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8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철도설계 사업계획 수립 철도설계 사업계획 수립

터널설계 철도설계 현황조사 철도설계 현황조사

교량설계 철도설계 노선설계 철도설계 노선설계

항만설계 철도설계 시설물 설계


철도설계 시설물 설계
상하수도설계 철도설계시스템 인터페이스

하천(댐)설계 철도설계계산서 작성 철도설계계산서 작성

지반설계 철도설계도면 작성 철도설계도면 작성

단지설계 철도설계시방서 작성 철도설계시방서 작성

철도설계 철도설계사업비 작성 철도설계사업비 작성

토목건설사업관리 철도설계보고서 작성 철도설계보고서 작성

철도설계인·허가 서류 작성 철도설계인·허가 서류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종평면도 작성하기

1-1. 철도설계도면 기본지식 파악 3

1-2. 철도설계 전자도면 작성기준 파악 15

1-3. 선로 종평면도 작성 27

• 교수・학습 방법 41

• 평가 42

학습 2. 토공도면 작성하기

2-1. 본선 횡단면도 작성 45

2-2. 본선부속 도면 작성 56

• 교수・학습 방법 68

• 평가 69

학습 3. 용・배수공 도면 작성하기

3-1. 용・배수공 계획 71

3-2. 용・배수 구조물 도면 작성 79

• 교수・학습 방법 88

• 평가 89
학습 4. 교량도면 작성하기

4-1. 교량 일반도 작성 91

4-2. 교량 구조도 작성 111

• 교수・학습 방법 124

• 평가 125

학습 5. 터널도면 작성하기

5-1. 터널 종평면도 및 표준단면 작성 128

5-2. 지보공 및 굴착도면 작성 138

• 교수・학습 방법 149

• 평가 151

참고 자료 154
철도설계 도면 작성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철도도 도면작성 기준에 의하여 공사에 필요한 세부 설계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

선수학습

토공도면 파악(140202101_14v2), 기초제도, 토목도면 해석 및 제도, 토목제도통칙(KS F1001),


건축 및 토목공사 일반용어(KS F ISO 6707-1), 도면작성 S/W 매뉴얼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철도설계도면 기본지식 파악


1. 종평면도
1-2. 철도설계 전자도면 작성기준 파악 1402011007_14v2.1 종평면도 작성하기
작성하기
1-3. 선로 종평면도 작성

2. 토공도면 2-1. 본선 횡단면도 작성


1402011007_14v2.2 토공도면 작성하기
작성하기 2-2. 본선부속 도면 작성

3. 용·배수공 도면 3-1. 용·배수공 계획 용·배수공 도면


1402011007_14v2.3
작성하기 3-2. 용·배수 구조물 도면 작성 작성하기

4-1. 교량 일반도 작성 1402011007_14v2.4 교량도면 작성하기


4. 교량도면
작성하기 부대 구조물공
4-2. 교량 구조도 작성 1402011007_14v2.6
도면작성하기

5. 터널도면 5-1. 터널 종평면도 및 표준단면 작성


1402011007_14v2.5 터널도면 작성하기
작성하기 5-2. 지보공 및 굴착도면 작성

핵심 용어

토목제도, 철도설계도면전산화, 선로종평면도, 본선 횡단면도, 본선부속도면, 교량도면, 터널도


면, 토공도면, 용·배수공 도면

1
종평면도 작성하기
학습 1
(LM1402011007_14v2.1,6)
학습 2 토공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2,6)
학습 3 용·배수공 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3)
학습 4 교량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4)
학습 5 터널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5)

1-1. 철도설계도면 기본지식 파악

• 도면작성기준에 따라 형식의 일관성을 유지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정확하고 간단명


학습 목표
료하게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철도설계도면의 개요

1. 철도를 건설하기 위한 토목 구조물은 그 규모가 방대하며, 다양한 공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철도설계도면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토목 도면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기
본지식뿐만 아니라 철도설계의 공종별 도면 구성에 대한 기본 학습이 필요하다.

2. 철도설계도면은 철도 선형 및 종단의 구성을 해석하고 토공, 교량, 터널, 정거장 및 각


종 토목 구조물에 대한 설계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조사, 설계,
건설, 유지보수 등 철도 건설의 전 단계에서 활용된다.

3. 철도설계도면은 기본설계, 실시설계, 변경설계, 시공 준공도 등 각 단계별 과정에서 설


계도면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어야 하며, 설
계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명확하게 표기하여야 한다.

󰊲 철도설계도면의 분류
철도 건설은 중장기 계획에 따라 시행되는 대규모 토목공사로서, 사업계획 수립에 따라
타당성 조사, 기본설계, 실시설계, 시공 단계로 분류되며 각 단계별 설계 상황에 맞는 도
면을 작성하게 된다.

3
1. 설계단계에 따른 분류

(1) 타당성 조사 설계도


철도 건설을 위한 타당성 조사 단계에서는 철도 노선의 위치현황도, 평면도, 종단면도
를 개략적으로 작성하는 도면이다. 노선도 또는 위치 현황도는 철도설계 계획노선의
연계선구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하며 축척은 1:25,000 또는 1:5,000으로 수치지도,
항측사진 등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2) 기본설계도
기본설계도는 타당성 조사에서 검토된 노선을 토대로 철도노선에 대한 기본적인 조사,
측량, 계획을 실시하여 설계에 반영하며,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 전반도, 각 공종별
구조물의 일반도가 기본설계도에 포함된다. 기본설계도는 실시설계를 위한 공구분할이
나 개략적인 공사비 산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3) 실시설계도
실시설계도는 타당성 조사 및 기본설계에서 검토된 노선에 대하여 각 공정별로 상세
히 작성된 설계도면을 말한다. 철도노선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와 측량을 실시하여 설
계에 반영하며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 전반도, 각 공종별 구조물의 일반도, 배근도,
상세도 및 기타 부대공 도면이 실시설계도에 포함된다.
또한 실시설계도는 건설 공사비 산출의 근거자료로서, 시공 입찰을 위한 발주 내역 작
업에 활용된다.

(4) 시공도
실시설계도를 기초로 하여 작성되나, 현장 조건이나 공사시방서에 따른 특이 사항들을
반영하여 실제 시공 현장의 여건에 맞게 작성된 도면을 말한다.

2. 내용에 따른 분류

(1) 노선도(위치현황도)
철도설계 계획노선의 지리적 위치와 정거장·구조물 시설현황, 연계선구 등에 대한 사
항을 파악하기 위한 평면도를 말한다.

(2) 선로평면도
철도설계 노선을 평면상에 표현한 도면을 말하며, 축적에 따라 제1종 선로평면도, 제2
종 선로평면도, 제3종 선로평면도, 제4종 선로평면도가 있다.
실시설계에서는 제1종 선로평면도를 작성한다. 제1종 선로평면도는 철도설계도면 작성
에서 기본이 되는 도면으로 설계, 시공, 유지보수를 위한 실측도를 말한다.

(3) 선로종단면도
철도선형의 중심선을 종방향으로 자른 도면을 말하며, 축적에 따라 제1종 선로종단면
도, 제2종 선로종단면도, 제3종 선로종단면도, 제4종 선로종단면도가 있다.

4
실시설계에서는 제1종 선로종단면도를 작성한다. 선로종단면도는 설계, 시공, 유지보수
를 위하여 종단측량을 시행하여 작성하며 깎기 및 쌓기, 선형의 종방향 기울기 및 거
리, 시설물 배치 현황을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4) 정거장 평면도, 배선도


철도설계에서 열차운영계획에 따른 배선도 및 정거장 시설 배치를 나타낸 도면을 말
한다.

(5) 일반도
철도설계 공종별 구조물의 일반적인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평면도, 측면도, 단면
도 등으로 구성되는 도면을 말한다.

(6) 배근도
구조물의 철근 배치와 치수를 파악할 수 있는 도면으로, 철근 배치에 따른 평면도, 측
면도, 단면도 등으로 구성되는 도면을 말한다.

(7) 구조도
철도설계 구조물의 체계적이고 정확한 제작과 시공을 위해 치수, 형상, 재질 등을 이
해하기 쉽게 작성한 도면을 말한다.

(8) 용지도
철도 건설을 위한 철도부지의 매입, 임대 등에 따른 소요 면적 및 지적 사항 등을 파
악하기 위해 작성된 도면을 말하다. 선로 용지도, 지적도, 편입 용지도, 용지폭표 등이
용지도 범주에 속한다.

(9) 횡단면도
철도선로 본선, 정거장 등의 토공구간에 일정한 측점 간격으로 폭 방향의 잘린 단면을
말한다. 횡단면도는 측점별 이정, 지반고, 계획고, 깎기 및 쌓기에 의한 토공량 산출
제원표 등이 표현된다.

5
수행 내용 / 철도설계 기본지식 파악하기

재료·자료


토목제도통칙(KS F1001), 건축 및 토목공사 일반용어(KS F ISO 6707-1)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철도분야 전자도면 작성표준(v1.1)


철도 설계도면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문서 작성용 S/W


도면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철도설계도면의 수준기면은 국토정보지리원의 설정기면 0m를 100m로 하므로 수치지도 활용
시 지형고(z값)를 확인하여야 한다.


철도도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축척을 적용하며, 철도도면의 표기법을 준수하여야 한다.


일반철도와 도시철도의 완화곡선 및 곡선구간 시·종점 표기 방법이 상이하므로 철도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표기하여야 한다.(일반철도: SP, PC, CP, PS / 도시철도: BTC, BCC, ECC, ETC)

수행 순서

󰊱 철도설계도면 작성의 일반원칙을 확인한다.


철도분야 토목설계도면은 토공, 용·배수공, 교량공, 터널공, 부대공 등 다양한 공종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공종별 도면 작성의 일반원칙과 배치를 파악해야 한다.

1. 도면작성의 일반 원칙
철도설계도면 작성의 일반 원칙은‘한국철도시설공단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에
의거하여 구성하였다.

(1) 설계 도면은 이해가 쉽도록 상세히 작성하고, 중복을 피한다.

(2) 설계도면에 작성되는 단위는 SI(국제단위계)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특수한 단위가
필요할 때는 감독자와 협의한 후 사용한다.

(3) 실시설계의 구조물도면에는 설계방법(허용응력설계법 또는 강도설계법)을 표시한다.

6
(4) 설계도면에는 설계 대상물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의 정보와 함께 표면처리, 재료,
제작, 설치방법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5) 보이는 부분은 실선으로 표기하고 숨겨진 부분은 파선으로 표기한다.

(6) 대칭 표현대상은 중심선을 중심으로 한쪽은 외형도, 반대쪽은 단면도로 표시한다.

(7) 도형으로 표현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도면을 복잡하게 할 경우 도형 대신 적당한 주


기로 표현할 수 있다.

(8) 재료는 시방서와 동일하게 표기하고 특정회사 제품을 기입하지 않는다.

(9) 모든 도면의 문자는 한글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부득이 한글과 영문


을 함께 표기하는 경우는 한글 표기 바로 밑에 한글과 나란하게 영문을 표기하고,
영문으로만 표기할 때는 한글 표기 방법과 동일하다.

(10) 모든 도면은 하나의 파일과 도면번호를 가져야 하며, 복수의 도면을 하나의 파일
에 구성하지 않는다.

󰊲 철도설계 도면 작성기준을 파악한다.


토목 제도에 관한 사항은 토목제도통칙(KS F1001)에 규정하고 있으나, 이 학습모듈에서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을 적용하여 학습하도록 한다.

1. 도면의 크기 및 양식

(1) 도면의 기본 규격
도면은 제도영역, 표제란, 윤곽선 및 여백으로 구분하며, 기본규격의 크기를 사용한다.
한국철도시설공단 전자도면 작성기준에 의한 도면의 양식 및 기본규격은 [그림 1-1],
<표 1-1>과 같다.

[그림 1-1] 도면의 양식 예시

7
<표 1-1> 도면의 기본규격
규격 A×B C D 비고
A0 841×1189 20 30 광대영역 설계도면(특수한 경우)
A1 594×841 20 25 일반 설계도면(설계원본)
A2 420×594 15 15 A1 규격의 1:2 축소도면
A3 297×420 10 10 A1 규격의 1:4 축소도면(검토용 출력)
A1 규격의 1:8 축소도면
A4 297×210 10 10
(문서첨부용, A4 규격에 맞춤출력 가능)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한국철도시설공단. p.17

(2) 도면의 연장 규격
기본규격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임의로 설계도면의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
으며, 연장된 도면의 여백은 기본규격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도면의 연장은 [그림 1-2]와 같이 도면 표제란의 개정 내용 영역에서 연장한다.

[그림 1-2] 연장된 도면 예시

2. 철도설계의 토목도면 종류
철도는 토목, 건축, 궤도, 시스템 등의 다양한 분야가 복합적으로 적용되나, 이번 학습모
듈에서는 토목도면에 주로 적용되는 부분만을 학습하도록 한다.

(1) 철도설계 토목도면의 종류 및 축척


철도설계 토목도면의 종류 및 축척은 <표 1-2>와 같다.

8
<표 1-2> 철도설계 토목도면의 종류 및 축척
도면 종별 축 척 비 고
종합배치도 1:1,000
위치현황도 1:1,000
용지도 및 현황도 1:1,000(1:1,200)
제1종 선로평면도 1:1,000 실측도, 준공도
제1종 선로종단면도 횡 1:1,000 ; 종 1:400 실측도, 준공도
제2종 선로평면도 1:5,000 예측도
제2종 선로종단면도 횡 1:5,000 ; 종 1:1,000 예측도
제3종 선로평면도 1:25,000 제1종의 개요도, 도상계획도
제3종 선로종단면도 횡 1:25,000 ; 종 1:2,000 제1종의 개요도, 도상계획도
제4종 선로평면도 1:50,000 제2종의 개요도, 도상계획도
제4종 선로종단면도 횡 1:50,000 ; 종 1:5,000 제2종의 개요도, 도상계획도
평면: 1:1,000
전반도 실시설계, 준공도
종단면: 횡 1:1,000 ; 종 1:400
선로일람약도 평면: 1:50,000 ; 종단면 1:2,000 일람용
선로횡단면도 1:100 제1종, 제2종, 기타의 부속
정거장 및 기지평면도 1:1,000 실측도, 준공도, 예측
계획용(특별한 경우 별도
정거장 및 기지평면도(을) 1:1,000
의 축척 사용 가능)
정거장 및 기지배선약도 선로간격 1:1,000 ; 연장 1:3,000 신호소, 공장 포함
측선 배선약도 선로간격 1:1,000 ; 연장 1:3,000
터널, 교량, 기타 특별한 경우 별도의 축척
1:50 ; 1:100 ; 1:200
제건조물도 사용 가능
길내기, 개천내기 평면 1:1,000
동 종단면도 횡 1:1,000 ; 종 1:400
궤도부설도 1:1,200
교행전차대, 전철기,
부지 대각도, 철탑설계도, 1:20 ; 1:50 ; 1:100 ; 특별한 경우 별도의 축척
철차, 변전소배치도 및 1:150 ; 1:200 사용 가능
횡단면도 등
동 평면상세도 1:10 ; 1:5 ; 1:2 ; 1:1 또는 확대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한국철도시설공단, p.97~98

9
3. 도면 배치

(1) 도면 내용은 시각적으로 적절한 위치와 축척으로 배치한다.

(2) 도면 내용이 중앙에 집중 배치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 필요 이상의 여백이 남지 않


도록 작성한다.

(3) 치수선, 치수문자, 지시선, 지시문자, 심벌 등은 적당한 여백을 고려하여 작도한다.

(4) 두 종류 이상의 도면을 배치하는 경우 상하, 좌우의 기준과 높이를 맞추어 도면의
배치가 안정감 있도록 작성한다.

(5) 횡단면도와 같이 상하관계를 고려하여 도면을 배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림


1-3]의 횡단면도 도면과 같이 좌측 하단을 우선 배치하고 좌측 상단, 우측 하단 순
으로 도면을 배치한다.

[그림 1-3] 도면의 배치

(6) 좌표계를 갖는 현황도, 평면도, 배치도 등은 정북 방향을 도면의 위쪽으로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시설물이나 시설물 주변현황을 고려하여 임의 방향으로 배
치할 수 있다.

4. 좌표계

(1) 지형도, 평면도 등에 사용되는 좌표계의 원점은 측량법 제5조 제2항 규정에 의해
세계 측지계(GRS80 타원체)를 적용하여 국가 수치지도와 호환되게 한다.

(2) 노선도와 같이 GIS 연계 도면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배포하는 세계측지계 좌표변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세계측지계로 투영된 좌표체계로 변환한다.

(3) CAD에서 좌표정보가 필요한 설계도면은 절대좌표계(WCS)를 준수한다.

(4) 수치지도위에 작성하는 평면도, 배치도 등은 CAD상의 모형 배치공간(모델 스페이


스)에서 임으로 좌표계를 변경하지 않는다.

(5) 도면 구성을 위한 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페이퍼 배치공간(페이퍼 스페이스)에서


원 좌표를 재생할 수 있는 상태로 재배열한다.

10
(6) 원 좌표계가 유지된 상태와 출력을 위한 도면 재배치 상태의 예시는 [그림 1-4],
[그림 1-5]와 같다.

[그림 1-4] 원 좌표계가 유지된 상태의 도면(평면도) 예시

[그림 1-5] 출력을 위한 도면의 재배치 상태(원 좌표의 복원이 가능한 상태) 예시

󰊳 철도설계도면의 표기방법을 파악한다.


철도설계는 각 공구별로 본선 정거장, 기지, 직결선, 인입선 등으로 구분하며 토공, 교량,

11
터널로 분류한다. 각 공종별 위치, 거리 등의 표기는 한국철도시설공단 도면작성기준의 표
현기준을 적용한다.

1. 거리 및 파정 표기

(1) 거리는 현장거리와 환산거리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2) 파정은 거리파정과 수준파정으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3) 파정은 변경선에 따라 측정한 거리와 변경선과 기정선의 합치점에서 거리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기입한다. 거리파정 및 수준파정의 표기는 [그림 1-6]과 같이 한다.

[그림 1-6] 거리파정 및 수준파정의 표기 예시

2. 구조물의 명칭 및 위치 표기

(1) 교량 표기
교량은 ‘B(상부구조물의 형식 약호) 교량명(경간×연수) 사선’으로 표기한다.
교량의 위치는 표기는 철도교량은 시점 쪽 교대 경간면에 표기하며, 설계일반도의 철
도에 부대되는 도로교량은 시점 쪽 교대 흉벽 앞면에 표기한다.

[그림 1-7] 철도 교량과 도로 교량의 위치 표기 예시

12
(2) 암거, 하수관의 표기
암거는 ‘암거기호 암거명(경간×연수) 사각’으로 표기한다.
구교, 하수관, 하수, 고가수로, 수로, 건널목, 과선교, 지하도 및 신호기 등의 위치는 구
조물의 중심에 표기한다. 단, 철도노반 하부에 설치되는 경간장 5.0m 이상의 B(함)은
철도교량과 같이 시점 쪽 경간면에 위치를 표기한다.

[그림 1-8] B(함), C(함), 하수관의 위치 표기 예시

(3) 터널의 표기
터널은 ‘T 터널명 연장’으로 표기하고, 위치는 시점 쪽 갱문의 아치정점에 표기한다.

[그림 1-9] 터널의 위치 표기 예시

13
(4) 정거장의 표기
정거장 중심은 본 역사에 가장 가까운 승강장 중심의 위치를 거리로 표시하여 역사
반대쪽에 기재하고, 지하역사 또는 선상역사의 경우에는 하선 쪽에 기재한다.

[그림 1-10] 정거장의 위치 표기 예시

(5) 구조물의 명칭 및 종류별 약호 기입


철도설계도면에서 사용되는 구조물의 명칭 및 약호는 <표 1-3>에 따라 기입한다.
<표 1-3> 구조물의 명칭 및 종류별 약호
구분 구조물 종류 약호 구조물 종류 약호
교량 슬래브 (스) 트러스 (트)
T 빔 (T) 라 멘 (라)
PSC 빔 (PSC) 아 치 (아)
PC BOX (PCB) 프리플렉스 (PF)
PC중공슬라브 (PC중) B OX (함)
강합성 (합성) 피일교 (피)
가도교 (가) 육 교 (육)
과선교 (과)
구교 슬래브 (스) 아 치 (아)
T 빔 (T) B OX (함)
하 수 싸이폰 (싸) 뚜껑하수 (뚜)
흄 관 (흄) B OX (함)
철근콘크리트 (콘) 토 관 (토)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한국철도시설공단. p.102

14
1-2. 철도설계 전자도면 작성기준 파악

• 전자도면 작성표준에 따라 캐드명 번호체계, 파일명과 도면번호, 이중도면번호, 글


학습 목표 꼴, layer(레이어), 색상 및 선타입, 표제란 위치, 치수 등에 관한 기준을 준용하여 도
면을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철도설계 전자도면 작성기준의 일반사항


한국철도시설공단 전자도면작성표준은 철도사업의 설계·시공·유지보수에서 발생되는
CAD 도면에 대하여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도면작성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이 표준은 도면
작성에 있어서 발주자가 특별히 다른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철도사업 도면
의 작성에 전반적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본 학습모듈의 철도분야 전자도면 작성기준은‘한국철도시설공단의 전자도면작성
표준(v1.1)(한국철도시설공단, 2009)’을 준용하여 작성하였다.
본 학습모듈에 포함되지 않는 규정은‘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한국철도시설공단,
2009)',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 지침(국토교통부, 2010)',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
표준(건설 CALS/EC 전담기관, 2004)' 등의 규정을 따른다.

󰊲 전자도면 작성의 용어 정의

1. 객체(object)
하나 이상의 개체와 그 내부적 속성 등으로 구성된 CAD 데이터 요소로서 단지 물리적 형
상의 표현뿐 아니라 시설물에 대한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관련 업무에의 활용목적에
부합하는 의미 있는 정보를 내포한다.

2. 거리파정
개측 및 선로 일부가 변경되어 중복 또는 끊어진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그 지점의 거리
차를 말한다.

3. 건설 CALS/EC 단체표준
「건설기술개발 및 관리 등에 관한 운영 규정」의 제60조 규정에 의한 전담기관의 장이
제57조 규정에 의한 절차를 거쳐 단체 표준으로 정하여 공고하는 건설 CALS/EC 표준을
말한다.

15
3. 건설 CALS/EC 표준
건설사업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전산망을 통해 교환·공유하기 위하여 건설과
관련된 기관·단체 및 업체 등이 정하여 운용하는 지침, 요령, 표준 등의 준칙이나 기술규
격 등을 말한다.

4. 구조물도
토목 구조물(교량, 터널 등)을 포함한 모든 건설분야 구조물의 제작도, 상세도 등을 말한다.

5. 도면관리
도면의 제정, 보존, 개정, 폐지, 승인, 출도, 열람 등에 관한 업무를 말한다.

6. 도면번호부여체계(drawing numbering system)


도면관리를 위하여 본선, 정차장, 기지 등을 선(線) 개념 본선(노반, 궤도, 전차선, 배전, 통
신선로, 신호선로, 송·변전설비 등)과 점(點) 개념 정차장, 기지, 건축(통신·신호분야·
송·변전 건물 등)으로 구분하여 전 공종을 기초로 구성된 12자리의 도면번호를 말한다.

7. 도면표준
설계도면의 작성 및 교환, 납품, 관리 등의 업무에서 요구되는 구성 요소, 절차, 방법, 특
성 등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한 규격 또는 정확한 표준을 포함하는 문서화된 합의
사항을 말한다.

8. 레이어(layer)
CAD 파일에서 사용되는 서로 다른 도면요소를 구분하고 관리할 수 있는 다층적 구조의
도면층을 말한다. 일부 CAD 시스템에서는 ‘레벨(Level)'이라 불리기도 한다.

9. 모델 스페이스
선, 호, 원 등 기하학적 모형을 입력하는 CAD 도면공간을 말한다.

10. 색상군
유사한 색상의 그룹을 말한다. 예를 들어 Auto CAD는 일곱 가지의 색상군을 가지고 있다.

11. 선형태
선의 종류를 말한다. 예를 들어 Auto CAD는 25개의 표준선 형태와 사용자정의 선을 가지
고 있다. 실선, 파단선, 중심선 등은 그 종류들이다.

12. 설계도면데이터
CAD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작성된 설계도면과 설계도면을 저장한 저장매
체 등의 전자파일을 말한다.

13. 속성(attribute)
도면요소가 갖는 특수한 성질로서 개체나 객체 등의 CAD 데이터 요소에 그 요소를 정의
할 수 있도록 부여된 문자 또는 숫자 등의 데이터를 말한다.

16
14. 수준파정
개측 및 개량선에 따라 수준측량한 변경된 높이와 당초 높이와의 수준고 차를 말한다.

15. 테이블
구조계산서와 같은 외부설계정보, 수량 산출과 같은 도면 내에 작성된 내부설계정보, 자재
목록 또는 기기사양과 같은 일반 목록 등을 일정한 형식을 가진 표의 형상과 문자 등으로
도면에 표현한 것을 말한다.

16. 페이퍼 스페이스


출력을 위해 도면의 마무리된 배치를 구성하는 CAD 공간을 말한다. 도면출력 환경을 구
성하기 위한 작업공간이다.

17. 폰트(font)
한 무리의 글자에 대해서 통일적으로 정해진 글자형의 한 쌍이며 정해진 크기와 서체를
갖는 한 벌의 활자, 글꼴을 의미한다.

18. BYLAYER
CAD에서의 레이어별로 정하는 선색상과 선형태 등을 말한다.

19. CAD 파일
발주자가 정한 형태로 작성된 전자도면 파일을 말한다.

17
수행 내용 / 철도설계 전자도면 작성기준 파악하기

재료·자료


토목제도통칙(KS F1001), 건축 및 토목공사 일반용어(KS F ISO 6707-1)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
철도 설계도면


CAD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문서 작성용 S/W


도면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전자도면 작성 시 CAD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0’레이어는 도면 작성 시 사용하지 않는다.


전자도면 작성기준에 따라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도면번호와 파일명은 동일하게 설정한다.


한 도면에 여러 축척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 선의 형태가 제대로 표현될 수 있도록 객체별 선의
축척을 조정한다.


모형공간에서 표현된 선 형태가 배치공간에서도 축척에 맞게 표현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
치수 기입은 CAD의 치수객체(DIM)를 사용하여 작성하며, 절대로 치수를 해체하지 않는다.


치수는 도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타일을 정하여 사용한다. 이때 치수스타일 명은
모든 도면이 일관성을 갖도록 명명한다. 예를 들어 축척이 1:30이면 30-DIM01, 축척이 1:50이면
50-DIM01로 명명한다. 앞의 숫자는 축척 값을 의미하며, DIM 뒤의 숫자는 치수스타일 추가 시
확장을 위한 연번으로 한다.


표제란의 삽입점은 0,0으로 하며, A1 규격의 도면 출력은 배치공간에서 1:1로 출력할 수 있게
설정한다. A3 도면은 출력 시 도면의 수정 없이 출력 축척을 1:2로 설정한다.

18
수행 순서

󰊱 전자도면 작성을 위한 CAD 환경을 설정한다.

1. 전자도면 작성의 일반사항

(1)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및 발주기관의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의 규


정을 파악한다.

(2) 발주기관이 사용하는 도면 표지, 표제란, 심벌 등을 준비한다.

(3) 모든 도면은 CAD를 사용하여 벡터포맷의 디지털 데이터로 작성하여 납품한다.

(4) 전자도면 작성을 위한 표준 환경은 과업 착수 시 정해진 표준체계를 적용하며, 과


업 종료 시까지 정해진 표준체계를 그대로 유지한다.

2. 전자도면 작성을 위한 CAD 변수 설정

(1) 설계도면 작성은 여러 공정을 다수가 작업하게 되므로 통일된 CAD 변수를 설정한다.

(2) 설계도면의 좌표는 절대좌표계(WCS)를 사용한다.

(3) 지형도, 수치지도, 실측평면을 이용하는 선로평면도 등의 설계도면은 CAD 단위를


1m로 하고, 구조물도 등 기타 도면은 1mm를 적용한다. 즉, 평면도의 CAD 1단위는
1m, 일반도, 배근도 등의 CAD 1단위는 1mm를 적용한다.

(4) 선축척, 해칭축척은 도면의 축척에 대응하는 일정한 값을 적용하여 각 도면에서의


표현이 같도록 설정한다.

(5) 도면치수를 구성하는 CAD 변수는 도면축척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하여, 모든 도면


이 일관되게 표현되도록 설정한다.

(6) 전산도면 작성기준에 맞는 CAD 변수를 저장한 도면 템플릿(Template) 파일을 작성


하여 활용한다.(확장자가 dwt인 파일)

󰊲 전자도면의 데이터 작성기준을 파악한다.

1. 표제란

(1) 표제란은 발주기관에서 제공 또는 규정하는 양식을 사용하며, 속성정보를 정확히


입력하여 도면 정보를 확보해야 한다.

(2) 표제란은 발주자 및 계약자 정보영역, 공사 정보영역, 개정관리 정보영역, 공사 및


도면 정보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림 1-11] 표제란의 정보영역 구성

19
(3) 표제란의 기재사항은 설계도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기초 자료이며, 이를 토
대로 설계, 시공, 유지보수 시 도면을 검색하고 활용한다. 따라서 표제란의 정보는
기본값 항목에 정확히 기입하며, 구성정보의 CAD 파일 속성인 태그, 프롬프트는 임
의로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없다.

[그림 1-12] 표제란의 속성 정의

(4) 사업의 특성 또는 발주기관의 필요에 따라 표제란의 구성정보 항목을 포함한 범위


에서 배열, 크기, 순서를 별도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표제란 구성정보(속
성)는 전부 포함한다.

(5) 표제란은 A1 규격으로 작성하며, A3 규격으로 축소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표제란을


포함한 전체 도면을 별도의 가공 없이 축소하여 출력한다.

(6) 도면의 크기를 가로로 연장할 경우, 표제란은 개정관리 정보영역의 ‘내용’칸을
연장하여 사용한다.

