동 ··································································· 231
<표 Ⅴ-12> 대외 경험 ····································································································· 232
<표 Ⅴ-13> 음주 경험 ····································································································· 232
<표 Ⅴ-14> 질의에 대한 응답, 질문, 발표 ··································································· 233
<표 Ⅴ-15> 동료들과의 협동을 통한 수업과제 수행 ··················································· 233
<표 Ⅴ-16> 수업내용의 연계, 종합, 대안모색, 응용 ·················································· 234
<표 Ⅴ-17> 타인에게 학습내용을 설명 ········································································· 234
<표 Ⅴ-18> 수업참여의 성실성 ······················································································ 235
<표 Ⅴ-19> 시험 및 과제 분량 ······················································································ 236
<표 Ⅴ-20> 교수와의 상호작용 ······················································································ 236
<표 Ⅴ-21>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 237
<표 Ⅴ-22> 수업의 전반적인 질에 대한 만족도(전공) ················································ 238
<표 Ⅴ-23> 수업의 전반적인 질에 대한 만족도(교양) ················································ 239
<표 Ⅴ-24> 학습 성과 ····································································································· 240
<표 Ⅴ-25> 2차년도 조사도구 문항 선정 ····································································· 242

- xi -



[그림 Ⅱ-1] 대학교육체제에서의 학습과정(learning process) ···································· 26


[그림 Ⅱ-2] 학습과정의 구성 요소 ·················································································· 27
[그림 Ⅱ-3] Moors(1979)의 강의실 환경 영향 요인 모형 ············································ 38
[그림 Ⅲ-1] 나이 ················································································································ 72
[그림 Ⅲ-2] 학년 ················································································································ 73
[그림 Ⅲ-3] 성별 ················································································································ 73
[그림 Ⅲ-4] 계열 ················································································································ 76
[그림 Ⅲ-5] 군 경력 ·········································································································· 76
[그림 Ⅲ-6] 진로계획 ········································································································ 77
[그림 Ⅲ-7] 평균학점 ········································································································ 78
[그림 Ⅲ-8] 통학시간 ········································································································ 79
[그림 Ⅲ-9] 거주형태 ········································································································ 79
[그림 Ⅲ-10] 직업 활동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 ······························································ 80
[그림 Ⅲ-11] 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 ········································································ 81
[그림 Ⅳ-1] 학습일지 작성 검사의 개발 과정 ······························································ 149
[그림 Ⅴ-1] 한국대학생 학습과정 실태분석 조사도구 개발 과정 ······························· 221
[그림 Ⅴ-2] 한국 대학생 학습에 있어 좋은 학습의 모형 ··········································· 224

- xii -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4. 연구의 제한점
Ⅰ. 서 론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90년대 이후 한국 고등교육의 양적 성장은 세계를 놀라게 할 정도이다. 교육통


계연보(한국교육개발원, 2010)에 따르면, 1990년에 전문대와 4년제 대학의 수는
265개에 불과했지만, 2010년 현재 고등교육기관의 수는 400개를 넘고 있다. 고등교
육기관의 가파른 양적 성장과 함께 한국의 대학 진학률은 83.8%(2009년)로 한국 사
회를 고학력 사회로 이끌었으며, 이러한 성과는 세계에서도 매우 높은 수준에 해당
된다.
이처럼 한국고등교육은 양적으로 급속한 성장을 보이며 대학교육의 대중화를 정착
시켰지만, 질적인 수준에 관한 고찰은 매우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고등교육
전문가들은 질적인 고려 없이 양적으로만 성장하고 있는 한국의 고등교육상황에 많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그 한 예로,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의 2009년 세계경영연보(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에서 한국대학의 경쟁력은 조사대상 57개 중 53위로 최하위 수준에 머물렀
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양적 팽창에 집중된 한국 고등교육이 질적 성장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함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일 것이다.
고등교육 질적 제고의 노력은 우리 사회가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하면서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는 창의적인 지식의 창출과 활용이
중요하며, 대학은 이러한 지식자본을 소유한 인력을 배출하는 핵심 센터이기 때문
이다. 이러한 새로운 시대의 도래와 함께, 각국의 대학교육력은 국가경쟁력을 좌우
하는 핵심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오늘날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대학교육 평가를
통하여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개혁사업에 주력하고 있다(박정수 외, 2009; 유현

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숙 외 1996, 2005, 2006; 최정윤 외, 2007, 2008).


대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학생과 교수의 질을 높이고, 충분한 재정지원
및 교육여건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보다도 더 중요한
사항은 대학교육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 질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즉 대학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교수-학
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생들이 어떠한 교육・학습경험을 하고 졸업하는지, 학습
량은 적절한지, 학생들의 학습활동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
고 학생들은 학습활동에 대하여 어느 정도나 만족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분석이 선
결되어야 한다. 이에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습과정 분석을 통해 고등교육의 질적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가 필
요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대학의 학생들이 체감하고 있는 교육의 질과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들
이 평가하는 교육의 질 간에는 큰 격차가 존재할 수 있다. 실제로 대학은 매년 질적
인 측면에서 우수한 교육을 학생에게 제공하고 있다고 자체 평가할 수 있지만, 수요
자의 입장인 학생으로서는 상반된 평가결과를 보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은
학생들이 실제로 어떻게 학습하고 있고 그들이 얼마나 수업에 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블랙박스로 남아있던
고등교육의 학습과정에 관한 세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대학은 교육과정을 평가하거나 교육과정 개편을 계획할 수 있으며, 다양
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들은 대학교육의 책무성 강화로 귀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학습과정의 특
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현재 고등교육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연구과제 중 한 가지라
고 생각된다.
둘째, 대학의 투명성과 책무성 제고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정보공시제
(www.academyinfo.go.kr)를 운영하고 있다. 각 대학들은 대학정보공시를 통해 다
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정보공시에 사용되는 지표는 학생 및 교원
현황, 예・결산 정보 등과 같은 교육 여건 지표와 취업률이나 전임교원의 연구실적과
같은 산출지표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이 어떠한 학습활동에

4
Ⅰ. 서 론

참여하며 어떻게 학습해나가고 있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서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정보가 대학정보공시제
를 통해 공개된다면, 수요자인 학부모와 학생들의 학교선택에 매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의 자율적 역량 강화와 학부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해
교육역량강화사업을 2008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막대한 교육예산을 포뮬러 펀딩에
의해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을 선별하여 지원하고 있지만, 그러한 재정지원정책
이 대학교육 현장에 어떠한 변화를 이끌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결과가 부족한 상황
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될 학습과정에 관한 조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다양
한 고등교육지원정책들이 교육현장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 근거
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주요 국가들은 이미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학습과정 특성에 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재학생 및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질 관리 정책에 반영하고 있고 있다. 그러한 예는 미국
의 NSSE(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영국의 NSS(National
Student Survey), 호주의 CEQ(Course Experience Questionnaire)가 해당되며,
해당 국가들은 연구과제를 통해 지속적으로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며 정책결정의 근
거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사례에 비해 학습과정에 관한 연
구의 중요성 인식이 부족했으며, 관련된 검사의 개발과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
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되는 검사는 한국의 학습과정 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수
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한국의 학습과정 특성과 외국의 사례
간의 비교 분석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
째, 대학에서의 교수-학습 활동, 학습 참여도, 교육만족도, 학습활동에 대한 평가
현황 등을 포함하는 학습경험 분석에 적합한 검사를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대학생의 학습과정 특성과 현황을 파악한다. 셋
째, 앞서 도출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대학의 교수학습 과정 개선을 통하여 대학교
육의 질적 수준이 제고되고, 그 결과 대학교육의 성과가 좋아질 수 있는 정책적 지

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원 방안을 대학 차원, 정부 차원 등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


과는 기존에 강조된 ‘투입-산출’ 중심의 대학 평가에서 ‘과정-성과’ 중심의 대학 평
가에로 관점의 전환을 이끌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한국 고등교육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성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정책결정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 내용

가.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모두 3차년도에 걸쳐 진행될 것이다. 1차년도에는 대학생 학습과정 조


사도구 개발에 중점을 두고자 하여, 도구개발에 필요한 학습과정 모델에 대한 제반
검토 작업과 타당화 작업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도구의 주요
영역을 결정하고, 개별 문항을 개발하며, 개발초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의 검토,
대학 현장과의 협력 등이 실시되었다.
2차년도인 2011년에는 타당도 및 신뢰도 확보과정을 마친 조사도구를 이용하여
본격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분석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요소별 특징, 교수・학습 간의 인식 차, 대학유형별 학습전
략의 차이 등과 같은 실태가 규명될 것이고, 대학 학습과정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
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학습과정을 학습 성과 제고로 이끌 수 있는 정책적 지원
방안을 대학 및 정부 차원에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3차년도에는 지금까지 개발된 조사도구로 전체 대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즉 2차년도까지 개발된 검사도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대학에서의 실질적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각 대학의 관계자들은 대학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과 정책을 제시하지만, 객관적인 근거(자료)에 의한 의사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개별대학의 장점과 단점
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결과는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결

6
Ⅰ. 서 론

정에 중요한 근거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검사의 결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


고 있는 우수 대학 사례를 분석하여 다른 대학들이 쉽게 벤치마킹(Benchmarking)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과부에서 제공되고 있는 지원
사업에 대한 효과성 평가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실시할 것
이다.

<표Ⅰ-1> 연차별 주요 연구 내용 및 과제

년도 주요 연구 내용 및 과제
∘ 대학생의 학습과정의 개념 및 구성요소 설정
∘ 한국판 학습과정 조사 도구의 개발
- 설문조사
1차년도 - 학습일지 작성
(2010년) ∘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실태 분석
∘ 학습일지 작성을 통한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 및 분석
∘ 2차년도 도구개발 전략 탐색
∘ 정책 제안 도출
∘ 한국판 학습과정 조사 도구의 개발
- 설문조사
- 학습일지 작성
- 심층 면담
2차년도 ∘ 표준화된 학생설문조사의 전국적 실시
(2011년) ∘ 조사결과의 분석틀 제시 및 분석
∘ 대학생 학습과정 워크숍 실시
∘ 학습과정 요소별, 대학유형별, 전공별 학습실태 차이 분석
∘ 효과적인 학습과정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모색
∘ 정책 제안 도출
∘ 대학생 설문조사 전국적 실시
∘ 학습과정 조사 결과를 활용한 개별대학의 정책적 활용방안 탐색
(Data based decision making)
3차년도
∘ 학습과정 조사 결과의 활용에 관한 우수대학 사례 분석
(2012년)
∘ 대학자체평가시 결과의 활용방안 제시
∘ 교과부의 재정적 지원사업(대학역량강화사업, ACE 사업)에 관한
효과성 평가 방안

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나.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4년제 일반대학교 학생들과 교육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2009년 현재 4년제 일반대학은 177개교로 학생 수는 총 1,984,043명에 달하며, 교
육대학은 10개교로 총 22,879명의 학생들이 재적하고 있다.
이들 고등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습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학습과정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
초하여 대학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은 크게 1) 대학생의 학습과정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한 규정, 2) 대학
생 학습과정 실태조사 도구의 개발, 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실태 분석, 4) 학습
일지 작성을 통한 학습과정 조사 및 분석, 5) 2차년도 도구개발을 위한 전략 개발,
6) 정책적 시사점 등이다. 연구 영역별 세부연구내용 및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학습과정의 개념과 구성요소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를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학습과정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정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학습과정의 개념을 규정하고 그 구
성요소를 검토할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 정의내린 학습과정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학습과정 실태조사 및 학습일지 작성을 실시하였다.

2) 대학생의 학습과정 실태조사 도구의 개발

연구진들은 전국 대학생의 평균적인 학습과정 실태조사를 위해 학습과정 조사도


구를 개발하였다. 학습과정 조사도구의 문항개발을 위해 국내사례와 해외사례를 조
사・분석하였으며 현재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파일럿 검사를 하여 최종조
사지를 완성하였다. 조사문항은 학생들의 배경변인, 대학에서의 교수-학습 활동,
학습 참여도, 학습 참여모습, 교육 만족도, 교육성과 등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조
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8
Ⅰ. 서 론

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실태 분석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습과정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교


와 학습에 대한 인식과 태도, 학습의 실제 모습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학
습과정의 특징을 도출하고 한국 대학생 학습의 장애요인 및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4) 학습일지 작성을 통한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 및 분석

양적 연구인 대학생 학습과정 설문조사를 보완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실시


하였다. 소수의 대학생으로 하여금 2주간 학습일지를 써 보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
하였다. 설문조사에는 드러나지 않는 강의 시간, 자율학습 시, 자기계발 활동 시의
생각과 느낌, 기타 활동영역에서의 생각과 느낌 등이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 학생
들의 주관적인 인식을 분석하였다.

5) 2차년도 도구개발을 위한 전략 개발

대학생 학습과정 실태조사를 실시한 후 조사결과에 대해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학습과정과 학습 성과와의 관계성 탐색을 실시한다. 이러한 양적 분석결
과와 학습일지 분석을 통한 질적 분석 결과를 통합하여 1차년도 조사도구의 문제점
분석 및 2차년도 조사도구 개발을 위한 수정・보완사항 도출 및 전략을 탐색한다.

6) 정책적 시사점

설문조사와 학습일지를 통해 분석한 한국 대학생들의 학습과정 분석 결과를 토대


로 학습의 저해요인을 규명하고 바람직한 학습경험을 제시하였다. 바람직한 학습경
험을 위해 정부와 대학에 개선방안과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Ⅰ-2> 연구영역 별 내용 및 방법

연구 영역 세부 연구내용 연구방법
대학생 학습과정의 - 학습과정의 개념 규정
- 문헌분석
개념과 구성요소 - 학습과정의 구성 요소

좋은 학습과정 - 대학 단계 학습의 특징 - 문헌분석


- 효과적인 학습모델의 요소 및 그 평가 - 해외사례 분석
모델의 검토
- 대학 유형 또는 수준, 전공특성 등에 따 - 설문조사
및 한국화 른 학습의 차이 - 전문가협의회
- 학습과정 조사도구의 문항개발: 대학에
대학생 학습과정 - 문헌분석
서의 교수-학습 활동, 학습 참여도, 교
- 해외사례분석
조사 도구 육 만족도 등
- 전문가협의회
개발 및 조사 - 학습과정 조사도구의 타당화
- pilot 테스트 및 본조사
- 학습과정 조사 및 결과 분석
- 학습실태에 대한 인식차(gap) 분석 : 교
- 문헌분석
수대 학생 중심으로
한국 대학생의 - 표준화 조사 결과 분석
-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의 특징
학습 실태 분석 - 설문조사
- 한국 대학생 학습의 장애요인 및 해결방안
- 면담 조사
- 학습지원 실태 및 문제점, 개선방안 분석
- 타당도 검증
2차년도 - 신뢰도 분석
- 요인분석
- 학습과정과 성과와의 관계성 탐색
도구개발을 - 신뢰도 분석
- 학습일지 조사결과 시사점 도출
위한 전략 개발 - 회귀분석
- 조사도구 수정・보완사항 도출
- 2차년도 조사도구 개발을 위한 전략 개발
- 학습 촉진 및 저해요인 규명 - 전문가협의회
정책적 시사점
- 정책적 지원 방안 : 대학, 정부 - 자문회의

다. 연구의 시사점

학습과정 실태조사 도구의 개발과정은 다른 한편 좋은 학습과정 모델에 대한 검


토 및 한국화 과정이기도 하다. 조사도구는 단순히 학습과정의 실태에 관한 자료의
수집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한국 대학생의 학습 실태에 대한 진단의 의미를 가
질 수 있고, 나아가 대학공시정보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대학의 학습과정을 이끌
수 있는 이상적인 학습과정 모델 탐색을 필요로 한다.

10
Ⅰ. 서 론

3. 연구 방법

본 연구가 최종적으로 도출하고자 하는 것은 한국 대학의 학습과정을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조사도구이다.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 즉 한국판 NSSE(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회성 조사에
그치지 않고 조사결과가 지속적으로, 전국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조사도구가 타
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과제는 3개년 과제로
설정되었고, 1차 년도는 조사 설계 및 파일럿 조사를 포함한 예비조사의 단계, 2차
년도는 조사도구의 표준화 단계, 3차 년도는 조사도구 활용 및 교수・학습지원체제
구축 방안 단계로 진행될 예정이다.
연구를 추진함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귀납적・순환적 접근방법을 채택하고자 한
다. 귀납적・순환적 접근방법은 연역적 접근방법과 달리 대학생 학습과정의 실태 및
현황에 대한 분석결과를 강조한다. 조사도구의 개발을 위해서 학습 및 교수 이론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기는 하지만 이론적 검토 못지않게 한국 대
학교육의 현실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에 대한 검토 또한 중요하다. 기존의 설문조사
도구의 개발이 이론적 검토를 통한 모델 개발, 조사 설계 등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
연구에서는 한국적 대학교육 및 학습의 실태에 중점을 두고서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자 한다. 실태조사 결과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귀납적’이라 할 수 있고, 이론적
검토 - 조사설계 및 조사도구 개발 - 실태조사결과분석 - 조사도구의 정비 및 표
준화라고 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순환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에 의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이론적 검토 등을 거쳐 조사
도구를 1차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
고 한국 대학생의 학습 실태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조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확
보 및 강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실태 현황 파악과
함께 전국 대학생이 직접 작성한 학습일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 또한 조사도구의 타
당성 및 신뢰성 확보의 수단으로 삼고자 한다. 대학생의 학습실태에 대한 양적, 질
적 분석 결과는 한편으로는 조사도구의 순환적 개발을 위한 주요 자료로서의 가치
를 가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대학생의 학습 과정이 갖는 특징과 문제점 등을

1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잘 보여줌으로써 대학교육 및 학습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지원체제 구축 및 정책


마련을 위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이와 같은 접근방법에 의해 아래와 같은 구체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한국 대학생
의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 연구가 진행될 것이고, 서술의 순서 또한 다른 연구와 다
르게 조사설계 및 조사도구 개발, 실태분석 1(설문조사결과), 실태분석 2(학습일지
분석결과), 조사도구의 타당화 및 신뢰성 검토, 조사도구의 표준화 전략 등의 순으
로 이루어질 것이다.

가. 선행연구 분석

대학생의 학습과정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규정하는 것은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 이


를 위해서는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개념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대학생의 학습과정
에 대한 문헌 연구는 물론이고 국내외 사례에 대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대학교육의 질(성과) 관리, 교수 학습 이론 및 경험적 연구, 대학(고등교육) 단
계 학습의 특질에 관한 연구, 좋은 학습과정 모델에 대한 문헌, 대학생 학습과정 조
사도구 개발 관련 문헌 및 관련 홈페이지 자료 등 이론적・실증적 연구 문헌을 두루
분석하였다. 조사도구의 개발을 위해서 대학 단계에서의 학습이 가지는 의미와 목
적, 특질 등에 대한 개념 및 이론 전개에 대해 분석하였고, 나아가 대학학습의 이상
형, 이념형에 대한 연구문헌 분석 또한 실시하였다.
한편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측정 및 평가를 선도하고 있는 국가들에 대한 사
례분석도 실시하였다. 대표적으로 미국, 영국, 호주 등 이들 나라의 학습과정 조사
에 대한 문헌을 집중적으로 수집・분석하며, 홈페이지에 대한 상세한 분석도 포함하
였다. 관련 홈페이지에는 조사도구의 개발 및 조사과정, 조사결과의 활용 등에 대한
다수의 보고서가 탑재되어 있다.

나. 전문가협의회

조사도구의 개발과 조사, 조사결과의 분석을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검토와 식견이

12
Ⅰ. 서 론

필요하다. 따라서 국내외 전문가들을 섭외하여 자문 및 검토위원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조사도구의 타당성, 조사결과 분석의 타당성 등을 확보하였다. 또 대학
에서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전문가들의 식견이 중요한 타당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협의회 및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다. 설문조사

대학생들의 학습경험 조사를 위한 분석도구 개발을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


문지 조사를 대대적으로 실시하였다. 1차년도에는 조사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2차년도에 본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조사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1) 대학생 설문조사

가) 조사 목적
한국 대학생들이 재학 중 경험하는 교과 및 비교과적 활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학
습과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그 분석결과를 2차년도에 실시할 본 조사의 문항을
개발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나) 조사도구
조사도구는 대학생 학습과정의 분석 및 평가를 이미 시도하고 있는 미국, 영국, 호
주 등이 자국의 학생들의 학습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 개발한 조사지, 즉 NSSE,
NSS, CEQ 등을 분석 및 분류한 후, 한국적 교육상황을 적극 반영하여 대폭적으로
수정・보완하였다. 조사지는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조사항목 및 내용에 대해 그 타당
성을 검토 받았고, 수정・보완된 설문지를 대학생 30명에게 시험적으로 실시한 결과
를 바탕으로 다시 타당한 의견들을 반영함으로써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본 예비조사에서는 학습활동에 대한 질문을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응답자의 개인
배경을 다양하게 묻고 있는데, 나이, 성별, 학년, 계열, 입학유형 뿐만 아니라 대학

1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의 국제화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증가한 점을 고려하여 국적에 따른 학습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국적도 배경변인에 포함하였다. 또한 학업성과와 학습경험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학점과 공부시간을, 거주형태와 통학시간에 따른 학습경험을 살펴보
기 위해 거주형태와 통학시간 등을 배경변인에 포함시킨 점이 특징이라 하겠다.
조사지는 배경변인을 제외하고 크게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을 교과(수업 중 학습활
동), 비교과경험(수업 외 학습활동), 수업만족도, 인적 상호관계, 학습 성과, 시설
및 서비스 등 총 6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응답자의 응답기준 시기는 일률적으로
2009년 2학기를 기준으로 삼았다.
먼저 수업 외 학습활동에 관한 질문에는 도서관 활용, 도서관 이용 목적,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글쓰기 태도, 읽기・쓰기 분량, 다양한 배경의 학생 간 교
류, 각종 주제별 대화 경험, 예술・스포츠 및 자기계발 활동,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학습 스터디 및 자기계발 활동, 직업 활동 및 학업에 미치는 영향, 대외 경험
등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영역인 수업 중 학습활동에서는 예습 및 관련자료 검
색, 발표와 질문 참여, 노트필기, 다른 학생과의 협력, 수업에 대한 사고력 및 융통
성, 수업태도, 수업방법 등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수업만족도 영역에서는 수업의
질, 수업자료의 적절성, 평가의 공정성, 교・강사의 설명력 등을 묻고 있고, 인적 상
호관계 영역에서는 교수와의 상호작용, 선배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 행정직원과의
상호작용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학습 성과 영역에서는 대인관
계 능력, 의사소통 능력, 정보기술 활용 능력, 종합적 사고력, 자기관리 능력, 글로
벌 역량 등의 성과에 대해 질문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학교의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영역에서는 자습 및 휴식 공간, 토의 공간, 도서관 시설, 강의실 설비,
IT 시설, 장학금 지원 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부 설문문항은 이 보고
서의 부록에 제시하였다.

다) 조사설계
조사는 2010년 6월 14일부터 7월 2일까지 3주간 제주도를 제외한 15개 시도 전국
일반 4년제 대학 50여개에서 종이 설문을 이용한 대면면접조사를 전문 조사기관에
의뢰(한국리서치)하여 실시하였다.

14
Ⅰ. 서 론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을 조사하기 위해서 고등교육법 제2조 제1호에 해당하는


4년제 일반대학 학생과 제3호에 해당하는 교육대학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한국교육개발원 2009년 대학통계의 일반 4년제 대학을 모집단 틀로 활용하였다. 조
사시간 및 비용 제한을 고려하여 설문조사 표집대학의 수를 50개교로 정하였고, 표
본크기는 2,019명으로 하였다. 조사대상 학교는 시도별 설립(국립, 공립, 사립), 재
학생 규모별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하여 선정하였다. 비례할당 및 무작위 추출과
정에 의해 재학생 수가 많은 시도의 주요 국공립대가 조사대상에서 제외된 경우, 강
제할당을 통해 주요대학이 조사대상에서 빠지지 않도록 보정하였다. 분교 및 캠퍼
스가 있는 대학의 경우는 본교만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학교별 조사대상 학생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샘플 확보를 위해 40명을 강제
할당하였다. 2009년 한국교육개발원의 4년제 대학 전공대계열 분류에 근거하여, 50
개 학교의 전공 개설여부와 비교하여 학교 및 대계열 분류별 조사표본수를 할당함
으로써 전공계열별 고르게 표본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대상 학생
은 2학년 이상으로 한정하였다. 일정기간의 대학생활을 경험한 학생이어야 자신의
수업 내외 학습경험,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 학습 성과 등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의
견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표본설계내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등교육법 제2조 제1호 및 제3호에 해당하는 전국 4년제 일반대학과


모집단
교육대학에 각각 재적된 대학생 2,006,922명(2009년 4월 1일 기준)
표본크기 50개 대학의 재학생 2,019명

표집비율 약 0.10%

라) 현장조사 및 회수
기본적으로 대학생의 학습과정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4년 동안
의 학습경험에 대해 질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조사가 될 것이겠지만, 4년이라는
장기간에 대한 기억의 불분명함과 그로 인한 조사결과의 신뢰도 감소, 학습자의 학
습태도와 학습습관에 대한 완고성, 직전 학기 수업에 대한 기억의 명료함과 그로 인
한 조사결과의 신뢰도 증가 등으로 미루어 볼 때 학습자의 가장 근자의 경험에 비추

1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어 조사를 하여도 크게 무리가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2009년 2학기 동안의 경험을


기준으로 설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한국리서치는 2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전문조사원을 선정하여 2010년 6월 11일과
13일 양일간 각 지역 관할사무소에서 조사의 목적, 개요, 설문문항 내용 및 주의사
항에 대해 약 2시간 동안 교육을 진행하였다. 실제 조사에 투입된 조사원 수는 총
36명이며 조사진행의 효율성을 위해 학교별로 2그룹, 4명씩을 투입하여 조사를 실
시하였다. 조사원은 학교 및 전공 대계열별 표본할당에 맞춰 해당 학교의 단과대학,
도서관, 학과사무실 등을 방문하여 적합한 대상자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조사는 2010년 6월 14일부터 7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설문조사 방법은 대면면
접조사였는데 대학생에 대한 조사는 조사 협조를 받을 수 있는 교육행정기관이 존
재하지 않으며 대학 내부에서도 이를 지원하는 행정부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설문지 참여도가 낮은 편이므로 원활하고 신뢰도 있는 조사를 위해 대학생을 수신
자로 하는 협조요청 공문을 설문지와 함께 배포하였다. 설문지의 회수는 조사요원
에 의해 이루어졌다. 50개 대학으로부터 총 2,019부를 배부 및 회수하였다.

마) 응답자 분포
응답자의 배경 변인 분포는 다음과 같다.

<표 Ⅰ-3> 응답자의 배경변인별 분포


변인 구분 사례 수(명) 비율(%)
전체 - 2019 100.0
수도권 729 36.1
지역
비수도권 1290 63.9
국공립 483 23.9
설립유형
사립 1536 76.1
10,000명 이상 1,289 63.9
재학생 규모 5,000~10,000명 528 26.2
5,000명 이하 202 10.0
대한민국 1992 98.7
국적 외국 23 1.1
이중국적 4 0.2

16
Ⅰ. 서 론

변인 구분 사례 수(명) 비율(%)
여성 972 48.1
성별
남성 1047 51.9
24세 이하 1498 74.2
연령
25세 이상 521 25.8
신입학 1968 97.5
입학유형
편입학 51 2.5
인문 372 18.4
사회 417 20.7
교육(사범) 182 9.0
전공대계열 공학 367 18.2
자연 266 13.2
의학 132 6.5
예체능 283 14.0
1학년 589 29.2
학년 2학년 660 32.7
(2009학년도 기준) 3학년 680 33.7
4학년 90 4.5
전일제 1992 98.7
등록형태
시간제 27 1.3
주전공만 1646 81.5
전공이수 유형 2개 이상 전공 369 18.3
무전공 4 0.2
B- 이상 1898 94
평균학점
C+ 이하 121 5.9
군 입대 이전 또는 면제 314 15.6
군 경력 군 복무를 마침 718 35.6
해당 사항 없음 987 48.9
자택 1139 56.4
거주형태 친척집/원룸/고시원 등 539 26.6
기숙사 341 16.9
59분 이하 1523 75.4
통학시간
1시간 이상 496 24.6
고등학교 졸업 이하 1005 49.8
아버지 학력 전문대학 졸업 이상 1008 49.9
모름/무응답 6 0.3
고등학교 졸업 이하 1359 67.3
어머니 학력 전문대학 졸업 이상 648 32.1
모름/무응답 12 0.6

1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바) 분석 방법
개인배경별 학습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배경변인별(지역, 설립유형, 재학생 규
모, 국적, 성별, 연령, 입학유형, 전공대계열, 학년, 등록형태, 전공이수 유형, 평균
2
학점, 군 경력, 거주형태, 통학시간,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로 빈도분석과 X 검
증을 실시하였다.

라. 통계분석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결과의 전체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2
(frequency)을 실시하였고, 배경변인별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X 검증을 실
시하였다. 그리고 학습과정과 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은 회귀분석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문항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요인분석
(factor analysis)을 실시하고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 값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통계분석은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마. 대학생 학습일지 작성

대학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이 새롭게 규정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good) 수업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대
학에서의 학습경험을 학생들의 관점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인
식하고 경험하고 있는 학습과정을 일지에 쓰도록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분
석으로 학습경험의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 비교적 간접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의 연구
를 의미한다면, 일지는 학습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생각과 언어
로 표현한 자료로서 직접적으로 미시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두 번에 걸친 예비조사를 통해 최종 학습일지를 양식을
개발하여, 계열, 지역, 학생, 성별을 고려한 30명의 대학생에게 약 2주에 걸쳐 일지
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18
Ⅰ. 서 론

바. 심층면접 및 면담

한국 대학생들의 학습과정에 대한 대부분의 중요한 자료는 개발된 조사도구를 활


용하여 수집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조사도구만으로는 수집될 수 없는 주관적 영역의
정보들이 있다. 대학생들이 매일의 학습과정에서 구사하는 학습전략이나 학습을 대
하는 독특한 태도와 가치들은 객관적 조사도구에 의해 측정될 수 없고, 심층면접 등
의 방법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교육기관유형, 계열, 남녀, 연령 등의 변인을
고려하여 면접대상자를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접을 수행하고자 한다.

4. 연구의 제한점

대학생의 학습과정을 조사하는 경우는 각 대학에서 자체적인 도구개발을 통해 이


루어지는 몇몇 사례가 있으나 대체로 외국의 조사지를 번역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있고, 자체개발 조사지는 학습과정을 포괄적으로 조사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
한 특정 학교에 재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므로 조사결과를 일반화
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 따라서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사례의 한계와 전국
적 조사 경험 부재, 관련 연구 부족 등으로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학습과정 조사도
구를 개발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대체로 미국, 영국, 호주의 사례를
참고하였는데, 외국의 조사지를 한국의 상황에 맞게 참고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
방식 차이로 인한 조사문항의 의미 차이, 교육방식의 차이로 인한 수업 내 학습과정
의 차이 등으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이
러한 제한점은 1차년도 연구 후 조사도구의 표준화 전략 개발 단계를 통해 보완될
수 있는 부분이라 판단된다.

19
이론적 배경

1. 대학생 학습과정 개념과 구성요소


2. 선행연구 분석
3.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 국내・외 사례
4. 시사점
Ⅱ. 이론적 배경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생 학습과정 개념과 구성요소

가. 대학생 학습과정의 중요성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전통적으로 구조화되지 못하고 일종의 블랙박스로 남겨져


있었다. 성인학습자로서 대학생의 학습은 더 이상 체계적인 연구대상이 될 수 없었
고, 오로지 그들의 자율적인 판단 영역으로 존재해왔다. 더욱이 대학의 교육과정이
국민보통교육단계와 다르게 대학마다 다양하게 구성되고, 교수-학습 또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개별적 판단에 의한 과정으로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형식적인 교육과정을 통해서도, 실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에서도 그다지 자세하
게 분석할 필요성이 공감되지 않았던 것이다.
최근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깊은 관련
이 있다. 지식기반 창출의 요람으로서 대학에서의 학습이 블랙박스로 남겨져 있다
는 것은 대학생의 학습이 체계화되지 못한 채 대학이 지식 생산의 전초기지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말과 동일시된다. 대학에 들어와서 학생들이 어떤
내용의 수업을 받고, 그에 따른 학습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이해는 지식기반
창출자 혹은 지식 활용자로서 대학생들을 준비시키는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건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생의 학습과정이 구조적으로 분석되지 못하고 베일에
싸여 있는 현실은 지식기반 경제에 많은 비용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저마다 개별
화・특수화되어 있는 대학생의 학습과정 때문에 사회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기술의
습득이 대학에서 불가능하게 되고, 그러한 지식을 습득하는 전이과정의 부재로 정
부・사회에서 부담하게 되는 교육・훈련비용은 상상을 초월하게 된다. OECD의 대학

2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생 학습과정에 대한 이해 촉구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관심은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과도 관련이 있다. 즉, 대
학생들이 비싼 등록금을 지불하고 그에 상응하는 교육과 학습을 하고 있는지에 대
해 대학은 공공에 자세하게 보고할 의무가 있다. 대학에서는 교수 활동이 단지 대학
교수의 자율적인 판단영역으로 간주되고, 학생들의 학습마저 그들이 알아서 진행하
는 오늘날 대학에서의 교수-학습은 교육적인 차원에서는 물론 서비스 제공을 한 축
으로 하는 대학의 기능과도 부합되지 않는다. 대학은 당연히 학생들을 어떤 교육과
정으로 가르치고 있으며 어떠한 교수-학습을 통해 어떻게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지
교육 수요자들에게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구
체적으로 학생이 교육받고 학습한 결과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치밀한 연구를 통해
구조적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나. 학습과정의 개념 정의

학습과정(learning process)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즉, 학습


참여(student engagement), 교육과정(curriculum), 학습경험(learning experience)
등 다양한 용어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학습참여는 학습과정에서 특히 학생의 능
동적 참여가 성공적 학습의 중요한 요소라고 보는 관점이 반영된 개념으로 볼 수 있
고, 학습경험은 학생의 주관적 측면을 강조하는 이론적 경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학습과정은 다소 중립적 용어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관점을 취하기보다는 대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를 검토하고
이를 측정・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며 나아가 측정・평가된 결과에 대한 분석
을 통해 한국 대학생의 학습 실태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 연구
에서 사용되는 학습과정의 개념은 학생의 주관적 측면과 학습의 객관적 조건, 학생
의 능동적 참여와 함께 대학의 학습지원 활동 등의 요소 또한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다루고자 한다.
우선 학습과정은 주어진 교육여건 속에서 학생이 지적으로 그리고 인성적으로 성
장하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로 양성되어 가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 과

24
Ⅱ. 이론적 배경

정에서 학생이 무엇을 어떻게 학습하는지,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어떠한
지원체제가 마련되어 있는지가 주요 분석대상이 된다.
학습과정의 개념은 기존의 ‘교육과정’ 또는 ‘교과과정’의 개념과도 차이가 있다.
교육과정이 공급자의 관점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라면,
학습과정은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관점”에서 계획된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학생에
게 받아들여져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지식과 능력을 신장해 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
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학생의 학습과정은 교수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에
‘교수-학습과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는 것은 여기에 기인한다.
학습과정은 또한 ‘수업’과도 차이가 있다. 수업은 좁은 의미의 학습과정이다. 학습
은 수업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수업이 곧 학습과정은 아니
지만, 수업이 학습의 핵심적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학습과정은 수업을 포함한 학습
자의 다양한 학습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수업 준
비 및 과제 수행을 위한 학습자의 학습활동은 물론 수업 이외의 자기계발을 위한 학
습활동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을 중심으로 하되 대학생의 다양한 학습활동이 진행되는 과정
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크게 교과활동(수업 중 학습경험)과 비
교과활동(수업 외 학습경험)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교과활동은 다시 수업준비활동,
과제수행활동, 수업에의 참여, 시험 및 평가활동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교과활
동은 학습동아리, 기타 자기계발 활동, 독서활동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학생의
수업을 지원하는 활동 또한 학습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영역이다. 이러한 교과
활동과 비교과활동이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대상이 된다.

2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다. 학습과정의 구성요소 및 개념도

[그림 Ⅱ-1] 대학교육체제에서의 학습과정(learning process)

본 연구가 분석하고자 하는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기 보다


는 학습과정의 성과 또는 산출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좋은 학
습 성과는 좋은 또는 효과적인 학습(과정)을 전제로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
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은 학습 성과와의 관련성, 즉 학습과정이 학습 성과에 얼마나
효과적인가에 대한 분석을 포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의 학습과정은 체제적 관점
에서 대학 교육에서 자원의 투입(input), 산출(output)로서 교육 및 학습 성과와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과정(process) 요인으로서 작용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그림으로
표현하면 위의 [그림 II-1]과 같다.
그동안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대학평가 또는 대학연구에서 연구자의 관심 부족과
마땅한 자료의 부재로 인해 언제나 블랙박스로 다루어져 왔다. 학습과정은 아래와

26
Ⅱ. 이론적 배경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학생의 학습과정


이 수업 중 활동과 수업 외 활동으로 구분된다고 할 때 각 활동의 세부적인 구성요
소별로 이루어진 학습과정의 전모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의 [그림 II-2]와 같다.

[그림 Ⅱ-2] 학습과정의 구성 요소

구체적으로 수업 중 활동에는 수업준비, 수업참여, 수업 추수활동으로서 평가・시


험과 과제 수행이 포함된다. 그리고 수업 외 활동에는 일부 과제수행 활동과 독서,
학습동아리 활동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교육 활동은 부분적으로 자율학
습활동에 포함된다.

2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2. 선행연구 분석

가. 좋은 수업에 관한 연구

교수(teaching)의 질은 학생의 학습 성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좋은 수업


(good teaching /effective teaching)은 학생이 수준 높은 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Ramsden, 2003). 대학단위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및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Delaney 등(2008)은 「Students' perceptions of effectiv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라는 연구에서 대학생의 관점에서 본 효과적인 수업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개방형(open-ended)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대학 내의 수업과 원
격수업을 구분하여 효과적인 수업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대학 내의
수업에 적용되는 효과적인 수업 특징은 대부분 원격수업에도 적용되고 있다고 보았
다. 이들이 밝힌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가장 중요한 효과적인 수업의 특징은 학생에 대
한 존중(respectful), 전문적 지식(knowledgeable), 학생과의 친밀성(approachable),
적극적 참여(engaging), 개방적 의사소통(communicative), 조직화된 수업활동
(organized), 반응성(responsive), 전문성(professional), 그리고 유머감각(humorous)
등이었다. 학생에 대한 존중은 학생의 개인적・교육적 특성들로 공정성, 이해, 융통
성, 인내성, 진실성, 친절, 일관성, 겸손 등을 일컫는다. 전문적 지식은 융통성 있으
며, 절충적(eclectic)・현재적・실천적 지식을 말한다. 학생과의 친밀성은 친근감 있
고, 개인적이며, 협조적이고, 만나기 쉬우며, 긍정적인 것을 포함하고 있다. 적극적
참여는 열성적이고 재미있으며, 동기유발적, 창의적, 상호작용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개방적 의사소통은 명료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주의 깊고, 건설적이
며, 잘 경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직화된 수업활동은 효율적이고 수업의 초점이 잘
맞추어져 있고, 잘 준비된 수업을 말한다. 반응성은 학생의 언어와 작문활동에 대한
교수의 반응과 개별 학생의 요구에 대한 교수의 인식정도 등에 대한 것으로 이용가
능하고 협조적이며, 효율적이며, 통찰력 있는(perceptive), 그리고 학생의 편의를
도모하는 행위를 말한다. 전문성은 헌신적이고, 정확하며(규칙을 준수하며), 의지할

28
Ⅱ. 이론적 배경

수 있고, 효과 있는 그리고 자신감 있는 것을 말한다. 끝으로 유머는 즐겁고 긍정적


인 유머감각을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Delaney 등에 따르면 대학생이 인식하는 효과적 수업은 학내 수업의 경우 존중
감, 전문적 지식의 소유, 학생과의 친밀성, 적극적 참여, 개방적 의사소통, 그리고
조직화된 수업활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원격수업의 경우는 존중감, 반응
성, 전문적 지식의 소유, 학생과의 친밀성, 개방적 의사소통, 그리고 조직화된 수업
활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Parpala & Lindblom-Ylänne(2007)은 「University teachers' conceptions of
good teaching in the units of high-quality education」 연구에서 우수분야에 선
정된 교수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교수들이 생각하는 좋은(이상적인) 수업
과 그들이 실제 수업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징을 도출하고,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
였다. 그들은 좋은 수업이 갖고 있는 10가지 특징을 도출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생과 교수, 그리고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학생들이 토의 및 토론을 통하여 다 같이 지식이 구성되도록(건설적으로 형성되도
록) 강조하였다. 둘째, 학과목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 촉진하도록 수업은 거시적 맥
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즉, 교수는 자신의 수업과 다른 교수의 수업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학생이 자신을 능력을 개발하는데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강조하고 있다. 셋째, 강의방법의 다양화이다. 강의, 그룹프로젝트, 연습 등
다양한 교수방법 사용을 강조하고 있다. 넷째, 강의 맥락에 관한 것으로 강의의 목
적이 학생의 학습에 두어진다. 즉, 수업은 학생이 기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해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다섯째, 교수의 역할은 학생에게 영
감을 불어넣어주는 것이다. 즉, 교수는 학생들이 더 많이 배울 수 있도록 동기를 부
여하는 것이다. 여섯째, 학생들이 자신의 영역에서 전문가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수업에서 특히 중요하게 강조한다. 강의는 전공영역에 있어서 현재적이고 정
확한 정보에 기반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일곱째, 학생의 역할에 관한
것으로 학생은 학습에 대해 동기를 부여 받아야 함을 강조한다. 비록 교수들은 전공
과목들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이 동기를 부여받는 하나의 이상적 수업상황에
대해 논쟁하고 있지만 말이다. 여덟째, 교수들은 학습과정에 있어서 학생들의 능동

2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적 역할을 강조하고, 학생들의 선행 지식과 경험이 학습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아홉째, 교수들은 학생들이 수업 중 질문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학습 분위기를 강조하고 있다. 또 학생들은 자신들이 동등하게 취급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교수들은 물리
적 환경이 강의를 지원하도록 되어 있어야 함을 강조한다.
「First year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good teaching」라는
연구에서 Zimitat(2006)은 신입생 조사지(National First Year Experience
Survey)를 사용하여 대학 1학년생들이 일반적으로 규정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
해 분석하였다. Zimitat는 좋은 수업에 대한 일반적인 특징 11개를 규정하고 이에
대해 가장 중요한 특징 4가지를 추출하였다. 대학 1학년생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은 교・강사가 어떤 내용을 설명하는데 능력을 보이는 것, 대부분의
교・강사가 필요할 때 이용・접근 가능한 것, 학생의 학업 진행에 대해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주는 것, 그리고 교・강사가 자신들이 가르치는 수업에 대해 열정적인 것
등을 들었다. 이 연구의 특징은 성별, 나이, 전공, 성적, 출신국가, 모국어 등에 따
라 좋은 수업에 대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힌데 있다.
Reid & Johnston(1999)은 「Improving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Student
and teacher perspectives」에서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교수
와 학생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교수와 학생에
대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좋은 수업이 갖추어야 하는 6가지 특징을 도출하
였다. 이들이 밝힌 좋은 수업의 특징은 학생과의 친밀성(approachability), 명료성
(clarity), 깊이(depth), 상호작용(interaction), 흥미(interest), 조직성(organization)
등이다. 친밀성은 친절하고 학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지 아니면 도움이 필요할 때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없는지에 대한 것이다. 명료성은 적절한 설명으로 수업이 따라
가기 쉬운지에 대한 것이고, 깊이는 교수가 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갖고 있
는지 아니면 피상적 수준의 지식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상호작용은 수업 중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어 역동적인 수업 환경을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흥미성
은 다양한 수업보조제를 사용하여 수업을 재미있게 하는 것이고, 조직성은 잘 조직
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30
Ⅱ. 이론적 배경

이러한 6가지의 좋은 수업에 대한 특징은 교수와 학생에 따라 그 중요도에서는 다


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교수는 흥미, 깊이, 명료성, 조직성, 상호작용, 그리고
친밀성 순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를 제시한데 반하여, 학생은 명료성, 흥미, 깊
이, 조직성, 친밀성, 그리고 상호작용 순으로 좋은 수업이 갖추어야 할 요소로 생각
하고 있다.
Wilson & Cameron(1996)은 「Student teacher perceptions of effective teaching:
A developmental perspective」라는 연구에서 교사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3주간의 실습기간동안 매일 일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학생들
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들은 수업/강의(instruction), 학급
운영(management), 교사-학생 관계(relationships)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 좋은 수
업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학생들이 생각하는 강의에 있어서 효과적 수업은 모든 수준을 학생의 요구를 맞
추는 것과 격려/칭찬/보상 등을 들었고, 학급운영에 있어서 좋은 수업은 명료성
(assertiveness), 권위성, 통제성에 대한 요구, 그리고 효과적인 준비를 들었다. 마
지막으로 교수-학생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학생에 대한 친절, 학생에 대한 열정과
긍정적 인식, 존중, 격려와 지원, 학생에 대한 이해 등을 꼽았다. 이러한 좋은 수업
에 대한 특징들은 학년에 따라 그 중요성이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eldman(1988)은 「Effective college teaching from the students’ and faculty’s
view」라는 연구에서 효과적 수업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생
과 교수가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Feldman은 기존 연구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22개의 특징을 바탕으로 학생과 교수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징에 대해 순위를 정하였다. 학생의 입장에서 좋은 수업은 학급수준이나 진행
에 대한 교사의 예민성 또는 염려, 수업에 대한 교사의 준비성 및 조직성, 전공
에 대한 교사의 지식, 수업에서나 전공과목에 대한 교사의 흥미 유도, 수업이나
전공과목에 대한 교사의 열성, 수업의 명료성과 이해가능성, 교사에 대한 접근용
이성과 교사의 협조, 그리고 교사의 친밀성과 학생에 대한 존중 등이었다. 교수
의 입장에서는 전공에 대한 교사의 지식, 수업이나 전공과목에 대한 교사의 열
성, 학급수준이나 진행에 대한 교사의 예민성 또는 염려, 수업에 대한 교사의 준

3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비성 및 조직성, 수업의 명료성과 이해가능성 등을 좋은 수업의 특징으로 보았


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학생과 교수가 제시한 좋은 수업의 특징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ickering & Gamson(1987)은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좋은 교수-학습을 제공
하기 위한 7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들이 제안한 대학교육을 위한 좋은 학습경험
제공 방안은 교수학생 간의 상호작용, 학생들 간의 협력, 능동적 학습 등을 격려하
고, 적절한 피드백을 주고, 과제에 대한 시간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학생에 대
한 기대수준을 높이고, 다양한 재능과 학습방법을 존중하는 것이다. 각각에 대해 구
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실 안팎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잦은
상호작용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
이다. 특히 학생들은 교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적 자극을 받고 또 스스로의
가치나 미래 계획에 대해 생각을 하도록 격려 받는다. 이를 위해 대학은 중요한 주
제에 대해 세미나를 하거나 중견교수들에게 수업을 맡게 하거나 교수와 학생이 만
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학생들 간에 서로 협력을 격려하는 일이
다. 학생들의 학습은 혼자보다는 하나의 팀으로 활동할 때 더 잘 이루어진다. 좋은
학습은 경쟁이나 고립이 아니라 협력과 사회적인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협력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그룹 활동을 격려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능동적 학습을 격
려하는 일이다. 학습은 단지 수업에 참여한다고 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즉 가
만히 앉아서 교수의 말을 듣거나, 미리 준비된 과제를 외우거나, 단순히 질문을 던
진다고 해서 일어나지 않는다. 좋은 학습을 위해서 학생은 반드시 수업에 적극적으
로 참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수업이 조직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즉 학생들이
연습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고, 도전적인 토의나 팀 프로젝트를 사용함으로써 능동
적 학습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넷째,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이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학업성과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이 필요로 한다. 즉 수업 중에 과제를 수행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이에 따라 개선을 위한 제언을 받을 필요가 있다. 단지
수업 중뿐만 아니라 대학생활 중 다양한 활동에서 이러한 적절한 피드백이 요구된

32
Ⅱ. 이론적 배경

다. 이를 위해 대학들은 수업 중에는 교수가 적절한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하고,


학교활동에 대해서는 상담자 등을 통하여 학생들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과제에 대한 시간관리 및 투자의 중요성을 강
조한다. 학습은 시간과 노력의 결과이다. 시간을 잘 활용하는 것이 학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시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학업에 대하여 필요한 만큼의 적절한
시간을 들이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학생에 대한 기대수준을 높이는 일이다. 기
대수준이 높을수록 더 많은 성과를 이룰 수 있다. 기대수준을 높이 갖는 것은 공부
를 잘 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게도 적용된다. 학생에 대한 기대
수준을 높임으로써 학생들이 스스로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도록 할 필요가 있다. 실
제로 저조한 입학시험성적을 가진 학생들이 대학에서 높은 학업성취를 이루는 경우
가 많이 있다. 대학들은 학부모와 고교 상담사들을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시키거나,
우수자프로그램(honors programs)을 개설함으로써 이러한 기대수준을 높일 수 있
다. 일곱째, 다양한 재능과 학습방법을 존중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서로 다른 재능
과 학습스타일을 갖고 대학에 온다. 실습에 뛰어난 학생이라 하더라도 이론에는 약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자신들의 재능을 보여줄 기회를 갖고, 자신들에게 맞는
학습방법으로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개별학위프로그램(individualized
degree programs)이나 계약학습(contract learning) 등 다양한 방법을 구상해 볼
수 있다.

나.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의 공동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재경(2006)은 「대학생들


의 학습형태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대학생
의 학습양태에 관한 전국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개별대학의 학습 실태를 파악
하여 비교분석자료로 활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향후 학습지원 사업의 효율성과 질
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주요한 연구방법은 대학생 대상 설문조사이다. 최종분석에는
동 협의회 회원교 13개 대학에서 회수한 7,946부가 사용되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3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첫째, 대학공부에 있어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대체로 대학공부가 어렵다고 느끼


고 있으며,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부분은 학습기술방법 관련한 정보부족에 관한 부
분이었다. 학생들은 수업 외 하루 평균 공부시간에 대해서는 1~3시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공부, 교양공부, 외국어공부 및 취업관련 공부에 대한 주당
평균 공부시간도 1~3시간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수업시간 이외에 주로 하는 공부
는 전공공부와 어학공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부시간을 허비하는 가장 큰 이유
로는 인터넷으로 보내는 시간이 가장 높았다. 교수를 찾아가 질의・응답하는 경우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공부에 있어서 학생들은 대체로 자신의 전공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공공부는 잘 따라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전공공부 할 때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전공기초지식에 대한 부족’, ‘실생활과의
연계부족으로 이해가 어려움’, ‘원어에 대한 부담감’, ‘학습동기 및 흥미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공부는 평소 혼자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시험 때 벼락치기하는 경우
도 비슷하게 많았다. 셋째, 교수자 지원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공부방법이
나 수업내용에 대한 질의를 위해 교수를 만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바람직한 교수상으로는 열성적으로 강의하는 것을 꼽았으며, 가장 불만스러운
교수의 모습으로는 잘 가르치지 못하는 교수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개발센터가 사업 추진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반
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대학생들에게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학습전략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어학공부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을
볼 때 효과적인 외국어학습법을 제시하며, 공부시간을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는 방
법과 공부에 방해되는 활동을 통제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을 제시할 필요
가 있다. 또 스터디 그룹, 튜터링 활동을 학교 차원에서 장려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강화해야 하며, 교수들에게 효과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34
Ⅱ. 이론적 배경

다. 학습 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

김형관 등(2001)은 「대학생 학업성취와 사회적・문화적 배경 등 요인에 관한 기초


자료 조사」 연구에서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배경요인을
탐색하고, 그러한 영향요인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
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대학생의 학업성취 실태를 파악하여 대학교육의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대학생들이며, 대학 설립유형, 대학
규모, 대학소재지를 고려하여 6개 종합대학을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요인별(전공계열, 학교유형, 학교소재지)로 사회문화적 배경변인을 분
석한 결과, 학교 소재지별로 대학생들의 사회문화적 특성이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회문화적 배경변인 중 가정배경변인을 배경요인별
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우선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출신지는 광역시 이상의 대도시
출신 학생들의 비율(72.0%)이 압도적으로 높은 반면, 지방대학에는 대도시 출신의
학생들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13.6%). 일반적으로 대학생들의 가족에 대
한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해서도 호의적으로 생
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문화적 배경변인 중 대학배경변인을 분석한 결
과를 보면, 대학을 ‘진리탐구의 전당’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국립대 학생들은 34.7%,
사립대 학생들은 20.9%로 나타났다. 대학에 대한 만족도는 서울지역 대학, 국립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대학행정, 학사운영에 대해 불
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수와 수업에 대해서는 중간 정도 수준에서 만족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의 교육환경과 대학문화에 대해서는 다소 불만
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대학생 스스로의 학습경향과 태도는 대체로
중간 이하의 수준으로 자평하였다. 특히 국립대 대학생, 서울지역 대학생, 자연계
대학생들의 학습경향과 학습태도가 다소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배경변인별로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인문사회계열, 예체능계열
학생들은 자연계열 학생들보다 학점평균과 전공분야 지식습득에 있어서 높은 성취
도를 보여주었다. 거주형태에 따른 학업성취도에서는 기숙사에 살고 있는 학생들의

3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학업성취도가 전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일일평균 공부시간이 많은 학


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동아리 가입 수와 통학시간은 학생들의 평
균학점에 차이를 주는 변인은 아니었다. 한편, 대학배경 변인별로 학업성취도를 분
석한 결과, 사립대 학생들은 국립대 학생들보다 평균학점, 논리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 등에서 더 높은 성취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또 광역시 대학생들이 서울이나
지방 대학생들보다 평균학점, 전공분야 지식습득, 창의력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입
학전형 방식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결과, 편입학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정규
입학한 학생들보다 높았다.
셋째, 사회문화적 배경변인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학
습경향 및 학습태도 변인과 전공지식 습득간의 상관계수가 r=.37로서 사회문화적
배경변인 중에서 가장 높은 상관 수준을 보였다. 사회문화적 배경변인과 학업성취
도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점에 대한 사회문화적 배경변인
의 예측력은 전체변량의 11% 정도 수준이며 그 가운데에서도 학습경향 및 학습태
도, 전공만족도, 부모의 기대, 가족행사 참여도, 대학유형 등이 의미 있는 예측변인
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전공지식 습득에 대한 예측력은 전체변량의 약 24% 정도로
서 높은 수준이며, 학습경향 및 학습태도, 전공만족도, 가족 수, 부모의 양육태도,
대학유형, 대학에 대한 만족도, 대학교수, 학사운영 등이 의미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사회문화적 배경변인군을 개인적 배경변인군, 가정배경 변인군, 대학배경
변인군으로 나누었을 때, 학점에 대한 사회문화적 배경변인군 전체의 영향력은 약
11% 정도 수준이며, 이 가운데 개인적 배경변인군의 영향력이 전체변량의 약 8% 정
도로 가장 높은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지식 습득에 대한 사
회문화적 배경변인군 전체변인의 설명력은 24% 정도이며, 이 가운데 개인적 배경변
인군의 설명력은 전체변인의 약 20% 수준으로서 매우 높았다. 교양지식 습득에 대
한 사회문화적 배경변인군 전체변인의 설명력은 약 17% 수준이었다.
넷째, 대학교육 정책에 활용될 수 있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의 학습경향 및 태도이므로 올바른 학
습태도를 유지하기 위한 교육환경과 학사운영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향후 대학정책 변경 시에는 정책의 초점을 학업성취도 향상에 맞출 것이 요

36
Ⅱ. 이론적 배경

청된다. 또한 특례입학한 학생들의 성취도가 부족하므로 특례입학제도에 대한 변경


을 고려하거나 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추수 학사지도가 요구된다. 그
리고 대학소재지에 대한 학업성취도가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므로 학사운영에 관련
된 정책은 대학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립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이의 제고를 위한 개혁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병식・최정윤(2008)은 「다층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능력 개발의 영향요인 분
석: 대학교육과정과 대학특성변인의 영향」 연구에서 고등교육 단계에서 육성해야
하는 핵심능력인 분석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팀의 일원으로 활
동하는 능력의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최근 대학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강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면서 고등교육 단계에서 개발되
어야 하는 핵심능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매우 제
한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대학생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
고, 특히 대학 교육과정 변인과 대학특성 변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
고 있다. 분석 자료는 60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5,192명의 학생 설문조사를 통
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변인들, 학생의 학습활동 변인들, 대학의 특성이 대학생의 핵
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의 우수성(수업 중 고
차적 능력의 강조, 교수의 우수성, 평가의 적절성)과 자원의 우수성이 핵심능력의
개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개인의 요인과 학습 성과와의 관계 외에 학교 인프라와 학습 성과와의 관계
를 분석한 연구들이 있다. 대학의 시설 및 인프라가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학습경험 조사
도구에 반영된 대학의 시설 및 인프라에 관한 문항분석 결과를 주로 조사도구에 반
영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시설 및 인프라가 교수-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는 것도 연구의 맥락 상 시사하는 점이 있으므로 여기서 대표적인 사례
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영국 교원협회 R&D 센터(CBT research and development)
에서는 「Learning Environments Campaign」의 일환으로 뉴캐슬대학교에 의뢰하

3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여 학교 환경이 학생들의 성취와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Design


Council, 2005). 본 연구에서는 Moors의 강의실 환경에 영향 요인 모델을 통해 학
교의 물리적 환경이 학생과 교사의 교수-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가시적으로도
확인이 가능할 정도로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 시설 및 물리적
환경과 학생, 교사의 교수-학습, 행동, 의식 등에 미치는 영향들을 밝혀내고, 교육
정책 의사결정자들은 학교 시설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정책 수립 시 관련 전문
가의 자문을 받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관리적 요인
(organizational)

학교 및 물리적 건물 총체적 강의실


강의실 환경 설계 모형 학생 성향 분위기

교사의 성향

[그림 Ⅱ-3] Moors(1979)의 강의실 환경 영향 요인 모형

Earthman(2002)도 「School Facility Conditions and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연구에서 대학시설이 학생들의 학업성과와 교원들의 강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특히 편안한 교실 온도, 소음 수준은 학업성과의
효율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건물의 노후화 정도를 판단하
는 데에는 건물의 연식이 대표적인 잣대가 된다. 더 좋은 환경의 건물에서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표준 이하의 건물에서 수업을 듣는 학생들보다 학업성과가 좋았으며,
강의실 내 시설이 개선될수록 교수들의 강의효과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급규모가 작을수록 학생들의 성취도가 더 높음을 알려주고 있다.

