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2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도로설계 하천(댐)설계 사업 계획 수립 하천(댐)설계 사업 계획 수립

공항설계 하천(댐)설계 수리 분석 하천(댐)설계 수리 분석

터널설계 하천(댐)설계 수문 분석 하천(댐)설계 수문 분석

교량설계 하천설계 치수 기본 계획 하천설계 치수 기본 계획

항만(해양)설계 하천설계 이수 기본 계획 하천설계 이수 기본 계획

상하수도설계 댐설계 기본 계획 댐설계 기본 계획

하천(댐)설계 하천설계 실시설계 하천설계 실시설계

지반설계 댐설계 실시설계 댐설계 실시설계

단지설계 하천(댐)설계 계산서 작성 하천(댐)설계 계산서 작성

철도설계 하천(댐)설계 도면 작성 하천(댐)설계 도면 작성

토목건설사업관리 하천(댐)설계 시방서 작성 하천(댐)설계 시방서 작성

하천(댐)설계 사업비 산정 하천(댐)설계 사업비 산정

하천(댐)설계 보고서 작성 하천(댐)설계 보고서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사업개요 분석하기

1-1. 과업내용 조사・분석 3

1-2. 과업수행 계획 수립 9

• 교수・학습 방법 14

• 평가 15

학습 2. 관련 계획 분석하기

2-1. 관련 계획 조사・분석 17

2-2. 이수・치수・환경계획 분석 22

• 교수・학습 방법 27

• 평가 28

학습 3. 유역특성 분석하기

3-1. 유역・하도특성 분석 30

3-2. 환경・지반특성 분석 36

• 교수・학습 방법 44

• 평가 45

학습 4. 피해현황 분석하기

4-1. 수문특성 조사・분석 47

4-2. 피해현황 조사・분석 54

• 교수・학습 방법 59

• 평가 60
학습 5. 현황 조사하기

5-1. 사업지역현황 조사 62

5-2. 재료원・사토장 조사 69

• 교수・학습 방법 73

• 평가 74

참고 자료 76
하천(댐)설계 사업 계획 수립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하천(댐)설계를 위한 전반적인 사업개요 및 관련 계획을 조사・분석하고, 수리・수문 분석 등에


필요한 유역특성과 대상 유역의 현황을 조사・분석할 수 있다.

선수학습

이론수리학, 응용수리학, 계산수리학, 통계수문학, 기상수문학, 응용하천공학, 응용수자원공학,


수자원시스템공학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과업내용 조사・분석


1. 사업개요 분석하기 1402010701_14v2.1 사업개요 분석하기
1-2. 과업수행 계획 수립

2-1. 관련 계획 조사・분석
2. 관련 계획 분석하기 1402010701_14v2.2 관련 계획 분석하기
2-2. 이수・치수・환경계획 분석

3-1. 유역・하도특성 분석
3. 유역특성 분석하기 1402010701_14v2.3 유역특성 분석하기
3-2. 환경・지반특성 분석

4-1. 수문특성 조사・분석


4. 피해현황 분석하기 1402010701_14v2.4 피해현황 분석하기
4-2. 피해현황 조사・분석

5-1. 사업지역현황 조사
5. 현황 조사하기 1402010701_14v2.5 현황 조사하기
5-2. 재료원・사토장 조사

핵심 용어

사업개요, 사업목표, 관련 계획, 피해현황, 유역특성, 수문특성, 하도특성, 내수특성, 환경특성,


지형・지질특성, 하천측량

1
사업개요 분석하기
학습 1
(LM1402010701_14v2.1)
학습 2 관련 계획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2)
학습 3 유역특성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3)
학습 4 피해현황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4)
학습 5 현황 조사하기(LM1402010701_14v2.5)

1-1. 과업내용 조사・분석

• 과업지시서 및 사업배경 등을 조사・분석하여 사업의 목표 및 기본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목표에 따른 과업의 범위 및 발주처의 요구사항 등을 토대로 사업진행의 우선순위
를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사업의 목표 및 기본방향 설정

1. 사업목표 설정
「하천법」 제25조 및 「하천법 시행령」 제24조의 규정에 의거 유역의 강우, 하천의 유량,
하천환경 및 하천의 이용현황 등 하천의 치수, 이수, 환경 및 친수 등에 관한 제반 사항을
조사·분석하여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와 자연친화적 하천 이용 및 관리 등에 필요한 기본
적인 사항을 작성할 수 있도록 사업목표를 설정한다.

2. 기본방향 설정
하천기본 계획은 기초자료조사, 홍수량・홍수위 산정 등 종합 분석, 치수・이수・하천환경 부
문에 대한 정비 및 관리 계획 수립, 투자 계획 마련 등 하천의 이용 및 자연친화적 관리
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수립하는 단계로 수립 시 유역의 국토 계획 및 도시 계획 등
에 대한 변동사항을 고려하여 사업의 기본방향을 설정한다. 또한, 효과적으로 공정을 관리
하고, 합리적인 분야별 기본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설계방향을 설정한다.