(7) 표제란은 하나의 레이어로 표시한다.(예: 철도토목도면의 경우 CX-BORD)

2. 도면번호체계
도면번호체계는 건설 CALS/EC 도면번호체계의 원칙에 따라 기본번호체계와 확장번호체계
를 사용한다.
철도설계 전산도면에서는 기본번호체계를 CAD 파일명과 도면번호에 적용한다.

(1) 도면번호체계의 구조
체계 : A BBB CC DD - EE E [- 계 약 자 정 의 ]

임의
일련번호

소분류

중분류(부분류)
중분류(주분류)

대분류

20
<표 1-4> 도면번호체계의 구조
필드 분류 설 명 형식 필수여부
영문
A 대분류 건설 CALS/EC 표준에서 정한 건설분야 코드 필수
1자리

중분류 영문/숫자
BBB 주분류: 건설분야별 주요시설, 주요공종 코드 필수
(주분류) 3자리

부분류: 건설분야별 단위시설, 단위공종 코드


중분류 영문/숫자
CC 단, 해당 주분류의 전체공통 ‘00’, 필수
(부분류) 2자리
기타 ‘99’

영문/숫자
DD 소분류 건설분야 도면 종류별 통합분류코드 필수
2자리
동일한 도면분류를 가진 도면을 구분하는
숫자
-EEE 일련번호 코드로 일련번호 부여. 필수
4자리
단, 첫째 자리는 ‘-’로 구분

계약자 계약자가 필요한 경우 임의로 확장 사용하


임의 임의 선택
정의 는 코드. 한글 도면명 사용 가능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한국철도시설공단, p.60

대분류는 건설 CALS/EC 전자도면작성표준의 공통코드를 사용한다.


C - 토목, A - 건축, M - 기계, E - 전기, T - 통신, L - 조경
중분류, 소분류 상세코드는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부속서(한국철도시설공
단, 2009)’에 따라 작성한다.

3. 도면층(레이어)
도면층(레이어)은 CAD 전산도면을 작성함에 있어 공통된 도면 요소를 설정하여 도면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재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도면 객체의 용도에 따라 레이어 명, 색
상, 선 종류, 선 굵기를 설정하여 공통된 특성을 부여한다.
설계도면의 객체는 레이어로 구분하며, 레이어 설정에 따른 색상, 선 종류, 선 굵기는 설
정상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철도설계 도면 작성에 사용되는 도면층(레이어) 체계는 건설 CALS/EC 전자도면작성표준
의 원칙에 따라 작성하였으며, 본 학습모듈에서는 철도건설 토목분야를 중심으로 학습하
기로 한다.

(1) 레이어 체계의 적용 원칙

(가) 레이어 체계는 도면정보의 공유, 교환, 유지관리 등 관련 분야 도형정보로 재활


용될 수 있도록 반드시 적용한다.

(나) 전자도면에 사용되는 레이어는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에서 제공하는 레이어


코드 목록을 적용한다.

21
(다) CAD의 “0”레이어는 사용하지 않는다.

(라) 레이어명에 따른 색상과 선 종류는 소분류에서 정한 색상과 선 종류를 적용한다.

(마) 레이어명, 색상, 선 종류가 명시되어 있는 경우는 규정에 따라 레이어를 생성하


며, 레이어 특성은 BYLAYER를 적용한다.

(2) 레이어 체계의 구조

체계 : A B CCCC DDDD [- 계 약 자 정 의 ]

임의
임의
소분류
중분류
대분류

<표 1-5> 레이어 체계의 구조


필드 분류 설 명 형식 필수여부
영문
A 대분류 건설 CALS/EC 표준에서 정한 건설분야 코드 필수
1자리
영문/숫자
B 중분류 건설전문분야별 공종에 따른 중분류 코드 필수
1자리
도면요소에 대한 영문약자 및 숫자 4자리 영문/숫자
CCCC 소분류 필수
-XXXX: 통합코드 4자리
발주자 소분류를 세부적으로 분류한 발주자 정의
DDDD 임의 권장
정의 의 세분류 코드
계약자
임의 계약자가 필요한 경우 임의로 확장하는 코드 임의 선택
정의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한국철도시설공단, p.65

<표 1-6> 레이어 체계의 대분류, 중분류 코드


A(대분류)
B(중분류, 공종분류)
코드 건설분야
□ 통합(공통) 일반(Z), 구조물/상세도(S), 종단면도(R), 횡단면도(C), 용지도(L), 기타(X)
측량 및 토질(V), 선형(A), 궤도(K), 지반 및 토공(E), 우배수공(D),
C 토목
노반 및 토목시설(F), 상하수도공(W), 포장공(P), 부대공(M)
A 건축 건축(A)
M 기계 공기조화(H), 위생설비(B), 소방설비(F), 기타 기계설비(M)
E 전기 송전설비(T), 배전설비(D), 소방전기(F), 전차선(N), 신호설비(G)
통신선로(N), 통신설비(T), 정보화 및 통신자동화설비(I), 방재 및
T 통신
보안(D)
L 조경 .조경(P)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한국철도시설공단, p.65

22
(가) 대분류는 건설 CALS/EC 전자도면작성표준에서 정의하는 건설분야 코드이다.

(나) 중분류는 도면을 구성하는 주요공종을 위주로 분류한 코드이다.

(다) 소분류는 도면의 시설물 또는 부위의 도면 요소를 분류한 코드이다.

(라) 철도설계는 공종에 따라 레이어 코드가 방대하여, 본 학습모듈에서는 철도건설


공통분야 도면층(레이어)을 예시하며, 이를 토대로 각 공종별 도면층을 작성한다.
<표 1-7> 철도건설 공통도면의 도면층(레이어) 예시
중분류 공통분류 레이어 코드 색상 선 종류 내용
일반 일반공통 CZ-XXXX 3 CONT 일반공통
(Z) 선 CZ-LINE 3 CONT 공통선
문자 CZ-TEXT 3 CONT 공통문자
치수 CZ-DIMS 1 CONT 치수공통
인출 CZ-LEAD 1 CONT 인출공통
심벌 CZ-SYMB 2 CONT 심벌(블록)
해칭 CZ-PATT 1 CONT 해칭(무늬)
테이블 CZ-TABL 2 CONT 테이블(제원표)
주석 CZ-NOTE 3 CONT 주석
중심선 CZ-CNTL 1 A-CENTR01 중심선(일점쇄선)
절단선 CZ-CUTL 1 A-CENTR01 절단선
은선(파단선) CZ-HIDL 2 A-DASHD01 은선(파단선)
기본(BASE) CZ-BASE 253 CONT 기본맵(BASE MAP)
구조물도 콘크리트 CS-CONC 4 CONT 콘크리트
및 상세도 숏크리트 CS-SCRT 4 CONT 숏크리트
(S) 철근 CS-RBAR 6 CONT 철근
강재 CS-STEL 3 CONT 강재(철골 및 강봉)
강관 CS-PIPE 3 CONT 파이프
종단면도 지반선 CR-GRND 3 CONT 지반선
(R) 암선 CR-ROCK 3 CONT 암선
계획선 CR-DEGN 7 CONT 계획선
횡단면도 지반선 CC-GRND 3 CONT 지반선
(C) 흙쌓기선 CC-FILL 4 CONT 흙쌓기선
땅깎기선 CC-CUTT 4 CONT 땅깎기선
용지도 지적선 CL-LOTC 2 CONT 지적선
(L) 지번지목 CL-LOTT 2 CONT 지번지목
기타 도곽 CX-BORD 7 CONT 도곽(타이틀 블록)
(X) 도면공간 CX-PAPR 2 CONT 도면공간 영역선
기타 CX-MISC 2 CONT 기타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부속서(2)』. 한국철도시설공단

23
(3) 색상과 선 굵기
모든 도면은 흑백으로 출력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CAD로 작성한 도면은 출력 시
색상으로 선 굵기를 조정한다.

(가) 색상
CAD의 색상군은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하늘색, 파란색, 보라색, 흰색(검정색)의 7
가지로 구성되며, 레이어 설정 시 색상군의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여 사용한다.
<표 1-8> CAD의 색상군
색상군 Auto CAD 색상 번호 색상군 Auto CAD 색상 번호
빨간색 1, 10~39 노란색 2, 40~69
초록색 3, 70~119 하늘색 4, 120~149
파란색 5, 150~199 보라색 6, 200~249
흰색 7, 250~255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한국철도시설공단, p.44

(나) 선 굵기
A1 규격의 일반설계 도면 선 굵기 기준은 0.13, 0.18, 0.25, 0.35, 0.5, 0.7, 1.0, 1.4,
2.0mm를 기본으로 한다. 단, 축소 출력에서는 선 굵기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컬러로 출력할 때는 레이어에 적용한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각 색상군에 따른 선 굵기는 <표 1-9>를 적용한다.
<표 1-9> 색상군에 따른 선 굵기
색상군 선굵기 색상군 선굵기
빨간색(1) 0.25mm 노란색(2) 0.35mm
초록색(3) 0.35mm 하늘색(4) 0.5mm
파란색(5) 0.15mm 보라색(6) 0.5mm
흰색(7) 0.75mm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한국철도시설공단, p.45

(4) 선 종류
도면에 표현된 선의 형태는 도면의 일관성, 재활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정된 선의
유형을 준수한다. 즉 레이어 목록에서 선의 유형을 지정하면 도면 작성 시 해당 선 유
형을 반드시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설계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의 형태는 실선, 파선, 1점 쇄선, 2점 쇄선이며,
선 종류가 지정되지 않은 대상이나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이외의 선을 사용할
수 있다.

24
<표 1-10> 선의 기본 형태
선의 기본 형태 호칭

실선(continuous line)

파선(dashed line)

1점 쇄선(long dashed dotted line)

2점 쇄선((long dashed double-dotted line)

출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6). 『NCS 학습모듈-토공도면파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7

4. 문자 및 치수

(1) 문자 표기

(가) 문자는 왼쪽에서부터 가로쓰기 한다.

(나) 문자는 한글과 영문을 사용하며,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쓴다.

(다) 도면의 글꼴은 굴림체를 기본으로 한다.

(라) 문자 크기는 높이 기준이며, 도면에 표기하는 규격은 <표 1-11>을 기준으로 한다.
단, 문자의 크기는 권장크기이며 도면의 특성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1-11> 문자의 용도별 권장글꼴 및 크기
호칭 권장 글꼴 크기(mm) 사용 사례
주제목 굴림체 10.0 평면 및 종단면도 (1)
부제목 굴림체 7.0 평면도, 단면도
보조제목 굴림체 5.0 상면, 단면 A-A, S=1:100
소제목 굴림체 4.0 건축실명, 표제목
3.0 대축척 문자
일반문자 굴림체 2.5 일반 문자(권장)
2.0 소축척 문자, 표문자 등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한국철도시설공단, p.51

(2) 치수 표기

(가) 치수는 치수선, 치수보조선, 치수문자로 구성한다.

(나) 치수표기는 치수객체를 사용하며, 치수객체 속성을 해체(Explode)하지 않는다.

(다) CAD 치수기능을 이용한 치수 기입 시 치수유형을 정의하여 사용한다.

(라) 치수는 모양과 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하고, 계산하지 않아도 알 수 있게 표기한다.

(마) 치수의 단위는 mm를 원칙으로 하며, 단위는 명시하지 않는다.

(바) 치수 문자의 크기는 도면의 일반문자 크기와 같게 설정한다.

25
(사) 길이, 각도 치수는 도면의 아래쪽이나 오른쪽으로부터 읽을 수 있도록 표기한다.

(아) 협소한 구간의 연속된 치수를 기입하는 경우 치수문자를 치수선 위쪽과 아래쪽
에 번갈아 표기하여 문자가 겹치지 않게 한다.

(자) 동일 간격으로 연속되는 요소가 직선에 배치된 치수는 ‘개수@간격=길이’로


표기한다.

(아) 경사진 치수선에서의 치수문자, 동일 간격의 연속된 배치에서의 치수문자, 협소


한 공간의 치수문자, 각도, 지름, 반지름의 치수 표기는 [그림 1-13]과 같이 한다.

[그림 1-13] 상황별 치수 기입 예시

수행 tip

• CAD의 레이어, 치수변수, 글꼴 등은 기준에 맞게 작


성된 템플릿 파일을 저장하여 활용한다.
• CAD 변수는 축척에 따라 변수 조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템플릿 파일과 호환되는 LISP을 활용한다.

26
1-3. 선로 종평면도 작성

• 철도 선형, 토공, 교량, 터널 등 실제좌표에 의해 계획된 모든 평면계획에 관련된 제


반 설계 요인과 치수선 등을 중첩하여 연속된 평면도 및 종단면도를 작성할 수 있다.
• 현지 여건에 적합한 계획 수립을 통해 시공관리가 용이하도록 선로 중심 기준 양측
으로 일정길이 이상 나타나도록 하고 정거장구간 등도 주변현황 파악이 용이하도록
학습 목표
평면도를 연장하여 작성할 수 있다.
• 종단면도 아래 제원표는 도면 작성기준의 테이블 작성 규정에 따라 측점, 지반고, 계
획고, 흙깎기, 흙쌓기 및 평면곡선 정보와 기점거리 등을 기입하여 종단계획을 수립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선로평면도

1. 선로평면도의 일반사항

(1) 선로평면도의 바탕이 되는 항측도에는 지형 및 지물, 등고선이 절대좌표계 값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면 작업 시 변경 또는 삭제 등으로 기존 도면을 변형시키지
않아야 한다.

(2) 선로평면도는 선로중심선, 선형 곡선제원, 과업구간의 시·종점 위치, 정거장 명칭


및 위치, 구조물 계획을 기본으로 표기한다.

(3) 선로평면도에는 과업구간 및 그 전후의 지형과 관련 내용을 일정거리 이상 표기한다.

(4) 선로중심선의 방향은 시점 쪽은 시점 정거장명 또는 인접 정거장명으로 표시하고,


종점 쪽은 종점 정거장명 또는 인접 정거장명으로 표시한다.(예시: 서울쪽, 부산쪽)

(5) 평면도는 레이어 체계에 따라 작성한다.

(6) 선로평면도는 용도에 따라 축척과 표기 내용을 달리 한다.

2. 제1종 선로평면도(축척 1:1,000)

(1) 1:1,000 지형도를 사용하여 작성한다.

(2) 설계 현황을 모두 반영한 실측도로 평면 현황을 정확히 표기한다.

(3) 선로중심선의 거리표시는 200m마다 현장거리로 표기한다.

(4) 지형은 선로중심선의 좌·우 각각 200m까지 표시하고, 시·종점부는 과업 구간의


전후 상당거리(약 400m)를 실제 설계된 상태로 명시한다. 단, 해당 과업구간 이외의
선로중심선 및 설계 현황은 파선으로 표기한다.

27
(5) 선로중심선, 측점 거리, 파정, 수준표(B.M) 및 번호, 곡선 반지름(R), 교각(I.A), 절선
장(T.L), 곡선장(C.L), 곡선 시·종점(B.C, E.C), 교점(I.P) 및 교점좌표, 기울기(G), 원곡
선 및 완화곡선 시·종점(SP, PC, CP, PS), 과업구간의 시·종점 위치, 정거장 명칭
및 위치, 구조물의 위치, 명칭 및 크기를 표기한다.

(6) 지방도 이상의 도로 전후에는 주요 시, 군, 읍, 면의 명칭을 양쪽 끝에 표기한다.

(7) 하천, 구거, 하수, 수로 등에는 유수 방향을 표기한다.

(8) 자침 방위는 일반적으로 3km마다 기입한다. 단, 연속 출력을 위해 선로중심선을 절


단하여 방향을 변경시킬 경우에는 절단 개소마다 방위를 표기한다.

(9) 산악, 구릉지의 등고선은 높이 1m 등고선으로 표기한다.

3. 제2종 선로평면도(축척 1:5,000)

(1) 1:5,000 지형도를 사용하여 작성한다.

(2) 선로중심선의 거리표시는 500m마다 현장거리로 표기한다.

(3) 파정, 곡선 반지름(R), 교각(I.A), 절선장(T.L), 곡선장(C.L), 교점(I.P) 및 교점좌표, 원곡


선 및 완화곡선 시·종점(SP, PC, CP, PS), 과업구간의 시·종점 위치, 정거장 명칭
및 위치, 구조물의 위치, 명칭 및 크기를 표기한다.

(4) 자침 방위는 일반적으로 약 10km마다 기입한다. 단, 연속 출력을 위해 선로중심선


을 절단하여 방향을 변경시킬 경우에는 절단 개소마다 방위를 표기한다.

(5) 산악, 구릉지의 등고선은 높이 5m 등고선으로 표기한다.

4. 제3종 선로평면도(축척 1:25,000)

(1) 1:25,000 지형도를 사용하여 작성한다.

(2) 선로중심선의 거리표시는 1km마다 표기한다.

(3) 파정, 교량, 터널, 정거장, 신호소 등의 명칭과 위치를 거리로 표기한다.

(4) 곡선반경, 원곡선 및 완화곡선 시·종점(SP, PC, CP, PS)을 표기한다.

(5) 비교노선, 지방도 이상의 입체교차 위치 등 기타의 개량상태를 표기한다.

5. 제4종 선로평면도(축척 1:50,000)

(1) 1:50,000 지형도를 사용하여 작성한다.

(2) 선로중심선의 거리표시는 1km마다 표기한다.

(3) 파정, 교량, 터널, 정거장, 신호소 등의 명칭과 위치를 거리로 표기한다.

(4) 곡선반경, 원곡선 및 완화곡선 시·종점(SP, PC, CP, PS)을 표기한다.

(5) 비교노선 등 기타의 개량상태를 표기한다.

28
[그림 1-14] 선로평면도 예시

󰊲 선로종단면도

1. 선로종단면도의 일반사항

(1) 선로종단면도의 제원테이블은 절토, 성토, 계획고, 지반고, 평면선형으로 구성된다.

(2) 종단면도의 시점 측에 축척바를 표시하고 ‘수준기면은 국토교통부 국토정보지리원


설정기면 0m를 100m로 함’ 이라고 표기한다.

(3) 거리, 지반고, 계획고, 절토, 성토, 종곡선 제원, 기울기 변곡점 간의 거리는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 표기한다.

(4) 기울기(G) 및 기울기 변곡점의 표고(G.H), 기울기 변곡점 간의 수평거리(G.L), 종곡선


의 높이를 표기한다.

(5) 기울기는 천분율(‰)로 나타내며 단위는 생략한다.

(6) 기울기는 상향 기울기와 하향 기울기로 구분하며, 하향 기울기 앞에 (-)를 표기한다.

(7) 거리파정, 수준파정, 정거장 및 신호소 중심, 교량, 구교, 터널 등의 구조물 명칭과
위치를 거리로 표기한다.

(8) 종단면도 제원표의 평면선형 표기는 선형의 직선을 표시하는 기선을 기준으로 좌향
곡선은 아래쪽에, 우향곡선은 위쪽에 표시한다. 이때 직선 구간은 굵은 선으로, 곡
선 구간은 가는 선으로 표현한다.

(9) 선로계획선의 방향은 시점 쪽은 시점 정거장명 또는 인접 정거장명으로 표시하고,


종점 쪽은 종점 정거장명 또는 인접 정거장명으로 표시한다.(예시: 서울쪽, 부산쪽)

2. 제1종 선로종단면도(축척: 가로 1:1,000 ; 세로 1:400)

(1) 선로종단면도의 측점단위는 20m로 한다. 20m 단위의 측점은 가는 종선, 100m 단위
의 측점은 굵은 종선으로 표기한다.

(2) 20m마다의 측점에는 지반고(G.L), 계획고(F.L), 절토, 성토의 높이를 표기하고, 20m 측점
외에 지반이 급격하게 변하는 곳은 측점을 삽입한다. 단, 도면표기는 생략할 수 있다.

(3) 평면선형 도표에는 200m마다 거리를 표기하고, 좌향곡선 및 우향곡선 중앙부에 곡


선반지름(R), 교각(I.A), 절선장(T.L), 곡선장(C.L)을 표기한다. 원곡선의 시·종점(B.C,
E.C) 또는 완화곡선의 시·종점(S.P, P.C, C.P, P.S)의 위치를 거리로 표기한다.

29
(4) 교량 및 구교는 교대, 교각, 상부구조 및 기초 형상을 약도로 표시한다.

(5) 교량이 구간의 하천은 갈수위(L.W.L), 평수위(O.W.L), 홍수위(H.W.L)의 표고를 표기한다.

(6) 해당 과업구간 시·종점부는 전후의 상당거리(약 400m)를 실제 설계된 상태로 명시


한다. 단, 해당 과업구간 이외의 종단 지반선, 계획선 및 설계 현황은 파선으로 표
기한다.

3. 제2종 선로종단면도(축척: 가로 1:5,000 ; 세로 1:1,000)

(1) 선로종단면도의 측점단위는 100m로 한다. 100m 단위의 측점은 가는 종선, 500m 단
위의 측점은 굵은 종선으로 표기한다.

(2) 100m마다의 측점에는 지반고(G.L), 계획고(F.L), 절토, 성토의 높이를 표기하고, 100m
측점 외에 지반이 급격하게 변하는 곳은 측점을 삽입한다. 단, 도면표기는 생략할
수 있다.

(3) 평면선형 도표에는 500m마다 거리를 표기하고, 좌향곡선 및 우향곡선 중앙부에 곡


선반지름(R), 교각(I.A), 절선장(T.L), 곡선장(C.L)을 표기한다. 원곡선의 시·종점(B.C,
E.C) 또는 완화곡선의 시·종점(S.P, P.C, C.P, P.S)의 위치를 거리로 표기한다.

(4) 교량 및 구교는 교대, 교각, 상부구조 및 기초 형상을 약도로 표시한다.

(5) 50m 이상의 교량은 갈수위(L.W.L), 평수위(O.W.L), 홍수위(H.W.L)의 표고를 표기한다.

4. 제3종 선로종단면도(축척: 가로 1:25,000 ; 세로 1:2,000)

(1) 선로종단면도의 측점단위는 200m로 한다. 200m 단위의 측점은 가는 종선, 1km 단
위의 측점은 굵은 종선으로 표기한다.

(2) 200m마다의 측점에는 지반고(G.L), 계획고(F.L), 절토, 성토의 높이를 표기하고, 200m
측점 외에 지반이 급격하게 변하는 곳은 측점을 삽입한다. 단, 도면표기는 생략할
수 있다.

(3) 평면선형 도표에는 1km마다 거리를 표기하고, 좌향곡선 및 우향곡선 중앙부에 곡선


반지름(R), 교각(I.A), 절선장(T.L), 곡선장(C.L)을 표기한다. 원곡선의 시·종점(B.C,
E.C) 또는 완화곡선의 시·종점(S.P, P.C, C.P, P.S)의 위치를 거리로 표기한다.

5. 제4종 선로종단면도(축척: 가로 1:50,000 ; 세로 1:5,000)

(1) 선로종단면도의 측점단위는 500m로 한다. 500m 단위의 측점은 가는 종선, 2.5km
단위의 측점은 굵은 종선으로 표기한다.

(2) 500m마다의 측점에는 지반고(G.L), 계획고(F.L), 절토, 성토의 높이를 표기한다.

(3) 평면선형 도표에는 5km마다 거리를 표기하고, 좌향곡선 및 우향곡선 중앙부에 곡선


반지름(R), 교각(I.A), 절선장(T.L), 곡선장(C.L)을 표기한다. 원곡선의 시·종점(B.C,
E.C) 또는 완화곡선의 시·종점(S.P, P.C, C.P, P.S)의 위치를 거리로 표기한다.

30
[그림 1-15] 선로종단면도 예시

󰊳 정거장 평면도 및 배선 약도

1. 정거장 및 기지 평면도(축척 1:1,000)

(1) 정거장 및 기지 평면도는 「선형평면도의 일반사항」 및 「제1종 선로평면도」와


다음 각 호에 따라 작성한다.

(2) 정거장중심, 본선, 부본선, 측선, 각 선로의 연장, 유효장, 분기기 규격, 차량접촉한
계표, 차막이, 차륜막이, 과선교, 지하도 등 선로 건조물, 역사, 울타리, 용지경계 등
주요한 것을 표기한다.

(3) 정거장 구내는 100m마다 거리를 표기한다.

(4) 정거장 중심 위치는 현장거리와 환산거리를 표기한다.

(5) 정거장 구간에도 기울기를 표기한다.

(6) 용지 내외의 상당한 거리 범위의 지형을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본 역사 중심위치의 횡단면


도를 작도하여 본 역사의 지반과 승강장, 역 광장의 기울기를 알 수 있도록 표기한다.

(7) 정거장 제원표는 도면의 우측 하단 표제란 위에 표시한다.

(8) 정거장 및 기지 제원표는 [그림 1-16]과 같이 작성한다.

[그림 1-16] 정거장 제원표 예시

31
① 정거장명: 해당 정거장 또는 기지의 명칭

② 소 재 지: 해당 정거장 또는 기지의 주소

③ 용지면적: 정거장 또는 기지의 총 면적(㎡)

④ 본선 최대유효장: 상·하선별 최대유효장을 거리로 표기

⑤ 본선 최소유효장: 상·하선별 최소유효장을 거리로 표기

⑥ 본선연장: 본선 + 부분선의 연장

⑦ 측선연장: 측선의 총 연장

⑧ 레일중량별연장: 60kg 레일 실측 궤도연장, 50kg 레일 실측 궤도연장, 두 연장의


합은 ⑥ + ⑦ 연장과 같다.

⑨ 도상종류: 해장 정거장 또는 기지의 도상 종류(깬 자갈, 콘크리트)

⑩ 분기기수: 정거장 도는 기지 내의 분기기 수를 철자번호별로 구분하여 수량 표기

⑪ 포용량 수 = 총 유효장 ÷ 1량의 길이

⑫ 입환 가능량: 포용량 수 × 0.7

2. 정거장 배선약도(축척: 선로간격 1:1,000 ; 연장 1:3,000)

(1) 배선약도는 정거장 평면도를 요약하고 열차운전에 관계가 있는 시설물을 간략하게


표기한다.

(2) 배선약도는 전철기 번호, 분기기 번호, 각 선로연장 및 유효장을 표기한다.

(3) 궤도연장표는 레일 중량별, 본선, 부본선, 발착선, 인상선, 측선 등 각 선별로 구분


이 되도록 표기한다.

(4) 정거장 명칭 및 위치를 표기하고, 이전 정거장과 이후 정거장의 명칭, 현 정거장과


의 이격 거리를 표기한다.

[그림 1-17] 정거장 배선약도 예시

32
수행 내용 / 선로종평면도 작성하기

재료·자료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
철도설계규칙, 철도설계기준(국토교통부)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한국철도시설공단)


지형도(축척 1:25,000 ; 1:5,000 ; 1:1,000)


선형 프로그램 사용자 매뉴얼, CAD 사용자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문서 작성용 S/W, 도면 작성용 S/W, 선형 설계용 S/W

안전·유의 사항


선로종평면도는 설계 전반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설계 과정에서 대안 노선에 대한
검토 등이 지속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설계내용에 대한 레이어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
선로종평면도를 컬러로 출력 시 현재 추진하는 노선은 빨간색, 대안노선 혹은 기 설계노선은
파란색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레이어를 설정한다.


지형에 대한 레이어는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에서 정한 레이어 명을 그래도 사용한다. 단, 노반
설계도면을 타 공정 평면의 바탕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1개의 레이어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행 순서

󰊱 철도 노선계획에 따른 선로평면도를 작성하기 위한 지형도를 준비한다.

1. 지형도(수치지도)

(1) 선로평면도는 제1종 선로평면도부터 제4종 선로평면도까지 용도에 따라 축척을 달


리하여 작성한다. 따라서 설계 축척에 맞는 지형도를 준비한다.

(2) 지형도는 실제 측량하여 작성된 실측도면이나 지형, 지장물 및 지하시설물이 국가


지리정보체계(NGIS)로 제작된 수치지도를 사용한다.

(3) 실측 지형도의 지형, 지장물 및 지하시설물은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국가기본도


면 표준-지형지물 및 속성부호(KICS.KO-10.0067)를 기준으로 한다.

33
(4) 등고선, 표고점, 도로경계, 지류계, 경지계 및 주요 건물이나 구조물은 표고(Z 값)가
입력되어야 한다.

(5) 지형과 관련된 좌표 등 측량에 관한 원점은 측량법 제5조 제2항 규정에 의해 지리학적
경위도는 세계측지계(GRS80 타원체)를 적용하여 국가수치지도와 호환성을 확보한다.

(6) 지형도 전체의 좌표는 임의로 변경하거나 회전시키지 않는다.

󰊲 수치지도 상에 철도 평면선형을 작성한다.

1. 철도선형 작성의 일반사항

(1) 선로평면도 상의 철도선형 단위는 미터(m)로 한다.

(2) 철도설계 능력단위 「3. 철도설계 노선설계」에 의해 계획된 선형을 작도하기 위하


여 선형프로그램을 이용한다.

2. 철도선형 그리기

(1) 평면선형 계획은 수치지도의 지형현황 원본상태 위에서 계획해야 한다.

(2) 철도 평면선형의 작도는 지형도 상에 노선시점, 노선종점, IP점의 위치를 지정하고,


속도에 따른 곡선반경과 완화곡선을 작성한다. 이때 곡선반경, 완화곡선의 길이, 곡
선과 곡선 사이의 직선 길이는 철도설계규칙 관계규정에서 정한 기준을 따른다.

3. 철도선형의 축척 지정

(1) 철도설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철도선형의 축척을 지정하고, 선형의 측점 단위를 설정


한다. 실시설계의 경우 1:1,000의 선로평면도를 작성하며 측점 단위는 20m로 한다.

(2) 기타 선로평면도의 축척에 따른 측점 단위는 본 학습모듈의 선로종평면도 필요학습


내용을 참조한다.

4. 평면선형 제원 표기

(1) 선형중심선을 따라 노선의 시·종점(B.C, E.C), 원곡선 및 완화곡선의 시·종점(SP,


PC, CP, PS) 위치를 거리로 표기하고, 각 IP점별 곡선 반경(R), 교각(I.A), 절선장(T.L),
곡선장(C.L)을 표기한다.