38
Ⅱ. 이론적 배경

라. 선행연구의 시사점

좋은 수업이나 바람직한 학습경험에 대한 외국 문헌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


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좋은 수업 및 바람직한 학습경험의 특징은 학생과의 친밀
성과 빈번한 상호작용, 학생의 능동적・적극적 참여, 교수의 전문적 지식 및 수업에
대한 열성, 조직화되고 잘 준비된 수업, 적절한 피드백과 격려 및 동기부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강조의 차이가 있지만 학생의 관점과 교수의 관점이 서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이러한 특징들을 고려해 볼 때 좋은 수업과 학
습경험을 위한 교수자와 학교의 역할이 중요하다. 즉, 학생들이 다양한 교육적 경험
을 가질 수 있도록 학교와 교수는 교실 내외에서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적극적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교수
는 수업에 대한 충분한 준비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분석된 선행 연구들의 경우 좋은 수업이나 학습경험
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사용하거나, 인터뷰를
실시하고 또 학생들에게 학습일지를 쓰게 하여 분석하는 등 다면적・종합적으로 접
근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몇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국내 문헌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정리할 수 있다. 첫
째, 대학생들의 학습과정, 학습결과 및 문제점을 파악하는 작업은 정책적 개선방안
을 도출하게 하고 이는 향후 국가 차원의 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연구를
통한 여러 정책제언이 이론적인 논의에만 그치지 않고 구체성을 띠고 현실화될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와 정책입안자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청된다. 둘째, 관련 연구
는 고등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등교육의 질을 향상시킨
다는 것은 두 가지 면에서 얘기될 수 있다. 즉, 대학생들의 공부의 질과 학습 성과
를 고양시킨다는 것, 교・강사들의 교수 및 연구의 질을 고양시킨다는 것이 그것이
다. 대학생들의 학습배경 변인, 학습과정, 학습 성과, 그것들의 상관관계 등을 연구
하는 목적은 궁극적으로 고등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있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가 왜
곡됨이 없도록 하고, 시사점을 면밀히 찾아내는 것은 기본적인 일이자 가장 중요한

3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작업이 될 것이다. 셋째, 연구결과의 충분하고 적절한 활용은 대학생들이 노동시장


에서 그들 각자의 몫을 원만하게 해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대학은 학문연구의
전당이기도 하지만 졸업 후 사회에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직업
능력을 개발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직업능력 개발에 대학교육이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직업능력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무엇
인지를 정확히 측정하는 일이 필요하다.

3.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 국내・외 사례

가. 국내 사례

1)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1)

가) 의의 및 목적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는 2년제 대학 이상 대학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학교교육, 직장경험, 직업훈련 등에
대해 매년 신규로 대졸자들을 조사하고 2년 뒤 추적조사를 실시하는 세계 최대 규
모의 대졸자 단기 패널조사이다. 이 사업의 목적은 2년제 대학 이상 대학졸업생들의
직업이동경로를 장기 추적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교육-노동시장 간 신
뢰성 있는 인력수급정보 제공 및 인력수급 불일치 완화 도모를 위한 정책수립의 기
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있다.

나) 조사배경
이 조사는 고학력화로 인한 청년실업문제, 중소기업 기피현상, 미래 경제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청년층 집단이 본인의 인적자원을 개인과 사회에 제대

1) 2006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를 주로 참고하여 작성하


였다.

40
Ⅱ. 이론적 배경

로 환원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학


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학교별・전공별 이행현황 분석과 원활한 이행을 지원하기 위
한 다각적인 정책적 수요가 증대하게 되었고 현실적으로 이러한 이행과정을 연구할
만한 자료는 없었다. 이에 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교육-노동시장 간 신뢰할만
한 인력수급정보 제공 및 인력수급불일치 완화를 도모하고 개별 학교 및 전공별로
노동시장 성과를 학부모와 수험생에게 제공하여 대학의 합리적 선택에 도움을 주고
자 2006년부터 GOMS를 실시하게 되었다.

다) 조사개요
GOMS는 전문대학 이상 고등교육과정을 이수한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고, 졸업자
의 약 5%를 선정하여 매년 추적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방법은 표본리스트에 대한 정
확성 확인을 하기 위해 1차적으로 CATI를 실시하고, 2차적으로 조사 참여 의향자에
대하여 면접원이 직접 방문하는 대면면접조사로 진행한다. 조사내용으로는 교육과
정, 구직활동, 일자리경험, 직업훈련, 자격증, 개인신상정보 및 가계배경 등이다.
이 조사는 구축된 표본에 대해 최소 8년간 매년 추적조사를 실시할 예정이고, 또한
매년 전년도 고등교육기관 전체 졸업자의 약 5%에 대한 횡단면 조사를 실시하여 졸
업생들의 취업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조사는 종단면 연구와 횡단면 연
구를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라) 설문구성
총 설문 문항 수는 모두 89문항이다. 현재 경제활동상황, 현 직장(일자리), 구직
활동, 비경제활동상태, 현재 재학 중인 학교, 조사 당시의 일자리, 조사 이후의 일
자리, 1년간 경제활동상태, 경력계획 및 이직, 직업훈련 경험, 취득 자격증, 앞으로
의 진로, 시험준비, 여가활동, 건강, 인적사항 및 가족 등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다(<표 II-1>, <표 II-2> 참고).

4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2) 한국교육고용패널 (KEEP)2)

가) 의의 및 목적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은 우리나
라 청소년의 교육경험과 진학, 진로, 직업세계로의 이행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4년에 시작된 조사로서 동일한 표본을 1년 주기로 추적 조사하여 인적자원의 축
적과 활용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KEEP 조사는 국가 인적자원개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의 수집, 국가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노동시장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한다.

나) 조사배경
국가 간 협력과 경쟁의 심화, 고령화 사회의 도래, 청년 실업 등 사회구조적 환경
의 변화로 인해 인적자원의 개발과 활용이 국가발전의 핵심 요소로 대두되면서, 중
장기적 인적자원을 개발하고 그러한 인적자원 활용을 위한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패널자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KEEP 자료는 국가 인적자원개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관련 기관의 연구자료는 물론 개인, 학부모 및 교사에 대해 자기
개발 및 평생・직업교육의 방향을 제공하는 등으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다) 조사대상
조사대상은 기준년도인 2004년도에 중학교 3학년생,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생,
전문계 고등학교 3학년생 각각 2,000명이며, 이들을 패널로 선정하여 매년 추적 조사
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학생의 보호자(가구) 6,000명, 학생이 소속된 학교의 행정가
(교감 또는 교무담당) 300명, 학생의 담임(교사) 1,121명도 포함하여 조사하고 있다.
2차(2005)년도와 3차(2006)년도에는 1차년도 학생들을 그대로 추적하여 조사하기
때문에 대상에는 변화가 없으나 응답자들의 교육이나 진로 변화에 따라 설문지가
달라지게 되었다. 4차(2007)년도 조사대상은 기존 패널과 신규 패널로 나뉜다. 기존

2) 한국교육고용패널 1차(2004)~4차(2007)년도 조사 사용자지침서(한국직업능력개발원)를 주로 참고


하여 작성하였다.

42
Ⅱ. 이론적 배경

패널은 1차년도 패널 6,000명을 추적조사하고, 중3 패널 2,000명의 가구, 담임, 학


교를 조사하였고, 신규 패널은 4차 년도에 신규 추출된 고3 패널 1,600명과 패널의
가구, 담임, 학교를 조사하였다. 5차(2008)년도부터는 패널 대부분이 고등학교를 졸
업하여 대학에 진학하거나 진로가 각양각색으로 나뉘게 되었는데, 성인이 된 이후
의 진로를 동일평면위에 놓고 비교・탐색하기 위해 설문내용을 한 가지 종류로 통합
하여 조사하였다.

라) 조사방법
조사방법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자체 개발한 설문조사 솔루션(Krivet Information
Survey System: KISS)을 기반으로 국내 최초로 PDA를 통한 1:1 대면조사를 수행
하고 있다. KISS에 기반을 둔 PDA 조사의 장점은 첫째, field control의 실패에 따
른 데이터 신뢰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둘째, 모순된 응답을 시스템 내에서 검
증하여 경고문을 보여주는 시스템 도입으로 인해 데이터 질을 제고할 수 있으며, 셋
째, 코딩과 펀칭, 검증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넷째, 데이터가 생성되기까
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마) 설문구성
총 설문 문항 수는 482문항이다. 구체적으로 재학 중 학교, 대입준비 사교육 경
험, 대학입학방법과 학교선택, 전공과 강의, 진학계획, 학부에서의 경험, 대학입시,
대학원 진학, 해외유학, 구직활동, 현 일자리(자영업자용, 무급가족 종사자용, 임금
근로자용), 취업의사 및 준비, 직장경력, 가정생활, 가구소득 및 지출, 여가생활, 교
육훈련, 진로계획, 군복무경험 및 계획, 경제의식, 일반적 특성 등의 문항으로 구성
된다(<표 II-1>, <표 II-2> 참고).

4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Ⅱ-1> GOMS・KEEP 조사도구 개요

GOMS(2008) KEEP(2007)
조사기관 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조사대상 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졸업자 중 3 및 고 3(인문계, 전문계 포함)
조사방법 CATI, 면접조사 CATI, PDA 면접조사
・교육-노동시장 간 신뢰할만한 인력
・국가 인적자원개발 정책 수립을 위한
수급정보 제공
기초자료의 수집
조사목적 ・인력수급불일치 완화
・국가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학교(전공)별 노동시장 성과제공하여
・노동시장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대학의 합리적 선택 유도
・현재 경제활동상황 ・재학 중 학교
・현 직장(일자리) ・대입준비 사교육 경험
・구직활동 ・대학입학방법과 학교선택
・비경제활동상태 ・전공과 강의
・현재 재학 중인 학교 ・진학계획
・조사 당시의 일자리 ・학부에서의 경험
・조사 이후의 일자리 ・대학입시
・1년간 경제활동상태 ・대학원 진학
・경력계획 및 이직 ・해외유학
・직업훈련 경험 ・구직활동
・취득 자격증 ・현 일자리(자영업자용, 무급가족
설문구성
・앞으로의 진로 종사자용, 임금근로자용)
・시험준비 ・취업의사 및 준비
・여가활동 ・직장경력
・건강 ・가정생활
・인적사항 및 가족 ・가구소득 및 지출
・여가생활
・교육훈련
・진로계획
・군복무경험 및 계획
・경제의식
・일반적 특성
문 항 수 89 482

44
Ⅱ. 이론적 배경

<표 Ⅱ-2> GOMS・KEEP 조사 내용


조사도구
영역 항목
GOMS KEEP
1 학교명 ○ ○
2 현재 재학 여부 ○
3 학교 졸업 여부 및 시기 ○
4 학부명 ○ ○
5 전공명 ○ ○
6 전공변경 여부, 시기, 이유 ○
7 대학(원) 유형 및 학위과정 ○ ○
8 대학원 진학 이유
9 주야간 여부 ○
10 학교소재지 ○ ○
11 입학년도 ○ ○
12 편입학기 ○ ○
13 전형방법 ○
14 입학유형 ○ ○
15 대학과 전공 선택 영향요인 ○
16 대학과 전공 만족도 ○ ○
Ⅰ 17 모집단위 ○
학교생활 18 학과 확정 및 만족도 ○
19 교직이수 여부 ○
20 복수전공 이수 여부 ○
21 전공공부 시간과 비용 ○
22 강의태도 ○
23 대학시설과 자원 ○ ○
24 학교생활 ○ ○
25 지도교수면담 회수 ○
26 대학성적 ○
27 등록금 마련 방법 ○
28 휴학경험 ○ ○
29 휴학 이유 ○
30 편입 및 전과 계획 ○
31 교내 아르바이트 경험 ○
32 졸업 후 계획 ○
33 취업 계획 ○
34 대학교육 ○

4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조사도구
영역 항목
GOMS KEEP
35 직업관 ○
1 현재 학력 ○
2 학교 중퇴 이유 ○
3 향후 학업 계획 ○
4 중퇴한 대학교명・계열・학부명・전공명 ○
5 대학중퇴 시기・이유 ○
6 대학 진학 계획 여부 ○ ○
7 대학 진학하는 이유 ○
8 대학 진학하지 않는 이유 ○
9 대학 진학 예상 시기 ○

10 대학 진학 준비 관련 여부 ○
진학 계획
11 사교육비 ○
12 공부시간 ○
13 학원과외EBS시청 시간 ○
14 진학 희망 대학 유형 ○
15 진학 희망 대학명 ○
16 희망 전공 ○
17 해외 유학 계획 및 이유 ○ ○
18 해외 유학 희망 국가 ○
19 유학 비용 조달 방법 ○
1 구직활동 경험 여부・기간 ○ ○
2 구직 이유 ○
3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 ○ ○
4 구직 실패 경험 여부・회수・이유 ○
5 취업 희망 업태 및 고용형태 ○
6 면접 회수 ○
7 직업 훈련 참여 ○ ○
8 자격증 취득 ○ ○

9 취업정보 검색 ○ ○
구직 활동
10 취업 부탁 ○ ○
11 방문 취업 부탁 ○ ○
12 면접훈련 ○ ○
13 직업적성 ○ ○
14 흥미검사 ○ ○
15 취업 박람회 참여 ○ ○
16 구직정보 인터넷 올림 경험 여부 ○ ○

46
Ⅱ. 이론적 배경

조사도구
영역 항목
GOMS KEEP
17 취업정보 경로 ○ ○
18 워크넷・사설 취업기관 정보 검색 ○ ○
19 허위구인광고 경험 여부 ○
20 구직활동 과정 중 필요한 요소 ○
21 일자리 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 ○
22 구직과정 중 어려운 점 ○
23 구직활동 중 스트레스 경험 ○
1 현재 취업 여부 ○ ○
2 현재 일자리 수 ○ ○
3 일자리 유형 ○
4 새 일자리인지 여부 ○
<임금근로자>
5 취업 경로 ○ ○
6 일을 시작한 시기 ○ ○
7 직장명 ○ ○
8 직장 소재지 ○
9 직장에서 하는 일 ○ ○
10 직책・직위 ○ ○
11 직책・직위 변경 여부와 시기 ○
12 일자리 형태 ○ ○
Ⅳ 13 일자리 형태 변경 여부와 시기 ○
현재 일자리 14 비상용직인 이유 ○
특성 15 비상용직인 경우의 계약기간 ○
16 근로시간 형태 ○ ○
17 직장 분류형태・규모 ○ ○
18 연금・보험가입 여부 ○ ○
19 근무 일수・근무 시간 ○ ○
20 임금・수당・특별급여 ○ ○
21 임금을 받는 곳 ○
22 파견업체인지 여부 ○
23 재택인지 여부 ○
24 임금 체불 경험 여부 ○
25 노동조합 가입 여부 ○ ○
26 일에 대한 평가・만족도 ○ ○
27 구직 활동 여부 및 소요시간 ○ ○
28 현 직장 구직 기간 ○

4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조사도구
영역 항목
GOMS KEEP
29 현 직장 구직 방법 ○
30 구직에 가장 도움 된 요소 ○
31 전공지식의 도움 여부 ○
32 업무상 필요한 자격증 소지 여부 ○
33 업무상 외국어 활용정도 ○
34 부업활동 여부 ○
35 이직을 위해 하는 노력 ○
<자영업자>
36 시작한 동기・경로 ○ ○
37 일을 시작한 시기 ○ ○
38 사업체 지역 ○ ○
39 사업체 설명 ○ ○
40 종업원 수 ○ ○
41 월급 체불 경험 여부 ○
42 연금・보험 가입 여부 ○ ○
43 근무 일수 ○ ○
44 근무 시간 ○ ○
45 월평균 매출액・소득・기대소득 ○ ○
46 사업체 분류 형태 ○ ○
47 준비 기간 ○
48 총 투자액 ○
Ⅳ 49 대출한 투자액 규모 ○
현재 일자리 50 정부 지원 여부 ○
특성 51 일에 대한 평가・만족도 ○ ○
52 구직활동 여부 및 소요시간 ○ ○
53 부업활동 여부 ○
54 이직을 위해 하는 노력 ○
<무급가족종사자>
1 일을 시작한 시기 ○ ○
2 일하는 지역 ○ ○
3 일자리 설명 ○ ○
4 일자리에서 하는 일 ○ ○
5 근무 시간 ○ ○
6 월평균 매출액 ○ ○
7 이 일을 하는 이유 ○
8 일에 대한 평가・만족도 ○ ○

48
Ⅱ. 이론적 배경

조사도구
영역 항목
GOMS KEEP
9 구직활동 여부 및 소요시간 ○ ○
10 이직을 위해 하는 노력 ○
1 지난 1주일간 일자리 경험 여부 ○ ○
2 구직활동 여부 ○ ○
3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이유 ○ ○

4 취업의사 ○ ○
취업의사 및
5 취업을 하지 않으려는 이유 ○
취업준비
6 하고 싶은 일 ○
7 최소 희망 월 소득 ○ ○
8 취업을 위해 보내는 시간 ○ ○
1 일자리 경험 여부・회수 ○ ○
2 1개월 이상 지속된 일자리 경험 여부 ○
3 일을 시작한 시기・그만 둔 시기 ○ ○
4 일자리 업태 ○
5 일자리에서 한 일 ○ ○
6 종사자의 지위(근로자, 자영업자, 고용주 등) ○ ○
7 일자리 형태(상용직・임시직) ○ ○
8 근무 형태(정규직・비정규직) ○
9 일자리에서의 인턴 경험 여부 ○
10 근로계약기간 여부 및 기간 ○ ○
Ⅵ 11 파견업체 또는 용역업체 소속 여부 ○ ○
직장경력 12 근로시간 형태(시간제・전일제) ○ ○
13 근로 장소(재택 여부) ○
14 전체 종업원 수 ○
15 월평균 소득 ○ ○
16 일주일 평균 근무 일수 ○
17 일주일 총 근무 일수 ○
18 일자리를 그만 둔 이유 ○ ○
19 계속 다닐 수 있었는지 여부 ○
20 계속 다닐 수 있었다고 응답한 이유 ○
21 실업급여 신청 여부, 금액, 기간 ○
22 실업급여를 신청하지 않은 이유 ○
1 동거 가구원 파악 ○
VII 2 사회적 네트워크 ○
가정생활 3 월평균 용돈 ○
4 용돈 용도・출처 ○

4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조사도구
영역 항목
GOMS KEEP
5 월평균 가구소득・저축액・생활비・사교육비 ○
6 주택 점유형태 ○
7 거주 지역 ○
8 보유 자산 ○
9 채무 유무 ○
10 거주 형태 ○
11 생활비 ○
12 혼인 상태 ○
13 배우자 정보 ○
14 자녀 유무 ○
15 가정생활 만족도 ○
1 여가 시간 ○
2 주요 여가 활동 ○ ○
3 주요 여가 장소 ○
4 여가를 함께 보내는 동반자 ○
5 TV 시청 시간 ○
6 컴퓨터 사용 시간 ○
7 목적별 컴퓨터 사용 정도 ○
8 인터넷 사용 실태 ○
Ⅷ 9 독서량 ○
여가생활 10 독서 분야 ○
11 동아리 활동 여부 ○
12 동아리 활동 수 ○
13 동아리 할애 시간 ○
14 동아리 활동 분야 ○
15 동아리 활동 형태 ○
16 자원봉사 활동 여부 ○
16 자원봉사 할애 시간 ○
17 자원봉사 관련 비용 ○
1 영어 ○
2 제2외국어 ○
3 공무원 시험 공부 ○ ○
Ⅸ 4 -동기 ○
교육훈련
5 -기간 ○ ○
6 -회수 ○
7 -시간 ○

50
Ⅱ. 이론적 배경

조사도구
영역 항목
GOMS KEEP
8 -방법 ○
9 -비용 ○ ○
10 -도움 정도 ○
11 -최종합격 여부 ○
12 취업을 위한 교육・훈련 경험 여부 ○ ○
13 직업훈련을 받지 않은 이유 ○
14 직업훈련 회수 ○
15 교육・훈련 분야 ○ ○
16 -목적 ○
17 -기간 ○ ○
18 -시기 ○
19 -시간 ○
20 -비용 ○ ○
21 -비용부담자 ○
22 -기관 ○ ○
23 -도움 정도 ○
24 취업 목적 이외의 교육・훈련 경험 여부・분야 ○
25 자격증 취득 여부 ○ ○
26 자격증 취득 개수 ○
27 자격증 이름 ○
28 취득 자격증 급수 ○
29 자격증 시행기관 ○ ○
30 현재 준비 중인 자격증 ○
31 자격증 취득시기 ○
32 해외 연수 경험 ○
1 진로계획 및 목표 여부 ○
2 이직에 대한 의견 ○
3 이직하려는 이유 ○
4 휴식하려는 이유 ○
5 휴식 시 생활비 조달 방법 ○
Ⅹ 6 미래 직업 결정 여부 ○
진로계획
7 미래 직업명 ○
8 미래 직업에 대한 업무내용 ○
9 미래 직업에 대한 전망 및 보수인지 정도 ○
10 미래 직업을 위한 실천 계획 ○
11 군입대 계획 및 전역 여부 ○

5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조사도구
영역 항목
GOMS KEEP
12 군입대・전역 시기 ○
13 병과・특기 명칭 ○
14 군 복무 경험에 대한 평가 ○
1 건강 상태 ○ ○
2 운동 시간 ○ ○
3 수면 시간 ○ ○
4 아침식사 여부 ○
5 외모로 인한 차별 경험 여부 ○

6 현재 고민거리 ○
일반적
7 흡연 여부 ○ ○
특성
8 흡연량 ○ ○
9 음주 빈도 ○ ○
10 장기지속 신체적 및 정신적 장애 여부 ○
11 신장 ○
12 체중 ○
1 혼인상태 ○
2 배우자 직업 ○
3 배우자 소득 ○
4 부모님과 동거 여부 ○
5 부모님과 동거하지 않는 이유 ○
6 부모님 직업 ○
7 함께 사는 가구원 수 ○

8 현재 거주 지역 ○
인적 사항
9 주택 형태 ○
및 가족
10 주택의 전월세 여부 ○
11 월평균 총수입 ○
12 한달 평균 수입비 ○
13 가구의 생활비 부담자 ○
14 가구의 월평균 저축액 ○
15 군복무 경험 여부 ○
16 군복무 시기 ○

52
Ⅱ. 이론적 배경

3) 국내 대학의 학습과정 조사

가) 강의 평가제도
지금으로부터 약 15년 전 포항공대로부터 시작된 학생에 의한 교수강의평가는 이
제 전국의 모든 대학이 빠짐없이 시행할 정도로 보편화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교
수강의평가가 5・31 교육개혁의 혁신 바람에 편승하여 각 대학에 전파되기 시작한
1990년대 중후반 당시, 강의평가제에 대한 찬반 논란이 거세게 일었다. 즉, 한편에
서는 강의평가제가 대학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고 또 가능한 빠른 시일 안에 그 제도
가 정착되어야 한다는 개혁적 급진론이 있었고, 다른 편에서는 강의평가는 교수권
침해일 뿐 아니라 그 신빙성에도 의문의 여지가 많기 때문에 시일을 두고 검토해 보
아야 한다는 회의적 보수론이 있었다(조벽, 1997:66). 다시 그로부터 10여년이 흐른
2000년대 중후반 이후 교수강의평가는 시행하지 않는 대학이 없을 정도로 확산되었
고, 심지어 강의평가 결과를 교수인사평가에 반영할 정도가 되었다. 아울러 교수강
의평가를 둘러싼 논란도 이제는 강의평가 결과를 대외적으로 공개하느냐 마느냐로
진화되었다. 이는 그동안 강의평가 결과를 피평가자 교수 본인에게만 피드백하던
폐쇄적인 방식으로의 전환을 둘러싼 논쟁이다. 이미 동국대학교는 공식적으로 교수
강의평가결과의 대외적 공개를 채택하여 실행해오고 있고, 많은 대학들이 이에 동
조하여 평가결과를 공개하기 시작하였다. 향후 강의평가 결과 공개는 정부가 대학
재정지원사업에 강의평가 결과 공개 여부를 사업평가 항목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
에 대학들 사이에 급속도록 확산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렇게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교수강의평가는 종래 교육공급자의 입장에서 강의
평가 실태를 분석하여 교수자 중심의 수업방법을 개선하려는 관점(정진식, 1999; 한
신일 외, 2005; 이대식 외, 2007)으로부터 점차 교육수요자의 입장에서 접근하려는
경향이 최근 나타나고 있다. 즉, 교수강의평가는 더 이상 교수의 강의를 학생이 수
동적 혹은 의무적으로 평가하여 교수자의 수업개선을 위한 정보원으로서의 기능에
머물지 않고, 학생이 강의에 임하는 공부습관과 태도를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대학
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력을 증진시키는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
로 접근되기 시작한 것이다. 전자가 교수강의평가에 대한 교육의 공급자 중심, 교수

5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자 중심, 학습에 대한 수동적 접근이라면, 후자는 수요자 중심, 학습자 중심, 능동


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교수강의평가에 대한 학습자 중심의 접근은
교수강의평가에 대한 관점의 확대일 뿐 아니라 교수의 강의가 단순히 교수자 중심
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교수-학습의 형식적 상호작용을 넘어 대학교육의 중심적
인 아이디어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교수강의평가에 대한 제3의 접근으로서 학습자 중심의 시각에서 현재 각 대학에
서 시행하고 있는 교수강의평가는 과연 어떠한 모습일까? 여전히 교수강의평가 결
과의 공개 여부를 둘러싼 논쟁이 치열한 가운데, 학생회는 학교 측의 결과 공개에
대한 미온적 태도에 맞서 교수강의평가 결과를 독자적으로 공개하는 경향이 대학가
에 확산되고 있다. 학습자들은 교수강의평가 결과를 알고 싶어하고 ‘배움의 질’을 향
상시켰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경희대학교, 2010). 그런데
교수강의평가의 평가항목들은 여전히 학습자들의 이러한 바람과는 동떨어져 있는
모습이다.
예를 들어, 중앙대학교와 경희대학교의 강의평가 설문은 교수자의 강의에 대한 질
문들로 채워져 있으며, 학습자가 수업에 임하는 태도와 공부 습관에 대한 설문은 없
다. 성균관대학교의 강의평가 항목에는 수강학생의 학습에 관한 문항은 있었지만
학생의 능동적인 학습태도에 관한 질문이라기보다 교수자의 강의로 촉발된 수동적
인 학습경향을 묻는 것이었다. 또 고려대 등 학습자의 입장에서 자신의 노력정도
(level of student effort)를 설문하는 문항들을 별도로 구성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학생의 자기평가(self-evaluation) 항목은 학습자의 학습습
관과 태도 그리고 노력 정도를 묻고 있다. 교수강의평가 항목에서 학습자의 관점에
대한 소홀은 이미 한신일 등(2005:392-393)이 연구한 ‘한국 대학의 강의평가 실태
분석’ 연구에서 입증된 바 있다. 그들은 전국 91개 대학의 강의평가서 항목을 분석
한 결과 학습자 관련 문항 빈도는 학습자 관련 문항 빈도가 16.08%(‘학습자 정보’
11.64%, ‘학습자의 성취’ 4.44%)로 나타나 교수자 및 수업 관련 문항 빈도에 비해
압도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학습자의 입장에서 교수강의평가는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 알
아보기 위해 소수심층면접을 한 결과를 집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

54
Ⅱ. 이론적 배경

강의평가의 목적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공히 ‘학생들에게 강의에 대한 양질의 정보


를 제공하여 강의선택의 기회를 제공해 주고, 교수들에게는 강의를 개선하여 수업
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한다고 보고 있다. 둘째, 교수강의평가의 필요
성에 대해, 학생들은 공히 양질의 강의 확보와 학습자의 권리 측면에서 꼭 필요하다
고 보고 있다. 셋째, 교수 강의개선에 대한 실효성 측면에서, 교수강의평가는 강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다수를 이루면서도 몇 가지 선결조건이 충족되
지 않으면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응하였다. 즉, 교수강의평가가 교수자의 강
의 개선에 실제 도움이 되려면 교수들이 강의평가 결과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실질
적인 노력을 하는데 보탬이 되는 장치라고 보는 견해도 있었다. 넷째, 교수강의평가
가 학습자의 학습태도 개선에 도움이 되는지의 여부에 대해, 학생들은 문항들이 주
로 교수의 역할만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강의평가를 함으로써 그 강의에 대해 다시 한 번 회고할 수
있는 계기는 되겠지만 이를 통해 자신의 학습태도를 반성하거나 열심히 학습하는
것과는 별개의 사안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다섯째, ‘교수강의평가가 대학생들의 학
습과정을 이해하는데 적절한 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학생들은 현재 활용되고
있는 문항들이 학습과정을 알기에는 질문의 내용이 적절하지 않거나 강의시간에 이
루어지는 학습과정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 학습과 관련된 문항을 추가해야
학생의 학습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시행
되고 있는 교수강의평가의 문제점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들은 첫째, 학생들의
불성실하고 무성의한 답변, 둘째, 성적 확인을 위한 강제적인 시행, 셋째, 학기말의
1회성 시행, 넷째, 객관식 문항 구성 등을 공통적으로 지적하였다. 한편, 이에 대한
향후 교수강의평가의 개선방안으로 첫째, 평가 결과의 공개, 둘째, 주관식 평가문항
추가, 셋째, 학기 중에도 추가 실시 등을 제안하였다. 특히, 중간고사 시점에서 전
반부 강의에 대해 강의평가를 실시할 경우, 학습자들은 강의평가의 직접적인 효과
를 바로 체험할 수 있고, 교수자도 학습자들의 강의에 대한 의견을 바로 알고 후반
부 강의 진행에 평가결과를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의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
대하고 있다.
이상의 학생입장에서 본 교수강의평가를 토대로 대학생의 학습과정 이해에 도움

5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강의평가는 교수의 일방


적 지식전달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교수-학습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수업’에 대한
평가를 지향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의 관점이 중요한 한 축으로 가미된 평가로 전환
되어야 한다. 교수강의평가에 포함될 학습에 대한 항목에는 학습자의 학습태도와
습관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교수강의평가는 학기말에 1회성으로 시행될 경우 불
성실한 응답을 유발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학기 중에도 실시하여 강의와 학습에 대
한 중간점검의 의미로 형성・진단평가의 성격을 가미한다. 셋째, 교수강의평가의 결
과는 교수자의 강의 질 개선과 학습자의 강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공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교수강의평가의 선순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
수에게는 ‘부담스러운 것’, 학생에게는 ‘귀찮은 것’, 대학에서는 ‘번거로운 것’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대학 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각 대학의 교수-학습
개발원은 당사자 간 소통이 동반되지 않는 기술적인 처방과 조치에 의한 일방적인
변화촉진자의 역할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평가에 대한 공동의 목표와 지향점을 상
호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대화의 공간과 기제를 창출하여 적극적인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공동체적 관점에서 담지할 필요가 있다.

나) 대학생활 의견조사
서울대학교는 2002년부터 학부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대학 교육 및 생활의 만족
실태, 대학 교육에 대한 평가, 대학 교육 서비스에 대한 요구, 대학 생활, 진로취
업, 개인적 성향 등 다섯 가지 측면에서 의견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분석결과는 서
울대의 효과적인 학사정책 수립 및 학생지도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숙명여대는 매년 신입생들의 기본 인적사항, 고교생활, 개인 및 가정환경, 대학
진학 및 본교 관련, 전공선택 및 학업 관련, 대학 및 전공학과 만족도, 대학생활, 진
로 및 직업, 개인적인 심리적 문제, 상담소에 바라는 바 등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조사결과는 신입생들의 문화를 이해하여 학생들의 욕구에
적합한 상담소의 역할을 재정비하고, 학사운영 및 학생생활 가이드를 위한 기초자
료로 활용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는 신입생들의 대학진학 관련, 전공 선택 및 학업관련 정보, 대학생

56
Ⅱ. 이론적 배경

활, 개인적인 생활 등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다. 조사 결과는 신입


생들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상담과 지도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충남대와 한동대에서는 미국의 NSSE를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들 대
학에서는 국제비교를 위해 이 설문지를 거의 그대로 번역해서 쓰고 있다.

<표 Ⅱ-3> 국내 대학의 대학생활 의견조사 문항비교


조사도구
영역 항목 서울 숙명 성균관
대학교 여대 대학교
1 출신고교 소재지 ○
고교생활 2 출신고교 계열 ○
3 고등학교 생활 만족도 ○
1 부모의 생존 여부 ○
2 입학 후 주거 형태 ○
3 부모의 직업 ○
4 가정의 사회적・경제적 계층 ○
개인 및 5 대학 등록금 부담자 ○ ○
가정환경 6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유 ○
7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
8 정치적 성향 ○
9 대북 의식 ○
10 가정에서 느끼는 어려움 ○
1 대학 진학의 목적 ○ ○
2 본교 선택 이유 ○ ○
3 본교로 진학하기로 결정한 시기 ○
대학 진학
4 대학 및 전공에 대한 정보 습득 방법 ○ ○

5 지원한 대학의 수 ○
본교 관련
6 합격한 대학의 수 ○
7 본교입학과 고교시절 희망과의 일치여부 ○
8 본교에 대한 만족도 ○
소속 학부(과)와 원하던 전공과의 일치 여부 및
1 ○
불일치하는 경우의 대안
전공 선택
및 2 학부(과)선택 시 주요 고려사항 ○ ○
학업 관련 3 선택 학부(과)에 대한 정보습득정도 ○
4 학부(과) 교육내용 및 진로에 대한 인식 정도 ○

5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조사도구
영역 항목 서울 숙명 성균관
대학교 여대 대학교
5 전공에 대한 만족도 ○
6 계열로 입학한 경우 희망하는 전공 ○
7 계열로 입학한 경우 희망하는 복수전공 ○
1 대학생활에서 가장 하고 싶은 일 ○
2 대학생활에서 중점을 두고자 하는 부문 ○
3 교수님들에게 기대하는 것 ○ ○
4 대학생활에서 중요한 가치 ○
5 대학생활에서 어려움이 예상되는 문제 ○
6 대학생활 지원에 대한 만족도 ○
대학생활 7 대학생활 관련하여 학교가 지원해 주기를 바라는 것 ○
8 대학생활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
9 학생 자치 활동 참여도 및 경험의 유익도 ○
10 대학입학 전 흡연 또는 음주 경험 유무 ○
11 음주 문제 ○
12 컴퓨터 사용 문제 ○
13 휴학 경험 여부 ○
1 입학 직후 수준과 현재 수준 ○
대학교육 2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
3 대학교육에서 중요시되는 능력의 중요도 ○
1 졸업 후 예상 진로 ○ ○
2 여성의 직업활동에 대한 인식 ○
진로 및 3 직업선택 시 가장 중요시 생각하는 것 ○ ○
직업 4 진로를 위해 대학생활 중 주력하고 싶은 것 ○
5 진로 확립 시기 ○
6 예정 진로의 전공 일치도 ○
1 고민을 털어놓은 상대 ○ ○
고민 해결하고 싶은 문제(진로 문제, 적응 문제, 학업
2 ○ ○
문제 등) 존부
1 인적 교류 시의 기분, 감정상태 또는 태도 ○
심리상태
2 평상 시의 기분, 감정상태 또는 태도 ○
바람직한 덕성 순서대로 나열하기(독립심, 공손
함, 깨끗함, 봉사심, 논리성, 독창성, 용기, 유능
덕성 1 ○
함, 유쾌함, 의욕적임, 인자함, 예의바름, 정직
함, 지성적임, 책임감, 절제 등)

58
Ⅱ. 이론적 배경

4) 종합

국내 대학생의 학습과정 조사는 크게 국가 수준의 대단위 조사와 대학 자체적으


로 수행하는 조사 등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조사들은 본 연구에서 지향하는 대학생
의 수업 중 활동과 수업 외 활동을 세밀하게 설문하고 있지는 않지만 대학생활에서
의 학습경험과 만족 여부에 대해 묻고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수준에서 학습과정
을 조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GOMS는 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전문대 및 4년제 졸업자를 대
상으로 교육-노동시장간 신뢰할만한 인력수급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사된다. 취
업을 위한 시험준비와 같은 항목이 학습경험과 관련이 있을 뿐 대부분 문항이 취업
준비와 구직활동과 관계된다. KEEP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중3 및 고3 학생들
을 대상으로 국가인적자원개발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시도한 장
기패널조사이다. KEEP은 조사대상자들이 대학에 진학한 후 그들의 대학생활과 학
습경험을 광범위하게 설문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문항들이 취업과 진로 쪽으로
방향이 맞춰져 있어 본격적인 대학생의 학습과정을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한편,
대학별로 이루어지는 학습과정조사는 대학강의 평가에서 간단하게 포함되어 있는
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 경험 문항과 주로 학생생활연구소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신입생 혹은 졸업생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대학생활 경험 문항 중에 학습관련 문항
들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대학생의 학습과정을 본격적으로 파악하기에
는 조사의 초점이 다르다. 특이한 것은 전문적인 대학생의 학습경험을 조사하는
NSSE 설문을 그대로 번역하여 충남대와 한동대에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국내에서 조사되는 대학생의 학습과정 관련 설문은 고유의 조사 목
적을 가진 설문지 속에 일부 문항으로 포함되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GOMS와 KEEP 조사는 취업과 진로 및 구직활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대
학의 강의평가 설문은 해당 교과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실태조사의 성격보다는 말
그대로 강좌평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학생의 학생생활 조사도 학습경험 관련
문항이 일부 포함되어 있지만 매우 제한적이다. 그나마 일부 대학에서 대학생의 학
습경험을 조사하고자 미국의 NSSE를 그대로 번역해서 활용하는 것은 대학생의 학

5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습과정이 중요하다는 초기적인 인식으로서 향후 학습과정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와


연구의 긍정적인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나. 국외 사례3)

몇몇 선진국에서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대상으로서 대학생 학습 성과를 평가하


고자 하는 시도로 학습과정을 알아보는 몇 가지 접근방법을 개발하였다. 그 중에서
학생설문조사의 활용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대학생 설문조사를 대학의 질적
수준에 대한 실증적 자료로 이용할 때에는 ‘훌륭한 대학교육이란 학생들의 학문적・
사회적 노력 및 몰입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서비스 및 환경을 제공
하는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하기에, 이 방법은 맥락지향적인(contextual-neutral)
접근방법이다.
설문조사가 지닌 대표적인 장점은 ① 기존의 대학 질적 수준 분석 방법으로는 측
정할 수 없었던 다양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② 대학의 가장 중요한 고객인 학생
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③ 재학생들의 만족도나 인식수준만을 측정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학의 교육적 실천과 과정을 직・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
다는 점 등이다.
Kuh, Kinzie, Buckley, Brideges, & Hayek(2006)은 대학교육 성과에 영향을 미
치는 요소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세 가지 영역의 개념적 틀을 구축했다. 첫 번
째 영역은 학생들의 입학이전의 경험, 두 번째 영역은 학생행동과 대학환경으로, 학
생들의 자발적・적극적 참여가 두 요인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세 번째 영역은 대
학졸업이후의 진로를 의미한다. 주목할 점은 학생행동, 대학환경 및 학생들의 자발
적・적극적 참여와 같은 요소들이 학생설문조사를 통해 효과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는 것이고, 이런 요소들은 대학차원에서 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성과
의 개선을 위한 질 관리 체제 및 프로그램에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학생설문조사가 지닌 이론적 강점에도 불구하고 학생설문조사 결과를 신뢰

3) 국외 사례는 최정윤 외(2007)에 소개된 학생설문조사 사례 중 일부 내용을 발췌하여 작성하였음을


밝힌다.

60
Ⅱ. 이론적 배경

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 이에 대해 Kuh(2005)는 학생설문조사 결


과 데이터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
생들의 학습, 대학의 프로그램 및 서비스 등에 대해 기관이 설정한 목적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조사나 문항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설문조사는 심리측정 면에서 완
전해야 하며, 조사결과가 특정한 유형의 기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설
계되어야 한다. 셋째, 설문결과는 다양한 구성원별로 해석되어야 한다. 넷째, 다양
한 정보원이 활용되어야 하며, 설문조사 결과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 다섯째, 외부
고객들에게 설문결과를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공표해야 한다는 것인데, 그 이유
는 설문결과를 질 보증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대학마다 충분
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1) 미국의 NSSE(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NSSE는 인디애나 대학교 고등교육연구센터(Center for Postsecondary Research)


가 주관하고 있다. 역사는 짧지만 설문조사 설계 당시부터 대학이 학생들의 학습성
과 제고에 기여하는 정도를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대학
책무성 증빙 자료로 이용되고 있어 대학 질적 수준 분석 방법으로서 그 활용도가 증
가하고 있다.
NSSE의 평가목적은 다섯 가지로, ①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대학을 벤치마킹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② 효과적인 교육에 관한 국가적인 기준(benchmarks)을
마련하기, ③ 고등교육기관의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④ 고등교육기관의 책무성을 확
보하기, ⑤ 사회와 대중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NSSE의 평가도구는 학생의 교육경험을 묻는 12개의 대영역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항목 등 총 107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12개의 대영역은 ① 학문
적 및 지성적 경험(Academic and Intellectual Experiences), ② 정신적 활동
(Mental Activity), ③ 읽기와 쓰기(Reading and Writing), ④ 과제(Problem
Sets), ⑤ 시험(Examination), ⑥ 추가적인 대학생활(Additional Collegiate
Experience), ⑦ 교육적 경험 쌓기(Enriching Educational Experience), ⑧ 관계

6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의 질(Quality of Relationships), ⑨ 시간사용(Time Usage), ⑩ 학교환경(Institutional


Environment), ⑪ 교육적 및 개인적 성장(Educational and Personal Growth), ⑫
만족도(Satisfaction) 등이고, 13번째 영역인 질문자 특성을 묻는 질문에는 출생연
도, 성, 외국인 학생 여부, 인종, 학년, 편입여부, 출신 고등학교 유형, 풀타임 여
부, 사교클럽 가입여부, 교내 체육팀 가입여부, 거주형태, 부모교육수준, 주전공 및
부전공 등이 포함된다.
NSSE는 학생의 교육경험 중 가장 중요한 측면을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42개
의 문항을 통해 5가지 기준(Benchmarks)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효과적인 교육
의 실제를 위한 국가적인 기준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그 기준은 다음
과 같다: ① 학문적 도전의 수준(Level of Academic Challenge), ②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Student Interactions with Faculty Members), ③ 지원적인 대학환경
(Supportive Campus Environment), ④ 능동적・협동적 학습(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⑤ 교육적 경험 쌓기(Enriching Educational Experience) 등이다. 5가
지 기준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학문적 도전 수준은 학생, 학습, 대학의 질 중심
요소인 지적・창의적 활동에 대한 기준을 의미하고,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은 학생
이 교수와 더욱 많이 접촉할수록 더 나은 교육적 성과가 산출된다는 측면에서 설정
되었다. 지원적인 대학환경은 대학이 학생의 성취에 지원적이고 다양한 그룹들 간
의 사회적 관계를 장려할 때 학생의 만족도와 성과수준이 높아진다는 측면에서 설
정되었고, 능동적・협동적 학습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교육에 직접적으로 참여할수록
교육의 효과가 높아진다는 측면에서 설정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경험 쌓기는
대학이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경험을 제공해야 한다는 측
면에서 설정되었다.

2) 영국의 NSS(National Student Survey)

영국은 자체평가, 외부평가, 연구소평가, 교육평가, 감사(audit) 등의 다양한 방


법의 평가활동이 이루어져 오면서 교육평가의 노하우가 축적해왔다는 특성을 갖는
다. 그러나 대학의 자체평가가 교육의 질과 수준을 판단하는 적절한 기준이 되지 못

62
Ⅱ. 이론적 배경

하고 비용 대비 효과도 적다는 비판이 거세지자 자체평가는 기관감사의 형태로 축


소되었고 전국 규모의 재학생 설문조사(National Student Survey) 형태의 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NSS는 입학 수준이 교육의 질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인식하에 학생들에게 장래 대
학선택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회적 책무성에 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
었다. 2003~2004년에 모의조사를 실시한 이후, 2005년도에 3만명을 대상으로 최
초로 전국조사가 실시되었다.
NSS는 매년 대학 졸업예정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수업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이메일과 온라인 설문조사의 형태로 실시된다. 조사 결과는 미래의 학생들이
대학과 수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줄 수 있다.
NSS는 7개의 영역에 총 2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1점(전혀 그
렇지 않다)~5점(매우 그렇다)의 Likert 척도 형식으로 구성된다. 7개의 영역은 ①
교수활동(Teaching on Course), ② 평가 및 피드백(Assessment and Feedback),
③ 학습지원(Academic Support), ④ 조직 및 운영(Organization and Management),
⑤ 학습자원(Learning Resource), ⑥ 자아개발(Personal Development), ⑦ 전반
적 만족도(Overall Satisfaction) 등이다.

3) 호주의 CEQ(Course Experience Questionnaire)

CEQ는 대학교육을 통해 문제해결능력, 분석능력, 팀워크능력, 필기커뮤니케이션


등의 개발과 향상을 위해 호주 대학질보장기구(Australian Quality Agency)에서
실시하는 조사이다. 대학졸업자를 대상으로 교육 및 학습 경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대학교육의 질 향상, 진학희망자에 대한 대학 정보제공, 기관운영의 개
선, 고등교육기관의 사회적 책무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는 대표적인 측정 도구이다.
설문조사는 매년 학생들이 졸업한 후 4개월이 지난 시기에 이메일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이는 학습경험시기와 측정시기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CEQ는 학습과정의 주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2년에 처음 실시되었
다. 그러나 대학에서의 학생들의 경험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끊임없

6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이 제기되었고, 특히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한 평가가 누락되었다는 점, 학


생들의 경험의 사회적 영역과 학습환경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 등이 지적되어
1990년대 후반 기존의 도구를 확장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수행되었다. 2002년에 새
롭게 개발된 CEQ는 11개 영역에 걸친 4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CEQ의 11개
영역은 ① 교수의 질(Good Teaching), ② 일반기술(Generic Skill), ③ 전반적 만족
도(Overall Satisfaction), ④ 명확한 목표와 기준(Clear Goals and Standards), ⑤
적절한 학습량(Appropriate Workload), ⑥ 적절한 평가(Appropriate Assessment),
⑦ 지적 동기화(Intellectual Motivation), ⑧ 학생지원(Student Support), ⑨ 졸업
생 자질(Graduate Qualities), ⑩ 학습자원(Learning Resource), ⑪ 학습공동체
(Learning Community) 등이다.
새로운 CEQ는 학습환경이나 자원 등과 같이 학습을 촉진시키는 환경적인 특성이
평가도구에 반영된 맥락중심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교수의 질, 일반기술, 전반적
만족도 3개 영역을 ‘핵심 CEQ’로 선정하고, 나머지 11개 영역은 각각의 대학들이 선
택하여 응답할 수 있다. 핵심 CEQ는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대학교육의 질 파악 및
비교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4) 종합

지금까지 학습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대학생


설문조사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맥락지향적인 접근방법으로, 학습과정
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학생들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대학의 교육적 실천과정
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그 결과를 신뢰하기 위해서 갖추어져야
할 요건들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학생 설문조사의 국외사례로 미국의 NSSE, 영국의 NSS, 호주의 CEQ를 예를
들어 알아보았다. 먼저 NSSE는 미국의 인디애나 대학 주관 하에 대학 1학년과 4학
년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 형식으로 실시되며, 12개 대영역 및 질문자 특성에
대한 총 107개 문항을 통한 결과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대학교육을 위한 국가적인
기준으로 5가지 영역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영국의 NSS는 정부차원에서 대학 졸업

64
Ⅱ. 이론적 배경

예정자를 대상으로 이메일 및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는 7개 영역 22문항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며, 그 결과 미래 학생들의 대학 및
수업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호주의 CEQ는 정부차원에서 대학 졸업 4개월 이내
의 학생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11개 영역 49문항을 물으며, 교수의 질, 일반기
술, 전반적 만족도 등의 3가지 “핵심 CEQ"를 통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대학교육의
질을 파악하고 비교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세 가지 설문조사는 모두 학생의 교육과정을 보여주는 교육경험을 알아본다는 공
동의 목표 하에, 대체로 교수(Teaching), 전반적 만족도, 학습지원 환경, 교수자 및
동료와의 관계, 개인이 지각하는 학습 성과 등의 조사영역을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차이점 또한 존재한다. 가령 NSS와 CEQ는 정부차원의 기관에서 주관
하는 반면, NSSE는 특정 대학의 연구기관에서 주관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NSSE의 경우는 질문 문항도 다른 조사보다 몇 배 이상 많다. 질문자의 특성을 별도
의 대항목으로 분류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다루었으며, 교수와 관련된 부분에서도
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영역을 세부적으로 나누었고, 여기에 학생 측면에서 들인 노
력의 정도에도 중점을 두었다. NSS와 CEQ는 조사항목이 상당히 유사하며, 주로 교
수(teaching)와 관련된 수업평가, 교수의 역량에 중점을 두었다. 전반적으로 NSS와
CEQ가 유사한 점을 지니며, NSSE가 다른 두 설문조사에 비해 학생의 경험에 초점
을 맞추었다는 차이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4. 시사점

지금까지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개념고찰과 관련 선행연구 분석 그리고 대


학생 학습과정 조사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고찰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대학생 학습과정 분석 도구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수업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학습관련 다양한 활동 이
진행되는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고, 크게 수업 중 활동과 수업 외 활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업 중 활동은 다시 수업준비활동, 과제수행활동, 수업에의 참여, 시험

6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및 평가활동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업 외 활동은 학습동아리, 자기계발 활동,


독서활동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수 및 학습을 지원하는 활동 역시
넓은 범위에서 학습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체제적 관점에서 대학생
의 학습과정을 조망한다면 학습과정의 개념 범주는 더욱 확장될 수 있다. 학습과정
을 체제 요소의 과정(process)로 볼 때, 교육시설・설비, 서비스, 교직원 등은 투입
(input)으로 볼 수 있고 수업만족도, 학습 성과, 대학 만족도 등은 산출(output) 요
인으로 볼 수 있다. 사실상 대학생의 학습과정의 구성 하위개념인 수업 중 과정과
수업 외 활동이 학습과정의 핵심이라고 한다면, 투입과 산출요인들은 학습과정의
원인과 결과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대학생의 학습
과정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구성에 반드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 결과 좋은 수업 및 바람직한 학습경험의 특징은 학생과의 친
밀성과 빈번한 상호작용, 학생의 능동적・적극적 참여, 교수의 전문적 지식 및 수업
에 대한 열성, 조직화되고 잘된 수업, 적절한 피드백과 격려 및 동기부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고려해 볼 때 좋은 수업과 학습경험을 위한 교수자와 대
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즉, 대학과 교수들은 학생들이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교실 내외에서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적극적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그리고 분석된 선행연구들은 대학생
의 학습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학습과정을 조사하는 것은 물론 인터뷰 혹은 학생들에게 학습일
지를 쓰게 하여 분석하는 양적・질적 연구방법을 다면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대학생의 학습경험을 이해하는데 빈번하게 활용된
항목들은 수업 중 활동과 수업 외 활동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 문항과 학습일지의
구성 내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대학생의 학습과정을 실제로 조사한 국내 사례는 대학생의 학습과정을 이해
하는데 제한적이기 때문에 학습과정의 중요성에 비추어 보아 본격적인 설문조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GOMS와 KEEP처럼 국가수준의 대학생 학습과
정을 조사・분석하기 위한 대규모 장기 추적조사가 필요하다. 일부 대학에서 미국의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 설문인 NSSE를 그대로 번역하여 쓰는 것은 학습과정의 중요

66
Ⅱ. 이론적 배경

성을 인식한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우리 학습 상황에 맞지 않는 문항들도 다수 포


함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 상황에 적합한 학습과정 조사도구를 정교하게 제작할 필
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따라 1차적으로 대학생의 학습과정 조사도구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넷째, 대학생의 학습과정을 실제로 조사한 국외 사례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학습과
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미국의 NSSE, 영국의
NSS, 호주의 CEQ는 모두 대학생의 학습경험을 다양하게 측정하고 있는바 교수, 학
습지원환경, 교수자 및 동료와의 관계, 학습 성과 등에 관해 설문하고 있다. 그중에
서도 NSSE는 학생들의 학습경험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설문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
업평가와 교수의 역량에 중점을 두는 NSS나 CEQ보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대학
생들의 학습과정 조사도구를 구안하는데 더 유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를 개발할 때 NSSE의 조사 문항을 적극 참고하되 학습경험은 다
분히 맥락지향적이기 때문에 우리의 상황과 현실에 부합되는 범위 내에서 참고해야
할 것이다.

67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1. 영역별 학습과정 실태 결과
2. 학습과정과 학습 성과의 관계 탐색
3.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의 주요 특징
4. 학습장애요인 및 개선방안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한국 대학의 여건과 특수성을 반영한 대학생 학습과정 조


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앞 장에서 대학생 학습과정의 의미와 개념적
구조에 대한 이론적 고찰, 관련 선행연구 분석, 그리고 국내외 대학생 학습과정 조
사도구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한국 대학생
의 학습과정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부록 1 참조). 개발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파
일럿 조사를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 4년제 50개 대학에 재학 중인 2,019명의 학생
들로부터 학습과정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었다.4)
이번 조사의 핵심 목적은 1차년인 금년 연구에서 개발된 조사도구의 타당도를 검
증하고 조사도구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조사 결과를 2011년
본조사용 대학생 학습과정 도구개발에 반영함으로써 이론적 검토→조사도구 개발→
실태조사 결과분석→조사도구 정비 및 표준화라는 귀납적・순환적 접근법의 조사도
구 개발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비록 조사 규모가 작지만 조사 결
과분석을 통해 한국 대학생들의 학습경험과 대학교육에서 학습과정 실태를 제한적
수준에서나마 살펴보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생설문조사를 활용한 학습과정 실태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학습
과정 분석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설문문항에 걸쳐 문항별 응답자
분포를 세밀하게 분석한 후 이를 영역별로 제시하여 학습과정 실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개인배경특성이나 대학배경특성에 따라 응답결과에 차
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개인배경 및 대학배경 변인별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 결과는 이후에 실시한 회귀분석에서 개인 및 대학 배경특성변인으로 구성
된 통제변인 선택에 반영하였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학습과정이 좋은 학습 성과

4) 대학생 설문조사 방법 회수 결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1장 3절 참조.

7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로 이어지는지를 밝히기 위해 중다회귀모형을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의 주요한 특징을 짚어보
고 한국 대학생 학습의 장애요인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1. 영역별 학습과정 실태 결과

가. 응답자의 배경 및 생활특성

먼저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에 참여한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정 및 학교 배경과 생활특성에 대해 질문하였고, 학교에 설치된 시설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1) 가정 및 학교 배경

가) 나이
설문조사에 참여한 국내 대학생들의 나이를 조사한 결과, 24세 이하가 74.2%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25세 이상은 25.8%를 차지하였다.

[그림 Ⅲ-1] 나이

72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나) 학년
응답자들의 학년을 2009학년도 2학기를 기준으로 하여 살펴본 결과, 4학년이
4.5%로 가장 적었고 1학년, 2학년, 3학년은 각각 29.2%, 32.7%, 33.7%로 비슷한
비율을 이루고 있다. 학년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므로 대학생들의 평균적인 학습
과정 또는 학습경험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림 Ⅲ-2] 학년

다) 성별
응답자들의 성별분포를 조사한 결과, 남자가 51.9%, 여자가 48.1%로 나타났는데
두 집단이 거의 비슷한 수준이나 남자가 비율상 조금 높았다.

[그림 Ⅲ-3] 성별

7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라) 부모학력
응답자들의 부모학력을 조사한 결과, 아버지 학력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49.8%, 전문대학 졸업 이상은 49.9%를 차지하여 두 집단이 거의 동일한 비율을 차
지하였다. 어머니 학력의 경우는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67.3%로 가장 많았고 전문
대학 졸업 이상은 32.1%로 그 뒤를 이었다.

<표 Ⅲ-1> 부모학력

학력 아버지 어머니
1005 1359
고등학교 졸업 이하
(49.8) (67.3)
1008 648
전문대학 졸업 이상
(49.9) (32.1)
6 12
모름/무응답
(0.3) (0.6)

마) 학비충당형태
설문응답자를 대상으로 대학 학자금 충당방법을 물어보았다. 부모님을 통해 학비
의 거의 전부를 충당한다는 응답자가 59.7%로 가장 높았으며, 부모님을 통해 전혀
학비를 충당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7.4%가 나왔다.
대출을 통한 학비충당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출을 통해 학비충당을 하지 않는다
는 답변이 84.3%로 가장 많았으며, 7.2%의 학생들은 대출을 통해 학자금을 충당한
다고 대답하였다.
장학금 또는 보조금을 통해 학자금을 충당하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71%의
학생들이 전혀 그렇지 않다고 대답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매우 약간의 학자
금만을 장학금 또는 보조금을 통해 조달한다는 학생이 8%로 그 다음으로 높았다.
일 또는 저축과 같은 방법으로 학비를 자체적으로 충당하는지에 대한 문항에 대
해 88.7%의 학생들이 전혀 그렇지 않다고 대답함으로써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
고, 학비의 매우 약간만을 자체적으로 충당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그 다음으로 높은
5.2%를 차지하였다.

74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학비를 회사지원을 통해 조달하는지를 조사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회사를 통해 조


달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95.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거의 전부를 회사를
통해 조달한다는 응답이 2.3%로 많았다.
배우자를 통해 학비를 충당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99.6%의 학생들이 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고, 반이하를 배우자를 통해 충당한다고 대답한 학생은 그
다음으로 많았으나 0.2%에 불과하였다.

<표 Ⅲ-2> 학비충당방법

전혀 없음 매우 약간 반이하 반정도 반이상 거의 전부


351 59 52 188 163 1206
부모님
(17.4) (2.9) (2.6) (9.3) (8.1) (59.7)
1702 38 47 53 33 146
대출
(84.2) (1.9) (2.3) (2.6) (1.6) (7.2)
1434 162 139 150 28 106
장학금 또는 보조금
(71.0) (8.0) (6.9) (7.4) (1.4) (5.3)
1790 104 56 34 11 24
자체충당(일, 저축 등)
(88.7) (5.2) (2.8) (1.7) (0.5) (1.2)
1926 12 14 16 5 46
회사에서 지원
(95.4) (0.6) (0.7) (0.8) (0.2) (2.3)
2011 2 4 1 0 1
배우자
(99.6) (0.1) (0.2) (0.0) (0.0) (0.0)

바) 계열
응답자들의 전공계열을 조사한 결과, 사회계열이 20.7%로 가장 많았고 인문계열
18.4%, 공학계열 18.2%로 그 뒤를 이었다. 의학계열은 6.5%로 가장 참여가 저조했
으며, 사범계열도 전체 9.0%로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7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그림 Ⅲ-4] 계열

사) 군 경력
군 경력 여부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해당사항 없다고 대답한 응답
자가 48.9%로 가장 많았고, 군 복무를 마쳤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35.6%로 그 뒤를
이었다. 군 입대 이전이거나 면제를 받았다고 한 응답자는 15.6%를 차지하였다.