3
󰊲 사업진행 우선순위 결정

1. 과업의 범위 및 요구사항
과업지시서상의 과업 범위에 따른 주요 항목별 세부사항을 분석・정리하여 과업의 범위 및
세부내용을 파악한다. 대상 하천 및 관할 하천관리청에 따라 요구사항이 다를 수 있으므
로 요구사항도 함께 분석하여 범위 및 세부내용을 결정하여야 한다.

2. 사업수행 우선순위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2015)에 따르면 미수립 하천, 수립연도가 10년 이상 경과한 하천
등을 우선 고려하여 수집되나 홍수취약지구, 도시하천 중 피해잠재능이 높은 지역, 도시
개발 등으로 주변 여건이 크게 변하는 경우, 주요 계획과 연계하여 정비가 필요한 지역
등에 우선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설계대상하천이 결정되면 과업의 범위 및 세부내용에
따라 분야별 사업수행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대상 하천 및 관할 하천관리청에 따라 우선
순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사업 목적, 방향, 범위 및 내용을 충분히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각 분야별 책임기술자가 관련 분야를 총괄하여 세부 설계방향을 설정하고
항목별 세부업무를 제시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설계 우선순위는 조사, 분석, 계획, 보고
서 작성 순이다. 사업 책임자는 분야별 업무를 조정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다. 또한 분야별 공종별 설계뿐 아니라 효과적인 사업관리 및 설계의 일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행정 및 기술업무를 총괄하여 공동업무 수행, 유관기관 업무 협의 및 협조 및 자
문단 운영 등도 함께 고려한다.

수행 내용 / 과업내용 조사·분석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토양환경보전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소하천장비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
법」, 「산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설계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
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공사설계 실무요령 등 기준 및 매뉴얼

4

도시기본 계획, 도시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수도정비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수요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조사연보, 지하수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연·월
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및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가수자원 관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물관리정보
유통시스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수문자료, 하천 및 유역현황, 관련 계획 등 검색 결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유의 사항


설계설명서, 과업지시서를 면밀히 검토하여 설계대상 분야의 누락이 없도록 유의한다.


관련 법령, 기준, 계획, 규정 등의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유효 시기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사업목표 및 기본방향을 설정한다.

1. 사업의 목표 설정하기
관할 하천관리청의 과업지시서를 토대로 과업의 목적을 이해한다. 하천기본 계획은 하천
에 관한 종합적인 정비, 보전 및 이용 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치수, 이수, 환경 종합 계
획을 수립하고, 하천시설관리대장 및 부도 작성, 자료의 전산화, 지형도면 작성 등으로 구
분할 수 있으며, 주요 공종별 목적을 <표 1-1>에 예시하였다.
<표 1-1> 주요 공종별 목적
구분 세부 목적
「하천법」 제25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4조의 규정에 따라
기본 계획
제반사항을 조사 분석하여 하천에 관한 종합적인 정비, 보전
(치수・이수・환경 종합 계획)
및 이용 계획을 수립
하천시설 관리대장 및 「하천법」 제15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8조에 따라 대장
부도 작성 화하여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를 도모

자료의 전산화 「하천법」 제15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8조의 규정에 따

5
구분 세부 목적
른 하천대장을 전산화
「하천법」 제10조 제4항, 「토지이용규제기본법」 제8조 제
7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7조 제10항의 규정에 의한 「지
지형도면 작성
역·지구 등의 지형도면 작성에 관한 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2-562호)」에 따라 지형 도면을 작성

2. 설계방향 설정
과업의 목적, 범위, 주요 내용 및 기간을 이해하고 업무분담 및 성과품 품질향상을 위한 설
계방향, 수자원 개발, 환경분야 등을 고려하여 과업수행 계획 수립을 위한 전반적인 설계
방향을 설정한다. 과업수행을 위한 주요 분야별 설계방향 설정을 <표 1-2>에 예시하였다.
<표 1-2> 주요 분야별 설계방향 설정 예
분야 구분 항목 설계방향
지역의견 수렴, 현장중심 조사, 근거자료 및 자료출
조사 일반현황
처 명확화
설계홍수량 산정요령에 따라 산정 기고 시 홍수량과
분석 홍수량 산정
비교 안정성 고려 결정
∙ 시설물 설치 계획 반영 계획홍수위 결정
수자원 계획홍수위 및 하폭
∙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계획하폭 결정
개발
계획 ∙ 획일적인 축제계획 지양
하도 계획
∙ 천변저류지, 홍수조절지 등 다양한 대안 검토
홍수방어 계획
∙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하여 민원발생 최소화
보고서 ∙ 전문가 및 관계기관의 자문 및 협의
성과품
하천시설 관리대장 ∙ 현지여건 및 토지활용도 고려해 적정 구역설정

<표 1-3> 주요 분야별 설계방향 설정 예 (계속)