[그림 1-18] 철도 평면 선형 작성 예시(축척 1:25,000)

34
󰊳 선로종단면도를 작성한다.
철도 평면선형이 작도되면 선형 중심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자른 종단면도를 작성한다.

1. 선로종단면도의 일반사항

(1) 선로종단면도는 가로와 세로의 축척을 달리한다.

(2) 종단면도의 제원표는 선형, 지반고, 계획고, 성토, 절토로 구성되며, 매 측점마다 소
수점 이하 2자리의 값을 표기한다.

(3) 선형프로그램을 이용하며, 기 계획된 평면선형제원을 선택하여 종단면도를 작성한다.

2. 종단면도의 지반선 작성

(1) 종단면도의 지반고는 도상에서 추출하는 방법과 선형의 중심측량을 하여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2) 철도노선의 계획단계(예비타당성 조사)나 확정되지 않은 대안노선의 검토 시에는


수치지도 상에서 선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반고를 추출한다.

(3) 실시설계, 시공 단계에서는 정확한 중심측량을 통해 지반고를 추출하며, 이를 반영


하여 지반선(G.L)을 작성한다.

(4) 지반선은 종단측량 야장의 기록과 동일하게 지반을 나타내야 하며, 급격한 지형의
변화가 있는 지역은 단위측점이 아니더라도 표기한다.

3. 종단면도의 선형(계획선) 작성

(1) 종단 선형(계획선)은 과업의 전 구간에 걸쳐 성토와 절토의 토공량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작성한다.

(2) 종단 계획선에는 기울기, 기울기 변곡점 간의 수평거리, 기울기 변곡점의 표고, 종곡


선의 종거를 표시하고 V.C(Vertical Curve)의 표기위치 하단에 종곡선 반경을 표기한다.

(3) 종곡선이 개소의 계획고, 절·성토고는 종곡선(V.C)을 고려한 실제 높이를 표시한다.

(4) 기타 종단면도의 표기사항은 본 학습모듈 「1-3. 선로종평면도 작성」 필요지식의


선로종단면도 내용을 참조하여 작성한다.

35
[그림 1-19] 선로종단면도 예시(축척 H=1:1,000: V=1:400)

󰊴 선로 평면도와 종단면도에 설계 현황을 작도한다.


선로평면도는 선형을 중심으로 깎기·쌓기 비탈면과 길내기, 개천내기, 교량, 터널, 정거
장, 용·배수 시설 및 기타 건조물에 대한 상세 설계를 반영하여 작도하고 건조물의 명칭,
규격, 위치를 표기한다.

1. 건조물 설계 현황 작성

(1) 철도 설계에 포함된 교량, 터널, 함, 용·배수용 콘크리트 수로, 옹벽의 명칭과 위
치를 표기한다.

(2) 건조물의 명칭은 주요지명 또는 고유 명칭을 이용하여 명명한다. 단, 인접지역에 유


사 구조물이 연속될 경우에는 명칭에 번호를 붙여 구분한다.
예: C(함)대마제1, C(함)대마제2

(3) 건조물의 위치는 현장거리와 좌·우로 표기한다.

(4) 건조물의 좌·우는 선형의 시점에서 종점 방향으로 왼쪽과 오른쪽을 말한다.

(5) 교량, 터널, 하수관, 정거장 중심 등 건조물의 위치표기는 본 학습모듈 「1-1. 철도


설계도면 기본지식 파악」의 철도설계도면 표기방법을 참조하여 작성한다.

2. 토공의 쌓기·깎기 비탈면 및 용지경계 작성

(1) 선형중심선의 측점을 선형과 직각방향으로 자른 횡단면에 의해 산출된 쌓기, 깎기


높이를 산출한다.

(2) 깎기, 쌓기 구간의 비탈면 기울기는 철도설계기준에서 정한 값에 따라 작성한다.

(3) 평면도상에 토공구간의 각 측점별 쌓기, 깎기 높이의 비탈면을 평면에 표기한다.

36
(4) 평면상에서 지형의 비탈면 표기는 [그림 1-20]과 같이 상단은 2mm 간격으로, 하단
은 10mm 간격으로 선을 그어 표시한다.

[그림 1-20] 쌓기, 깎기 비탈면의 평면상 표시 방법

(5) 평면상의 토공 비탈면 표기는 비탈면 배수, 길내기, 개천내기 등의 토공계획과 관련


이 매우 크므로 건조물의 접속 구간에 대한 입체적인 형상이 파악될 수 있도록 표
현한다.

(6) 토공의 비탈면에서 일정거리 이상 이격하여 철도용지 경계를 작성한다.

(7) 철도 용지경계 구역에는 모든 건조물이 반영되어 포함되며, 선형 중심으로부터


0.5m 단위로 경계를 설정한다.

(8) 용지경계는 철도부지로 편입을 위한 구매용지와 공사 중 임시사용을 위한 임대용지


로 구분한다.

(9) 용지경계선은 1점 쇄선으로 표기한다.

[그림 1-21] 선로평면도 예시(축척 1:1,000)

󰊵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의 출력구성 및 요약표(표지)를 작성한다.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도면의 시점 측과 종점 측에 도면의
요약표(표지)를 작성하여 구성한다.

37
1. 선로평면도의 출력구성

(1) 연속된 선로평면도 및 선로종단면도는 높이 350mm에 폭은 선형의 길이방향으로 길


게 출력한다.

(2) 이때 평면도의 경우 실제 좌표위치에 작성하게 되므로 출력을 위해 가로로 배치 한다.


이때 좌표의 변형이나 회전이 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3) 곡선구간의 경우 가로로의 배치가 어려운 경우에는 CAD의 배치공간(페이퍼 스페이


스)에서 곡선부를 절단하여 match line을 두어 출력한다.

2. 연속된 종합도면의 요약표(표지) 일반사항

(1)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와 같이 연속된 종합도면의 요약표는 높이 350mm, 폭 175mm로


작성한다.

(2) 도면명은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 노반용지도, 노반지적도 등이 있다.

(3) 도면축척은 S=1:N으로 표기한다. 단 종단면도인 경우는 가로, 세로의 축척을 기재한다.

(4) 선형의 최급기울기와 최소곡선반지름을 요약표 상단에 기재한다.

(5) 제출목적을 표기하고, 작성자·검토자·확인자의 성명 및 서명을 기재한다.

(6) 시점 측 요약표에는 건명, 구간, 연장, 검사자, 감독자, 용역자, 선정·선점·수준·


중심·횡단·평면 측량자를 기재한다.

(7) 종점 측 요약표에는 인가·착공·준공·도면·정리를 좌측 하단에 기재하며, 국


장·부장·검사자·감독자·작성자를 우측 하단에 기재한다.

(8)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의 시·종점측 요약표 양식은 [그림 1-22], [그림 1-23]과 같다.

[그림 1-22]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의 시점측 요약표 예시

38
[그림 1-23]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의 종점측 요약표 예시

󰊶 전반도(선로종·평면도)를 작성한다.

1. 전반도는 설계와 건설 준공단계에서 작성되며, 철도설계 전반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선로종·평면도를 A1 규격 도면으로 재구성한 것을 말한다.

2. 전반도는 선로평면도와 선로종단면도가 최종적으로 완료되면 이를 재배치하는 것으로,


700m 간격으로 구간을 나누어 상단에 평면도, 하단에 종단면도를 배치한다. 이때 일반
적으로 평면도의 축척은 1:1,000, 종단면도 축척은 수평 1:1,000, 수직 1:400으로 한다.

3. 각 단위 구간은 match line을 두어 전후 구간 연결의 완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좌표가 유


지되어야 한다.

4. 단위도면을 구성할 때 과업의 시점과 종점 지점에서는 과업구간 이외의 인접 노선을 200m


내외로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과업 외 구간의 선형 및 구조물 계획은 파선으로 표시한다.

[그림 1-24] 전반도의 단위도면 구간 구성 예시(과업구간 전후 및 과업구간 내 단위도면)

39
5. 모든 전반도의 평면에는 방위를 표기한다.

6. 전반도의 시점부와 종점부에는 시·종점 또는 인접 정거장 명으로 방향(예: 서울쪽, 부


산쪽)을 표기한다. 이때 철도는 ‘○○쪽’으로 표기하고, 도로는 ‘○○방’으로 표기
한다.

7. 종단면도에서 기울기 및 기울기 변곡점 간의 수평거리는 700m 단위도면마다 표기하여


종단선형의 파악이 쉽도록 한다.

8. 상기의 내용을 반영하여 선로종평면도를 재구성한 전반도 예시는 [그림 1-25]와 같다.

[그림 1-25] 전반도 작성 예시

40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철도설계도면의 기본사항을 설명하기 위하여 철도설계기준, 철도건설규칙, 철도분야 토목설계


도면 등의 자료를 시청각 자료로 제시한다.

•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를 구분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시청각 자료를 제시한다.

• 철도설계도면의 구성 및 배치, 위치표기 방식, 구조물 명칭 및 약호 등을 이해하여 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전자도면작성기준에 따른 레이어 및 CAD 변수 설정, 표제란 작성, 좌표계 이용 방법 등에 대한


시청각 자료를 제시하고, 실습을 통한 실질적인 활용방법을 지도한다.

• 도면 작성용 프로그램(CAD)과 선형 프로그램의 활용법을 지도한다.

•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의 작성에 필요한 제원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지도한다.

• 선로평면도 및 선로종단면도의 내용과 표기사항을 이해하고 종합적인 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철도설계도면의 용도와 종류, 작성 지침에 대한 기본지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철도설계기준,


철도건설규칙을 숙지하고 철도분야 토목설계 도면 파악에 활용한다.

• 선로평면도와 선로종단면도의 관계를 이해하고, 선형의 정보를 습득한다.

• 전자도면작성기준에 적합한 레이어 작성, CAD 변수 설정, 축척에 맞는 도면환경 설정, 표제란
내용 작성 등의 실습을 통해 기준을 습득한다.

• 선형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면선형을 작성하고, 선형에 따른 종단면도를 작성하는 일련의 과정


을 이해하고 습득한다.

• 토공, 교량, 터널, 구교 등에 대한 구조물 설계 내용을 종평면도에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선로종평


면도의 작성법을 습득한다.

41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철도설계도면 - 도면작성기준에 따라 형식의 일관성을 유지하여 이해하기


기본지식 파악 쉽도록 정리하고 간단명료하게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

- 전자도면작성표준에 따라 캐드명 번호체계, 파일명과


철도설계 전자
도면번호, 이중도면번호, 글꼴, Layer(레이어), 색상 및
도면 작성기준
선타입, 표제란 위치, 치수 등에 관한 기준을 준용하여
파악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

- 철도 선형, 토공, 교량, 터널 등 실제 좌표에 의해 계획


된 모든 평면계획에 관련된 제반 설계 요인과 치수선
등을 중첩하여 연속된 평면도 및 종단면도를 작성할 수
있다.

- 현지 여건에 적합한 계획 수립을 통해 시공관리가 용이


선로 종평면도 하도록 선로 중심 기준 양측으로 일정길이 이상 나타나
작성 도록 하고 정거장 구간 등도 주변현황 파악이 용이하도
록 평면도를 연장하여 작성할 수 있다.

- 종단면도 아래 제원표는 도면 작성기준의 테이블 작성


규정에 따라 측점, 지반고, 계획고, 흙깎기 및 평면곡선
정보와 기점거리 등을 기입하여 종단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42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철도설계도면의 기능과 용도 파악 여부

철도설계도면
- 철도설계도면에서 지시하는 내용 파악 여부
기본지식 파악

- 도면작성기준에 따른 일관성 있는 도면 작성 여부

- 전자도면작성기준에 적합한 레이어 및 CAD 변수, 축척


에 맞는 치수기입 작성 여부
철도설계 전자도면
작성기준 파악
- 전자도면작성기준에 따른 도면의 번호체계, 표제란 작
성 여부

- 선로평면도의 표기 내용을 준수한 작성 여부


선로종평면도
작성
- 선로종단면도의 표기 내용을 준수한 작성 여부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철도설계도면의 기능과 용도 파악 여부

철도설계도면
- 철도설계도면에서 지시하는 내용 파악 여부
기본지식 파악

- 도면작성기준에 따른 일관성 있는 도면 작성 여부

- 전자도면작성기준에 적합한 레이어 및 CAD 변수, 축척


에 맞는 치수기입 작성 여부
철도설계 전자도면
작성기준 파악
- 전자도면작성기준에 따른 도면의 번호체계, 표제란 작
성 여부

- 선로평면도의 표기 내용을 준수한 작성 여부


선로종평면도
작성
- 선로종단면도의 표기 내용을 준수한 작성 여부

43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철도설계도면의 기본사항과 구성, 기준에 대하여 보충하여 안내한다.
- 제출한 내용을 평가한 후 주요 사항을 표시하여 설명한다.
- 진행 과정 중 필요시마다 피드백하여 실습 활동을 쉽게 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자신이 학습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준거를 제공한다.
- 철도설계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피평가자 자신이 선로평면도 및 선로종단면도에 설
계 내용 반영 여부와 도면 표기방법, 전산도면작성규정에 적합하게 작성했는지 파악하
고, 이에 도달하지 못하면 보완 설명한다.

44
학습 1 종평면도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1)

토공도면 작성하기
학습 2
(LM1402011007_14v2.2)
학습 3 용·배수공 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3)
학습 4 교량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4)
학습 5 터널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5)

2-1. 본선 횡단면도 작성

• 쌓기·깎기 비탈면의 기울기를 지반조사 결과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흙이나 암석을 굴착, 다짐할 때의 토공변화율은 시험에 의해 산정한 값을 설계에 반
영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철도설계 토공의 일반사항


일반철도 및 고속철도의 선로건조물로서 쌓기, 깎기, 연약지반 처리, 길내기·개천내기를
포함한 본선부속 등의 흙구조물을 신설하는 것을 총괄하여 토공이라 말한다.
본 학습모듈에서는 철도노반을 설계함에 있어 흙구조물의 횡단 형성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
다.
일반적으로 흙구조물의 형성에 대한 세부항목은 규정되어 있으나, 지형·지리에 따라 토
질이 상이하므로 철도 선형에 대한 지반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한다.

1. 토공의 용어 정의
철도설계의 토공 용어는 「철도설계기준(노반편) 제4장 흙구조물」(국토교통부(2015)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강화노반: 상부 노반의 일부를 입도 조정 부순 골재, 슬래그 등의 재료로 조성한 것


을 말한다.

(2) 깎기: 원지반을 깎아 시공기면을 형성하는 작업을 말한다.

(3) 본바닥: 쌓기 및 깎기를 하지 않고 원지반이 그대로 상부노반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4) 비탈끝: 비탈면의 아래쪽 끝부분을 말한다.

(5) 비탈면: 지반의 경사진 면을 말한다. 깎기·쌓기에 의한 인공비탈면과 원지형이 경

45
사진 자연비탈면으로 구분한다.

(6) 비탈어깨: 비탈면의 최상부를 말한다.

(7) 사토: 깎기에서 발생한 지반 재료 중 쌓기에 부적합한 재료이거나 유용하고 남은


재료를 말한다.

(8) 상부노반: 시공기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까지를 말한다.

(9) 선로중심: 철도노선의 중심위치이며 시공기면 폭의 중심위치를 말한다.

(10) 소단: 비탈면의 점검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비탈면 가운데 일정한 높이 간격으로


설치하는 수평단을 말한다.

(11) 시공기면: 철도노반 마무리면 상 철도중심선의 연직방향 위치로, 일반적으로 설계


도면에서 높이 기준면을 말한다.

(12) 원지반: 원래의 흐트러지지 않은 자연지반을 말한다.

(13) 하부노반: 시공기면으로부터 상부노반을 제외한 아랫부분을 말한다.

[그림 2-1] 토공 쌓기 형상

[그림 2-2] 토공 깎기 형상

46
수행 내용 / 본선 횡단면도 작성하기

재료·자료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철도분야 전자도면 작성표준


철도설계규칙, 철도설계기준,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국토교통부)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한국철도시설공단)


토목공사 일반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측량 야장


선형 프로그램 사용자 매뉴얼, CAD 사용자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문서 작성용 S/W


데이터베이스 작업용 S/W


도면 작성용 S/W


선형 설계용 S/W

안전·유의 사항


본선 횡단면도 작성 시 CAD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0’레이어는 도면 작성 시 사용하지
않는다.


전자도면 작성기준에 따라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도면번호와 파일명은 동일하게 설정한다.


모형공간에서 표현된 선 형태가 배치공간에서도 축척에 맞게 표현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
표제란의 삽입점은 0,0으로 하며, A1 규격의 도면 출력은 배치공간에서 1:1로 출력할 수 있게
설정한다. A3 도면은 출력 시 도면의 수정 없이 출력 축척을 1:2로 설정한다.


철도설계는 평면도, 종단면도, 횡단면도, 구조물도 등 모든 도면이 상호 관련성을 갖고 있으므로
각 도면 간의 설계 내용이 상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횡단면도의 토공량 산출 시 20m 단위의 측점이 아닌 비측점 구간에서의 급속한 토공량의 변화가
발생 시에는 단위측점 이외라도 횡단면도를 작성한다.

47
수행 순서

󰊱 철도설계의 단계별 순서를 파악한다.

1. 철도설계는 선형 설계, 종단 설계, 구조물 설계 등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며, 상호 유기적


인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계획이 변경되면 이에 따라 모든 설계내용을 각
도면에 반영해야 한다.

2. 철도설계의 순서는 우선적으로 평면 선형을 작성하고 이에 따른 종단 선형을 작성한다.

3. 철도 평면·종단 선형계획에 따라 교량, 터널, 구교 등의 구조물 상세설계를 진행한다.

4. 선형의 각 측점(20m 단위)별 횡단면도를 작성하여 흙구조물의 쌓기·깎기 구간의 토공


량을 산출한다.

5. 횡단면도에서 도출된 흙구조물의 쌓기·깎기 비탈면, 구조물과 본선부속 설계 내용 등


을 종합적으로 평면 상에 표기 후 철도 건설에 따른 필요 용지폭을 산정한다.

󰊲 횡단면도의 지반선을 작성한다.


횡단면도의 지반고는 철도선형을 따라 중심측량과 횡단측량을 시행하여 추출한다. 실측한
측량값은 야장에 기록하여 측량보고서에 제시하며, 설계도면 작성 시에는 선형 프로그램
을 이용한다.

1. 지반의 측량데이터 입력

(1) 지반의 측량데이터 작성은 측량 회사로부터 받은 측점별 input data를 선형 프로그


램에 호환시켜 작성한다.

(2) 횡단측량 야장은 선형 중심을 기준으로 측점별 지반고, 좌측 거리, 좌측 지반고, 우측


거리, 우측 지반고, 설명 등으로 <표 2-1>과 같이 작성하며, 이 중 설명을 제외한 값을
선형 프로그램의 input data로 활용한다.
<표 2-1> 횡단측량 야장 예시
설명 좌측 거리 좌측 지반고 측점 지반고 우측 거리 우측 지반고 설명
논 15.3 0 103280 354.17 43.4 0 논
논 15.7 -0.2 44.5 0.7 도로
논 76.2 -0.2 47.7 0.7 도로
76.5 0.1 49.7 -0.4
논 14.9 0 103300 354.15 43.7 0 논
논 15.3 -0.2 44.8 0.9 도로
논 76 -0.2 47.9 0.9 도로

48
2. 선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지반선 작성

(1) 선형 프로그램 상에서 횡단 데이터를 입력 시 평면과 종단 데이터가 입력된 기반에


서 작업을 수행한다.

(2) 횡단 측량은 일반적으로 선형을 중심으로 단위 측점별 좌·우 각 50m 가량을 시행


한다. 따라서 정거장 확폭 구간, 고성토 구간, 길내기 등 본선부속 구간은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측량을 시행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3) 선형 프로그램에 의한 횡단의 Output은 측점별 지반고, 좌우측 지반선, 중심선이 표


현되며, 이를 DXF 파일로 변환하여 지반선을 작성한다.

(4) 횡단면도의 기본적인 쌓기·깎기는 선형 프로그램에서 작업이 가능하나, 비탈면 기


울기 값, 소단, 지층의 구분 등을 정확히 정의하여야 한다.

󰊳 철도노반 폭을 결정한다.

1. 철도노반의 일반사항

(1) 철도노반 건조 시 계획고가 지반고보다 높은 것을 쌓기라 하고, 계획고가 지반고


보다 낮은 것을 깎기라 말한다.

(2) 철도노반의 쌓기는 상부노반과 하부노반으로 구성된다.

(3) 상부노반은 시공기면으로부터 일반철도는 1.5m, 고속철도는 3.0m까지의 깊이를 말한다.

(4) 하부노반은 상부노반 아랫부분부터 원지반까지의 쌓기 노반을 말한다.

(5) 노반은 열차가 안전하게 주행하기 위해 궤도를 견고하게 지지해야 하며, 철도하중
을 원지반으로 분산 전달해야 한다.

(6) 노반은 배수기울기를 두어 우기 시 자연배수가 원활히 되도록 해야 한다.

(7) 철도노반의 폭은 단선의 경우 좌·우측 시공기면 폭을 합한 것이며, 2개 이상의 선


로를 나란히 건설하는 복선 혹은 복복선의 경우는 궤도중심 간격 폭과 좌·우측 시
공기면 폭을 합한 것이다.

2. 시공기면 폭 및 선로중심 간격

(1) 시공기면의 폭은 토공구간에서 궤도중심으로부터 시공기면의 한쪽 비탈머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2) 시공기면의 폭은 열차하중의 분산범위, 노반의 차수성, 시공기면의 배수성, 시공성


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국토교통부, 2014)」에서 설
계속도에 따라 직선구간의 최소 시공기면 폭을 <표 2-2>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3) 곡선구간의 시공기면 폭은 도상의 경사면이 캔트에 의해 늘어난 폭만큼 더하여 확


대한다. 단 콘크리트 도상의 경우는 확대하지 않는다.

49
(4) 직선구간 궤도의 최소 중심간격은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국토교통부, 2014)」에
서 설계속도에 따라 <표 2-2>와 같이 규정하고 있으며, 곡선구간의 경우 건축한계 확대량
을 더하여 적용한다.
<표 2-2> 설계속도별 궤도의 최소 중심간격 및 최소 시공기면의 폭

설계속도 궤도의 최소 설계속도 최소 시공기면의 폭(m)


V(km/h) 중심간격(m) V(km/h) 전철 비전철
250 < V ≤ 350 4.5 250 < V ≤ 350 4.25 -
200 < V ≤ 250 4.0 -
150 < V ≤ 250 4.3
150 < V ≤ 200 4.0 3.7
70 < V ≤ 150 4.0 70 < V ≤ 150 4.0 3.3
V ≤ 70 3.8 V ≤ 70 4.0 3.0
출처: 국토교통부(2014).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국토교통부

(5) 시공기면의 횡단은 시공기면 폭 중심에서 선로횡단 측구방향으로 3%의 기울기를


주어 작성한다.

󰊴 흙구조물의 비탈면 기울기를 결정하고 표준횡단면도를 작성한다.

1. 쌓기 및 깎기 비탈면의 표준 기울기

(1) 쌓기 및 깎기 비탈면 기울기의 결정 요인으로는 안정화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비탈면의 안정화를 위해 기울기를 완만하게 하면 용지면적, 토공량이 많아져 공사
비가 증가하게 되므로 쌓기·깎기의 높이와 토질에 따른 적절한 비탈면 기울기를
적용한다.

(2) 비탈면의 기울기는 수직 높이(y값) 1에 대한 수평거리(x값) N, 즉 1: N으로 표기한다.

(3) 비탈면에는 일반철도의 경우 시공기면으로부터 매 5m마다 1.5m 폭으로 소단을 설


치한다. 고속철도의 경우는 상부노반과 하부노반의 경계에 설치하고 매 6m마다 소
단을 설치한다. 단, 소단의 위치가 원지반에서 3.0m 이하인 경우에는 소단을 생략
한다.

(4) 소단의 폭은 1.5m로 하며, 외측으로 5%의 횡기울기를 두어 배수를 원활하게 한다.

(5) 철도노반의 소단 설치위치 및 쌓기·깎기 비탈면 표준기울기는 [그림 2-3], <표 2-3>,
<표 2-4>, <표 2-5>와 같다.

50
[그림 2-3] 철도노반의 소단 설치 위치 및 쌓기 비탈면 형상

<표 2-3> 쌓기 비탈면의 표준기울기


일반철도 고속철도
시공기면까지의 높이(H) 표준기울기 시공기면까지의 높이(H) 표준기울기
H < 5.0m 1: 1.5 H < 3.0m 1: 1.8
5.0m ≤ H < 10.0m 1: 1.8 3.0m ≤ H < 9.0m 1: 1.8
10.0m ≤ H < 15.0m 1: 2.0 9.0m ≤ H < 15.0m 1: 2.0
15.0m ≤ H 1: 2.3 15.0m ≤ H 1: 2.3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p.4-10

<표 2-4> 깎기 비탈면의 표준기울기


기울기
토질 깎기 높이
절리방향 절리직각방향
5m 이하 1 : 1.0~1.2
암괴, 호박돌 함유 점성토
5~10m 1 : 1.2~1.5
점성토 0~5m 1 : 1.0~1.0
10m 이하 1 : 1.0
조밀하고 입도 양호
10~15m 1 : 1.0~1.2
자 갈
10m 이하 1 : 1.0~1.2
조밀하지 못하고 입도 불량
10~15m 1 : 1.2~1.5
5m 이하 1 : 1.0
세립분이 조밀한 경우
5~10m 1 : 1.0~1.2
함유된
5m 이하 1 : 1.0~1.2
모래 조밀하지 않은 경우
5~10m 1 : 1.2~1.5
모 래 1 : 1.5 이상
풍화암 1 : 1.0~1.2
연 암 1 : 1.2 1 : 0.5~0.7
경 암 1 : 0.8 1 : 0.3~0.5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p.4-26

51
<표 2-5> 암반의 특성에 따른 비탈면의 표준기울기

암반 구분 암반 파쇄 상태 기울기
비고
(굴착 난이도) TCR RQD 절리방향 절리직각방향
리핑암 20% 이하 0% 1 : 1.2 1 : 1.0
20~40% 0~25% 1 : 1.0 1 : 0.8
NX 시추 기준
발파암 40~60% 25~50% 1 : 0.7 1 : 0.5
60% 이상 50% 이상 1 : 0.5 1 : 0.3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p.4-26

2. 표준횡단면도 작성

(1) 흙구조물의 일반도 개념으로 쌓기와 깎기의 표준횡단면도를 각각 작성한다.

(2) 쌓기 표준횡단면도는 해당 과업의 철도노반 폭, 쌓기 비탈면 기울기, 습지와 건지


의 비탈끝 배수 형상, 쌓기와 깎기의 접속부, 원지반의 기울기가 심한 곳에 대한
층따기, 표층 벌개제근 및 벌목제거에 대한 사항 등을 표준화시켜 설계도면을 작
성한다.

(3) 쌓기구간 비탈끝의 지형은 습지와 건지로 구분하여 습지의 경우 비탈끝 수로 끝에


서 300mm 이격하여 수로둑 쌓기를 한다.

(4) 깎기 표준횡단면도는 해당 과업의 철도노반 폭, 깎기 비탈면 기울기, 산마루 측구,


쌓기와 깎기의 접속부, 노반배수에 대한 콘크리트 수로 단면 등을 표준화시켜 설계
도면을 작성한다.

(5) 이 밖에 표준횡단면도에는 설계내용의 파악이 용이하도록 상세도면 등을 추가할 수


있으며, 쌓기 및 깎기 흙구조물의 형성 시 주의사항에 대한 주석을 표기한다.

(6) 표준횡단면도에 포함된 표준 단면들은 상세별로 축척을 달리하여 작성할 수 있으


며, 이때 각각의 상세마다 축척을 표기한다.

(7) 한 도면에 여러 종류의 축척이 혼용되는 경우 도면표제란의 축척표기는 ‘AS SHOWN’이


라고 표기하며, 각각의 도면요소에는 별도의 축적을 표기한다.

(8) 쌓기 및 깎기 표준횡단면도의 예시는 [그림 2-4], [그림 2-5]와 같다.

52
[그림 2-4] 철도노반 쌓기 표준횡단면도 예시(자갈도상, 단선)

[그림 2-5] 철도노반 깎기 표준횡단면도 예시(자갈도상, 단선)

53
󰊵 측점별 본선 횡단면도를 작성한다.

1. 본선의 표준횡단면도가 작성되면 이를 기초로 하여 철도선형의 각 측점별 횡단면도를


작성한다. 이때 축척은 1:100으로 한다.

2. 횡단면도는 본선의 시점 쪽에서 종점 쪽으로 진행하며 측점의 연속성 및 상하관계를 유


지하도록 작성한다. 이때 횡단면의 배치는 본 학습모듈 「1-1 철도설계 기본지식 파악
하기」의 도면배치를 참고하여 본선의 측점이 빠른 것을 도면의 하단에 배치한다.

3. 본선 횡단면도는 20m 단위를 기본 측점으로 하여 토공구간을 작성하며, 토공과 교량의


접속부 등 토공량 산출을 위해 필요한 측점은 추가로 횡단면도를 작성한다.

4. 본선 횡단면도에는 선형의 직각 방향에 대한 설계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즉, 본


선을 따라 형성된 길내기, 개천내기, 본선 수로, 옹벽 및 기타 구조물 등에 대한 횡단면
을 모두 표기한다.

5. 횡단면도에는 종방향으로 본선의 배수가 원활히 될 수 있도록 토사 측구를 계획하고 측


구의 EL 값을 표기한다.

6. 횡단면도에는 본선 및 본선부속을 모두 포함하여 철도건설 시 필요 용지에 대한 좌·우


측 용지경계를 표기하며, 좌·우측 용지경계의 폭을 용지 폭이라 한다.

7. 용지경계는 선형중심으로부터의 거리 값을 0.5m 단위로 표기한다.