[그림 Ⅲ-5] 군 경력

아) 진로계획

76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졸업 후 진로계획에 대한 물음에 대해 취업을 할 생각이라고 한 응답자가 61.4%


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국가고시 합격 또는 자격증 취득, 대학원 진학을 할 것
이라는 계획이 많았다.

[그림 Ⅲ-6] 진로계획

2) 주요 생활 특성

가) 평균학점
설문지 응답자들의 평균학점을 살펴본 결과, B- 이상이 94%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였고 C+ 이하는 5.9%에 불과하였다.

7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그림 Ⅲ-7] 평균학점

나) 공부시간
응답자들의 주당 공부시간을 조사한 결과, 전공 관련 공부시간이 2시간~4시간이
라는 학생이 15.1%로 가장 많았고, 8시간~10시간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14.7%로 두
번째로 많았다. 4시간~6시간이라고 대답한 학생이 14.3%로 세 번째로 많았다.
전공 외 학습시간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물음에 대해, 4시간~6시간이라고 응답
한 학생이 15.8%로 가장 많았고, 30분이하라고 응답한 학생이 15.6%로 두 번째로
많았다. 그 다음이 2시간~4시간, 1시간~2시간 순서로 나타났다.

<표 Ⅲ-3> 주당 공부시간

30분 1 시간 2시간 4 시간 6 시간 8 시간 10 시간 15 시간 20 시간
30 분 30시간
구분 ~ ~ ~ ~ ~ ~ ~ ~ ~
이하 이상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0시간 15시간 20시간 30시간
① 전공 관련 66 108 178 305 288 181 296 230 183 132 52
학습 시간 (3.3) (5.3) (8.8) (15.1) (14.3) (9.0) (14.7) (11.4) (9.1) (6.5) (2.6)
② 전공 학습
314 210 238 293 320 150 233 94 102 44 21
외의 모든
(15.6) (10.4) (11.8) (14.5) (15.8) (7.4) (11.5) (4.7) (5.1) (2.2) (1.0)
학습 시간

78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다) 통학시간
응답자들의 통학시간을 정리한 결과, 통학시간이 1시간 미만이라고 응답한 학생
은 75.4%로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통학시간이 1시간이 넘는 학생은 24.6%였다.

[그림 Ⅲ-8] 통학시간

라) 거주형태
응답자들의 거주형태를 살펴보면, 자택에 산다고 대답한 학생이 56.4%로 가장 많
았으며, 원룸/친척집/고시원 등에 산다고 대답한 학생은 23.4%로 그 다음으로 많았
다. 세 번째로 많은 것은 기숙사 거주로 16.9%를 차지하였다.

[그림 Ⅲ-9] 거주형태

7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마) 직업 활동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


설문조사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직업 활동을 하는지와 직업 활동을 한다면 한 주
에 평균 몇 시간 일을 하는지를 물었다. 먼저 교내에서 직업 활동을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 응답자 중 74.1%가 전혀 하지 않는다고 대답하였고, 10시간 미만 노동을 한
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16%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교외에서 직업 활동을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 응답자 중 54.8%가 교외 직업 활동
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대답하였고, 그 다음으로 많은 22.4%가 10시간 미만 노동을
한다고 대답하였다. 11~20시간 노동을 한다고 대답한 응답자도 12.2%에 이르렀다.

<표 Ⅲ-4> 직업 활동 시간

11 시간 21 시간 직업
직업 활동 시간 10시간 미만 30시간 이상
~20시간 ∼30시간 없(었)음
323 114 38 47 1497
교 내
(16.0) (5.6) (1.9) (2.3) (74.1)
453 246 109 104 1107
교 외
(22.4) (12.2) (5.4) (5.2) (54.8)

직업 활동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질문에 대해 직업으로 인해 학업시


간을 약간 빼앗겼다는 의견이 44.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직업 활동이
학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의견은 41.6%로 그 다음 순위였다.

[그림 Ⅲ-10] 직업 활동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

80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바) 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


음주로 인해 학업에 방해된 경험이 있는지를 조사하여 보았더니, 응답자의 49.7%
가 학업에 방해된 경험이 없었다고 대답하였다. 가끔 있었다는 응답자는 41.2%였다.

[그림 Ⅲ-11] 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

3) 시설 및 서비스 만족도

① 자습 및 휴식 공간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재학하고 있는 학교의 자습공간 및 휴식공간에 대한 만족도
를 조사하였다. 조금 만족한다는 의견이 43.6%로 가장 많았다. 조금 불만이라는 의
견은 24.4%로 그 다음으로 많았고, 매우 만족한다는 의견은 20.5% 정도였다.

② 토의 및 토론 공간
토의 및 토론 공간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조금 만족한다는 의견이 37.3%
로 가장 많았고, 조금 불만이라는 의견이 31.2%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매우 만족한
다는 의견은 14.8%를 차지하였다.

8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③ 학교 기숙사
학교 기숙사 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재학 중인 학교에 기숙사가 없거
나 기숙사가 있어도 거주한 경험이 없는 학생이 42%로 가장 많았다. 학교 기숙사
경험자들 중 21.4%는 조금 만족한다는 답변을 하였다. 15.8%는 조금 불만족이라고
답하였다.

④ 강의실 설비
강의실 설비 만족도에 대해 의견을 물은 결과, 42%의 응답자가 조금 만족한다는
대답을 하였다. 그 다음으로 조금 불만이라는 의견은 25.1%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매우 만족한다는 의견은 세 번째로 22.3%를 차지하였다.

⑤ 도서관 시설
응답자들에게 도서관 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물은 결과, 조금 만족한다는 의견이
41.5%로 가장 많았고, 매우 만족한다는 의견이 30.9%로 두 번째로 많았다. 조금 불
만족스럽다는 의견은 18%로 세 번째를 차지하였다.

⑥ 전공 관련 실험실 시설 및 장비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실 시설 및 장비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금 만족
한다는 의견이 38.5%로 가장 많았으며, 조금 불만족스럽다는 의견은 24.4%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매우 만족스럽다는 의견은 18.8%를 차지하였다.

⑦ 컴퓨터 및 IT 시설 설비
컴퓨터 및 IT 시설 만족도에 대해서는 조금 만족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42.2%). 그 다음은 조금 불만스럽다는 의견이 24.5%로 많았다. 매우 만족한다는
의견도 20.1%에 이르렀다.

⑧ 학교에 설치된 학습역량 지원센터(reading, writing)


교내에 설치된 학습역량 지원센터의 활용과 만족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조금 만

82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족한다는 의견이 36.8%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학습역량 지원센터를 활용해 본


경험이 없다는 의견이 22.7%로 많았다. 조금 불만이라는 의견이 20.1%를 차지하였다.

⑨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헬스케어 시설


설문응답자들을 대상으로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헬스케어 시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26.5%의 응답자들이 조금 만족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 다음은
활용경험이 없다는 의견으로 24.8%를 차지하였고, 조금 불만족스럽다는 의견은
21.5%였다.

⑩ 건강 ・복지 상담 서비스
교내 건강 및 복지 상담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조금 만족스럽다는 의견이
29.7%로 가장 많았다.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없다는 의견은 25.3%로 그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으며, 조금 불만족스럽다는 의견은 22.0%에 이르렀다.

쇶 교수학습지원 및 튜터링 서비스



교수학습지원 및 튜터링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조금 만족스럽다는
결과는 34.6%로 가장 많았다. 조금 불만이라고 한 응답자는 22.5%로 그 뒤를 이었
고, 서비스 활용경험이 없다고 한 응답자는 21.3%를 차지하였다.

쇷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 ・문화행사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문화행사에 대한 만족도를 문의한 결과는 조금 만족스럽
다는 응답자가 41.6%로 가장 많았다. 조금 불만이라는 응답자는 23.8%로 그 뒤를
이었다.

쇸 직업 및 경력 관련 상담 및 조언

직업 및 경력 관련 상담 및 조언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조금 만족스럽다
고 응답한 학생이 35.1%로 가장 많았고, 조금 불만스럽다고 대답한 학생은 그 다음
으로 많은 25%를 차지하였다.

8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쇹 장학금 지원 프로그램

학교의 장학금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조금 만족스럽다고 대답한 학생이
35.7%로 가장 많았고 조금 불만스럽다고 대답한 학생은 23.8%로 그 뒤를 이었다.
매우 만족스럽다고 한 학생은 16.3%를 차지하였다.

쇺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조금 만족스럽다고 한 응답자
는 43.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조금 불만스럽다고 한 응답이 많았는데
26.5%를 차지하였다. 매우 만족스럽다고 한 응답자는 12.6%였다.

<표 Ⅲ-5> 시설 및 서비스 만족도

활용
매우 조금 조금 매우 (사용 ) 학교에
문 항
불만 불만 만족 만족 경험 없음
없음
183 492 880 414 50 0
29-1. 자습 및 휴식 공간
(9.1) (24.4) (43.6) (20.5) (2.5) (0.0)
211 629 754 299 126 0
29-2. 토의 및 토론 공간
(10.5) (31.2) (37.3) (14.8) (6.2) (0.0)
176 318 432 243 848 0
29-3. 학교 기숙사
(8.8) (15.8) (21.4) (12.0) (42.0) (0.0)
185 506 847 450 31 0
29-4. 강의실 설비
(9.2) (25.1) (42.0) (22.3) (1.5) (0.0)
146 363 840 624 46 0
29-5. 도서관 시설
(7.2) (18.0) (41.8) (30.9) (2.3) (0.0)
221 489 778 379 152 0
29-6. 전공 관련 실험실 시설 및 장비
(10.9) (24.2) (38.5) (18.8) (7.5) (0.0)
160 495 853 405 106 0
29-7. 컴퓨터 및 IT 시설 설비
(7.9) (24.5) (42.2) (20.1) (5.3) (0.0)
29-8. 학교에 설치된 학습역량 지원 센터 141 406 743 267 459 3
(reading, writing) (7.0) (20.1) (36.8) (13.2) (22.7) (0.1)
29-9.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및 287 435 536 260 501 0
헬스케어 시설 (14.2) (21.5) (26.5) (12.9) (24.8) (0.0)

84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활용
매우 조금 조금 매우 (사용 ) 학교에
문 항
불만 불만 만족 만족 경험 없음
없음
231 461 600 216 511 0
29-10. 건강, 복지 상담 서비스
(11.4) (22.8) (29.7) (10.7) (25.3) (0.0)
182 454 698 254 431 0
29-11. 교수・학습지원 및 튜터링 서비스
(9.0) (22.5) (34.6) (12.6) (21.3) (0.0)
168 481 840 273 257 0
29-12.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문화 행사
(8.3) (23.8) (41.6) (13.5) (12.7) (0.0)
187 504 708 240 380 0
29-13. 직업 및 경력관련 상담 및 조언
(9.3) (25.0) (35.1) (11.9) (18.8) (0.0)
295 480 721 330 193 0
29-14. 장학금 지원 프로그램
(14.6) (23.8) (35.7) (16.3) (9.6) (0.0)
195 535 879 254 156 0
29-15.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9.7) (26.5) (43.5) (12.6) (7.7) (0.0)

나. 수업 외 학습경험

1) 도서관 활용

대학생들의 도서관 활용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도서관 이용횟수에 관한 질문을


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중 11.1%가 거의 안함으로 응답했으며, 39.5%가 가
끔이라고 응답하였다. 매우 자주 도서관을 찾는 학생은 15.9%에 불과했다. 전반적
으로 절반 이상의 학생들만 자주 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6> 도서관 활용

문 항 거의 안함 가끔 자주 매우 자주
225 798 675 321
도서관 이용 빈도
(11.1) (39.5) (33.4) (15.9)

8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2) 도서관 이용목적

도서관 이용 목적에 관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시험공부를 위해 도서관을 이용


한다는 비율(22.7%)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높은 것은 과제작성(10.6%)이었
다. 예상과는 달리, 취업준비의 목적으로 도서관을 가끔씩 방문하거나 거의 사용
하지 않는 비율이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여가를 위한 목적이나 매체활용을 위
해 도서관을 빈번히 방문하는 학생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7> 도서관 이용 목적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345 804 655 215
과제를 위해서 이용함
(17.1) (39.8) (32.4) (10.6)
590 763 500 166
수업 외 관심분야, 취미 및 여가와 관련해 이용함
(29.2) (37.8) (24.8) (8.2)
283 572 705 459
시험공부를 위해 이용함
(14.0) (28.3) (34.9) (22.7)
975 551 328 165
취업준비를 위해 이용함
(48.3) (27.3) (16.2) (8.2)
786 720 387 126
매체 활용을 위해 이용함
(38.9) (35.7) (19.2) (6.2)

3)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대학생들의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수업 발표 준비(23.5%)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활용빈도가 매우 높았으
며, 반대로 수업의 예・복습을 위한 컴퓨터나 여러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빈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절반이상의 학생들은 수업발표 준비나 인터넷
사용을 목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86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표 Ⅲ-8>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문 항 거의 안함 가끔 자주 매우 자주
286 757 659 317
수업 예・복습을 위한 컴퓨터 활용
(14.2) (37.5) (32.6) (15.7)
162 601 781 475
수업 발표 준비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활용
(8.0) (29.8) (38.7) (23.5)
213 562 734 510
수업 준비 목적이 아닌 인터넷 활용
(10.5) (27.8) (36.4) (25.3)

4) 글쓰기 태도

대학생들의 글쓰기 태도에 관한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응답한 학생 중 70%


이상은 자신의 글을 타인에게 가끔 검토를 요청하거나 요청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매우 자주 자신의 글을 검토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는 학생은 불과 3.7%였고,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자신의 글을 타인에게 검토를
요청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자신이 쓴 글을 두 번 이상 퇴고한
다고 응답한 학생은 49%였다. 반면에 51%의 응답자는 글을 쓴 후에 퇴고과정을 거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9> 글쓰기 태도

문 항 거의 안함 가끔 자주 매우 자주
내가 쓴 문장이 명료한지 다른 사람에게 검토 659 880 405 75
를 부탁함 (32.6) (43.6) (20.1) (3.7)
만족하기 전까지 내용과 구성에 대해 2번 이상 286 734 741 258
수정함 (14.2) (36.4) (36.7) (12.8)

5) 읽기・쓰기 분량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의 읽기・쓰기 분량을 살펴보면, 읽기 분량에 큰 차이 없이


1-4편 정도의 보고서를 작성하고 제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읽은 독서

8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량을 살펴보면, 수업과 관련되어 읽은 교재의 수는 1-4편이 전체 응답자 중 절반이


상을 차지했으며 전혀 없었다고 응답한 학생은 5.8%에 불과했다. 교재와 관련된 서
적을 20편 이상 읽는 학생의 수는 매우 낮은 3.9%에 불과 했다. 수업과 상관없이
읽은 도서의 수를 살펴보면, 절반 이상이 1-4편의 책을 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전혀 읽지 않는 학생은 전체 대상자의 10.6%로, 10명 중 1명은 수업과 관련 없
는 서적을 한편도 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독서량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0> 읽기・쓰기 분량

전혀 20 편
문 항 1-4편 5-10편 11-20편
없음 이상
교재, 부교재 등 수업 관련 책 한권 분량 117 1095 604 125 78
으로 읽은 도서 수 (5.8) (54.2) (29.9) (6.2) (3.9)
수업과 상관없이 개인적 즐거움 또는 학문 215 1065 481 164 94
적 풍요로움을 위해 스스로 읽은 도서 수 (10.6) (52.7) (23.8) (8.1) (4.7)
640 966 297 78 38
15쪽 이상 써낸 논문 또는 보고서
(31.7) (47.8) (14.7) (3.9) (1.9)
5쪽이상 14쪽 이하로 써낸 논문 또는 372 1036 450 106 55
보고서 (18.4) (51.3) (22.3) (5.3) (2.7)
277 1069 425 148 100
5쪽 미만으로 써낸 논문 또는 보고서
(13.7) (52.9) (21.1) (7.3) (5.0)

6) 다양한 배경의 학생 간 교류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 간 교류현황에 관한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53.4%의 학


생들은 다른 나라의 친구와 친해지려고 가끔, 자주, 또는 매우 자주 노력하는 것으
로 나타났는데, 이는 국제화를 추구하고 있는 국내 대학의 정책이 주효하게 작용하
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 하겠다.

88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표 Ⅲ-11> 다양한 배경의 학생 간 교류

문 항 거의 안함 가끔 자주 매우 자주
941 650 314 114
다른 나라의 친구와 친해지려고 노력함
(46.6) (32.2) (15.6) (5.6)
가치관 및 세계관이 나와 다른 친구와 774 801 372 72
심도 있는 토의를 함 (38.3) (39.7) (18.4) (3.6)
정치적 견해가 나와 다른 친구와 심도 900 724 325 70
있는 토의를 함 (44.6) (35.9) (16.1) (3.5)
종교적 신념이 나와 다른 친구와 심도 1124 599 218 78
있는 토의를 함 (55.7) (29.7) (10.8) (3.9)

반면 가치관이나 정치적 견해, 종교적 신념이 다른 학생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는


학생은 5%미만에 불과한 것을 보면 응답한 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자신과 다른 타
인과의 사회적 교류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7) 각종 주제별 대화 경험

대학생들의 토론 경험에 관한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문학, 역사, 철학, 예술 등에


관한 토론에 가끔 참여한다는 응답이 46%로 가장 높았으며, 매우 자주 한다는 학생
의 비율은 7%에 불과했다. 과학 분야와 관련된 토론 주제에 가끔 참여한다는 학생
의 비율이 가장 높은 41.1%였고, 매우 자주 참여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5.1%에 불과
했다. 49.2%의 학생은 다양한 사회문제에 관한 토론에서 가끔 참여한다고 응답하였
고, 거의 안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26%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설문에 응답한 학생
들은 다양한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Ⅲ-12> 각종 주제별 대화 경험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492 929 456 142
문학, 역사, 철학, 예술 등
(24.4) (46.0) (22.6) (7.0)
696 830 391 102
컴퓨터 및 과학기술, 에너지 공해, 화학, 유전학 등
(34.5) (41.1) (19.4) (5.1)
526 993 407 93
평화, 평등, 인종, 경제, 국제관계 등 국내・외 사회문제
(26.1) (49.2) (20.2) (4.6)

8) 예술, 스포츠 및 자기계발 활동

대학생의 예술, 스포츠 및 자기계발 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 문항의 결


과를 살펴보면, 공모전, 선발전 및 각종 경시대회 활동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스포츠관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종 프로젝트에 자주 참여하고 있다는 학
생은 20%미만이었고, 공연 및 각종 전시회 관람을 자주 하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30%미만이었다. 전반적으로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은 자기계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3> 예술, 스포츠 및 자기계발 활동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415 937 491 176
공연 및 각종 전시회 관람
(20.6) (46.4) (24.3) (8.7)
560 840 461 158
스포츠 경기 관람
(27.7) (41.6) (22.8) (7.8)
827 819 308 65
각종 프로젝트 참여 활동
(41.0) (40.6) (15.3) (3.2)
1149 596 215 59
공모전, 선발전 및 각종 경시대회 참여 활동
(56.9) (29.5) (10.6) (2.9)

90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9)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표 Ⅲ-14>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869 494 367 289
동아리 활동에 참여함
(43.0) (24.5) (18.2) (14.3)
1085 461 280 193
학생회 조직 및 학생회 활동에 참여함
(53.7) (22.8) (13.9) (9.6)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를 하거나 지역사회봉사 1007 670 274 68
활동을 함 (49.9) (33.2) (13.6) (3.4)
수업의 일환으로 자원붕사 또는 지역사회봉사 1127 622 212 58
활동을 함 (55.8) (30.8) (10.5) (2.9)
1461 297 166 95
교내・외에서 종교 활동을 함
(72.4) (14.7) (8.2) (4.7)

설문에 응답한 대학생들의 동아리 및 종교 활동 실태를 살펴보면, 60%이상의 학


생들은 동아리나 학생회 활동에 가끔 참여하거나 거의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자원봉사활동의 참여 또한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났고, 종교 활동 또한 활발
히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학습 스터디 및 자기계발 활동

대학생들의 스터디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응답자들은 수업과 관련된 스터디를 수


업 외 스터디나 취업・진로와 관련된 스터디보다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인 스터디 활동을 살펴보면, 70%이상의 학생은 적극적으로
스터디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자신의 학업이나 자기계발 측면에서 스터디 모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9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Ⅲ-15> 학습 스터디 및 자기계발 활동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664 823 406 126
수업과 관련된 스터디 활동
(32.9) (40.8) (20.1) (6.2)
수업 외 관심학문 분야 스터디 및 학습 커뮤니티 814 777 334 94
활동 (40.3) (38.5) (16.5) (4.7)
981 671 283 84
취업・진로와 관련된 스터디 활동
(48.6) (33.2) (14.0) (4.2)

11) 대외경험

설문에 응답한 대학생들의 대외경험을 살펴보면, 놀랍게도 90%이상의 학생들은


대외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외경험 중 가장 높은 참여 비율을 나타낸 것은
어학연수였지만, 그 비율은 8.4%에 불과했다.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가장 낮은 1.6%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결과를 고려했을 때, 학생들이 다양한 대외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관련된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표 Ⅲ-16> 대외 경험

문 항 참여한 적 없음 참여한 적 있음 참여 중
1844 170 5
어학연수
(91.3) (8.4) (0.2)
1965 54
교환학생 -
(97.3) (2.7)
1936 74 9
국내 인턴십 프로그램
(95.9) (3.7) (0.4)
1987 32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
(98.4) (1.6)

92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다. 수업 중 학습경험

1) 수업 준비

대학생들의 수업 준비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읽기나 숙제를 다 마치고 수업에 참


여한 정도를 질문하였다. 조사결과, 동 문항에 대한 응답 분포는 거의 안함이
19.2%, 가끔이 45.4%, 자주하거나 매우 자주한다고 답한 학생들은 전체의35.4%에
해당하는 714명이었다. 즉, 5명 중 1명꼴로 수업 준비를 거의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반면 수업 준비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고 한 학생은 전체 응답자의 35%에 그쳤다.

<표 Ⅲ-17> 수업 준비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388 917 559 155
읽기나 숙제를 다 마치고 수업에 참여함
(19.2) (45.4) (27.7) (7.7)

2) 질의에 대한 응답, 질문, 토의, 노트 필기

수업 중에 수행되는 다양한 학습활동에 대한 참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4개 문항


이 설계되었으며 각 문항별 응답 결과는 아래 표에 제시되었다. 몇 가지 주목할 만
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표, 질문, 토의, 노트 필기 등의 수업 활
동 중에서 특히 질문을 통한 수업 참여가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중
질문한 경험에 대한 응답 분포는 거의 안함이 22.9%, 가끔이 47.4%, 자주 및 매우
자주가 29.7%로 응답자 5명 가운데 1명 이상의 비율로 거의 질문을 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답변을 제시하였으며 자주 또는 매우 자주한다는 응답자의 비율도 30% 이
하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3개 문항에 대한 응답 분포 결과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 반대로 노트참여 활동 경험은 긍정적 응답이 우세하였으며 수
업 중 발표 경험도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응답이 우세하였다.

9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Ⅲ-18> 질의에 대한 응답, 질문, 발표, 노트필기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276 1034 581 128
수업 중 교수의 질문에 응답함
(13.7) (51.2) (28.8) (6.3)
462 957 484 116
수업 중 궁금한 사항에 대해 질문함
(22.9) (47.4) (24.0) (5.7)
276 869 640 234
수업 중 발표(프리젠테이션), 토론 및 토의에 참여함
(13.7) (43.0) (31.7) (11.6)
74 432 728 785
수업시간 중 필기를 함
(3.7) (21.4) (36.1) (38.9)

3) 동료들과의 협동을 통한 수업과제 수행

협동학습은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


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수업을 듣는 친구들뿐만이 아니라 같은 수업을 듣지 않는
친구들과의 협동학습 경험을 조사하였다. 수업과제를 위해 동일 수업 수강생들과
도움을 주고받은 경험에 관한 문항의 응답 분포는 거의 안함이 6.1%, 가끔이
35.1%, 자주 및 매우자주가 58.8%로 앞에서 살펴본 학습경험에 비해 학생들의 학습
경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수업 수강생들이 아닌 동료들과 함께 수업
과제를 준비한 경험은 이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는데 거의 안함이 26.5%, 가끔이
42.1%, 자주 및 매우자주가 31.4%였다.

<표 Ⅲ-19> 동료들과의 협동을 통한 수업과제 수행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수업과제(조별발표, 프레젠테이션 등)를 위해 동일 123 708 847 341
수업 수강생들과 도움을 주고받음 (6.1) (35.1) (42.0) (16.9)
수업과제(조별발표, 프레젠테이션 등)를 위해 동일 535 851 500 133
수업 수강생이 아닌 학생과 도움을 주고받음 (26.5) (42.1) (24.8) (6.6)

94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4) 수업내용의 연계, 종합, 대안모색, 응용

문제해결능력, 통합적 사고력, 응용력 등의 일반핵심능력은 전공 및 교양 지식과


더불어 대학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과제이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이
러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수업내용을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을까? 본 연구에서는
4개의 하위 문항을 통해 이를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10명 중 약 4.5명의 응답자가
가끔 수업내용을 연계해 보거나, 경험과 정보 등을 연계해 보거나, 문제해결방안이
나 대안을 생각해 본 경험이 거의 없다고 응답한 가운데 10명 중 1명은 이러한 학습
경험이 거의 없다고 응답하였다. 수업내용을 일상생활에 응용해 본 경험의 경우, 조
사참여자의 약 20%가 거의 없다고 응답하였다.

<표 Ⅲ-20> 수업내용의 연계, 종합, 대안모색, 응용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숙제 또는 토론 수업을 할 때 다른 수업으로부터 236 991 628 164
얻은 생각들과 개념들을 연결해 봄 (11.7) (49.1) (31.1) (8.1)
아이디어, 경험,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연결하여 257 887 691 184
생각해봄 (12.7) (43.9) (34.2) (9.1)
270 862 721 166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을 모색함
(13.4) (42.7) (35.7) (8.2)
345 966 560 148
수업에서 배운 개념을 일상생활에 응용함
(17.1) (47.8) (27.7) (7.3)

5) 타인에게 학습한 내용을 설명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타인에게 설명하는 활동도 학습효과 증진에 도움에 되는


학습경험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수업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 보았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 거의 안함이 12.6%, 가끔이 49.5%, 자주 또는
매우자주가 37.9%였다. 또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다른 사람에게 이를 설명
해 본 경험을 묻는 문항의 응답 분포는 거의 안함이 18%, 가끔이 50.9%, 자주 및
매우 자주가 31.1%로 나타났다.

9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Ⅲ-21> 타인에게 학습내용을 설명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함 255 999 603 162
(동료 학생, 친구, 가족 등) (12.6) (49.5) (29.9) (8.0)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다른 사람에게 364 1027 521 107
이것들을 설명함 (18.0) (50.9) (25.8) (5.3)

6) 수업 참여의 성실도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얼마나 성실하게 수업에 참여하고 있을까? 5개의 문항을 활


용해 학생들의 수업 참여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에 제시되었다. 제
출 기한을 넘겨 수업과제를 제출해 본 경험에 대해 응답자의 66.4%가 거의 하지 않
았다고 답했고 가끔이 25.9%, 자주 및 매우자주는 7.8%에 그렸다. 수업에 결석해
본 경험에 관한 문항의 응답 분포는 거의 안함이 72.1%, 가끔이 23.0%, 자주 및 매
우자주는 4.9%에 지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학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불성실한 경험 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 다른 항목에 대한 조
사결과의 경우 대학생들의 수업 참여가 성실하다고 말할 수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수업에 지각해 본 경험에 관한 문항의 응답 분포는 거의 안함이
57.2%, 가끔이 34.9%, 자주 및 매우자주가 8.8%였고 수업시간에 잠을 잔 경험을
묻는 문항에 대해 약 40%의 응답자는 거의 하지 않았다고 답했으나 응답자의 절반
에 이르는 48%의 학생들은 가끔 잠을 잤다고 답했고 10명 중 1명은 자주 또는 매우
자주 수업시간에 잔다고 답했다. 또한 수업시간에 메신저나 문자를 보낸 경험 관한
문항의 응답 분포는 거의 안함이 36.5%, 가끔이 46.3%, 자주 및 매우자주가 17.3%
로 나타났다.

96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표 Ⅲ-22> 수업참여의 성실성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1340 522 125 32
제출 기한을 넘겨서 수업과제를 제출함
(66.4) (25.9) (6.2) (1.6)
1455 464 79 21
수업에 결석함
(72.1) (23.0) (3.9) (1.0)
1154 686 154 25
수업에 지각함
(57.2) (34.0) (7.6) (1.2)
815 986 183 35
수업시간에 졸거나 잠
(40.4) (48.8) (9.1) (1.7)
737 934 292 56
수업시간에 메신저를 하거나 문자를 보냄
(36.5) (46.3) (14.5) (2.8)

7) 수업 방법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수업 방법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아직


까지는 전통적인 수업 방법인 강의실 면대면 수업이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 나타났
다. 83.8%의 응답자들이 수강하는 과목의 80% 이상이 강의실 면대면 수업으로 이
루어지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수강과목의 60%-80% 정도가 면대면 수업이라고 응답
한 학생들은 10명 중 1명이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수업 경험은 매우 낮은 것을 조
사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84.4%가 수강과목의 20% 미만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수강과목의 20%-40%가 온라인 수업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비율도 11.1%에 머물렀다.

<표 Ⅲ-23> 수업 방법

20% 20 ∼ 40 ∼ 60 ∼ 80%
문 항
미만 40% 60% 80% 이상
53 77 111 227 611
강의실 면대면 수업(on-campus)
(2.6) (3.8) (5.5) (11.2) (83.8)
1705 224 76 8 6
온라인 수업(on-line)
(84.4) (11.1) (3.8) (0.4) (0.3)

9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8) 수업 및 과제분량

수업 부담, 시험 및 과제 분량을 조사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학업 부담 정


도를 알아보았다. 먼저 수강 강좌수별 응답자 분포를 살펴보면, 7강좌를 수강한 학
생은 36.4%, 6강좌를 수강한 학생은 27.2%, 8강좌는 18.3%, 9강좌는 8.0%, 5강좌
는 6.8%, 10강좌는 2.8%, 11가좌는 0.4%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간/기말고
사와 같은 정기시험을 한 학기당 9회 이상 경험했다고 응답한 학생이 과반수를 넘는
57.9%로 조사되었으며 7회-8회는 12.7%, 5회-6회는 10.5%로 조사되었다. 한편,
쪽지시험이나 퀴즈 형태의 시험의 경우 전체 조사참가자의 66.4%가 한 학기당 4회
이하라고 응답하여 부정기적인 시험은 보편적인 시험 형식으로 활용되지 않음을 보
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 학기동안 학생들이 수행한 과제 수는 9회 이상이
32.5%, 7-8회가 12.5%였는데 6회 이하의 과제를 수행하였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전
체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4.8%로 조사되었다. 과제 분량에 관한 이러한 조사결과
를 학기당 수강 과목에 관한 조사에서 6강좌-9강좌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전체 응답
자의 80% 이상이었다는 사실과 종합하여 볼 때, 한 과목당 과제수가 1개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표 Ⅲ-24> 시험 및 과제분량

문 항 1-2회 3-4회 5-6회 7-8회 9회 이상


245 137 211 256 1170
정기시험(중간/기말고사)
(12.1) (6.8) (10.5) (12.7) (57.9)
812 528 265 113 266
부정기 시험(쪽지시험, 퀴즈 등)
(40.2) (26.2) (13.1) (5.6) (13.2)
247 412 449 252 656
과제 수
(12.2) (20.4) (22.2) (12.5) (32.5)

9) 교수와의 상호작용

대학생과 교수 간에 이루어지는 교류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5개의 문항을 활용

98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대학생과 교수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은 전반적으


로 저조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 5개 문항에 대해, 응답자의 40% 이상 또는
거의 40%에 달하는 학생들이 거의 경험하지 못했다고 답하였다. 또한 수강신청을
상의하기 위한 교류, 수업 및 진로 이외 개인적 교류에 대해 각각 응답자의 9.2%,
13.3%가 자주 또는 매우 자주 교수와 교류한 적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개 문항 중 상대적으로 교류 빈도가 높았던 항목은 수업 및 과제와 관련한 교류,
진로 상담을 위한 교류였으나 이들 역시 자주 또는 매우 자주 교류하였다고 응답한
학생이 5명 중 1명 정도에 불과하였다.

<표 Ⅲ-25> 교수와의 상호작용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 항
안함 자주
1269 564 151 35
수강 신청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62.9) (27.9) (7.5) (1.7)
790 819 347 63
수업 내용 및 과제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39.1) (40.6) (17.2) (3.1)
820 833 302 64
시험 및 성적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40.6) (41.3) (15.0) (3.2)
833 772 328 86
진로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41.3) (38.2) (16.2) (4.3)
수업 또는 진로 이외의 일(식사, 술자리, 취미 등)로 961 790 224 44
교수들과 교류함. (47.6) (39.1) (11.1) (2.2)

10)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대학생들이 학내에서 지원적인 분위기 속에서 소속감을 느끼며 학습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해 보기 위해, 동료, 행정직원, 교수진과의 상호관계 특성을 조사하였
다. 먼저, 동료학생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1.1%가 친근하고 지원적
이며 소속감을 느끼고 있다는 지시문에 동의를 표하였다. 반면 행정직원과의 상호
작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응답결과가 우세하였다. 경쟁적이며 무관심하다고 응답
한 학생들도 16.4%에 달했다. 마지막으로 교수진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지

9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시문에 대한 답변이 우세하였지만 4간 척도로 측정된 조사에서 최고점인 4점에 응


답 분표가 15.4%에 머물러 교수-학생과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
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었다.

<표 Ⅲ-26>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경쟁적 , 친근한 ,
무관심한 , 지원적 ,
문 항
소외감 소속감
← ① ② ③ ④ →
85 248 857 829
선배 및 동료 학생과의 관계
(4.2) (12.3) (42.4) (41.1)
행정직원 및 조교, 각종 지원센터 상담자와의 331 635 775 278
관계 (16.4) (31.5) (38.4) (13.8)
128 513 1068 310
교수진과의 관계
(6.3) (25.4) (52.9) (15.4)

라. 수업 만족도

수업 만족도는 대학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대학생활을 통


해 들었던 다양한 수업들에 대해 학생들이 어느 정도 만족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09년도 2학기에 수강한 전공, 교양을 포함한 모든 수업에 대하여 전반적인 의견
을 조사하였다. 수업 만족도는 모두 13개 문항으로 조사하였는데 그 중 가장 먼저
전체적인 수업의 질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공, 교양 모두 만족한
다는 의견이 각각 66.0%, 6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 <표 III-27>의 항목별
응답률을 살펴보면 교양수업보다는 전공수업의 만족도가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다.

100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표 Ⅲ-27> 수업의 전반적인 질에 대한 만족도

매우 그렇지 그렇다 매우
구 분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45 317 1320 319
전공
(2.2) (15.8) (66.0) (15.9)
59 355 1153 131
교양
(3.5) (20.9) (67.9) (7.7)

1) 수업 방식

수업방식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5개 문항을 조사하였다. 각 문항별로 조


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방식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이 이해수준보다 기억수준을
강조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전공수업의 경우는 47.6%가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16.1%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하여 63.7% 정도는 수업이 기억수준을 더 강조했다는
데 의견을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교양수업에서도 나타난다. 교양수업 역시
56.0%가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15.0%가 매우 그렇다고 응답하여 전공수업 보다는
기억수준을 강조 경향이 약간 높게 나타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실제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 방식을 개선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수업의 목적의식과 방향성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의 목표와
기대수준이 명확한지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전공수업의 경우 58.2%가 그렇다고 응
답하여 과반수이상이 수업의 목적의식과 방향성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교양수업의 경우 역시 54.9%가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하여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나 전공수업에 비해서는 약간 낮은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학습량의 과다한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전공수업의 경우 가장 높은 응
답으로 41.3%가 그렇지 않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역시 교양수업에서도 48.2%가 그
렇지 않다고 응답해 전공 및 교양수업의 학습량에 대해서는 비슷한 의견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학습량이 과다하다고 응답한 경우 전공수업은

10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37.5%, 교양수업은 34.2%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주어졌는지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
한 결과 전공수업의 경우 54.1%가 그렇다고 응답하였고, 교양수업에서도 마찬가지
로 56.9%가 그렇다고 응답하여 두 유형의 수업 학습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앞의 학습량 과다 여부와 관련해서 생각해보면,
충분한 시간은 학습량이 많지 않음으로 인한 결과라는 분석도 가능할 것이다.
다섯째, 수업 자료들이 적절하게 선택되거나 제공되었는가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전공수업은 67.5%가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높은 비율의 긍정적 반응이
나타났다. 교양수업도 전공수업 보다는 약간 낮은 수치이나 64.8%가 만족하는 것으
로 응답하여 대학에서의 수업 자료의 적절성 및 제공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대체로
만족하는 편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방식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업이 이해수
준 보다는 기억수준을 더 강조한다는 점은 학습 및 수업방식의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대학의 운영자, 관련 정책결정자 및 연구자들이 염두에 두어야 할 점으로
판단된다.

<표 Ⅲ-28> 수업의 전반적인 질에 대한 만족도

매우 그렇지 그렇다 매우
구 분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78 649 951 321
전공
이해수준보다 기억 (3.9) (32.5) (47.6) (16.1)
수준을 더 강조함 56 436 950 255
교양
(3.3) (25.7) (56.0) (15.0)
39 483 1164 315
전공
수업의 목표와 (1.9) (24.1) (58.2) (15.7)
기대수준이 명확함 61 514 932 190
교양
(3.6) (30.3) (54.9) (11.2)
64 826 750 360
전공
(3.2) (41.3) (37.5) (18.0)
학습량이 과다함
113 817 580 186
교양
(6.7) (48.2) (34.2) (11.0)

102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매우 그렇지 그렇다 매우
구 분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80 638 1080 198
학습내용을 이해 전공
(4.0) (32.0) (54.1) (9.9)
하기 위해 충분한
65 486 966 181
시간이 주어짐 교양
(3.8) (28.6) (56.9) (10.7)
35 279 1349 336
전공
수업자료들이 적절하게 (1.8) (14.0) (67.5) (16.8)
선택되거나 제공됨 46 302 1099 249
교양
(2.7) (17.8) (64.8) (14.7)

2) 수업 평가

수업 중 학습에 대한 평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2가지 문항을 조사하였다. 하나


는 평가관리와 채점의 공정성이고 다른 하나는 시험 내용과 수업내용의 일관성에
대한 만족도이다.
평가관리와 채점의 공정성과 관련하여 전공 수업의 경우 63.7%가 공정하다고 응
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16.9%가 매우 공정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양수업의 경우
역시 가장 많은 응답이 62.0%로 공정하다는 응답이고 그 다음으로 15.1%가 매우 공
정하다고 응답하였다. 전반적으로 평가관리와 채점의 공정성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 내용이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에 맞게 출제되었는지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전공수업은 65.1%가 그렇다고 응답하였고, 그 다음으로 22.8%가 매우 그렇다
고 응답하였다. 전체적으로 87.9%가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었다. 교양수업의
경우 가장 많은 63.3%가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19.5%가 매우 그렇다
고 응답하였다. 전공수업보다는 약간 낮은 수치이긴 하나 두 문항 모두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10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Ⅲ-29> 수업 평가에 대한 만족도


매우 그렇지 그렇다 매우
구 분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61 326 1274 338
전공
평가관리와 채점은 (3.1) (16.3) (63.7) (16.9)
공정하였음 63 324 1051 256
교양
(3.7) (19.1) (62.0) (15.1)
26 217 1301 456
시험은 수업시간에 전공
(1.3) (10.9) (65.1) (22.8)
배운 내용에 맞게
32 260 1074 330
출제되었음 교양
(1.9) (15.3) (63.3) (19.5)

3) 교수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

교수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 5가지 문항을 조사하였다. 각 문항별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시간에 교수들의 설명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전공, 교양 모두
만족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전공의 경우 가장 많은 응답으로 60.4%가 설명을
잘 한다고 응답했으며, 18.8%가 매우 잘 한다고 응답하였다. 교양수업의 경우는
58.9%가 설명을 잘 하는 것으로 응답했으며, 13.0%는 매우 잘 한다고 응답하여 전
반적으로 교수 설명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수님의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 호기심을 자극했는지 조사한 결과 전공의
경우 47.8%가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그 다음으로 31.3%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
다. 교양수업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의 응답률이 나타났다. 가장 많은 52.7%는 흥미
와 지적 호기심을 자극한다고 응답했으며, 그 다음으로 29.5%는 그렇지 않다고 응
답하였다.
셋째, 교수로부터 적절한 시기에 피드백이 있었는지 알아본 결과 전공수업의 경우
53.5%가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그 다음으로 31.1%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교
양수업의 경우 47.7%는 그렇다에 응답했으나, 37.3%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피드백에 대한 조사결과는 지적호기심에 대한 만족도와 같이 전체적으로 보면 과반
수 이상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는 했으나, 그렇지 않다는 응답률이 다른 문항

104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난 점이 특징적이다.


넷째, 교수가 학생의 학습과 관련한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지 조사한
결과 전공의 경우 56.3%가 그렇다고 응답하였고, 그 다음으로 26.3%가 그렇지 않
다고 응답하였다. 교양수업에서도 마찬가지로 가장 많은 응답으로 52.9%가 그렇다
고 응답했으나,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32.2%로 나타났다. 교양수업의 경우 부정적
의견이 전공수업 보다 높게 나타난 점이 특징적이다.
다섯째, 교수가 성별, 종교, 사회・경제적 지위 등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응답으로 35.8%가 매우 그렇지 않다에, 그 다음으로 31.4%가
그렇지 않다에 응답하여 전공수업의 경우 학생들이 교수의 편견을 느끼지 않는 편
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양수업의 경우 가장 많은 응답은 그렇지 않다로 33.2%가 응
답했으나 그 다음으로는 이와 비슷한 수치인 29.5%가 그렇다에 응답했다. 학생들이
전공수업보다 교양수업에서 교수의 편견을 더 체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학생들은 교수의 수업에 대해 만족하는 편으로 나타났으며 교양수업
은 전공수업보다 만족도에서 약간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도 각
대학별 교양수업 개편에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표 Ⅲ-30> 교수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

매우 그렇지 그렇다 매우
구 분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60 358 1207 375
전공
(3.0) (17.9) (60.4) (18.8)
교수들은 설명을 잘 함
64 412 999 221
교양
(3.8) (24.3) (58.9) (13.0)
123 626 956 293
전공
수업이 흥미롭고 (6.2) (31.3) (47.8) (14.7)
지적호기심을 자극함 108 501 894 194
교양
(6.4) (29.5) (52.7) (11.4)
109 622 1071 199
전공
교수로부터 적절한 (5.4) (31.1) (53.5) (9.9)
시기에 피드백이 있었음 128 633 803 131
교양
(7.6) (37.3) (47.4) (7.7)

10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매우 그렇지 그렇다 매우
구 분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117 525 1126 231
교수가 학생의 학습관련 전공
(5.9) (26.3) (56.3) (11.6)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123 545 896 131
노력함 교양
(7.3) (32.2) (52.9) (7.7)
교수가 성별, 종교, 717 628 560 96
전공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종 (35.8) (31.4) (28.0) (4.8)
등에 편견을 가지고 500 563 539 93
교양
표현하는 것을 들음 (29.5) (33.2) (31.8) (5.5)

마. 학습 성과

1) 대인관계 능력

대학생활을 통한 대인관계 능력 향상 정도를 물어본 결과 60.5%가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향상됨’ 다음으로 높은 비율은 ‘변화 없음’으로 전체의 21.7%로 나타났
으며 그 외에 매우 향상되었다는 응답은 15.2%, 후퇴했다는 응답은 2.6%로 나타나,
대학생활을 통해 대인관계능력의 긍정적 효과를 짐작할 수 있었다.

<표 Ⅲ-31> 대인관계 능력

문 항 후퇴함 변화 없음 향상됨 매우 향상
52 438 1222 307
대인관계 능력
(2.6) (21.7) (60.5) (15.2)

2) 의사소통 능력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2개 문항이 조사되었다. 문항은 작


문, 각종 의사전달 방법 및 기술 활용 능력과 논쟁적인 쟁점에 대한 토론 및 협상능
력이며, 조사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먼저 작문 및 각종 의사소통 방법의 활용 능력
은 61.5%가 향상되었다고 응답했으며, 그 다음으로 22.2%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응
답하였다. 논쟁적인 쟁점에 대한 토론 및 협상능력의 경우 54.5%가 향상되었다고

106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응답했으며, 변화 없음이 30.2%로 나타났다. 두 조사결과를 비교해보면 대학생활을


통해 일반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보다 토론 및 협상능력의 향상에 대한 응답률
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대학에서의 수업방식 개
선 및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등을 시사한다.

<표 Ⅲ-32> 의사소통 능력


문 항 후퇴 함 변화 없음 향상 됨 매우 향상
의사소통 능력(작문, 의사전달 방법 및 기술) 16 448 1241 314
(0.8) (22.2) (61.5) (15.6)
논쟁적인 쟁점에 대한 토론 및 협상 능력 25 610 1100 284
(1.2) (30.2) (54.5) (14.1)

3) 정보처리 기술 활용 능력

정보처리 기술의 활용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컴퓨터 및 기타 정보과학기술의 활용


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향상되었다는 응답이 47.4%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변화 없음’이 32.9%로 나타났다. 또한 매우 향상되었다는 응답은 17.6%로 전체적
으로 보면 65% 정도는 대학생활을 통해 정보처리 기술의 활용능력에 제고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표 Ⅲ-33> 정보처리 기술 활용 능력


문 항 후퇴 함 변화 없음 향상 됨 매우 향상
컴퓨터 및 기타 정보과학기술의 활용 43 664 957 355
(2.1) (32.9) (47.4) (17.6)

4) 종합적 사고력

종합적 사고력의 향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12개 문항이 개발되었으며 조사결과


를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문제해결 능력의 경우 60.3%가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13.0%가 매우 향상된
것으로 응답한 결과를 같이 보면 전체의 73.3%가 문제해결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10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응답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향상되었다는 응답 다음으로 ‘변


화 없음’이 나타났으며 응답률은 25.7%였다. 위기관리 능력은 54.3%가 향상되었다
고 응답하였고 그 다음으로 29.1%가 변화 없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분석적・논리적
사고력은 56.1%가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14.1%는 매우 향상되었다고 응답하
여 전체적으로 70.2%가 향상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 28.0%는 변화 없음, 1.8%는 후퇴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표 Ⅲ-34> 종합적 사고력


문 항 후퇴 함 변화 없음 향상 됨 매우 향상
문제해결능력의 개발 21 519 1217 262
(1.0) (25.7) (60.3) (13.0)
위기관리 능력(risk management) 30 587 1097 305
(1.5) (29.1) (54.3) (15.1)
분석적, 논리적 사고력 36 566 1132 285
(1.8) (28.0) (56.1) (14.1)
양적 문제의 분석능력(확률, 비율 등의 이해) 63 837 920 199
(3.1) (41.5) (45.6) (9.9)
원리의 응용력 47 772 994 206
(2.3) (38.2) (49.2) (10.2)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107 568 996 348
(5.3) (28.1) (49.3) (17.2)
창의력 개발 87 760 900 272
(4.3) (37.6) (44.6) (13.5)
리더십 개발 54 688 953 324
(2.7) (34.1) (47.2) (16.0)
자신의 도덕적 기준과 가치 개발 70 659 1012 278
(3.5) (32.6) (50.1) (13.8)
자신의 능력, 관심, 성격에 대한 이해 32 424 1172 391
(1.6) (21.0) (58.0) (19.4)
건강에 대한 좋은 습관 및 신체 단련 278 745 781 215
(13.8) (36.9) (38.7) (10.6)
자신감(지적, 사회적) 56 478 1128 357
(2.8) (23.7) (55.9) (17.7)

양적 문제 분석능력은 확률 또는 비율 등을 이해하는 능력 및 그것을 활용한 대안


제시 능력을 살펴보는 문항이다. 이에 대해서는 45.6%가 향상된 적으로 응답하였으
나, 41.5%는 변화 없음으로 나타나 다른 문항들과는 달리 두 응답 간 차이가 적게

108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나타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은 49.3%가 향상되


었다고 응답했으며, 17.2%가 매우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여 66.5%가 긍정적인 성과
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력 개발은 44.6%가, 리더십 개발은 47.2%가 향상
된 것으로 응답하였다. 매우 향상됨에는 각각 13.5%, 16.0%의 응답률이 나타났으
며, 변화 없음에도 각각 37.6%, 34.1%의 응답을 보여 두 문항의 응답경향이 비슷함
을 알 수 있다. 자신의 도덕적 기준과 가치 개발은 50.1%가 향상되었다고 응답했으
며, 13.8%는 매우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전체적으로 약 64%가 향상되었음에 응
답하여 긍정적인 성과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자신의 능력, 관심, 성격에 대한 이해의 성과를 알아본 결과 58.0%는 향상됨에,
19.4%는 매우 향상됨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77.4% 긍정적인 성과가 있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와 비슷하게 지적・사회적 자신감 향상에 관해서도 55.9%가 향상
됨에 응답했으며 17.7%가 매우 향상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73.6%가
긍정적인 성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타 문항에 비해
자신을 이해하는 능력에 대해서는 대체로 높은 성과를 나타냈다는 점을 나타낸다.
한편, 건강에 대한 좋은 습관 및 신체 단련에 대해서는 향상됨 38.7%, 변화 없음이
36.9%로 비슷하게 나타나 큰 성과를 찾아볼 수는 없었다.

5) 자기관리

학생들의 자기관리의 성과를 알아보기 위해 새로운 과학기술 및 다양한 직업 환


경에 적응하기 위한 학습의 성과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조사결과 56.0%가 향상되었
다고 응답하였으며, 14.0%는 매우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전체적으로 70%가 자
기 관리에 대한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낸 한편, 28.0%는 변화 없다는 응답을 나타내
기도 했다.

