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Play

Pediatric OT youjin Lee


Play
?
Play

Play is child’s way of learning and an outlet for his innate need of activity.
It is his business or his career. In it he engages himself with the same atti-
tude and energy that we engage ourselves in our regular work.
For each child it is a serious undertaking not to be confused with diversion
or idle use of time. Play is not folly. It is purposeful activity.

NORMA ALESSANDRINI,
i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1949
Play
Intrinsic mo-
tivation

Non-instru-
Process
mental

Active motiva-
Free choice
tion

Enjoyment or
Spontaneity
Pleasure
Play

 자발적 활동
 과제 중심적 활동
 즐거움 , 기쁨 →긍정적 정서 제공
 선발 및 착수 , 적극적 참여
 가상과 현실의 왜곡
 적응성
 정해지지 않은 놀이시간
Play

2014.03~2013.06
Play

Occupational
centered

PLAY
Occupational Occupational
based focused
Piaget Freud Erickson
연령 심리성적
인지발달 심리사회성 발달
발달
0~1 세 ( 영아기 ) 감각운동기 구강기 신뢰감 / 불신감

2~3 세 ( 유아기 ) 항문기 자율성 / 수치심


전조작기
3~6 세 ( 학령전기 ) 남근기 주도성 / 죄의식

6~12 세 ( 학령기 ) 구체적 잠복기 근면성 / 열등감


조작기
형식적
12~19 세 ( 청소년기 ) 생식기 자아정체감 / 역할혼란
조작기
19~40 세 ( 초기 성인 친밀감 / 고립
기)
40~60 세 ( 중기성인기 ) 생산성 / 침체감

65 세 이후 ( 노년기 ) 자아통합 / 절망
Play
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출생 ~2Y
감각 운동기
- 영아가 새 정보를 얻기 위해 자신의 감각을 사용하는 시기
(sensorimotor period )
-‘ 대상영속성’ 발달

2-7Y
전 조작기 - 다양한 언어활동 , 신체적 화동을 통해 경험하는 시기
(preoperational period ) - 논리적 사고능력 이전이라는 의미로 사물에 대한 판단은
잘못된 경우가 많음
7-11Y
구체적 조작기 - 자아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며 보존 개념이 생김
(concrete operational period) - 연역적 사고가 가능해지고 서열화 능력이 생김
- 유목화 능력이 생김
- 가설을 설정할 수 있고 계획을 세우고 시험하며 해결할 수
형식적 조작기 있음
(formal operational period) - 현실에 없는 추상적 개념도 이해할 수 있음
- 도덕 , 정치 , 철학 , 가치에 대해 이해하며 다른 주장도 비교 ,
분석할 수 있음
Play
 대상영속성

1. 감각 운동기에 획득하게 되는 중요한 능력


2. 물체가 눈에 보이지 않거나 소리가 들리지 않더라도 , 그 물체가 계속 존재하는 것을 앎
- 대상영속성 개념이 전혀 없음
1 단계
- 물체가 시야에서 사라지면 더 이상 관심 없음
- 대상영속성 개념이 나타남
2 단계
-물체가 사라진 지점을 잠시 바라보다가 곧 고개를 돌림
-주변의 물체가 보이지 않아도 어딘가에 존재함을 이해하기 시작
3 단계
- 물체가 부분적으로 보일 경우 잡으려 하지만 완전히 사라진 경우에 찾지 않음
-시야에서 사라진 물건을 적극적으로 찾으려 함
4 단계
- 그러나 지켜보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겨도 처음 장소에서 찾음

5 단계 - 보이는 곳으로의 이동은 이해하지만 보이지 않는 곳으로의 이동은 이해 못함

- 대상영속성 개념이 완전히 발달함


6 단계
- 보이는 곳의 이동 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의 이동도 이해할 수 있음
Play
 Social 비 참여행동
(Unoccupied
behavior)

협동놀이 방관자적 행동
(Cooperative (Onlooker
play) behavior)

연합놀이 단독놀이
(Associative (Solitary
play) play)

병행놀이
(Parallel play)
Play
비참여행동
엄밀한 의미에서 놀이로 볼 수 없는 행동 .
(Unoccupied 다만 순간적인 흥미에 따라 어떤 것을 몰두해서 바라볼 뿐 여기저기 서있거나
교사를 따라다님
behavior)

방관자적 행동 다른 친구의 놀이를 지켜보는 것으로 가끔씩 자신이 구경하고 있는 친구에게

말을 걸거나 질문을 하기도 함 . 그러나 놀이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음 .


(Onlooker
비 참여행동과 다른 점은 특정 집단을 바라본다는 점과 가까운 거리에서
behavior) 지켜봄으로써 필요한 경우에는 말을 걸 수도 있다는 점

주변에 있는 어린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위치에서 친구가 사용하는


단독놀이 놀이감과는 다른 놀잇감을 가지고 혼자서 독자적으로 놀이하는 형태 .

(Solitary play) 가까운 곳에서 노는 딴 아이들과 다른 물건을 가지고 혼자 노는 것 .


남과 이야기를 나누지 않음
Play
병행놀이 가까운 곳에서 노는 다른 아이들과 비슷한 놀이감을 가지고 비슷한 활동을
(Parallel play) 하지만 함께 놀려고 하지 않음

연합놀이 다른 어린이와 함께 놀이하는 집단놀이의 일종으로 놀이 내용에 대하여


이야기를 주고받거나 놀이감을 빌려주기도 하지만 역할을 분담하거나 놀이
(Associative play) 내용이 조직적으로 전개되지 못함

협동놀이 한두 명의 어린이가 지휘권을 가지고 역할을 서로 분담하여 공동의


(Cooperative play) 목표달성을 위해 진행하는 조직적인 놀이
Thank you

Reference
아동작업치료학 _ 계축문화사
Play workshop for Occupational Therapist_ 한국아동발달작업치료연구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