8. 횡단면도의 구성은 지반선, 계획선, 중심선, 측점의 이정 표기가 기본이며, 전체 토공량


산출을 위한 측점별 토공량 표를 작성한다.

9. 측점별 토공량 표는 토공입적표를 작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토공 공사비의 산출 내역


에 따라 [그림 2-6]과 같이 흙쌓기, 땅깎기, 바닥면 고르기, 강화노반, 표토제거, 측구터
파기, 법면보호, 비탈면 고르기 등을 암층별로 구분하여 산출한다.

[그림 2-6] 본선 횡단면도의 토공량 표 예시

54
[그림 2-7] 본선 횡단면도 예시

수행 tip

• 횡단면도를 CAD상에서 작성 시 CAD 1단위를 1m로


하여 작성하여야 토공량표 작성 시 면적이나 길이
산출이 용이하다.(즉 축척을 1:1,000으로 하여 도면
작성)
• 도면출력 축척은 배치영역에서 1:100으로 설정한다.

55
2-2. 본선부속 도면 작성

• 노상의 지지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 양질의 환토 지지력 보강공법 대책을 강


학습 목표 구할 수 있으며, 흙쌓기부의 시공재료가 불량할 경우에도 노상 안정처리공법 등 대
책을 강구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본선부속 도면의 일반사항

1. 철도설계 시 궤도가 부설되는 노반 이외에 부가적으로 건조되는 토공 건조물을 본선부


속이라 말한다. 본선의 노반이 안정되고 그에 따른 부속 건조물들이 적절하게 설계될
때 철도설계가 완료된다.

2. 철도노반 설계 시 원지반의 지지력이 부족하여 노반침하 등이 발생하면 열차 운행에 지


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를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

3. 노상의 지지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 연약지반에 대한 사전조사를 시행하고 노상의


안정처리공법을 설계에 반영한다.

4. 연약지반에 대한 보강은 본선 노반 및 본선 부속 등에 모두 적용하며, 본선부속 도면에


연약지반처리공법에 대한 설계적용 사항을 제시한다.

󰊲 연약지반의 일반사항

1. 연약지반은 쌓기 규모나 구조물의 목적에 따라 상대적으로 평가되며, 원지반이 건조물


에 대한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할 때 연약지반으로 판정하여 지반보강대책을 강구한다.

2. 연약지반 판단은 시추조사와 표준관입시험 등으로 개략적인 판단을 실시한 후, 콘관입


시험 등을 통해 판단한다.

3. 연약지반은 점성토 지반과 사질토 지반으로 나누어 판단한다.

4. 연약지반 처리공법은 처리공법의 목적, 대상지반의 성질, 공기, 주변의 영향 등을 고려


하여 비교·검토 후 최종적으로 경제적인 관점에서 최적공법을 선정한다.

5. 연약지반 처리공법 설계는 복잡한 토층 및 토질 특성을 단순화시켜 노반의 안정화를 꽤


하기 위한 것으로 철저한 계측으로 연약지반의 쌓기 재하 시 지반거동을 고려하여 설계
에 적용한다.

56
󰊳 본선부속 도면의 종류
철도설계기준에서 따르면 철도노반의 본선부속은 길내기, 개천내기, 방음벽, 낙석방지공
등으로 분류한다. 단, 개천내기는 「학습 3. 용·배수공 도면 작성하기」에서 학습하기로
한다.

1. 길내기

(1) 철도 노반이 농로 등 기존 도로를 횡단하거나 주거지 및 농지 등의 진입을 차단한


경우와 같이 철도 건설로 인해 기존 도로를 이설 혹은 신설해야 할 경우 길내기를
설계한다.

(2) 철도와 도로가 교차하는 경우 입체 교차가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3) 길내기는 도로설계기준을 준용하여 설계한다.

(4) 길내기의 폭은 기존 도로의 폭을 준용하며, 신설되는 농로의 경우는 교행에 불편이


없는 적정한 폭으로 한다.

(5) 차량 통행 농로와 마을진입로는 교행대피와 보도를 고려하여 길내기 폭을 산정한다.

(6) 도로가 철도에 근접되어 차량 추락이 우려되는 구간에는 추락방지용 옹벽 등 방호


설비를 설치한다.

2. 방음벽

(1) 방음벽은 환경영향평가에 의해 철도노반 인근지역의 소음피해가 예상될 경우 설계


에 반영한다.

(2) 방음벽의 설계하중은 고정하중과 풍하중을 적용한다.

(3) 고정하중은 방음벽 재료의 단위중량을 기준으로 산출하며, 실하중이 명백한 것은


그 값을 적용한다.

(4) 방음벽은 열차풍압, 진동, 풍하중 등을 고려하여 지주판의 풀림 방지장치를 설계한다.

(5) 토공부의 방음벽 지주 간격은 일반적으로 4.0m로 하나 방음벽 높이, 지역 조건을


고려해 지주간격을 설계한다.

(6) 방음벽 기초는 고정하중, 풍하중, 토압, 활하중을 고려하여 설계하며, 구조물의 상
세는 철도설계기준 노반편의 「옹벽, 흙막이벽 및 비탈면보호벽」의 기준에 따라
설계한다.

3. 낙석방지공

(1) 비탈면의 낙석 위험이 있는 개소는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해 낙석방지공을 설계한다.

(2) 낙석방지공의 종류로는 낙석방지 울타리, 낙석방지망 등이 있다.

(2) 낙석방지공은 비탈면의 하단부 혹은 중간부, 옹벽 구조물 등의 상부에 설치한다.

57
(3) 낙석방지 울타리의 높이는 2.5m를 표준으로 한다.

(4) 낙석방지 울타리는 깎기 비탈면 기울기가 완만한 지역에 설치하고, 비탈면 기울기
가 급한 지역은 낙석방지 울타리와 낙석방지망을 함께 설치한다.

(5) 농로, 지방도, 국도, 고속국도 통과구간에는 낙석방지 울타리를 설치한다.

58
수행 내용 / 본선부속 도면 작성하기

재료·자료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철도분야 전자도면 작성표준


철도설계규칙, 철도설계기준(국토교통부)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한국철도시설공단)


토목공사 일반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측량 야장


선형 프로그램 사용자 매뉴얼, CAD 사용자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문서 작성용 S/W


데이터베이스 작업용 S/W


도면 작성용 S/W


선형 설계용 S/W

안전·유의 사항


철도설계는 본선과 본선부속의 설계 도면이 상호 관련성을 갖고 있으므로 각 도면 간의 설계
내용이 상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길내기 등의 본선부속 설계 내용이 선로평면도에 정확히 반영될 수 있도록 평면현황의 좌표를
절대좌표계를 준수하여 상호 일치되게 사용해야 한다.


선로평면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기본 현황을 본선부속 평면도의 기본 현황으로 사용할 때, 본선부
속 도면의 축척에 맞도록 기본지형의 글자크기, 지형지물의 심벌 크기 등을 조절하여 도면을
작성한다.


길내기 횡단면도의 토공량 산출 시 본선의 토공량과 중복되어 산출되지 않도록 토공량 산출
영역을 명확히 한다.

59
수행 순서

󰊱 평면현황을 파악하고 본선부속 건조물의 설치 여부를 계획한다.

1. 철도노반 형성에 따른 주변지역의 통행 여건 및 지형의 변화를 평면상으로 확인하고,


철도에 의한 지역 단절 혹은 생활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한다.

2. 철도노반이 농로 등 기존 도로를 횡단할 경우 기존 도로를 이설 혹은 신설하기 위한 길


내기, 구교(통로박스) 설치 등을 계획한다.

3. 고성토 구간의 농지 점유 최소화, 도로 등 지형지물의 간섭해소 등 다각적인 현장 여건


을 고려하여 옹벽 등의 설치를 계획한다.

4. 철도가 지나는 주변지역의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여 소음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은 방음


벽 설치를 계획한다.

5. 기타 철도노반의 안전과 향후 건설 및 운행 시 예상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낙석


방지 울타리 등의 낙석방지공 설치를 계획한다.

󰊲 농로, 기존 도로 등이 철도노반을 횡단하는 경우 구교(통로박스)를 설계한다.

1. 구교 설계의 일반사항

(1) 구교란 일반적으로 경간이 1m 이상 5m 미만이며, 거더 및 슬래브와 기둥이 일체형


으로 강결된 구조물을 말한다. B(함)은 경간장 5.0m 이상의 박스형 암거를 말한다.

(2) 구교의 형식은 박스형, 문형라멘, 아치형이 있으며, 사용목적과 현장 여건, 내공단
면 크기, 기초지반 상태, 시공성, 경제성, 유지관리성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선
정한다.

(3) 구교의 종류는 수로용과 도로용으로 구분한다. 단 사용목적 및 현장 여건에 따라


수로용과 도로용을 일체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4) 수로용 구교는 계획유량을 통과시킬 수 있는 단면으로 한다. 이때 내공높이는 고수


위(HWL) + 여유고를 합한 높이 이상으로 한다.

(5) 도로용 구교는 도로 건축한계 이상으로 차도·보도·매설관·조명 등 기타 필요한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6) 구교의 설치는 철도노반과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게 하는 것이 좋으며, 부득이한 경


우 사용목적과 현장 여건에 부합되도록 사각으로 설치할 수 있다.

(7) 연약지반 혹은 장기침하량의 발생이 예상되는 구간에 구교 설치 시 지지지반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지지지반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구교의 신축이음 설치를
가급적 피하고, 부득이하게 신축이음매를 계획할 경우 단차방지공을 반영한다.

60
2. 구교 일반도 작성

(1) 구교는 상재하중 및 토압에 저항하면서 내부공간을 이용하는 구조물이다. 따라서


허용지지력에 큰 문제가 없으면 말뚝기초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2) 토피가 낮은(1.5m 이하) 박스형 구교의 상부에 사방향으로 열차가 재하될 경우에는
좌우 진동 방지턱 설치를 고려한다.

(3) 구교의 위치는 지형 여건에 맞게 수직 또는 사각으로 배치한다. 이때 사각은 시점


쪽에서 종점 쪽으로 진행 시 선형중심선과 구조물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이때 사각의 표기는 선로중심선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의 각도 값이다.

[그림 2-8] 구조물의 사각 표기 예시

(4) 철도노반과 수직으로 배치된 건조물의 각도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는다.

(5) 구교 명칭은 주요지명 등을 반영하며 경간과 연수, 사각을 표기하고 위치는 거리로 표
기한다.(「1-1 철도설계 도면 기본지식 파악」의 철도설계도면의 표기방법을 참고)

(6) 구교의 일반도는 좌측 상단에 평면도를, 하단에 종단면도를 배치하고, 표준단면 및


상세도, 기타 주석을 안정되게 배치한다.

(7) 평면도는 선로중심선의 시점 쪽을 아래로, 종점 쪽을 위로 하여 수직으로 배치하고,


구교의 사각에 따라 도면을 작성한다.

(8) 평면상의 치수기입은 구조물의 사거리와 직거리를 모두 표기하며, 종단면도에서는


평면도와 수직을 이루게 도면 작성 후 사거리는 괄호, 즉 ( )로 표기한다.

(9) 신축이음매 간격은 10~15m를 기준으로 하며, 신축이음 간격 및 상세도를 작성한다.

61
[그림 2-9] B(함) 일반도 예시(도로 및 수로 겸용 박스형 암거)

3. 구교 구조도(배근도) 작성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과 강도 유지를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며, 이를 배근도 혹은 구조도라고 한다. 본 학습모듈에서는 철근배치 도면을
‘구조도’로 통일하여 기술하였다.

(2) 구조도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하중작용을 반영한 구조계산에 의해 산출된 값을 바


탕으로 철근 직경을 정하고 간격을 배치한다.

(3) 구조도에는 구조 계산 시 반영한 설계방법과 재료의 강도를 도면 우측 상단에 표기한다.

(4) 구조도는 주철근조립도,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철근상세도, 철근집계표, 단면력도,


철근가공표 등으로 구성한다.

(5) 철근은 주철근과 횡방향철근(배력철근)을 구조 계산에 의해 산출된 소요량만큼 일


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며, 그 외에 전단철근, 보강철근 등을 배치하여 구조물의 안
정성을 확보한다.

(6) 주철근이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서 하중작용에 의해 생긴 단면력에 대하여


소요 단면적을 산출한 철근을 말한다.

(7) 횡방향철근이란 부재축에 직각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을 말한다.

(8) 철근은 직경과 재료의 강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D13~D32 혹은 H13~H32를 사용한다.

62
(9) 철근 직경별로 철근가공 방법이 규정되어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철근의 가공과 길
이를 산출한다.

(10) 피복두께는 구조물의 환경조건 및 부재에 따라 최소피복두께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11) 피복두께란 콘크리트 표면과 그에 가장 가까운 철근 표면 사이의 콘크리트 두께를


말한다.

(12)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최소피복두께는 다음의 <표 2-6>과 같다.


<표 2-6>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최소피복두께
환경 조건 및 부재 최소 피복두께(mm)
수중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100
흙에 영구히 묻혀 있는 콘크리트 80
D29 이상 철근 60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D25 이상 철근 50
노출되는 콘크리트
D16 이하 철근 40

옥외의 공기나 흙에 D35 초과하는 철근 40


슬래브, 벽체, 장선
접하지 않는 D35 이하 철근 20
콘크리트 보, 기둥 40
.출처: 고행만(2014). 『전산응용 토목제도 기능사 필기』. 건설 기술 연구원. p.79.

(13) 철근의 겹이음 길이와 정착 길이는 철근의 직경, 피복두께, 철근의 배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방서에서 규정한 길이를 산출하여 적용한다.

(14) 구조물 건조 시 필요한 철근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철근재료표를 작성한다. 이때


철근재료표는 개소별 혹은 전체로 산출한다. 단, 구조물의 연장이 길고 철근의 배
치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경우 단위 미터(m)로 산출할 수 있다.

(15) 철근재료표는 철근 직경별로 구분하여 실제 사용중량을 산출하며, 철근가공에 따


른 손실량을 감안하여 할증수량을 산출한다. 이때 철근의 총 중량 단위는 톤(ton)
으로 산출하며,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표기한다.

(16) 철근직경별 단위중량 및 가공반경과 길이는 다음의 <표 2-7>과 같다.


<표 2-7> 이형철근의 단위중량, 철근가공 반경 및 길이
단위중량 R L 단위중량 R L
직경 직경
(kgf/m) (mm) (mm) (kgf/m) (mm) (mm)
D32(H32) 6.230 340 534 D19(H19) 2.250 200 314
D29(H29) 5.040 310 487 D16(H16) 1.560 170 267
D25(H25) 3.980 270 424 D13(H13) 0.995 150 236
D22(H22) 3.040 240 377
주) R 값은『철도설계기준(노반편)』. p.10-25의 ‘철근 구부림 내면반지름은 10db 이상’에 따라 설
정하였음

63
(17) 구교의 구조도 예시는 [그림 2-10], [그림 2-11]과 같다.

[그림 2-10] C(함) 구조도(1) 예시

[그림 2-11] C(함) 구조도(2) 예시

64
󰊳 농로, 기존 도로의 이설 및 신설을 위한 길내기를 설계한다.

1. 길내기의 일반사항

(1) 철도노반을 횡단하는 길내기는 노반의 하단부에 도로용 구교를 설치하며, 구교의
크기는 사용목적, 기존 도로와의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2) 농지 진입로, 마을 진입로 등과 같이 철도노반을 횡단하지 않거나, 종방향의 부체도


로인 경우에는 연계도로와의 접속부를 적절한 위치에 선정한다.

(3) 길내기 도면은 평면도와 종단면도, 횡단면도가 기본적인 구성이다. 그러나 길내기에
따른 부대 건조물의 생성 시 건조물에 대한 일반도와 구조도 도면을 작성한다.

2. 길내기 종·평면도, 횡단면도

(1) 길내기 종평면도는 평면과 종단면, 표준단면으로 구성되며 선형제원, 주석 등을 표


기한다.

(2) 축척은 일반적으로 평면은 1:500, 종단은 수평 1:500, 수직 1:200으로 한다. 단, 도면의
배치 여건상 축척을 달리할 수 있으나, 설계내용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길내기의 평면 및 종단 선형은 선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4) 평면에는 길내기 어깨선, 선형중심선, 측점, 곡선 시종점의 위치, 길내기 시종점의
위치, 길내기 연장 등을 표기한다.

(5) 종단면도의 제원표에는 종단선형, 성토고, 절토고, 계획고, 지반고, 측점, 평면선형
을 표기한다.

(6) 표준단면은 해당 길내기의 형상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단면으로 하며, 중요 지


점의 단면을 추가할 수 있다.

(7) 길내기 횡단면도는 길내기 토공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단위측점별로 작성한다.

(8) 길내기에 대한 측량이 별도로 진행된 경우에는 길내기의 단위측점을 기준으로 횡단


면도를 작성하나, 철도노반의 종방향을 따라 길내기가 형성된 경우처럼 철도노반
본선의 측점을 기준으로 횡단면도를 작성한 경우에는 본선의 측점위치와 길내기의
측점위치를 함께 표기한다.

(9) 길내기 횡단면도의 토공표는 도로포장(콘크리트 포장 또는 아스팔트 포장 및 그 부


대사항)을 제외한 순수 토공량 값을 측점별로 작성한다.

(10) 길내기 횡단면도의 도면 배치 및 구성, 작성방법은 본 학습모듈의 본선 횡단면도


의 작성방법을 참고한다.

(11) 철도는 거리 및 연장을 12km340.00 L=1,250.00로 표기하며, 도로는 12+340.00


L=1+125.00로 표기한다.

65
(12) 길내기 종·평면도의 예시는 [그림 2-12]와 같다.

[그림 2-12] 길내기 종·평면도 예시

󰊴 기타 본선 부속도면을 작성한다.

1. 옹벽

(1) 옹벽은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물이다. 따라서 토압이 작게 발생하는 위치를 정함과
동시에 시공법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형식 및 기초구조를 선정하여 설계한다.

(2) 옹벽은 높이에 따라 중력식 옹벽, 캔틸레버식 옹벽, 부벽식 옹벽을 사용한다.

(3) 옹벽의 기초지반조사 깊이는 지지력, 활동, 침하 등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에 대해


실시한다. 만약 연약층이 존재하면 침하에 대한 안전공법을 채택하여 적용한다.

(4) 옹벽 도면은 옹벽 현황도, 전반도, 구조도 등으로 구성된다.

(5) 옹벽 현황도는 평면, 옹벽의 표준단면, 기초지반에 대한 보강단면, 옹벽 현황, 주석


등을 표기한다.

(6) 옹벽 전개도는 옹벽 구조물의 평면과 종단면도를 전개하여 작성한 도면이다.

66
[그림 2-13] 옹벽 현황도 예시

2. 방음벽, 낙석방지공 도면

(1) 방음벽, 낙석방지 울타리 및 낙석방지망 등의 본선부속 부대 도면은 표준 일반도를


작성하고, 설치개소를 평면상에 표기한 평면 현황도를 작성한다.

(2) 표준 일반도에는 각 도면의 규격 및 상세도를 작성한다.

(3) 평면 현황도에는 설치 위치 및 연장을 표기하며, 도표로 작성하여 전체 위치와 연


장을 식별하기 쉽게 작성한다.

(4) 본선부속 구조물의 수량이 누락되지 않도록 관련 설계도서와 교차 확인을 한다.

67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철도 노반의 구성과 명칭을 구분하고 이해를 돕기 위하여 횡단면도 등 시청각 자료를 제시한다.

• 철도노반의 쌓기·깎기 비탈면, 시공기면 폭, 선로 중심간격 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철도설계기준, 철도건설규칙의 관련 규정을 자료로 제시한다.

• 본선부속 도면의 구성 및 배치, 위치표기 방식 등을 이해하여 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길내기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의 작성에 필요한 제원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지도한다.

• 횡단면도의 내용과 표기사항을 이해하고 종합적인 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횡단면도의 토공량를 산출하고 도면에 표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구교 일반도의 평면과 종단면 작성에 대해 이해하고 도면에 표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철근의 겹이음과 정착 길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확한 구조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철근의 가공, 수량 산출 및 집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철도설계 토공도면의 용도와 종류, 작성 지침에 대한 기본지식을 파악하고 철도설계기준, 철도건


설규칙에 부합된 토공설계 도면 작성에 활용한다.

• 선로종·평면도와 횡단면도의 관계를 이해하고, 횡단면도의 정보를 습득한다.

• 선형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치지도 평면상에서 지반선 추출 및 계획고 작성 방법을 이해하고


습득한다.

• 철도 선형의 측점별 횡단면도를 작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고 습득한다.

• 길내기의 설치 위치를 파악하고 도로설치기준에 따른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 작성법을 습득한다.

• 구교, 옹벽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반도 및 구조도 작성법을 습득한다.

68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쌓기·깎기 비탈면의 기울기를 지반조사 결과에 따라


본선 횡단면도 결정할 수 있다.
작성 - 흙이나 암석을 굴착, 다짐할 때의 토공변화율은 시험에
의해 산정한 값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노상의 지지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 양질의 환토


본선부속 도면 지지력 보강공법 대책을 강구할 수 있으며, 흙쌓기부의
작성 시공재료가 불량할 경우에도 노상 안정처리 공법 등 대
책을 강구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본선 횡단면도의 기본사항에 대한 이해 여부

- 지반조사 결과에 따른 쌓기·깎기 비탈면의 기울기 적용


본선 횡단면도 여부
작성
- 철도설계규정에 맞는 표준횡단면도의 작성 여부

- 측점별 횡단면도 및 토공량 표 작성 여부

- 평면현황을 파악하여 본선부속의 설치 위치를 계획할


수 있는지 여부

본선부속 도면 - 본선부속 도면 작성 시 노상 지지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작성 경우 노상 안정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지 여부

- 규정에 맞는 구교 일반도 및 구조도의 작성 여부

- 현지여건 및 규정에 맞는 길내기 종평면도의 작성 여부

69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본선 횡단면도의 기본사항에 대한 이해 여부

- 지반조사 결과에 따른 쌓기·깎기 비탈면의 기울기 적용


본선 횡단면도 여부
작성
- 철도설계기준에 맞는 표준횡단면도의 작성 여부

- 측점별 횡단면도 및 토공량 표 작성 여부

- 평면현황을 파악하여 본선부속의 설치 위치를 계획할


수 있는지 여부

- 본선부속 도면 작성 시 노상 지지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본선부속 도면
경우 노상 안정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지 여부
작성

- 규정에 맞는 구교 일반도 및 구조도의 작성 여부

- 현지여건 및 규정에 맞는 길내기 종평면도의 작성 여부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토공설계 도면의 기본사항과 구성, 기준에 대하여 보충하여 안내한다.
- 제출한 내용을 평가한 후 주요 사항을 표시하여 설명한다.
- 진행 과정 중 필요시마다 피드백하여 실습 활동을 쉽게 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자신이 학습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준거를 제공한다.
- 철도설계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피평가자 자신이 측점별 횡단면도 작성 및 토공량
표를 적합하게 작성했는지 파악하고, 이에 도달하지 못하면 보완 설명한다.

70
학습 1 종평면도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1)
학습 2 토공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2)

용·배수공 도면 작성하기
학습 3
(LM1402011007_14v2.3)
학습 4 교량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4)
학습 5 터널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5)

3-1. 용·배수공 계획

• 기존 자료·현지답사, 수리·수문의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용·배수 계통계획 구조


학습 목표 물의 형식, 단면을 작성할 수 있다.
• 중요 배수시설물에 대한 강우강도는 설계조건에 기재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용·배수공의 일반사항
배수시설은 노반의 분니를 방지하고, 노반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열화 방지 및 호우 시
쌓기부의 붕괴 방지, 깎기 비탈면의 붕괴 방지, 철도횡단 수로의 확보 등을 위한 모든 배
수공을 말한다.
철도노반 건설에 따른 하천의 이설 및 신설, 농업용수의 공급 계획, 노반의 배수 계획 등
이 용·배수공 계획에 포함된다.

1. 용수시설(개천내기)

(1) 기존 개천을 횡단하거나 철도 건설로 인해 기존 개천을 이설 혹은 신설해야 할 경


우 개천내기를 설계한다.

(2) 개천내기는 관할하천 관리청,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하고 하천설계기준 등에 따라 설


계한다.

(3) 개천내기는 수리·수문학적 검토를 시행한 후 설계한다.

(4) 개천내기 폭, 유효높이 등은 최대 홍수위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5) 농경지를 횡단하는 구간은 농수로가 원활하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개천내기


를 설계한다.

71
2. 배수시설

(1) 철도 노반과 주변의 물을 신속히 배제하여 철도노반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


을 배수시설이라 말한다.

(2) 철도의 배수시설은 일반적으로 표면배수, 지하배수, 선로횡단배수로 구분한다.

(3) 표면배수는 노반상면 배수, 비탈면 배수, 인접지 배수로 구분한다.

(4) 정거장 구내배수, 선로측구 배수, 선로 간 배수가 노반상면 배수에 속한다.

(5) 비탈면 배수는 산비탈 어깨 및 비탈 끝 배수, 성토 끝 배수, 소단 배수, 산비탈면


배수를 말한다.

(6) 인접지 배수에는 선로측구 배수가 있다.

(7) 지하배수에는 깎기부 지하배수, 쌓기부 지하배수, 깎기와 쌓기 경계부 지하배수가 있다.

󰊲 용·배수공 계획 시 고려사항

1. 설계빈도

(1) 수문학적 설계규모는 수문설계자의 공학적 판단과 내용연한을 초과하지 않는 설계


기간에 닥칠 위험도를 평가하고, 치수경제성 분석과 설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
조물의 종류, 중요도, 홍수지역의 개발 정도 등을 감안하여 설계빈도를 결정한다.

(2) 철도설계기준(2015)에서 명시한 일반적인 주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 및 하천중요


도에 따른 설계빈도는 <표 3-1>, <표 3-2>와 같다.
<표 3-1>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
구 분 설계 빈도
배수로 및 방수로 20년 이상
배수제 및 배수문(배수펌프) 20년 이상
유수지 및 저류지 20년 이상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p.5-22

<표 3-2> 하천중요도에 따른 설계빈도


하천 중요도 적용 하천 범위 설계 빈도 관리자
A 국가하천의 주요구간 200년 이상 국토교통부
B 국가하천 100~200년 국토교통부
C 지방하천 50~200년 광역단체
D 소하천 30~100년 기초단체
주) 1. 소하천은 행정자치부의 소하천정비법의 적용을 받는 하천
2. 출처: 하천설계기준·해설(한국수자원학회, 2009)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p.5-22

72
2. 유출량

(1) 배수구조물의 단면을 결정하는 유출량은 관측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빈도해석을 이


용하여 직접 산정하며, 이외의 경우에는 유역면적이 4km2 미만이거나 유역 또는 하
도의 저류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소규모 지역은 합리식을 적용하고, 4km2 이상인
중규모에는 하천설계기준에서 제시한 설계홍수량 산정방법을 사용하여 계획홍수량
을 산정한다.

(2) 유역면적은 노반 집수면적과 철도 인근지대에서 우수가 유입하는 지역의 면적을 합한


것으로 하며 인접지역에서 우수가 유입하는 지역의 면적은 1:5,000 또는 1:25,000 축척
의 지형도에서 분수령을 찾아서 구해야 한다.

3. 표면배수량

(1) 표면배수는 노반의 안정을 위하여 노반에 내린 우수나 눈 또는 얼음 녹은 물을 신


속히 배수해야 한다.

(2) 표면배수량은 노반과 구조물의 안전성, 배수시설의 중요성 및 경제성에 의해 결정


한다.

4. 지하배수량
지하배수량은 기상, 지형, 토질, 지하수위와 경사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이들의 조건
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73
수행 내용 / 용·배수공 계획하기

재료·자료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철도분야 전자도면 작성표준


철도설계규칙, 철도설계기준(국토교통부)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한국철도시설공단)


1:1,000 선로평면도, 1:5,000 지형도, 1:25,000 지형도


수리·수문 보고서


CAD 사용자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문서 작성용 S/W


데이터베이스 작업용 S/W


도면 작성용 S/W


선형 설계용 S/W

안전·유의 사항


철도설계는 본선과 본선부속의 설계 도면이 상호 관련성을 갖고 있으므로 각 도면 간의 설계
내용이 상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평면도에서 지형의 표고값을 확인하고 유수방향을 결정하여 배수계획을 세워야 한다. 배수계획
이 지형 조건에 부적합하게 되면 그에 따른 별도의 조치를 세워야 한다.


대규모 깎기 혹은 쌓기 비탈면 주변의 배수시설 계획은 지형적인 요소와 토질상태 등을 고려하여
강우 시 배수시설물로 유입되는 토석류 및 유속잡물 등이 배수시설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계획한다.


선로평면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기본 현황을 용·배수 평면도의 기본 현황으로 사용할 때, 용·배
수 도면의 축척에 맞도록 기본지형의 글자크기, 지형지물의 심벌 크기 등을 조절하여 도면을
작성한다.

74
수행 순서

󰊱 철도노반 주변 지형 및 기존 용·배수 시설 현황을 파악한다.

1. 도상에서 용·배수 시설 현황 파악

(1) 철도 노반의 배수 시설 및 주변지역 용수 시설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해


당 지역의 기존 용·배수시설을 파악해야 한다.

(2) 측량에 의해 작성된 1:1,000 평면을 활용하여 기존 용·배수 시설물에 대한 규격 및


위치 등을 파악한다.

(3) 우수 유입지역의 범위가 선로평면도 상의 영역을 벗어날 경우에는 1:5,000 또는


1:25,000 축척의 지형도를 활용하여 인접지역의 우수 흐름을 파악한다.

(4) 과업 인근 지역의 하천, 습지 등에 대한 위치와 규모를 파악한다.

(5) 배수유역의 규모를 파악한다.

(6) 자연수로가 철도 노반 설치로 인해 단절될 경우 이설 개소를 파악한다.

(7) 자연수로 및 농수로 등에 대하여 집수역, 유출방향 등을 파악한다.