<표 Ⅲ-35> 자기 관리 역량에 관한 성과


문 항 후퇴 함 변화 없음 향상 됨 매우 향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학습 40 566 1130 283
(새로운 과학기술, 다양한 직업 및 환경 등) (2.0) (28.0) (56.0) (14.0)

10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6) 글로벌 역량

글로벌 역량을 알아보기 위해 외국어 실력의 향상 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40.9%는 매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39.5%는 변화 없음으로 나타났다. 대학
의 학습 성과를 알아본 총 18개 문항 중 성과 향상 측면에서 가장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난 사례라 할 수 있다. 한편, 11.1%는 외국어 실력이 후퇴한 것으로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50.6%가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조사결과를 통해 대학생활을 통해 얻
은 성과 중 글로벌 역량에 대해서는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36> 글로벌 역량에 관한 성과


문 항 후퇴 함 변화 없음 향상 됨 매우 향상
224 798 826 171
외국어 실력
(11.1) (39.5) (40.9) (8.5)

7) 대학 추천 의사

대학생활을 통해 향상된 역량을 직접적으로 알아보는 방법도 있지만, 현재 자신이


다니고 있는 대학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사를 알아보는 간접적 방법의 성과조사
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현재 자신이 다니고 있는 대학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
사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추천할 만하다는 응답이 45.0%, 적극적으로 추천
하겠다는 응답이 7.6%로 나와 과반수 이상(52.6%)은 현재 자신이 다니는 대학에 대
해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31.0%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으며,
12.1%는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다고 응답하여 현재 재학하고 있는 대학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긍정적 의견과 부정적 의견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Ⅲ-37> 대학 추천 의사
절대 별로
잘 추천할 적극적으로
문 항 추천하지 추천 하고
모르겠다 만하다 추천하겠다
않겠다 싶지 않다
현재 재학 중인 대학을 다른 85 245 626 909 154
사람에게 추천할 의사 (4.2) (12.1) (31.0) (45.0) (7.6)

110
바. 영역별・변인별 학습과정 실태 결과

<표 Ⅲ-38> 수업 외 학습경험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 종합

군 통학 부 모
문 항 지역 설립 규모 성별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거주
경력 시간 학력 학력
도서관 이용 빈도 *** * *** *** *** ** *** *** * *
과제를 위해서 이용함 *** *** ** *** *** * *** *** *** **
수업 외 관심분야, 취미 및 여가와 관련해
*** ** *** ** ***
이용함
시험공부를 위해 이용함 * * *** ** *** *** *** ** *1
취업준비를 위해 이용함 *** * *** *** **** *** *** **** *** *** **1
매체 활용을 위해 이용함
수업 예・복습을 위한 컴퓨터 활용 ** ** *** * *** * *2
수업 발표 준비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활용 * *** *** ** *** * **
수업 준비 목적이 아닌 인터넷 활용 ** * ** ** * ***
내가 쓴 문장이 명료한지 다른 사람에게
* *** *** *** *** *
검토를 부탁함
만족하기 전까지 내용과 구성에 대해 2번
** ** * * * *** *** *
이상 수정함
교재, 부교재 등 수업 관련 책 한권 분량
*** * *** *
으로 읽은 도서 수
수업과 상관없이 개인적 즐거움 또는 학문
** **1,2 * ***
적 풍요로움을 위해 스스로 읽은 도서수
15쪽 이상 써낸 논문 또는 보고서 ** *** **1,2 *** *** *** *** *** ***
5쪽이상 14쪽 이하로 써낸 논문 또는 보고서 *** * **1 *** ** *** *** *** *

111
112
군 통학 부 모
문 항 지역 설립 규모 성별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거주
경력 시간 학력 학력
5쪽 미만으로 써낸 논문 또는 보고서 * ** * * **
다른 나라의 친구와 친해지려고 노력함 * **2 * * *** ** *** * ** **2 **2
가치관 및 세계관이 나와 다른 친구와 심
* *** ** **2 **2
도 있는 토의를 함
정치적 견해가 나와 다른 친구와 심도 있
*** ** *** *** *** *** * **
는 토의를 함
종교적 신념이 나와 다른 친구와 심도 있
** ** *** ** *2 *2
는 토의를 함
문학, 역사, 철학, 예술 등 *2 *** * *** ** *** *1**2 **2
컴퓨터 및 과학기술, 에너지 공해, 화학,
* **2 *** *** *** * *** *1,2 *1,2
유전학 등
평화, 평등, 인종, 경제, 국제관계 등 국
** *** * *** *
내・외 사회문제
공연 및 각종 전시회 관람 ** **1,2 *** * *** ** *** * *2
스포츠 경기 관람 *** *** ** ** *** *2
각종 프로젝트 참여 활동 ** *** *** ** *
공모전, 선발전 및 각종 경시대회 참여 활동 *** ***
동아리 활동에 참여함 *** **2 ** *** *** *** *** **2 *2
학생회 조직 및 학생회 활동에 참여함 *** *** *** * * **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를 하거나 지역사회
* ** *** ** * * *
봉사 활동을 함
수업의 일환으로 자원붕사 또는 지역사회
*** *** *
봉사 활동을 함
교내・외에서 종교 활동을 함 ** * ** * *2
군 통학 부 모
문 항 지역 설립 규모 성별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거주
경력 시간 학력 학력
수업과 관련된 스터디 활동 ** ** ** * *** *** *
수업 외 관심학문 분야 스터디 및 학습
* *** * * *** *** ** *2 **1,2
커뮤니티 활동
취업・진로와 관련된 스터디 활동 * ** *** ** *** *** ** * *1,2 *1
어학연수 * *** * *** * *2 **2
교환학생 ** ** *** *1,2
국내 인턴십 프로그램 ** * *** *** ** **1,2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 ** ** *1,**2 ***1,2

주. * p<.05, ** p<.01, *** p<.001

11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카이제곱의 결과를 문항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서관 이용 빈도에 관한


문항은 설립별 차이, 학교 규모, 성별,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군 경력, 거주지역
및 모학력의 차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를 위해 도
서관을 이용하는 문항의 경우, 소속된 대학의 지역, 설립별, 규모, 성별, 전공, 학
년, 학점, 군 경력, 거주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외 관심분야를 위해
도서관을 방문하는지에 관한 문항에서는 성별, 전공, 군 경력, 거주 등이 유의한 변
수였다. 시험공부를 위해 도서관을 이용하는지에 관한 문항에서 학교의 규모, 통학
시간, 부학력의 변인들 이외의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취업준비를
위해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는지에 관한 문항에서는 학교의 규모와 모학력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매체활용을 위해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는
지에 관한 문항에서는 유의한 변인이 탐색되지 않았다.
수업의 예습과 복습을 위해 컴퓨터를 활용하는지에 관한 문항에서 학교규모, 성
별, 전공, 학년, 학점, 군 경력, 모학력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수업 발표준비
를 위해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설립, 규모, 전공, 학
년, 학점, 군 경력, 거주지역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준비 이외에 인터
넷을 활용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지역, 설립, 전공, 학점, 거주, 부 학력의 차이에 따
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내가 쓴 문장을 다른 사람들에게 검토 요청 하는지에 관한 문항에서 지역, 설립,
규모, 학점, 거주, 통학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만족하기까지 2번 이상 수
정하는지에 관한 문항에서 지역, 규모,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군 경력, 통학시간
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재, 부교재 등 수업관련 읽은 도서의 수를 보면, 전공, 학년, 학점, 모학력에 따
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과 관련 없이 읽는 도서의 수에서 지역, 규
모, 전공, 학점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쪽 이상의 써낸 논문 및 보고서의 양을 질문하는 문항에서 거주, 통학시간, 부
학력, 모학력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했다. 5쪽 이상 14쪽 이하로 써낸 논문 및
보고서에서 학년, 통학시간, 부학력, 모학력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했다. 5쪽
미만으로 써낸 논문 및 보고서에서 지역, 성별, 연령, 전공, 학년 변인에 따라 다양

114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의 친구와 친해지려는 노력에서 지역과 통학시간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
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치관에서 차이가 나는 친구와 토의를 하는지에 관한
문항에서 성별, 학점, 통학시간, 부학력, 모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정치적 견해가 다른 친구와 토의 경험을 묻는 질문에 지역, 설립별, 규모,
부학력, 모학력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교적 신념이 다
른 친구와의 토의 경험을 묻는 질문에 전공, 학점, 거주, 통학시간만이 유의한 변인
이었다. 문학, 역사, 철학, 예술 등과 관련된 토의를 자주하는지에 관한 질문에 지
역, 설립, 학년, 거주, 통학시간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컴퓨터 및 과학기술, 에너지 공해, 화학, 유전학 등에 관한 대화경험을 묻는 질문에
설립, 학점, 거주, 통학시간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평화,
평등, 인종, 경제, 국제관계 등 국내외 사회문제에 관한 대화경험에서 성별, 전공,
학년, 학점, 군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 및 각종 전시회 관람을 자주 하는지에 관한 문항에서 지역, 학년, 거주, 부
학력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포츠 경기 관람을 묻는 질
문에 지역, 성별, 연령, 학년, 군 경력, 부학력만이 유의한 변인이었다. 각종 프로젝
트 참여활동을 묻는 질문에 성별, 전공, 학점, 군 경력, 거주가 유의한 변인이었다.
공모전, 선발전, 및 각종 경시대회 참여를 활발히 하고 있는지에 관한 문항에서 학
점과 통학시간만이 유의한 변인이었다. 동아리 활동참여 정도를 묻는 질문에 설립,
규모, 학점, 통학시간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회 조
직 및 학생회 활동에 참여한 정도를 묻는 질문에 지역, 연령, 전공, 군 경력, 거주,
통학시간이 유의한 변인이었다. 자발적으로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는지에 관한 문
항에서 성별, 전공, 학점, 군 경력, 거주, 통학시간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의 일환으로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서 지역, 전공, 학점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활동의 참여정도를 묻는 질문에서 지역, 전공,
거주, 통학시간, 부학력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과 관련된 스터디 활동에 관한 문항에서 규모, 전공, 군 경력, 통학시간, 부
모학력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업 외 동아리활동에 관

11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한 문항에서 규모, 성별, 통학시간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 취업 진로와 관련된 스터디 활동의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 규모, 성별 변인만이
유의한 변인이 아니었다. 어학연수의 경험을 묻는 질문에 설립, 연령, 전공, 학년,
통학시간, 부모학력이 유의한 변인이었다. 교환학생의 경험 여부를 묻는 질문에 연
령, 전공, 학년, 모학력이 유의한 변수였다. 국낸 인턴십 프로그램의 경험 여부를
묻는 질문에 설립, 성별, 연령, 학년, 군 경력, 모학력이 유의한 변인이었다. 해외인
턴의 경험을 묻는 질문에 성별, 연령, 군 경력, 부모학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116
<표 Ⅲ-39> 수업 중 학습경험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 종합
군 통학
문 항 지역 설립 규모 성별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거주 부학력 모학력
경력 시간
읽기나 숙제를 다 마치고 수업에 참여함 - * * - - - - *** - ** - *2 -
수업 중 교수의 질문에 응답함 - - **1,*2 - - * - *** - - - - -
수업 중 궁금한 사항에 대해 질문함 - - - * - - - *** - - * - -
수업 중 발표, 토론 및 토의에 참여함 - - - - - * - *** - - - - -
수업시간 중 필기를 함 * - *1 *** - *** - *** *** - - - -
동일 수업 수강생들과 협력 - - - - - ** - *** - - - - -
다른 수업 수강생들과 협력 - - - - - * - *** - ** - - -
다른 수업으로부터 얻은
- - - * * ** ** *** * - * - -
생각들과 개념들을 연결해봄
아이디어, 경험, 정보 등을 종합 * - - * * - ** *** * ** *** - -
문제 해결방안 및 대안 모색 * * **2 ** *** *** *** *** *** * ** - -
수업 내용을 일상생활에 응용 * - - - - ** * *** - * - - -
수업 내용을 타인에게 설명함 - - **2 - - * - *** - - - *1 -
문제 해결책을 찾고 타인에게 이것들을
- - **2 - - * ** *** * - ** - -
설명함
제출 기한을 넘겨서 수업과제 제출 - - - - ** * * *** ** - - - **2
수업에 결석함 - - - - * * - *** *** * - *1,2 -
수업에 지각함 - * ***1 - *** - * *** *** ** - *1 -
수업시간에 졸거나 잠 ** - ***1 - *** - *** *** *** - - **1 -
수업시간에 메신저, 문자를 보냄 ** - **1,*2 *** *** ** ** *** *** * - *2 -
강의실 면대면 수업(on-campus) *** *** *1,**2 - - ** - - - - - **1,2 -
온라인 수업(on-line) *** *** **2 - - - - - - - - - -
정기시험(중간/기말고사) * - ***1,2 - - ** ** - *** *** - ***2 ***2

117
118
군 통학
문 항 지역 설립 규모 성별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거주 부학력 모학력
경력 시간
부정기 시험(쪽지시험, 퀴즈 등) *** *** ***1,**2 - - *** * * * *** * *2 **2
과제 수 * - *1,**2 * - ** - - - *** - **2 ***2
수강 신청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 ** *1,***2 * - - - *** - *** * **2 **2
수업 내용 및 과제에 대해 교수와 의논 - *** **1,2 - - *** - *** - ** *** - -
시험 및 성적에 대해 교수와 의논 * *** ***1,2 - - - - *** - *** ** - -
진로에 대해 교수와 의논 *** ** **1,2 - ** *** *** *** *** ** *** **1,2 -
수업, 진로 이외의 일로 교수와 교류 - * ***1,2 - - - - *** - *** *** - **2
선배 및 동료 학생과의 관계 * - - ** * - - * ** * - - -
행정직원, 조교, 상담자와의 관계 ** - - ** - - * ** * *** ** **1 *1,**2
교수진과의 관계 - - **1,***2 - - * - *** - - - *1,2 -

주. * p<.05, ** p<.01, *** p<.001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수업 중 학습활동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개인 및 대학의 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 중 학습경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변인 중에서는 학점, 군 경
력, 전공, 학년, 거주형태, 통학시간, 부모 학력, 전공이수유형 등이 개인 간 학습경
험 차이와 관련되어 있었다. 학점 차이와 전공은 학습활동에 몰입 차이와 관련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점 또는 전공만큼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거주
지 유형, 군 경력 여부, 부학력, 학년에 따라 학생들이 경험하는 수업 중 학습활동
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 연령, 어머니학력 등은 일부 문항에 대해
서만 응답 차이와 관련이 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모학력 변인이 학생 응답 차이
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 경우는 수업 참여 성실성, 수업 및 시험
분량 교내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변인 등이었다. 대학 변인 중에서는 규모 변인의 역
할이 두드러졌다.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는 대학의 규모에 따라, 수업 내용의 연계,
종합, 문제해결방안이나 대안 모색, 일상생활에서의 응용, 수업참여 성실성, 수업방
법, 수업 및 시험 분량, 교수학생 상호작용 등에 있어 학생들이 차별적인 경험을 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 변인만큼 뚜렷한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소재
지와 설립 변인도 수업방법, 수업 및 시험 분량, 교수학생 상호작용 등 수업 중 학
습활동의 학습경험 차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9
120
<표 Ⅲ-40> 수업만족도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전공)

군 통학 부 모
문 항 지역 설립 규모 성별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거주
경력 시간 학력 학력
전반적으로 수업의 질에 대해 만족함 * *** * - - *** *** *** - - - - -
이해수준보다 기억수준을 더 강조함 - *** - - - *** *** - - ** - - -
수업의 목표와 기대수준이 명확함 - *** * - * *** *** ** - * - - -
학습량이 과다함 - *** * - - *** *** ** * - - - -
학습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 *** * - - * *** *** - - - * -
주어짐
평가관리와 채점은 공정하였음 - *** - ** * *** *** ** ** - - - -
시험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에 맞게 출
- *** - - - *** *** *** ** * - * -
제되었음
수업자료들이 적절하게 선택되거나 제공됨 - *** - - ** ** ** *** * - - - -
교수들은 설명을 잘 함 - *** - * - ** ** *** * - - - -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호기심을 자극함 - *** - - - ** *** *** - - - - -
교수로부터 적절한 시기에 피드백이 있었음 - *** - - * *** *** *** - - - - -
교수가 학생의 학습관련 어려움을 이해하
* *** - - * ** ** ** - - * - -
기 위해 노력함
교수가 성별, 종교,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종 등에 편견을 가지고 표현하는 것을 *** *** *** *** - *** *** - *** *** - - -
들음
주. * p<.05, ** p<.01, *** p<.001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전공수업 만족도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를 대체로 대학의 설립유형, 전공, 학년,


학점 및 군 경력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문항별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공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국립대학, 재학생 규모가 클수록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전공의 경우 인문계열의 만족도가 타 전공보다 가장 높게 나타난 점과 4
학년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점이 특징적이다.
이해수준을 더 중요시하는 계열은 자연계열로 나타났으며, 1학년의 경우 가장 긍
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한편 수업목표의 명확성은 사범계열이 가장 긍적적인 응
답을 보였으며, 학년의 경우에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습량의 경우 사립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계열별로는 의학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은 2학년의 학습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과 수업내용의 연관성에 대해 공립의 경우 매우 연관된다는 응답이 다른 유
형의 대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별로는 교육계열의 경우 연관된다는
59.3%, 매우 연관된 29.7%로 계열 중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변
인 중 학년이 높을수록 시험과 수업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응답하였고, 주전공자
의 경우 87.3%, 2개 이상 전공자는 86.4%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수업자료 제공의 적절성 국립의 경우 긍정적인 응답이 가장 저조하게 나타났으며,
개인배경별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교수의 설명에 관해서 공립
이 다른 대학에 비해 긍정적인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수 설
명능력에 대한 호응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점이 높은 경우
교수의 설명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남성의 경우 군복무 집단의
긍정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지적호기심 자극의 경우 사립이 국・공립보다 긍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의 반응이 높아지나 4학년에 가서는 약간 낮아지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학점 또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학점이 높을수록 지적
호기심 자극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D 이하의 학점자는 부정적인 경향이 뚜
렷하게 나타났다.
피드백을 적절히 제공했는가의 질문에 대해 공립의 경우 피드백이 적절하다고 응

12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답한 경우 국립이나 사립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계열별로는 예체능 계열이 피드


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가장 높았다는 점이 매우 특징적이다. 학년별로는 3학년
이 피드백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4학년이 가장 낮아 학점과
피드백은 정적인 상관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교수의 학생 이해의 경우 사립의 경우 학생 이해도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
났으며, 계열별로는 예체능 계열이 피드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가장 높았다. 학
년별로는 3학년이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4학년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
타났고, 학점이 높을수록 교수의 학생 이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성별, 종교, 인종에 대한 편견에 대해서 비수도권 대학의 경우 수도권 대학보다는
편견에 대한 반응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설립 유형별로 보면 공립의 경우 매우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다른 유형의 대학보다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
한, 규모가 작은 학교일수록 편견이 없다는 반응이 더 높게 나타났다. 개인 배경별
로는 대체로 편견은 없는 것으로 응답 했으나 여성이 남성보다 보다 약간 높게 편견
이 있다는 응답을 보였으며, 계열별로는 의학계열이 타 계열 중에서 가장 높은 응답
률을 나타냈다.

122
<표 Ⅲ-41> 수업만족도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교양)

군 통학 부 모
문 항 지역 설립 규모 성별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거주
경력 시간 학력 학력
전반적으로 수업의 질에 대해 만족함 ** ** - * *** ** *** * *** *** - - **
이해수준보다 기억수준을 더 강조함 * *** - ** *** ** *** - *** *** - *** **
수업의 목표와 기대수준이 명확함 * ** - ** *** ** *** ** *** *** - * *
학습량이 과다함 ** ** - ** *** *** *** - *** *** - * -
학습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
* ** - ** *** *** *** ** *** *** - ** **
이 주어짐
평가관리와 채점은 공정하였음 *** * * *** *** * *** *** *** *** * - -
시험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에 맞게 출
** ** * *** *** ** *** ** *** *** *** - -
제되었음
수업자료들이 적절하게 선택되거나 제공됨 * ** - *** *** ** *** ** *** *** - - -
교수들은 설명을 잘 함 *** ** - ** *** * *** *** *** *** - ** ***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호기심을 자극함 * ** * * *** ** *** ** *** *** - * **
교수로부터 적절한 시기에 피드백이 있
- ** - * *** ** *** * *** *** - - *
었음
교수가 학생의 학습관련 어려움을 이해
* ** - ** *** * *** ** *** *** - * *
하기 위해 노력함
교수가 성별, 종교,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종 등에 편견을 가지고 표현하는 것을 *** ** *** *** *** ** *** - *** *** ** ** **
들음
주. * p<.05, ** p<.01, *** p<.001

12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전공수업 만족도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전공 수업 보다는 다양한 변인들에서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타났다. 대학의 규모와 통학시간, 부모의 학력을 제외하
면 대체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특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시험과 수업내용의 관련성에 대해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경우 관련성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응답을 나타냈으며, 신입학의 경우, 편입학보다 관련성에 대해 높은 응답
률을 나타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연령이 많아질수록 교양 시험-수업 간 관련성
에 대해 낮은 응답률을 나타났고, 학점이 높을수록 관련성이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
타났다.
수업자료 제공의 적절성에 대해 연령이 적을수록, 저학년일수록 수업자료 제공의
적절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신입학의 경우 편입학보다 적절성에 대해 긍정적
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학점이 높을수록, 주전공자일수록, 군 입대 이전이나 해당사
항인 없는 경우일수록 적절성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을 나타냈다.
교수 설명에 대해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 간 큰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자료
제공의 적절성 항목과 마찬가지로 연력이 적을수록, 저학년일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교수의 수업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거주지역과 관련 기숙사 거주생의
경우 타 유형의 학생보다 교수들의 설명능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아버
지의 학력도 유의미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지적호기심의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저학년일수록 지적 호기심을 자극에 대해 긍
정적인 반응을 나타났으며, 사회, 자연, 인문계열 순으로 지적 호기심 자극에 긍정
적인 반응을 나타났다. 주전공, 고학점, 아버지의 학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지적 호
기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친척/친지집, 기숙사 거주 학생 순으로 지적
호기심에 대한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피드백의 적절성에 대해 역시 연령이 적을수록, 저학년일수록 피드백의 적절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피드백에 대해 긍정적으
로 반응하였다. 기숙사 거주자, 학교 밖 공동숙소 순으로 피드백을 적절하다고 평가
했으며, 주전공자가 타 유형의 전공자보다 피드백의 적절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4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교수의 학생 이해에 대해서는 학점이 높을수록 교수의 학생 이해에 대해 긍정적


인 반응을 보였으며, 아버지의 학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학력이 높아질수록
교수의 학생 이해에 대하여 긍정적은 반응은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종교, 인종에 대한 편견과 관련하여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편견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공립의 경우 편견이 있다는 응답이 10%임에 반해 국
립 및 사립은 각각 32.5% 28.9%가 공립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재학생 규모가 많
을수록 편견이 있다는 쪽의 반응이 더 나타났다. 개인 배경별로 살펴보면 대체로 편
견에 대한 문제의식이 강한 반응은 없었으나 여성이 남성보다 약간 높게 편견이 있
다는 응답을 보였고, 연령이 적을수록, 저학년일수록 편견이 있다는 쪽의 응답이 높
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의 경우 48.3%가 편견이 있는
것으로 응답해 다른 거주자 유형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25
126
<표 Ⅲ-42> 대학 추천 의사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

군 통학 부 모
문 항 지역 설립 규모 성별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거주
경력 시간 학력 학력
현재 대학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 * *** *** *** *** * * *** - - * ***
생각이 있는가
주. * p<.05, ** p<.01, *** p<.001

현재 다니고 있는 대학의 추천 의사에 대해 대학의 특성별로 분석해 본 결과, 설립 유형별로는 공립의 경우 추천


할만하다 60.0%, 적극적으로 추천하겠다 22.5%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 학교 규모가 클수록 추천의사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열별로는 교육계열의 경우 68.1%가 추천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며,
자연계열의 경우는 추천율이 저조한 편으로 나타났다. 개인배경의 경우 여성보다 남성의 경우 추천에 대한 응답률
이 약간 높았으며, 남성의 경우 군 입대 이전 및 군 면제 집단보다 군 복무 집단의 추천 의사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
다. 또한 어머니의 학력은 유형에 상관없이 거의 모두 추천할만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났다.
<표 Ⅲ-43> 학습 성과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결과

군 통학 부 모
문 항 지역 설립 규모 성별 연령 전공 학년 학점 거주
경력 시간 학력 학력
대인관계 능력 - - *** *** - *** - - ** ** * - -
의사소통 능력(작문, 의사전달 방법 및 기술) - * * *** * - - * *** - * - -
논쟁적인 쟁점에 대한 토론 및 협상 능력 - - - *** *** ** *** *** *** - - - -
컴퓨터 및 기타 정보과학기술의 활용 - - * ** *** *** *** *** *** ** - - -
문제해결능력의 개발 - ** ** *** *** * *** *** *** - - - **
위기관리 능력(risk management) - - ** *** ** - *** * *** * - - -
분석적, 논리적 사고력 - - ** *** *** ** *** * *** *** * * **
양적 문제의 분석능력(확률, 비율 등의 이해) - - ** *** *** *** *** *** *** * * - *
원리의 응용력 - - * *** ** *** *** *** *** - ** - -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 ** ** ** *** * *** *** *** - - - -
창의력 개발 - ** - * * *** ** ** ** ** ** - -
리더십 개발 - - - ** - - * * ** - * - -
자신의 도덕적 기준과 가치 개발 - - - - - - - - * - - - -
자신의 능력, 관심, 성격에 대한 이해 - - ** - - - - * - ** - - -
건강에 대한 좋은 습관 및 신체 단련 - - - ** - * - - ** *** - - -
자신감(지적, 사회적) * - *** *** - - - *** *** - - - -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학습(새로운 과학기
* - * ** *** ** ** ** *** - - - -
술, 다양한 직업 및 환경 등)
외국어 실력 - - * - * *** - *** ** *** - - -

주. * p<.05, ** p<.01, *** p<.001

12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대학에서의 학습 성과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대체로 대학이 속한 지역과 설립 유


형, 거주, 통학시간, 부모의 학력을 제외하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나
타났다. 문항별로는 리더십, 도덕적 가치개발, 자신의 능력, 관심, 성격에 대한 이
해, 건강에 대한 습관 등의 항목들은 집단 간 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본이지 않
는 문항이라 할 수 있다. 이 외에 주요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론・협상 능력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향상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
로 24~29세에 해당하는 집단의 향상정도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년과 학점이 높을수록 향상정도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군 경력도 유의미
하게 나타났다. 학점의 경우 B- 이상의 집단이 많이 향상됐으며, C+ 이하 집단은
변화없음이 4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컴퓨터 및 정보과학기술 활용과 관련 공학계열의 향상도가 82.6%(향상됨 이상)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교육계열이 63.7%로 높게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3학년이 가장 높은 향상도로 응답하였으며, 학점과 활용능력도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 같았으나, D학점 이하의 경우 활용능력(64.0%)이 B학점대와 비슷하게
(63.6%)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변인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여성에 비해 향상 정
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24-29세에 해당하는 집단의 향상정도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년과 학점이 높을수록 향상정도가 정적인 상관관
계를 보였으며, 군 경력도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 능력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향상도를 나타냈으며, 학년, 학점과도 높
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기관리 능력 역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응답률을 보였
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위기관리 능력 향상의 정적인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논리적・분석적 사고력과 관련해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
며, 학년이 높을수록 위기관리 능력 향상의 정적인 관계가 보였다. 3학년의 경우
77.9%가 향상 이상으로 응답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양적 문제 해결능력은 공학계열의 학생의 경우 향상된 정도가 6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예체능은 44.2%로 가장 저조하게 나타났다. 개인별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학년과 학점의 경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원리 응용력의 경우 향상 이상으로 응답한 집단은 교육계열로 나타났으며 응답

128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공학계열로 나타났다. 개인배경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향상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성적의 경우 B- 이상의 집단은
향상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 이하 집단은 변화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
다. 또한 남성의 경우, 군 복무 집단의 향상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형태는
학교 밖 공동숙소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향상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변화에 대한 적응과 관련하여 남성의 경우 향상 이상에 응답한 비율이 여성 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년이 높을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적응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
하게 나타났다.
외국어 능력은 계열별로는 인문계열 65.3%가 향상 이상에 응답하여 가장 높은 비
율을 보였으며, 예체능 33.2%, 교육계열 39.0%로 낮은 향상도를 나타냈다. 전체적
으로는 외국 국적 소유자가 향상 이상에 응답한 비율이 95.7%로 가장 높았으나, 이
중국적 소유자의 경우 ‘매우 향상되었다’는 응답에만 75.0%의 응답률을 나타냈다(향
상됨 0.0%). 대한민국 국적 소유자의 경우, 향상됨(40.0%)과 변화 없음(40.8%)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학점이 높을수록 향상도도 높게 나타났으나 D+ 이하
의 경우 향상 이상이 54.5%로 A학점대 55.5%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2. 학습과정과 학습 성과의 관계 탐색

가. 분석 방법

이 절에서는 학습과정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


적인 학습과정 경험을 밝히기 위해 학습과정과 학습 성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
를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에서 ‘위계적’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
다. 여기에서는 학습 성과 예측변인들을 일련의 군(群)으로 구성한 후, 학습 성과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회귀모형에 예측변인들을 각 변인군 단위로 단계적으로 투입했
을 때 학습 성과에 대한 예측변인들의 영향력 변화를 관찰하는 회귀모델링 방법을

12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의미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말한다.


회귀모형에 투입된 학습 성과 예측변인, 즉 독립변인은 개인배경변인군, 대학특성
변인군, 수업 외 학습과정변인군, 수업 중 학습과정변인군 등 4개군으로 구성하였
다. 회귀모형에 투입된 개인배경 및 대학특성 변인 선택은 앞 절에 소개한 학습과정
문항별 교차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교차분석에서 다수 문항에 걸쳐 통계
적 유의성이 확인된 변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변인들 중에서 개념적으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고 상관관계 역시 지나치게 높아 공선성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보이는 변인들은 투입변수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예컨대, 성별과 군 경력의 두 개
변인 중 성별을 선택하였고 학년과 나이 중 학년변인을 선택하였다. 대학특성변인
군은 대학의 소재지, 설립, 규모 변인 등 3개 변인으로 구성하였다. 수업 외 학습과
정변인군과 수업 중 학습과정변인군의 구성 변인들은 수업 내외 학습과정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설정하였다(5장 1절 참조). 수업 외 학습과
정변인군에는 도서관 활용, 정보통신 기술 활용, 글쓰기 활동, 읽기・쓰기 분량, 다
양한 배경의 동료들과 교류, 공모전 등 자기계발 활동, 봉사활동 경험, 스터디 활
동,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등 9개 변인에 포함되었다. 수업 중 학습과정변인군
에는 협동 수업 준비, 사고력 증진 활동, 성실한 수업 참여, 교수와의 상호작용 등
4개 변인들이 포함되었다.

<표 Ⅲ-44> 학습성과 회귀모형에 투입된 예측변인군 구성

개인배경변인 대학특성변인 수업 외 학습과정변인 수업 중 학습과정변인


•성별 •소재지 •도서관 활용 •협동 수업 준비
•학년 •설립 •정보통신 기술 활용 •사고력 증진 활동
•전공 •대학 규모 •글쓰기 활동 •성실한 수업 참여
•통학시간 •읽기, 쓰기 분량 •교수와의 상호작용
•거주형태 •다양한 배경의 동료들과 •학내 구성원과의
교류 상호작용
•공모전 등 자기계발 활동
•봉사활동 경험
•스터디 활동

130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종속변인은 인지적 사고능력과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 능력을 사용하였다. 설문조


사에서 사용된 18개 문항에 대한 응답결과를 가지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
적 사고능력과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 능력을 나타내는 요인을 포함한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Ⅴ장 <표 Ⅴ-24> 참조). 학습과정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시범적으로 탐
색하는 본 연구에서는 학습과정 및 학습 성과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비교적 많이 다
루어진 인지적 사고능력과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 능력만을 가지고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인지적 사고능력은 분석적・논리적 사고력, 양적 문제 분석능력, 원리의 응
용력, 문제해결능력 등 8개 문항의 평균으로 정의하였다. 이들 3개 문항의 신뢰도
지수(α)는 .75였다.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 능력은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토
론 및 협상능력 등 8개 문항의 평균으로 정의하였다. 이들 3개 문항의 신뢰도 지수
(α)는 .75였다.

<표 Ⅲ-45>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의 기술통계와 문항척도

문항척도 비고
(상수)
전공_사회과학 0=아님, 1=사회과학대학
전공_사범 0=아님, 1=사범대학
전공_공학 0=아님, 1=공학과학대학
준거집단 : 인문대학
전공_자연과학 0=아님, 1=자연과학대학
전공_의학 0=아님, 1=의학대학
전공_예체능 0=아님, 1=예체능대학
학년 1=1학년, 2=2학년, 3=3학년, 4=4학년
거주지_기숙사 0=아님, 1=기숙사 거주
준거집단 : 자기집 거주
거주지_하숙 등 0=아님, 1=하숙집, 친척집 등 거주
통학시간 1=아님, 1=하숙집, 친척집 등 거주
성별 1=여성, 2=남성
1=5,000명 미만, 2=5000명 - 10,000
대학규모
명, 3=10,000명 이상
설립구분 1=국공립, 2=사립
대학소재지 1=수도권, 2=비수도권
도서관 이용 복합변인(α=.83)

13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문항척도 비고
정보통신 기술 활용 복합변인(α=.65)
쓰기 복합변인(α=.53)
읽기 복합변인(α=.70)
다양한 배경 동료 교류 복합변인(α=.77)
다양한 자기계발활동 복합변인(α=.64)
봉사활동 경험 복합변인(α=.67)
그룹 스터디 활동 복합변인(α=.78)
지원적 대학 구성원 복합변인(α=.60)
협동학습 경험 복합변인(α=.54)
고차원적 사고력 활동 복합변인(α=.85)
성실한 수업 참여 복합변인(α=.73) 높을수록 부정적인 경험
교수와의 상호작용 복합변인(α=.832)
주. * p<.05, ** p<.01, *** p<.001

나. 분석 결과

인지적 사고능력과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회귀모형에


개인배경변인군, 대학특성변인군, 수업 외 학습과정변인군, 수업 중 학습과정변인군
등 4개군으로 구성된 독립변인들을 각 변인군 단위로 단계적으로 투입했을 때 나타
난 결과를 제시하였다. <표 Ⅲ-46>와 <표 Ⅲ-47>은 4개 변인군들이 회귀모형에 차
례로 투입되었을 때 산출되는 모형들의 설명력 등을 요약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각
모델별 투입변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Model 1 : 상수, 개인배경변인군


Model 2 : 상수, 개인배경변인군, 대학특성변인군
Model 3 : 상수, 개인배경변인군, 대학특성변인군, 수업 외 학습과정변인군
Model 4 : 상수, 개인배경변인군, 대학특성변인군, 수업 외 학습과정변인군,
수업 중 학습과정변인군

132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표 Ⅲ-46> 인지적 사고능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 요약


2 2 2
Model R R 교정된 R R 변화량 F change(df1/df2)
1 .235a .055 .050 .055*** 10.623
2 .254a .064 .058 .064*** 9.869
3 .491a .241 .233 .241*** 27.616
4 .546a .298 .289 .298*** 31.333
주. p<.001

인지적 사고력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회귀모형에 개인배경변인군에 속한 독립변인


2
들이 투입되었을 때 회귀모형의 설명력(R2)은 .053였다. R 값은 대학특성변인군에
속하는 변인들이 모형에 투입되었을 때 소폭 상승하였다. 3단계로 수업 외 학습과정
변인군 변인들이 추가로 투입되자 R2는 .241로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는 모형에 투
입된 9개 수업 외 학습과정변인들이 분석적 사고력의 분산을 약 15% 추가로 설명해
주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수업 중 학습과정변인군을 구성하는 4개 변인들이 모두
투입된 마지막 모형의 경우, R2값이 추가적으로 상승하여 .298이 되었다.

<표 Ⅲ-47>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 요약


2 2 2
Model R R 교정된 R R 변화량 F change(df1/df2)
1 .174a .030 .025 .030*** 5.664
2 .198a .039 .032 .039*** 5.837
3 .470a .221 .212 .221*** 24.578
4 .509a .259 .249 .259*** 25.772
주. p<.001

다음은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을 종속변인으로 사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의 모


형 개요이다. 개인배경변인군에 속한 독립변인들이 투입되었을 때 회귀모형의 설명
력(R2)은 .030으로 미미한 수준이었다. R2값은 대학특성변인군에 속하는 변인들이
모형에 투입되어도 큰 변화가 없었다. 3단계로 수업 외 학습과정변인군 변인들이 추
가로 투입되자 R2는 .241로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는 모형에 투입된 9개 수업 외

13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학습과정변인들이 분석적 사고력의 분산을 약 20% 추가로 설명해 주고 있음을 알려


주고 있다. 수업 중 학습과정변인군을 구성하는 4개 변인들이 모두 투입된 마지막
모형의 경우, R2값이 추가적으로 소폭 상승하여 .259가 되었다.
<표 Ⅲ-46>와 <표 Ⅲ-47>은 회귀분석 결과 도출된 각 독립변인의 회귀계수를 제
시하고 있다. 각 독립변인과 종속변인과의 관계와 더불어 주목해야 할 사항은 독립
변인이 회귀모형에 추가됨에 따라 이미 모형에 투입된 독립변인들의 회귀계수 변화
양상이다.
인지적 사고능력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
저 개인배경특성을 나타내는 변인 중에서는 성별, 전공, 학년이 인지적 사고능력 측
면에서의 학습 성과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개인배경특성이 동일하
다는 가정 하에서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인문계열 학생들과 비교해 공학계열 및
사범계열 학생들이,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대학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인지적 사
고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거주형태나 통학시간은 인지적 사고능력
향상 정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배경특성 변인 중에서는 규모와 설
립이 인지적 사고능력의 향상 정도와 관계가 있었다. 다른 배경특성 변인의 효과를
통제한 후, 대규모 대학의 재학생들이, 국공립보다 사립대학 재학생들이 대학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인지적 사고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인지적 사고능력
향상에 대한 대학규모와 대학설립의 효과는 수업 내외 학습경험 변인들이 모두 모
형에 투입된 뒤에도 유효하였다. 한편, 수도권 대비 비수도권 대학의 재학생들 간에
이러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외 학습활동은 인지적 사고능력의 향상 정도와 상당히 관련되어 있다는 것
을 회귀분석 결과가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서관 이용, 학습에 IT 기술을 활
용한 경험, 읽기 분량, 각종 프로젝트 등 자기계발 활동, 그룹 스터디 활동, 지원적
인 학내 구성원과의 교류 등이 인지적 사고능력 향상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
은 학생들의 성별, 학년, 전공, 통학시간, 거주지 형태 측면에서의 차이와 재학 중
인 대학의 규모, 설립, 소재지 차이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유효한 것임을 주지하
자. 인지적 사고능력 향상에 대한 이러한 수업 외 학습경험의 영향력은, 읽기 변인
만을 제외하고, 수업 중 학습경험 변인들이 추가로 모형에 투입되자 다소 줄었으나

134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통계적 유의성은 지속되었다. 협동학습 경험 등 수업 중 학습경험 변인들은 인지적 사


고능력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차원적 사고활동 및 교수와
의 상호작용 경험과 인지적 사고능력의 향상과의 관계는 상당히 뚜렷하게 나타났다.

<표 Ⅲ-48> 인지적 사고능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모델1 모델2 모델3 모델4
독립변인 b B b B b B b B
(상수) 2.473*** .096 2.283*** 1.237*** 1.205***
전공_사회과학 .011 .010 .020 .018 .032 .029 .036 .032
전공_사범 .112** .071 .119** .076 .067 .043 .053 .034
전공_공학 .134*** .115 .145*** .124 .134*** .115 .139*** .119
전공_자연과학 .035 .026 .044 .033 .077* .058 .081** .061
전공_의학 -.016 -.009 -.018 -.010 -.010 -.005 -.003 -.001
전공_예체능 .014 .010 .020 .015 .050 .038 .041 .031
학년 .069*** .136 .067*** .132 .048*** .094 .040*** .078
거주지_기숙사 .021 .018 .044 .036 .022 .018 .007 .006
거주지_하숙 등 -.005 -.005 .002 .002 .022 .022 .015 .015
통학시간 -.032 -.030 -.047 -.045 -.018 -.017 -.004 -.004
성별 .087*** .096 .080*** .089 .049* .055 .046* .051
대학규모 .048** .071 .043** .064 .053*** .078
설립구분 .078** .073 .036 .034 .035 .034
대학소재지 -.028 -.029 -.022 -.024 -.021 -.023
도서관 이용 .078*** .113 .071*** .103
정보통신 기술 활용 .065*** .113 .031* .054
쓰기 .026 .041 -.015 -.024
읽기 .045** .065 .021 .031
다양한 배경 동료 교류 .028 .041 .000 .001
다양한 자기계발 활동 .074*** .096 .047* .061
봉사활동 경험 -.013 -.019 -.022 -.033
그룹 스터디 활동 .062*** .098 .036* .058
지원적 대학 구성원 .135*** .187 .110*** .153
협동학습 경험 .021* .033
고차원적 사고력 활동 .138*** .206
성실한 수업 참여 -.048** -.052
교수와의 상호작용 .113*** .151
주. * p<.05, ** p<.01, *** p<.001

13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다음은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을 종속변인으로 사용한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개인배경특성을 나타내는 변인 중에서는 성별, 전공, 학년이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
능력 측면에서의 학습 성과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개인배경특성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서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학년이 높을수록 대학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인문계
열 학생들에 비해 자연과학계열 및 예체능계열 학생들은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
이 향상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인지적 사고능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거주형태나 통학시간은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 향상 정도와
관련이 없었다. 대학배경특성 변인 중에서는 규모와 소재지가 대인관계 및 자기이
해능력의 향상 정도와 관계가 있었다. 다른 배경특성 변인의 효과를 통제한 후, 대
규모 대학의 재학생들이 소규모 대학 재학생들에 비해 대학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 향상에 대한 대학규모와 대학소재지 효과는 수업 내외 학습경험 변인
들이 모두 모형에 투입된 뒤에도 유효하였다.
수업 외 학습활동은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의 향상 정도와 상당히 관련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서관 이용, 학습에 IT 기술을 활용한 경험, 읽기 분량, 다양
한 배경의 동료들과 대화 경험, 각종 프로젝트 등 자기계발 활동, 봉사활동경험, 그
룹 스터디 활동, 지원적인 학내 구성원과의 교류 등이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 향
상과 관련이 있었다. 하지만 도서관 이용, 봉사활동경험, 지원적인 학내 구성원과의
교류 등 3개 변인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수업 외 학습경험 변인들과 대인관계 및 자
기이해능력 향상과의 관계는 수업 중 학습경험 변인들이 추가로 모형에 투입되자 통
계적 유의성을 잃었다. 수업 중 학습경험 중에서는 협동학습, 고차원적 사고활동, 교
수와의 상호작용에서 바람직한 학습경험을 한 학생들일수록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
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고차원적 사고활동은 지원적인 학내 구성
원과의 교류와 더불어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의 향상과 크게 관련되어 있었다.

136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표 Ⅲ-49> 대인관계 및 자기이해능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모델1 모델2 모델3 모델4


독립변인 b B b B b B b B
(상수) 2.692 2.700*** 1.606*** 1.507***
전공_사회과학 -.049 -.044 -.037 -.033 -.016 -.014 -.011 -.010
전공_사범 .011 .007 .024 .015 -.022 -.014 -.030 -.019
전공_공학 -.003 -.003 .010 .008 .017 .015 .018 .016
전공_자연과학 -.094* -.070 -.087* -.065 -.039 -.029 -.035 -.026
전공_의학 -.075 -.041 -.077 -.042 -.067 -.036 -.058 -.032
전공_예체능 -.087* -.067 -.076* -.058 -.034 -.026 -.029 -.022
학년 .046*** .091 .046*** .091 .034** .067 .030** .058
거주지_기숙사 .022 .018 .048 .040 .026 .021 .022 .018
거주지_하숙 등 .015 .015 .021 .021 .037 .036 .029 .029
통학시간 -.026 -.025 -.047 -.044 -.015 -0.14 -.009 -.009
성별 .079*** .087 .072** .079 .042* .046 .045* .049
대학규모 .043** .063 .046** .068 .050*** .073
설립구분 .016 .015 -.020 -.019 -.014 -.013
대학소재지 -.075** -.079 -.080*** -.085 -.079*** -.083
도서관 이용 .041* .058 .039* .055
정보통신 기술 활용 .044** .076 .013 .022
쓰기 .015 .024 -.019 -.029
읽기 .043** .062 .024 .035
다양한 배경 동료 교류 .039* .056 .017 .024
다양한 자기계발 활동 .055** .070 .029 .037
봉사활동 경험 .071*** .107 .066*** .099
그룹 스터디 활동 .042** .066 .020 .032
지원적 대학 구성원 .165*** .227 .152*** .210
협동학습 경험 .063*** .097
고차원적 사고력 활동 .108*** .160
성실한 수업 참여 -.022 -.024
교수와의 상호작용 .048** .064
주. * p<.05, ** p<.01, *** p<.001

13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3.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의 주요 특징

본 설문결과에서 나타난 한국 대학생들의 수업 외 학습경험의 주요한 특징은 비


참여적이며, 수동적인 대학생활로 그 특성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활을 중
고등학교와 비교할 때 가장 큰 차이점은 자율과 책임이라는 두 단어로 표현할 수 있
을 것이다. 대학생활은 더 많은 자율성이 확보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에 해
당되는 책임감 또한 함께 요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활은 중고등학교 교육
과정과는 달리 개인의 의지와 성향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 또한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일 것이다. 자율성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을 어떻게 잘 분배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는 개인에 따라 다양할 것이며, 그러
한 결과로 인한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의 차이 또한 개인 간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본 설문에서 나타난 대부분의 한국 학생들의 경우
다양한 경험을 획득할 수 있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른 측면으로 그 결과를 해석해보면, 반드시 참여해야하는 수업이외의 활동은 매우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단적인 예를 살펴보면, 본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우 절반이상은 자주 도서관을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대학생들의 경우 도서관은 과제를 준비하거나, 시험공부를 할 때, 아니면
취업준비를 하는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을 자주 찾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 간 교류를 묻는 문항의 결
과로 살펴봤을 때, 한국 대학생들은 다양한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배경을 가진 친구와의 교류에도 수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의 참여도가 매우 낮았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토론의 주제 또한 매우 제한적이
었다. 또한 취업이나 학업의 목적으로 다양한 스터디 활동을 통해서 수업 외에서 충
족되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고 있을 것이라 추측되었지만, 예상과는 달리 활발히 스
터디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대부분의 학생들
은 영어성적을 위해 졸업 전 어학연수의 기회를 한번 정도는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
지만, 90%이상의 학생들이 어학연수의 기회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외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비율도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

138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학생활은 고등학교 생활과는 달리 다양한 서적을 읽은 수 있는 시간과 여유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적극적인 독서활동이 활발히 진행될 것이라고 예측 되었지
만 그러한 특성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설문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우 한 학기
동안 읽은 도서의 수와 보고서의 수가 전반적으로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의 대학들이 내세우고 있는 최고의 교육적 사명은 사회봉사 능력의 함양이다.
한국의 대학의 경우 봉사정신의 함양을 위해 학점과 같이 의무적으로 참여를 강요
하는 학교와 학점이 아닌 자발적인 동아리 형태로 봉사활동을 권장하는 학교로 구
분될 수 있다. 물론 어떠한 방법이 고등교육 기관에서 사회봉사를 위한 적합한 방법
인지에 관한 논쟁은 지속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학문적
인 지식의 습득과 함께 봉사정신은 대학생으로서 반드시 함양해야 할 덕목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본 설문조사결과 한국의 대학생들은 사회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동안 사회봉사의 참된 의미와 경험을 쌓지
않으면, 이들이 사회에 진출한 이후에도 사회봉사에 참여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수업 외 활동에서 주목해야할 또 다른 특징은 한국 학생들의 글쓰기 태도이다. 대
학생활은 학문적인 글쓰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의 대학생들은 적극적으로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부족한 것
으로 나타났다. 글쓰기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의 글을 퇴고
하며, 타인에게 교정 받는 것이 가장 기본일 것이다. 하지만 본 설문에서 글쓰기 태
도를 묻는 질문에 한국 대학생들은 자신의 글을 퇴고하는 과정에 관한 중요성을 인
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타인에게 자신의 글을 검토하는 것에 익숙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좋은 글쓰기를 위해서는 독서의 양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사실이
지만 한국의 대학생들은 독서양의 양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음을 추측할 수 있다.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된 수업 관련 학습경험의 특징은 수업 관련 학습경험대한
몰입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고 능동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비중도 높지
않다는 사실이다. 문항별로 응답 분포의 차이가 있었으나, 수업 준비, 발표-질문-
토의, 필기 활동을 통한 수업 참여, 동료와의 협력, 학습한 내용을 다른 학생들에게

13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설명해 본 경험, 수업 참여 성실성 등을 나타내는 문항에 대한 전반적인 응답 경향


은 전체 학생의 30%-40% 정도만이 몰입 수준의 학습활동을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
을 보여주고 있었다.
예컨대, 읽기나 숙제를 다 마치고 수업에 참여했던 경험에 대해, 응답자 5명 중 1
명꼴로 수업 준비를 거의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종합
해 보거나,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거나 응용해 보는 등의 고차원적인 학습활동
경험의 경우, 세부 문항별로 적게는 약 10%에서 많게는 17%의 응답자가 거의 시도
하지 않았다고 답했고 50%에 육박하는 응답자들은 가끔 시도해 본다고 답하였다.
추측하여 보건대 학생들은 학점 등 가시적인 성과와 관련된 활동을 소흘히 하지
는 않지만 학습 자체를 즐기면서 능동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고 있지는 않은 것
으로 파악된다. 특히, 수업 참여의 성실성을 나타내는 문항들에 대한 응답 결과가
이러한 추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수업 결석 경험을 묻는 문항에 대해 거의 하지 않
았다는 응답자가 70% 이상이었고 가끔 결석하였다고 응답한 사람들이 23%였다. 마
찬가지로 제출기간을 넘겨 수업과제를 제출한 경험을 묻는 문항에 대해 거의 없다
는 응답자가 66.4%였고 가끔 경험했다는 응답자가 26%였다. 반면, 수업시간에 졸
거나 수업시간에 메신저 등을 이용해 본 경험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거의 경험하
지 않았다는 응답자의 비중이 40% 수준으로 낮아지고 자주 또는 매우 자주 경험하
였다는 응답자 비중이 10% 이상으로 높아졌다. 수업 결석과 제출기한을 넘긴 과제
제출은 학점에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학생들이 이를 자제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학
점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수업에 집중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가
늠케 하는 대목이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수업, 시험 및 과제 분량에 대한 조사결과, 과목당 시험이나
과제의 부담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80% 정도 학생들이 6
강좌-9강좌의 과목을 수강하고 있었으며 중간・기말고사 등의 정기시험을 치룬 횟수
가 한 학기당 8회 이하였다는 응답자가 42%였고 쪽지시험, 퀴즈 등 부정기 시험 회
수가 한 학기당 8회 이하였다는 응답자가 87%에 달했다. 과제 수의 경우, 한 학기
당 수행한 과제가 8회 이하였다는 응답자가 67.5%로 조사되었다. 평균적으로 학생
들이 한 학기당 수강하는 과목이 6-8강좌임을 상기할 때 한 과목당 시험이나 과제

140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수가 1개 정도에 머무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주목해야 할 결과 중 하나는 대학생들의 상호작용 경험이 상
당히 부정적이라는 사실이다. 먼저, 교수-학습 활동의 핵심 주체라 할 수 있는 교수
와 학생들의 상호작용 실태를 살펴보면, 5개 관련 문항에 대해 교수와 상호작용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63%에 달했다. 응답
한 대학생들의 절반 이상이 교류 목적과 상관없이 거의 모든 문항에 대해 교수와 교
류 경험이 거의 없다고 응답한 것이다. 특히 교수-학생 교류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수업 관련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경험을 묻는 문항에서도 자주 또는 매우
자주 교류하였다는 경험자의 비중이 20% 안팎에 머물렀다.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빈도를 묻는 문항 이외에 동료학생, 행정직원 및 지원센터 직원, 교수진과의 관계의
속성도 조사하였다. 이 조사에서도 동료학생들과의 관계는 친근하며, 지원적이라는
응답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교수진 및 행정직원들과의 관계는 무관심하
며 소외감을 느끼게 하는 관계라는 응답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전공수업 학습 성과에 대한 주요한 특징은 전반적으로 학점, 학년이 높을수록 수
업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반응을 했으며, 공립대학의 경우 호기심 자극은 저조
하지만 나머지 항목에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난 점이다. 교양수업의 경우 연령,
학년, 학년이 낮을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수업 및 교수에 대한 이해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학력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단, 아버지의 학력
이 일정수준에 다다를수록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한편, 박사 이상일 경우는 오
히려 긍정적이지 못한 반응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었고, 거주지의 경우 기숙사, 친
지, 학교 밖 공동숙소에 거주하는 경우 자택에서 통학하는 학생보다 수업에 대해 긍
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학 추천의사의 경우 수도권, 대규모 대학 재학 중인 학생, 어머니의 학력이 높
은 학생일수록 긍정적인 추천의사를 나타낸 점이 특징적이다.
수업만족도의 경우 전반적으로 남성, 특히, 군복무 이후 자, 기숙사 및 학교 밖
공동숙소에 거주할 경우 학습 성과에 있어 우수한 성과가 있다는 응답률이 높은 편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정성과(과학기술, 외국어)는 계열과 독특한 개인배경의 차
이를 반영하고 있으며, 규모가 클수록 긍정적인 응답을 나타냈다.

14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4. 학습장애요인 및 개선방안

본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 외 활동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한 가지는 학생


들은 수업 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들이
왜 적극적으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지에 관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추측할 수 있는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선 대부분의 대학들은 수
업 외 활동을 위한 활발한 홍보와 안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예를 들어, 신입생과 재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도서관 이용 방법과 같은 다양한 프로
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홍보했다면, 학생들이 다양한 이유로 도서관을 찾는
이용률이 높았을 것이라 판단된다. 충분한 교육을 받지 않았을 경우, 몇몇 학생들의
경우는 도서관을 시험 공부하러 오는 곳으로 한정지을 수 있으며, 몇몇 학생들은 단
순히 책만 빌리는 곳으로 여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대학도서관의 기능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충분한 대학의 홍보와 교육만으로 도서
관의 활용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대학생들의 낮은 사회봉사 참여 또한 관심을 가져야할 문제일 것이다. 대학
생활동안의 다양한 사회봉사 경험은 이들이 사회에 나아가더라도 사회봉사의 참된
의미와 가치를 깨닫게 해주며 지속적으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다. 하지만 몇몇 대학에서는 사회봉사의 자발적 참여만을 강조하여
학교에서는 어떠한 홍보나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소극적인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사회봉사의 참여 정도가 매우 낮은 문제점을 보면, 정
규교육과정의 마지막인 대학교육에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즉 일부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필수학점으
로 사회봉사를 지정하여 더 많은 학생들이 사회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나와 다른 생각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의 토의와 논쟁의 경험이 많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런 결과는 우리나라의 고질적 문제인 암기식 교
육의 병폐로 기인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대학의 교육은 암기식 교육을 탈피하면서
자유로운 사고와 가치를 존중해주는 수업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아직도 한국의 대

142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학생들은 그러한 대화와 토론의 경험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


을 개선하기 위해서 수업과 같은 정규시간에 대화와 토론의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
고 서로 다른 의견을 지혜롭게 조율할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을 제공해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살펴봐야 할 부분은 글쓰기 과정이다. 대학생에게 글쓰기가 왜 중요한
지에 대한 여러 이유를 구체적으로 제공하지 않아도 글쓰기 능력은 대학생으로서
반드시 함양해야하는 중요한 능력 중 한 가지 일 것이다. 하지만 본 설문결과를 보
면, 학생들의 글쓰기를 한 이후에 타인에게 검토를 의뢰하지 않을뿐더러, 스스로도
여러 번 검토의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왜 이렇게 대학생들은 자신이
쓴 글에 대한 지속적인 퇴고의 과정을 소홀히 할까? 직접적인 원인을 본 연구에서
찾을 수 없지만 한 가지 가능한 원인은 제출된 과제에 대한 피드백의 부족일 것이
다. 만약 제출된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작문의 문제점을 해당 과목 교수님으로
부터 지적받았다면 학생들은 과제 제출 전 검토과정에 더 많은 신경을 썼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피드백이 없는 수업이 많을 경우 학생들은 충분한 검토 없이 글쓰기
과제를 제출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교과 담당 교원의 글쓰기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학생 과제물에 대한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면, 학생들에게는 글쓰기 과정의
퇴고가 매우 중요함을 인식시켜 줄 것이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에서 드러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수업 중 학습경험 및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경험의 특징은 수업 관련 학습경험에 대한 몰입 수준이 전반
적으로 높지 않으며 수업 참여도 능동적이 아니라 수동적・방어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이다. 또한 고차원적 사고능력 배양을 위한 각종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등 몇몇 중요한 학습활동에 대한 참여는 우려할 정도로 저조하였다. 우리나라 대학
생들의 학습 개선 측면에서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학생들이 체감하는 교수와의 교류를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증대시켜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고취하고 학습 성과를 제고함에 있어 수업과 관련한 교수-학
생 상호작용 경험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교수-학생 상호작
용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많은 선행연구에서 언급되었으며 본 연구
에서 실시한 회귀분석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이처럼 교수와의 교류가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교수와의 교류는

14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양적으로나 내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빈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술하였듯이 설문


조사에 포함된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관한 5개 문항에 대해 교수와의 교류를 거의
경험하지 못했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60%에 이르렀다. 이러
한 사실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학습을 개선하기 위해 대학당국이나 교수 개인 차
원에서 학생들과의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조치와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
하고 있다.
학생들이 고차원적인 사고력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우리
나라 대학생들의 학습을 개선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수업 시간에
다루어진 정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거나 실생활에 응
용해 보는 경험들은 사고능력을 배양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지식정보화 경제에 진
입하면서 지식 자체의 습득보다는 지식을 가공하고 창출하는 능력이 조명을 받고
있으며 소위 핵심 능력(core competencies or generic competencies)의 개발이 교
육의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교수-학생 상호작용처럼 고차원적
인 사고력 활동도 여러 가지 영역에서의 학습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선행연
구에 언급되었으며 본 설문조사에서도 확인되었다. 하지만 관련 문항에 대한 학생
응답 결과가 보여 주듯이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고차원적인 사고력 활동에 충분히
노출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수업내용과 수업방법 등 다양한
각도에서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수업에 대한 만족도 및 학습 성과의 경우 학년과 학점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인 경향을 통해 개선방안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의 경우 전체적으로 전공수업 보다 교양수업의 만족도가 저조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학습과정에서 전공에 주력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교양수업
이 전공수업을 위한 기초이자 전공 상관없이 교양수업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점과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교양수업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고려했을 때 학
생들이 교양수업을 통해 보다 학습의 흥미를 찾고 다양한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할 대안이 필요하다. 특히 교수로부터 적절한 시기에 피드백이 있었는지에 대한 문
항에서는 전공의 경우 53%가 ‘그렇다’고 응답했으나 교양의 경우 39.8%로 전공에
훨씬 못 미치는 반응을 나타냈다. 이러한 점은 교양수업의 경우 대체로 시간강사가

144
Ⅲ. 설문조사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전담하는 상황에 기인하기도 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대학에서 학습하는 모든 과정


에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대학 및 유관기관들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 성과와 관련해 의사소통 능력 또는 대인관계 능력과 같은
Soft Skill은 향상되었다는 반응이 많았으나, 확률 또는 비율 등을 통한 양적 문제
해결능력과 원리 응용력 등 Hard Skill에 해당하는 인지적 역량의 성과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것은 학생들이 대학에서의 수업과 과제 수행이 대체로 고전
적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특별히 관련이 높은 전공이 아닌 경우를 제외하면 훈
련이 부족하기 때문일 수 있다. 증거기반 연구(evidence- based research)의 중요
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대학에서 양적연구 방법 활용의 훈련을 더욱 강화할 필요
가 있다. 아울러 외국의 실력의 경우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수업
및 시험을 위한 외국어 학습이 주로 이루어지므로 실질적으로 외국어 실력이 향상
되었다는 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변인별 분석을 통해서
도 확인할 수 있는데 외국의 국적을 갖고 있는 경우가 아닌 한국의 일반 대학생의
경우 외국어 실력에는 변화 없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 역시
실생활에서의 훈련을 통해 실질적인 향상을 얻을 수 있도록 수업방식을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

145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1. 학습일지 작성을 통한 대학생의 학습과정 조사
2. 학습일지 분석틀
3. 학습일지에 나타난 한국 대학생의 학습 실태
4. 학습과정의 주요한 특징
5. 학습장애요인과 개선방안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1. 학습일지 작성을 통한 대학생의 학습과정 조사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 설문지 개발과 함께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습일지 작


성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들은 개별학생들의 학
습전략이나 학습 상의 문제점 극복 방법 등에 관한 미시적 수준의 자료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학습일지 작성 방법은 한 개인의 자기보고식 방법으로 자
신의 일상을 상세하게 서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학습일지 작성검사를 위
한 개발 및 전반적인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그림 Ⅳ-1] 학습일지 작성 검사의 개발 과정

가. 학습일지초안 작성

학습일지작성 검사의 첫 번째 단계는 연구진 협의를 통해 학습일지 작성방법을


논의하고 예비검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진 협의회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일지작성 지침을 도출하였다.

14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 일지 양식 및 지침
- 6하 원칙 : 언제, 어디서, 누구와, 무엇을, 왜, 어떻게 학습했는가? 6하 원칙
에 따라, 하루의 생활5)을 언제, 어디서, 누구와, 무엇을, 어떻게, 왜 했는지를
서술한다.
- 공부한 시간과 공부량(독서량) 등 양화 가능한 것들은 정확히 기록한다.
- 공부과정에서 생겨난 문제나 그 해결과정, 그 과정에서의 생각과 느낌 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적는다. 공부 방법 및 내용에 대해서는 되도록 상세하게 서
술한다.
- 주관적 서술 : 학습 과제, 과제 해결 방안 등에 대한 학습자의 주관적 인식이
드러날 수 있도록 서술한다.
- 일기 형식으로 적되 솔직하게 기술하기. 추후 자료로 활용될 때에는 무기명
또는 가명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 분량은 적어도 하루에 A4 용지 1장 이상이어야 한다.

나. 1차 예비검사 실시

1차 예비검사를 위해 1명의 대학생이 표집 되어 학습일지를 작성하였다. 1차 예비


검사 기간은 5월 18일부터 5월 25일까지 8일간 진행되었다. 본 조사에 참여한 학생
은 8개의 학습일지를 작성하였고, 그 중 한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5) 학습이나 공부와의 직접적 관련성이 적더라도 생활을 소상히 밝히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150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5월 25일 학습일지>

오늘은 1교시(9:00) 수업이 있었기 때문에 6시 10분에 기상하였다. 씻고 밥


먹고 준비하여 나오니 7시 5분, 학교에 도착하니 8시 30분이었다.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발표 원고를 한 번 더 읽어보았다. 수업은 9시에 시
작되었다. 일단 발표 전에 진도를 나갔다. ‘경영학원론’의 교수님은 학부 교수
님이 아닌 대학원 교수님이시고 연세가 좀 있으시다. 그런데 재밌으시고 유
익한 이야기를 많이 해주셔서 좋다. 중간고사 이전까지는 수업이 시작하고
한 10~15분 정도를 실생활에 관련된 현재 경제, 경영의 주요 뉴스들에 대해
이야기해주셨다. 제일 기억에 남는 얘기는 생명보험 회사들의 주식 상장 이
야기였다. 현재는 발표 때문에 시간을 많이 뺏겨 따로 얘기하는 시간을 두시
지는 않지만, 수업 시간 중간중간에 관련된 얘기를 많이 해주신다.
10시 10분까지 진도를 나가고, 쉬는 시간 10분 이후에 발표가 진행되었다.
우리는 두 번째 발표였다. 첫 번째 발표 조가 11시 5분 정도까지 발표했다.
‘마케팅 전쟁’이라는 책이었는데 초반에는 마케팅 전략에 관한 이야기였고 후
반엔 마케팅 전략 사례들에 관한 내용이었다. 콜라 전쟁, 햄버거 전쟁 등이
있었다. 콜라 전쟁은 코카콜라가 거의 독점하고 있다시피 했던 콜라 시장에
펩시가 어떤 마케팅 전략을 이용하여 시장에 진입하였고, 절반 이상의 점유
율을 갖게 되었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 흥미로운 사례들이었지만 이 조는
시간을 초과했기 때문인지 지루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우리의 발표는 11시 5분부터 시작되었다. 나는 우리 조에서 세 번째로 발표
를 했다. 약간의 발표 울렁증 때문에 긴장을 많이 했지만 의연한 척 마이크를
잡았고 발표를 시작하였다. 긴장 탓에 시선을 자꾸 대본에 놓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대본에서 눈을 떼질 못했다. 그래도 다행히 발표를 잘 마무리
하고 마이크를 다음 발표자에게 넘겼고, 친구의 말로는 긴장한 티는 별로 안
났다고 했다. 다행이었다.
우리 조의 발표는 11시 35분쯤 끝났다. 약 30분이 걸렸으니 적당했다. 우리

15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의 발표를 끝으로 수업이 끝났고, 12시에 어제 같이 밥을 먹었던 같은 과 언


니랑 수업을 같이 들은 친구 한 명이랑 같이 밥을 먹었다. 오늘의 메뉴는 냉
면이었다. 한창 더울 때는 사람이 줄을 서서 먹는 냉면집이 어제 오늘 날씨가
좀 쌀쌀하다보니 사람이 많지 않았다.
1시 30분 수업은 경제학원론 수업이었다. 쉬는 타임에 수업에 필요한 PPT
자료를 뽑았다. 이 과목의 교수님은 한국은행에 다니셨던 분이시다. 정년퇴
임을 하시고 교편을 잡으신 듯하다. 나이가 좀 있으신 것 같지만 경영학원론
교수님보단 젊으신 것 같다. 구수한 사투리로 학생들에게 좀 더 쉽게 설명하
시려고 애쓰신다. 오늘은 생산요소 시장에 대해 배웠다. 앞에서 생산물 시장
을 배웠으니 이제 생산요소 시장을 배울 차례인 셈이다. 중간고사 이후에 배
운 내용은 다 어렵다. 아무래도 기말고사 때 고생 좀 할 것 같다.
2시 45분에 수업이 끝났고 바로 집으로 향했다. 집에는 5시가 조금 안되어
도착했다. 5시부터는 내일 있을 독서와토론 발표 자료를 검토했다. 문장이
어색한 부분이나 더 추가해야할 내용이 있다 싶어서 약간 수정을 거쳤다.
7시에 친구와 저녁 약속이 있었기 때문에 6시 30분에 집을 나섰다. 친구와
만나 치킨을 먹고 수다를 떨다가 9시가 다 되어 집에 도착하였다. 컴퓨터를
켜고 다시 발표 자료를 보고 있는데 엄마가 오셔서 발표를 봐달라고 했다. 엄
마 앞에서 발표를 한 번 연습하면서 시간을 재어보니 20분이 조금 안 걸린
것 같았다. 딱 적당했다.
10시 5분부터는 동이를 시청하였고, 동이가 끝난 11시 10분부터는 발표 자
료를 정리하였다. PPT 자료와 원고 자료가 있었는데, PPT 자료에 원고 자료
를 살짝 옮겨 적었다. 어차피 원고를 보며 할 것 같았긴 하지만 뭔가 해야 할
것 같았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12시가 조금 넘어서 잠자리에 들었다.