(8) 과업 구간의 기 설치된 용·배수 구조물에 대한 규격 및 관리주체를 파악한다.

(9) 과업 구간에 대한 사전 조사 자료를 검토하고 용·배수 계획 시 유의사항을 파악한다.

(10)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의 향후 개발계획 여부에 따른 검토사항을 파악한다.

2. 용·배수 계획을 위한 현지조사

(1) 도상에서 검토된 현황을 바탕으로 현지조사를 시행한다.

(2) 하천의 규모와 유수 방향을 확인하고, 주변 지역의 제반 사항을 조사한다.

(3) 도상에서 검토된 배수유역의 규모를 확인하고 조사한다.

(4) 기존 용·배수 구조물의 형상 및 규모를 파악하고, 설계 공법을 검토한다.

(5) 과업 인근 지역의 용·배수 구조물 관리주체로부터 관련 자료를 확보한다.

(6) 용·배수 계획 시 지형 특성에 따른 유의사항을 확인하고 자료를 수집한다.

(7)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의 지역개발계획에 따른 관련 자료를 수집한다.

󰊲 수리·수문조사 및 분석내용을 반영한다.


철도배수시설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수리·수문 분석결과를 반영하여야 한다. 이때 국내의
경우 최고유출량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강우를 대상으로 수리·수문조사 및 분석을 한다.

1. 조사 및 분석

(1) 배수시설을 계획하기 위한 중요 자료에는 배수유역, 하천의 특성, 범람원, 수문자료


등이 있다.

75
(2) 배수유역의 규모는 유출량에 비례하므로 유역 규모의 결정이 배수시설의 규모를 결
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배수유역의 규모는 지형도와 현장조사를 통해 결정한다.

(3) 하천 특성에 따라 하천과 수로의 변동사항을 검토하여 유출량과 유출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4) 산악지형이 많은 경우 능선부에 위치한 작은 골이나 계곡부의 농경지는 중요한 범


람원이다. 현장조사를 통해 범람원의 유로방향을 찾고 유출량을 분석하여 철도 배
수계획을 수립한다.

(5) 이전의 홍수에 대한 기록, 지역주민의 증언, 담벽이나 나무에 새겨진 고수위 흔적
등의 수문자료, 홍수 시 최고수위, 하천의 상·하류 수위차, 과거 홍수 발생기록 등
을 배수계획 수립 시 활용한다.

(6) 배수유역, 하천 특성, 범람원, 수문자료 등을 활용하여 수리·수문 조사 및 분석을


시행한다.

2. 배수시설 계획

(1) 철도노반의 침수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는 재해 방지대책 및 배수시설계획을 수립한다.

(2) 침전에 대비하여 표면수의 집수시설은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계획한다.

(3) 유수의 집중을 피할 수 있도록 배수시설의 배치를 계획한다.

(4) 깎기, 쌓기부의 높이를 최소화하고 비탈면에는 식생피복과 소단배수로를 설치한다.

(5) 유속이 빠르거나 급변하는 수로는 피복을 하거나 콘크리트 수로를 계획한다.

(6) 소단이 설치된 비탈면의 도수로는 도수 방지용 덮개를 설치한다.

(7) 수로 계획 시 자유로운 물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선형을 결정하고 상·하류 수로


에 침식과 침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로의 종단기울기는 0.3% 이상으로 계획한다.

(8) 배수시설물은 설계 홍수량을 통과시킬 수 있는 통수단면이 확보되도록 계획한다.

(9) 배수관 및 박스형 수로암거는 최대 통수량의 80%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계획한다.

󰊳 배수계획도를 작성한다.

1. 배수계획도

(1) 배수공은 쌓기 및 깎기 지역의 지형, 배수면적, 표면형상, 지하수 상황, 기상조건


등을 감안하여 배수 전체에 대한 균형을 이루도록 계획 및 설계한다.

(2) 배수계획도는 지형 평면도 상에 집수역, 유수방향, 유출계수와 배수구조물 등을 [그


림 3-1]과 같이 표기한다.

(3) 용·배수의 유수방향은 지형조건에 맞게 본선 횡단면도상에서 수로의 높이를 계획


하고 이를 반영하여 표기한다.

(4) 배수로의 기울기는 유수의 흐름을 위하여 최소 3‰ 이상으로 하되 토사의 침전이

76
우려될 때는 기울기를 조정한다.

(5) 배수로의 내공단면은 폭 300mm, 깊이 300m로 한다.

(6) 유수방향이 급격하게 충돌하는 개소, 유속이 급격히 감소하는 개소에는 집수정을
설치한다.

(7) 집수정의 구조는 유속의 완화를 위해 단면의 폭과 깊이를 정하고, 필요시 덮개를
설치한다.

[그림 3-1] 배수 계획도의 표기 사항 예시

[그림 3-2] 철도 배수시설 계획도면 예시

77
2. 배수 구교 계획

(1) 배수 구교의 위치 및 방향은 물 흐름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계획한다.

(2) 하천 제방이나 철도노반에 직각방향으로 구교를 설치하면 공사비 및 구조적으로 유


리하지만, 물의 흐름이 변경되어 세굴, 체수, 침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물의
흐름을 고려하여 배수시설을 계획한다.

(3) 선로 횡단 배수시설은 수문 분석에 의한 계획홍수량을 시설물 상류부의 수위보다


과다하게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하류로 소통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단면과
매설경사를 결정한다.

(4) 배수시설은 수리·수문분석에 따라 계획배수량과 허용 상류수심, 암거하류부의 수


심 값을 반영하여 계획한다.

(5) 구교 단면의 최적 크기, 암거의 경사, 유입부의 모양 선택 및 암거 출구부 감쇄공에


대한 사항을 계획한다.

78
3-2. 용·배수 구조물 도면 작성

• 깎기·돋기부의 도수로, 산마루측구 배수구조물의 재질은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사용


학습 목표 을 원칙으로 하나 시공성, 경제성, 유지관리를 감안하여 대체방안을 비교 검토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용·배수 구조물의 일반사항

1. 용·배수 시설 관련 용어 정의
철도설계의 배수시설은 「철도설계기준(노반편) 제5장 구교 및 배수시설」에서 다음과 같
이 정의하고 있다.

(1) 배수공이란 본선수로, 지축수로, 도수로, 집수정, 배수관 및 배수암거와 그 부속물


을 말한다.

(2) 배수 구조물은 설치 유치에 따라 명칭과 종류, 형식을 구분한다.

(3) 선로 측구는 시공기면 및 비탈면의 배수를 위한 시설을 말한다.

(4) 비탈면 배수구는 소단 측구와 비탈끝 배수로 구분한다.

(5) 산마루 측구는 깎기부의 외부 표면수 배수를 위한 시설을 말한다.

(6) 도수로는 집수된 표면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수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7) 맹 암거는 흙 속에 배수가 가능하도록 유공관, 섬유다발, 다발관, 막돌, 자갈 등을


매설하여 정형 또는 비정형의 단면을 가진 지하수로를 말한다.

2. 용·배수 시설의 규모

(1) 용·배수 시설은 철도노반과 주변의 물을 신속히 배제 혹은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용·배수 용량과 용도에 따라 규모를 산출한다.

(2) 따라서 용·배수 시설의 단면 크기는 주변 지역의 용·배수 용량에 따라 결정한다.

(3) 배수시설의 용량은 배수시설 기능에 따라 다르다. 표면배수는 강우에 의한 유출량,


동절기 눈 녹은 물 및 기타 공급원에 의한 유량을 합하여 산출한다.

(4) 유량의 발생이 시기별로 차이가 있을 때는 유량의 합계 중 최대치를 배수용량으로


한다.

(5) 용수를 위한 수로의 단면은 농경지의 범위, 집수량, 기존 수로의 규모 등에 따라 결


정한다.

79
󰊲 용·배수 도면

1. 용·배수 도면의 개요

(1) 철도 건설에 따른 용·배수 시설물 도면은 토공의 본선부속 도면에 포함하여 편철


하며, 하천의 이설이나 신설은 개천내기라 부른다.

(2) 수로의 이설 및 신설 등에 따른 명칭은 수로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본선에 인접한 수


로는 본선수로, 정거장 지축에 인접한 수로는 지축수로라 명명한다.

(3) 수로의 종류는 토공에서 수로 터파기로 건조한 토공수로와 콘크리트 구조물로 건조


한 수로콘크리트로 구분한다.

(4) 수로콘크리트는 형태에 따라 U형 수로, J형 수로가 있다.

(5) 수로가 철도노반을 횡단하는 경우에는 수로용 구교를 설치한다.

(6) 유수의 흐름이 급격히 변하는 지역에는 집수정을 설치하며, 집수정은 인접 수로와
연계하여 도면을 작성한다.

2. 용·배수 도면의 구성

(1) 용·배수 현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계획도를 작성한다.

(2) 개천내기는 개소별로 종·평면도와 횡단면도를 작성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일반도와 구조도를 작성한다.

(3) 박스형 암거(구교)는 일반도, 구조도를 작성한다.

(4) 수로콘크리트는 일반도, 구조도를 작성한다.

(5) 집수정은 일반도, 구조도를 작성한다.

(6) 흄관 등의 기타 배수 구조물 도면은 표준 단면 및 설치 개소 도면을 작성한다.

(7) 비탈면 배수구, 산마루 측구, 선로 측구 등에 대한 단면은 표준횡단면도에 표시하고


상세 단면을 작성한다.

80
수행 내용 / 용·배수 구조물 도면 작성하기

재료·자료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철도분야 전자도면 작성표준


철도설계규칙, 철도설계기준(국토교통부)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한국철도시설공단)


토목공사 일반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1:1,000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 본선횡단면도


수리·수문 보고서


CAD 사용자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문서 작성용 S/W


데이터베이스 작업용 S/W


도면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철도설계는 본선과 본선부속의 설계 도면이 상호 관련성을 갖고 있으므로 각 도면 간의 설계
내용이 상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평면도에서 지형의 표고값을 확인하고 유수방향을 결정하여 배수 구조물 계획을 세워야 한다.
배수계획이 지형 조건에 부적합하게 되면 그에 따른 별도의 조치를 세워야 한다.


배수 구조물은 현장상황 및 지형, 침식과 침전, 유수 방향, 비탈면에 미치는 물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
선로평면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기본 현황을 용·배수 평면도의 기본 현황으로 사용할 때, 용·배
수 도면의 축척에 맞도록 기본지형의 글자크기, 지형지물의 심벌 크기 등을 조절하여 도면을
작성한다.

81
수행 순서

󰊱 용·배수 시설 표준도면을 작성한다.

1. 선로측구
(1) 시공기면 및 비탈면의 표면수를 배수하기 위해 선로측구를 설치한다.
(2) 선로측구 배수로 단면의 폭과 깊이는 각각 300mm 이상으로 한다.
(3) 선로측구 배수로는 깎기 구간 전체에 설치한다.
(4) 깎기부의 지하수위가 노반면 부근에 있으면, 지하배수공 또는 지하수 공급을 차단
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한다.
(5) 배수의 횡단기울기는 3% 이상으로 설치한다.

[그림 3-3] 깎기 선로측구 수로 단면 예시

2. 소단측구
(1) 높은 깎기에서 소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단 위에 배수구(소단측구)를 설치한다.
(2) 토사구간의 배수로 단면은 폭과 깊이가 각각 300mm 이상으로, 소단 위에 설치한다.
(3) 암반구간은 폭 1.1m의 L형 구조의 배수구를 설치한다.
(4) 깎기 소단폭은 1.5m이고 배수 기울기는 토공은 4%, 암반은 10%이며 50m에 1개소
정도 도수로를 설치하여 선로 측구로 배수한다.
(5) 쌓기 높이가 20m 이상인 경우 2단마다 1개소씩 소단에 배수로를 설치한다. 단 쌓기
비탈면의 침식 위험성이 적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림 3-4] 소단측구 표준 단면 예시

82
3. 비탈끝 배수

(1) 쌓기의 바깥쪽 및 쌓기 비탈면으로부터 빗물 등을 배수하거나 노반의 물을 하천 등


에 유도 처리하기 위한 수로로서 비탈끝 배수공을 설치한다.

(2) 배수공의 단면 구조는 현지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하나, 토사 수로의 경우 1:1 기울


기로 하여 깊이 500mm, 폭 500mm로 설치한다.

(3) 비탈끝 배수는 습지와 건지로 구분하며, 습지의 경우 수로에서 300mm 이격하여 둑
을 쌓아 주변의 오폐수가 철도 수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림 3-5] 비탈끝 배수 표준 단면 예시

4. 산마루 측구

(1) 깎기부에 외부로부터 표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탈어깨에 배수구를


설치한다.

(2) 깎기 비탈면 어깨에 도로 등이 있거나, 지형이 선로를 향해 경사져 있는 경우 산마


루 측구를 설치한다.

(3) 산마루 측구의 최소 배수단면은 폭 300mm, 깊이 300mm로 한다.

[그림 3-6] 산마루 측구 표준 단면 예시

5. 도수로

(1) 비탈 배수구 및 산마루 측구에 집수된 표면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비탈면을 따라 도


수로를 설치한다.

(2) 도수로 단면의 폭과 깊이는 각각 300mm 이상으로 한다.

83
(3) 도수로의 간격은 비탈면 위 50m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하며, 지형 여건을 감안하여
조정할 수 있다. 단, 최대간격은 100m를 한도로 한다.
(4) 도수로를 설치하는 경우 산마루 측구의 배수는 선로측구로 떨어지지 않게 선로 외
로 처리한다.
(5) 배수구에 장애물이 있거나, 1:1.0 이상의 기울기가 급한 개소의 도수로에는 좌우 1m
정도 블록붙임공을 설치한다.
(6) 기울기가 급격히 변하는 비탈어깨, 비탈 끝에는 도수로 덮개 또는 상자형 배수구를
설치한다. 단, 상자형 배수구는 2m 이상 연속하여 설치하지 않는다.

󰊲 배수 구조물의 상세 설계를 한다.

1. 본선 및 지축 수로콘크리트
(1) 수로콘크리트는 형상에 따라 U형 수로, J형 수로 등이 있으며 경제성, 시공성, 유지
관리성 등을 비교하여 현장 타설 혹은 제품화된 수로를 설계에 반영한다.
(2) 수로콘크리트의 규모는 수리·수문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폭 및 깊이를 정한다.
(3) 일반도에는 수로콘크리트의 설치 위치를 평면상에 표기하고, 종방향 기울기를 확인
할 수 있는 종단면도를 작성한다.
(4) 종단면도에는 수로의 기울기와 신축이음 간격, 종방향 기울기 변곡점의 EL값, 수로
의 연장을 표기한다.
(5) 수로의 기울기가 급한 구간은 유속감속돌기를 설치한다.
(6) 수로콘크리트의 표준단면, 토사수로와의 접속부, 도로 하부 연결수로 등에 대한 단면
등을 작성하고, 주석을 표기한다.

[그림 3-7] 수로콘크리트 일반도 예시

84
(7) 수로콘크리트의 부속도면으로 유속감소돌기 상세도, 미끄럼방지턱 설치 상세도, 생
태탈출통로 등을 작성하며, 과업구간 내 수로콘크리트의 설치현황을 도표로 정리하
여 작성한다.

(8) 수로콘크리트의 구조도는 단위 미터(m)로 작성하고, 연장을 대비하여 수량을 산출


한다.

2. 집수정

(1) 집수정은 유수 방향이 급변하는 지역에 설치하며, 집수량에 따라 규모를 결정한다.

(2) 집수정 도면은 수로와 연결되는 OPEN부의 EL값을 표기하여 집수정으로의 유입, 유
출 방향을 명확히 한다.

(3) 집수정 구조도는 평면과 측면의 단면도를 작성하며, 주철근 조립도, 바닥슬래브 평
면도, 철근상세 및 집계표를 안정감 있게 배치한다.

(4) 집수정 구조도는 OPEN부의 위치에 따라 철근 배치를 조정하며, OPEN부에 보강철근


을 배치한다.

[그림 3-8] 집수정 구조도 예시

3. 배수관(흄관)

(1) 배수시설이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 흄관을 매설하여 배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설계


한다. 이때 관거의 위치, 방향, 경사는 통수의 원활을 기하고 수류에 장애가 되지
않게 설계한다.

85
(2) 배수관은 배수용량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제품이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용량에 맞
는 규격을 채택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3) 배수관의 지지는 콘크리트 기초에 흄관이 안정되게 정착할 수 있도록 단면을 설계
한다.ㄱ

(4) 배수관의 설치는 하류 쪽에서 상류 쪽으로 향하게 하며, 소켓이 붙은 관은 소켓이


상류 쪽에 오도록 설계한다.

(5) 배수관 상세도는 각 부위별 일반도, 표준단면, 규격별 치수표 등을 작성한다. 이는


설계내역서 작성 시 공정이 누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림 3-9] 배수관 일반도 및 상세도 예시

3. 수로용 구교

(1) 구교는 용도에 따라 수로용과 도로용으로 구분한다. 수로용 구교 설계는 본 학습모


듈 학습 2의 「2-2. 본선부속 도면 작성」에서 구교의 일반사항, 구교의 일반도 및
구조도 작성에 대한 사항을 참조하여 작성한다.

(2) 수로용 구교에서 유입, 유출부는 배수용 수로와 단면의 크기, 모양이 다를 경우 수
류를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단면을 서서히 변화시켜 작성한다.

(3) 누수로 인한 철근 부식, 콘크리트 탈락과 동해를 방지하고, 화학적 침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구교구체에 방수 처리를 설계한다.

86
[그림 3-10] C(함)의 일반도 예시(수로용 구교)

수행 tip

• 비탈면 배수로의 표준단면은 표준횡단면도 도면에


작성하며, 각 배수로의 설치개소를 현황도에 표기하
여 수량 산출 시 각 공정이 누락되지 않도록 한다.
• 수로콘크리트 종단면도 작성 시 가로, 세로 축적이
달라 도면 작성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축척을
동일하게 하여 수로 구조물의 종단면도를 작성하고,
이를 CAD상에서 블록으로 설정하여 X, Y 축척을 변
경한다.
• 구교의 용도에 따라 수로용 혹은 도로용으로 분류되
나 이는 구교 규격의 차이가 있을 뿐이며 일반도, 구
조도의 도면 구성은 동일하다.
• 한 도면에 축척이 상이한 내용이 있을 경우, 도면은
1CAD 단위를 1mm로 작성하고 각 축척에 맞도록 치수
및 글자크기를 설정한다. 이후 배치공간에서 MVIEW를
축척에 맞게 설정하여 각 도면을 배치한다.

87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용·배수 시설 계획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지형도 및 횡단면도 등 시청각 자료를 제시한다.

• 철도노반의 쌓기·깎기 비탈면 배수 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철도설계기준, 철도건설규칙


의 관련 규정을 자료로 제시한다.

• 지형도를 보고 지형의 고저, 하천과 도로 현황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독도법을 지도한다.

• 철도 배수시설을 이해할 수 있도록 배수시설의 구분 및 명칭 등을 지도한다.

• 유수 방향에 따라 배수시설의 종방향 기울기를 작성할 수 있도록 횡단면도 작성법을 지도한다.

• 철도 배수시설에 대한 종류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도면에 표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수리·수문 분석 자료를 이해하고 배수구조물의 단면을 도면화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배수구조물 일반도의 평면과 종단면 작성에 대해 이해하고 도면에 표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배수구조물의 철근배치, 겹침이음과 정착 길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확한 구조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철근의 가공, 수량 산출 및 집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철도 배수시설의 용도와 종류, 작성 지침에 대한 기본지식을 파악하고 철도설계기준, 철도건설규


칙에 부합된 배수시설 설계도면 작성에 활용한다.

• 배수시설 계획과 횡단면도의 관계를 이해하고, 횡단면도의 정보를 습득한다.

• 지형도상에서 지형의 고저, 하천, 도로, 습지, 기존 수로 등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습득한다.

• 철도 선형 측점별 횡단면도 작성 시 배수시설의 종방향 기울기를 작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


고 습득한다.

• 배수시설의 설치 위치를 파악하고 철도설계기준에 따른 평면 및 종단 작성법을 습득한다.

• 구교, 수로콘크리트, 집수정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반도 및 구조도 작성법을 습득한다.

88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기존 자료, 현지답사, 수리·수문의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용·배수 계통계획 구조물의 형식, 단면을 작성할 수 있다.
용·배수공 계획
- 중요 배수시설물에 대한 강우강도는 설계조건에 기재하
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깎기·돋기부의 도수로, 산마루 측구 배수구조물의 재


용·배수 구조물 질은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시공
도면 작성 성, 경제성, 유지관리성을 감안하여 대체방안을 비교 검
토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지형도 및 기존 자료를 통한 기존 용·배수시설 현황 파악 여부

- 수리·수문 조사 및 분석 내용을 설계에 반영하여 용·


용·배수공 계획
배수 계획을 수립 여부

- 철도설계기준에 맞는 배수계획도의 작성 여부

- 철도설계기준에 적합한 선로측구, 소단측구, 비탈끝 배


수, 산마루 측구 등의 표준도면 작성 여부

- 철도설계기준에 적합하며, 지형을 고려한 본선 및 지축


용·배수 구조물 수로콘크리트의 일반도, 구조도의 작성 여부
도면 작성 -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한 구교의 일반도 및 구조도의
작성 여부

- 지형 여건, 물의 흐름, 용량 등을 고려한 집수정 일반도,


구조도의 작성 여부

89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지형도 및 기존 자료를 통한 기존 용·배수시설 현황 파


악 여부

용·배수공 계획 - 수리·수문 조사 및 분석 내용을 설계에 반영하여 용·


배수 계획을 수립 여부

- 철도설계기준에 맞는 배수계획도의 작성 여부

- 철도설계기준에 적합한 선로측구, 소단측구, 비탈끝 배


수, 산마루 측구 등의 표준도면 작성 여부

- 철도설계기준에 적합하며, 지형을 고려한 본선 및 지축


수로콘크리트의 일반도, 구조도의 작성 여부
용·배수 구조물
도면 작성
-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한 구교의 일반도 및 구조도의
작성 여부

- 지형 여건, 물의 흐름, 용량 등을 고려한 집수정 일반도,


구조도의 작성 여부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용·배수시설 설계도면의 기본사항과 구성, 기준에 대하여 보충하여 안내한다.
- 제출한 내용을 평가한 후 주요 사항을 표시하여 설명한다.
- 진행 과정 중 필요시마다 피드백하여 실습 활동을 쉽게 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자신이 학습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준거를 제공한다.
- 철도설계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피평가자 자신이 용·배수 시설의 적정한 계획 수립
및 용·배수 구조물의 시공성, 경제성, 유지관리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도면을 작성
했는지 파악하고, 이에 도달하지 못하면 보완 설명한다.

90
학습 1 종평면도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1)
학습 2 토공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2)
학습 3 용·배수공 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3)

교량도면 작성하기
학습 4
(LM1402011007_14v2.4)
학습 5 터널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5)

4-1. 교량 일반도 작성

• 조사·계획업무 결과로 선정된 최적안의 구조형식에 따라 각 구조물의 상부·하


부·기초구조의 단면을 설정하고, 구조물의 안정성과 사용성, 내구성을 검토한 후
상세히 설계할 수 있다.
• 구조물의 각 단면을 상세히 산정하고 관련 시방서에서 규정된 해석 방법으로 모델
학습 목표 링을 할 수 있다.
• 도로 위를 횡단하는 철도교량은 도로면에서 차량통행이 가능한 통과높이를 확보하
고 철도 위를 횡단하는 교량 등 입체화 시설은 레일면에서 7.0m 이상 확보하여 설
계할 수 있다.
• 구조물 설치상 가시설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가시설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철도 교량의 일반사항
철도 교량 설계의 일반사항은 「철도설계기준(노반편, 2015)의 제8장 교량 일반사항, 제10
장 콘크리트교」의 기준을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 본 학습모듈에 수록되지 않은 기타 내
용은 철도설계기준을 참고한다.

1. 철도 교량 관련 용어 정의

(1) 가도교란 도로 위에 가설된 교량을 말한다.

(2) 과선교란 철도선로 위에 가설된 교량을 말한다.

(3) 경간(span)이란 교량에서 교대와 교각, 교각과 교각 사이 공간을 말한다. 연속교인


경우 위치에 따라 측경간, 중앙경간으로 부르고, 경간 수에 따라 3경간, 5경간 연속
교 등으로 부른다.

91
(4) 구조물 가동 끝단이란 궤도가 실린 구조물에서 교대와 만나거나 인접한 구조물과
만나는 상부구조의 단부 끝단을 말한다.

(5) 순경간(clear span)이란 교대와 교각, 교각과 교각 사이 전면 간의 거리를 말한다.

(6) 정규 교량(regular bridge)이란 경간을 따라 질량, 강성이나 기하학적 특성에 특별한


변화가 없는 교량을 말한다.

(7) 합성거더교란 주거더와 현장치기 바닥판이 전단 연결재에 의해 결합되어 주거더와


바닥판이 일체로 된 합성단면으로, 하중에 저하하는 교량을 말한다.

(8) 단경간교(single span bridge)란 경간이 하나인 교량을 말한다.

2. 철도 교량의 계획

(1) 하천지역 설치 교량은 하천설계기준에 따라 경간장을 정해야 한다.

(2) 교량은 하천정비계획 등 수리·수문 조사결과에 따라 경간장과 교량 높이 및 길이


를 정한다.

(3) 경강장은 하천 관련 기관과 협의가 필요한 경우 다음 식으로 검토한 후 협의하여야


한다.
L = 20 + 0.005Q(L> 70m의 경우 70m 적용)
여기서, L: 경간장(m)
Q: 계획홍수량(㎥/sec)

(4) 하천관리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위 규정과 관계없이 <표 4-1>과 같이 경간장을


계획한다.
<표 4-1> 하천지역의 경간장 계획
구 분 경간장
계획홍수량이 500㎥/sec 미만이고 하천폭이 30m 미만인 하천 12.5m 이상
계획홍수량이 500㎥/sec 미만이고 하천폭이 30m 이상인 하천 15m 이상
계획홍수량이 500~2,000㎥/sec인 하천 20m 이상
출처: 신영주(2015). 『철도기술사』. 예문사. p.1056

(5) 하천정비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하천은 하천정비계획을 토대로 제방의 여유고 등을


확보하여 교량계획을 수립한다.

(6) 교량은 가급적 하천의 유수방향과 직각이 되게 계획하여 홍수 시 물 흐름에 미치는


지장이 최소화되도록 계획한다.

(7) 교량 전후에 작은 교량이나 구교를 연속하여 설치하지 않게 경간 길이나 교량 길이


를 정한다.

(8) 교대 등을 하천제방에 설치하는 것을 피한다.

92
(9) 하천 종방향을 따라 설치된 교량은 교각이 하천의 전체 폭에 걸쳐 배치되지 않게
계획한다.

(10) 다리 밑 공간 높이 계획 시 하천은 「하천설계기준」, 도로는 「도로의 구조·시


설기준」을 적용하여 계획한다.

(11) 다리 밑 공간이란 교량 밑의 통행에 사용되는 공간 또는 교량 밑에서 수위까지의


공간 높이를 말한다.

(12) 배가 지나다니는 수로 위의 공간 높이 규정은 <표 4-2>와 같다.


<표 4-2> 배가 지나다니는 수로 위의 공간 높이
구 분 수로 위 공간 높이
범선 또는 소기선 통과 최고수면에서 30m
대기선 군함 최고수면에서 45~60m
소증기선 최고수면에서 4.5m
폰툰(pontoon), 바지선(barge) 최고수면에서 3.0m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p.2-20

(13) 선박 운행이 없는 하천의 경우 계획홍수량에 따라 <표 4-3>과 같이 다리 밑 공간


을 확보하되, 만곡부의 수위 상승, 수리계산 오차 등을 고려하여 제방여유고 이상
확보한다. 단, 계획홍수량이 50㎥/sec 이하이고 제방고가 1.0m 이하이면 다리 밑
공간은 0.3m 이상을 확보한다.

(14) 하천에 교량 계획 시 계획홍수위는 주거더 밑에 있도록 한다.

(15) 하천에서의 다리 밑 공간은 홍수위로부터 교각이나 교대 중 가장 낮은 위치의 받


침하면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라멘교는 헌치 하단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표 4-3> 계획홍수량에 따른 다리 밑 공간
계획홍수량(㎥/sec) 다리 밑 공간
200 미만 0.6m 이상
200 이상~500 미만 0.8m 이상
500 이상~2,000 미만 1.0m 이상
2,000 이상~5,000 미만 1.2m 이상
5,000 이상~10,000 미만 1.5m 이상
10,000 이상 2.0m 이상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p.2-21

(16) 하천의 홍수위 및 세굴, 유수흐름의 영향에 대한 대책을 강구한다.

(17) 도로를 횡단하는 교량의 다리 밑 공간 높이는 5.0m 이상으로 한다. 단, 부득이한


경우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따라 축소할 수 있다.

93
(18) 하천 및 도로 교차지점은 다리 밑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교량가설로 인한 도로
교통의 차단을 최소화하며, 우회도로 설치를 지양하도록 계획한다.

(19) 도로를 횡단하는 철도 교량의 다리 밑 공간이 4.7m(고속철도 5.0m) 미만의 개소에


는 차량통과한계틀 및 차량높이 제한표지를 설치한다.

(20) 농로, 마을 간 도로 등에 설치되는 교량은 농산품 운반차량 등이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경간과 다리 밑 공간 높이를 정한다.

(21) 주거지역 근접 교량은 환경영향평가 결과 등을 토대로 경관성 및 환경성을 최적화


하도록 계획한다.

󰊲 철도교량 설계의 기본

1. 설계 원칙

(1) 철도교량은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목적에 맞게 설계한다.

(2) 교량 설계 시 교량 및 부재의 강도, 안정, 정적 및 동적 변형, 내구성 등을 일반적


으로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부재의 좌굴, 콘크리트 균열 등을 추가 검토한다.

(3) 재현주기 100년 지진에서도 열차 주행이 가능하도록 내진설계를 검토하여 반영한다.