152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다. 1차 예비검사 결과 분석 및 학습일지 초안 수정

1차 예비검사를 통해 작성된 학습일지는 연구진 회의에서 분석・논의 되었고, 그러


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학습일지 작성 기준을 추가적으로 마련하였다.

○ 추가적인 학습일지작성 기준
- 학습일지 작성양식은 1시간 단위로 작성한다.
- 학생의 하루일과를 크게 학습경험과 비학습경험으로 분리하여 기술한다.
- 학습은 다시 수업과 수업 외로 나누어 서술한다.
- 비학습은 크게 동아리, 직업(아르바이트), 기타활동 등으로 구분하여 서술한다.
- 모든 활동을 기술할 때 6하 원칙에 맞게 서술한다.
- 비고란에는 학습과정에서의 주관적 느낌과 생각, 학습의 어려움, 그 극복과정
등을 서술하도록 한다.
- 학습일지 양식 예는 다음과 같다.

<표 Ⅳ-1> 대학생 학습일지 양식(초안)


일자 : 2010. 9. **.
작성자 : o o o (소속)

활동구분 시간 어디서 누구와 무엇을 왜 어떻게 비고


수업 9:00
수업 외 10:00
동아리 11:00
직업 12:00
기타 13:00
기타 14:00
.....

15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라. 2차 예비검사 실시

수정된 학습일지 작성 양식을 사용하여 2차 예비검사가 실시되었다. 1주간 2명


의 대학생이 본 예비검사에 참여하였으며, 위에서 제시된 수정된 학습일지 작성
을 사용하여 7개(1주일)의 학습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마. 2차 예비검사 결과 분석 및 최종 학습일지 개발

2차 예비검사 결과를 통해 얻게 된 2명의 학습일지 결과를 연구진 회의에서 분석


한 후에 최종적으로 학습일지 조사양식을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확정된 학습일지
양식은 다음의 표와 같다.

<표 Ⅳ-2> 학습일지 양식(최종)

◎ 작성자 : OOO
◎ 소 속 : OO대학교 OO학과
No. 1 ◦날짜 : 2010년 월 일 요일

구 분
수업관련 수업 외 기타 시 간 학 습 활 동
학습활동 학습활동 활동
9:00~10:20
10:20~12:00
12:00∼13:00
13:00∼14:00

바. 최종 학습일지 검사 실시

본 검사에 참여한 학생은, 지역, 계열, 학년, 성별을 고려하여 30명의 대학생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학생 표집은 대학 취업지원실, 웹사이트 홍보, 및 대학교수
에게 연락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9월 2주차와 4주차에 실시되었다.

154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표 Ⅳ-3> 학습일지 작성 참가자 표집

성명 대학 전공
박○○ 비수도권 국사학
박△△ 수도권 사회복지학
주○○ 수도권 경영학
최○○ 수도권 독어교육
변○○ 비수도권 전기, 제어계측공학
이○○ 비수도권 일반사회교육
박□□ 비수도권 독어독문학
김○○ 수도권 공간정보공학
김△△ 수도권 간호학
김□□ 수도권 국어국문학
정○○ 수도권 국어교육
김◇◇ 비수도권 무역학
어○○ 수도권 고분자시스템공학
이△△ 비수도권 생명과학
장○○(미작성) 수도권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
이▤▤ 수도권 한의예
최○○ 수도권 약학
윤○○ 수도권 의류환경학
이□□ 수도권 가족아동학
최△△ 비수도권 생물학
김▤▤ 비수도권 생활환경복지
윤○○ 수도권 사학
남○○ 비수도권 정치외교학
이◇◇ 비수도권 전자공학
김▱▱ 비수도권 스포츠건강관리학
조○○ 비수도권 원예학/조경학
이▱▱ 비수도권 보건관리학
박▱▱ 수도권 토목환경공학
이◎◎ 수도권 경제학/글로컬문화컨텐츠학
김◎◎ 수도권 체육교육학

15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2. 학습일지 분석틀

가. 표집

학습일지 작성에 참여한 학생은 모두 30명이었다. 그러나 이 중 1명이 중도에 탈


락하여 총 29명의 학생이 학습일지를 작성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이들 29명의 학습
일지를 분석하였다. 이 중 수도권 학생이 15명, 비수도권 학생이 14명이었으며, 인
문사회계열 학생이 14명, 공학의학 및 예체능계 학생이 15명이었다. 지역별・계열별
구체적인 학생 분포는 다음의 표와 같다.

<표 Ⅳ-4> 학습일지 대상 학생 표집 현황

구분 인문사회사범계열 이공의학예체능계열 합계
수도권 8명 7명 15명
비수도권 6명 8명 14명
합계 14명 15명 29명

나. 학습일지 분석틀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다양한 유형을 보이고 있다. 학생 각자의 주어진 환경과 개


인적 특성, 활동영역과 관심 분야의 차이 등에서 뿐만 아니라, 학생이 속해있는 대
학의 문화, 즉 계열, 전공, 학과 등 학생의 소속에 따라 그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다
양하고 복잡한 유형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학습과정을 다면적이고 현실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 방법이 필
요하다. 앞서 제시된 설문조사를 활용한 학습과정 분석은 이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설문조사의 경우 객관적인 사실과 응답자의 의견을 수립할
수 있지만, 좀 더 깊이 있는 정보, 즉 어떠한 행위에 대한 이유나, 동기, 학습과정에
서 발생하는 학생의 느낌이나 감정 등을 파악하기 힘든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
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대학생들에게 하루 일과를 담은 학습일지를 직접

156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습일지는 대학생의 생활을 크게 학습활동과 비학습활동으로 나누고, 학습활동
은 다시 수업관련 활동과 비수업관련 학습활동으로 나누어 기술한 것으로 각 영역
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포함하였다.

○ 수업활동: 수업활동은 수업에 직접 참여하는 활동, 수업참여를 위해 준비하는


활동, 그리고 수업내용을 연계하거나 일상생활에 응용하는 활동을 모두 포함
한다. 이러한 활동들에는 예・복습 등 수업준비 활동, 질문이나 질문에 대한 대
답 등 수업참여 활동, 팀프로젝트 등 협동학습, 시험과 과제를 수행하는 활동,
수업내용을 연계하거나 종합하고, 대안을 모색하거나 응용하는 활동, 수업 내
용에 대한 친구나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는 활동, 교수와의 상호작용, 그리고
수업시간에 수업과 관련없는 활동을 하는지에 대한 수업성실도 등이 포함된
다. 수업활동 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어떠한 학습경험을 하고 이
에 대에 어떠한 사고 작용을 하는지, 수업과 교수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하는
지, 그리고 왜 비학습적인 행위를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수업
만족도 및 수업성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수업과 교수에 대한 만족과 불만족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수업 외 학습활동: 대학생들은 수업이외에도 다양한 학습활동을 하고 있다. 이
러한 학습활동에는 도서관이나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의 이용, 교실 밖에서
의 교수와 상호작용, 학습동아리에 가입하거나 독서를 하는 등의 자기계발 학
습활동, 공모전 참여 활동, 그리고 취업을 위한 취업준비활동 등이 포함된다.
수업 외 학습활동에 관한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이 수업과 관련하여 어떠한 추
가적 활동을 하는지, 수업이외의 자기계발과 취업을 위해 어떠한 활동을 왜,
또 어떻게 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아볼 수 있다.
○ 기타활동: 직접적인 수업참여활동과 수업 외 학습활동이외에 모든 활동을 기
타활동으로 분류하였다. 기타활동에는 직업 활동, 각종 동아리 및 종교 활동,
각종 봉사활동, 여가생활에 대한 내용, 그리고 시설 설비 및 서비스 만족도 등
을 포함하였다.

15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학습일지 분석을 위한 각 활동과 이에 대한 세부 내용은 다음의 <표 Ⅳ-5>에 요


약되어 있다.

<표 Ⅳ-5> 대학생 학습일지 활동영역 및 세부기술내용

활동
활동 영역 세부내용
구분
수업준비 수업준비(예습・복습, 발표준비 등)
수업참여 토론, 질의응답, 질문, 노트필기
협동학습 공동/조별 수업발표, 팀 프로젝트 수행
수업내용의 연계・ 다른 수업과의 연계 학습, 학습경험의 종합 연결, 해
종합・대안모색・응용 결방안이나 대안 모색, 일상생활에의 응용
수업 내용에 대한 설명 수업내용 타인에게 설명, 문제해결책 타인에게 설명
수업 기한 내 과제 제출, 결석, 지각, 수업 중 졸거나 잠,
수업 성실도
활동 메신저나 문자 사용 등
수업형태 면대면 수업, 온라인 수업
시험(중간, 기말고사), 부정기 시험(쪽지 시험, 퀴즈
시험 및 과제
등), 과제 수
상호작용 교수와의 상호작용,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전반적 수업분위기, 학습전략, 좌석배치와
기타
수업관심도
도서관 활용 도서이용 빈도, 도서관 이용목적
컴퓨터, 정보통신기술 이용 수업 예・복습, 발표준비, 수업준비이외 목적
글쓰기 태도 타인의 검토 의뢰, 2번 이상 수정
수업관련 책, 개인적 즐거움, 15쪽 이상 보고서,
읽기 쓰기 분량
5-14쪽 보고서, 5쪽 미만 보고서
수업
외국인친구, 가치관이 다른 친구, 정치적 견해가 다른
외 학생 간 교류
친구, 종교적 신념이 다른 친구
학습
활동 주제별 대화 경험 문학・역사 등, 컴퓨터・과학기술 등, 평화・평등 등
독서활동, 학습동아리활동, 자발적 봉사활동, 수업관
독서, 학습동아리, 동호회
련 봉사활동
학습스터디 및 수업관련 스터디, 취업진로관련 스터디, 프로젝트 참
자기계발 활동 여활동, 공모전 참여활동, 관심분야 스터디
대외 경험 어학연수, 교환학생, 국내 인턴십, 국외 인턴십
기타 직업 활동 교내직업 활동, 교외직업 활동, 학습에의 영향
활동 여가생활 음주, 인터넷, TV, 공연 및 전람회 관람, 스포츠 관람 등

158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활동
활동 영역 세부내용
구분
학습공간, 기숙사, 강의실 설비, 도서관 시설, 실헙실
시설 및 장비, IT 시설, 학습지원센터, 헬스 등 시설,
시설 및 서비스 만족도
건강복지 서비스, 사회문화행사서비스, 직업 및 경력
상담, 장학금지원프로그램
기타 각종 봉사활동, 종교활동 등
기억수준 강조, 목표의 명확성, 학습량 과다, 학습시
수업방식 간, 수업자료, 수업의 융통성, 학습내용의 난이도, 조
직화된 수업여부, 강의식대 토론식 수업
수업 수업평가 평가의 공정성, 시험내용의 적정성
만족도
교수의 설명, 흥미 및 호기심 자극, 교수의 피드백, 학
및 교수만족도
생 어려움에 대한 교수의 이해노력,
수업
성과 교수불만족 교수의 편견, 무성의한 태도, 존중하지 않는 태도, 관
련없는 내용 강의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기술 활용능력,
수업성과
종합적사고력, 자기관리능력, 글로벌역량

3. 학습일지에 나타난 한국 대학생의 학습 실태

가. 수업활동

1) “재밌고 좋은” 수업과 “졸리고 나쁜” 수업

한국 대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업 형태는 이른바 강의식 수업이다.


아래 인용은 대학에서의 수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수업은 교수님의 판서로 진행되었으며,... 60분 강의를 쉬는 시간 없이 하고...


설명을 해주셨는데.... 약간 졸리기도 하고 지루한 감이 없지 않았지만 꾹 참았다.

교수님의 칠판쓰기로 진행하였으며... 교수님께서 말없이 칠판에 적은 것을 공


책에 옮겨적으면서 이해 못한 부분을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50분 강의 후 10분

15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동안 배운 내용에 어려움을 느낌.” “역시 이번에도 말도 없이 오자마자 필기를 하


기 시작하였다. 하나씩 아는 것이 나오긴 하지만 아무것도 모르고 필기만 하였
다... 다른 것에 조금이라도 신경쓰면 필기를 못따라 간다. 칠판에 글 쓴 것을 옮
겨 쓰느라 시간을 다 보내게 해서 그냥 받아 적고 독학을 한다.

필기하느라 쉴 틈이 없는 수업이었다. 그러나 문법수업이다 보니 다른 수업들


에 비해 필기할 내용이 명확하고 분명해서 필기하기가 쉬웠다. 그냥 빠르고 정확
하게만 쓰면 됐다. 학원에서 토익수업을 들으면서도 느낀 거지만 여전히 나는 고
등학교식 필기를 할 때 이상하게 평안함과 만족감을 느낀다. (여기서 고등학교식
필기라 함은 선생님께서 깔끔하게 정리해서 던져주는 필기) 내 머리에서 따로 정
리를 하지 않고 바로 받아 적기만 하면 되니까 편해서 그런 것 같다. 초중고 12년
의 세월이 남겨준 익숙함이 쉽게 사라지진 않는 것 같다.

회화수업보다 쓰기수업이 훨씬 재미있다. 내가 순발력이 떨어지고 남들 앞에


나서서 뭘 잘하는 성격이 아니다보니 회화수업을 별로 안 좋아한다.

최근 정보화의 진전과 함께 예전의 강의식 수업은 PPT 자료를 활용한 “프레젠테


이션”, “설명” 수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수업 방식에 대해 학생들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 반응을 보인다. 강의식 수업이라고 하여 무조건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체계화되어 있고 준비된 강의식 수업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선생님이 수업 시간 대부분을 PPT 화면을 띄어놓고 설명위주로 진행하심. 그


러나 내용을 여러 실험 사례들을 곁들여 흥미롭고 깊이 있게 다뤄주셔서 지루하
다는 생각이 전혀 안 들었음. 사실 토론식 수업보다 이런 수업에서 더 많이 배우
고 얻어갈 때가 많았음. 토론 수업도 물론 장점이 있지만 여러 수업을 들으면서
느낀 것이 토론 수업은 참여자들이 얼마나 열심히 참여하고 진행자가 얼마나 잘
진행을 하냐에 따라서 기복이 좀 심함. 교수자의 설명 위주로 진행하는 수업을 주
입식 교육이라며 안 좋게 보는 경우도 있지만 교과의 특성에 따라 주입식 교육이
훨씬 알차고 효과적인 경우도 많음. 이 수업이 그러하다고 생각함.

160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일방적인 강의가 가장 편한 수업 방법이면서 내용에 따라 지루한 수업이 될 수


도 있다는 사실을 깨달음. 하지만 이 수업 방식이 학생에게 가장 편하면서 효율적
인 방식이기 때문에 바꾸고 싶은 마음은 없었음.

토론과 토의는 아무래도 지식과 높은 수준의 사고력을 요하다보니 전체적으로


열띤 토론, 흥미로운 토론, 토의를 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깊이 있는 생각과 지식
이 기본적으로 갖춰져야 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공부를 더 해야 할 것
같다.

학생들이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고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수업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귀에 쏙쏙 들어오게 가르치시는”, 또는 “눈을 마주치면서”
수업하시는 교수님을 좋아한다. 설명이 체계적이고 학생의 관심과 부합하는 경우에
는 졸리지도 않고 집중도 잘된다고 한다.

교수님이 너무 설명을 잘 하셔서 책을 읽으며 잘 모르던 개념이 한꺼번에 정리


가 되었으며 하나도 졸리지 않았음.

그 부분의 수업을 들으니 숨이 가빠올 정도로 들떴고 굉장히 집중이 잘되고 기


분이 좋았음.

강의식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는 경우, 그 수업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


을 보인다. 첫째,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함으로써 이해를 도와준다. 둘째, 사진이나
그림, 동영상 등 시청각 매체를 활용하여 지적 이해와 함께 정서적 감동을 준다. 셋
째,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수업내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와준다.
넷째, 수시고사 또는 퀴즈 등을 통해 수업내용의 예・복습을 지원한다. 다섯째, 수업
내용과 시험 내용이 일치한다. 여섯째, 수업 중에 질문 등을 통해 학생의 이해정도
를 확인한다.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수업의 예를 제시하면 아래
와 같다.

16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딱딱한 이론 보다는 근래의 사례 위주의 설명이라 재밌게 들 수 있음. 교수님의


수업이 실생활과 연관되어 있기에 도움이 많이 된다고 생각

실제 사례를 들어서 하는 설명들은 확실히 집중이 잘 된다는 걸 느낌.

가능하다면... 이렇게 예와 연관지어 수업이 진행되었으면 좋겠다.

임상적인 내용을 예시를 들어서 쉽게 잘 풀어 말씀해주시는 스타일이라서 수업


들으면 재미있음. 재밌는 농담과 예시를 들어주셔서 즐겁게 수강하였음

생소하지만 교수님 경험을 예시로 한 강의로 강의가 지루하지 않고 재밌었음.


교수는 여러 가지 저작권 침해에 대한 사례를 준비하는 노력을 보이기에 집중이
잘 됨을 느꼈으며, 중간중간 태진아의 [사랑은 아무나 하나]를 비롯한 표절곡들을
들음으로써 공부에 대한 부담이 덜어지는 느낌을 받으며, 학생들에게 굉장히 배
려하는 교수라는 생각을 함

강의가 명쾌하고 책에 예시자료들이 잘 나와있어서 수업이 지루하지 않고 쏙쏙


들어옴.

지난 시간과 마찬가지로 선생님의 설명위주로 수업이 진행됐다. 그러나 선생님


께서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이론들을 다양한 실험사례를 들어 설명하
시고 중간 중간 학생들에게 농담을 하셔서 지루할 틈이 없었다.

교수님 스스로부터 열정적이시고, 그 많은 준비(ppt, 프린트물, 동영상, 자세


한 부가설명)를 해 오신 걸 보고 수업 듣는 우리도 열심히 하지 않을 수 없게 만
드셨다.

교육행정 교수님은 나직히 말씀하시면서도 학생들을 수업 속으로 끌어들이시는


능력이 뛰어나심. 오늘도 딱딱한 교육행정 이론들을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한 예
를 들어 설명해주셔서 재밌었음.

162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교수님이 어려운 부분은 강조하시고, 천천히 나가시기에 이해가 잘 되는 편


학생들이 모르는 부분을 잘 지적해 주시고, 이해를 해야만 그 다음으로 넘어가
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잘 이해하고 있는 편

일상생활에서 활용되고 있는 예를 설명해 주셨다... 덕분인지 다행히도 잠이 쏟


아지는 것을 무사히 넘길 수 있었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고, 접할 수 있는 곤충을 이용해서 생활에 적용, 접근하


기... 흥미로운 수업이 될 것 같음. 그림을 보면서 수업을 들으니 예습했었을 때
조금 이해가 안되고 어려웠던 설명들을 쉽게 생각할 수 있었음. 식물들 사진을 교
수님께서 추가해서 보여주셨는데 이런 방식으로 수업을 하니 눈에 더 잘 들어온
듯. 이런 수업은 감동을 주며 느끼게 하는 게 제일 효율적이라 생각하고 매우 좋
은 수업이었다.

수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실생활과 확률, 그리고 수학을 이용하여 게임을 하였


다. 처음에 오자마자 동전의 앞뒷면 내기를 했다. 참 신선한 공부방법이었다...
학생들과 서로 게임에 임하면서 수업에 집중할 수가 있었다, 퀴즈를 통해서 학생
들이 궁금증을 극대화시켰다... 지금까지 배웠던 어떤 수업보다도 흥미롭고 재미
있었다... 교수님도 매우 위트가 있으셔서 학생들이 졸거나 딴 짓을 할 시간을 주
지 않으셨다.

아무런 통보도 없이 갑작스럽게 쪽지시험을 냈다....교수님은 이렇게나마 한번


써보면서 익히라고 시험을 냈다며 이번은 처음이니깐 오픈 북이었지만 다음번에
그냥 시험본다며 예습・복습을 평소에 잘하라고 하셨다.

교수의 친절하고 관심을 유발시키는 수업 방식덕에 온전히 수업에 집중할 수


있었음.

수업 중간에 언제든지 질문을 할 수 있고 평소 공부하다 모르는 내용도 쉽게


교수님께 여쭤볼 수 있어 허용적인 분위기가 마음에 드는 수업임.

16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OO 교수님은 항상 활기가 넘치시고 넓은 강의실을 뛰어다니시는 특징이 있음.

수업 시간 동안 학생들에게 호응을 얻기 위한 교수님의 제스처가 몇 번 있었음.


중간 중간 수업 분위기가 환기되는 것 같아 좋았음

교수님의 강의가 재미있고 없고를 떠나서 뭔가 학생들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주


고 싶어 하시는 열정이 보여 기분이 좋았음.

학생들의 학습일지를 통해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설명, 구체적인 사례의 제시, 시


청각 매체의 활용, 수시고사나 퀴즈 등이 “재밌고 좋은” 수업의 특성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재밌고 좋은’ 수업과 반대로 ‘졸리고 나쁜’ 수업은 어떤 수업일까? 첫째, 교수의
전달력이 낮다. 둘째, 강의 자료의 질적 수준이 낮다. 셋째, 설명의 체계성과 논리
성이 떨어진다. 넷째, 너무 이론 중심적이다. 다섯째, 수업 목표와 관련 없는 내용
이 많다. 여섯째, 학생 이해와 관계없이 교수 일방적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이 “졸리고 나쁜” 수업으로 인식하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수업을 카리스마있게 전달하기보다 예쁘게 읽어주셨다고 생각함. 교과서와 상


관없이 수업이 들쑥날쑥하게 나가서...수업 내내 책을 왔다 갔다 하느라 정신이
없긴 했음...책장 넘기느라 힘이 듦.

역시나 이번학기에도 따로 PPT 자료를 올려주지 않으시고 허접하게 만든 강의


자료로...강의를 계속해 나갔다. 대충 제목을 몇 개만 언급하시고 책에 있는 구체
적인 내용도 짚어주지 않으신 채 상식적인 내용만 이야기하다 보니 한 시간이 흘
러갔다.

교수님의 설명이 잘 들리지 않으니까 자연스레 어디를 하는지도 모르겠고 무엇


에 대해 이야기하고 계신지도 모르겠고 해서 조금 딴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용은 어렵지 않지만 말이 잘 들리지 않고 진도가 빨라서 이해보다는 따라하

164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기 급급하다는 느낌을 받음. 기본적인 DB에 대한 이론위주의 강의하는 형식이라


많이 지루했음. 강사님이 그냥 PPT를 읽으시는 느낌이 들어서 좀 더 세밀하게
준비해오시면 좋겠다는 생각. 강사님의 강의 전달이 잘 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편. 설명이 잘되지 않아서 좀 알아듣기 힘들어서 혼자 다시 공부해야 하는 부분
이 많음.

OOOO이라는 것이 답답한 것이기도 했지만, 교수님께서 크나큰 강의실에서 마


이크를 사용하지 않으신 데에다 목소리도 크지 않으셔서 웅웅 거렸다. 몸이 배배
꼬였다.

교수님의 일방적 설명수업이라 많은 학생들과 생각의 교류를 못하는 게 아쉬웠


음.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이해를 못하는 수준이어서 참여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
았음. PPT 자료를 그대로 읽는 느낌이 들어서 아쉬웠음.

수업을 진행하는 경영정보시스템 담당 교수의 과도한 영어 발음과 과시하려는


태도가 거북스럽게 느껴졌음. 중간 중간 과도한 훈계조의 이야기를 필요이상으로
하는 교수 때문에 수업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졌고 지루할 때마다 휴대폰 사진첩
을 봤음. 수업 말미, 교수의 다음 주 목요일과 다다음주 월요일 수업을 휴강하고
10월 9일 토요일에 보강하겠다는 일방적인 공지에 기분이 상했음.

교수가 추석 연휴 전날의 수업을 휴강하고 시험 전에 하루를 잡아 저녁 6시부


터 9시까지 보강을 하겠다는 공지를 해 기분이 좋지 않았음. 경영정보시스템의
교수와 마찬가지로 재무관리 교수의 휴강공지도 일방적인데다가 교수들이 본인들
만 생각한 채 휴강과 보강을 결정하는 태도가 불쾌했음. 합의된 강의 시간을 타당
하지 않은 이유로 변경하는 교수들의 특권의식에 빈정이 상했음.

강의를 듣는 학생들을 과소평가하고 무시하는 것 같아서 강의 듣는 내내 불쾌


했음.

수학 특강이었는데 교수님께서 수업 방향을 잘못 잡으신 것 같음. 시험 대비가


아니라 그냥 말 그대로 ‘수학’학문의 특성을 1시간동안 설명하심. 솔직한 심정으

16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로 중간에 나가고 싶을 정도였지만 그래도 오늘 들은 내용들 정리하면서 자리는


지킴. 실제로 중간에 나가거나 앉아서 자는 학생들이 많았음. 마지막 수업이 이렇
게 돼서 실망이 큼.

교수님의 프레젠테이션과 강의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강의주제는 ‘채용과정의


변화’였음. 각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에 대해서 배웠음. 각자 들어가고 싶은 기업
이 다를 텐데, 굳이 수업시간에 각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을 왜 배우는지 이해할
수가 없었음. 수업이 아니라 채용설명회 같다는 생각이 들었음.

교수님이 따로 필기를 해 주시는 것도 아니고, 프린트물을 주시는 것도 아니고,


책에 있는 것을 읽으시는 것도 아니고, 도대체 어떻게 그 수업을 따라오라는 건지
알 수 없었기에 짜증이 확 났다. 교수님 혼자 프린트 한 것을 혼자만 보고 수업하
시고, 또 중간 중간에 수업과 관련 없는 내용만 너무 많이 하셔서, 수업의 맥이
끊기고, 그 흐름을 잡을 수가 없었다.

이번 주도 역시나 교수님이 수업과 관련없는 이야기를 하면서 수업을 시작함.


자꾸 딴소리를 하시면서 출석을 부르는데 30분정도를 소요하심(이름 하나하나 부
르면서 학생들에게 개인적인 질문. 추석 때 무엇을 하는가, 왜 사회복지와 관련없
는 학과에서 수업을 수강하였는가). 휴식시간을 따로 갖지 않아 중간중간에 화장
실을 다녀오라고 하심. 완전 수업분위기가 흐트러지는 듯한 느낌이었고 학생들이
그냥 수업을 참여하지 않고 나가는 친구들이 많았음. 너무 수업이 짜증이 나서 제
일 뒷자리로 자리를 옮김. 친구와 함께 수업을 듣지 않고 문제집을 펴서 문제를
풀었음. 아직 법을 접하지 못해서 그런지 문제집도 이해가 가지 않았음. 교수님은
앞만 보고 수강생들에게 열변을 토하셨음(정작 학생들은 전혀 집중하여 수업을
듣지 않음).

그렇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었지만 교수의 비교적 산만한 강의 진행에 쉽게 몰


입하기 어려웠음. 교수는 새로운 개념을 설명할 때 진지하게 기초부터 그 개념을
설명하기보다 예시를 들었다가 개념을 다른 방식으로 계속 바꾸어 말했다가 하는
방식으로 체계적이지 못한 강의를 함. 필기하고 강의를 듣는 입장에서 정리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듦.

166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큰 맥락으로 보면 정치사상의 내용이 맞으나 수업 중간 중간 내용을 들어보면


앞에 부분과 뒤에 부분이 중첩되어 다소 혼란하였음. 다소 수업의 내용을 정리하
여 진행해 주셨으면 함.

저학년 강의라 상대적으로 다소 산만한 수업이라 집중하기 힘들었음.

학생들 대부분이 신입생이었는데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한 분위기가 이


어졌음. 교수님 자체가 수업을 즐기시고 좋아하시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교수님부터가 수업 방식이 산만하다는 생각이 들었음.

그러나 교수님의 수업진행이 다소 파워포인트에 적힌 것을 읽고 설명하는 식이


어서 지루했음. 교수님의 통찰력이 녹아있는 강의를 듣고 싶다고 생각함.

저학년 강의라 강의초반에 떠드는 학생이 많아 수업을 듣는데 지장이 많았고


묵인하고 계속 수업하시는 교수님에 대해서 짜증이 났음.

수업내용은 대체로 지루했고, 학생들 모두 같은 반응이였음.

일방적인 이론식 수업이라 수업에 재미를 느끼지 못함.

강의에 대한 내용보다 여자축구우승에 관한 얘기만 강의 초반 20분 동안 말씀


하셔서 다소 짜증났음.

이후 강의는 20분하고 끝남. 빨리 끝나서 좋았지만 배운 내용이 거의 없어 교


수님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받았음.

한자를 배우고 암기하는 식으로 수업이 진행 될 줄 알았지만 한자 공부의 필요


성에 대해서 수업해서 조금 당황스러웠음. 수업에 온 모든 학생들이 한자가 필요
하다고 생각해서 수업을 넣은 건데 너무 당연한 말을 해서 지루했음.

작은 목소리, 생동감없고 논리적이지 않은 설명, 너무 빠른 설명, 학생 이해에

16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대한 무시 등이 “졸리고 나쁜” 수업의 특성으로 지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널널한 수업”과 “빡센 수업”

한편 많은 학생들이 어려운 수업 또는 공부량이 많은 수업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


데, 너무 어렵거나 한꺼번에 학습량이 많은 경우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널널한 수업’보다는 ‘빡센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다. ‘널널한’ 수업의 경우 시간적 여유가 있어 좋지만 상대적으로 배우는
양이 적고 후에 남는 것도 없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오히려 공부량이 많은 수업을
좋게 평가하고 있다.

3번째로 듣는 강의였지만, 논문을 읽고 신문을 스크랩 하는 과제가 더해지자


전공 수업으로서 많은 부담을 주는 강의라는 생각이 듦. 교수의 설명은 이해하기
쉽도록 진행되지만, 방대한 양의 논문과 근래의 신문에 기재 된 기삿거리에 적용
하여 이해하려 하니 헷갈리는 감도 없지 않았고, 머릿속에 남는 것도 없는 듯 느
껴짐.

교수님이 PPT를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했는데 자료가 너무 많고 여러 개의 PPT


를 한꺼번에 보여줘서 정신이 사나웠음. 교수님이 고고학에 대해서 전반적인 것
을 설명하려는 의도는 알겠지만 교수님이 순서 없이 이것저것을 이야기해 핵심을
파악하기가 어려웠음.

수업 중반쯤 조는 학생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내 옆의 학생은 초반에는 필기를


열심히 하다가 끝내는 멍하니 쳐다보는 것을 보고 저 학생도 수업 이해가 어렵구나
하고 안도함. 교재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었으나 사전 예습도 안했을 뿐만 아니라
교재의 내용도 어렵고 교수의 설명도 산발적이어서 수업의 약 98% 이해불가.

다들 교수님이 깐깐하셔서 이 수업을 피곤하게 생각하지만 그래도 너무 수업시


간에 학생들이 아무거나 해도 신경쓰지 않는 교수님보다 낫다고 생각함.

168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나눠주신 강의계획서를 보니 우리들 표현으로 말하자면 아주 ‘빡센’ 수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매 수업 후에 성찰일지를 작성해야 하고 조 발표, 개인연구과제,
중간고사, 기말고사도 있다. 그러나 개강 초라서 그런지 의욕이 넘쳐서 다 해낼
수 있을 것만 같다. 이러다 중간고사 기간이 되면 힘들어서 비명을 지르겠지만 일
단 현재는 그렇다. 이렇게 할 게 많은 수업이 들을 땐 힘들어도 나중에 남는 게
많기 때문에 기대도 됐다.

수업은 좀 널널한 편이다. 시험도 없고 과제도 동영상강의를 듣고 성찰일지를


쓰는 등 부담이 적은 편이다. 학문의 성격 자체도 아직 얼마 안 된 학문이고 우리
가 일상적으로 많이 접하고 사는 것에 대한 거다 보니 쉬운 편이다. 선생님께서도
수업 중에 계속 이 점을 말씀하셨다. 다른 수업들이 너무 할 게 많은 지라 이런
수업이 한 학기에 하나라도 있어야 그나마 숨통이 트인다. 안 그러면 정말 쓰러질
것이다. 이 수업을 넣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이런 수업의 단점은 널
널하다 보니 다른 수업에 비해 스스로 공부를 열심히 안 하게 된다. 시험을 안 보
니 수업시간에도 딴 생각을 할 때가 많았다.

3) 수업방식의 다양화

최근 대학교육의 질 제고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면서 대학 수업 방식도 다양화되


고 있다. 전통적 강의식 수업 이외에 이른바 토론식 수업 또는 세미나식 수업이 시
도되고 있고, 오프라인 상의 면대면 수업과 함께 온라인 수업 또는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블랜디드 수업(blended class)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수업
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서 중국 공산당의 대장정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 중국 대


장정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그리고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었음.
말로 설명하는 것 보다 영상물을 보여주니 더 이해가 잘 갔음. 영상을 보는 중간
중간에 중요하다고 생각 되는 용어들과 설명을 필기하였음.

수업의 내용이 끝나고 지식채널 동영상을 시청하였음(매 수업 후에 시청하는

16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동영상이 수업 후에는 기억이 많이 남아서 좋았음)

특히 온라인 수업에 대해서는 매우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은


본 수업보다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복습이나 예습 등에 활용
하고 있는 것이다. 온라인 강의의 유용성을 아래와 같이 표현하고 있다.

인터넷 강의를 듣고, 필기를 조금이나마 정리해 갔던 것이 내가 어느 부분을 잘


이해하지 못했는지 대해 알 수 있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온라인 강좌라서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을 바로 교수님께 물어보지 못하는 아쉬


움이 있지만 강의를 중간 중간 다시 돌려보면서 이해하였음.

잘 이해되지 않은 부분을 되풀이하여 들을 수 있어 수업내용 이해에 도움이 된


다는 것이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은 개인의 태도와 의지에 따라 그 효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즉 스스로 통제하는 의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수업에 대한 집중을
하지 못하거나 심지어 아예 ‘딴 길로 새는’ 현상까지 발생할 수 있다.

공무원 인터넷 강의 공부. 한국사 3강을 수강함(이번 한국사 강의는 고조선에


관련된 내용이었는데 평소 역사에 재미가 없어하여 여자 친구와 동영상 시청 동
안 자주 문자하면서 집중하지 못했음)

공무원 동영상을 시청하는 중간 중간에 여자 친구와 문자를 서로 주고받았음

인터넷 강의를 듣기 위해 컴퓨터를 켰으나 유혹을 견디지 못하고 인터넷과 메


신저를 즐김.

인터넷 강의를 하려고 컴퓨터를 켰으나 인터넷과 메신저를 즐겼으며 메신저를


즐기면서 죄책감은 들었으나 차마 종료하지 못함... 인터넷 강의를 들으려고 컴퓨
터를 켰으나 인터넷과 메신저를 즐김. 죄책감은 여전히 들었으나 끄지는 못함. 한
심함을 느낌.

170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토론식 수업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가운데 몇 가지 아쉬운 점을 지적하고 있기도


하다. 토론 수업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대개는 조별로 조사 발표를 진행하
고 발표 결과에 기초하여 토론을 진행한다. 학생들이 아쉬운 점이 지적한 사항은 대
체로 아래와 같다.

(발표가)너무 오래 걸림. 교수님의 제재가 없었는데... 발표 자체도 좋지만 그


때문에 강의가 거의 진행되지 못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함. 발표준비나 발
표를 하는 것이 발표능력 향상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과목과 관련된 능력에 도움
이 되거나 실력이 늘 것 같다는 느낌은 받지 못해서 아쉬웠음.

조사한 내용은 많았으나, 발표자의 해설이 조금 부족해서 아쉬웠음.

조별 발표수업이라서 좀 귀찮기는 함. 그러나 발표수업을 준비하면서 적어도


의학적 윤리에 대해서 생각을 할 기회를 가지게 되어 그것은 좋음.

발표 후 서로 토론을 하였음. 교수님이 너무 말을 많이 하셔서 우리끼리 토론할


시간을 많이 갖지 못하였음.

독서토론 형태로 논평팀과 발표팀을 나누어 논쟁... 나는 참관자였는데...발표


한 것을 바탕으로 A4용지 한 장에 내 개인적인 논평을 써 내려갔다...이해가 잘
안가는 부분이 있었지만...

수업 시간에 절반은 학생들의 발표로 진행되고 절반은 교수님의 설명으로 진행


되는데, 학생들의 발표 시간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잘 집중하지 못하여 수업의
실효성이 없다고 생각되었다. 학생 진행 수업 후에 질문을 받는 시간을 가졌는데,
학생들이 대부분 수업을 잘 듣지 않아 질문을 하지 않았음. 수업 설계의 변화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음.

교수가 너무 말을 많이 해서 학생들이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빼앗아 버리


는 경우가 종종 있고, 발표자의 해설이 부족하여 충분한 토론이 전개되지 못하는 경

17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우도 있으며, 발표자가 너무 장황하게 설명하는 데에도 교수가 개입하지 않고 지켜


보기만 하여서 수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발표능력의 향상
이라는 장점과 함께 교과 내용 지식의 향상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있다.
수업토론이나 조별 토론의 경우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학생
들의 경우 공개적인 질의응답이나 전체 수업토론 보다는 심리적 부담이 덜 한 조별
토론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별 토론을 하기 전에 먼저 선생님께서 학생들이 내용을 정리하고 토론의 방


향을 어느 정도 잡을 수 있도록 질문들을 던져 주셨다. 그런데 나는 이런 토론 수
업을 좋아하면서도 많이 어려워하는지라 이 날도 조금 힘들었다. 동아리 모임에
서 토론을 할 때는 말 좀 못하고 틀린 말을 해도 괜찮다는 생각이 들어 편하게 말
을 하는데, 수업 시간에는 왠지 정답, 혹은 굉장히 의미 있는 말만 해야할 것 같
은 압박감이 든다. 선생님께서 다른 학생들이 하는 대답에 “굉장히 중요한 질문이
죠?” “굉장히 중요한 지적을 해 줬어요”라고 반응을 보일수록 그런 압박감은 더
커졌다. 다른 학생이 하는 말을 듣고 순간 머릿속에 그 분의 말을 보충할 생각이
떠올랐지만 그냥 했던 말 또 하는 건가, 별로 안 중요한 얘기일까 하는 생각에 말
하기를 포기했다. 혼자 ‘아, 나는 왜 이렇게 소심하지. 머리가 빨리 빨리 안 돌아
가지?’하고 살짝 좌절했다.

조별 토론은 그래도 동아리 모임처럼 좀 더 편안한 느낌이 들었다. 선생님과 수


업을 진행할 때와 달리 좀 더 적극적으로 조별 토론에 나섰다.

조별로 질문들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고 이야기하는 시간이 있었는데, 교수님


과 대화하거나 수업시간에 공식적으로 말하는 것보다 영어에 대한 부담감이 덜해
서 재밌게 토론할 수 있었음.

적극적 수업참여와 반대 경우로 수업 중 토론이나 질의응답에 참여하지 않는 경


우, 그 이유 역시 다양하다. 예를 들면 학생의 성격이 내성적이어서, 질문하는 것이
창피하다고 느끼는 경우, 토론에 대한 의무감이 없거나, 주어진 분위기를 의식하여

172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질문이나 대답을 못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나는 친구와 떠듦(자율적인 토론이라 이야기 나누지 않음).

연공중심주의의 문제점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했으나 대답하는 사람이 없었음. 생


각이 났으나 아침부터 가라앉은 분위기에 나 혼자 막 대답할 엄두가 나지 않았음.

원래 수업 끝나고 지난 시간에 다룬 문장들 중 설명을 잘 못들은 부분들을 선


생님께 여쭤보려고 했는데 왠지 물어보기가 부끄러워서 주저주저하다가 결국 못
여쭤봤다. 설명을 듣고도 이해를 못해서 질문하는 게 아니라 필기를 하다가 설명
을 놓쳐서 여쭤보려는 거다 보니 왠지 초등학생 질문 같고 혼자 해결해야만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선생님께서 어떤 것이든 부끄러워하지 말고 질문하라고 하
셨는데 그게 말처럼 쉽게 되지 않았다. 그냥 나중에 중간고사 볼 때 친구에게 물
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교수님이 수업 중간 중간에 한숨을 쉬시며 수업이 어렵냐고 질문하셨는데 아무


도 대답하지 못함. 나는 대답하면 교수님이 왜 그런지 설명해 보라고 하실 것 같
아서 그냥 가만히 있었음.

최근 점차 늘어나고 있는 영어 강의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은 매우 부정적이다. 아


래 사례는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거의 못알아 들었다. 내가 영어를 잘 못하고 교수님도 설명을 잘 못하시는 듯하


다. 하지만 대다수가 잠을 자는 걸로 보아 교수님의 교육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진행언어가 영어인 것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지만 수준 높은 영어로 구성되어


있는 논문을 읽고 분석하는 것이 쉽지 않음... 전공용어는 어려운 영어가 많아서
사전을 찾아가면서 수업을 들어야 했음. 필기를 영어로 하는 것도 어렵고, 그렇다
고 한국말로 바꿔서 하는 것도 어려움.

영어 강의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이 내용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학생 개인 수준

17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또는 학교 수준에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보조적 수단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미리


예습을 통해서 내용을 어느 정도 숙지한 후에 수업에 들어가거나 교재가 원서인 경
우 번역본을 사용하여 내용 이해를 쉽게 한다. 대부분의 수업이 대학의 경우, 학교
차원에서 영어강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리뷰 강좌를 마련하거나 다양한 스
터디 모임을 활성화하고 있다. 리뷰 강좌의 경우 앞서 그 수업을 배운 선배들이 수
업의 전체적인 내용을 알려주고 도와주는 것이다.

4) 수업 효율성 제고 요인과 방해요인

효과적인 수업(학습)을 방해하는 요인과 제고요인은 무엇일까? 토론식 수업이 많


아지는 등 수업에 학생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강의식 수
업의 경우에도 교수와 학생 간의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이 이루어짐으로서 더욱 깊
이 있는 수업 이해에 이를 수 있다. 교수가 질문을 하는 경우는 대체로 학생의 이해
정도를 확인하거나 수업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아래 사례가 이를 잘 말해주
고 있다.

사람들이 많이 졸아서 그런지 교수님이 우리들에게 많은 질문을 하였고, 질문


에 답한 사람들에게 보너스 점수를 준다고 하셔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함.

교수의 질문에 대해 학생들은 그다지 적극적으로 응답하려고 하지는 않는 모양이


다. 이를 독려하기 위해 ‘보너스 점수’를 제시하기까지 하고 있는 것을 보면 말이다.
그러나 교수의 질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이다. 수업에 적극적인 학생일
수록 교수의 질문이 수업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업집중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

교수님께 아쉬운 점은 수업을 혼자서만 하신다는 것임. 공부는 우리가 해야 하


는데 교수님이 혼자 공부하시는 듯... 잠깐이라도 확인하는 방향으로 수업을 했으
면 좋겠음.

학생들 또한 수동적인 수업 보다는 수업에 동참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할 수 있

174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다. 그러나 모든 학생이 그렇지는 않아서 수업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였지만 ‘에


이, (나중에) 친구한테 물어봐야지~’하면서 수업에의 적극적 참여를 포기하는 경우
도 있다. 교수의 질문과 이에 대한 학생의 답변이 수업을 활기차게 하고 깊이 있는
수업내용 이해를 돕지만 반대로 학생의 질문과 이에 대한 교수의 답변(설명) 또한
매우 중요한 상호작용이다. 학생들은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교수에게 질문하고
이에 대한 교수의 친절한 설명으로부터 수업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수업이 추구
하는 목표에 이를 수 있다. 아래 사례를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약간 이해가 안되었으나 질문하여 교수님께서 답변해줌으로 이해하게 되었음.

수식을 적으면서 안되는 것이 많았다. 교수님이 될 때까지 기다려 주셔서 교수


님께 질문을 하게 되었다. 문제풀이를 하는데 내가 알고 있던 내용과 다른 답이
나와 바로 그 자리에서 교수님께 여쭤봤다.

궁금증을 이기지 못해 질문을 교수님께 2번 정도 하게 되었고, 교수님도 친절


하게 대답해 주셔서...

수업이 끝난 뒤 이해가 안갔던 부분과 좀 더 알고 싶은 부분을 교수님께 질문


하였다.

학생의 질문은 반드시 수업 중에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수업 시작 전 또는 수


업 후에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에 못지않게 학생들 서로 간에 활발한 상호작용은 수
업을 활기차게 만들고 수업 집중도를 높이는 데에도 기여한다. 아래 사례들은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친구와 상의해서 문제에 대해서 다시 한 번 논의하고 모르는 것은 다시 한 번


친구에게 물어보았다.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수업을 마쳤다.

퀴즈를 내주셨는데... 우린 서로 상의를 하고 난 뒤 정답을 도출해 내었다. 토

17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론적인 수업을 하고 나서 교수님께서... 수업의 질은 굉장히 높았던 것 같다. 왜


냐하면, 졸리다고 생각할 여유가 없었을 정도로 재미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사실 무언가 토론적이고 생각할 수 있는 수업이 더 집중력을 높일 수 있


는 방도라고 생각함.

교수는 말하고 학생은 수동적으로 듣는 고전적 수업방식에서 벗어나 교수-학생


간, 또는 학생-학생 간에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수업이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업시간에 일어나는 모든 질의응답이 꼭 학생들에게 좋은 인식으로 각인
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교수가 참여점수를 이용한 학생평가를 실시할
경우 학생들은 의무적으로 토론에 참여하게 되고 때론 불필요한 질문이 양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발표가 끝난 뒤 질의응답 시간에는 학생들이 요점에 벗어난 질문을 많이 해서


짜증이 났음. 교수님이 수업 참여도를 질의응답과 발표로 판단할 거라고 하셔서
학생들이 의무감에 말이 되지 않는 질문들을 자꾸 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음.

수업의 방해요인을 살펴보면, 무엇보다도 잦은 문자 주고받기와 졸음이 가장 큰


수업 방해 요인이다. 이들 방해요인은 학생 스스로가 하기도 하지만 수업이 지루하
거나 재미가 없을 때 학생들이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주로 하게 된다. 아래 사례는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중간중간 문자가 오는 바람에 수업의 흐름이 약간 끊기기도 했지만 ...무슨 말


인지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 다소 지루해졌다. 나도 모르게 졸렸는지 깜빡하고 졸
았다. 그렇게 필기를 마무리하고 수업을 마쳤다.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것은 역시 졸렸다.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는 표정을 계


속 교수님께 보냈다. 그러던 중 피곤하여 나도 모르게 졸았다.

176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거의 못알아 들었다. 내가 영어를 잘 못하고 교수님도 설명을 잘 못하시는 듯하


다. 하지만 대다수가 잠을 자는 걸로 보아 교수님의 교육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해가 너무 어렵다. 수업을 조금 듣다가 나 혼자서 책을 보았다. 결국 잠이 들


었다. 졸음을 이기지 못하고 졸았다. 나의 집중력은 40분이 한계인가보다.

진짜 재미가 없어서 문자를 하다가 폰으로 인터넷을 확인하다가 중간 중간에


책에서 어느 부분 진도 나가는지 확인했다.

지루할 때면 폰으로 문자하는 학생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광경은 이


미 나에겐 익숙하다.

학생들의 수업 성실도는 결석이나 지각을 하지 않았는가, 기한 내 과제를 제출하


고 있는가, 수업시간에 수업과 관련 없는 행동을 하지 않는가 등을 통하여 알아볼
수 있다. 학습일지 분석에 따르면 한 학생을 제외하고는 결석이나 지각, 기한 내 과
제 미제출을 보고하지 않고 있다. 이렇게 볼 때 거의 대부분의 학생의 수업 성실도
는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수업시간에 수업과 관련 없는 행동, 즉 자거나 조
는 행위, 또 메신저나 문자를 하는 행위 등은 종종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주로 수업이 재미없거나 지루한 경우, 반복적 강의 내용으로 흥미를
끌지 못하는 경우, 교수의 지도가 미치지 못하는 경우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교수님이 중간 중간 전체적인 질문을 하였는데 계속 조는 바람에 대답을 하지


못함.

수업 내내 지겹고 무슨 소리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음. 그냥 수업 참여를 포기


하고 잤음.

이 수업은 한 학기에 집중수업으로 캠프 참여만 하는 강의이며 시험도 없는 강


의이기 때문에 수업 시작 전부터 별 압박감이 들지 않았음. 교수의 설명이 PPT와
함께 수업으로 진행되었으나 학생들 어느 누구도 집중하지 않은 것으로 보였음.

17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나 역시 옆의 후배와 수다를 떨거나 문자메시지를 주고받거나 하며 딴 짓을 함.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이 오랫동안 반복되어 수업이 지루해 졸기도 하고 친구


와 문자도 했음.

수업 집중은 안 되고 자리는 세 번째 줄에 앉다보니 졸게 됨. 중간 중간 깨면서


의식적으로 필기는 하였으나 이해는 당연히 안감. 몽롱한 상태에서 수업이 끝남.

마지막 30분에는 교수님이 PPT를 읽기만 하셔서 졸았음.

휴식시간 없이 수업진행. 수업이 너무 지루하다보니 자꾸 핸드폰을 꺼내서 시


간을 보고 싶어 가방을 뒤적거리는 데 신경을 곤두세우느라 정작 교수의 수업에
는 주의가 가지 않았음.

비교적 쉬운 이론적 내용을 교수가 너무 장황하게 설명해 지루했고 재무관리


수업 중간 중간 간식거리를 먹음.

강의시간에는 점심시간 이후 강의시간이라 강의를 듣지 못하고 계속 졸았음.

첫 한 시간 동안 잘 집중하다 후반에 졸음이 와서 졸다가 쉬는 시간이 되어 10


분 동안 잤음.

한편 학생들은 본의 아니게 수업시간에 조는 경우, 즉 재학 중 취업을 하고 있어


육체적 피곤을 견디지 못하고 졸거나 또 건강상의 이유로 몸이 약하여 조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경우 오히려 스스로 자책감을 느끼거나, 교수에 대한 미안한 감정을 갖
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두 번째 시간이 끝나갈 때쯤 마지막 10분 정도 졸았음. 이번 학기 들어서 수업


시간에 졸았던 건 처음이었는데, 맨 앞자리에서 졸아서 교수님께 죄송한 마음이
듦. 수업이 재미없어서 졸았다고 생각하시진 않을까 송구스러움. 그래서 세 번째
시간에는 수업에 더 열심히 참여하려고 노력함. 대답도 하고, 고개도 크게 끄덕임.

178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교수가 위트있는 설명을 해주었기에 재미나게 들을 수 있는 수업이었다. 그러


나 아침의 근로 일이 너무 힘이 들어 마치기 30분 전 졸고 말았다. 수업이 끝날
무렵 일어나보니 졸음을 참지 못한 스스로에게 화가 났다.

4) 학습전략

수업(학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학생들이 사용하는 전략은 매우 다양하


다. 첫째, 수업전후로 예습과 복습을 하는 것이다. 둘째, 온라인 동영상 강의 등을
이용하여 반복학습을 하는 것이다. 셋째, 이전 학기에 들었던 수업 또는 현재 학기
에 듣고 있는 다른 수업과의 연계 및 통합을 통해 내용의 이해 및 확장을 꾀한다.
넷째, 친구와의 대화 또는 토론을 통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이해하거나 이해의 폭
을 넓힌다. 다섯째, 선배 등을 통해 이전의 수업자료를 이용하여 선수학습을 하거나
수업 이해에 도움을 받는다. 여섯째, 도식화(예컨대, 마인드맵), 개념정리, 메커니즘
짜기 등 구체적 전략을 개발한다. 학생들은 또한 수업전략의 하나로써 수업 중 집중
력을 유지 또는 높이기 위해 필기를 활용하며, 좋아하거나 관심 있는 수업의 경우
맨 앞자리에 앉아 수업참여도를 높이려 하고 있다. 수업전후로 교재를 통해서 이해
하거나 미리 읽어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선배가 이메일로 작년시험 기출문제와 강의자료, 기타 공부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보내와서... 알아듣지 못한 수업이라 족보들고 풀이질문하고 그 풀이를 외
울 생각, 외우면 다 쓸 수 있지만 외울 수 있는 한계가 있어 거의 이해하려고 노
력한다.

같은 부분을 반복해서 읽음. 또는 인터넷 강의 등을 통해 반복 학습, 온라인 수


업의 경우, “중간 중간 다시 돌려 보면서 이해. 시간을 내어 자주 보고, 노트에 적
어두고 시간이 날 때마다 공식을 보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

수업 후 친구들과 다시 토의해 보고 정확하게 기억하고자 함. 친구가 유기화학

17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에 대한 문제를 물어봐서 친구에게 설명해줌. 친구들과 여러 번의 토의를 했던 수


업이 끝난 뒤 친구한테 음료수 하나를 사준 뒤에 필기한 것을 얻었다.

이해위주라서 도식을 사용하여 인과과정을 이해하니까 이해가 잘 되었다. 예시


를 많이 보는 것도 도움이 되었다. 내용이 어렵지는 않지만 정리하는 것이 많이
어려움. 도식화시키고 차례화하는 것.

항상 **공부를 할 때마다 처음에는 각기 다른 이론을 제시하여 그 이론에 맞추


어 공부하다가 결국 최신 동향을 보면 거의 모두가 통합이 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을 느끼고는 생물학이 분과학문이 아니라 여러 분과들이 통합되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 같다는 생각을 받았다. 그래서 하나의 분야를 잘
하는 것 보다 전체를 잘해야 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을 옆에 있는 친구한테 물었더니 정확히 가르쳐 주었다.몰


랐던 부분을 서로 물어보고 답해 주었다. 수업을 마치고 두 번째 문제에 대해 친
구와 잠깐 토의함.

필기는 하고 있으나 머릿속에 남는 느낌은 없었으며 기계적으로 필기하는 느낌이


들었음. 수업이 끝난 뒤 앞에 이해되지 못했던 부분을 학우에게 물어보아 이해함.

멍하니 있으면 졸게 될 것을 알고 수업이 이해가 안 되었지만 열심히 필기함.

수업은 교수님이 교재를 요약한 것을 빔 프로젝트에 쏘아 보여주시는데 그것을


학생들이 적기에 바쁘니까 교수님이 따로 올려주신다고 하심. 그 이후로 펜을 놓
는 학생들이 있었으나 나는 집중력이 흐트러질 것을 염려하여 계속 필기함.

인문관에서 고고학 개론 수업을 들었음. 고고학에 관심이 있어 수강한 것이라


서 맨 앞에 앉아 교수님의 강의를 잘 들었음.

수업내용의 연계・종합・대안모색・응용에는 다른 수업과의 연계 학습, 학습경험의


종합 연결, 해결방안이나 대안모색, 일상생활에의 응용 등이 포함된다. 학생들이 수

180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업시간에 배운 내용들을 수업 밖에서 어떻게 확장, 응용 또는 활용하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학습일지에 따르면 이러한 연계는 자주는 아니지만 꾸준히 일어나고 있으
며, 특히 일상생활에의 응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동안 수강했던 사회복지과목에 대해 사회복지법과 무슨 연관이 되어있냐에


대한 의견나누기 시간을 가짐.

청소년기의 특징 중에서 일을 너무 복잡하고 어렵게 생각해서 오히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Pseudostupidity가 흥미로웠음. 실제로 주변에 문제를 그렇게
어렵게 생각하는 친구가 있어서 혹시 그 친구가 청소년기의 연장에 있는 것은 아
닐까 생각해 봄.

학교에서 수업을 듣는 많은 학생들 중에서 학교 내외에서 책을 사 읽는 사람과


는 달리 [제본]을 뜨는 학생들이 많아 이러한 행위 또한 저작권 침해 사항에 해당
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는 한국 출판계와 저작권 침해의 보편화에 대해 걱정
하는 시간을 가짐.

문득 책을 읽다가 [지금 내가 살아가는 현실은 과연 멋진 신세계라고 할 수 있


는가]라는 질문이 들었다. 일과 학업을 병행하고 있는 나는 남들이 보기에는 [디
스토피아]일지 몰라도 나 스스로에게는 뿌듯한 [유토피아]가 된다는 생각을 했다.

학생들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선배로


부터 관련 자료를 제공받기도 하고, 친구들과의 토론을 통해 이해 수준을 높이며,
자신만의 정리 방법을 통해 자신이 이해한 수업내용을 정리하고 있는 것이다.

나. 수업 외 학습활동

1) “매 시간마다 확인하기 때문에” 수업준비

대학생들의 수업준비 정도는 학생들 간에 차이가 큰 것으로 보인다. 수업을 위한

18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예습과 복습을 많은 시간을 들여 수행하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거의 예・복습을 하지


않는 학생도 있다. 이것이 계열별 전공의 차이, 즉 학습 유형(지식)의 차이인지, 학
생 개인별 학습 방식의 차이인지 알 수 없다.
수업 준비, 예습과 복습의 중요성, 학습효과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동의
하고 있다. 아래와 같은 예습・복습 효과에 대한 학생의 진술은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어제 ○○예습을 하고 수업을 들으니 수업내용이 귀에 더 쏙쏙 잘 들어오고 한


번 봤던 내용을 들으니 집중이 훨씬 잘됐다.

예습에 대한 중요성을 새삼 느낄 수 있는 수업이었다. 사실 교수가 나눠 준 프


린트물과 설명하는 방식은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자가 여러 분야에서 거시
적으로 많은 것을 학생들에게 가르쳐 주려하는 지식주입적 수업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예습을 해 온 사람은 어느 맥락에서 앞서 나가는 설명을 하더라도 이해하
기 쉬웠고(나에 해당됨), 예습을 해 오지 않은 사람들은 얼굴을 찌푸리며 어려워
했다.

대개 학생들의 복습은 수업 내용을 다시 보고 이해하고 암기하는 방식으로 진행


된다. 아래 인용은 학생의 전형적인 복습 과정을 보여준다.

지난 시간에 했던 필기들을 정리하면서 복습해 보고, 복습 후에 오늘 배울 것이


무엇인지 대강 훑어봄.

오늘 배운 것 필기 정리. 한번 정도 더 공부를 한 다음에야 질문할 거리와 내가


무엇을 헷갈려하고 잘 모르고 있는지 알게 되는...

학생에 따라 수업내용의 단순 암기를 넘어서 좀 더 깊이 있는 학습을 진행하는 경


우도 있다. 예컨대, 관련 서적이나 자료를 찾아서 읽어 보거나, 동영상 강의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수업내용을 다시 정리하면서 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고 자기화
하려는 노력을 하기도 한다.
학생으로 하여금 예습과 복습을 실행하게 하는 힘은 시험이다. 시험이란 중간고

182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사 또는 기말고사와 같은 정기고사 뿐만 아니라 수시고사까지 포함한다. 매시간


수시고사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확인하는 교수의 수업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복
습 비율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래 사례를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원문 암기 시험이 있기 때문에 미리미리 준비해야 함. 외워야할 양이 작년에 비


해 훨씬 많아졌음. 걱정이 무지하게 됨. 매번 수업시간 전에 수시고사를 치기 때
문에 미리미리 준비를 해야 함. 매 시간마다 물어 보는 교수님이라 미리미리 예・
복습을 해가야 함. 수업시간 마다 예・복습을 했는지 확인을 해 주셔서 감사... 확
인 안 해 주셨으면 시험기간에만 열나게 외워서 시험 봤을 텐데 미리미리 공부하
게끔 만들어 주심.

학생들이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실제로 실천하기는 어려운 것이 예습과 복습이다.


학생의 자율학습을 이끌 수 있는 것은 수업에서의 진단 및 형성평가이다. 수업의 궁
극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업 외에 학생들의 학습을 이끌 수 있는 수업설계
가 필요하다.

2) 과제 수행: 결과물 중심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과제로 수행하고 있는 학습유형은 다양하다. 단순 연습문제


풀이에서 서평쓰기, 논문 읽고 비판하기, 프로젝트 보고서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와
내용, 방법이 다양하다. 이과계열의 경우, 많은 수업들이 수업관련 연습문제 풀이를
과제로 제시하고 있고 학생들은 이를 위해 일정한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대부분의 과제에 대해 학생들은 수업이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일부과제의 경우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의미 없는” 과제라고 인식하고 있다. 아
래 인용은 그러한 사례와 관련되어 있다.

프로그램 익히기 위한 목적이나 그냥 과제 프린트에 나와 있는 대로 클릭하고


저장만 해서 과제 제출. “의미 없는 시간”이 됨. 실제로 몇 년 전부터 계속 같은
실습 프린트를 통해 똑같은 과제를 내어주고 있어 변화가 필요함. 현실적으로 도

18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움이 되는 과제를 원함.

수업내용은 전혀 도움이 안되고 하나하나 다시 공부해야해서 수업에 대한 아쉬


움이 더 커짐.

학생들은 너무 기계적이어서 수업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 과제보다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과제가 제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과제의 일환으로서 리포트 작성 과정을 살펴보면, 대개 관련 자료를 검색하고 읽
고 요약・정리하며, 개인의 경우 자신의 주장과 생각을, 조별일 경우 조원들의 주장
과 생각을 반영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특히 조별 프로젝트와 그 결과보고서 작성이
과제로 제시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이 경우 학생들은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관
련 자료를 조사・수집한 후 요약・정리하여 온라인을 통해 공유하고 메신저 등을 이
용하여 의견을 교환하거나 토론을 벌인다.

‘영혼이 있는 승부’ PPT 초안에 대해 조원들의 생각과 의견을 온라인 모임을


통해 받고, 온라인에 참석하지 못한 인원은 카페에 댓글로 설명을 부탁한다고 문
자를 보냈다. 일부를 제외한 조원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기 때문에 두 시간
정도 작업에 구체적인 PPT를 만들 수 있었다.

면대면 토론을 실시하는 경우보다 온라인 토론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으로 생각된다.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시하면서도 학생들은 메신저 등을 이용한
온라인 토론을 선호하고 있다. 토론의 깊이에 대해서는 학생들도 회의적으로 생각
하고 있다.
리포트 작성이 수업 내용에 대한 심화 학습 및 통합 학습의 관점에서 매우 유용한
것임은 틀림이 없다. 그러나 리포트 작성 결과만이 아닌 과정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
다. 아래 사례를 보면 리포트 작성이 매우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컴퓨터로 리포트를 찾아보았다. 현대 인간관계 책을 읽고 요약하는 것인데, 검

184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색을 하여 요약문을 찾았다. 검색한 것을 종합하게 되었다. 많은 글을 요약하면서


줄을 그었다. 요약하여 용지에 자필로 적었다. 4~5장 이상이라 교수가 말했는데,
남들이 10장 이상씩 하는 것을 보고 다시 작성을 하였다.

관련서적을 찾아 직접 읽지 않고 ‘요약문’을 찾아 종합하는 방식으로 작성되는 리


포트는 리포트 작성의 고유 목적 달성에 기여하지 못한다. 인터넷 상에서 벌어지는
이와 같은 리포트 작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필’ 작성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
만, 리포트 내용 도출 과정을 내실화하는 데에는 실패하고 있다. 리포트 작성의 목
적과 과정에 대한 학생과의 공유 과정이 필요하고, 결과만을 제출받는 데 그치지 않
고 작성 과정 자체를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과정을 평가할 수도
있을 것이고, 중간과정의 결과를 평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리포트 작성은 학생의 여러 가지 역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리포트 작성 과제의
수행은 학생의 수업관련 지식의 이해를 제고하는 동시에 일반적인 역량을 강화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무엇보다도 자료 검색 및 수집, 분석 등을 통해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한 논리적 사고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읽기 및 글쓰기 역량
을 키워준다. 아래 인용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학생들은 리포트 제출 전에 자신이 또
는 친구 등을 통해 원고를 검토하고 수정하고 있는 것이다.

리포트를 다 쓴 후, 문과를 나온 친구에게 한번 읽어보라고 하여 문장적으로 조


금 어색하게 느껴지는 부분을 수정해 달라고 부탁했다. 항상 과제를 제출하기 전
에 다시 한번 읽어보고 리포트의 전체적인 흐름이 잘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한 후
내는 편...

또한 자료 수집이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온라인 토론 등을 전개함


으로써 정보통신 기술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아래 인용은 리포트 작성 과정에서
인터넷이 어떻게 이용되는가를 보여준다.

리포트를 쓰다가 잘 생각이 나지 않는 단어나 적당한 단어를 못 찾은 경우 인


터넷을 이용하거나 교육학 책을 참조하였다.

18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학생들이 컴퓨터나 정보통신기술을 주로 이용하는 것이 수업과제 준비나 발표준


비 등이라는 조사결과가 이를 뒷받침해 준다. 물론 학생들이 학습만을 위해서 컴퓨
터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리포트 작성 과정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은 특히 조별 활동의 결과로 리
포트가 제출되어야 할 때 더욱 그러하다. 아래 사례는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책 읽고 팀별로 발표, 카페 활용하고 메신저로 의견 나눔. PPT 자료 만들어 발


표. 생각처럼 잘 따라주지 않는 조원도 간혹 보였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인원도
있는데... 내가 조장이었기 때문에 마무리를 하는 작업을 홀로 해야했다. 누군가
가 도와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였지만 아무도 도와주지 않았다.

리포트 작성과정이 전적으로 학생자율에 맡겨져 있을 때 역할분담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과제부과 시 결
과물과 함께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교수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수업 중 협동학습으로는 조별 또는 공동 수업발표나 팀프로젝트의 수행 등을 들
수 있다. 협동학습의 경우 학생들의 생각은 양면적이고 이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팀구성에 있어서 일을 잘 할만한 친구를 선호하는 것이다.

조원 한 명은 적극적인 것 같았지만 한 명은 그런 것 같지 않아 불안했음.

교재를 만든다는 다소 생소한 수업과제에 부담을 느꼈으며 조원을 잘 만났으면


하는 바람이 생김.

또한 팀 구성에 있어서 교수가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임의로 팀 구성


을 맡길 경우, 배타적 차별에 의해 제대로 팀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볼 수
있다.

다음 주 수업시간에는 팀을 구성한다고 하는데 같은 수업을 듣는 대부분의 학


생들이 후배라서 동기들끼리 팀을 짜게 되면 나는 자연히 남는 사람들끼리 팀을

186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꾸려야할 것 같다.

수업은 1교시와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나 중간에 토의 활동이 추가되었음. 혼자


듣는 수업이어서 토의 조에 잘 끼지 못하였으며 옆에 앉은 학생들도 자신들이 친
한 친구들과만 토의 진행. 교수는 따로 조를 짜주지 않아도 대학생이라면 언제 어
디서나 토의가 가능하다고 생각한 것 같음. 그러나 나는 토의에 참여하지 못하고
혼자 앉아있었음.

또한 일부 학생들의 경우 협동학습에 대한 회의나 팀동료와의 갈등을 내보이고


있었다. 특히 공통된 결론이 쉽게 나지 않거나 서로 책임을 미루는 경우가 더욱 그
러하다.

조별 발표 할 때 나 혼자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친구들과 상의를 하여 결


정하는 것이 번거롭다고 생각했음.

같은 팀원들 중 두 명이 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고 그 중 한명은


외국에서 자랐는지 유창한 발음을 구사하며 거만한 태도를 보여 학습의욕도 떨어
지고 기분이 상했음.

중구난방인 의견을 정리해보고자 했으나 쉽게 의견이 모아지지 않아서 기분이


언짢았음. 쉽게 아무 말이나 하면서도 체계적으로 정리하려거나 역할 분담을 효
율적으로 하려고 아무도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서 쓸데없이 시간만 소비되자 내
가 주도적으로 의견을 정리하고 가까스로 역할 분담을 마침.

이러한 관점에서 팀프로젝트에 대한 한 학생의 통찰과 비판은 눈여겨 볼만하다.

팀프로젝트로 스트레스를 받다보니 대다수의 과목에서 평가방법중의 하나로 사


용되는 팀프로젝트에 대해 회의적인 생각을 많이 했음. 굳이 팀프로젝트를 하지
않아도 될 과제인데도 팀단위로 과제를 시키는 게 더 의미 있다는 교수들의 일방
적인 생각의 결과로 사람과 부딪히고 같이 일을 하며 스트레스를 받는 게 효율적
이지 못한 학습방법이라 여겨졌음. 사회에 나갔을 때 팀프로젝트 활동이 도움이

18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되려면 정말 팀 단위로 해결해야 할 복잡하고 도전할 가치가 있는 과제를 내줘야


효과가 제대로 나타난다고 여겼음. 팀프로젝트를 시행해도 팀원을 개별적으로 일
일이 평가하지 않고 동등한 점수를 줘서 매학기 화나게 하는 학교 모든 교수들의
게으른 태도에도 순간적으로 화가 남. 동시에 그동안 팀프로젝트를 하면서 열심
히 하지 않고 점수만 챙긴 무임승차자들에 대해서도 생각나 기분이 좋지 않았음.

3) 학습 동아리: 다양한 스터디들

대학생들은 수업 이외에도 다양한 학습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 중에서 학습 동


아리 활동은 매우 수업 이외 학습 활동의 중심이 된다. 학생들은 수업을 준비하기
위해 또는 취업 준비나 자기계발을 위해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다. 대개 그 유
형으로는 (전공)수업관련 스터디 모임, 토익이나 토플 등 영어공인성적 취득 또는
영어회화 능력 향상 등을 위한 영어공부 모임, 공모전 준비나 특별과정 등과 같은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모임 등이 있다.
가장 많은 경우가 수업 관련 학습 동아리로 생각된다. 아래 사례는 이를 잘 말해
주고 있다.

내용이 너무 많아서 너무 힘들지만 꾸준히 번역으로 개념잡고, 원서로 단어 비


교해서 공부하고 있음.

의학사 스터디: 의학사 수업 준비. 의학원서 한 권을 정해서 강독을 하고 조별


로 발표하는 것을 과제로 했었는데... 한권을 골라 읽고 조별 모임을 하는 것인
데, 유문사친을 하게 됨. 원전학 교수님께 질문하기로 함.

학회: 매주 수요일마다 경혈학 이론과 실습을 하기로 했음.

수업관련 스터디 모임은 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는 것, 구체적으로는 시험을 잘


보는 것이 목적이다. 수업내용의 심화 학습을 통한 싶은 이해와 시험준비의 성격이
강하다고 하겠다. 일반적인 것인지를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드물게 ‘학회’ 성격의 학

188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습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기도 하다. 학회는 단순히 하나의 수업을 위한 것이 아니


라 전공 전체의 통합적 학습을 목표로 하는 활동으로 보인다. 학회는 정기적으로 계
획된 학습활동을 전개한다.
수업 관련 스터디 이외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학습 동아리 활동이 영어 공부
와 관련되어 있다. 영어단어 암기 스터디, 토플 공부, 토익공부, 영어회화 등 다양
한 영어 공부 모임이 활성화되어 있다. 영어 공인성적 취득이 취업 등에 필요하다는
인식을 대부분의 학생들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루 중 영어 공부를 전혀 하지 않는
학생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러한 학습활동은 개인적으로 하기도 하고
인터넷 강의나 학원 등을 이용하기도 하고 동아리를 결성하여 진행하기도 한다. 아
래 사례는 학생들의 영어 공부를 위한 학습 동아리 활동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영어단어 스터디: 매일 오전 9시에서 1~2시간씩 단어 시험 같이 보기. 교내 중


앙식당 벤치에서 영어단어책 1 chapter 시험을 침. 30문제 중 5문제를 틀림. 문
제의 난이도는 평이하였으나 의외의 문제가 나옴.

영어 특강이 끝난 후 함께 들었던 친구들과 토익 스터디 모임을 가졌다. 한 시


간은 서로 각 지문을 악센트, 발음, 끊어읽기를 반복해서 읽고 부족한 점을 체크
해 주는 시간을 가졌다. 나머지 시간은 서로가 수업 시간 때 들었던 필기를 공유
하며, 서로 놓친 부분을 채워주는 시간을 가졌다. 혼자 필기할 때보다 친구들과
노트를 공유하는 것이 큰 시너지 효과를 냈고, 자신감이 붙었다.

영어공부는 수업관련 공부 이외 학생들이 아마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으


로 생각된다. 도서관 이용 목적 중 하나도 영어공부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전공과 관련하여 영어 이외에 외국어 스터디도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습스터디(‘언어교환’): 1학기 때부터 만난 중국인 친구(OO)와 함께 경영관 휴


게실에서 언어교환을 했음. 나는 OO과 중국어 회화 연습을 하고 OO은 한국어 회
화 연습을 함.

18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학습 동아리 활동의 또다른 목적은 공모전을 준비하거나 학교에서 마련한 특별


프로젝트 등을 준비하기 위한 것, 그리고 취업준비 등을 위한 활동 등이다. 아래 사
례는 이를 잘 보여준다.

동아리 친구들과 함께 브랜드 마케팅 강화방법 스터디를 함. 공모전에 나가기


위해 공모전 주제를 선정함. 브랜드 마케팅 강화방법 중에서도 '서울'의 브랜드를
강화하기로 결정하고 서로 내일까지 할 일을 배분함.

외부 동아리 활동을 하는데, 마케팅(전공 - 역자주)에 관련된 활동을 함.

버스를 타고 집으로 돌아와 동아리 활동 온라인 회의를 함. 앞으로 ‘소셜쇼핑


몰’ 마케팅을 하게 될 것임. 앞으로 하게 될 마케팅 활동 전반에 대해 팀원들과
회의함.

GPP 프로그램에 관하여 조원들과 주제 설정하기 위해 토의를 함. 조원 구성 :


친구 3명-1명은 전공분야가 다름. 주제선정: 무인항공기, 유비쿼터스, 로봇시스
템, 인공위성 시스템 등. 주제설정과정에 서로 관련지식을 공유하고 어떤 주제를
하면 좋을지 토의를 함. 제시된 주제 중에 유비쿼터스에 관한 조사를 주제로 택
함. 채택된 주제에 대하여 명일에 과 교수님의 조언을 듣기로 함(관련 분야 컨택
문제, 실현가능성). 과 pc실로 가서 유비쿼터스에 관련된 기사와 관련 교수 등의
연락처를 찾아 교수님에게 드림... 주제를 유비쿼터스로 하면 어떻겠냐고 문의를
드렸더니 유비쿼터스는 기초과학이 아니기 때문에 기업에서 연구하고 있는 일본
의 유비쿼터스를 활성화한 도시를 탐방하는게 낫지 않겠냐고 조언.

삼성에 서류를 합격한 동기가 있다. 그래서 그 동기와 함께 스터디룸을 잡아서


면접질문을 물어봐주었다. 내가 인사담당자 역할을 맡아서 미리 알아온 질문을
하였다. 친구가 처음에는 긴장을 많이 하였지만 곧 안정을 되찾았고, 면접스터디
는 잘 마무리 되었다.

프로젝트 학습 동아리는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기간과 활동의 내용이 정해지는


경향이 있다. 단발성 스터디 모임이 있는가 하면 지속성을 갖는 모임도 있다.

190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4) 독서 활동

학생들이 주로 읽는 책은 수업이나 전공 관련 도서와 자기관심과 흥미에 따른 도


서들이다. 수업 관련 도서는 지정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이며, 경우에 따라 수
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독서를 한다. 또 학생들은 독서 경시대회 참가나 취업준
비를 위한 독서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심이 다양한 만큼 학생들이 읽
는 책의 종류도 소설류에서 자기계발서, 자서전, 교양도서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
다. 또한 독서에 할애하는 시간과 읽는 책의 종류 등은 학생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
부분의 학생들이 하루 중 일정 시간 동안 독서활동을 하고 있다.

세로토닌하라-이시형지음. 인간의 뇌에서 분비되는 세로토닌이라는 물질을 이


용하여 감정을 조절함으로써... 내 뇌의 사용설명서를 읽은 것 같은 느낌을 받았
다. 새 학기 시작에 이 책을 읽음으로써 한 학기의 내 뇌가 어떤 방향으로 발달되
어야 할 것이며, 사용되어야 할 것인지 대강의 느낌이 잡히게 되었다. 몇 일 전에
<오리진이 되라>는 책을 읽음. 책의 내용이 창조에 관한 문제였는데... 대목이 인
상이 깊었음. 대출기한이 오늘까지라서 못 읽었던 부분을 마저 읽음. 책의 내용
중에서....이 책을 읽으면서 소장가치가 있다고 생각함.

약물학 공부: 주교재가 아닌 참고서적인 한글판 책을 읽었는데, 효율이 아주 많


이 떨어짐. 2시간 반 동안 20페이지 가량밖에 읽지 못하고 집으로 향함.

다음 주 토론 수업 시 발표할 책을 빌렸다. <영혼이 있는 승부>라는 책이다. 안


철수에 대한 마인드와 경영철학을 제대로 알려주는 자서전이다... 하지만 안철수
가 제시한 방법이 다 옳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과제를 위해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를 절반정도 읽음. 나는 뒤통수치기형


인간임을 깨닫고 반성함. 칭찬에도 여러 가지 기술이 있는데 나는 칭찬에도 인색
했을 뿐더러 형식적인 칭찬을 해왔음. 초등학생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인 칭찬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음.

19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차에서 읽으려고 가져온 책을 읽기 시작함. 전공과 관련된 책이었기 때문에 어


느 정도 관심사는 있었으나 흥미가 유발되는 책은 아니었음. 처음 5페이지 정도
는 잘 읽다가 딱딱한 내용의 책이었기 때문에 읽으면서 졸았음. 졸면서 읽어서 이
해가 안 되는지 이해가 안 되서 졸리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20분간을 1페이지만
졸면서 다시 읽고 또 읽음. 아까 읽다가 만 책을 읽음. 졸려서 이해가 안 되어서
계속 읽었던 부분이 다시 이해가 가서 죽 진도를 뺄 수 있었음. 약 20페이지 정도
를 읽음. 책의 내용이 전 학기에 들었던 강의 수업내용과 겹쳐서 보람을 느끼며
읽을 수 있었음.

교수님 건강으로 휴강이 되어 도서관으로 이동해 중국 현대사에 관한 책을 빌


렸음. 오늘의 중국 수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에 대해
읽었음. 책을 읽고 나니 교수님 말씀이 더 잘 이해되어 좋았음.

집으로 귀가하는 도중 헉슬리 저의 [멋진 신세계] 구독 시작. OO대학교 주최의


[OO독서장학생] 대회를 대비한 권장도서 100선 중 [멋진 신세계]를 3p~28p까지
구독함 [멋진 신세계]는 마치 한편의 SF 영화를 보는 듯한 흥미진지함과 과학기
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는 귀중한 소설이라는 생각을 하며
빠른 시일 내에 완독하려고 마음먹었다. 문득 책을 읽다가 [지금 내가 살아가는
현실은 과연 멋진 신세계라고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들었다. 일과 학업을 병
행하고 있는 나는 남들이 보기에는 [디스토피아]일지 몰라도 나 스스로에게는 뿌
듯한 [유토피아]가 된다는 생각을 했다.

영업관리직에 지원하면서 이와 관련해 공부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 <감성세일


즈화법>는 책을 읽었다. 영업관리직은 직접 세일즈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관리해
야 하는 이들의 세일즈를 돕기 위해서는 이들의 실적을 높일 수 있는 노하우를 알
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현직 연봉 수십억의 설계사가 쓴 이 책을 읽은 것인
데 확실히 자신의 일에 대해 ‘프로’가 되려는 자세는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역시 ‘화법’이라는 기술보다는 ‘마음가짐과 자세’라는 기본
기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책을 꺼내서 독서함. <완판 레미제라블> 책을 읽고 있음. 자기 전에 독서활동


을 한 시간 정도 하다 잠듦. 레미제라블 5권 중 1권을 읽음. 장발장을 용서한 주

192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교에 관한 내용이었음. 한없이 자비로운 행동을 하는 주교를 보면서 사회에 이런


사람이 많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나부터 이런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함.

학생들은 또한 계획하지 않은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또는 우연히 책을 읽고 있었


다. 다음의 예들은 이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헌법에 기대기]와 함께 올라온 김영하의 [퀴즈쇼]도 훑어 봄. 현재 대한민국


대학생들의 암울한 현실을 낱낱이 파헤치며 비판하는 소설로서 나는 이 글을 읽
는 도중 미래에 대한 현실적 두려움을 느끼며 조금 더 열심히 공부해야겠다고 생
각한 시간이었음.

커피를 마시며 책 ‘배려’를 읽기 시작함. (5페이지만 읽고 나중에 읽기로 함) 주


변사람들에 대한 생각을 한 번 더 해보게 됨.

집 근처에 새로 생긴 책 대출 도서실에서 여러 가지 책을 살펴보다가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2권을 대출해옴. 빌려온 책을 약간 읽음.

갑자기 소설책이 너무 읽고 싶어서 자료 도서관에 가서...을 빌려봤다. 150페이


지 정도를 읽었다.

친구책장에서 <판타스틱개미지옥>이라는 소설책을 발견했다. 백화점에서 근무


하는 여성들이 명품과 소비에 집착하게 되는 과정을 무섭게 그리고 있었다. ‘사고
나면 이 갈증이 사라질 줄 알았다. 그러나 아니었다. 살수록 더욱 갈증이 생겼다.
마치 바닷물을 마신 것처럼.’이라는 문장이 쇼핑중독자들의 심리를 잘 보여주는
것 같다.

도저히(피곤해서 - 연구자 주) 교과서를 읽을 수 없을 것 같아서 그냥 소설책


을 읽기로 함. 내가 좋아하는 요시모토 바나나의 ‘키친’을 끝까지 다 읽음.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태도와 인식은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다. 수업이나 과제 관련


책을 의무로 읽어야 하는 경우도 있으나 자발적으로 관심에 따라 다양한 독서활동

19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을 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수업부담으로 인하여 학기 중에는 되도록 독서


활동을 가지지 않으려는 학생도 있다.

<설득의 심리학> 20페이지 가량 읽음. 일반적으로 학기 중에는 수업 이외의 책


을 많이 읽지 않으려 하지만 방학 때 읽다가 덜 읽은 책이라 자꾸 보게 되었음.
주말의 심적인 여유가 작용한 듯함.

수업과의 관련성이 중요한 독서의 기준이 된다는 것은 수업 부담 또는 그 결과,


즉 학점에 대한 부담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폭넓은 독서를 방해하는
요소가 대학 (학습)문화에 자리잡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염려되는 점이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독서 활동이 단순히 책을 읽은 것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읽
은 내용을 정리하고 자기화하는 추수과정을 갖는 학생은 드문 것으로 보인다. 그러
나 몇몇 학생의 경우에는 매번 독서의 결과를 요약정리하거나 독후감으로 남기기도
한다. 아래 인용은 그러한 사례이다.

피터 드러커 <미래를 읽는 힘>을 읽음. 미래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 10가지의


조건들에 대하여 읽음. 20분간 독서하고 10분간 노트 정리.

대학에서의 학습이 수업내용의 단순 이해 및 암기를 넘어선 창의적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독서활동의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수업활동의 연장선상에서 또는 학
생의 일반교육의 관점에서 독서활동에 대한 대학의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다. 기타활동

1) 직업 활동

모든 학생이 직업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학생이 여러 가지 다양한


직업 활동을 하고 있다. 대체로 과외, 교내외 근로장학 활동, 단순 아르바이트 등으
로 나뉠 수 있다. 과외는 초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주당 1~2회씩 가르치는 것이

194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고, 교내외 근로장학은 장학금을 받고 일정시간 일을 하는 것이다.


근로장학제도를 통한 직업 활동은 대개 학교 관련 부서, 예컨대, 산학협력단이나
도서관 등에서 사무보조를 하는 경우가 많다. 서류정리 및 문서작성 작업, 우편물
수발 등이 주요 업무로 보인다. 근로장학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교내 근로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도서관에서 일하게 되었음. 교내 중앙 도서관 2


층에서 도서에 바코드입력과 코딩 작업, 정리정돈, 청소를 함.

학교에서 국가근로 장학금을 받기 위해 학교건물 내부의 ○○○업체에서 사무


보조활동을 하였다. 사실 할게 별로 없고 일도 별로 없어서 냉장고 청소와 설거지
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그냥 앉아 있었다. 지난 번과 달라서 좀 힘들었다. 하지만
국가지원이라 돈을 많이 주므로 참고 잘 할 수 있었다.

근로장학생으로 산학협력단에 근무하고 있는데 학교에서 하는 일이라서 별로


크게 어려운 것은 없지만 서류정리 및 자료입력과 같은 업무를 맡아서 한다. 오늘
은 뭐가 그렇게 바빴는지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 우편물을 찾으러... 부서의 우편
물을 확인하고 등기까지 확인하였다. 과장님께서 어제 시킨 문서작성 부분에서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해서 그 부분을 수정하였다.

과외를 하는 학생도 있는데 아래는 구체적 사례들이다.

하던 대로 수학을 과외 해줌. 미분과 적분에 있는 공식들을 한번 쭉 정리함.

새로 과외할 학생을 만남. 이 학생은 기숙사에 입사하는 학생이라 일주일에 길


게 한번만 만날 예정. 이 학생도 고3인데 수능 얼마 안 남겨두고 과외를 시작함.
좀 걱정스러운 아이이긴 함.

과외활동: 1시간 20분은 수학을, 40분은 영어를 가르침. 시험기간에 대비해서


공부를 가르쳐달라고 어머님이 부탁하셨는데, 기본적인 계산도 못하는 아이이고,
공부에 대한 의욕도 자신감도 없어서 수업하는 내내 안타깝고 답답했음.

19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몇몇 학생의 경우에는 학교 밖에서 직업 활동을 하고 있다. 우체국 집중국, 옷가


게 등에서 매우 단순 업무를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석 단기 알바를 신청하여 소포물을 나르는 일을 하였다. 부산으로 배치되어


서 무거운 사과박스를 부산에 오는 것만 받았는데 엄청 많아서 땀을 흘렸다. 무거
운 쌀과 사과박스가 한없이 내려와서 계속 쉴틈없이 일을 하였다... 하는 일이 똑
같이 반복되었다... 집에 와서 샤워를 하고 밀려오는 피곤함에 바로 잠이 들었다.

용돈이 필요해 아르바이트를 구했다. 옷집인데 손님들 옷 골라주고 옷 정리하


는 일이다. 오늘은 첫날이라 청소부터 하고 옷 위치나 가격 등을 살펴보았다.

나는 21:00부터 13일 월요일 아침 6시까지 한 달 용돈 벌이를 위해 감삼동에


있는 편의점 아르바이트에 출근 함. 일하는 중간 중간 [멋진 신세계]와 [동아일
보]를 구독 함... 일과 학업을 함께 병행한다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새
벽녘 손님이 없는 편의점에서 돈을 벌며 공부 또한 해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뿌듯
함을 느꼈다.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하였음. 용돈도 벌고 경험도 쌓을 겸 하고 있음. 약 1년


정도 되었음. 중국음식 점에서 홀 서빙 및 전화를 받음.

과외를 제외한 대부분의 학교 밖 직업 활동은 단순 육체노동에 가깝고 자신의 전


공 등과는 무관한 경우가 많다. “용돈이 필요해”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직업 활동에 대한 인식도 부정적이다. “내일이면 끝나는 알바라서 빨리 시
간이 갔으면 하는 생각”을 한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땀의 가치를 알고 사회생활을
경험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두기도 한다. 근로장학을 하는 학생들도 학교 밖 직업 활
동을 하는 학생들 보다는 덜 힘들어 하지만 “근로를 하면서 힘든 점도 있지만, 좋으
신 분들을 알게 되고, 학비를 벌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내 자신에 너무 뿌듯함을 느
꼈다”고 말하고 있다.
학생들의 직업 활동은 대부분이 교육적 관점이 아닌 경제적 이유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이는 긍정적 영향이 전혀 없지는 않으나 그에 비해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196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생각된다. 직업 활동을 많이 하고 있는 학생의 경우, 이로 인한 피로 등이 원인이


되어 수업 준비를 잘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업 시간에도 피로감을 이기지 못하
고 졸아서 수업을 거의 듣지 못한다. 설문조사에서 직업 활동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보면 조사 대상 중 14.0%의 학생이 직업으로 인해 학업시
간을 많이 빼앗겼다고 응답하였고, 44.4%가 약간 빼앗겼다고 응답하였다. 교내 보
다는 교외 직업 활동이 더 많고, 직업 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 중 상당수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학업에 지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학생의 직업 활동을 조금 더
교육적 관점에서 다룰 필요가 있다.

2) 봉사활동

고등교육 단계에 있어서도 창의・인성교육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지적


학습에 못지않게 올바른 가치관, 태도의 정립이 중요한 교육과제인 것이다. 이런 점
에서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의 실태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은 교내・외 여러 기관에, 다양한 대상을 대상으로 다양한 방
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내 활동으로는 우선 봉사활동 관련 수업을 듣는 것이 일
반적이고, ‘장애학생 수업도우미’ 등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 교외 활동으로는 초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멘토링 활동을 하거나 지역아동센터 등에서 일한다. 또한 복
지관이나 복지원 등과 같은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서 노인 등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많다. 지역사회에서 대규모 행사를 하는 경우는 자원봉사자로 참
여하기도 한다.
아래 사례들은 대학생들이 어떤 곳에서 어떤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느
끼는지를 잘 말해 준다.

학교에서 WISE센터에서 시행하는 주니어과학논문멘토링이 있어서... 방학 동


안 고등학생들이 관심있는 과학분야를 정해 논문을 쓰고 실험 설계하는 것을 지
도했는데... 대학생들끼리하면 금방 끝낼 수 있는 간단한 실험이었지만 고등학생
들이 실험에 익숙하지 않아 생각보다 오래 걸림... 고등학생들에게 저녁을 사주며

19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즐거운 대화를 하고 논문에 대한 조언도 해줌.

나는 현재 학습 부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새로운 학습의 길을 열어주기 위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 중 하나인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평리 4동
평리초등학교에서 초등학교 임시 교사로 활동하고 있음.

장애학생수업지원도우미로 참여... 내가 할 일은 수업을 청강하며 지체장애 학


생 대신 노트필기를 해주는 일인데,.. 수업은 기타 자료 없이 교수님의 구두로 진
행하였으며 노트필기가 두서없이 보여서 장애학생이 이해하기 힘들까봐 걱정되기
는 했지만 최선을 다했고...

학교 외 타기관에서 진행하는 멘토링을 진행함. 내 멘티와 온라인상으로 대화,


학업계획, 공부 요령 등을 상담해 줌. 이를 통해 내 학습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충
고하면서 놀고 있는 나를 반성하게 되고 내 학습계획도 세우게 됨. 인터넷으로 멘
토링 진행함. 수업과 관련된 얘기들, 학습방법에 대한 얘기를 나눔.

초등학교에서 동행도우미로 봉사활동 함. 처음 간 거라 설레이면서 걱정했음.


도서관에서 보조하는 역할. 책 정리, 대여, 반납업무, 독서보조교재 만드는 업무
가 주를 이룸. 좋긴 하지만 과제가 계속 많은데 시간이 많지 않아서 시험기간에는
조금 걱정이 되기도 함.

중학교 3학년 영어지도강의를 하고 있음: 오후에 있는 공부방 영어수업 준비


(중학교3학년 영어문법 진도 파악 및 독해파트 풀어보고 아이들에게 질문할 내용
파악하기).

코리아드라마페스티발(진주시 축제 행사-연구자) 자원봉사자 홍보지원부 교육


에 참가. 서로 소개하고 자원봉사 스케쥴을 조정함. 시내에서 사람들에게 팜플렛
을 나누어주고 홍보물을 시내 곳곳에 붙이면서 홍보활동을 했다. 낯가림이 심한
편이라 홍보활동을 하면서 조금 고치고자 하는 마음에... 처음에는 사람들에게 어
떻게 다가가서 어떤 말을 해야 할까 겁도 많이 나고 주춤했지만 시간이 조금 지나
니 정말 자연스럽게 잘 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학 시절 동안 꼭 해보고 싶었던
축제의 자원봉사단으로 활동한 첫날인 만큼 의미있는 시간이었던 것 같다.

198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문산에 있는 복지원에서 2시간 동안 봉사활동을 했다. 집이 없는 노인들이 생


활하시는 복지원이었는데 처음해보는 봉사활동이라서 조금 두근댔다... 정말 이
렇게 좋은 것을 왜 이제했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너무 뿌듯하고 재밌었다. 같
이 봉사활동하러 간 사람들 중에는.... 모두에게서 정말 좋은 조언을 하나씩 얻고
돌아가는 것 같아서 기분이 좋았다... 정말 얼마 안되는 시간으로 남을 도울 수
있는 거였었는데 이때까지 뒤로 미루고 게으름을 피웠던 내가 실망스러웠다.

1박 2일로 중증장애인 센터인 예티 쉼터에 가서 숙식 및 식사 보조, 예배 찬양


준비, 샤워 보조 등 장애인 이용자들을 돕는 일 했습니다.

가람지역아동센터에서 봉사활동을 했다. 5학년과 6학년 수학을 가르쳤는데 집


중을 잘 하지 않아서 힘들었다. 아이들이 공부를 하기 너무 싫어하여 힘이 쫙쫙
빠졌지만 어떻게든 끌고 갔다. 오랜 시간 봉사를 하면 좀 더 나아질 수 있을 거
같기도 한데 잘 모르겠다. 내가 그 기관에서 해야 할 일은 교육인데 잘 안되서 아
쉽다. 애들 가르치는 게 힘든 것은 아니지만 아이들이 공부해야 할 양을 채우지
못하고 보통 조금씩은...

장애인 종합복지관에서 봉사를 하기 위해 사전 오리엔테이션을 받았다. 그곳에


서 장애인에 대한 태도, 장애인의 환경과 주변시설 등에 대해 배웠다. 앞으로 어
떤 식으로 봉사활동을 해야 할지 아직 잘 모르겠지만 차차 배울 것이다. 저번 주
와 달리 이번엔 구체적인 멘토링이란 무엇인가, 멘토가 해야할 일, 자세 등에 대
하여 배웠다, 아무래도 처음 멘토링을 하는 것이다 보니까 사전에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10월말에 가게 되는 캄보디아 봉사단 회의가 있어서 시내에 위치한 청소년활동


진흥센터를 방문함. 봉사 전 준비해야 할 사항에 대해 이야기 나눔(예방접종, 입
국 심사, 여권사항). 캄보디아에서 진행 될 환경캠페인에 대해 퍼포먼스 준비 및
문구를 구상함. 캄보디아 봉사단 서울경북 대학생 온라인 회의가 진행됨(한국어
교재 편집자 정하기, 버디 및 캄보디아 가정방문용 선물 정하기).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이 매우 다양한 기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19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봉사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직접 봉사활


동을 안내하기도 하고, 봉사활동에 필요한 사전 교육(오리엔테이션) 등을 실시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특히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이나 학습 도우미
등의 활동은 중고등학생이나 일반 성인들과 달리 대학생들이 잘 할 수 있는 봉사활
동으로 생각된다.

3) 동아리 및 자기계발 활동

대학생들의 동아리 및 자기계발 활동은 그다지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개


인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기도 하나 대부분은 거의 하지 않거나 소극적 활동
에 그치고 있다. 공연 및 스포츠 관람도 학교 행사 등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가 많고, 프로젝트 활동이나 자기계발 활동은 거의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회 활동이나 종교 활동에 대해서도 긍정적이기 보다는 부정적이고 참여율이 높
지 않다.
아래 사례들은 소수이지만 일부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및 자기계발 활동의 구
체적인 양상을 보여준다.

동아리에서 반주를 맡고 있는데, 일주일 전쯤에 동아리 음악회 때 부를 곡들이


정해져서 며칠 전부터 연습하기 시작함. 여름 방학 때부터 연습하고 있었는데 아
직도 완성시키지 못함. 계속 연습하던 곡을 연습하고, 계속 같은 것만 연습해서
지루해서 연습곡을 잠시 바꿈. 음대 연습실에서 동아리 연주곡들 연습함. 악보는
어려워 보였었는데 반복되는 구간이 많아서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았음.

영어 시청각 동아리 신입생 환영회에 도중에 참석, 동아리 회원들과 음주와 함


께 친목도모를 함.

동아리방에서 넷북을 이용하여 10월에 있을 교내 영어 프리젠테이션대회 준비

공과대학 편집실에서 편집장과 부편집장을 뽑는 회의를 하였다... 후보는 두 명

200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이었는데...

흑인음악동아리 회원들과 흑인음악에 관해 얘기를 하였다. 서로가 써본 가사에


대해 토의하며 평가도 해주며 즐겁게 놀았다... 이번 주 금요일에 있을 공연에 쓸
곡 회의와 연습을 하였다... 하지만 많은 동아리가 그렇듯이 버리는 시간이 너무
아쉬웠다... 금요일이 공연이기 때문에 하루도 게을리할 수 없었다. 내가 할 곡을
불러보고 선배들이 비평을 해주고 고치는 작업을 반복해서 하였다.

나는 작년부터 지금에까지 단과대학 소속 밴드인 [햇살의 노래]의 패장을 맡으


며 활동하고 있음. 한 달 후 있을 공연을 위한 노래 연습을 함.

도예공방에 도착해 선생님과 사람들과 인사를 나누고 점심을 함께 먹은 뒤에


도예를 시작하였음. 취미생활을 하니까 정신적으로도 풍요로워지고 몸을 통해 경
험적으로 체험하는 도예를 하고나니 마음이 평화로워지고 집중력이 향상되었음. 또
한 남과 경쟁을 하지 않아도 되는 조건이 취미생활을 더욱 즐겁게 만들어 주었음.

위의 사례에서 보듯이 취미활동으로 매우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취미 또는 자기계발 활동의 일환으로 운동을 열심히 하는 학생들도 있다. 여학생
의 경우에는 주로 헬스나 걷기 운동 등을 하고, 남학생들은 축구나 야구와 같은 단
체 운동을 많이 하는 편이다. 취미의 하나로 운동을 하기도 하지만 전공에 따라서
학습효과 또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체력을 기르기 위해 하는 경우도 있다.
아래 사례는 이를 잘 말해 주고 있다.

헬스장에서 평소대로 유산소 운동, 근력운동 위주로 운동을 함. 할수록 체력이


떨어지는 것 같음. 앞으로도 꾸준히 해야겠음. 앞으로 본과가면 공부능력보다 체
력이 관건이라기에 운동을 이번학기에는 열심히 하려고 함. 웬만하면 평일에도
거의 매일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임.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는 강인한 체력이 필요하고 그래서

20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운동을 열심히 하려고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과 또는 학교 차원에서의 학생회 활동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축제 등과 같은
학교 행사 준비 등이 주된 활동이다. 아래 사례는 이를 잘 보여준다.

다음 주에 의명제(학교축제-연구자)가 있을 예정. 그래서 그것에 관련한 회의


를 하고, 추석주간의 수업에 대한 얘기를 했음. 학번 회의 후 우리 대학 전체 개
강 총회가 있어서 음식점으로 이동함... 오랜 만에 많은 사람들하고 얘기할 시간
가져서 더 좋음.

종교 활동은 학생 간에 큰 차이가 있다. 매우 열정적으로 종교 활동을 하는 학생


이 있는가하면 종교학교의 특성상 의무로 부과된 예배 시간에 대해서 불만을 가지
고 있는 학생들도 있다. 아래 인용은 종교 교육에 대한 학생의 태도를 잘 보여준다.

채플 수업을 들었다. 시작에 음악연주가 나오자마자 잤다. 난 기독교가 아니라


채플시간에 보통 잔다... 기독교학교라는게 비기독교인으로서 불편하다. 저번 주
와 마찬가지로 잠을 청했다. 하나님 놀음에서 배울 것은 없다.

설문조사결과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단순 관람이외 적극적인


자기계발 활동에의 참여율은 저조하다. 수업 부담의 과다, 졸업 후 취업에 대한 부
담, 학점 따기 경쟁 등이 원인으로 짐작된다. 공인영어성적 취득, 면접 스터디 등
취업준비 활동 등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관심과 흥미에 기초한
폭넓은 자기계발 활동에 할애할 시간이 없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과연 대학 학부
교육에서 자기계발 활동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학교의 지
원체제는 필요한 것인지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4) 여가 시간의 활용

대학생들의 여가시간 활용은 학습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떨어지지만 학습에의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없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여가시간을 무엇을 하며 어떻게 보

202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내고 있을까?
대학생들이 여가시간에 흔히 하는 활동은 인터넷을 이용한 활동들이다.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홈페이지 관리도 하고, 관심 있는 분야의 기사를 검색하여
열람하거나 만화나 영화 등을 보기도 하며, 메신저에서 대화를 나누기도 한다. 아래
사례는 이를 잘 보여준다.

솔직히 말하면, 시간 때울 때도 노트북으로 인터넷 하는 것이 제일 좋다

인터넷 강의를 듣기 위해 컴퓨터실에 갔으나 싸이월드가 하고 싶어서 미미 홈


피에 일기를 씀. 원래 미니홈피 다이어리 기능을 잘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런저런
생각이 많이 들어서 8개나 작성... 이메일 확인도 하고...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영화를 감상함.

오랜만에 영화를 다운받아 보며 스트레스를 해소하였음... 영화를 다운받아 보


았음. 영화를 좋아하는 터라 스트레스가 풀리는 느낌을 받았음.

7시에 약속이 있을 때까지 인터넷을 즐김. 주 활동은 미니홈피 방문이었으며


볼 것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습관적으로 일촌의 미니홈피를 둘러보고 있었음.

컴퓨터를 틀었음. 밥 먹고는 항상 휴식의 개념으로 컴퓨터를 트는 습관이 있음.


미니홈페이지를 확인하고 블로그를 하고, 신문기사 등을 보고 쇼핑 홈페이지에
들어가 상품확인 등을 2시간동안 함.

집에 들어와 씻고 컴퓨터를 통해 네이트온을 하다가 취침함.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방문해 친구들에게 방명록을 남겼으며, 네이트온을 통해


여자 친구를 비롯한 동기들과 대화를 나눔

문자하던 사람들과 잠들기 전 인사를 했다.

20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대부분의 학생이 하루 중 일정한 시간을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활동에 시간을


보낸다. 그 중에 일부 학생들, 특히 남학생들은 상당 시간을 인터넷 게임에 소비하
는 경우도 있다.

친구와 피씨방에 가서 스타크래프트를 함. 하고 나니 시간이 좀 아깝다는 생각


도 했지만 워낙 재밌게 해서 그렇게 나쁜 여가시간은 아니었다고 본다.

컴퓨터 게임 스타크래프트를 하고 싸이월드 및 인터넷 검색을 하였다. 원래는


인터넷으로 복습하려고 했는다 어쩌다 보니 시간이 다가서 너무 아까웠다.

한번 인터넷 게임을 시작하면 보통 2시간 이상을 소비한다. 주말에는 주중보다 더


많은 시간을 인터넷 게임으로 보내는 경우도 있다. 학생들 스스로 예상했던 시간을
넘겨서 인터넷 게임에 몰두함으로서 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인터넷 상의 여러 가지 활동이 학습을 방해한다는 것을 아래 사례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강의를 위해 컴퓨터를 켰으나 인터넷 서핑. 다른 짓을 하지 못하게 일부


러 인터넷 첫 시작페이지가 인터넷 강의 사이트로 지정하였으나 미니홈피를 들어
가 파도를 탐. 미니홈피 사이트에서 추천해 놓은 블로그를 보거나 영상, 사진을
보면서 시간을 보냄.

저녁식사를 마치고 아침에 들었던 인터넷 강의를 듣고자 하였으나 PC를 함. 인


터넷 강의를 듣기위해 컴퓨터를 켰으나 인터넷과 메신저를 즐김.

인터넷 강의를 하려고 컴퓨터를 켰으나 인터넷 서핑에 그침. 꺼야된다는 생각


을 하면서도 클릭을 계속 함. 할 것이 없었으며 인터넷에 대한 흥미나 재미도 없
었음에도 불구하고 강의는 틀지 않고 계속 무의미한 클릭질을 무의식적으로 습관
적으로 함.

무의미한 인터넷 서핑 및 메신저를 즐긴 뒤 이제는 인터넷 시간을 줄이기 위해

204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메신저 아이콘을 삭제.

인터넷 강의를 듣기위해 컴퓨터를 켰으나 인터넷만 즐김. 인터넷 뉴스나 미니


홈피 파도를 타는 것이 대부분의 활동이었음.

집에 도착해 컴퓨터를 틀었음. 오늘은 안그러겠다 마음 먹었지만 3일 연속 습


관적으로 집에오면 컴퓨터를 켬.

‘슈퍼스타K’가 끝나고 TV를 끄려 했으나 나도 모르게 그냥 다른 채널들까지 계


속 돌리다가 한 시간 정도 더 시청하고 TV를 껐음.

처음 한 시간은 그저 즐거웠으나 점점 머리가 멍해지고 양심의 가책이 느껴짐.


지금 서평 과제 때문에 미리 미리 읽어둬야 할 책도 많은데 이게 무슨 시간 낭비
인가 싶었음. 무의미한 클릭질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쉽게 중단이 안 됨. 그런 스스
로에게 화가 남. 자주 반복하는 일.

엠넷에서 방영중인 <슈퍼스타K 2>를 봤다. 사실 원래 학교에서 기숙사 올라올


때는 독일어 작문 문법과제부터 하고 이걸 봐야겠다고 다짐했는데 다짐이 무너졌
다. ‘숙제는 뭐 나중에 하지’하고 미룰 때가 참 많다. 이래놓고 나중에 매번 후회
하고 자책한다. 대학에 온 이후로는 고등학교 때처럼 학교가 철저히 시간을 관리
해주는 것도 아니고 더군다나 기숙사에 혼자 살다보니 생활이 통제가 안 될 때가
많다.

숙제를 다 하고나니 마음이 확 풀려버렸다. 교육저널 기사를 원래 오늘 밤까지


완성해서 올리기로 했는데 너무 쓰기가 싫었다. 그래서 그냥 인터넷을 하며 놀기
시작했다. 자주 가는 다음 카페(다이어트, 연예인 관련 등등)에 가서 이것저것 재
밌어 보이는 게시물들은 다 보았다. 두 시간 동안 보다 보니 이제 웬만큼 볼 건 다
봤는데도 잘 멈춰지지 않았다. 때로는 내가 인터넷 중독인가 하는 생각도 든다.

교육저널 마감을 빨리 해야 해서 친구들과 헤어져 기숙사에 온 뒤 컴퓨터를 켰


다. 그런데 또 컴퓨터를 켜니 해야 할 일을 바로 하지 않고 딴 짓을 하기 시작했

20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다. ‘에휴 그만 해야지’하면서도 글 쓸 생각을 하니 스트레스가 쌓이고 자꾸 일을


뒤로 미루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두 시간 정도를 그냥 인터넷 카페들을 돌아다니
며 놀았다.

학생들이 인터넷 게임만큼 여가시간을 보내는 것이 티비 시청이다. 특히 오락 프


로그램이나 드라마 시청 시간이 길다. 아래 사례는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내가 좋아하는 ○○○하는 날이다. ○○○를 보면서 오늘 하루의 쌓인 스트레


스를 풀 수 있었다. 드라마의 힘은 대단한 것 같다. 요새 점점 재밌어지기 때문에
꼬박꼬박 시청해 주어야 한다.

학생들은 주로 저녁 시간 잠자기 전에 티비 시청을 많이 한다. 티비 시청은 남녀


를 가리지 않는다. 티비 시청을 통해 휴식하고 스트레스를 풀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의 음주 또한 적지 않다. 동아리 활동이나 학생회 활동 등과 결부되어 음주
를 하기도 하고, 친구 또는 선배와의 만남 등에 음주가 동반된다. 음주로 인하여 수
업에 지장이 없지는 않은 것 같다. 아래 사례는 이를 잘 보여준다.

동기와 선배들과 함께 술을 마셨다... 아무래도 3・4학년들이다보니 우리의 주


된 이야기는 취업이야기였다.

짧게 회의를 한 후 뒤풀이로 고기와 술을 먹었다... 집 가서 예습을 할까 하다


가 술을 예상보다 많이 먹어서 포기했다.

그러나 1주일을 기준으로 음주 횟수가 많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고, 음주로 인하여


수업을 빠지거나 하는 사례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성교제 또한 학생들이 여가 시간을 보내는 주요 활동이다. 특히 주말에는 여자
친구 또는 남자친구와 여러 가지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보내는 경향이 있다. 이성친
구와 서로 학습을 도와주기도 하고, 진로를 함께 고민하기도 하며, 즐거운 경험을
공유하기도 한다.

206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인터넷 게임, 티비 시청, 음주, 이성교제 등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부정


적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지나치면 부정적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학생 스스로 이러한 활동이 주는 영향에 대해서는 그다지 부정적이지 않다. 다만,
인터넷 게임에 대해서는 스스로 후회하는 모습도 보인다.
이러한 활동들 이외에도 학생들은 기업채용설명회에 참가하거나 특정 기업의 모
의 인・적성검사에 참가하는 등 여가시간에도 취업관련 정보를 얻기 위한 활동을 하
기도 한다. 채용 설명회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취업정보를 얻기 위해 선배들과 만남
을 가진다. 아래 사례는 이를 잘 보여준다.

잡영서포터즈로 활동하고 있어서 취업한 선배를 인터뷰하기로 하였다. 그래


서... 상담을 하고 인터뷰를 하다 보니 취업에는 여러 가지 변수가 있으니 꾸준하
게 성실히 전공에 집중하고...

새로운 사람에게 직접 찾아가 인터뷰한 새로운 경험이어서 내가 더 성장하는


것 같은 느낌. 취업한 선배의 면접 스킬과 자소서의 노하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었고... 서로의 스터디 방법에 대해 토론을 한 후...

입사원서와 자기소개서를 수정. 그동안 내가 준비한 것이 너무 없다라는 것을


생각하며 취업에 대한 걱정이 앞섬. 취업컨설팅을 통해 받아 둔 수정된 자기소개
서를 아동복지교사에 맞게 수정을 좀 더 하면서 주변 선배들을 통해서 보완받음.
좀 더 열심히 남은기간동안 취업을 준비해야겠다라는 생각을 함.

4학년 인턴제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친구들과 함께 조교실에서 신청서를 작성함.

고학년이 될수록 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만큼 적극적으로 취업정보


를 얻기 위해 노력하는 학생들이 있다. 취업 및 진로에 대한 정보는 친구 또는 가족
과의 대화에서도 중요한 대화 주제이다.

20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4. 학습과정의 주요한 특징

가. 수업에서의 학습활동

2010년 현재 한국 대학에서의 수업관련 학습과정은 강의식 수업의 “프리젠테이션


설명” 수업으로의 진화, 수업방식의 다양화 등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주요 특징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이 ‘프리젠테이션 설명’ 수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전통
적 강의식 수업이 대학 수업의 대세인 것은 여전하다. 대부분의 수업이 강의식으로
진행되고, 이러한 수업에서 학생들은 교수가 준비해 온 수업내용을 듣고, 필기하고
이해하려고 한다. 설명이 구조화되어 있지 않거나 교수의 목소리가 작으면 학생들
의 학습이 어려워지는 것은 당연하다. 교수가 학생의 학습 활동을 도와주기 위해 다
양한 실제 사례를 제시하거나 사진이나 그림, 동영상 자료 등을 활용하면 실제 학생
들의 수업내용 이해는 쉽고 깊어진다. 정보화의 진행과 더불어 강의식 수업은 예전
과 달리 PPT 등의 자료를 기본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설명 수업으로 변화하고 있
다. 교수는 PPT 자료를 기본으로 마련하는데 사진이나 그림 등도 자주 이용된다.
이는 학생들의 수업내용 이해에 도움을 준다. PPT는 교수의 수업자료이자 학생들의
발표 자료 등으로 이용되며, 매우 일상화되어 있다. 수업의 전후, 수업 과정에서 학
생 학습 활동의 주요 자료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전통적 수업방식이 지속되는 동
시에 방법적 효율성 등을 도모하기 위한 노력이 프리젠테이션 수업으로의 진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강의식 수업이 대세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다양한 수업방식이 도입되고 있
다. 무엇보다도 온라인 강의가 다양한 목적으로 도입, 활용되고 있다. 온라인을 기
본으로 하는 수업이 있는가 하면, 면대면 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혼합한(blended) 수
업도 운영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은 대학 수업의 주류를 이루기 보다는 보조적 수단
으로 활용도가 높다. 학생들은 수업의 예습 및 복습 등을 위해 온라인 동영상 강의
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발표 및 토론 수업 방식도 다각도로 도입되고 있다. 발표
와 토론은 연계되어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업의 목표와 내용에 따라 발표

208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또는 토론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지식의 이해 및 자기화가 중요한 과


제라면 조사 연구에 기초한 발표가 중요할 것이고, 지식의 이해에서 더 나아가 논쟁
점을 파악하고 자신의 관점과 주장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면 토론에 중점이 주어
져야 할 것이다. 학습일지에 의하면, 대학 수업에서의 발표수업은 크게 교재 및 관
련 서적을 요약 발표하거나 특정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 수행 결과를 발표하는 수업
으로 나뉠 수 있다. 전자가 후자보다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프로젝트성 발표수업의
경우, 학생 개인 보다는 학생 집단(그룹, 조, 팀별)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활발
한 토론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간단한 질의응답으로 마무리되는 경우
가 많다. 토론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생은 물론 교수의 토론수업에 대한 연
수 및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교수의 지루하거나 수업과 관련 없는 설명, 그로 인한 졸음, 그리고 문자받
기・보내기, 친구와의 수다 등이 수업에서의 학습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에서 학생들의 학습 효율성을 결정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교수의 수업설계 및 수업
역량이다. 낮은 전달력, 수준이 낮은 강의자료, 체계성 없는 설명, 지나치게 이론중
심적인 설명, 학생 이해 정도에 대한 무관심 등이 학생들의 수업 및 학습에 대한 흥
미를 잃게 한다. 흥미를 잃은 학생들은 수업과 학습에 열중하지 못하고 ‘딴 짓’을 하
게 되는 것이다.
넷째, 학생들은 수업에서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학습활동을 하고 있
다.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예습 또는 복습을 하거나 온라인 강의
등을 통해 반복학습을 함으로써 수업내용을 더 잘 이해하고 지식과 생각을 확장하
고자 한다. 또한 이전 학기 또는 다른 강좌에서 들었던 학습 내용과의 연계 및 통합
이해를 시도하고, 수업내용이 잘 이해되지 않을 때에는 친구와의 대화나 토론을 통
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이해하거나 이해의 폭을 넓힌다. 도식화, 개념정리, 메커
니즘 짜기 등이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더욱 심화하고 자기화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
는 전략들이다. 학습에 적극적인 학생들은 강의실 앞자리를 차지하여 수업 참여도
를 높이려고 하고, 특히 관심 있는 수업의 경우에는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
이 있다. 필기는 예나 지금이나 학생들이 학습을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
략이다. 필기는 단순히 수업내용을 옮겨 적은 것에서 나아가 재정리를 통한 학습내

20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용의 심화, 질문제기 등 학습의 주요 전략으로 사용된다.


다섯째, 학생들은 수업을 위한 예・복습 및 과제 수행과 같은 학습활동을 펼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수업 준비 및 정리를 위한 예
습 또는 복습의 정도는 학생들 간에 차이가 크다. 매일 규칙적으로 그날의 수업관련
예・복습을 하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그 중요성을 알면서도 거의 실천에 옮기지 않는
학생도 있다. 예복습의 수준은 수업내용의 단순 암기에서부터 심화 및 확장 학습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중간 및 기말고사를 포함하여 수업 전후 또는 수업 중에 이루
어지는 수시고사(퀴즈)는 학생들이 예・복습을 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수업시간마다
확인하기 때문에” 예습・복습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대학생들은 단순 연습문
제 풀이에서 프로젝트 보고서까지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너무 기계적이어
서 수업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 과제 보다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과제를 좋아한
다. 과제 수행 과정에 대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결과물로서의 리포트가
단순요약문 또는 표절에 가까운 경우도 있다. 과제 수행이 개인이 아닌 그룹별로 진
행될 경우, 더욱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다. 적절한 역할분담 전략과 그에 적합한 평
가 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나. 수업 외 학습활동 관련

대학생들은 수업 이외에도 다양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학습활동을 하고 있다. 수


업을 위한 학습동아리 활동, 독서 활동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은 수업과 관련하여 또는 수업 이외의 목적을 위해 다양한 학습동아
리 활동을 하고 있다. 수업 이외 목적으로는 취업준비, 자기계발 등을 들 수 있다.
학습 동아리 유형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영어공부 모임과 공모전 준비 동아리 등
이다. 영어 공인성적의 취득이 취업에 유리하다는 인식 때문에 학생들의 수업 외 학
습 동아리 중 가장 활발한 것이 영어공부 동아리이다. 영어단어암기, 영어특강 동아
리 등이 대표적이다. 모임은 단기적인 경우도 있고, 매우 장기적인 경우도 있다.
둘째, 읽는 책의 종류와 책을 읽는 시간은 학생들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학생

210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이 수업 관련 또는 자기 관심과 관련한 독서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독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있고 열심히 하려고 하지만 학기 중에는 수업관련 책을 독서
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수업 또는 학점 부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독서결
과를 정리하거나 추수활동을 하는 학생은 드물다. 독서활동의 활성화 및 독서활동
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략적 지도가 필요하다.