(4) 기초 및 교대, 교각의 단면이 상당히 클 경우 수화열 해석에 의한 검토를 수행한다.

(5) 강교의 설계는 허용응력설계법이 원칙이나, 강합성교의 콘크리트 바닥판 등의 설계


에는 강도설계법을 적용한다.

(6) 콘크리트교량의 설계는 강도설계법이 원칙이나, 하부 구조의 안정성 검토, 기초구조


검토,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부재의 사용성 검토는 허용응력설법을 적용한다.

(7) 교량 구조물 또는 부재가 사용기간 중 기능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중을


받을 때의 사용성과 내구성을 검토한다.

(8) 사용성 검토는 피로, 균열 및 처짐의 영향을 고려한다.

(9) 철도교의 설계 내용기간(耐用期間)은 안정성과 내구성능을 고려해 정하나, 별도의


규정을 하지 않은 경우 철도교 설계 내용기간은 100년으로 한다.

2. 설계도면의 표기사항

(1) 철도교량을 설계하여 실제로 시공 시 설계 의도대로 구조물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구조물의 안전도가 확보될 수 없으며 구조물의 목적에도 맞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설계도에는 시공에 필요한 사항, 유지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명시한다.

(2) 설계도에는 구조물 및 부재의 형상 치수, 철근의 형상 치수, 철근 배치, 치수단위,


축척 등을 정확히 표기한다.

(3) 설계도에는 구조물의 위치 및 명칭을 표기한다.

94
(4) 설계계산의 기초적 사항 및 시공 조건 등을 명기한다.

(5) 철도교량의 설계 하중, 사용재료의 종류, 설계기준 강도, 허용 응력 등을 도면에 표기


한다.

(6)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의 최대값,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등을 표기한다.

95
수행 내용 / 교량 일반도 작성하기

재료·자료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철도분야 전자도면 작성표준


철도설계규칙, 철도설계기준, 하천설계기준(국토교통부)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한국철도시설공단)


토목공사 일반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1:1,000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 본선횡단면도


수리·수문 보고서


구조 계산용 S/W 사용자 매뉴얼


CAD 사용자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구조 계산용 S/W


문서 작성용 S/W


데이터베이스 작업용 S/W


도면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철도설계는 선로 종·평면도와 교량의 설계 도면이 상호 관련성을 갖고 있으므로 각 도면 간의
설계 내용이 상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교량의 최저 다리 밑 공간은 계획 제방고 이상이어야 하며, 제방이 없을 때는 하천건축한계에
준한다. 지천에 설치되는 교량은 본 천에 준한 계획을 하여야 하며, 항상 최대 홍수위에 여유고를
합한 높이 이상으로 계획해야 한다.


교량의 종·평면 선형, 교대 및 교각 위치 설정 시 교량의 동적·정적 안정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며, 교량의 위치가 지나치게 사각이 되지 않도록 계획해야 한다.

96

철도교량은 도로교량과 달리 교량 상면에 궤도를 부설해야 하므로, 배선계획을 고려하여 분기기
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량을 계획해야 한다.


철도교의 경우 열차 운행과 관련된 각종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가 요구되므로, 그에 따르는
하중 조건, 승차감 확보 조건, 유지관리 조건 등을 고려하여 계획해야 한다.

수행 순서

󰊱 교량 경간장을 결정하고 상부구조 형식을 선정한다.

1. 경간장

(1) 교량의 경간장은 지형 조건에 따라 하천 또는 도로를 횡단함에 있어서 시공성, 열


차 주행안전성, 유지관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2) 기존 도로 및 계획도로 횡단구간은 도시계획 및 장래계획을 고려하여 교각위치와


경간장을 결정한다.

(3) 교량의 하부구조물(교대, 교각)이 하천 제방에 설치되지 않도록 경간장을 결정한다.

(4) 정거장에 인접한 교량의 경우 배선계획에 따라 분기기와 교량의 신축이음이 간섭하


지 않도록 경간장을 결정한다.

(5) 기존 도로 횡단구간은 장래확장계획을 고려하여 경간장 및 교각위치를 결정하고 최


소 5.0m 이상의 다리 밑 공간을 확보한다.

(6) 유수단면적을 가급적 줄이지 않도록 하고, 하천 협소부 및 굴곡부에 가설되는 교량


은 교각 수를 줄일 수 있도록 경간장을 결정한다.

(7) 교량 상부 형식의 신기술·신공법 발달로 경간장 선택의 폭이 다양화되었다. 따라


서 상부 경간장에 대한 하부 공사비를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사업비가 도출되도록
경간장을 결정한다.

2. 교량 상부구조 형식 선정

(1) 상부구조 형식은 교량의 기능성을 우선하고 경제성 및 유지관리 측면과 주변경관과
의 조화, 시공성능의 제반사항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2) 구조물의 안전과 유지보수 시설 계획 및 관리 비용 최소화를 위한 형식을 선정한다.

(3) 교량 상 건넘선 또는 안전측선 계획 시 선로전환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형식을 선정한다.

(4) 소음, 진동에 대한 사용성 확보가 가능한 구조형식을 선정한다.

(5) 장대레일 부설조건에 다른 레일축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형식을 선정한다.

(6) 지지형태, 구조형태에 따라 적절한 상부구조 형식을 선정한다.

97
(7) 상부구조 형식은 지지형태에 따라 단순지지와 연속지지로 분류한다.

(8) 단순지지 형태는 구조해석이 간편하고 설계가 용이하나, 상부단면 및 형고가 증가


한다.

(9) 연속지지 형태는 다경간 연속교로 교량 슬래브의 신축이음 개소가 감소하고, 지진


시 낙교 방지에 유리하다.

(10) 구조형태의 재질에 따라 철근콘크리트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 PREFLEX교,


강합성형 콘크리트교, 강교 등으로 구분하며, 재질별 구조형식 종류는 <표 4-4>와
같다.
<표 4-4> 재질에 따른 교량 구조형식 분류
재질 구조 형식
철근콘크리트교 슬래브, 중공 슬래브, T형, 라멘
PSC BEAM, 유지관리 PSC BEAM, IPC Girder, PSC-e BEAM,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Dr. Wide Flange Girder, V-BEAM, PPC, WPC, Bicon,
IT Girder, SS-U Girder, HvPC, PSC BOX Girder
PREFLEX교 PF, PRECOM, RPF
강합성형 콘크리트교 SCP 합성거더, SB 합성거더·SB ARCH
강교 PLATE Girder교, BOX형 교, TRUSS교, ARCH교
출처: ㈜유신 외 2개 사(2014). 『이천~충주 철도건설 제1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p.1141~1144

(11) 경간장별 상부구조 형식은 <표 4-5>와 같이 적용한다.


<표 4-5> 경간장별 상부 구조형식 적용 범위
경간장 상부 구조 형식 비 고
25m 이하 PSC BEAN 경간장 25m 이하 교량에 적용
V BEAM, PSC-e BEAM, DR Girder,
30~35m 이하 BICON Girder, 변단면 PSC Girder, 조정경간장 등 일반구간에 적용
IPC Girder
30~40m 이하 IT Girder, SS-U Girder 조정경간장 등 일반구간에 적용
30~40m 이하 PPC Girder, PF BEAM, WPC Girder 다리 밑 공간 확보구간에 적용
35~45m 이하 PRECOM Girder, RPF BEAM 다리 밑 공간 확보구간에 적용
40~50m 이하 PSC BOX Girder, ST BIX Girder 연속교의 경우 50m 이상 적용 검토
45~55m 이하 SB 합성거더, SCP 합성거더 중지간의 일반구간에 적용
45~60m 이하 SB arch 합성거더 중·장지간의 일반구간에 적용
장지간·경관이 중요시되는 구간
50m 이상 ARCH
적용
출처: ㈜유신 외 2개 사(2014). 『이천~충주 철도건설 제1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p.1151

98
󰊲 교대, 교각 등 하부구조 형식을 선정한다.

1. 하부구조 형식 선정 시 고려사항

(1) 하부구조는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 지반으로 전달시키는 주요부분으


로 경제성, 시공성, 구조의 안정성, 미관, 기초 구조와의 연관성 등을 고려하여 선
정한다.

(2) 하부구조의 형식은 상부구조 형식에 적합하고, 가설시점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여
선정한다.

(3) 상부구조 단면과 조화되는 형식을 선정한다.

(4) 하부구조는 설치 위치의 지반조건, 수심, 유속 외에도 상부구조의 하중 규모에 영향


을 받으므로 상부구조의 하중 규모를 감안하여 형식을 선정한다.

(5) 도로입체교차 구간은 교통소통 및 도로설계기준을 만족하는 다리 밑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형식을 선정한다.

(6) 하천 통과구간의 교량계획 시에는 다리 밑 공간 확보 외에 교대위치, 교각방향 및


위치, 크기, 기초 근입깊이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7) 하부구조 형식 결정의 Flow Chart는 [그림 4-1]과 같다.

[그림 4-1] 교량 하부구조 형식 결정 Flow Chart

99
2. 교대 형식 선정

(1) 교대의 형식은 형상에 따라 역T형 교대, 반중력식 교대, BOX형 교대 등으로 분류하
며, 그 특징은 <표 4-6>과 같다.
<표 4-6> 교대 형상별 특징
구분 형 상 특 징

∙ 구체의 자중을 줄이고 흙의 중량으로 안정을 유지하며,


직접 및 말뚝기초 적용 가능
역T형
∙ 부재형상이 단순하여 거푸집 활용 및 시공관리에 유리
교대
∙ 교대높이가 낮을 경우 중력식에 비해 철근사용량 증가
∙ 교대높이가 비교적 높은 구간(H=10.0m 이상)에 적용 가능

∙ 구체 및 뒤채움 토사의 자중으로 안정을 유지하며,


직접 및 말뚝기초 적용 가능
∙ 구체중량이 커 수평저항력 확보에 유리
반중력식
∙ 교대 높이가 높을 경우 중압감 유발
교대
∙ 벽체 경사면 적용으로 거푸집 활용 및 시공관리 다소 불리
∙ 구조 특성상 교대높이가 낮은 곳(H=8.0m 이하)에 일반적으
로 적용

∙ 상부구조의 수평력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며, 배면 공간


BOX형 활용이 가능함
교대 ∙ 상부에서 큰 수평력이 발생하는 경우 적용
(H=15.0∼20.0m)

출처: ㈜유신 외 2개 사(2014). 『이천~충주 철도건설 제1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p.1130

(2) 교대 형식은 하부구조 선정 시 고려사항을 기초로 하여 형식별 특징을 파악한 후


최적의 구조형식을 선정한다.

3. 교각 형식 선정

(1) 철도하중에 부합하는 코핑 및 기둥의 단면을 계획한다.

(2) 교각의 기둥 수를 최소화하여 하천의 유수흐름 지장을 최소화하고, 하부 도로의 시거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는 형식을 선정한다.

(3) 상부구조와 조화되고 주변경관에 융화되는 형상을 선정한다.

(4) 거푸집 활용성과 콘크리트 시공성이 원활하도록 표준화에 의한 시공성 및 품질관리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형식을 선정한다.

100
(5) 일반적으로 농경지 및 확폭구간은 П형을 설치하며 단선교량, 하천, 지장물 근접 구
간 및 도심지 구간은 T형을 설치한다.

(6) 교각의 형상별 특징은 <표 4-7>과 같다.


<표 4-7> 교각 형상별 특징
구분 형 상 특 징

∙ 교폭이 작은 구간에 유리
∙ 외적미관 양호
∙ 시공성 및 거푸집 활용성 우수
T형
∙ 하부공간의 이용도 증대 및 개방감 확보 유리
단 ∙ 내진 저항성 보통
선 ∙ 교폭이 클 경우 코핑부의 구조적 보강 필요

간 ∙ 교폭이 작은 구간에 유리
∙ 축방향 강성이 커 상부반력이 큰 형식에 유리
벽체식
∙ 시공성 및 거푸집 활용성 우수
(사각기둥)
∙ 하부공간 점유 및 개방감 확보에 불리
∙ 하천구간 및 지반이 불리한 구간 적용에 제한적

∙ 교폭이 넓은 구간에 적용성 양호


∙ 연성구조로 내진저항성 우수
П형
∙ 철근 조립 및 시공성 유리
확 ∙ 교폭이 작은 경우 시공성 및 경제성 불리


간 ∙ 교폭이 넓은 구간 적용에 유리
∙ 내진저항성 우수
문형
∙ 철근 조립 및 시공성 불리
∙ 하천구간 및 지반이 불리한 구간 적용에 제한적

출처: ㈜유신 외 2개 사(2014). 『이천~충주 철도건설 제1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p.1132

4. 기초 형식 선정

(1) 기초란 하부구조의 한 부분으로 구체로부터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부분을 말


한다.

(2) 기초형식은 지반조건, 주변 환경, 구조적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정


한다.

(3) 지반조사를 충실히 수행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형식을 선정한다.

(4) 환경오염 및 소음·진동으로 인한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초시공법을 선정한다.

101
(5)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공사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초공법을 선정한다.

(6) 기초형식별 공사비 검토를 통해 경제적인 형식을 선정한다.

(7) 기초형식은 하중지지 및 지지층 심도에 따라 직접기초, 말뚝기초, 우물통(케이슨)기초


등이 있다.

(8) 말뚝기초는 양질의 지지층이 깊은 곳에 있는 경우 타입말뚝공법, 매입말뚝공법, 현


장타설말뚝공법 등으로 설치하는 기초로서, 말뚝의 머리 부분을 확대기초와 연결하
여 일체화시키는 탄성기초를 말한다.

(9) 우물통(케이슨)기초는 양질의 지지층이 깊은 곳에 있는 경우 케이슨 공법으로 설치


하는 기초로서, 일반적으로 근입 깊이가 폭에 비하여 큰 강성 기초를 말한다.
<표 4-8> 교량 기초형식 비교
구분 직접기초 말뚝기초 우물통(케이슨)기초

개념도

선단저항 및 주면마찰
하 연직력 저면반력 저면 반력
저항

말뚝 휨강성, 주변지반의

수평력 기초저면 전단저항 수동저항 및 교대의 수동 측면반력 및 전단저항

토압
지지층
5.0~8.0m 8.0~60.0m 8.0~30.0m
심도

연직
용 제한 없음 100~300tonf/본 이하 1,500tonf 이상
하중

준 터파기 영향권 내 장애물 현장조건에 따라 기성 지하수 영향이 큰 지역,
적용
이 없고 시공 중 배수 말뚝과 현장타설 말뚝 하상, 수상 등 특수지역
지반
처리가 용이할 것 으로 구분하여 적용
∙ 독립기초 ∙ 항타말뚝 ∙ 오픈 케이슨
∙ 복합기초 ∙ 매입말뚝 ∙ 공기 케이슨
공법 종류
∙ 줄기초 ∙ 속파기말뚝 ∙ 특수 케이슨
∙ 전면(mat)기초 ∙ 현장타설말뚝 ∙ 강관널말뚝
출처: ㈜유신 외 2개 사(2014). 『이천~충주 철도건설 제1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p.1135

102
󰊳 교량의 종·평면도를 작성한다.

1. 교량 종·평면 도면의 공통사항

(1) 교량의 종·평면도는 교량의 경간장, 상부형식, 하부형식을 종합적으로 표현한 도면


이다.

(2) 종·평면도에 교량의 명칭, 위치, 형식, 연장, 시종점부의 방향 등을 표기한다.

(3) 교량 종·평면도는 축척 1:200으로 작성하여 교량의 전체 형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4) 종·평면도에는 상부구조, 하부구조에 대한 부호를 표기한다. 교대는 Abutment의 약


자를 써서 A1, A2, 교각은 Pier의 약자를 써서 P1, P2 등으로, 상부구조는 Slab의 약
자를 써서 S1, S2 등으로 표기한다.

(5) 치수는 교량의 순경간장, 코핑폭, 신축이음간격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명확히


기입한다.

(6) 교량의 시종점 교대의 토공접촉부 흙쌓기, 옹벽 설치 등에 대한 설계현황을 표기한다.

(7) 교량의 종·평면도 작성 후, 기초형식이 하천이나 기존 도로에 영향이 있을 시에는


가시설 계획 또는 우회도로 계획을 수립한다.

2. 교량 평면도

(1) 교량의 평면도는 경간장 및 교량의 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작성하며, 상부구조 및


하부구조의 배치를 정확히 표기한다.

(2) 선로 중심과 구조물 중심을 확인하고 선형을 따라 구조물을 배치하며, 교량이 곡선


구간 혹은 사각일 경우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배치에 주의하여 설계한다.

(3) 교량의 평면도에 교측 보도, 방음벽, 전철주 받침 등에 대한 설치 여부를 표기한다.

(4) 교량의 표준구간과 확폭구간 간에 교측보도 연결, 방음벽 설치, 배수 여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도면에 표기한다.

3. 교량 종단면도

(1) 종단면도는 하부구조물의 높이, 기초형식, 상부구조의 형고, 다리 밑 공간 등의 정


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치수를 표기한다.

(2) 종단면도에 교량받침의 가동단(M), 고정단(F) 여부를 표기한다.

(3) 종단면도에 교량 상부구조물의 신축이음부 이정값과 FL 값을 표기한다.

(4) 기초형식에 대한 규격 및 파일기초일 경우 파일의 규격과 길이 등을 표기한다.

(5) 평면도와 종단면도로 구성된 교량 일반도의 예시는 [그림 4-2]와 같다.

103
[그림 4-2] 교량 일반도 예시(축척 1:200)

󰊴 교량 상부·하부 구조물의 일반도를 작성한다.

1. 상부 구조물의 일반도 작성

(1) 경간장과 시공성, 경제성,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상부 구조에 대한 횡단면


및 평면과 측면 형상을 작성한다.

(2) 상부 구조물 일반도의 축척은 일반적으로 1:50으로 작성하며, 부득이한 경우 1:100


으로 작성한다.

(3) 상부 구조물의 횡단면도는 중앙부와 단부를 작성하며, 구조 형상에 따라 빔 또는


거더의 배치와 형태를 작성한다.

(4) 교량상부의 교측보도와 난간에 대한 상세, 공동구 및 관로뚜껑 상세도를 작성한다.

(5) 전철주 기초, 방음벽 기초에 대한 상세도를 작성한다.

(6) 상부 구조물의 설계방법 및 재료 강도를 표기한다.

(7) 상부 구조 형식에 따른 거더(빔)의 일반도를 작성한다.

(8) 거더(빔)의 일반도에는 거더의 측면과 평면, 중앙부와 지점부의 단면을 작성하고,
상부 거더의 설계조건, 재료표 등을 표기한다.

(9) 거더의 특성에 따라 구조형태, 강선배치, 정착구 상태 등 중요사항을 일반도에 표기


한다.

(10) 상부 구조물을 시공하는 데 있어서 중요사항 및 주의사항에 대한 주석을 표기한다.

104
[그림 4-3] 교량 상부구조 슬래브 일반도(1) 예시(축척 1:50)

[그림 4-4] 교량 상부구조 슬래브 일반도(2) 예시(축척 1:50)

105
(11) 경간장 25m 이하 교량에서 주로 사용하는 PSC교 거더의 일반도 예시는 [그림 4-5]
와 같다.

[그림 4-5] PSC 거더 일반도(1) 예시(축척 1:30)

2. 하부 구조물의 일반도 작성

(1) 교대 및 교각은 가설되는 교량의 기준지점 상황에 가장 접합한 형태로 상부구조의


설계조건, 안정성, 미관, 경제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현장 여건에 맞게 설계한다.

(2) 교대 및 교각은 상재하중 및 수평력 작용에 대안 안정성과 전도, 활동, 지지력에 대


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면으로 설계한다.

(3) 교대 전면의 중압감을 최소화하여 교량 설치 시 미관이 양호하도록 설계한다.

(4) 교대는 형식별로 토압 작용면의 규정에 따라 설계한다.

(5) 중력식 교대의 토압 작용면은 구체 콘크리트의 배면으로 한다.

(6) 역T형 및 부벽식 교대의 경우는 벽의 단면 계산은 구체 콘크리트 배면, 안정 계산


은 확대기초 뒤쪽 연단에서 연직인 가상배면으로 한다.

(7) 교대는 교대의 벽, 앞굽판 및 뒷굽판, 흉벽, 날개벽에 대하여 설계한다.

(8) 교각은 내민보(코핑부)와 기둥, 기초에 대하여 설계한다.

(9) 교대 및 교각은 거푸집 활용성 증대 등을 위해 표준화에 의한 시공성 향상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한다.

106
(10) 하부 구조물의 일반도에는 교대 및 교각 형상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정면,
평면, 기초평면, 날개벽, 단면 등을 작성한다.

(11) 하부 구조물 일반도의 축척은 1:100으로 작성한다.

(12) 복선구간 파일기초 교대의 일반도 예시는 [그림 4-6]과 같다.

[그림 4-6] 교대 일반도 예시(복선구간, 축척 1:100)

(13) T형 및 П형 교각의 일반도 예시는 [그림 4-7], [그림 4-8]과 같다.

[그림 4-7] T형 교각 일반도 예시(축척 1:100)

107
[그림 4-8] П형 교각 일반도 예시(축척 1:100)

(14) 말뚝기초의 경우 말뚝의 규격 및 길이를 표기하고, 기초 평면 도면에 말뚝의 배치


간격을 표기한다.

(15) 교량 받침 및 모르타르 상세도를 작성하며, 교량받침의 규격, 최소받침지지거리 및


연단거리, Sole Plate 치수표 등을 작성하여 교량 받침 설치가 용이하도록 설계 도
면을 작성한다.

(16) 교대 정면도에는 FL값 및 흉벽과 기초상부, 기초하부 지점의 EL값을 표기하고, 교


각은 코핑부와 기초상부, 기초하부 지점의 EL값을 표기하여 하부구조물의 설치 위
치를 정확히 표기한다.

(17) 하부 구조물의 설계방법 및 재료 강도를 표기한다.

(18) 하부 구조물을 시공하는 데 있어서 중요사항 및 주의사항에 대한 주석을 표기한다.

3. 교량 기초의 가시설도면 작성

(1) 교량이 도로 혹은 하천 지역을 지남에 따라 도로 근접 터파기 및 교각 기초 터파기


로 인한 주변 시설물(하천 제방 등)의 안정을 위해 가시설을 설계한다.

(2) 가시설 공법은 주변 지반조건, 지하수위, 농경지·도로·하천·주택지 등 인접구간


현황 등을 감안하여 최적의 공법을 선정하여 설계한다.

(3) 가시설 설계는 전문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전성을 검토하여 설계한다.

(4) 교량의 가시설 공법은 일반적으로 H-PILE 및 버팀보 공법과 SHEET PILE 공법이 있
으며, 그 특징은 <표 4-9>와 같다.

108
<표 4-9> 교량 기초 가시설 공법의 특징
구분 H-PILE + 버팀보 공법 강널말뚝 공법(SHEET PILE 공법)
설계법 배수성 설계 비배수성 설계
∙ 시공이 간단함 ∙ 시공성 상대적으로 불리
∙ 연약층 심도가 깊은 경우 안전성 불리 ∙ 연약층 심도가 깊은 경우 안전성 유리
특 징 ∙ 공사기간이 짧음 ∙ 공사기간 긺
∙ 차수효과 없음 ∙ 차수성 양호
∙ 공사비 보통 ∙ 공사비 고가
∙ 하천제방
적 용 일반적인 구간 ∙ 기초저면이하 연약지반 분포
∙ 터파기 주변 주요지장물 위치
출처: ㈜유신 외 2개 사(2014). 『이천~충주 철도건설 제1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p.1642

(5) 일반적인 H-PILE과 토류판 혹은 토류벽 가시설 공법은 지반조건에 따라 엄지말뚝을


1.5~2.0m 간격으로 타입 또는 천공으로 삽입하고 굴착 단계에 따라 목재 토류판을
H-PILE 사이에 끼워 나가는 공법이다.

(6) 시공순서는 먼저 H-PILE을 타입한 후 굴착 단계별로 토류판 설치, 띠장 및 버팀보


설치, 구조물 시공, 되메우기 순으로 시행된다.

(7) 강널말뚝(SHEET PILE)공법은 토류벽의 H-PILE과 토류판을 모두 강널말뚝으로 대체하


는 공법으로 강널말뚝을 직접 타입한다.

(8) 강널말뚝 공법은 차수가 요구되는 경우와 boiling 또는 heaving이 우려되는 경우, 연
약지반 등에서 지하수 유출과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인 공법이다.

(9) 시공순서는 H-PILE 공법 시공과 동일하나 강널말뚝 자체가 토류판 역할을 하므로,
강널말뚝 타입, 띠장 및 버팀보 설치, 구조물 시공, 되메우기 순으로 시행된다.

(10) 엄지말뚝 및 강널말뚝은 축방향력과 휨모멘트에 대하여 모두 안전하도록 설계한다.

(11) 이 밖에도 가시설 공법은 다양하게 있으며, 지형 및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절한 시


공 공법을 적용한다.

(12) 가시설 일반도에는 H-PILE 또는 강널말뚝의 설치간격 및 근입 깊이, 띠장 및 버팀보


설치 간격, 사보강재 등에 대한 치수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표기한다.

(13) 지반의 조건을 파악할 수 있도록 보링주상도를 표기한다.

(14) 교각 기초에 대한 가시설 일반도 및 계측기 위치도 예시는 [그림 4-9]와 같다.

109
[그림 4-9] 교각 기초 가시설의 일반도 및 계측기 위치도 예시(H-PILE + 버팀보 공법)

(15) 가시설 형태에 따라 버팀보 및 띠장 연결, 사보강재 등 가시설 중요부위에 대한


가시설 상세도를 작성한다.

(16) 가시설 상세도는 타입별로 표준화할 수 있으며, 각 타입별 수량 및 공정이 누락되


지 않도록 주의한다.

(17) 버티보 및 띠장, 사보강재에 대한 가시설 상세도 예시는 [그림 4-10]과 같다.

[그림 4-10] 가시설 상세도 예시

110
4-2. 교량 구조도 작성

• 설계방법에 따른 하중계수,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 시공방법, 시공순서를 고려하여 구조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 내진설계 및 피로설계에 따른 상세사항을 관련 시방규정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 온도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변위 및 구조물 단면력을 상세히 검토하여 설계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상부구조의 계산에 따라 구조물 각 부위의 단면력 계산결과와 관련 시방서 규정에
따라 구조상세도를 작성할 수 있다.
• 표준활하중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 하중조합은 가장 불리한 조건으로 설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교량 구조도의 일반사항

1. 용어 정의
철도설계의 교량 용어는 「철도설계기준(노반편) 제8장 교량 일반사항 및 제10장 콘크리
트교」(국토교통부, 2015)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갈고리: 철근의 정착 또는 겹침이음을 위하여 철근 끝의 구부린 부분을 말한다.

(2) 계수하중(factored load): 강도설계법에 의해 부재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하중으로서,


사용하중에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을 말한다.

(3) 강도감소계수(strength reduction factor): 재료의 공칭강도와 실제강도 간의 불가피한


차이, 제작 또는 시공, 저항의 추정 및 해석 모형 등에 관련된 불확실성 등을 고려
하기 위한 안전계수를 말한다.

(4) 공칭강도(nominal strength): 강도설계법의 규정과 가정에 따라 계산된 부재 또는 단


면의 강도를 말하며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하기 이전의 강도를 말한다.

(5) 내진등급: 중요도에 따라서 교량을 분류하는 범주로서 내진ⅱ등급, 내진ⅰ등급으로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6) 단면력: 하중작용에 의해 부재단면에 생기는 휨모멘트, 전단력, 축방향력(또는 축력)


및 비틀림모멘트를 말한다.

(7) 배력철근(distributing bar): 집중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


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8) 부모멘트: 바닥판 및 부재 상측에 인장응력을 생기게 하는 휨모멘트

111
(9) 사용하중(service load): 고정하중 및 표준열차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것이며, 작용하중이라고도 말한다.

(10) 설계강도: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φ)를 곱한 강도를 말한다.

(11) 설계단면력: 하중작용에 의해 부재단면에 생기는 휨모멘트, 전단력, 축방향력 및


비틀림모멘트를 말한다. 강도설계법에서는 계수하중작용에 의해 생기는 부재의 단
면력이므로 소요강도라고도 한다.

(12) 설계하중: 부재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적용 가능한 모든 하중을 말한다. 강도설계


법에서는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계수하중)이고, 허용응력설계법에서는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하중(사용하중)이 설계하중이 된다.

(13) 정모멘트: 바닥판 및 부재 하측에 인장력을 생기게 하는 휨모멘트를 말한다.

(14) 정착길이: 위험단면에서 철근의 설계강도를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철근의 묻힘 길


이를 말한다.

(15) 주철근: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서 하중작용에 의해 생긴 단면력에 대하여 소


요 면적을 산출한 철근을 말한다.

(16) 피복두께: 콘크리트 표면과 그에 가장 가까이 배치된 철근표면 사이의 콘크리트


두께를 말한다.

(17) 하중계수(load factor): 하중의 공칭값과 실제 하중 간의 불가피한 차이, 하중을 작


용외력으로 변환시키는 해석상의 불확실성, 예기치 않은 초과하중, 환경작용 등의
변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사용하중에 곱해 주는 안전계수를 말한다.

(18) 확대기초: 구조체인 기둥 또는 벽체를 지지하면서 그 하중을 말뚝이나 지반에 전


달하는 판상 구조물을 말한다.

2. 표준활하중

(1) 철도의 선로 구조물 설계 시 일반철도와 고속철도로 이원화된 하중체계를 단일하중


으로 통합함으로써 국제화에 대비하고 적용이 편리한 열차하중으로 개정한 것이
KRL-2012 표준열차하중이다.

(2) 여객 및 화물 혼용선에 적용하는 KRL-2012 표준활하중은 [그림 4-11]과 같다.

출처: 국토교통부(2014).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국토교통부, p.49


[그림 4-11] 여객 및 화물 혼용선의 KRL-2012 표준활하중

112
(3) 여객 전용선은 KRL-2012 표준활하중의 75%를 적용하며 [그림 4-12]와 같다.