다. 기타 활동: 학습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직업 활동, 봉사활동, 동아리 및 자기계발 활동, 여가활동 등은 직접


적인 학습활동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학습과 긍정적 또는 부정적 관련을 가지고 있
다. 각 활동의 특성을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다수의 학생들이 다양한 직업 활동을 체험하고 있다. 교내외 근로장학, 초
중등학생 대상 과외(개인교습), 일반 기업체에서의 아르바이트 등이 주된 활동이다.
학생에 따라 주당 20시간 이상을 취업활동에 할애하는 경우도 있다. 과도한 취업활
동은 학습에 부정적 영향이 크다. 피로로 인하여 수업 시간에 집중도가 떨어지고 졸
거나 아예 자버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교내보다는 교외에서의 취업활동이 많
고, 학습에 지장을 주는 정도의 취업활동을 하는 학생도 다수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대학생들은 교내외 여러 기관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교내 활동
으로는 봉사활동 관련 수업과 그에 부수되는 봉사활동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교외활동으로는 초중등학생 대상 멘토링, 지역아동 또는 청소년 센터, 복지관 등에
서의 자원봉사 활동이 일반적인 것으로 보인다. 봉사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도 매우 긍정적이어서 교육적 효과도 클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대학 내 기구의 조직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대학생의 공연 및 스포츠 관람 활동은 활발하나 직접적인 공연 및 스포츠
활동에 대한 참여율은 높지 않은 편이고, 동아리 및 자기계발 활동의 폭 또한 다소
제한적이다. 대부분의 프로젝트 활동이나 자기계발 활동이 취업준비와 연관되어 진
행되는 경우가 많다. 학생회나 종교 활동 또한 일반적인 활동이라기보다는 일부 학
생에 국한되어 있다.

21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5. 학습장애요인과 개선방안

가. 대학생의 학습장애요인 분석

1) 수업방식과 교수요인

대학교육에서 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은 비효과적 수업활


동에서 비롯된다. 이른바 “졸리고 재미없는”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의욕을 자극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학습을 유도하지 못한다. 흥미없고 지루한 수업 시간에
는 문자를 하거나 친구와 수다를 떨거나 아니면 다른 수업의 과제를 하고, 관련 수
업의 내용은 별도로 독학을 하거나 온라인 동영상 강의 등을 통해 학습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것도 그 원인은 수업의 비효율성에 있다. 수업이 비효율적이 되는 대
부분의 요인은 또한 교수 요인에서 비롯된다. 교수의 전달력, 수업설계 역량, 학생
이해 부족, 학생과의 상호작용 부족 등이 비효율적 수업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학생들이 지루하고 재미없는 수업으로 규정한 수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의
전달력이 낮아서 설명을 정확하게 알아들을 수 없다. 작은 목소리, 부정확한 발음
등이 문제가 된다. 둘째, 강의자료의 질적 수준이 떨어져서 수업내용을 이해하기 어
렵다. PPT 자료 등 시청각 자료의 활용이 확산되고 있기는 하나 교재 내용을 그대
로 읽어주거나 칠판에 설명없이 적고 그 내용을 그대로 베껴 쓰게 하는 등의 사례도
발견된다. 셋째, 교수의 설명이 너무 구조화되어 있지 않아서 수업내용을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 수업과 관련없는 내용을 너무 많이 말하거나 수업 내용 간의 관
련성을 정확히 알려주지 않는 경우, 학생들의 수업이해도는 낮을 수밖에 없다. 넷
째, 학생의 이해수준에 대한 관심이 적거나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적은 수업의 경우
에도 학생들의 수업 이해는 낮다.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는 수시로 확
인하고 그 정도에 따라 수업내용과 난이도를 조정하는 노력을 하는 교수의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매우 좋다. 그러나 그와 반대로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
로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의 수업에 대해서는 지루해 하거나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
및 성실도가 매우 낮다. 다섯째, 새로 도입된 수업방법, 즉 발표 및 토론 수업이나

212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온라인 수업방식 등이 학생들의 학습에 효율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다. 교재 및


관련 교재의 단순 요약 발표 및 토론에 그치는 발표 수업이 대부분이고, 온라인 수
업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점검 지도 체제도 미약하다. 영어 수업의 경우에는 학생
들 상당수가 수업내용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학생들 나름대로
영어수업에 대처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효율적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어
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영어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학교 차원의 제도적 지원
이 필요하다.

2) 학생개인의 문제

효율적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수업 및 교수 요인 이외에 학생 개인의 학습의


지의 부족을 들 수 있다. 학습의 궁극적 주체는 학생이므로 학생의 학습 의지는 학
습 효율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수업이나 기타
학습 활동을 열심히 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그러나 학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간
배분을 비롯한 학습 계획을 실천가능하게 수립하여야 하고, 효율적 학습에 필요한
학습 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을 방해하는 제 요인을 배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습일지를 보면, 학습 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라 학습을 하는 학생이 적다. 계
획의 수립은 시간 사용의 효율성을 가능하게 하고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학
생들의 학습 계획 수립을 생활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어떻게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
인지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학생들 대부분은 필기를 통한 재정리 등의 고전적 학
습방법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그러나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단순 이해
암기의 학습방법을 넘어서 확산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가 가능한 학습 활동이 이루
어져야 한다. 학습방법의 학습 및 그 경험이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효율화하고 그
결과로서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보화 등의 영향으로 일상화되
어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활동이 오히려 학습의 방해요인이 되는 경우가 비일
비재하다. 메신저, 인터넷 기사 검색, 영화보기, 게임하기 등 학습을 방해하는 정보
화 요인이 학생들의 학습 가까이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학생의 의지력의 문제라

21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고 볼 수도 있지만 이러한 상황을 줄이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3) 직업 활동과 근로

모든 학생이 직업 또는 취업활동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 학생들이 적


든 많든 직업 활동을 하고 있다. 시간적(양적)으로 직업 활동이 학습에 영향을 미치
지 않을 정도인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너무 많은 시간을 직업 활동에 투자하는
경우, 이는 학습시간의 부족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직업 활동으로 인한 피로 등
이 원인이 되어 학습활동을 방해한다. 직업 활동으로 인한 피로는 학생의 수업 결손
또는 수업에 참여한 경우에도 수업에의 참여 및 성실도가 낮아 좋은 학습 성과를 기
대할 수 없다.
학생들이 직업 활동을 하게 되는 이유는 학자금 부족이 때문이다. 직업 체험을 통
한 관련 전공 지식의 심화나 확산은 학생들의 직업 활동의 이유로서 거론되지 않는
다. 대학생들의 직업 및 취업활동에 대한 교육적 관점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직업
활동이 학생들의 학습에 결정적 방해요인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
의 학자금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 학교와 정부의 연계 노력이 이루어질 때 직업 활
동은 전공 지식의 심화 등 교육적 목적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나. 시사점 및 개선방안

1) 수업 지원 체제 정비 : CTL의 역량 강화

대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수업 설계 미숙 및 수업 진행 역


량의 부족 등이다. 이는 학교의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사실 이러한 필요에 대해
서는 이미 대학의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 교수학습지원센터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CTL)가 설립된 이유이다. 지난 10년간 대학
교육 및 학습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많은 학교에 CTL이 만들어진 것
이 사실이다. 이들 기구는 대학 수업 및 학습의 효율을 높이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214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지속적 설립과 활동에도 불구하고 대학 수업의 질적 수준에


대해서는 아직 만족할만한 수준이 있지 않다. 학생들의 학습일지에 나타난 대학 수
업은 여전히 전통적 강의방식이 지배하고 있고, 여전히 역량이 부족한 교수들이 수
업방법 개선 노력을 보이지 않고 있다. 물론 지원센터의 도움을 받아 또는 개인적으
로 수업을 개선하려는 일부 교수들의 노력이 돋보이고 이러한 노력이 대학 수업의
변화에 초석을 놓겠지만 아직도 대학 수업의 주체로서 교수들의 적극적 수업개선노
력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교수 업적평가제도의 정비를 통해 연구실적과 함께 교육 역량에 대한 평가가 이
루어지고 있으나 강의평가에 그치고 그 강의 평가 결과에 기초한 개선노력을 적극
적으로 추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강의 평가 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
면서 교수들의 수업개선노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에서의 조직적 지원이
필요하다.

2) 학생 학습 컨설팅 확대

대학생의 학습은 수업 및 교수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크지만 학생 요인 또한 중요


하다. 학습의 주체로서 학생들이 자기주도 학습역량을 키워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
요가 있다. 자기주도 학습에 필요한 시간관리 역량, 계획 수립 역량 등을 컨설팅할
수 있다면 학생들의 학습 효율성은 매우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 효과는
학생 개별적 노력과 함께 집단적 학습, 협동학습, 토론학습 등을 통해 더욱 제고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습 참여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학
습 공동체의 경험을 가지게 할 수 있으면 좋겠다.
학생의 학습 지원은 그간 수업 개선 지원과 비교하여 비교적 소홀했던 것이 사실
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학생의 발달적・심리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
하고, 각 학생이 처한 과제와 그 과제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
이다. 학생 일반에 대한 이해와 지원 이외에 학생 개별을 지원할 수 있는 컨설팅 체
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21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3) 학자금 문제 해소 방안

대학생의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 중 가장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 학자금 문제이다.


다수의 대학생들이 학자금 마련을 위해 취업 활동을 하고 있고, 이는 무엇보다 중요
한 학습의 결손으로 이어지고 있다. 학생들의 취업활동은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충
분한 학습시간을 빼앗고, 수업시의 학습활동에도 영향을 미쳐 수업시간에 졸거나
수업내용의 충분한 이해를 방해한다.
또한 취업활동이 단순히 학생들의 학자금 마련에 그치지 않고 교육적 효과를 가
져올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대학 교육은 기본적으로 직업 교육이고 전공
관련 취업을 지향한다면 학생들의 취업활동이 자신의 전공 지식을 확장, 심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을 것이다. 인턴십의 활성화, 이를 통한
학자금 문제와 전공지식의 학습 효율이 높아지기를 기대할 수 있다.

4) 설문조사 도구개발에의 시사점

대학생들의 학습일지를 통해 학습과정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학습과정을 조사하


기 위해 개발된 설문문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업활동과 관련하여 ‘수업형태’ 관련 문항을 세부적으로 수정・보완할 필요
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 면대면 수업과 온라인 수업으로 구분하여 조사되고 있는데
이를 강의식(프리젠테이션 설명식), 토론식(조사 발표 포함), 실험실습식 등으로 세
분화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수업형태의 다양화,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
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 외 학습활동과 관련하여 ‘자기주도 학습 역량강화 지원정도’ 문항을 추
가할 필요가 있다.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역량의 강화는 대학교육
이 성공할 수 있는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따라서 이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세
부적으로 발표(프리젠테이션 방법), 글쓰기(논문 및 리포트 작성법 등), 토론방법,
독서지도, 학습법 지도(워크숍) 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셋째, 수업 외 학습활동과 관련하여 ‘개인교습경험’, 즉 사교육 경험에 대한 조사

216
Ⅳ. 학습일지를 통한 학습과정 실태 분석

문항이 개발되어야 한다. 대학생들은 자기주도 학습에 의해 자신의 지식과 능력을


함양해 가지만 더러 또는 상당히 학교교육 이외의 기관에서의 교육 및 학습을 필요
로 한다. 학습일지 분석에 의하면 상당수 학생들이 영어나 기타 외국어 학습을 위하
여 사교육기관에서의 교습 경험을 가지고 있고, 그 밖에도 일반교양 및 예술, 취미
활동 등을 위하여 개인교습의 기회를 가지고 있다. 기타 사교육경험에 대한 조사문
항을 개발하여 그 실태를 밝힐 필요가 있다.
넷째, 학습일지 분석 결과에 의하면 많은 학생들이 일정시간을 취업준비 활동에
할애하고 있다. 학교 측이 제공한 여러 가지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인턴
십, 진로취업상담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여 설문지 개발 시에
‘취업준비 활동’ 문항을 별도로 신설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대외활동 문항의 경우는 한국 대학생의 실상에 맞는 내용으로 수정될 필
요가 있다. 실제 한국 대학생들의 해외연수, 교환학생 등의 대외 활동 경험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현황 조사가 필요하지만 연합동아리 활동, 학점교류(타
대학 교과목 수강), 인턴십(직장체험활동), 해외연수, 기타 활동 등으로 세분화하여
조사된다면 한국 대학생의 학습실태가 보다 잘 드러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여섯째, 대학생들의 직업 활동은 학생 간 차이가 크지만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적
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직업 활동에 대한 보다 상세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를 위
하여 교내 근로장학, 교외 근로장학, 개인교습(과외), 아르바이트, 인턴십, 기타 등
으로 세분화하여 학생들의 직업 활동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대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요인 중의 하나가 학생들의 인
터넷 활동이다. 그간 다른 조사들에서 인터넷 활동은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라는
점에서 긍정적 관점에서 조사되었지만 다소 다른 내용으로 다른 관점에서 조사될
필요가 있다. 인터넷 활동의 구체적 내용, 즉 기사검색, 쇼핑, 온라인 학습, 메신저,
웹서핑, 영화(만화)보기, 게임하기 등으로 세분화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
활동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항 또한 추가되어도 좋을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수업활동 관련하여 수업형태, 수업 외 학습활동 관련하여 자기주도
학습 역량강화 지원정도, 개인교습경험(사교육경험), 취업준비(학습) 활동 등이 추
가 개발되거나 기존 문항을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 기타활동과 관련하여서는 대

21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외활동, 직업 활동, 인터넷 이용 현황 등에 대한 문항이 추가개발 또는 수정・보완되


어야 할 문항이라 할 수 있다.

218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1. 조사도구 개발 절차
2. 조사도구 표준화 전략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1. 조사도구 개발 절차

연구방법 조 사 도 구 목 적 산 출
기초 주요국의 대학생 조사도구 개발을 조사문항
연구 학습과정 조사지 분석 위한 메타분석 pull

제1차 도구 개발 한국 상황과 연구목적에 내용


(연구진 협의) 맞게 초안 마련 타당도
검증
설문
주요 대학 CTL 담당
조사 제2차 도구 개발 조사
교수를 통해 frame work
도구 (자문위원회) 문항 선별
도 및 타당도 검토
개발
최종
구 제3차 도구 개발 대학생, CTL 연구원을
도구
(pilot study) 통한 현장적용가능성 및
개발
개 타당도 검토

발 설문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 학습과정


조사 최종 조사도구 실태분석
실태조사
절 실시 결과

차 타당도 조사결과
타당도 : 요인분석
신뢰도 설문조사 결과 타당도 신뢰도
신뢰도 : Cronbach α
분석 확보

실태파악,
Frequency : 실태파악
타당도 학습성과와의
χ2 : 변인별 차이검증
결과분석 신뢰도 확보된 관계 파악,
Regression : 학습
분석 결과 2차년도 도구
성과와의 관계 탐색
개발 시사점

[그림 Ⅴ-1] 한국대학생 학습과정 실태분석 조사도구 개발 과정

22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과정은 위의 [그림 Ⅴ-1]과 같다. 기초연구를 통


해 분석된 문항 pool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학습과정에 대한 frame work을 통해서
조사지 초안을 제작한 후 연구진 협의, 자문위원회 및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 조사지
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조사지는 전국 4년제 대학의 재학생 1∼4학년(2009학년도
기준)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
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습과정 실태를
파악하였고, 학습과정과 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상의 조사도구개발 절
차 및 결과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2차년도 조사도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그림 Ⅴ-1]은 이러한 과정을 도식화 했으며, 각각의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가. 조사내용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대학생 학습과정과 관련


해 개발된 질문지들을 조사하였다. 국내 자료는 각 대학에서 개별적으로 개발한 조
사도구 설문지와 강의평가용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국외 자료는 대학생 학습과정을
평가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외국사례의 경우 미국의 NSSE(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CSEQ(College Student Experience Questionnaire), FCYS(First College Year
Survey), CSS(College Senior Survey), 영국의 NSS(National Student Survey),
호주의 CEQ(Course Experience Questionnaire) 등 6개 도구를 분석하였다. 각 조
사지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국내・외 각 조사지를 분석한 결과 조사문항은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
었다. 개인배경(38), 수업 외 학습활동(15), 수업 중 학습활동(17), 수업만족도(19),
상호작용(7), 학습 성과(41), 시설 및 서비스(18) 등이다. 각 영역들은 본 연구를 위
해 분석한 선행연구에서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good teaching)의 요인으로 산출된
항목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며, 특히 수업 만족도 부분에서는 한국 대학에서 사
용하는 강의평가의 내용도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222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표 Ⅴ-1> 주요국의 학습과정에 관한 조사도구 개요

NSSE NSS CEQ CSEQ FCYS CSS


국가 미국 영국 호주 미국 미국 미국
조사
전 학년 졸업예정자 졸업생 전 학년 1학년 4학년
대상
・성과 요인 ・정보제공 ・교육의 질 ・대학교육을 ・신입생이 경 ・대학입학 후
탐색 ・대학의 책무 향상 통해 학생이 험하는 학습 학생들의 학
・교육의 국 성 제고 ・정보제공 거둔 성과 과정 분석 습과 발달
조사 가적 기준 ・기관운영 개 분석 ・대학 교육의 분석
목적 마련 선 및 책무 ・대학의 학습 질 제고 ・대학교육의
・교육기관 성 제고 력 제고를 질 제고
개선 및 책 위한 여건
무성 제고 개선
・학문적 도 ・교수활동 ・교수의 질 ・대학 내 활 ・학문적 성장 ・학문적 성장
전 ・평가/피드백 ・일반기술 동 ・상호작용 ・상호작용
・교수학생 ・학습지원 ・만족도 ・대화 ・학교, 가정 ・학교, 가정,
교류 ・조직/운영 ・목표/기준 ・읽기/쓰기 생활 생활
・지원 여건 ・학습자원 ・학습량 ・대학에 대한 ・만족도 ・만족도
・협동학습 ・개인개발 ・평가 개인적 의견 ・수업평가 ・수업평가
조사
・다양한 교 ・만족도 ・지적동기화 ・대학 환경 ・시간 활용 ・향후 학업
영역
육경험 ・학생지원 ・교육성과 ・사회적 인식 및 진로 계
・졸업생 질 ・생활철학, 획
・학습자원 신념 등전 ・시간 활용
・학습 공동체 반 ・사회적 인식
・생활 철학
등 전반
문항수 100 23 24 166 258 262

나. 타당도 검증

1) 제1차 검증(연구진 내 타당도 검증)

조사지 제작을 위하여 각종 문항분석을 통해 대학생 학습과정 평가를 위한 문항


pool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문항 pool은 총 182개로 이 중 본 연구에 적합한 문항을
선별하여 제1차 도구개발을 실시하였다. 문항선별의 기준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22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한국 대학생 학습에 있어 좋은 학습의 모형에 적합한
문항들을 선별하였다. 좋은 학습 모형은 교육만족도와 학업 성취도를 대학교육의
성과로 보고 두 가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수업 중 학습활동, 수업 외
학습활동, 상호작용, 시설 및 서비스로 모형화 하였다.

[그림 Ⅴ-2] 한국 대학생 학습에 있어 좋은 학습의 모형

둘째, 6개 외국의 조사도구를 분석한 후 3개 도구 이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항들


을 선별하였다. 활용빈도가 높은 것은 학습과정 평가에 공통적이고 중요한 항목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여러 질문지에서 가장 공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문항을
두 번째 선별기준으로 하였다.
셋째, 선별된 문항 중 한국 상황에 적합하지 못한 문항은 삭제하였다. 공통문항을
선별하였어도 대학의 운영 및 수업・강의 형태, 학생 구성 등은 문화적 차이를 반영
하기도 하므로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평가에 가장 적합한 문항으로 선별하였다.
예를 들어, 거주 국가, 영주권을 갖고 있는 국가, 고등학교 졸업 이후 현재까지 재

224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학했던 모든 학교, 사교클럽 가입 내역, 정치적 성향 등은 한국 대학문화와는 동떨


어져 질문하기에 적합성이 떨어지는 문항이므로 제외하였다.
넷째, 조사문항이 묻고자 하는 내용의 범위 또는 대학생활을 통한 성과의 범위가
지나치게 넓거나 의미가 구체적이지 못한 문항은 제외시켰다. 예를 들어, 대학생활
을 통한 성과 중 경쟁력 향상 정도, 복지사회 기여 정도, 영성 개발, 자신의 미래 가
치 등은 범위와 의미가 명료하지 않아 개발 문항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제1차 도구개발 과정에서는 개인배경(15), 수업 외 학습활동
(15), 수업 중 학습활동(16), 수업만족도(17), 상호작용(4), 학습 성과(33), 시설 및
서비스(17), 기타(1) 모두 118개 문항이 선별되었고 이 문항으로 설문지 초안을 구성
하였다.

2) 제2차 검증(자문진 타당도 검증)

연구진이 제작한 조사도구 초안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자문위원회 검토와 파일


럿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문위원회는 주요 대학의 교수-학습 개발 센터(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CTL) 책임 교수를 섭외하여 구성하였다. 이들은 각 대학에서 교수-학습
활동 지원을 총괄함은 물론 각 대학별 학습과정 및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자체 조
사도구를 제작한 경험을 갖고 있어 본 연구 조사지 도구에 많은 조언을 받을 수 있
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서 설정한 좋은 학습 모형과 조사도구
구성과의 일관성 확보, 둘째, 조사문항 중 최근의 대학생 생활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항 선별, 셋째, 대학교육을 통해 얻어야 하는 학습 성과 항목 조정 등이다.

3) 제3차 검증(파일럿 조사 타당도 검증)

자문위원회의 자문을 거쳐 수정한 질문지를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


하였다. 예비조사는 3개 주요 대학의 대학생 10명씩 총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
으며, 각 대학의 교수-학습센터 연구원을 통해 조사가 실시되도록 협조를 요청하였

22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다. 본 예비조사에서 CTL 연구원은 예비조사 진행 및 설문 소요시간 체크는 물론


연구원의 관점에서 본 질문지에 대한 의견도 제시하도록 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제시된 의견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 표현 방식 통일 및 빈도수 조정, 둘째, 응
답 기준점 명료화, 셋째, 수업 만족도 부분 구체화(전공, 교양), 넷째, 문구 및 표현
방식 수정 등이다.

다. 중요도・신뢰도 검증

1) 수업 외 학습경험

<표 Ⅴ-2> 도서관 이용 빈도

전체 신뢰도
요인 해당 문항 제거
문 항 중요도 비고 지수 (Cronbach's
지수 시 신뢰도 변화
α)
도서관 단일문항으로 신뢰도와
*** - - -
이용 빈도 요인지수 산출 불가

이 문항은 단일 문항이라 신뢰도와 요인지수 값을 제공할 수는 없지만, 한국의 대


학생들이 도서관을 어느 정도 이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학생들의 학습과정
분석에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이 문항은 최종 문항에 포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서관을 이용하는 목적에 관한 문항에서 ‘과제를 위해 이용함’과 ‘시험공부를 위
해 이용함’의 타당도가 낮게 산출되어 문항을 제거하는 것이 적합했다. 결론적으로
5개의 문항 중 3개의 문항이 최종 설문지에 포함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226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표 Ⅴ-3> 도서관 이용목적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낮은 타당도
과제를 위해서 이용함 *** .591 0.68
지수
수업 외 관심분야, 취미 및
*** - .623 0.69
여가와 관련해 이용함
.829
낮은 타당도
시험공부를 위해 이용함 *** .467 0.72
지수
취업준비를 위해 이용함 *** - .624 0.68
매체 활용을 위해 이용함 *** - .681 0.67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에 관한 문항 중 ‘수업목적이 아닌 인터넷 활용’의


문항은 요인지수와 신뢰도에서 낮은 값을 산출했기 때문에 해당문항을 제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Ⅴ-4>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수업 예・복습을 위한
*** - .772 .572
컴퓨터 활용
수업 발표 준비를 위한
*** - .848 .410 .653
각종 프로그램 활용
수업 준비 목적이 아닌 낮은 신뢰도와
* .686 .672
인터넷 활용 요인지수

글씨기 태도에 관한 문항은 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낮은 신뢰도 값이


산출된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타당도 측면에서 2개 문항의 요인지수 값은 양호하
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살펴보면, 2개 문항은 한국의 대학생들이 보고서를 제출하

22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기까지 어떠한 퇴고의 과정을 거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기에 최종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문항으로 판단된다.

<표 Ⅴ-5> 글쓰기 태도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신뢰도
지수 (Cronbach's
변화
α)
내가 쓴 문장이 명료한지 다른
** - .827 -
사람에게 검토를 부탁함
.537
만족하기 전까지 내용과 구성에
** - .827 -
대해 2번 이상 수정함

<표 Ⅴ-6> 읽기・쓰기 분량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교재, 부교재 등 수업 관련 책
*** - .661 .656
한권 분량으로 읽은 도서 수
수업과 상관없이 개인적 즐거움 낮은
또는 학문적 풍요로움을 위해 스 * 신뢰도와 .531 .706
스로 읽은 도서 수 요인지수
.703
15쪽 이상 써낸 논문 또는 보고서 *** .733 .636
5쪽 이상 14쪽 이하로 써낸 논문
*** .801 .596
또는 보고서
5쪽 미만으로 써낸 논문 또는 보 .670
*** .653
고서

읽기 쓰기 분량에 관한 문항 중에서, ‘수업과 상관없이 개인적 즐거움 또는 학문


적 풍요로움을 위해 스스로 읽은 도서 수’의 문항은 낮은 신뢰도와 요인지수 값이
산출되었다. 따라서 이 문항을 삭제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228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표 Ⅴ-7> 다양한 배경의 학생 간 교류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다른 나라의 친구와 친해지려고
*** - .669 .778
노력함
가치관 및 세계관이 나와 다른
*** - .830 .672
친구와 심도 있는 토의를 함
.772
정치적 견해가 나와 다른 친구
*** - .813 .694
와 심도 있는 토의를 함
종교적 신념이 나와 다른 친구
*** - .774 .719
와 심도 있는 토의를 함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 간 교류의 현황을 묻는 4개의 질문은 요인지수와 신뢰


도 값 측면에서 모두 양호한 값이 산출되었기 때문에, 4개의 문항을 모두 선택해야
할 것이다.

<표 Ⅴ-8> 각종 주제별 대화 경험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문학, 역사, 철학, 예술 등 ** 낮은 신뢰도 .703 .433
컴퓨터 및 과학기술, 에너지 낮은 신뢰도와
* .605 .522
공해, 화학, 유전학 등 요인지수 .498
평화, 평등, 인종, 경제, 국
*** - .809 .223
제관계 등 국내・외 사회문제

문항의 개수가 적은 탓에 전반적인 신뢰도의 지수는 매우 낮게 산출된 것으로 추


측된다. 세 개의 문항 중 컴퓨터 및 과학기술, 에너지, 공해, 화학, 유전학의 문항은
낮은 요인지수와 신뢰도 값이 산출되었다. 반면에 나머지 두 문항에서는 양호한 신
뢰도 값과 요인지수가 산출되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인문・사회계열의 주제와 자연

22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계열의 주제로 나눠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문항의 수를 줄일 경우, 첫


번째 문항에서 낮은 신뢰도가 산출되었기 때문에 삭제될 수 있을 것이다.

<표 Ⅴ-9> 예술, 스포츠 및 자기계발 활동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공연 및 각종 전시회 관람 *** - .597 .619
스포츠 경기 관람 *** - .641 .597
각종 프로젝트 참여 활동 *** - .786 .504 .636
공모전, 선발전 및 각종 경시대회
*** - .743 .544
참여 활동

예술 및 스포츠와 관련된 자기계발 문항에서 ‘공연 및 각종 전시회 관람’의 타당도


가 낮게 산출되었다. 따라서 본 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들은 최종 설문지에 포함
시키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차)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에 관한 문항에서 ‘동아리 활동에 참여함’의 문항은
요인지수와 신뢰도에서 가장 낮은 값을 산출하였다. 따라서 해당 문항을 삭제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Ⅴ-10>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낮은 신뢰도와
동아리 활동에 참여함 * .524 .668
요인지수
.667
학생회 조직 및 학생회 활동
*** - .613 .631
에 참여함

230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를 하거
*** - .811 .557
나 지역사회봉사 활동을 함
수업의 일환으로 자원붕사 또
*** - .794 .573
는 지역사회봉사 활동을 함
낮은 신뢰도와
교내・외에서 종교 활동을 함 *** .565 .650
요인지수

학습 스터디 및 자기계발 활동에 관한 문항들의 적합성 여부를 살펴보면, 신뢰도


와 요인지수에서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련된 3개 문항 모두 설문
에 포함시키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Ⅴ-11> 학습 스터디 및 자기계발 활동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
신뢰도 변화
s α)
수업과 관련된 스터디 활동 *** - .825 .713
수업 외 관심학문 분야 스터디 및
*** - .852 .666 .778
학습 커뮤니티 활동
취업・진로와 관련된 스터디 활동 *** - .820 .721

대외 경험에 관한 문항들의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면, 전체 신뢰도 지수는 .509로


매우 낮았다. 또한 빈도분석의 경우 한국 대학생들은 대외경험이 대부분 없는 것으
로 응답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후에 실시될 동일한 검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산출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외경험에 관한 모든 문항을 삭제하는 것이 적합할 것
으로 판단된다.

23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Ⅴ-12> 대외 경험

전체 신뢰도
해당 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낮은 신뢰도와
어학연수 * .581 .498
요인지수
교환학생 * 낮은 신뢰도 .714 .410 .509
국내 인턴십 프로그램 * 낮은 신뢰도 .622 .434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 낮은 신뢰도 .726 .429

음주 경험에 관한 문항은 단일 문항이었기 때문에 문항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신


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정보는 제공할 수 없었다. 하지만 한국의 대학생들의 지나친
음주문화는 그동안 사회적으로 인식되어온 중요한 이슈 중 한가지였기 때문에 최종
설문지에 포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표 Ⅴ-13> 음주 경험

전체
해당 문항
요인 신뢰도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단일문항으로
음주로 인해 학업이 방해 신뢰도와
*** - - -
된 경험이 있습니까 요인지수 산출
불가

2) 수업 중 학습경험

질의・응답과 토론 등의 활동을 통해 수업 중 활동 참여도를 측정하는 이 문항들은


타당도나 신뢰도 측면에서 모두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3개 문항 전체가
최종 설문지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232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표 Ⅴ-14> 질의에 대한 응답, 질문, 발표

전체 신뢰도
해당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값
α)
수업 중 교수의 질문에 응답함 *** - .86 .65
수업 중 궁금한 사항에 대해 질문함 *** - .85 .66
.77
수업 중 발표(프리젠테이션), 토론
*** - .78 .76
및 토의에 참여함

※ 문항 14-1(읽기나 숙제를 다 마치고 수업에 참여함)과 문항 16-1(수업시간 중 필기를 함)을 투입한


후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른 문항과의 관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동 문항 제거 시 전체
신뢰도 상승

<표 Ⅴ-15> 동료들과의 협동을 통한 수업과제 수행

전체 신뢰도
해당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값
α)
수업과제(조별발표, 프레젠테이션 등)
낮은
를 위해 동일 수업 수강생들과 도움 ** .83 -
신뢰도
을 주고받음
.54
수업과제(조별발표, 프레젠테이션 등)
낮은
를 위해 동일 수업 수강생이 아닌 학 ** .83 -
신뢰도
생과 도움을 주고받음

동료들과의 협동학습 경험에 관한 요인은 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낮은 수준


의 신뢰도 값이 산출되었다. 하지만 타당도 측면에서 2개 구성 문항의 요인지수는 양
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다른 요인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를 살펴본
후 판단해야 하겠으나 일단 이 문항은 최종 설문지에 포함되어야 할 문항으로 보았다.

23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Ⅴ-16> 수업내용의 연계, 종합, 대안모색, 응용

전체
해당문항
요인 신뢰도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값
α)
숙제 또는 토론 수업을 할 때 다
른 수업으로부터 얻은 *** - .86 .801
생각들과 개념들을 연결해봄
아이디어, 경험, 정보 등을 종합
*** - .84 .784
적으로 연결하여 생각해봄 .85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을
*** - .86 .799
모색함
수업에서 배운 개념을 일상생활에
*** - .77 .835
응용함

수업내용을 고차적인 학습활동과 연계시켜본 경험에 관한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4개 문항을 사용하였는데, 이 구성 문항들은 신뢰도나 요인지수 측면에서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사람들과 학습한 내용을 나누는 경험에 관한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2개 문항
을 사용하였다. 상대적으로 적은 문항 구성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신뢰도 지수
가 산출되었으며 요인지수 역시 양호하게 나타나, 이 구성 문항들은 신뢰도나 요인
지수 측면에서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문항들은 최종 설문지에 포함되어
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Ⅴ-17> 타인에게 학습내용을 설명

전체 신뢰도
해당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값
α)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 - .91 -
설명함(동료 학생, 친구, 가족 등)
.78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다른 사람
*** - .91 -
에게 이것들을 설명함

234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수업참여의 성실성이라는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5개 문항을 사용하였는데, 수


업시간에 문자를 보낸 경험에 관한 문항을 제외하고는 구성 문항들의 신뢰도나 요인
지수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항의 수를 줄일 경우, 수업시간에
문자를 보낸 경험에 관한 문항은 삭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 Ⅴ-18> 수업참여의 성실성

전체
해당문항
요인 신뢰도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값
α)
제출 기한을 넘겨서 수업과제를
*** .78 .69
제출함
수업에 결석함 *** .77 .66
수업에 지각함 *** .70 .65 .73
수업시간에 졸거나 잠 *** .63 .71
수업시간에 메신저를 하거나 낮은
** .59 .70
문자를 보냄 요인지수

시험 및 과제 분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3개 문항을 사용하였는데, 전체적으로


구성 문항들의 신뢰도나 요인지수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문항
을 사용하여 요인을 구성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단일 문항
으로서 시험이나 과제의 절대적 분량을 파악할 필요성은 있기에 최종 설문지에 포
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3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Ⅴ-19> 시험 및 과제 분량

전체 신뢰도
해당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값
α)
낮은
정기시험(중간/기말고사) ** .62 .53
신뢰도
낮은
부정기 시험(쪽지시험, 퀴즈 등) ** .75 .38 .53
신뢰도
낮은
과제 수 ** .77 .34
신뢰도

※ 문항 251-1(총 수강과목 수)을 투입한 후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른 요인으로 나타나 최종 요인


분석에 포함시키지 않음

<표 Ⅴ-20> 교수와의 상호작용

전체 신뢰도
해당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값
α)
수강 신청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 - .72 .80
수업 내용 및 과제에 대해 교수
*** - .80 .77
와 의논함
시험 및 성적에 대해 교수와 의
*** - .79 .78
논함 .82
진로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 - .79 .78
수업 또는 진로 이외의 일(식사,
술자리, 취미 등)로 교수들과 교 *** - .71 .80
류함

교수들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5개 문항을 사용하였는


데, 이 구성 문항들은 신뢰도나 요인지수 측면에서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내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 <표 Ⅴ-21>과 같
이 3개 문항을 사용하였는데, 이 구성 문항들은 신뢰도나 요인지수 측면에서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36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표 Ⅴ-21>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전체 신뢰도
해당문항
요인 지수
문 항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값
α)
선배 및 동료 학생과의 관계 *** - .67 .59
행정직원 및 조교, 각종 지원
*** - .79 .44 .60
센터 상담자와의 관계
교수진과의 관계 *** - .78 .45

3) 수업 만족도

전공수업 만족도에 대한 조사결과, 전체 조사문항이 적절한 요인으로 구성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공수업 만족도의
경우 크게 두 개 요인으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수업시간 동안에 학생들이 경험하는
교수의 수업방식 또는 태도이고 다른 하나는 반드시 수업시간이 아니더라도 학생들
이 경험할 수 있는 교수의 태도나 학습관련 트레이닝 스타일이라 할 수 있다. 전자
의 경우 전체 신뢰도 .936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 문항들의 신뢰도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후자의 경우 전체 신뢰도는 .701이었으며 세 개 문항 중 ‘이해수준보다
기억수준을 더 강조함’은 신뢰도 .575로 본 분석에서는 제외되었다.

23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Ⅴ-22> 수업의 전반적인 질에 대한 만족도(전공)

전체 신뢰도
해당문항
요인 지수
구 분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교수로부터 적절한 시기에 피
*** - .817 .928
드백이 있었음
전반적으로 수업의 질에 대해
*** - .811 .927
만족함
수업의 목표와 기대수준이 명
*** - .794 .930
확함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 호기심
*** - .790 .931
을 자극함
교수들은 설명을 잘함 *** - .787 .928
.936
교수가 학생의 학습 관련 어
*** - .779 .930
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함
수업 자료들이 적절하게 선택
*** - .746 .929
되거나 제공됨
평가관리와 채점은 공정하였음 *** - .700 .931
학습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충
*** - .688 .933
분한 시간이 주어짐
시험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
*** - .662 .931
에 맞게 출제 되었음
교수가 성별, 종교, 사회경제
적지위 및 인종 등에 편견을 *** - .817 .622
가지고 표현하는 것을 들음
.701
학습량이 과다함 *** - .722 .632
이해수준보다 기억수준을 더 낮은
** .713 .575
강조함 신뢰도

교양수업의 경우 만족도를 조사하는 전체 문항이 하나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전


체 신뢰도는 .994로 나타났으며, 각 문항들은 모두 .993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양수업의 경우 모든 문항을 분석에 활용할 수 있었다.

238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표 Ⅴ-23> 수업의 전반적인 질에 대한 만족도(교양)

전체 신뢰도
해당문항
요인 지수
구 분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전반적으로 수업의 질에 대해
*** - .982 .993
만족함
이해수준보다 기억수준을 더
*** - .959 .994
강조함
수업의 목표와 기대수준이 명
*** - .974 .994
확함
학습량이 과다함 *** - .949 .994
학습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충
*** - .975 .994
분한 시간이 주어짐
평가관리와 채점은 공정하였음 *** - .971 .994
시험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
*** - .974 .994
에 맞게 출제되었음
.994
수업자료들이 적절하게 선택
*** - .976 .994
되거나 제공됨
교수들은 설명을 잘 함 *** - .975 .994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 호기심
*** - .973 .994
을 자극함
교수로부터 적절한 시기에 피
*** - .970 .994
드백이 있었음
교수가 학생의 학습관련 어려
*** - .970 .994
움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함
교수가 성별, 종교, 사회경제
적 지위 및 인종 등에 편견을 *** - .930 .994
가지고 표현하는 것을 들음

23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4) 학습 성과

<표 Ⅴ-24> 학습 성과
전체 신뢰도
해당문항
요인 지수
구 분 중요도 비고 제거 시
지수 (Cronbach's
신뢰도 변화
α)
대인관계 능력 *** - .759 .785
의사소통 능력(작문, 의사
*** - .705 .778
전달 방법 및 기술)
자신감(지적, 사회적) *** - .608 .780
자신의 능력, 관심, 낮은
** .568 .791
성격에 대한 이해 요인지수
낮은
리더십 개발 ** .538 .792
요인지수 .809
자신의 도덕적 기준과 낮은
** .510 .792
가치 개발 요인지수
논쟁적인 쟁점에 대한 낮은
** .497 .791
토론 및 협상 능력 요인지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학습
낮은
(새로운 과학기술, 다양한 ** .407 .794
요인지수
직업 및 환경 등)
양적 문제의 분석능력
*** - .696 .760
(확률, 비율 등의 이해)
원리의 응용력 *** - .677 .758
분석적, 논리적 사고력 *** - .648 .758
문제해결능력의 개발 *** - .608 .755
위기관리 능력 낮은
** .591 .759
(risk management) 요인지수 .787
컴퓨터 및 기타 정보 낮은
** .483 .780
과학기술의 활용 요인지수
시간을 효과적으로 낮은
** .403 .771
관리하는 능력 요인지수
낮은
창의력 개발 ** .380 .767
요인지수
건강에 대한 좋은 낮은
** .738 -
습관 및 신체 단련 신뢰도
낮은 .351
외국어 실력 * 신뢰도와 .571 -
요인지수

240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학습 성과와 관련하여 각 문항이 적절한 요인으로 구성되는지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요인은 ‘Soft Skill’
이라 할 수 있는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요인이며, 두 번째 요인은 'Hard
Skill'이라 할 수 있는 인지적 역량에 관한 요인이다. 첫 번째 요인의 경우 전체 신
뢰도는 .809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의사소통, 지적・사회적 자신감에 대한 문항은
요인지수 .60 이상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의 경우 전체 신뢰도는 .787로 나타
났으며 양적문제 분석능력, 원리 응용능력, 분석적・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의
개발 등 네 개 문항은 요인지수 .60 이상으로 나타나, 요인지수를 통해 각 요인별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요인은 기타로 처리할 수 있으며 신뢰
도 .351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므로 분석에서는 제외되었다.

2. 조사도구 표준화 전략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 분석 연구는 대학생 학습과정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양적


인 접근방법과 질적인 접근방법을 병행하였다. 앞 절에서 학습과정 실태를 분석하
기 위해 개발한 조사도구에 대한 중요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
로 필요한 문항을 다음과 같이 잠정적으로 선정하였다. 이것은 2차년도에 활용할 예
비적 성격의 조사도구인 셈이다. 이탤릭체로 표시한 부분은 학습일지 분석을 통해
추가로 선정된 문항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4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표 Ⅴ-25> 2차년도 조사도구 문항 선정

분류 문항 중요도
도서관 이용 빈도 ***
과제를 위해서 이용함 *
수업 외 관심분야, 취미 및 여가와 관련해 이용함 ***
도서관
시험공부를 위해 이용함 *
이용 목적
취업준비를 위해 이용함 ***
매체 활용을 위해 이용함 ***
컴퓨터 및 수업 예・복습을 위한 컴퓨터 활용 ***
정보통신기술 수업 발표 준비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활용 ***
활용 수업 준비 목적이 아닌 인터넷 활용 *
글쓰기 내가 쓴 문장이 명료한지 다른 사람에게 검토를 부탁함 **
태도 만족하기 전까지 내용과 구성에 대해 2번 이상 수정함 **
교재, 부교재 등 수업 관련 책 한권 분량으로 읽은 도서 수 ***

수업과 상관없이 개인적 즐거움 또는 학문적 풍요로움을 위
업 *
읽기・쓰기 해 스스로 읽은 도서 수
외 분량 15쪽 이상 써 낸 논문 또는 보고서 ***
5쪽 이상 14쪽 이하로 써 낸 논문 또는 보고서 ***
학 5쪽 미만으로 써 낸 논문 또는 보고서 ***

다른 나라의 친구와 친해지려고 노력함 ***

다양한 가치관 및 세계관이 나와 다른 친구와 심도 있는 토의를 함 ***

배경의 학생
간 교류 정치적 견해가 나와 다른 친구와 심도 있는 토의를 함 ***
종교적 신념이 나와 다른 친구와 심도 있는 토의를 함 ***
각종 문학, 역사, 철학, 예술 등 **
주제별 컴퓨터 및 과학기술, 에너지 공해, 화학, 유전학 등 *
대화 경험 평화, 평등, 인종, 경제, 국제관계 등 국내・외 사회문제 ***
자기주도학습 학습일지
발표(프리젠테이션 방법), 글쓰기(리포트 및 논문작성법),
역량강화지원 검토 후
토론방법, 독서방법, 학습법 교육 등
정도 추가
공연 및 각종 전시회 관람 *
예술, 스포츠 스포츠 경기 관람 ***
및 자기계발
활동 각종 프로젝트 참여 활동 ***
공모전, 선발전 및 각종 경시대회 참여 활동 ***

242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분류 문항 중요도
동아리 활동에 참여함 *
동아리・ 학생회 조직 및 학생회 활동에 참여함 ***
동호회 및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를 하거나 지역사회봉사 활동을 함 ***
종교 활동 수업의 일환으로 자원봉사 또는 지역사회봉사 활동을 함 ***
교내・외에서 종교 활동을 함 *
학습 수업과 관련된 스터디 활동 ***
스터디 및 수업 외 관심학문 분야 스터디 및 학습 커뮤니티 활동 ***
자기계발
활동 취업・진로와 관련된 스터디 활동 ***
어학연수 *
교환학생 *
국내 인턴십 프로그램 *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
대외 경험
연합동아리 활동
수 학습일지
업 학점교류(타 대학 교과목 수강)
검토 후
인턴십
추가
외 기타 활동
음주로 인해 학업이 방해된 경험이 있는지 여부 ***

영어 및 기타 외국어 교육 학습일지
습 개인교습(사
경 일반 교양 및 예술 검토 후
교육) 경험
험 취미활동 관련 교육 추가
학습일지
취업준비활동 검토후
추가
교내 근로장학
교외 근로장학
학습일지
개인교습(과외)
직업 활동 검토 후
아르바이트
추가
인턴십
기타
기사검색
쇼핑 학습일지
인터넷
검토 후
활동 온라인 학습 추가
메신저

24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분류 문항 중요도
웹서핑
영화나 만화 보기
게임하기
질의에 대한 수업 중 교수의 질문에 응답한 ***
응답, 질문, 수업 중 궁금한 사항에 대해 질문함 ***
발표 수업 중 발표, 토론 및 토의에 참여함 ***
동료들과의 수업과제를 위해 동일 수업 수강생들과 도움을 주고받음 **
협동을 통한 수업과제를 위해 동일 수업 수강생이 아닌 학생과 도움을
수업과제 수행 주고받음 **

숙제 또는 토론 수업을 할 때 다른 수업으로부터 얻은 생각
***
수업내용의 들과 개념들을 연결해 봄
연계, 종합, 아이디어, 경험,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연결하여 생각해 봄 ***
대안모색,
응용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을 모색함 ***
수업에서 배운 개념을 일상생활에 응용함 ***
타인에게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다른 사람(동료학생, 친구, 가족)에게
***
수 학습내용을 설명함
업 설명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다른 사람에게 이것들을 설명함 ***
제출 기한을 넘겨서 수업과제를 제출함 ***

수업에 결석함 ***
수업참여의
학 수업에 지각함 ***
성실성
습 수업시간에 졸거나 좀 ***
경 수업시간에 메신저를 하거나 문자를 보냄 **
험 정기시험(중간/기말고사) **
시험 및 과제
부정기 시험(쪽지시험, 퀴즈 등) **
분량
과제 수 **
수강 신청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
수업 내용 및 과제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
교수와의 시험 및 성적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
상호작용 진로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
수업 또는 진로 이외의 일(식사, 술자리, 취미)로 교수들과
***
교류함
선배 및 동료 학생과의 관계 ***
학내
구성원과의 행정직원 및 조교, 각종 지원센터 상담자와의 관계 ***
상호작용
교수진과의 관계 ***

244
Ⅴ.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분류 문항 중요도
면대면 수업
온라인 수업 학습일지
수업형태 강의식(프리젠테이션 수업) 검토 후
토론식(발표식) 추가
실험실습식
교수로부터 적절한 시기에 피드백이 있었음 ***
전반적으로 수업의 질에 대해 만족함 ***
수업의 목표와 기대수준이 명확함 ***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 호기심을 자극함 ***
교수들은 설명을 잘함 ***
수업의 교수가 학생의 학습 관련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함 ***
전반적인
수업 자료들이 적절하게 선택되거나 제공됨 ***
질에 대한
만족도 평가관리와 채점은 공정하였음 ***
(전공) 학습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주어짐 ***
시험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에 맞게 출제되었음 ***
교수가 성별, 종교,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종 등에 편견을
***
가지고 표현하는 것을 들음

업 학습량이 과다함 ***
이해수준보다 기억수준을 더 강조함 **
만 전반적으로 수업의 질에 대해 만족함 ***
족 이해수준보다 기억수준을 더 강조함 ***

수업의 목표와 기대수준이 명확함 ***
학습량이 과다함 ***
학습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주어짐 ***
수업의 평가관리와 채점은 공정하였음 ***
전반적인
시험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에 맞게 출제되었음 ***
질에 대한
만족도 수업자료들이 적절하게 선택되거나 제공됨 ***
(교양) 교수들은 설명을 잘 함 ***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 호기심을 자극함 ***
교수로부터 적절한 시기에 피드백이 있었음 ***
교수가 학생의 학습관련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함 ***
교수가 성별, 종교,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종 등에 편견을
***
가지고 표현하는 것을 들음

24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분류 문항 중요도
대인관계 능력 ***
의사소통 능력 (작문, 의사전달 방법 및 기술) ***
자신감 (지적, 사회적) ***
자신의 능력, 관심, 성격에 대한 이해 **
리더십 개발 **
자신의 도덕적 기준과 가치 개발 **
논쟁적인 쟁점에 대한 토론 및 협상 능력 **
학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학습 (새로운 과학기술, 다양한 직업 및 환경 등) **
습 양적 문제의 분석능력 (확률, 비율 등의 이해) ***
성 원리의 응용력 ***
과 분석적, 논리적 사고력 ***
문제해결 능력의 개발 ***
위기관리 능력(risk management) **
컴퓨터 및 기타 정보과학기술의 활용 **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
창의력 개발 **
건강에 대한 좋은 습관 및 신체단련 **
외국어 실력 *

246
요약 및 정책제언

1. 요약
2. 정책 제언
3. 차년도 연구과제
Ⅵ. 요약 및 정책제언

Ⅵ 요약 및 정책제언

1. 요약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첫째, 그 동안 블랙박스로 남아있던 대학에서의 교수-학


습 활동, 학습참여도, 교육만족도, 학습활동에 대한 평가현황 등을 포함하는 학습경
험 분석에 적합한 검사를 개발하고, 둘째, 개발된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
하여 한국 대학의 학습과정 특성과 현황을 파악하며, 셋째, 도출된 연구결과에 기초
하여 대학의 교수-학습 과정을 개선하고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
책적 지원방안을 대학차원, 정부차원 등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은 크게 대학생 학습과정의 개념과 구성요소 정립,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 및 조사, 한국 대학생의 학습실태 분석(설문조사, 학습일지), 2차
년도 조사도구개발을 위한 전략 개발, 정책적 시사점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학습과정이란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관점’에서 계획된 교육
과정 안에서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지식과 능력을 신장해 가는 과정이며, 수업을 중
심으로 하되 대학생의 다양한 학습활동이 진행되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정의 내렸다.
그리고 학습과정의 구성요소로는 대학생의 학습과정이 크게 수업 중 활동과 수업
외 활동으로 대별된다고 보고 수업 중 활동에 수업준비, 수업참여, 과제수행, 평가
및 시험이 포함되고 수업 외 활동에 독서, 학습동아리, 자기개발활동 등이 포함된다
고 보았다. 이러한 점을 이론적 전제로 하여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에 착수
하였다. 그리고 학습과정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기보다 학습 성과에 대한 관심에
서 출발하며, 학습과정 분석은 학습과정이 학습 성과에 얼마나 효과적인가에 대한
분석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과정을
바라보아야 함은 주지하는 바이다.

24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을 위해 첫 단계로서 대학생 학습과정을 실제로


조사한 국내・외 사례를 수집・검토하였다. 기초연구를 통해 선정한 문항과 이 연구
에서 설정한 학습과정 개념 틀을 통해서 조사지 초안을 만든 후 연구진 협의, 자문
위원회 자문,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조사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조사지는 대학생
학습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조
사결과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도・신뢰도를 검증한 결과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수업 외 학습경험으로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검증된 문항 또는 소분류로는 도서
관 이용 빈도, 다양한 배경의 학생 간 교류, 학습 스터디 및 자기계발 활동, 음주로
인해 학업이 방해된 경험이 있는지에 관한 것 등으로 나타났다. 중요도가 낮은 것으
로 검증된 문항으로는 도서관 이용 목적 중 과제를 위해서 이용하는 경우・시험공부
를 위해 이용하는 경우,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 활용 목적 중 수업 준비 목적이
아닌 인터넷 활용, 읽기・쓰기 분량에 관한 질문 중 수업과 상관없이 개인적 즐거움
또는 학문적 풍요로움을 위해 읽는 도서 수, 각종 주제별 대화경험 중 컴퓨터 및 과
학기술, 에너지 공해, 화학, 유전학 등에 관한 토론, 예술・스포츠 및 자기계발 활동
중 공연 및 각종 전시회 관람,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중 교내・외에서 종교 활
동을 하는 것 등으로 나타났다.
수업 중 학습경험으로서 중요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검증된 문항 또는 소분
류는 질의에 대한 응답・질문・발표, 수업내용의 연계・종합・대안모색・응용, 타인에게
학습내용을 설명, 교수와의 상호작용,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등에 관한 것이었
다. 중요도와 신뢰도가 낮은 문항 또는 소분류는 동료들과의 협동을 통한 수업과제
수행, 수업참여의 성실성 중 수업시간에 메신저를 하거나 문자를 보냄, 시험 및 과
제의 분량에 관한 것 등이었다.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수업만족도를 알아보는 문항 가운데 중요도가 매우 높은
것은 거의 전부였으며, 단 전공수업의 전반적인 질에 대한 만족도 문항 중 이해수준
보다 기억수준을 강조하는가에 대한 문항은 중요도가 보통이었다.
학습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제시한 문항 중 중요도가 매우 높았던 문항으로는 대
인관계 능력, 의사소통 능력, 자신감, 양적 문제의 분석능력, 원리의 응용력, 분석

250
Ⅵ. 요약 및 정책제언

적・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 능력 등을 꼽을 수 있다. 중요도가 낮은 문항은 외국어


실력이었다.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을 위해 양적 방법이외에도 학습일지 작성이라는 질
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국・공・사립, 소재지, 계열을 고려하여 현재 대학에 재학 중
인 학생 30명을 선정하여 2주 분량의 학습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이를 분석하였
다. 학습일지 분석을 통해 2차년도 조사도구로서 추가해야 할 문항을 개발하였다.
수업 외 학습경험 중 자기주도 학습 역량강화 지원에 관한 것으로 발표, 글쓰기, 토
론방법, 독서방법, 학습법 등을 교육하는 것에 대한 의견을 추가해야 할 것으로 드
러났다. 또 대외경험 중 연합동아리 활동, 학점교류, 인턴십 등에 대한 질문을 추가
하여야 하며, 개인 사교육 경험으로 영어 및 외국어 교육, 일반교양 및 예술, 취미
활동 관련 교육을 추가할 필요가 있으며, 교내・외 직업 활동, 다양한 인터넷 활동에
대해 질문할 필요가 있었다. 수업 중 학습경험으로는 수업형태에 대한 질문을 추가
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결과와 학습일지 분석 결과 드러난 대학생들의 학습과정 상의 부정적 특
징은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점은 한국 대학생들은 수업 외 활
동에서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사회봉사 참여도가 저조하며, 그리고 글쓰기 능력
이 부족하고,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경험이 적다는 점 등이었다. 그리고 학습일
지를 통해 학습장애요인을 찾아본 결과, 비효과적인 수업활동이 가장 기본적인 요
인이었는데 이는 주로 교수요인과 관계가 있었다. 즉, 교수의 전달력, 수업설계 역
량에서 문제가 발견되었다. 학습장애요인을 학생 개인의 측면에서 접근하면 학생
개인의 학습의지 부족을 들 수 있다. 또 정보화의 영향으로 일상화되어 있는 인터넷
을 통한 학습활동이 오히려 학습을 방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너무 많은 시간을
직업 활동에 투자하는 것도 학습시간의 부족을 초래하였다.
이 보고서의 말미에는 이러한 학습장애요인을 극복하고 학습과정을 개선하여 대
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기 위해 정부와 대학의 역할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
였다.

25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2. 정책 제언

대학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과 국가적 수준의 표준화된 도구 개발이 갖는 중요성


은 매우 크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간 대학평가는 기관단위의 평가로서 투입과
산출요인에 치중된 평가였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더욱이 교육의 핵심요소인
학생들의 학습참여에 대한 밀도 있는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
안 블랙박스로 간주되어온 대학생의 학습참여 실상 분석을 위한 표준화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가적 수준의 학습참여 실태조사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얻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평가도구의 중요한 사용자가 될 정부와 대학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하고자 한다.