출처: 국토교통부(2014).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국토교통부, p.49


[그림 4-12] 여객 전용선의 KRL-2012 표준활하중

(4) 전동차 전용선은 EL 표준활화중을 적용하며 [그림 4-13]과 같다.

출처: 국토교통부(2014).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국토교통부, p.50


[그림 4-13] 전동차 전용선의 EL 표준활하중

113
수행 내용 / 교량 구조도 작성하기

재료·자료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철도분야 전자도면 작성표준


철도설계규칙, 철도설계기준, 하천설계기준(국토교통부)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한국철도시설공단)


토목공사 일반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1:1,000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 본선횡단면도


수리·수문 보고서


구조 계산용 S/W 사용자 매뉴얼


CAD 사용자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구조 계산용 S/W


문서 작성용 S/W


데이터베이스 작업용 S/W


도면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교량의 일반도와 구조도 도면이 상호 관련성을 갖고 있으므로 각 도면 간의 설계 내용이 상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교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적합한 하중조합과 계수를 적용해야 한다.


철근 배치 시 상부·하부 구조물의 설치 위치 및 기초형식에 따른 적절한 피복두께를 적용해야
한다.


교량의 철근 조립은 매우 복잡하므로 주철근과 배력철근의 철근량이 부족하지 않도록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며, 철근가공이 용이하도록 배치해야 한다.

114
수행 순서

󰊱 구조물의 철근 배근에 대한 기초를 파악한다.

1. 철근가공

(1) 철근가공에 있어서 갈고리는 90°표준갈고리, 135°표준갈고리, 180°표준갈고리가


있다. 구조도의 철근갈고리는 <표 4-10>, [그림 4-14]를 참조하여 설계한다.
<표 4-10> 철근의 표준갈고리 가공 기준
구분 주철근 스터럽과 띠철근
∙ D16 이하 철근:
90° 90°구부린 끝에서 6db 이상 연장
90°구부린 끝에서 12db 이상 연장
표준갈고리 ∙ D19~D25 철근:
90°구부린 끝에서 12db 이상 연장
135° ∙ D25 이하 철근:
-
표준갈고리 135°구부린 끝에서 6db 이상 연장
180° 180°구부린 끝에서 4db 이상 또는
-
표준갈고리 60mm 이상 연장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p.10-23~10-24

[그림 4-14] 철근의 표준갈고리

(2) 90°표준갈고리와 180°표준갈고리의 구부림 내면반지름은 <표 4-11>의 값 이상으


로 한다.
<표 4-11> 구부림 최소 내면반지름(r)
철근 크기 최소 내면반지름(r)
D10~D25 3db
D29~D35 4db
D38 이상 5db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p.10-24

(3) D16 이하의 스터럽과 띠철근의 구부림 내면 반지름은 2db 이상으로 하며, D19 이상은
<표 4-11>을 따른다.

115
2. 철근배치

(1) 철근은 정확한 배치 및 움직임 방지를 위해 적절한 지지를 하며, 시공이 편리하도
록 배치한다.

(2) 철근 조립을 위해 교차되는 철근은 용접하지 않는다.

(3) 철근의 간격은 동일 평면에서 평행하는 철근 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25mm 이상, 철


근의 공칭 지름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이상으로 한다.

(4) 상단과 하단에 2단 이상으로 배치할 경우 상하 철근은 동일 연직면 내에 배치하며,


상하 철근의 순간격은 25mm 이상으로 한다.

(5)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40mm 이상, 철근 공칭지름의 1.5배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이상으로 한다.

(6) 벽체 및 슬래브의 주철근 간격은 벽체나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450mm 이하로
한다.

(7) 철근의 순간격 규정은 서로 접촉된 겹침이음 철근과 인접이음 철근 또는 연속철근


사이의 순간격에도 적용한다.

(8) 2개 이상의 철근을 묶어서 사용하는 다발철근은 이형철근으로, 그 개수는 4개 이하


로 하며, 스터럽이나 띠철근으로 묶는다.

3. 최소피복두께

(1) 철근 배치 시 최소피복두께는 본 학습모듈 「2-2. 본선부속 도면 작성」의 「<표


2-6>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최소피복두께」를 참조하여 설계한다.

(2) 그 외 특별한 경우에는 철도설계기준에 따라 피복두께를 적용하여 설계한다.

4. 철근의 정착

(1) 철근콘크리트 부재 각 단면의 철근에 작용하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단면의 양측


에서 발휘될 수 있도록 묻힘길이, 갈고리, 기계적 정착 등에 의해 철근을 정착해야
한다.

(2) 인장부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  는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 
  
  

(3) 압축부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  는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 
  
 
 

(4) 이 밖의 철근정착에 대한 상세한 규정은 철도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한다.

116
5. 철근의 이음

(1) 철근의 이음은 용접이음과 기계적 이음이 있으며, 철근 이음은 설계기준항복강도


  의 125% 이상을 발휘할 수 있게 설계한다.

(2)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을 할 수 없다.

(3) 인장력을 받는 이형철근의 겹침이음길이는 A급과 B급으로 분류한다.

(4) 겹침이음의 길이는 A급은 1.0 , B급은 1.3 값 이상, 300mm 이상으로 설계한다.

(5) 겹침이음에서 A급 이음은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 결과 요구되


는 소요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길이 내 겹침이음 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B급 이음은 A급 이음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이
다.

(6) 압축철근의 겹침이음길이는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  
 
   
  

이때 위 식으로 산정된 이음길이는   가 400MPa 이하인 경우는    ,, 400MPa


초과인 경우는      보다 길 필요가 없다.

(7) 압축부의 겹침이음길이는 300mm 이상이어야 하며, fck=21MPa 미만인 경우는 겹침


이음길이를 1/3 증가시킨다.

(8) 서로 다른 크기의 철근을 압축부에서 겹침이음하는 경우 이음길이는 큰 철근의 정


착길이와 작은 철근의 겹침이음길이 중 큰 값 이상으로 설계한다.

(9) 이 밖의 철근이음에 대한 상세한 규정은 철도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한다.

󰊲 상부·하부 구조물의 구조도를 작성한다.


교량은 상부형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도를 작성하게 되므로 본 학습모듈에서는 철근콘크리
트교의 일반적인 사항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1. 상부 슬래브의 구조도

(1) 상부 구조물의 철근 구조도는 구조계산에 의해 산출된 철근량을 안정성과 시공성을


고려하여 도면화시킨 것으로 최소철근량, 철근이음길이 및 정착길이 등을 준수하여
설계해야 한다.

(2) 마주 보는 두 변에 지지되는 1방향 슬래브는 강도설계법의 규정에 따라 설계한다.

(3) 휨부재의 최소철근량은 아래의 두 식으로 계산된 값 중에서 큰 값 이상으로 한다.



  
  m in       m in    
  

117
(4) 압축부재의 최소철근 규정에 따라 비합성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 단면적은 전체
단면적의 0.01배 이상, 0.08배 이하로 한다.

(5)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간격은 위험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


의 2배 이하, 300mm 이하로 설계한다.

(6) 기타 단면에서의 철근중심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450mm 이하로 설계한다.

(7) 철근콘크리트 보와 일체로 만든 연속 슬래브의 휨모멘트 및 전단력은 단순받침부


위에 놓인 연속보로 가정하여 탄성해석을 할 수 있다.

(8) 슬래브 양단부의 보의 처짐이 서로 다를 때는 그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9) 보의 압축철근은 띠철근이나 스터럽으로 둘러싸야 한다.

(10) 하중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 외에도 필요에 따라 온도변화, 건조수축


등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적인 보강철근을 배치한다.

(11) 슬래브에서 휨철근이 1방향으로만 배치되는 경우에는 휨철근의 직각방향으로 수축


및 온도철근을 배치한다.

(12) 수축 및 온도철근의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5배 이하, 450mm 이하로 한다.

(13) 상부 슬래브 구조도는 평면, 측면, 단면의 철근 배치, 횡빔의 단부 및 중간부 상


세, 교측보도 상세, 횡빔철근 연결 상세, 간격재 상세 등 상부 슬래브의 구조도 작
성에 있어서 중요 부분을 도면화시키고 주석을 표기하며, 철근 상세 및 철근집계
표를 작성한다.

(14) 구조도의 철근은 주철근과 배력철근, 횡빔철근, 스터럽 등 철근의 종류별, 철근가
공 형태별 혹은 설치 위치 등에 따라 구분이 용이하도록 철근부호를 부여한다.

(15) 철근집계는 철근 직경별로 산출한다. 이때 각 철근의 부호별로 길이 및 수량, 총


길이를 산출하고 총 중량과 할증중량을 산출한다.

(16) 직경별 철근의 단위중량은 본 학습모듈 학습 2의 <표 2-7>을 참조하여 설계한다.


이때 철근의 단위중량 단위는 kgf/m이다.

(17) 철근의 총중량과 할증중량 단위는 ton으로 하며,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표기한다.

(18) 상부 슬래브의 설계방법 및 재료 강도를 도면의 우측 상단에 표기한다.

118
[그림 4-15] 교량 상부 슬래브 구조도(1) 예시(PSC BEAM L=25.0m 단선 교량)

[그림 4-16] 교량 상부 슬래브 구조도(2) 예시(PSC BEAM L=25.0m 단선 교량)

119
2. 상부 거더의 구조도

(1) 상부 거더의 구조도는 평면과 측면, 지점부 단면, 중앙부 단면, 단부 보강철근 등을
거더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설계한다.

[그림 4-17] PSC 거더 구조도(1) 예시(L=19.9m)

3. 하부 구조물의 구조도

(1) 교대·교각 설계 시 하중조합은 가장 불리한 하중조합에 대하여 부재력 결정 및 안


정검토를 하여 설계한다.

(2) 하부 구조물 부재의 설계는 일반적으로 강도설계법을 원칙으로 하며, 설계계산 시


부재의 설계단면력은 탄성이론에 의하여 산출한다.

(3) 휨부재의 최소철근량은 본 학습모듈의「1. 상부 슬래브의 구조도 (3)항」에 따라 설계한다.

(4) 압축부재의 축방향 철근량은 총 단면적의 1~8% 범위로 하며, 축방향 철근배치가 원형일
경우에는 6개 이상, 사각형일 경우에는 4개 이상으로 한다. 이때 철근은 D16 이상으로 한다.

(5) 주철근은 D13 이상의 철근으로 하며,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 등의 시공성을 위하여


2단 이하로 배치한다.

(6) 나선철근은 지름 10mm 이상의 굵기를 사용하며, 순간격은 25mm 이상, 75mm 이하
또는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2배 이상으로 한다.

(7) 나선철근은 기초 슬래브의 윗면에서 그 위에 지지된 부재의 최하단 수평철근까지


연장하여 배치한다.

(8) 나선철근은 수직간격재에 의해 제 위치에 단단하고 곧게 조립되어야 한다.

120
(9)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종방향 철근지름의 16배 이하, 띠철근이나 철선지름의 48배
이하로 한다.

(10) 확대기초 윗면에 배치되는 첫 번째 띠철근 및 슬래브 최하단 수평철근 아래에 배


치되는 첫 번째 띠철근 간격은 다른 띠철근 간격의 1/2 이하로 한다.

(11) 교량의 구조도는 철근 조립 및 배치가 매우 복잡하므로 설계 시 도면 상호 간에


관계가 명확하도록 작성한다.

(12) 교대 구조도 도면은 정면도, 측면도, 기초평면도, 주철근조립도, 좌·우측 날개벽의


전면도 및 배면도, 교량받침 상세도, 철근 상세 및 철근집계표 등으로 구성한다.

(13) 교각 구조도 도면은 정면도, 측면도, 코핑부 평면도 및 단면도, 기둥 단면도, 기초


평면도, 교량받침 상세도, 철근 상세 및 철근집계표 등으로 구성한다.

(14) 구조도는 구조계산에 의해 산출된 값으로 주철근을 배치하며, 인장부와 압축부의


주철근 배치간격이 상이할 경우 철근 간격에 따라 반복주기(cycle)를 표기하여 주
철근 조립도를 작성한다.

(15) 교대 구조도의 정면도는 전면과 배면, 흉벽에 대한 철근 배치를 이해하기 쉽도록


분할하여 작성할 수 있으며, 철근부호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16) 정면도 작성 시 전면과 배면의 구조도를 분할하여 작성하고 철근배치 간격이 상이


할 경우, 치수는 전면과 배면의 전체 치수를 각각 구분하여 기입한다.

(17) 2단 배근의 경우 2단 배근 위치 및 철근부호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작성한다.

(18) 교대 구조도에 대한 예시는 [그림 4-18], [그림 4-19]와 같다.

[그림 4-18] 교대 구조도(1) 예시

121
[그림 4-19] 교대 구조도(2) 예시

(19) 교각 구조도에 대한 예시는 [그림 4-20], [그림 4-21]과 같다.

[그림 4-20] 교각 구조도(1) 예시

122
[그림 4-21] 교각 구조도(2) 예시

123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교량 구조물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교량 일반도, 구조도 도면의 시청각 자료를 제시한다.

• 교량 설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철도설계기준, 철도건설규칙의 관련 규정을 자료로 제시


한다.

• 교량 형식 선정 과정을 이해하고 최적의 설계를 할 수 있도록 Flow chart 등의 시청각 자료를


제시한다.

• 교량의 구조형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형식의 종류 및 특징 등을 비교할 수 있는


시청각 자료를 제시한다.

• 철도 구조물 설계 시 적용하는 표준활하중, 설계방법, 하중조합 등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구조계산


서에 의한 구조도 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구조물의 철근 배치, 겹침이음과 정착 길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확한 구조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철근의 가공, 수량 산출 및 집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교량 구조물의 형식과 종류, 작성 지침에 대한 기본지식을 파악하고 철도설계기준, 철도건설규칙


에 부합된 교량 설계도면 작성에 활용한다.

• 교량 경간장 및 상부형식, 하부형식 선정 기준에 대해 이해하고 습득한다.

• 교량 상부 및 하부 구조물의 일반도 작성의 과정을 이해하고 습득한다.

• 교량 구조물 설계 시 가시설 공법 적용에 대해 이해하고 습득한다.

• 구조물의 철근배근에 대한 기초사항을 이해하고 습득한다.

• 교량 상부 및 하부 구조물의 일반도 및 구조도 작성법을 습득한다.

124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조사·계획업무 결과로 선정된 최적안의 구조형식에 따


라 각 구조물의 상부·하부·기초 구조의 단면을 설정
하고, 구조물의 안정성과 사용성, 내구성을 검토한 후
상세히 설계할 수 있다.

- 구조물의 각 단면을 상세히 산정하고 관련 시방서에서


교량 일반도 작성 규정된 해석 방법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 도로 위를 횡단하는 철도교량은 도로면에서 차량 통행이


가능한 통과높이를 확보하고, 철도 위를 횡단하는 교량
등 입체화 시설은 레일면에서 7.0m 이상 확보할 수 있다.

- 구조물 설치상 가시설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가시설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설계방법에 따른 하중계수,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 시공방법, 시공순서를 고려하여 구조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 내진설계 및 피로설계에 따른 상세사항을 관련 시방 규


정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교량 구조도 작성 - 온도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변위 및 구조물 단면력을 상


세히 검토하여 설계할 수 있다.

- 상부구조의 계산에 따라 구조물 각 부위의 단면력 계산


결과와 관련 시방서 규정에 따라 구조상세도를 작성할
수 있다.

- 표준활하중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 하중조합은 가장 불리한 조건으로 설계할 수 있다.

125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 상부·하부·기초 구조물의 단면을 안정성, 사용


성, 내구성을 고려하여 선정 및 설계에 적용 여부

- 교량 구조물의 상부, 하부, 기초 형식을 시방서 규정에


맞게 모델링하였는지 여부
교량 일반도 작성

- 철도교량과 도로의 교행 시 규정에 따른 다리 밑 공간


확보 여부

- 하부구조물 설치상 가시설 필요시 가시설 설계 여부

- 구조계산 시 규정된 하중계수, 강도감소계수 적용 여부

- 시공을 고려한 구조계산의 수행 여부

- 시방 규정에 따른 내진설계 및 피로설계 반영 여부

교량 구조도 작성 - 온도변화에 따른 변위 및 단면력의 설계 반영 여부

- 각 부위별 단면력 계산결과와 설계도면의 일치 여부

- 규정에 따른 표준활하중 적용 여부

- 규정에 따른 하중조합 반영 여부

126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 상부·하부·기초 구조물의 단면을 안정성, 사용


성, 내구성을 고려하여 선정 및 설계에 적용 여부

- 교량 구조물의 상부, 하부, 기초 형식을 시방서 규정에


맞게 모델링하였는지 여부
교량 일반도 작성

- 철도교량과 도로의 교행 시 규정에 따른 다리 밑 공간


확보 여부

- 하부구조물 설치상 가시설 필요시 가시설 설계 여부

- 구조계산시 규정된 하중계수, 강도감소계수 적용 여부

- 시공을 고려한 구조계산의 수행 여부

- 시방 규정에 따른 내진설계 및 피로설계 반영 여부

교량 구조도 작성 - 온도변화에 따른 변위 및 단면력의 설계 반영 여부

- 각 부위별 단면력 계산결과와 설계도면의 일치 여부

- 규정에 따른 표준활하중 적용 여부

- 규정에 따른 하중조합 반영 여부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교량 일반도 및 구조도의 기본사항과 구성, 기준에 대하여 보충하여 안내한다.
- 제출한 내용을 평가한 후 주요 사항을 표시하여 설명한다.
- 진행 과정 중 필요시마다 피드백하여 실습 활동을 쉽게 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자신이 학습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준거를 제공한다.
- 철도설계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피평가자 자신이 교량 구조형식의 적정한 선정 및
교량 구조물의 시공성, 경제성, 유지관리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도면을 작성했는지
파악하고, 이에 도달하지 못하면 보완 설명한다.

127
학습 1 종평면도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1)
학습 2 토공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2)
학습 3 용·배수공 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3)
학습 4 교량도면 작성하기(LM1402011007_14v2.4)

터널도면 작성하기
학습 5
(LM1402011007_14v2.5)

5-1. 터널 종평면도 및 표준단면 작성

• 일반적인 설계방법, 시방서 지침 이외의 특정한 사항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설계방법, 기준, 시방서 지침에 대해 기재할 수 있다.
• 방수방식은 현장상황과 터널형상·규모의 터널조건을 감안하여 공사의 시공성, 경제
성, 유지관리성을 종합 검토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내공단면은 터널목적 기능에 따라 소요 건축한계와 선형 조건에 따른 확폭량, 제반
설비의 설치공간, 유지관리에 필요한 여유폭을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다.
• 콘크리트라이닝 형상은 소정의 내공단면을 유지하여 구조적으로 유리한 단면이 되
도록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터널 설계의 일반사항
터널 설계의 일반사항은 「철도설계기준(노반편)의 제12장 터널」의 기준을 바탕으로 구성
하였으며, 본 학습모듈에 수록되지 않은 기타 내용은 철도설계기준을 참고한다.

1. 터널 관련 용어 정의

(1) 계측: 터널굴착에 따른 주변지반, 주변 구조물 및 각 지보재의 변위 및 응력의 변화


를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2) 굴착공법: 터널굴착방향의 굴착계획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전단면굴착공법, 분할굴착


공법, 선진도갱굴착공법 등을 말한다.

(3) 대피로: 터널 내의 화재 발생 시 안전지역으로 대피자를 탈출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본선터널과 평행한 별도의 터널이나 경사갱 및 연직갱 등을 말한다.

128
(4) 록볼트(rock bolt): 굴착암반면의 보강을 위하여 삽입하는 볼트이며, 암반을 일체화함
으로써 원지반의 안정을 위하여 설치한다. 록볼트의 정착방식에는 선단정착방식, 전
면정착방식, 병용방식이 있다.

(5) 버력: 터널 굴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암석덩어리, 암석조각, 토사 등의 총칭이다.

(6) 벤치(bench): 터널 단면을 상·하로 분할하여 굴착하는 경우에 분할면을 말한다.

(7) 숏크리트(shot-crete):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가압시켜 노즐로부터 뿜어내어 소정의


위치에 부착시켜 시공(타설)하는 콘크리트를 말한다.

(8) 인버트(invert): 터널단면의 바닥 부분을 통칭하며, 원형 터널의 경우 바닥부 90°구


간의 원호 부분, 마제형 및 난형 터널 하반의 바닥 부분을 지칭한다. 인버트의 형상
에 따라 곡선형 인버트와 직선형 인버트로 분류하며, 인버트 부분의 콘크리트라이
닝 타설 유무에 따라 폐압형 또는 비폐압형 콘크리트라이닝으로 분류한다.

(9) 접속부: 단면의 형태 및 규모가 같거나 다른 터널이 서로 접속되는 구간을 말한다.

(10) 주지보재: 굴착 후 시공하는 지보재로서 보조지보재 및 콘크리트라이닝을 제외한


지보재의 총칭이다. 주지보재는 강지보재, 숏크리트 및 록볼트 등으로 구성된다.

(11) 지보재: 굴착 시 또는 굴착 후 터널의 안정 및 시공의 안전을 위하여 지반을 지지,


보강 또는 피복하는 부재를 말한다.

(12) 지보패턴: 터널굴진면의 지반 상태와 터널 전단부 및 그 상부의 지반상태,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터널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적용되는 지보 형태를 말한다. 터널굴
착 후 조기에 터널의 안정을 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숏크리트, 록볼트, 강지보공
과 보조공법 등을 조합한 것이다.

(13) 콘크리트라이닝: 터널의 가장 내측에 시공되는 무근 또는 철근 콘크리트의 터널부


재를 말한다.

(14) 표준지보패턴: 지반의 등급에 따라 미리 표준화한 지보패턴을 말한다.

(15) Q-System: 바톤 등이 제안한 정량적인 암반 분류의 하나이며 RQD, 절리군 수, 불


연속면 거칠기, 불연속면 변화 정도, 지하수에 의한 감소계수, 응력감속계수 등을
반영하여 암반을 분류하는 방법을 말한다.

(16) RMR(Rock Mass Rating) 분류: 비에니아스키가 제안한 정량적인 암반 분류방법이며


암석강도, RQD, 불연속면 간격, 불연속면 상태, 지하수 상태, 불연속면의 상대적
방향 등을 반영하여 암반 상태를 분류하는 방법을 말한다.

129
2. 터널의 계획

(1) 터널은 지역여건, 지형상태, 토지이용 현황 및 장래전망, 지반조건 등 사전조사 성


과를 기초로 하여 계획한다.

(2) 터널은 건설의 적합성, 안전성, 시공성, 공법 적용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계획


한다.

(3) 터널은 내공단면 크기에 따라 단선터널, 복선터널, 대단면터널로 구분하고, 길이에


따라 1,000m 미만은 짧은 터널, 1,000~5,000m는 장대터널, 5,000m 이상은 초장대
터널로 구분한다.

(4) 터널의 구조와 형상은 사용목적, 지형, 지반, 시공법 및 하중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
정한다.

130
수행 내용 / 터널 종평면도 및 표준단면 작성하기

재료·자료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철도분야 전자도면 작성표준


철도설계규칙, 철도설계기준, 터널설계기준,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국토교통부)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한국철도시설공단)


터널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
토목공사 일반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1:1,000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


지반조사 보고서, 수리·수문 보고서


구조 계산용 S/W 사용자 매뉴얼


CAD 사용자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구조 계산용 S/W


문서 작성용 S/W


데이터베이스 작업용 S/W


도면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철도설계는 선로 종·평면도와 터널의 설계 도면이 상호 관련성을 갖고 있으므로 각 도면 간의
설계 내용이 상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터널구간의 배수시설은 배수로 수위를 시공기면보다 낮게 하여 터널 내 배수가 용이하게 해야
한다.


터널의 갱구는 계곡부의 수로 등을 피하고, 갱문 뒤의 비탈 길이를 가급적 짧게 해야 한다.

131

터널 단면은 열차의 고속주행에 따른 공기압 영향과, 곡선구간에서 선로중심간격 및 건축한계의
변화를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
1km 이상의 터널은 방재시설에 대한 검토를 해야 한다.

수행 순서

󰊱 터널 설계의 기본요건을 파악한다.

1. 터널 설계의 기본요건

(1) 터널 설계에는 평면 및 종단선형, 굴착 지반의 분석 및 분류, 터널단면 형상, 지보


패턴 및 지보패턴 적용구간 선정, 굴착 공법 및 방법, 지보재의 규격 및 시공순서,
보조공법 및 보강공법, 방수 및 배수방법, 콘크리트라이닝의 시공, 계측계획 및 수
행방법, 환기·방재 등 부대시설, 유지관리계획, 터널시공에 따른 환경영향분석, 공
사시방서 등이 포함된다.

(2) 터널 설계는 안정성 확보를 우선으로 하고 지보재가 최적화되도록 설계한다.

(3) 터널 설계는 전철화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4) 장대터널과 초장대터널은 방재대책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5) 환기·조명·방재시설 등의 제반설비 사항 및 향후 운영 시 유지관리에 대해 필요


한 사항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2. 터널 설계방법의 선정

(1) 터널 설계는 지반의 거동특성과 지보재의 지보력이 일체되게 거동하여 터널의 안정


성이 유지될 수 있는 방법을 선정한다.

(2) 암반 분류 후 해당 등급에 적용할 표준지보패턴과 굴착방법을 정하여 설계한다.

(3) 굴착공법과 지보패턴은 안정성을 검증하며 작용하중, 공학적 특성치, 해석기법 및


경계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 터널의 종평면도를 작성한다.

1. 터널 평면도

(1) 터널선형은 지반조건과 시공성이 양호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주변 환경에 미치


는 영향이 적은 곳을 통과하도록 결정한다.

(2) 터널 갱구는 안정된 지반 및 지형에 위치하며, 시공성을 우선하여 결정하되 비탈면


에 직교하도록 선정한다.

(3) 터널을 2개 이상 병렬 또는 인접하여 계획하는 경우에는 굴착공사로 인한 지반 거


동 및 발파진동이 인접 터널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이격시켜야 한다.

132
(4) 터널 계획 시에는 터널의 부대설비, 공사용 설비, 작업터널, 사토장, 진입로 및 기
타 터널 외부설비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5) 터널의 평면도 축척은 1:1,000으로 작성한다.

(6) 터널의 위치 및 명칭을 표기하고, 터널 갱구부의 비탈면, 방호설비, 배수시설 등에


대한 설계 현황을 작성한다.

2. 터널 종단면도

(1) 터널의 기울기는 자연배수가 가능하도록 3‰ 이상으로 하고, 설계 속도에 따라 철


도건설규칙에서 규정한 설계속도에서 정한 기울기 이하가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2) 터널 기울기는 터널 입구에서 진행방향으로 가능한 상향기울기로 하여 자연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하향기울기로 하여 터
널 중앙부가 입구보다 낮을 경우에는 배수설비를 계획한다.

(3) 종단계획 시 터널의 최소토피는 터널의 구조적 안전이 확보되도록 결정하며, 최소


토피에는 장래 예상되는 토지이용 한계심도를 반영한다.

(4) 터널의 종단면도 수평축척은 1:1,000, 수직축척은 1:400으로 작성한다.

(5) 터널의 위치 및 명칭, 지반고, 계획고, 보링주상도 및 지층선을 표기하여 터널의 종


단위치를 명확히 한다.

(6) 터널의 종평면도 예시는 [그림 5-1]과 같다.

[그림 5-1] 터널 종평면도 예시

133
󰊳 터널 표준단면도를 작성한다.

1. 터널의 표준단면

(1) 직선구간의 터널 내공단면은 터널 목적 및 기능에 따른 건축한계에 시공오차에 대


한 여유를 예상하여 결정한다.

(2) 곡선구간의 터널 내공단면은 건축한계에 캔트에 의한 차량 경사량과 슬랙량을 더하


여 확대하고 측량중심으로부터 구축중심 이격거리를 설정하며, 터널 내 신호·통신
시설 공간, 여유폭, 보도, 시공오차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3) 터널의 내공단면은 지형, 지반조건 및 토피 정도에 따라 2개 이상의 소·중단면 병


렬터널이나 1개의 대단면 터널, 특수단면 터널 등의 채택 여부를 검토하여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을 확보해야 한다.

(4) 동일 작업구간 내의 터널 내공단면은 가급적 동일 규격 및 형상으로 표준화하여 시


공성을 높인다.

(5) 내공단면은 열차의 고속주행에 따른 공기저항 및 공기압 변화, 차량 밀폐도, 승차


감, 미기압파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6) 터널 표준단면은 직선 및 곡선 구간의 건축한계를 만족하는 터널 단면을 표준화시


킨 도면으로, 궤도중심과 터널중심의 이격거리, 터널 천장부와 하단부의 곡선반경,
라이닝콘크리트 두께, 터널 배수관, 보도부 및 공동구 등의 치수를 표기한다.

(7) 단선터널의 곡선구간 표준단면도 예시는 [그림 5-2]와 같다.

[그림 5-2] 터널 표준단면도 예시(좌향 곡선구간 단선터널, 콘크리트도상)

134
(8) 터널바닥에는 궤도 시공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필요시 보조도상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9) 보조도상 콘크리트 두께는 150mm 이상, 콘크리트강도 fck=180MPa 이상으로 하며,
균열 방지를 위해 와이어메시를 설치한다.

2. 콘크리트라이닝

(1) 콘크리트라이닝은 터널 주변의 지반상태, 환경조건, 주지보재의 지보능력을 고려하


여 사용 목적과 조건에 적합하고, 안정성과 내구성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2) 콘크리트라이닝은 내구연한 동안 구조체의 역학적 기능을 하도록 설계한다.

(3) 비배수형 방수형식 터널에서는 콘크리트라이닝에 수압이 작용하므로 수압을 고려하


여 설계한다.

(4) 터널 내장재로서 미관을 유지하도록 설계한다.

(5) 콘크리트라이닝의 두께는 터널 단면의 크기와 형상, 지반조건, 작용하중, 수압, 사


용재료 및 시공법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6) 콘크리트라이닝의 두께는 소단면 철도터널을 기준으로 300mm를 표준으로 하며, 현


장여건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7) 콘크리트라이닝을 철근으로 보강하는 경우 안전성과 시공성을 고려해 두께를 산정한다.