가. 정부의 역할

정부는 표준화된 도구를 이용한 학습과정에 대한 조사 결과를 다양한 정부의 고


등교육 정책 수립 및 집행에 활용해야 할 것이며, 학습과정 분석을 위한 표준화 조
사 도구 개발 및 유관한 연구 수행을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은 대학정보공시 자료로의 활용이다. 현행 대학정보
공시제 항목들은 다수가 교육의 과정보다는 양적 투입 요인에 치중되어 있어 과정
변인이나 질적 지표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취약점이 있다. 대학교육에 대한 바
람직한 평가를 위해서는 경영에 대한 합리성 및 효율성에 대한 측정과 아울러 대학
교육의 효과성 즉, 학생의 지적・정서적 발달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과정 변인과 질적 지표를 활용한 평가이다. 즉, 학생들이 수업활동이나
수업 외 활동을 포함하는 교육의 과정에 어떠한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교수들
과의 관계는 어떠한지, 어느 정도의 만족도를 갖고 교육에 임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
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는 대학교육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파악되어야 하는 것들이다. 영국의 학생 만족도 조사(National
Student Survey)나 미국의 신입생・졸업생 조사(CIRP Freshmen Survey, Senior

252
Ⅵ. 요약 및 정책제언

Survey), 학생참여도 조사(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등은 이러


한 조사 유형에 속한다. 이러한 조사들은 대학교육에 대한 전국단위의 설문조사이
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경우는 이러한 질적 지표 위주의 학습 참여에 대한 조사가 없
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이 공시정보에도 포함되고 있지 못하다. 교육에 대한 만족도
등은 그저 개별 대학차원에서 수행하여 자체 분석 혹은 평가의 결과로 제시하고 있
는 정도이다. 그리고 조사를 위한 도구도 임의로 제작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가 결여된 상태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국가적 차원에서 대학생들의
학습 실태를 분석할 수 있는 공신력 있는 데이터를 구축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정부
는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이 한국의 상황을 반영한 표준화된 도구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이를 대학정보공시자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면밀한 조사와 함께 정
책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에 참고자료로서 활용한다. 현재 정부는 교육역량 강
화사업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정지원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업
에서 고려하는 지표들이 교육의 과정이 얼마나 충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고려
하기 보다는 대부분이 교육여건에 해당하는 지표를 활용하고 있고, 성과 지표로 취
업률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교육의 역량은 학생의 역량, 교수의 역량, 그리
고 시스템 전체의 역량 제고를 통해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학생들이 교
육을 통해 어떠한 역량을 길러나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학생
들의 역량 발전과정을 이해하려면 표준화된 도구에 의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국가는 이를 이용하여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에 대한 만족도,
교육을 통해 육성되어지는 역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부의 사업에 이러한 질적 자료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
중의 하나는 제공된 정보의 신뢰성 문제이다. 즉, 정보제공에 따른 기대이익으로 인
해 대학들이 신뢰할 수 없는 정보를 제공할 여지가 많다. 따라서 정부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일종의 모니터링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
다. 예컨대, 대학들에게 정보의 수집, 관리를 책임지고 담당하는 부서를 반드시 두
도록 하고 우수한 통계담당관을 채용하도록 권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질

25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적 정보를 수합하는 방법에 대한 연수 등을 통해 양적 데이터 이외에 대학교육에 대


한 질적 정보를 수합하고 분석하는 업무를 수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정부는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좋은 학습모델이 개발되고 이 모델
들이 대학들에 확산됨으로써 종국적으로는 대학교육의 질이 높아질 수 있도록 정책
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른 나라에서 수행하고 있는 학습과
정 및 참여 실태에 조사에 대한 벤치마킹이 필요하고, 연구기관이나 전문가들이 다
양한 방식으로 관련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즉, 국가적 차원에서 대학교육의 과정분석 및 그에 따른 좋은 학습모델의 탐색, 학
습 성과와 연계한 연구 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연구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
한 연구들은 일회성으로 단기간에 걸친 연구로 수행되어서는 안 되고, 비교적 장기
간의 연구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일회성 조사나 단기간의 연구로는 학습
과정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이나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기가 어렵고, 연구결과를 일
반화할 수 있는 표집규모를 확보한 연구가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는 고등교육의 학
습과정 분석을 통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질적 지표를 개발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차원의 연구 지원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습과정 조사와 고등교육에 관한 유관 데이터가 연동되어 분석됨으로써 그
결과가 정부의 고등교육 정책에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많은 연구에 의하면 대학생의 학습과정은 학생들의 학업성취 및 취업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결과와 학업성적 및 취업률 등이 연
계되어 분석됨으로서 대학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의 모색이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는 이러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
록 국책 연구기관과 각 대학 관련 연구소의 연구 성과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과 지원
이 요구된다.
다섯째, 정부는 대학에서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
들에게 충분히 제공해야 할 것이다. 현재 소비자들은 대학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
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소비자 정보제공
형 공시제도”(유현숙 외, 2009)라고 할 수 있는 “대학알리미”는 학생, 학부모 등 일
반 소비자들이 이용하기에 수월한 형태도 운영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의 학습과정

254
Ⅵ. 요약 및 정책제언

에 대한 정보가 자세하게 수록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수능 성적이나 대학의 명성에 따라 학교를 선택할 뿐 특정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
습과정 및 학생들의 교육만족도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해 학교를 선택하는 경우는 드
물다. 이는 개별대학에 대한 정보가 피상적인 몇 가지 지표만으로 제공되기 때문이
다. 따라서 정부는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한 정보 제공을
통해 교육 수요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킬 의무가 있다.

나. 대학의 역할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은 정부차원에서 정책적 활용을 위한 목적도 중요하지만, 개


별 대학 차원에서 자체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대학차원
에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교수-학습센터의 기능 회복 및 강화가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대학이 교
수-학습센터를 설치하고는 있지만 그 실상을 보면 명목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에서부터 실질적으로 교수-학습개선을 위해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경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볼 때, 수업과정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센터의 기능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교수-학습센터는 대학생의 학습과정
에 대한 표준화된 도구를 이용하여 학습참여에 대한 분석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학습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업무영역을 넓히는 것
이 바람직하다. 학생들이 교수와 학습에 대해 어떠한 요구를 하고 있는지, 수업활동
에 대한 참여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교수와의 관계는 어떠한지, 수
업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 등을 분석하여 다양한 학습전략을 수립할 필요
가 있다. 특히 교수들이 인지하는 학습참여와 학생들이 인지하는 학습참여가 격차
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이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의 모색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의 교수-학습센터와 유사한 외국 대학들의 유관기관들이 대학교육개선을 위해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심층연구를 통해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하
기 위한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들의 교수능력 개선을 위한 컨설팅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응

25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답에 따르면 대학에서의 수업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 전통적인 강의 방식이 지


배하고 있고, 교수들이 수업 개선을 위한 노력이 미흡하며,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
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 등으로 나타났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교수-학습센터의 주
된 기능으로 수업기술 제고를 위해 노력하도록 교수들을 독려하고, 학생들의 요구
에 부응하는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기술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하
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겠다. 또한 변화하는 대학교육 환경도 교수들에 대한 컨설
팅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정보화 사회의 진전에 따른 정보매체를 활용한 교수
법, 국제화 사회의 진전에 따른 영어강의법, 융복합 학문 분야의 증가에 따른 다학
문적 접근을 위한 교수법 등 다양한 내용의 컨설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컨설팅
은 교수-학습센터의 주된 역할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컨설팅의 강화가 필요하다. 대학교육의 효
과성 증진을 위해서는 교수들의 교수능력 증진과 아울러 학생들의 학습능력 제고를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대부분 대학교육에 대해 어
렵게 느끼고 있고, 어렵게 느끼고 있는 이유가 학습전략이나 기술 등 정보의 부족이
라고 응답하고 있다는 점(이재경 외, 2006)을 감안할 때 교수-학습센터에서는 다양
한 학습전략을 구안하여 더욱 이를 확산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자기주도 학습역
량을 높이기 위해 집단학습, 협동학습, 토론학습 등의 다양한 방법이 요구된다. 최
근 교수-학습센터에서는 교수들의 수업능력 개선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반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서는 학생들의 심리・사회・경제적 배경분
석 등에 그치고 있어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컨설팅 기능을 거의 수행하고 있지 못한
형편이다.
넷째,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결과가 대학의 발전계획 수립은 물론 대학 자체 평가
를 위한 질적 지표의 구축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신의 대학이 경쟁상대로
삼고 있는 준거대학과 지표의 성과를 비교하여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받아 궁극적으로 대학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3개년 동안의
본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될 국가적 차원의 대학생 학습과정 분석 도구는 미
국 인디애나 대학에서 개발하여 현재 활용되고 있는 NSSE와 유사한 것이다. NSSE
가 개발된 여러 가지 이유 중 하나는 peer group에 의한 평가를 촉진하기 위함이

256
Ⅵ. 요약 및 정책제언

다. 즉, 특정 대학이 자신들이 준거로 삼고 있는 대학에 비하여 어떠한 점에서 어느


정도나 격차를 보이고 있는지,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 교수들과 학
생들 간의 교육에 대한 인지도 격차는 어느 정도인지 등을 알아보는 것이 이 도구의
주된 목적이다.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 교수-학습과정을 개선해 나가기 위한 아이디
어를 얻고자 한다. 대학들은 단순히 정부에서 요구하는 정보공시 자료의 제공 등 소
극적인 입장에서 탈피하여 대학교육에 대한 질적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조사하여
대학발전에 피드백하는 제도적 장치를 스스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학 역시 학생들에게 어떠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어떠한
학습 경험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고등교육 수요자들에게 적극적으로 공개하
고 제공해야 할 것이다. 대학에 대한 선택이 대학의 명성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향은
전근대적이고 사실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경향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학들은 학생들
이 입학 후에 어떻게 학습하고, 교수들은 잘 가르치고 있는지, 대학은 학생들이 효
과적으로 학습할 환경을 제공하고 바람직한 지원을 하고 있는지 등 적극적으로 학
부모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대학에 대한 양적 지표 정보는 대학정보공시제 혹은
각종 대학평가를 통해 그간 세간에 많이 알려져 왔다. 이러한 양적 정보들은 시간이
지났다고 하더라도 급격하게 그 추세가 변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학교육
에 대한 질적 지표 중심의 현황 그리고 교육에 대한 만족도, 교육을 통해 실제로 길
러진 역량 등에 대한 대학생 학습 정보는 그동안 체계적으로 조사되지도 않았고, 일
반 학부모들과 학생들은 이러한 정보를 직간접적인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피상적으
로 알고 있을 뿐이다. 또한 대학교육의 주요 수요자 중의 하나인 기업들도 특정 대
학에서 어떠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
는 물론 대학들도 수요자 위주의 정보 제공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학 홈페이지나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과정에 대한 조사결과와 질
적 지표를 통한 대학 현황분석 결과 등을 자세하게 공지할 필요가 있다.

25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3. 차년도 연구과제

본 연구를 통해 차년도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과정 조사도구 표


준화 전략을 참고하여 조사도구를 정교화 한다. 이를 통해 한국판 학습과정 조사도
구로서 표준화된 설문지를 개발하고 전국적으로 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도구 개발의
정교화 작업은 학습일지에도 적용되어 대학생 학습과정을 보다 밀도 있고 심층적으
로 분석할 수 있는 질적 조사도구를 개발한다. 1차년도 연구결과 학습일지 분석결과
와 설문조사 결과 간 일치하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학습일지 분석이 설문조사
도구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했으므로 질적 연구 방법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
되었다. 따라서 학습일지 작성을 대대적으로 실시하고 이에 심층면담까지 실시하여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전국적인 학습과정 조사 실시 후 분석은 학습과정 요소별, 대학 유형별, 전공별
등 다양하게 실시될 것이며, 분석이 완료되면 그 결과를 통해 대학생 학습과정에 대
한 워크숍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학생과 교수가 함께 참여하여 학습과정
에 대한 실상을 공유하고 서로의 상황을 보다 깊이 이해하여 대학교육의 성과를 제
고하기 위한 기회가 포함될 것이다.
차년도 연구에서는 학습과정과 함께 학습 성과에 관한 분석에도 중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대학생의 학습 성과로 볼 수 있는 역량(competency)을 명확히 개념화
하고 그것을 요인별로 범주화하는데 더욱 주력할 것이다. 이는 학습과정과 학습 성
과의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한 토대이기도 하며, 궁극적으로는 정기적
으로 실시되는 학습과정 조사결과의 정보공시 항목화 및 학습 성과와 관련된 타 데
이터베이스와의 연계분석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258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경희대학교(2010). 강의평가 자료집. 경희대학교 총학생회.


고려대학교(2000). 대학생활에 관한 학생 의견 설문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고려대학교(2009). 학부 수강소감 설문 문항. 고려대학교.
노동부・한국교육개발원(2008). 2006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노
동부・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2009). 교육통계연보 2009. 한국교육개발원.
김형관 외(2001).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사회적 문화적 배경 등 요인에 관한 기초자
료 조사. 교육인적자원부.
유현숙 외(1998). 21세기 고등교육 변화와 전망. 한국교육개발원.
유현숙 외(2006). 고등교육 개혁을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 평가연구. 한국교육
개발원.
유현숙 외(2005). 고등교육 국제동향 분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이대식 외(2007). 대학의 강의평가를 통한 수업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pp.81-117.
이병식, 최정윤(2008). 다층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능력 개발의 영향요인 분석:
대학교육 과정과 대학 특성 변인의 영향. 한국교육, 제35권, pp.243~266.
이재경(2006). 대학생들의 학습형태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정진식(2005). 대학 강의평가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제10집, pp.93-115.
조벽(1997). 강의평가. 공학과 기술교육, 4(3), pp.66-73.
최정윤 외(2007).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최정윤 외(2008).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중앙대학교(2010). 강의 평가 설문. 중앙대학교.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8). 한국교육고용패널 1차(2004)~4차(2007)년도 조사 사용
자지침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신일 외(2005). 한국대학의 강의평가 실태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3(3). pp.379-403.

25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Betsy Blunsdon, Ken Reed, Nicola McNeil & Steven McEachern(2003).


Experiential Learning in Social Science Theroy: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joyment and learning. Deakin Univeirsity
& University of Ballarat.
Caroline Kreber(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ourse perception
and their approaches to studying in undergraduate science course: a
canadian experience. Univerisity of Alberta.
Chickering, A,W., & Gamson, Z.F.(1987).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AAHE Bulletin, 39(7).
Delaney, J., et al.(2008). Students’ Perceptions of Effectiv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http://www. mun.ca/educ/faculty/mwatch/laura_treslan_SPETHE
_Paper.pdf
Design Council (2005), The Impact of School Environments: A Literature
Review. The Centre for Learning and Teaching School of Education,
Communication and Language Science University of Newcastle.
Earthman, G. (2002), School Facility Conditions and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UCLA/IDEA, University of California.
Earthman, G. (2004), Prioritisation of 31 Criteria for School Building Adequacy.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Foundation of Maryland Baltimore.
Earthman, G. and L. Lemasters (1996), Review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Buildings, Student Achievement, and
Student Behaviour,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Council of Educational Facility Planners.
Fisher, K. (2000), Building Better Outcomes. The Impact of School
Infrastructure on Student Outcomes and Behaviour, Schools Issues
Digest, Department of Education, Training and Youth Affairs, Australian
Government.
Graduate Careers Australia(2007). Course Experience Questionnaire. GCA.

260
참고문헌

Helena Alves, Mario Raposo(2007). Student Satisfaction Index in Portuguese


Public Higher Education. Univerisidade da Beira Interior, Portugal.
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or England(2009). National Student
Survey. HEFCE.
Hubert Ertl & Susannah Wright(2008).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student
learning experience in higher education. University of Oxford &
Westminster Institute of Education.
Indiana University(1998). College Student Experiences Questionnaire. Center
for Post-secondary Research.
Indiana University(2009). National Survey of Students Engagement 2010.
Center for Post-secondary Research.
Jeremy J. Sierra(2009). Shared Responsibility and Student Learning:
Ensuring a Favorable Educational Experience. Texas State
University-San Marcos.
Karen Clarke, Andrew M. Lane(2005). Seminar and tutorial sessions: a case
study evaluating relationship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tudent
satisfaction. University of Wolverhampton, UK.
Kevin M. Elliott & Margaret A. Healy(2001).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atisfaction Related to Recruitment and Retention. Minnesota State
University.
Kim, M. M. & Conrad, C. F. (2006). The Impact of Historically Black
Colleges and Universities on the Academic Success of African-American
Student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7 (4). 399-427.
Kuh, G. D., Kinzie, J., Buckley, J.A., Bridges, B, K., & Hayek, J.C.(2006).
What matters to student succ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National
Postsecondary Education Cooperative(NPEC) Commissioned Paper.
Li-Wei Mai(2005). A comparative study between UK and US: The student
satisfa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University

26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of Westminster.
Lourdes Rodrigues & Francisco Cano(2007). The learning approaches and
epistemolegical beliefs of university students: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University of Granada, Spain.
Mants Yorke(2009). 'Student experience' surveys: 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and an empirical investigation. Lancaster University, UK.
Michael Prosser, Paul Ramsden, Keith Trigwell & Elaine Martin(2003).
Dissonance in Experience of Teaching and its Relation to the Quality of
Student Learning. University of Sydney, University of Oxford &
Victoria University.
Nick Hammond(2009). Institutional research and the student learning
experience. Higher Education Academy, UK.
OECD (2004), Learning for Tomorrow’s World : First Results from PISA 2003,
OECD, Paris.
OECD (2006a), Exploring Possible Synergies between PEB and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Paper presented to the PEB
Governing Board at its 37th Session.
Onno Moller(2007). Student satisfaction survey: The Utrecht University
approach. Utre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Parpala. A. & Lindblom-Ylanne, S. (2007), University teachers' conceptions
of good teaching in the units of high-quality education.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33, pp.355-370.
Pascarella, E., & Terenzini, P. (2005).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Vol. 2),
Jossey-Bass, San Francisco, CA.
Paul Ginns, Michael Prosser & Simon Barrie(2007).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quality in higher education: the perspective of currently
enrolled students. University of Sydney, Australia &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262
참고문헌

Price Water House Coopers (2000), Building Performance: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s Capital Investment and
Pupil Performance,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United
Kingdom.
Ramsden, P. (2003). Learning to teach in higher education (2nd ed.).
London: Routledge.
Reid, D. J. & Johnston, M. (1999). Improving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Student and teacher perspectives. Educational Studies, 25(3),
pp.269-281.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2010). 2009-2010 College Senior
Survey. Higher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2010). 2010 First College Year
Survey. Higher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Indiana University Center for Postsecondary Research(2009). Using NSSE to
Assess and Improve Undergraduate Education -Lessons from the field
2009-. NSSE.
William J. Lammers & John J. Murphy(2002). A profile of Teaching Techniques
Used in the University Classroom: A Descriptive Profile of a US Public
University. University of Central Arkansas.
Wilson, S. & Cameron, R. (1996). Student teacher perceptions of effective
teaching: a developmental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22(2), pp.181-195.
Zimitat, C. (2006) First year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good
teaching: Not all things are equal, in Critical Visions, Proceedings of
the 29th HERDSA Annual Conference, Western Australia, 10-12 July
2006: pp.386-392.

263
Abstract

Abstract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in Korean Universities

Yu, Hyun Sook


Lim, Hu Nam
Choi, Jeung Yun
Yeo, Seong Soo
Seo, Young In
Ko, Jang Wan
Shin, Hyun Seok
Han, Sang Im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a survey that is appropriate for student engagement such as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experiences, level of education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that was less explored in the past. Second, it
intends to underst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current situation
regarding their engagement in learning. Third, based on the research
outcomes, it intends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t a
university level and further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upporting policies that ca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 of conceptual components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developing and investing research
tools for understanding learning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analysing
state of the learning(e.g. questionnaires, study journal), developing

26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strategies for research tools for the second phase of research and policy
implications.
As a basic methodology for this research, case studies and research paper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urce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as a first step. By conducting a preliminary study, a survey draft was
prepared and from which a final survey was developed after a series of
consultations between the researchers and the advisory committee. The
developed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situation of four
year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round the count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ssessment were conducted to achieve higher
viability and credibility of the research outcomes. The results of viability and
credibility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highly relevant
components of out-of-class learning experiences include frequencies of
library usage, exchanges between students from different backgrounds, study
groups, self-improvement activities, the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on
study outcomes. Second, survey components with low relevance to the study
are frequencies of library usage for classwork, frequencies of library usage
for test preparation, internet usage for a non-class preparation purposes,
number of books read for personal pleasure and academic enrichment for
non-class preparation purpose, discussion regarding on the topics which
included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 energy related pollution, chemistry
and genetics, watching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and on or off campus
religious activities. Third, highly relevant components of in-class learning
experiences include answering questioning and presentations, linking,
gathering, searching for alternatives and applying the class contends,
explaining contents for others, interaction with professors and university
members. Fourth, survey components with low importance and credibility are
conducting group works, using massagers or sending text messages the

266
Abstract

quantity of tests and tasks.


Overall, the most highly relevant components are satisfaction level of
choosing major and elective subjects and a component that shows tedium
level of importance is whether memorizing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comprehension. The most highly relevant components are interpersonal
capacity, communication ability, confidence, analytical capacity of
quantitative issues, practical ability of principals, analytical and logical
thinking skills, problem solving capacity. The most highly relevant
component for understanding learning outcomes is foreign language
competenc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e underst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study journal were examined. Thirty
university students were chosen to write the study journals while
considering factors such as national and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the
location of a university, majors wer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process. By
analysing the students' study journals, the items bellow will be selected for
the second year of the research. Among out-of-class experiences,
presentation, writing, discussion methods, reading methods, study methods
will be added. Joint Club activities between universities, credit transfer and
internship should be added as out-of-university experiences.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such as English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liberal studies and fine arts education, education that are related to hobbies
should be also added, as employment related activities in and out of
university, various activities on internet. Also for in-class learning
experiences, a question on type of learning should be included.
From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that were found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analysis on study journals, indicate that Korean Students are
passive in and out-of class activities, low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26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lack of writing skills, lack of interaction with university membered. Based


on analysis on study journal, learning obstacles were found. They are
mainly inefficient class activities that are related to teaching methods.
Problems with delivery, class planning were founded. The main learning
obstacles for students is the lack of students; willingness to lear. Also,
usage of internet in learning activities are reported as an obstacles for
learning.
To overcome the learning obstacles found above, to improve learning
process and ultimately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 can be made for both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e recommended roles of government are; first, the results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should be utilized as source for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econd, they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government's financial assistance program for universities:
third, based on the analysis on learning experiences, it is critical to
develop appropriate learning models and strengthen policy assistance in
order to insur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s improved by expanding these
learning models to universities; fourth, making linkages and analysing the
relations between surveys on learning experiences and existing data on
higher education, the outcomes should be meaningfully applied in higher
education policy and the appropriat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required; fifth, the government should supply sufficient information on
ways of learning experiences in universities.
The recommend roles of universities are; first, the roles of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needed to be revived and strengthened. Second, the
consulting functions in order to improve professors' teaching capacity;
third, consulting functions of a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should be
emphasized for enhancing students' learning capacity; fourth, the outcomes

268
Abstract

of the research on learning experiences should be utilized for planning


university development program and for establishing qualitative indicators
for universities' self evaluation; last, universities also should provide
information to customers on what kind of education is delivered and what
kind of learning experiences are provided to their students.

269
부 록

[부록 1]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


[부록 2] 대학생 학습경험 국외 조사도구 문항 분석
[부록 3] 대학생 학습일지 작성지침 및 양식
부 록

[부록 1]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이 재학 중 경험하는 교과 및 비교과적


활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학습과정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하고, 정부 및 대학은
물론 학생, 학부모에게 대학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국 대학생
의 학습과정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학습과정에 대한
본 설문조사를 실시하오니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조사결과는
연구 목적으로만 활용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모든 조사에 대한 응답은 2009년 2학기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해 주십시오.

2010년 6월
한 국 교 육 개 발 원 장

※ 이 조사와 관련하여 의문이 있으시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십시오.


연구기관 조사수행기관

한국교육개발원 고등・인재정책연구본부 (주) 한국리서치 여론조사본부


고등교육연구실
☎ 02-3460-0464/0322 ☎ 02-3014-0752
E-mail:nasaimi@kedi.re.kr/yiseo@kedi.re.kr E-mail:sjkim@hrc.co.kr
http://www.kedi.re.kr http://www.hrc.co.kr

273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 다음은 귀하의 개인 배경에 관한 질문입니다.


☞ 면접원: 본 설문은 2009년 2학기를 기준으로 응답하여야 합니다. 2009년 2학기 당시 휴학 중
이었던 학생은 본 설문에 응답할 수 없습니다.

A. 나이
① 19세 이하
② 20~24세
③ 25~29세
④ 30~39세
⑤ 40~49세
⑥ 50세 이상

B. 성별
① 여성
② 남성

C. 국적
① 대한민국
② 외국
③ 이중 국적 소유

D. 부모학력(2009년 2학기 기준: 중퇴는 졸업에 포함되지 않음)


학력 아버지 어머니
고등학교 졸업 이하 ① ①
전문대학 졸업 ② ②
대학교 졸업 ③ ③
석사 졸업 ④ ④
박사 졸업 이상 ⑤ ⑤

E. 이 대학에 신・편입학한 연도
□□□□ 년도

274
부 록

F. 입학유형
① 신입학
② 편입학

G. 직전학기(2009년 2학기)의 등록형태


① 전일제 등록(full time)
② 시간제 등록(part time)

◎ 전일제(full time) 등록 : 대학에 7학기 이상 등록자로 입학하여 매 학기당 기본수강신청학


점(18∼23학점)을 등록한 경우를 의미함
◎ 시간제(part time) 등록 : 대학의 재적생 또는 일반인이 대학의 교육과정을 수강하기 위해
학기당 기본수강신청 학점의 1/2을 초과하지 않은 학점을 등록한 경우를 의미함

H. 학년(2009년 2학기 기준)


① 1학년
② 2학년
③ 3학년
④ 4학년
⑤ 기타 :

I. (주)전공명 : (코드: )
☞ 면접원: 보기카드 전공 및 계열에서 코드로 기입

J. 계열
☞ 면접원: 보기카드 전공 및 계열에서 전공명과 계열 분류가 맞는지 확인할 것
① 인문계열 ② 사회계열 ③ 교육(사범)계열
④ 공학계열 ⑤ 자연계열 ⑥ 의학계열
⑦ 예・체능계열

27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K. 전공 이수 유형?(2009년 2학기 기준)


① 주전공 한 가지만 이수하고 있음
② 주전공 외에 부전공, 복수전공, 이중전공, 연계전공 등도 이수하고 있음
③ 무전공

L. 직전학기(2009년 2학기 기준)에 받은 성적의 평균 학점


① A-∼A+
② B-∼B+
③ C-∼C+
④ D+ 이하

M. 수업시수 제외한 주당 공부시간(2009년 2학기 기준 1주 평균 )


구분 시간
① 전공 관련 학습 시간 □ □ 시간 □ □ 분
② 전공 학습 외의 모든 학습 시간 □ □ 시간 □ □ 분

N. 거주 형태(2009년 2학기 기준)


① 자택
② 친척 및 친지집
③ 기숙사
④ 원룸, 오피스텔 및 고시원
⑤ 학교 밖 공동숙소(지자체 제공 학사)
⑥ 기타 :

O. 통학 시간(2009년 2학기 기준)


① 29분 이하
② 30분∼59분 이하
③ 1시간∼1시간 59분 이하
④ 2시간 이상

276
부 록

P. 학비를 어떻게 충당(2009년 2학기 기준)하였는지 각 항목별 해당란에 모두 표시하시오


☞ 면접원: 두 항목 이상에 ⑤ 반 이상 또는 ⑥ 거의 전부를 응답할 수 없음
전혀 매우 반이하 반정도 반이상 거의
없음 약간 전부
부모님 ① ② ③ ④ ⑤ ⑥
대출 ① ② ③ ④ ⑤ ⑥
장학금 또는 보조금 ① ② ③ ④ ⑤ ⑥
자체충당(일, 저축 등) ① ② ③ ④ ⑤ ⑥
회사에서 지원 ① ② ③ ④ ⑤ ⑥
배우자 ① ② ③ ④ ⑤ ⑥
기타 : ① ② ③ ④ ⑤ ⑥

Q. 군 경력(2009년 2학기 기준)


① 군 입대 전이다
② 군 복무를 마쳤다
③ 군 입대를 면제받았다
④ 해당사항이 없다(여학생, 외국인 등)

R. 졸업 후 진로계획
① 취업을 할 생각이다
② 대학원에 진학 할 생각이다
③ 군 입대를 할 생각이다 (☞ Q 군경력 문항에 ①군 입대 전이다‘응답자만 응답 가능함)
④ 국가고시 합격 또는 자격증 취득을 할 생각이다
⑤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⑥ 기타 :

27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 다음은 수업 외 학습활동에 관한 질문입니다.


모든 활동에 대해서는 2009년 2학기기준으로 응답해 주십시오.

1. 도서관 활용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1-1. 도서관 이용 빈도 ① ② ③ ④

2. 도서관 이용 목적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2-1. 과제를 위해서 이용함 ① ② ③ ④
2-2. 수업 외 관심분야, 취미 및 여가와 관련해 이용함 ① ② ③ ④
2-3. 시험공부를 위해 이용함 ① ② ③ ④
2-4. 취업준비를 위해 이용함 ① ② ③ ④
2-5. 매체 활용을 위해 이용함(비도서 및 시청각 자료 등) ① ② ③ ④

3.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3-1. 수업 예・복습을 위한 컴퓨터 활용 ① ② ③ ④
3-2. 수업 발표(프리젠테이션) 준비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엑셀,
① ② ③ ④
파워포인트 등) 활용
3-3. 수업 준비 목적이 아닌 인터넷 활용
① ② ③ ④
(웹서핑, 오락・게임, 커뮤니티 등)

4. 글쓰기 태도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4-1. 내가 쓴 문장이 명료한지 다른 사람에게 검토를 부탁함 ① ② ③ ④
4-2. 만족하기 전까지 내용과 구성에 대해 2번 이상 수정함 ① ② ③ ④

278
부 록

5. 읽기・쓰기 분량(2009년 2학기 한 학기 동안)


전혀 5~10 11~20 20편
문항 1~4편
없음 편 편 이상
5-1. 교재, 부교재 등 수업 관련 책 한 권 분량으로 읽
① ② ③ ④ ⑤
은 도서 수
5-2. 수업과 상관없이 개인적 즐거움 또는 학문적 풍
① ② ③ ④ ⑤
요로움을 위해 스스로 읽은 도서수
5-3. 15쪽 이상 써낸 논문 또는 보고서(레포트)의 수 ① ② ③ ④ ⑤
5-4. 5쪽 이상 14쪽 이하로 써낸 논문 또는 보고서
① ② ③ ④ ⑤
(레포트)의 수
5-5. 5쪽 미만으로 써낸 논문 또는 보고서(레포트)의 수 ① ② ③ ④ ⑤

6. 다양한 배경의 학생 간 교류(정치, 철학, 종교 등)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6-1. 다른 나라의 친구와 친해지려고 노력함 ① ② ③ ④
6-2. 가치관 및 세계관이 나와 다른 친구와 심도 있는 토의를 함 ① ② ③ ④
6-3. 정치적 견해가 나와 다른 친구와 심도 있는 토의를 함 ① ② ③ ④
6-4. 종교적 신념이 나와 다른 친구와 심도 있는 토의를 함 ① ② ③ ④

7. 각종 주제별 대화 경험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7-1. 문학, 역사, 철학, 예술 등 ① ② ③ ④
7-2. 컴퓨터 및 과학기술, 에너지, 공해, 화학, 유전학 등 ① ② ③ ④
7-3. 평화, 평등, 인종, 경제, 국제관계 등 국내・외 사회문제 ① ② ③ ④

8. 예술, 스포츠 및 자기계발 활동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8-1. 공연(음악, 연극, 뮤지컬 등) 및 각종 전시회 관람 ① ② ③ ④
8-2. 스포츠 경기 관람 ① ② ③ ④
8-3. 각종 프로젝트 참여 활동 ① ② ③ ④
8-4. 공모전, 선발전 및 각종 경시대회 참여 활동 ① ② ③ ④

27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9.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9-1. 동아리(또는 동호회 모임) 활동에 참여함 ① ② ③ ④
9-2. 학생회 조직 및 학생회 활동에 참여함 ① ② ③ ④
9-3.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를 하거나 지역사회봉사 활동을 함 ① ② ③ ④
9-4. 수업의 일환으로 자원봉사 또는 지역사회봉사 활동을 함 ① ② ③ ④
9-5. 교・내외에서 종교 활동을 함 ① ② ③ ④

10. 학습 스터디 및 자기계발 활동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10-1. 수업과 관련된 스터디 활동 ① ② ③ ④
10-2. 수업 외 관심학문 분야 스터디 및 학습 커뮤니티 활동 ① ② ③ ④
10-3. 취업・진로와 관련된 스터디 활동 ① ② ③ ④

11. 직업(교내외) 활동 및 학업에 미치는 영향

11-1) 지난 한 학기(2009년 2학기) 중 보수가 있는 직업(취업 및 아르바이트)활동을 위


해 일주일에 몇 시간 정도 할애하였는지 교내・외 각각에 대해 표시하십시오.
10시간 11~20 21∼30 30 시간 직업
직업 활동 시간
미만 시간 시간 이상 없(었)음
교내 ① ② ③ ④ ⑨
교외 ① ② ③ ④ ⑨
☞ 교내 및 교외 모두 ⑨ 직업 없었음인 경우, 문12로 이동

11-2) 직업이 있(었)다면, 학업에 어떤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합니까?


① 직업 활동이 학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② 직업으로 인해 학업 시간을 약간 빼앗겼다.
③ 직업으로 인해 학업 시간을 많이 빼앗겼다.

280
부 록

12. 대외 경험
참여한 적 없음 참여한 적 있음 (2009년 2학기
활동 시간 (2009년 2학기 (2009년 2학기 현재)
이전까지) 이전까지) 참여 중
12-1. 어학연수 ① ② ③
12-2. 교환학생 ① ② ③
12-3. 국내 인턴십 프로그램 ① ② ③
12-4.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① ② ③

13. 지난 학기(2009년 2학기) 중 음주로 인해 다음날 학업이 방해된 적이 있습니까?


① 없었음
② 가끔 있었음
③ 잦은 편이었음
④ 매우 자주 있었음

※ 다음은 수업 중 학습활동 전반에 관한 질문입니다.


모든 활동에 대해서는 2009년 2학기기준으로 응답해 주십시오.

14. 예습 및 관련자료 검색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14-1. 읽기나 숙제를 다 마치고 수업에 참여함 ① ② ③ ④

15. 발표, 질문 및 토의 참여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15-1. 수업 중 교수의 질문에 응답함 ① ② ③ ④
15-2. 수업 중 궁금한 사항에 대해 질문함 ① ② ③ ④
15-3. 수업 중 발표(프리젠테이션), 토론 및 토의에 참여함 ① ② ③ ④

28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16. 노트필기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16-1. 수업시간 중 필기를 함 ① ② ③ ④

17. 다른 학생과의 협력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17-1. 수업과제(조별발표, 프레젠테이션 등)를 위해 동일 수업 수
① ② ③ ④
강생들과 도움을 주고 받음
17-2. 수업과제(조별발표, 프레젠테이션 등)를 위해 동일 수업 수
① ② ③ ④
강생이 아닌 학생과 도움을 주고 받음

18. 수업에 대한 사고력 및 융통성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18-1. 숙제 또는 토론 수업을 할 때 다른 수업으로부터 얻은 생각
① ② ③ ④
들과 개념들을 연결해봄
18-2. 아이디어, 경험,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연결하여 생각해봄 ① ② ③ ④
18-3.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을 모색함 ① ② ③ ④
18-4. 수업에서 배운 개념을 일상생활에 응용함 ① ② ③ ④

19. 다른 학생에게 설명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19-1.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함(동료 학생, 친
① ② ③ ④
구, 가족 등)
19-2.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다른 사람에게 이것들을 설명함 ① ② ③ ④

20. 과제제출 기한 엄수(2009년 2학기 기준)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20-1.수업과제를 제출 기한을 넘겨서 제출함 ① ② ③ ④

282
부 록

21. 출결사항(2009년 2학기 기준)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21-1. 수업에 결석함 ① ② ③ ④
21-2. 수업에 지각함 ① ② ③ ④

22. 수업태도(2009년 2학기 기준)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22-1. 수업시간에 졸거나 잠 ① ② ③ ④
22-2. 수업시간에 메신저를 하거나 문자를 보냄 ① ② ③ ④

23. 수업방법(2009년 2학기 기준)


☞ 23-1 과 23-2의 합이 100%를 넘을 수 없음(두 문항 모두 ④ 60~80% 또는 ⑤ 80%
이상 일 수 없음).
20% 20∼ 40∼ 60∼ 80%
문항
미만 40% 60% 80% 이상
23-1. 강의실 면대면 수업(on-campus) ① ② ③ ④ ⑤
23-2. 온라인 수업(on-line) ① ② ③ ④ ⑤

283
284
※ 다음은 수업 만족도에 관한 질문입니다.
모든 활동에 대해서는 2009년 2학기 기준으로 응답해 주십시오.

24. 수업에 대한 만족도(2009년 2학기 참여한 모든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을 응답해 주십시오)
전공수업 교양수업
문항 매우 그렇지 그렇다 매우 매우 그렇지 그렇다 매우
수강 수강
그렇지 않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그렇다
안함 안함
않다 않다
24-1. 전반적으로 수업의 질에 대해 만족함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24-2. 이해수준보다 기억수준을 더 강조함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24-3. 수업의 목표와 기대수준이 명확함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24-4. 학습량이 과다함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24-5. 학습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주어짐
24-6. 평가관리와 채점은 공정하였음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24-7. 시험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에 맞게 출제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되었음 ⑨ ⑨
24-8. 수업자료들이 적절하게 선택되거나 제공됨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24-9. 교수들은 설명을 잘 함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24-10.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호기심을 자극함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24-11. 교수로부터 적절한 시기에 피드백이 있었음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24-12. 교수가 학생의 학습관련 어려움을 이해하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기 위해 노력함
24-13. 교수가 성별, 종교,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
① ② ③ ④ ① ② ③ ④
종 등에 편견을 가지고 표현하는 것을 들음
부 록

25. 시험 및 과제
25-1. 2009년 2학기에 들은 총 강좌수 : 강좌
(2009년 2학기 전체 강좌 수 기준으로 응답해 주십시오)

3-4 7-8 9회
문항 1-2회 5-6회
회 회 이상
25-2. 정기시험(중간/기말고사) ① ② ③ ④ ⑤
25-3. 부정기 시험(쪽지시험, 퀴즈 등) ① ② ③ ④ ⑤
25-4. 과제 수 ① ② ③ ④ ⑤

※ 다음은 상호작용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사항에 V표 하여 주십시오.


모든 활동에 대해서는 2009년 2학기기준으로 응답해 주십시오.

26. 교수와의 상호작용(지도 교수, 교과 교수, academic advisor 포함)

거의 가끔 자주 매우
문항
안함 자주
26-1. 수강 신청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① ② ③ ④
26-2. 수업 내용 및 과제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① ② ③ ④
26-3. 시험 및 성적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① ② ③ ④
26-4. 진로에 대해 교수와 의논함 ① ② ③ ④
26-5. 수업 또는 진로 이외의 일(식사, 술자리, 취미 등)로 교수들
① ② ③ ④
과 교류함.

285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27. 기타 상호작용(각 관계와의 상호작용 내용에 가깝다고 생각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


시오. 예를 들어 ‘선배 및 동료 학생과의 관계’가 ‘친근한, 지원적, 소속감’에 매우 가
깝다고 생각되면 ④로, 가까운 편이면 ③에 표시해 주시면 됩니다.)
문항
27-1 선배 및 동료 학생과의 관계

경쟁적, 무관심한, 소외감 ←① - ② - ③ - ④ → 친근한, 지원적, 소속감


27-2. 행정직원 및 조교, 각종
지원센터 상담자와의 관계

엄격한, 사무적, 규제적 ←① - ② - ③ - ④ → 유용한, 배려하는, 융통성

27-3. 교수진과의 관계
(academic advisor 포함)
소원한, 이해심 없는, 친근한, 이해심 있는,
사기를 떨어뜨리는 ←① - ② - ③ - ④ → 사기를 올리는

286
부 록

※ 다음은 학습 성과에 관한 질문입니다. 대학에서 생활해 본 결과 다음의 항목이 어느 정


도 향상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28. 현재까지의 대학생활을 되돌아보았을 때 다음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의 성과 및 진


전이 있었다고 생각하십니까?
후퇴 변화 향상 매우
구분 문항
함 없음 됨 향상
대인관계
28-1. 대인관계 능력 ① ② ③ ④
및 협력
의사 28-2. 의사소통 능력(작문, 의사전달 방법 및 기술) ① ② ③ ④
소통 28-3. 논쟁적인 쟁점에 대한 토론 및 협상 능력 ① ② ③ ④
정보기술
처리 및 28-4. 컴퓨터 및 기타 정보과학기술의 활용 ① ② ③ ④
활용
28-5. 문제해결능력의 개발 ① ② ③ ④
28-6. 위기관리 능력(risk management) ① ② ③ ④
28-7. 분석적, 논리적 사고력 ① ② ③ ④
28-8. 양적 문제의 분석능력(확률, 비율 등의 이해) ① ② ③ ④
28-9. 원리의 응용력 ① ② ③ ④
종합적 28-10.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① ② ③ ④
사고력 28-11. 창의력 개발 ① ② ③ ④
28-12. 리더십 개발 ① ② ③ ④
28-13. 자신의 도덕적 기준과 가치 개발 ① ② ③ ④
28-14. 자신의 능력, 관심, 성격에 대한 이해 ① ② ③ ④
28-15. 건강에 대한 좋은 습관 및 신체 단련 ① ② ③ ④
28-16. 자신감(지적, 사회적) ① ② ③ ④
자기 28-17.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학습(새로운 과학기술,
① ② ③ ④
관리 다양한 직업 및 환경 등)
글로벌
28-18. 외국어 실력 ① ② ③ ④
역량

28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 다음은 본인이 재학중인 대학의 시설 및 서비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29. 대학 운영 및 시설・서비스에 관한 만족도


☞ 시설 및 서비스가 학교에 있으나 활용(사용)경험이 없는 경우는 ‘⑧ 활용(사용)경험 없음’
시설 및 서비스가 학교에 없거나 제공하지 않는 경우는 ‘⑨ 학교에 없음’ 에 응답
활용
매우 조금 조금 매우 (사용) 학교에
문항
불만 불만 만족 만족 경험 없음
없음
29-1. 자습 및 휴식 공간 ① ② ③ ④ ⑧ ⑨
29-2. 토의 및 토론 공간 ① ② ③ ④ ⑧ ⑨
29-3. 학교 기숙사 ① ② ③ ④ ⑧ ⑨
29-4. 강의실 설비 ① ② ③ ④ ⑧ ⑨
29-5. 도서관 시설 ① ② ③ ④ ⑧ ⑨
29-6. 전공 관련 실험실 시설 및 장비 ① ② ③ ④ ⑧ ⑨
29-7. 컴퓨터 및 IT 시설 설비 ① ② ③ ④ ⑧ ⑨
29-8. 학교에 설치된 학습역량 지원 센터
① ② ③ ④ ⑧ ⑨
(reading, writing)
29-9.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및 헬스케어 시설 ① ② ③ ④ ⑧ ⑨
29-10. 건강, 복지 상담 서비스 ① ② ③ ④ ⑧ ⑨
29-11. 교수・학습지원 및 튜터링 서비스 ① ② ③ ④ ⑧ ⑨
29-12.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문화행사 ① ② ③ ④ ⑧ ⑨
29-13. 직업 및 경력관련 상담 및 조언 ① ② ③ ④ ⑧ ⑨
29-14. 장학금 지원 프로그램 ① ② ③ ④ ⑧ ⑨
29-15.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① ② ③ ④ ⑧ ⑨

30. 현재의 대학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생각이 있으십니까?


① 절대 추천하지 않겠다
②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다
③ 잘 모르겠다
④ 추천할 만하다
⑤ 적극적으로 추천하겠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응답자 성명 응답자 전화번호


응답자 재학 대학명 면접원 이름(ID)
조사 일시 2010년 ____월 ____일 ____시 ____분부터 ____시 ____분까지

288
[부록 2] 대학생 학습경험 국외 조사도구 문항 분석

국외 조사도구 활용 삭
영역 항목 비고
NSSE NSS CEQ CSEQ FCYS CSS 빈도 제
1 나이 ○ ○ ○ 3
2 성별 ○ ○ ○ ○ ○ 5
3 혼인 ○ 1 X
4 학년 ○ ○ 2
5 입학유형(신/편입학) ○ ○ ○ 3
6 거주지역 ○ ○ ○ 3
7 동거인 ○ 1 X
8 컴퓨터활용 ○ 1 X
Ⅰ 9 성적(평균학점) ○ ○ ○ ○ 4
개인 표준계열
10 전공 및 희망전공 ○ ○ ○ 3
배경 분류표 활용
11 부모학력 ○ ○ 2
12 대학원진학의사 ○ 1
13 이수학점 ○ 1 X
14 대외활동 ○ 1 X
15 학비source(또는 학비부담 능력) ○ ○ ○ ○ 4
내/외국인
16 인종(민족) ○ ○ ○ ○ ○ 5
으로 전환
17 이수학위과정 ○ 1 X

289
290
국외 조사도구 활용 삭
영역 항목 비고
NSSE NSS CEQ CSEQ FCYS CSS 빈도 제
18 최종학위 ○ 1 X
19 입학년도(현재 학위과정) ○ ○ ○ 3
20 복수,이중전공 여부 ○ 1
21 등록유형(full/part time) ○ ○ ○ ○ 4 정의 명료화
22 편입생 학점인정 ○ 1 X
23 거주국가 ○ 1 X
24 장애여부 ○ 1 X
25 사용언어(모국어) ○ ○ 2 X
26 출생지 ○ 1 X
27 이민 연도 ○ 1 X
28 신분(시민권, 영주권) ○ ○ 2 X
29 우편번호 ○ 1 X
30 영주권을 갖고있는 지역 ○ 1 X
31 최종학위 full name ○ 1 X
32 최종학위의 수준 ○ 1 X
33 고졸 이후 현재 외 재학했던 학교 ○ 1 X
34 사교클럽 가입여부 ○ 1 X
35 예상 졸업 연도 ○ 1 X
36 종교 ○ 1 X
37 군경력 ○ 1
38 정치적 성향 ○ ○ 2 X
국외 조사도구 활용 삭
영역 항목 비고
NSSE NSS CEQ CSEQ FCYS CSS 빈도 제
1 도서관 활용 ○ ○ ○ 3 척도-degree
2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 ○ ○ ○ ○ 5
3 작문 ○ ○ 2 △
다양한 배경의 학생간 교류(정치, 철학,
4 ○ ○ ○ ○ 4 △
종교, 인종 등)
5 과학적 연구경험(연구프로젝트) ○ ○ 2 △
대화(교수 및 학생, 기타 사람들과의
6 ○ ○ 2
정보교류)
Ⅱ 음악, 미술, 공연, 스포츠(학교대표 선수)
수업외 7 ○ ○ ○ ○ ○ 5
활동
학습
조직 및 클럽 활동(학생회, 및 학내정치
활동 8 ○ ○ ○ ○ ○ 5
활동, 리더 등)
9 학습 커뮤니티 활동 ○ ○ 2
10 종교활동 ○ ○ 2
11 각종 사회활동(봉사, 지역사회 정치) ○ ○ ○ 3
12 자기성향 개발(개인에 관한 경험) ○ ○ ○ 3
13 직업(교내.외) 활동 및 학업에 미치는 영향 ○ ○ ○ ○ 4
14 인턴십프로그램 참여 ○ 1
15 해외학습 프로그램 참여 ○ 1 연수로 기재
1 예습 및 관련자료 검색(아티클) ○ ○ ○ ○ 4

수업 2 질문 및 토의 참여 ○ ○ ○ ○ 4
활동 3 논리적 의견 개진 ○ ○ 2

291
292
국외 조사도구 활용 삭
영역 항목 비고
NSSE NSS CEQ CSEQ FCYS CSS 빈도 제
4 노트필기 ○ ○ ○ 3
5 다른 학생들과의 협업 ○ ○ ○ ○ 4
발표 및 시뮬레이션, 롤플레이, 프리젠테
6 ○ ○ ○ ○ 4
이션 활용
7 학습내용의 실생활 적용, 응용, 활용 ○ ○ ○ 3
아이디어 통합을 위한 페이퍼, 프로젝트
8 ○ ○ ○ ○ 4
수행
9 개념 연결, 사실과 생각의 비교 ○ ○ ○ ○ 4
10 다른 학생에게 설명 ○ ○ ○ ○ 4
11 문제에 대한 대안 모색 ○ ○ 2
12 수업 외 관심 주제 탐색 ○ ○ 2
13 과제제출 기한 엄수 ○ ○ 2
14 출결사항(출석, 결석, 지각 등) ○ ○ 2
15 수업태도의 성실성(졸음, 메신저 등) ○ 1
16 수업방법(캠퍼스, 온라인, 절충) ○ 1
17 보충수업/상위과정 수업 수강 ○ 1 X
수업의 강조점(반복 및 암기, 관찰, 분석,
1 ○ ○ ○ 3
종합, 평가, 적용 등)

수업/ 2 만족도 및 질적 수준(전반적) ○ ○ ○ ○ 4
교수 목표와 기대수준의 명료성(명확히 제시되
3 ○ ○ ○ 3
평가 었는가?)
4 학습량 및 압박감 ○ ○ 2
국외 조사도구 활용 삭
영역 항목 비고
NSSE NSS CEQ CSEQ FCYS CSS 빈도 제
5 학습을 위한 충분한 시간 확보 ○ ○ 2
6 평가의 공정성 및 적절성 ○ 1
7 수업 자료들의 적절한 제공 ○ ○ 2
8 학습조언 ○ ○ 2 X
9 피드백 제공 ○ ○ ○ 3
10 동기유발 능력 ○ ○ ○ ○ 4
11 설명능력 ○ ○ 2
12 흥미유발을 위한 노력 ○ ○ 2
13 수업(학문)에 대한 열정 ○ ○ 2
14 학생의 어려움(요구) 이해 ○ ○ 2
15 시간표의 효율성 ○ ○ 2 X
16 강좌의 조직성(일관성, 체계성) ○ 1
교수(공식)-진로, 경력, 피드백, 학문에
1 ○ ○ ○ ○ ○ 5
대한 의사소통, 출판, 연구
2 교수(비공식)-강의실 밖 교류 ○ ○ 2
Ⅴ 3 학생들과의 관계(같은학교, 다른학교) ○ ○ ○ ○ 4
상호
4 상담자 ○ 1
작용
5 행정직원 및 부서와의 관계-친분정도 ○ ○ ○ 3 X
6 친구(고등학교때 친구 포함) ○ 1 X
7 가족 ○ 1 X

293
294
국외 조사도구 활용 삭
영역 항목 비고
NSSE NSS CEQ CSEQ FCYS CSS 빈도 제
1 읽기, 쓰기, 말하기 ○ ○ ○ ○ ○ 5
2 전공 지식의 이해 ○ ○ ○ 3
3 일반 지식의 이해 ○ ○ ○ 3
4 비판적/분석적/논리적 사고력 ○ ○ ○ ○ ○ 5
5 설명능력(프리젠테이션 포함) ○ ○ ○ ○ 4
6 문제해결 능력 ○ ○ ○ ○ 4
7 의사소통 능력 ○ 1
8 도전에 대한 수용력(다른 생각으로부터) ○ ○ 2
9 토론 및 협상능력 ○ ○ 2
Ⅵ 10 경쟁력 ○ 1 X
학습 11 창의력 ○ ○ 2
성과
12 리더십 ○ ○ 2
13 양적 분석력(확률과 통계 사용) ○ ○ ○ ○ 4
14 컴퓨터 및 정보기술 활용력 ○ ○ ○ ○ 4
15 타인과의 협업(구성원으로서의 역할기능) ○ ○ ○ ○ ○ ○ 6
16 자기주도 학습역량 ○ ○ ○ 3
17 자기 이해 ○ ○ ○ 3
18 타인 이해(타문화/인종) ○ ○ ○ ○ 4
19 가치관과 윤리의식 성장 ○ ○ ○ 3
20 공동체 복지 기여 ○ 1 X
21 영성 개발 ○ ○ ○ 3 X
국외 조사도구 활용 삭
영역 항목 비고
NSSE NSS CEQ CSEQ FCYS CSS 빈도 제
22 직업능력 및 경력 개발 ○ ○ ○ 3
23 진학기회(동기) 개발 ○ ○ 2
24 예술, 문화에 대한 식견 ○ ○ ○ 3
25 육체적 건강 ○ ○ 2
26 정신적 건강 ○ ○ 2
27 자신감(지적, 사회적) ○ ○ 2
28 위기관리 능력 ○ ○ 2
사회 역사에 대한 이해(지역, 국가, 세계
29 ○ ○ ○ 3
당면문제)
30 과학기술의 개발 및 그 결과에 대한 이해 ○ 1 X
31 변화에 대한 적응력 ○ 1
32 아이디어 탐구 능력 ○ 1
33 원리의 응용력 ○ 1
34 자신의 미래가치 ○ 1 X
35 자존감 ○ 1 X
36 연구에 대한 관심(동기) ○ 1 X
37 연구수행 능력 ○ 1 X
38 대학 및 학습 커뮤니티 소속감 ○ 1
39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기술 ○ 1
40 대인관계 능력 ○ 1
41 외국어 능력 ○ 1

295
296
국외 조사도구 활용 삭
영역 항목 비고
NSSE NSS CEQ CSEQ FCYS CSS 빈도 제
1 자습 및 휴식공간 ○ ○ 2
2 강의실 시설 실비 ○ ○ 2
3 토의 토론 공간 ○ 1
4 실험실, 센터 ○ ○ 2
5 레크레이션 시설 0
6 스포츠 시설 0
건강, 복지, 상담서비스 및 각종 학생지원
7 ○ ○ ○ ○ 4
시설
8 IT 자원의 충족성 ○ ○ ○ ○ 4

시설 9 도서관시설 ○ ○ ○ ○ 4

10 시설의 안정성 ○ ○ 2
서비스
11 기숙사 ○ ○ 2
12 교수-학습지원 및 튜터링 ○ ○ 2
13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문화 행사 ○ ○ 2
학교에 설치된 학습역량 지원 센터
14 ○ ○ 2
(reading, writing)
15 직업 및 경력개발 서비스 ○ 1
16 재정지원 서비스 및 프로그램 ○ ○ 2
17 학적과 ○ 1 X
18 신입생오리엔테이션 ○ 1
국외 조사도구 활용 삭
영역 항목 비고
NSSE NSS CEQ CSEQ FCYS CSS 빈도 제
대학이 강조하는 점(학업, 지원, 다양한
1 ○ ○ ○ 3
Ⅷ 학생과 접촉, 사회적 성장, 등)
대학 만족도(교수, 학생, 코스웤, 학내 활동,
2 ○ ○ ○ ○ 4
평가 공동체 의식 전반적 경험 등)
3 재입학 및 추천 의사 ○ ○ ○ 3
1 예술분야 마스터 ○ 1 X
2 내 분야 권위자 ○ ○ 2 X
3 정치구조 영향력 행사(지역사회 리더 포함) ○ ○ 2 X
4 사회가치에 영향력 행사 ○ ○ 2 X
5 가족 부양 ○ ○ 2 X
6 경제적 번영 ○ ○ 2 X
7 어려운 사람 도움 ○ ○ 2 X
Ⅸ 8 과학적 이론에 기여 ○ ○ 2 X
개인적
목표 9 문학, 예술 활동에 기여 ○ ○ 2 X
10 사업 성공 ○ ○ 2 X
11 환경보호 ○ ○ 2 X
12 삶의 철학 개발 ○ ○ 2 X
13 지역사회 개선 프로그램 참여 ○ ○ 2 X
14 인종적 이해증진 기여(관련 단체 회원) ○ ○ 2 X
15 정치문제 실태 파악 ○ ○ 2 X
16 자격증 및 학위 ○ 1 X

297
298
국외 조사도구 활용 삭
영역 항목 비고
NSSE NSS CEQ CSEQ FCYS CSS 빈도 제
17 높은 봉급 ○ 1 X
18 사회적 인정과 지위 ○ 1 X
19 직업의 안정성 ○ 1 X
20 창의적인 일을 추진 ○ 1 X
21 개인 가치의 표현 ○ 1 X
22 리더십 발휘 ○ 1 X
23 일과 삶의 조화 ○ 1 X
Ⅹ기타 1 주당 음주 횟수 ○ ○ 2
부 록

[부록 3] 대학생 학습일지 작성지침 및 양식

<학습일지 작성지침>

◦ 작성방법
- ‘학습활동’은 <학습활동 유형 표>를 참고하여 수업 관련 학습활동, 수업 외 학
습활동, 기타 활동으로 구분하여 작성함
- ‘학습활동’의 내용은 육하원칙(who, what, when, where, why, how)에 따라
기술
- 작성 예시를 참고하여 작성하되 솔직하게 기술. 단, 학습과제, 과제 해결방안
등에 대해서는 자신의 주관적인 생각이 잘 드러나도록 서술
- 공부한 시간과 공부량(독서량) 등 양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것들은 정확히 기록

◦ 작성단위
- 기상 후부터 취침 전까지 1시간 단위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분량
- 적어도 하루에 A4 용지 1장 이상

299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학습활동 유형 표>

구분 세부 활동의 유형(예시)
◦ 수업 참여 ◦ 수업과제를 위해 친구들과 스터디
◦ 예습 ◦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
수업 ◦ 복습 ◦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찾기
관련 ◦ 발표 ◦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일상생활에 응용
학습활동 ◦ 질문 ◦ 수업시간에 졺
◦ 토의 ◦ 수업시간에 메신저를 하거나 문자를 보냄
◦ 필기 ◦ 기타( )
◦ 도서관 이용 ◦ 수업 이외 스터디 활동(취업・진로 등)
◦ PC실 이용 ◦ 직업(파트타임 포함) 활동
◦ 친구와의 대화 및 교류 ◦ 학원 가기(외국어 학원, 컴퓨터 학원 등)
수업 외
◦ 교수와의 대화 및 교류 ◦ 기타( )
학습활동
◦ 예술 및 스포츠 등 자기계발
활동
◦ 동아리・동호회 및 종교 활동
◦ 음주 ◦ 친구 만나기(데이트, 수다떨기 등)
학습활동
◦ 쇼핑 ◦ 식사
외 기타
◦ 휴식 ◦ 웹서핑
활동
◦ 이동(commute) ◦ 기타

※ 학습의 세부 활동 내용이 잘 이해가 가지 않을 경우 설문지의 내용 중 각 활동에 해당하는 내용을


참고할 것
※ 상기 표에 제시된 세부 학습 활동은 학습일지 작성을 돕기 위해 제안된 내용이며 작성자의 주관에
따라 새로운 세부 활동 항목을 창안하여 기재해도 무방함.

300
부 록

<대학생 학습활동 일지 예시>

◎ 작성자 : ○○○
◎ 소 속 : ○○대학교, ○○○○학과

No. 1 ◦날짜 : 2010년 9월 00일, ○요일


구 분
수업관련 수업 외 시 간 학 습 활 동
기타활동
학습활동 학습활동
기상 및 7:00
등교준 ~
비 8:00
8:00
예습 ~
9:00
•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공 수업(이론수업)을 들음
• 교수님의 프리젠테이션으로 진행되었으며, 강의
주제는 함수와 전역변수였음.
• 50분 강의 후 10분 동안 배운 내용에 대한 2가
지 문제를 풀게 함. 첫 번째 문제는 평이한 것
9:00
수업 이었고 두 번째 문제는 난해한 것이었음.

참여 • 첫 번째 문제에서 내가 걸렸으나, 무난하게 풂.
10:00
첫 번째 문제에 걸려서 다행이라고 생각함.
• 두 번째 문제 정답은 내가 푼 문제풀이와 완전
어긋나 있었음.
• 수업을 마치고 두 번째 문제에 대해 친구와 잠
깐 토의함.
10:00
동아리

활동
11:00
11:00
PC실

이용
12:00
점심, 12:00
친구와 ∼
수다 14:00
... ... ... ....

301
연구보고 RR 2010 - 1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Ⅰ)

발 행 2010년 12월 30일


발 행 인 김 태 완
발 행 처 한국교육개발원
주 소 서울시 서초구 바우뫼길 220-1 (137-791)
전화:(02) 3460-0114
FAX:(02) 3460-0121
http://www.kedi.re.kr
등록번호 1973년 6월 13일, 제16-36호
인 쇄 처 경성문화사 대표전화 02)786-2999/ 팩스 02)786-2930
I S B N 978-89-6113-630-3 93370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