(8) 철근으로 보강하여 콘크리트라이닝을 타설할 경우 철근 처짐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소요피복두께와 건축한계를 확보한다.

[그림 5-3] 콘크리트라이닝 구조도 예시(단선터널)

135
3. 터널 배수 및 방수

(1) 터널은 지하수 처리 방법에 따라 배수형 방수형식과 비배수형 방수형식으로 구분한다.

(2) 배수형 방수형식 터널은 유입되는 지하수를 배수하는 터널로서 배수방법에 따라 완


전배수형, 부분 배수형, 외부 배수형으로 구분한다.

(3) 비배수형 방수형식 터널은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유입될 수 없도록 차단하는 방수


형식으로 지하수를 배수시키지 않으므로 콘크리트라이닝에 지하수위의 수압을 고려
해 설계한다.

(4) 부분 배수형, 외부 배수형, 비배수형의 방수방법은 숏크리트와 콘크리트라이닝 사이


에 방수막을 설치하여 유입수를 차단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5) 터널의 배수는 숏크리트와 콘크리트라이닝 사이 방수막에 유입지하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통수 능력을 갖은 부직포를 설치하여 터널 측벽 하단으로 유입수를 유도
하게 설계한다. 이때 배수재는 방수막과 일체형으로 시공할 수 있다.

(6) 배수재를 통해 집수된 지하수를 배수하는 측방배수관은 직경 100mm 이상의 유공관


을 사용한다. 이때 측방배수관 설치로 인해 라이닝의 구조적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말아야 한다.

(7) 인버트의 중앙부 또는 측방에 설치하는 배수관은 콘크리트관, 아연도강관, 고밀도폴


리에틸렌관 등을 사용한다.

(8) 터널 내 배수구조물은 배수 확인공 또는 맨홀을 설치하여 청소가 용이하도록 설계


한다. 배수시스템의 개요도는 [그림 5-4]와 같다.

200

[그림 5-4] 터널 배수시스템 개요도

(9) 터널 내 유입수가 중앙집수관 및 측방 배수관 등 배수시설을 통하여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통수단면적을 확보한다.

(10) 갱구부 등 동결 우려 부분은 동결 방지대책을 강구하여 설계한다.

(11) 배수재 및 방수재료는 철도설계기준 및 시방서에 따라 선정한다.

(12) 콘크리트라이닝에 철근을 배근하는 경우, 철근의 이음부에는 방수막을 보호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여 방수막 파손을 방지한다.

136
(13) 터널의 전 구간에 대한 배수계통도와 터널과 연직갱, 개착부, 연결부, 단면확폭부
등과의 접합부는 접합 및 방수 상세를 설계한다.

(14) 비배수형 방수형식 터널의 경우 방수막과 함께 콘크리트라이닝은 수밀콘크리트로


적용하여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설계한다.

(15) 콘크리트라이닝의 시공이음부 및 수축·팽창이음부에는 지수판을 설치한다.

(16) 방수시트의 겹이음 상세도, 록볼트 두부정리 상세도 등을 작성한다.

[그림 5-5] 터널 배수상세도 예시

[그림 5-6] 터널 방수상세도 예시

137
5-2. 지보공 및 굴착도면 작성

• 터널의 단면 크기, 막장의 자립성, 지반지지력, 지표면 허용치, 제반 여건을 고려하


여 굴착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지보공의 설계는 현장 지형, 지질, 지반의 역학적 특성, 토피의 대소, 용수의 유무,
굴착단면의 크기, 지표침하의 제약, 시공법, 제반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터널 지보재 설계의 일반사항

1. 터널의 지보는 원지반의 지보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지보재는 터널 주변의 지반거동 특성에 부합하도록 설계하며, 터널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3. 터널 내부의 작업효율성, 안정성을 고려하여 지보재를 설계한다.

4. 지보재는 굴착지반을 조기에 안정시키며 인접구조물의 안정을 해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5. 터널의 주 지보재는 강지보재, 록볼트, 숏크리트 등으로 구성되며, 현장 여건에 따라 지


보재를 복합적용한다.

6. 지보재 설계 시 지반의 분류 등급과 해당 지보재의 선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7. 지보설계는 단·복선 터널 단면의 규모별로 암반 분류에 의한 표준지보패턴 설계를 원


칙으로 한다.

󰊲 터널 굴착의 일반사항

1. 터널의 굴착방법에는 인력굴착, 기계굴착, 발파굴착, 파쇄굴착 등이 있다.

2. 인력굴착은 착암기, 소형 브레이커 등 간단한 굴착도구를 사용하여 굴착하는 방법을 말


한다.

3. 인력굴착은 자립시간이 짧은 토사지반을 소규모로 분할굴착하고 조기에 지보재를 설치


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4. 기계굴착은 셔블(shovel), 브레이커, 로드헤더 등 중장비 혹은 TBM 등 터널굴진 장비를


사용하여 굴착하는 방법을 말한다.

5. 기계굴착은 지반의 이완을 최소화하고 막장의 안정을 유지하며 여굴이 적게 발생한다.

138
6. 기계굴착은 절리가 심하게 발달한 암반, 심한 파쇄대, 토사지반 등에 적용한다.

7. TBM(Tunnel Boring Machine)이란 소규모 굴착장비나 발파방법에 의하지 않고 굴착에서


버력처리까지 기계화·시스템화되어 있는 대규모 굴착기계를 말한다.

8. 일반적으로 TBM은 Open TBM과 실드 TBM으로 구분한다.

9. 발파굴착은 가장 일반적인 암반굴착방법으로 착암기나 점보드릴 등의 천공장비로 천공


된 공에 화약을 장약하고 그 폭발력으로 암반을 굴착하는 방법을 말한다.

10. 파쇄굴착은 인력굴착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견고한 암반에서 기계 또는 저진동 발파굴


착을 채택하기 어려운 경우나,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굴착을 말한다.

11. 굴착방법은 원지반이 본래 가지고 있는 지지능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으며 안정성,


경제성, 시공성이 우수한 방법을 선정한다.

12. 지반 조건, 지하수 유입 정도, 굴착단면의 크기와 형태, 터널연장, 근접 구조물의 유무


와 주변환경 영향, 보조공법의 적용성을 고려하여 굴착방법을 선정한다.

13. 굴착공법은 일반적으로 <표 5-1>과 같이 분류한다.


<표 5-1> 터널 굴착공법의 분류
굴착 공법 정 의 비 고
전단면 굴착 전단면을 1회에 굴착
롱벤치 벤치길이: 3D 이상 D: 터널의 직경
수평
쇼트벤치 벤치길이: 1D~3D
분 분할
할 미니벤치 벤치길이: 1D 미만
굴착
굴 다단벤치 벤치길이: 3개 이상

연직분할굴착 연직방향으로 분할굴착
선진도갱굴착 단면의 일부분을 먼저 굴착
가인버트 굴착 벤치 상부에 숏크리트 타설 후 굴착 숏크리트로 가인버트 형성
출처: (사)한국터널공학회(2007). 『터널설계기준』. 도서출판 씨아이알. p.76

139
수행 내용 / 지보공 및 굴착도면 작성하기

재료·자료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철도분야 전자도면 작성표준


철도설계규칙, 철도설계기준, 터널설계기준,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국토교통부)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한국철도시설공단)


터널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
토목공사 일반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1:1,000 선로평면도, 선로종단면도


지반조사 보고서, 수리·수문 보고서


구조 계산용 S/W 사용자 매뉴얼


CAD 사용자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공학용 계산기


구조 계산용 S/W


문서 작성용 S/W


데이터베이스 작업용 S/W


도면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철도설계는 선로 종·평면도와 터널의 설계 도면이 상호 관련성을 갖고 있으므로 각 도면 간의
설계 내용이 상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터널굴착은 안전성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굴착에 의한 지반의 변위를 수시로 점검해야
하며, 필요시 주공법과 보조공법을 병행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
계측기기의 설치시기, 계측위치, 배치간격, 측정빈도 및 측정기간 등은 터널 굴착에 따른 지반
및 지보재의 거동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도서에 명기해야 한다.

140
수행 순서

󰊱 지보재 설계기준을 파악하고 도면을 작성한다.

1. 강지보재

(1) 강지보재는 숏크리트 또는 록볼트의 지보기능이 발휘되기까지 굴착면의 안정을 도


모하기 위해 사용한다.

(2) 강지보재는 숏크리트, 록볼트 등의 지보재와 일체되어 소요의 지보기능을 발휘하도


록 규격과 배치간격을 정한다.

(3) 강지보재의 이음은 시공순서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이음개소가 최소가 되도록 하


며, 제거와 추가이음이 요구되는 곳에는 시공이 가능하도록 설계에 반영한다.

(4) 강지보재의 단면은 강지보재 설치 후에도 숏크리트의 타설이 용이하고, 숏크리트와


일체화되기 쉬운 형상으로 한다.

(5) 강지보재는 일반적으로 H형강, U형강 및 격자 지보재(lattice girder) 등을 사용한다.


<표 5-2> H형강 지보재와 격자 지보재의 장단점 비교
구분 H형강 지보재 격자 지보재

형상

∙ 격자 지보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가지 ∙ H형강 지보재에 대비 40~60% 정도 가볍기


며, 풍화암 및 토사구간에서 초기 강 때문에 운반 및 설치가 용이
성 확보에 유리 ∙ 막장의 조기 안정 및 터널 굴착 후 조기 설치
∙ 공장에서 자동화 설비에 의하여 제 가능
작되므로 양질의 재료가 사용됨 ∙ 격자지보 배면의 공극 발생 최소화 및 격자지
장점 ∙ 국내 시공실적이 매우 많고 시공에 보와 숏크리트 사이가 일체화된 구조물을
대한 경험이 축적되어 있음 만들 수 있으므로 합성 부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음
∙ 숏크리트와 결합성(밀착성)이 우수하여 방
수 효과가 뛰어나고 고품질의 구조체를 만들
수 있음
∙ 중량이 무거워 시공 시 운반 및 설치 ∙ H형강 지보재에 비해 강성이 낮으므로 비교
불리 적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지반에서는 불리한
∙ 굴착 후 지반안정성 확보에 불리 측면이 있음
단점 ∙ 숏크리트 타설 시 배면에 공극 발생 ∙ 강봉을 연결 부재로 용접하여 제작하므로
으로 숏크리트와 H형강의 분리거동 완벽한 용접이 이루어져야만 양질의 격자지
을 하게 되고 지하수 유입경로를 제 보를 제작할 수 있음
공하는 경우가 있음
출처: ㈜유신 외 2개 사(2014). 『이천~충주 철도건설 제1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p.1409

141
(6) H형강, U형강의 재질은 KS D3503에 규정된 SS 400, 격자지보의 재질은 KS D3504에
규정된 SD500W를 표준으로 한다.

(7) 숏크리트에 의하여 강지보재가 고정되기 전까지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지보재
사이에 강재 간격재를 설치한다. 이때 설치간격은 1.5~2.0m를 표준으로 한다.

(8) 강지보재의 상세도면에는 지보재의 설치형상, 단면, 간격, 재료표 등을 작성하며, 시공


시 주요사항에 대한 주석을 표기한다. 격자지보의 도면 예시는 [그림 5-7]과 같다.

[그림 5-7] 격자지보 상세도 예시(단선터널)

2. 숏크리트

(1) 숏크리트는 일반 숏크리트와 고강도 숏크리트로 구분한다.

(2) 숏크리트용 시멘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잔골


재는 입경 0.1mm 이하,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10mm 이하로 한다.

(3) 숏크리트는 지반강도 및 지보재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가 발휘되도록


배합재료 및 혼합방법이 최적화되도록 설계한다.

(4) 숏크리트의 최소 두께는 사용 목적, 지반 조건, 단면의 크기, 지보재 안정성 및 시


공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50mm 이상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타설된 숏크리트가 자중으로 인하여 박리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또는 숏크리트의


인장강도 및 전단강도 등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철망을 사용할 수 있다.

(6) 철망은 KS D 7017에 규정된 용접철망을 사용하여야 하며, 철망의 지름은 5mm 내외,
개구 크기는 100×100mm 또는 150×150mm인 철망을 표준으로 한다.

142
3. 록볼트

(1) 록볼트 설계 시 록볼트 소재와 록볼트 자체의 항복하중과 정착방법을 검토한다.

(2) 록볼트 설계 시 지반 상태, 불연속면의 분포, 용출수 등을 고려하며 봉합작용, 보형


성작용, 내압작용, 아치형성작용, 지반보강작용 등의 목적에 적합하게 설계한다.

(3) 록볼트의 봉합작용이란 발파 등에 의하여 이완된 암괴를 이완되지 않은 원지반에


고정하여 낙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말한다.

(4) 록볼트의 봉합작용이 강조되어 인장력이 발생되는 경우는 소요 인발내력에 대해 충


분한 안전율을 갖는 재질과 형상의 록볼트를 채택한다.

(5) 록볼트는 소요의 강도 이상을 가지는 이형봉강을 사용하며, 원지반 조건 및 사용목


적을 고려하여 재질을 선정한다.

(6) 록볼트로 사용되는 봉강의 기계적 성질은 <표 5-3>과 같다.


<표 5-3> 록볼트로 사용되는 봉강의 기계적 성질
기계적 성질
종류 재질 기호
항복점(MPa) 인장강도(MPa) 연신율(%)(시험편 2호 기준)
SD350 350 이상 490 이상 18 이상
이형봉강
SD400 400 이상 560 이상 16 이상
출처: (사)한국터널공학회(2007). 『터널설계기준』. 도서출판 씨아이알. p.55

(7) 록볼트의 정착방법은 선단정착형, 전면접착형, 혼합형 등이 있으며 사용 목적, 지반


조건,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정착방법을 선정한다.

(8) 록볼트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터널 단면의 방사선 방향으로 굴착면에 직


각으로 타설한다.

(9) 록볼트의 길이는 굴착단면의 크기와 이완영역의 발달깊이에 따라 조정하며, 설치간


격의 2배 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10) 록볼트는 지반 자체의 지보능력을 원활히 발휘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한다.

(11) 록볼트의 직경은 1본의 록볼트가 지탱하는 암괴의 중량 또는 지반에 필요한 전단


보강력에 의하여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D25 규격을 표준으로 한다.

󰊲 지보패턴도를 작성한다.

1. 암반 분류 및 지보패턴 계획도

(1) 시추 및 지반조사를 통해 터널 구간의 지질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암반을


분류한다.

(2) 암반 분류는 Q-System 및 RMR 방법으로 수행하며, 암반등급별 지보패턴, 보조공법,


굴착공법 등을 선정한다.

143
(3) 암반 분류 및 지보패턴 계획도는 설계구간의 터널별로 작성하며, 터널의 종단면도
상에 암반의 등급을 음영으로 표현하고 아래에 제원표를 작성한다.

(4) 제원표의 구성은 ‘선형 및 측점, 지질특성, RMR 분석값, Q-System 분석값, 특기사
항, 암반등급, 구조물 형식, 지보패턴, 적용 이정값, 보조공법, 굴착공법, 비고’로
한다.

(5) 암반 분류 및 지보패턴 계획도는 터널 설계 시 지보패턴 적용에 대한 종합적인 도


면으로서 그 예시는 [그림 5-8]과 같다.

[그림 5-8] 암반분류 및 지보패턴 계획도 예시(축척 1:1,000)

2. 표준지보패턴도

(1) 지보패턴은 시공성, 안전성, 경제성 및 환경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지보재를 선정하
고 암반 분류, 경험식 및 기존 사례를 종합 분석하여 설계에 적용할 표준지보패턴
을 결정한다.

(2) 설계 구간에 적용할 표준지보패턴에 대하여 표를 작성하고 RMR, Q-System, 굴진공법,


굴진장, 지보공, 내부 라이닝콘크리트 두께, 보조공법 등에 대한 개괄적인 사항을 도
면화시킨다.

(3) 표준지보패턴표에는 강지보공, 숏크리트, 록볼트, 콘크리트라이닝 및 사용 철근의


규격을 표기하며, 지보패턴 적용의 주요사항 등에 대하여 주석을 명기한다.

(4) 표준지보패턴도는 지보패턴별로 작성한다.

(5) 표준지보패턴도에는 숏크리트의 두께, 록볼트의 길이 및 간격, 강지보공의 규격, 콘


크리트 라이닝의 두께 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치수를 기입하며, 상세도면을
작성한다.

144
(6) 록볼트이 길이는 갱도천장과 측벽에서 압축 응력대를 형성하여 아치효과(arch effect)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한다.

(7) 록볼트의 종방향간격은 굴진장을 고려하여 배치하며, 록볼트 설치간격과 설치길이


는 개당 지보영역과 다양한 이론식 및 경험식을 바탕으로 산정한다.

(8) 라이닝콘크리트의 단면을 작성하여 숏크리트의 보강, 배수 및 방수재, 격자지보의


설치현황 등을 표기한다.

[그림 5-9] 표준지보패턴표 예시(단선터널, 직선구간)

[그림 5-10] 표준지보패턴도 예시(단선터널, PS-4)

145
󰊳 굴착도면을 작성한다.

1. 굴착 및 지보순서도

(1) 굴착방법은 주변현황 및 현장여건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정한다.

(2) 굴착방법은 원지반이 본래 가지고 있는 지지능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어야 하며,


안정성·경제성·시공성이 우수하고, 지반조건, 지하수 유입 정도, 굴착단면의 크기
와 형태, 터널 연장, 소음·진동 및 지표침하, 보조공법 적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하여 선정한다.

(3) 굴착공법은 지반조건에 따라 전단면 굴착, 수평분할 굴착, 연직분할 굴착 및 선진


도갱 굴착공법 등으로 분류한다.

(4) 전단면 굴착은 단면 전체를 1회에 굴착하는 방법으로 지반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거
나 소단면의 경우에 적용한다.

(5) 수평분할 굴착은 터널 단면을 상·하 단계로 분할하여 굴착하는 공법으로 벤치의 단
수나 길이는 굴착단면의 크기, 인버트 폐합시기, 투입 기계 설비 등에 의해 결정한다.

(6) 일반적으로 전단면 굴착이 분할 굴착공법에 비하여 시공성·경제성에 유리하므로


암질이 좋은 구간에서는 전단면 굴착공법 적용이 유리하며, 암질이 좋지 않은 구간
과 터널 갱구부에서는 분할 굴착공법 적용이 유리하다.
<표 5-4> 전단면 굴착공법과 상·하반 분할 굴착공법의 비교
전단면 굴착 상·하반 분할 굴착
∙ 암질이 양호하여 암반 자체가 가지고 있는 지 ∙ 암질이 비교적 불량하여 막장의 자립
보력이 크고 막장의 자립시간이 긴 경우에 주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 주로
로 적용 적용
∙ 굴착에 따른 응력의 재배치가 한 사이클에 완 ∙ 하부 굴착 시 상부 1차 보강의 파손
료되므로 이론적으로 NATM 공법 지보 특성에 우려가 있다.
가장 부합되는 공법이다. ∙ 상하부 보강 연결 부분의 시공 불량을
∙ 막장이 단일하므로 작업이 단순하다. 유발할 수 있다.
∙ 일시에 전단면을 보강하므로 연결부분의 시공 ∙ 버력 처리 작업이 어렵다.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 굴착이 복잡하여 공기가 길어진다.
∙ 하단부 굴착 시 발파로 인한 상부 보강의 파손
우려가 없다.
∙ 기계화에 따른 급속 시공에 유리하다.
∙ 버력 처리 작업이 용이하다.
출처: ㈜유신 외 2개 사(2014). 『이천~충주 철도건설 제1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p.1396

(7) 굴착방법과 굴착공법이 선정되면 이에 따른 굴착 및 지보순서도를 작성한다.

(8) 굴착방법에 따라 전단면 혹은 상·하 분할 굴착 단면을 작성하며, 측면은 굴진 추


진방향을 따라 지보순서도를 작성한다.

146
(9) 지보순서는 일반적으로 ‘암판정 → 막장면 천공 및 록볼트 천공 → 록볼트 설치 →
장약 장전 및 발파 → 버력 처리 → 숏크리트 타설 → 격자지보 설치 → 1·2차 강섬
유보강 숏크리트 타설 → 다음 막장 굴진’ 순으로 진행되며, 굴착 및 지보순서도 예
시 도면은 [그림 5-11]과 같다.

[그림 5-11] 굴착 및 지보순서도 예시

2. 발파패턴도

(1) 발파패턴 설계 시 폭약은 암반의 강도와 인성 및 진동제어 등을 고려하여 emulsion


폭약, 외곽공은 여굴 감소를 위해 정밀폭약으로 설계한다.

(2) 발파 및 굴진효율을 극대화한 심발공을 선정한다.

(3) 심발공에는 평행심발공(cylinder-cut), 경사심발공(V-cut), 선대구경 수평보링 등이 있다.


<표 5-5> 심발공의 종류 및 특징
구분 평행심발공(cylinder-cut) 경사심발공(V-cut) 선대구경 수평보링



∙ 사압 없고 진동제어 용이 ∙ 정밀천공하지 않아도 됨 ∙ 대구경 무장약공 형성으


∙ 버력이 작아 처리 용이 ∙ 심발부에 사압 문제가 로 자유면 효과 증대
특 ∙ 대구경 천공을 위해 비트 있고 굴진장이 짧음 ∙ 발파진동 및 소음 감소
징 및 로드 교체 필요 ∙ 터널 단면폭에 영향을 받음 ∙ 막장 전반 지반상태 예측
∙ 심발공 천공에 고도의 ∙ 버력 크기 조절 필요 가능
기술 필요
출처: ㈜유신 외 2개 사(2014). 『이천~충주 철도건설 제1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p.1435

147
(4) 터널발파는 기반암의 공학적 암반상태와 물리역학적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발파
패턴 설계는 설계구간의 암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 화약류 및 장약량을 결정한다.

(5) 심발공법은 기본적으로 굴진장 2.0m 이상은 cylinder-cut, 굴진장 1.5m 이하는 V-cut
공법을 적용한다.

(6) 발파패턴을 위한 기본적 계산식은 langefors 및 olofsson 등에 의해 제안된 경험식을 이


용하되, 국내의 발파시험 결과 및 여건을 감안하여 일부 정수를 조정하여 설계한다.

(7) 터널의 발파패턴도로는 터널의 심발 배치단면, 심발 상세도, 장약 상세도 등을 작성한다.

(8) 발파패턴도별 발파영역에 대한 사용뇌관, 천공 수, 폭약 장약량, 단면적, 굴진장, 총


파쇄량 등의 발파패턴 제원표를 작성한다.

[그림 5-12] 터널 발파패턴도 예시(단선터널)

수행 tip

• 터널도면은 암반 분류에 따라 PS-1~PS-6의 표준단


면, 지보 및 발파 패턴도 등을 반복적으로 작성하므
로 기본이 되는 도면을 정확히 작성하는 것이 도면
작성의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 표준단면 및 패턴도는 동일 과업구간의 타 터널에서
도 반복 적용이 가능하다.

148
학습5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터널설계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표준단면도 및 지보패턴도, 발파패턴도 등 시청각 자료를


제시한다.

• 터널설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철도설계기준, 철도건설규칙, 터널설계기준 등의 관련


규정을 자료로 제시한다.

• 터널 설계의 공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터널도면의 구분 및 명칭 등을 지도한다.

• 터널 배수 및 방수 시설에 대한 종류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도면화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지반조사 분석 자료를 토대로 암반 분류 및 지보패턴 계획을 도면화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암반 분류와 지보공의 관계를 이해하고 지보패턴별 표준단면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강지보재,


숏크리트, 록볼트에 대한 특징 및 장단점, 사용목적 등을 설명하고 도면화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강지보재의 장단점 및 특징에 대한 이해하고 적합한 강지보재의 선정 및 설계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터널 굴착방법 및 굴착공법의 종류, 시공순서 등에 대해 이해하고 적합한 굴착방법 및 공법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터널 굴착 시 심발공에 대한 종류와 특징에 대해 이해하고 발파패턴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라이닝콘크리트 구조도 작성 시 철근 배치, 철근 가공, 수량 산출 및 집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도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터널설계 작성 지침에 대한 기본지식을 파악하고 철도설계기준, 철도건설규칙, 터널설계기준에


부합된 터널 설계도면 작성에 활용한다.

• 터널 설계도면의 종류 및 구성 등에 대해 이해하고 명칭 등을 습득한다.

• 암반 분류와 지보공의 관계를 이해하고 강지보재, 숏크리트, 록볼트에 대한 특징 및 적용공법에

149
대해 습득한다.

• 암반 분류 및 지보패턴계획 수립 시 분석과정 및 필요정보에 대해 이해하고 습득한다.

• 지반조사 분석 자료를 토대로 암반 분류 및 지보패턴계획에 대해 이해하고 도면 작성 기준을


습득한다.

• 터널 배수 및 방수 시설에 대한 종류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도면 작성 기준을 습득한다.

• 암반 분류와 지보공의 관계, 강지보재, 숏크리트, 록볼트에 대한 특징 및 장단점, 사용목적 등에


대해 이해하고 습득한다.

• 터널 굴착방법 및 굴착공법의 종류, 시공순서 등을 이해하고 습득한다.

• 터널 굴착 시 심발공에 대한 종류와 특징에 대해 이해하고 발파패턴도 작성법 등을 습득한다.

• 라이닝콘크리트 구조도 작성 시 철근 배치, 철근 가공, 수량 산출 및 집계에 대해 이해하고


작성법 등을 습득한다.

150
학습5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일반적인 설계방법, 시방서 지침 이외의 특정한 사항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설계방법, 기준, 시방서 지침
에 대해 기재할 수 있다.

- 방수방식은 현장상황과 터널형상·규모의 터널조건을


감안하여 공사의 시공성, 경제성, 유지관리성을 종합 검
터널 종평면도 및 토하여 결정할 수 있다.
표준단면 작성
- 내공단면은 터널목적, 기능에 따라 소요 건축한계와 선
형 조건에 따른 확폭량, 제반설비의 설치공간, 유지관리
에 필요한 여유폭을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다.

- 콘크리트라이닝 형상은 소정의 내공단면을 유지하여 구


조적으로 유리한 단면이 되도록 할 수 있다.

- 터널의 단면 크기, 막장의 자립성, 지반지지력, 지표면 허


용치,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굴착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지보공 및
- 지보공의 설계는 현장지형, 지질, 지반의 역학적 특성,
굴착도면 작성
토피의 대소, 용수의 유무, 굴착단면의 크기, 지표침하
의 제약, 시공법, 제반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
할 수 있다.

151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터널 설계 시 공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면 구성 및 특


정 사항에 대한 주석 작성 여부

- 터널 배수 및 방수시설에 대한 종류와 중요성을 이해하


고 적절한 배수 및 방수시설 도면의 작성 여부
터널 종평면도 및
표준단면 작성
- 건축한계와 확폭량, 제반설비의 설치공간, 여유폭을 고
려한 적절한 터널 단면의 적용 여부

- 터널의 내공단면과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한 지보패턴의


적절한 콘크리트라이닝 두께, 구조 반영 여부

- 터널의 굴착방법 및 굴착공법의 종류, 시공순서 등에 대


해 이해하고 적합한 굴착방법과 공법 적용 여부
지보공 및
굴착도면 작성
- 지보공의 특징 및 장단점을 이해하고 지형 및 지질 특성
등 터널 조건에 따른 적절한 지보공의 반영 여부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터널 설계 시 공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면 구성 및 특


정 사항에 대한 주석 작성 여부

- 터널 배수 및 방수시설에 대한 종류와 중요성을 이해하


고 적절한 배수 및 방수시설 도면의 작성 여부
터널 종평면도 및
표준단면 작성
- 건축한계와 확폭량, 제반설비의 설치공간, 여유폭을 고
려한 적절한 터널 단면의 적용 여부

- 터널의 내공단면과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한 지보패턴의


적절한 콘크리트라이닝 두께, 구조 반영 여부

- 터널의 굴착방법 및 굴착공법의 종류, 시공순서 등에 대


해 이해하고 적합한 굴착방법과 공법 적용 여부
지보공 및
굴착도면 작성
- 지보공의 특징 및 장단점을 이해하고 지형 및 지질 특성
등 터널 조건에 따른 적절한 지보공의 반영 여부

152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터널 설계도면의 기본사항과 구성, 기준에 대하여 보충하여 안내한다.
- 제출한 내용을 평가한 후 주요 사항을 표시하여 설명한다.
- 진행 과정 중 필요시마다 피드백하여 실습 활동을 쉽게 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자신이 학습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준거를 제공한다.
- 터널설계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피평가자 자신이 터널 시설의 적정한 계획 수립 및
터널 표준단면의 시공성, 경제성, 유지관리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도면을 작성했는
지 파악하고, 이에 도달하지 못하면 보완 설명한다.

153
∙ (사)한국터널공학회(2007). 『터널설계기준』. 도서출판 씨아이알

∙ (주)유신 외 2개 사(2014). 『이천~충주 철도건설 제1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한국철도시


설공단

∙ 한국직업능력개뱔원(2016). 『NCS 학습모듈 - 토목도면파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고행만(2014). 『전산응용 토목제도 기능사 필기』. 건기원

∙ 신영주(2015). 『철도기술사』. 예문사

∙ 국토교통부(2014).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 한국철도시설공단(2009). 『철도분야 전자도면작성표준(v1.1)』. 한국철도시설공단

154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오순택(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응록(송원대학교)* 권오규((주)동성엔지니어링)
김종석((주)이산)* 김재철(철도기술연구원)
박근태(극동엔지니어링) 성덕룡(대원대학교)
배을호(케이블텍(주)) 이용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한철(서현기술단) 장원섭((주)건화)
이기승((주)케이알티씨)
이동준(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영민((주)유신)
이종태(도화엔지니어링)
이현주((주)유신)*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김석화(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미아(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우성훈(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이민욱(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본정(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여성훈(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습모듈은 자격기본법 시행령(제8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15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