분야 구분 항목 설계방향
∙ 환경시설물황, 수질 및 저니질, 생태환경조사
조사 하천환경 특성조사
∙ 전략환경영향평가 연계
∙ 하천 물리특성, 생물서식성, 수환경, 이용잠재성 평가
분석 하천환경 특성 분석 ∙ 장래수질 예측, 하천환경 보전을 위한 지구 구분
환경
∙ 하천환경 특성 분석 시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연계
계획 하천환경계획 수환경, 공간환경개선 계획, 하천환경 관리 계획
∙ 전문업체 수행
기타 전략환경영향평가
∙ 수행사와의 상호자료 교환 및 업무전반 협업

󰊲 분야별 사업수행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1. 사업내용 및 범위 설정하기
과업지시서상 설계대상하천의 하천 연장, 기・종점, 유역면적 등 과업의 시・공간적 범위와
세부 추진내용을 분석하여 세부내용을 설정한다. 해당 하천관리청에 따라 세부 요구사항

6
은 다를 수 있으며, <표 1-3>에 예로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2015)」에 따른 주요 내용
별 세부사항을 정리하였다.
<표 1-3> 주요 내용별 세부사항
구분 세부사항
총칙 범위 및 기본원칙
유역 및 하천현황 유역현황, 하천특성 및 관련 계획 검토·조정
종합 분석 치수・이수・하천환경 분석
하천장비 및 관리 계획 치수・이수・하천환경 종합 계획, 하천공간 관리 계획
투자 계획 및 기대효과 경제성, 소요재원, 투자우선수위 및 기대효과
기타 고려사항 하천측량, 보고서 작성 및 배부
하천시설에 대한 관리대장 하천구역・홍수관리구역 결정, 관리대장 작성
자료의 전산화 작성원칙, 자료검수 및 자료의 제출
출처: 국토교통부(2015).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2. 분야별 우선순위 설정하기

(1) 수자원 개발 분야
수자원분야 책임기술자는 수자원 개발 분야 과업 전반에 대한 과업수행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과업수행 우선순위는 통상 조사, 분석, 계획 및 보고서 작성 순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하천기본 계획 수립절차를 고려하여야 한다. <표 1-4>는 주요 공정별 세
부사항 예시이며, 관할 하천관리청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표 1-4> 수자원 개발분야 주요 공정별 세부사항
주요 공정 세부사항
유역현황(개황, 수계, 지형, 지질 및 토양, 토지, 사회・역사, 기상・수문 등)
조사
하천특성(연혁, 치수·이수 특성), 하천측량
홍수량, 홍수위 및 계획하폭 산정, 하천변동 분석, 시설물 능력 검토, 수자원
분석
부존량, 하천관리유량, 수요·공급량
하도, 하천시설물 유기관리, 모니터링 계획, 하천유량 분담・확보, 유지관리 계
계획
획, 투자 계획 및 기대효과
보고서
전략 환경 영향 평가, 보고서 및 대장작성, 하천관리위원회 심의, 최종성과품
작성

(2) 환경 분야
환경 분야 책임기술자는 환경 분야 과업 전반에 대한 과업수행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과업수행 우선순위는 통상 조사, 분석, 계획 및 보고서 작성 순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하천기본 계획 수립절차를 고려하여야 한다. <표 1-5>는 주요 공정별 세부사항 예시이
며, 관할 하천관리청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7
<표 1-5> 환경분야 주요 공정별 세부사항
주요 공정 세부사항
조사 수환경, 하천환경, 공간환경 현황, 환경영향평가 결과, 취약현황, 하천이용
현황
분석 하천의 물리특성, 생물서식성 및 수환경성

계획 수환경, 공간환경개선 계획, 하천환경 관리 계획, 투자 계획 및 기대효과

보고서 작성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에 대한 저감방안

수행 tip

• 사업 책임 기술자는 분야별 설계방향 및 세부내용을


총괄·조정하여 설계방향 및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 분야별 책임기술자는 분야별 조사, 분석, 계획, 보고
서 작성 등 주요 공정별 세부내용 및 설계방향을 설
정한다.

8
1-2. 과업수행 계획 수립

• 분야별 업무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업무분장을 통하여 과업수행의 효율성을 높이


고 과업수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분야별 작업의 특성, 소요기간 및 인원 등을 고려하고 공종별 선행작업 등을 감안하
여 예정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과업수행 계획 수립

1. 분야별 세부업무 분장
사업 책임자는 행정 및 기술업무를 총괄하며, 분야별 업무를 조정하고 최종 성과물에 대
한 검토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주요 분야로는 수자원 개발, 환경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하천기본 계획 수립 시 일반적으로 수자원 개발 분야에서 과업수행 계획, 공정관리, 하천
기본 계획 수립, 하천시설관리대장 작성 및 전산화, 계획의 방향설정 및 조정 등을 담당토
록 하고, 환경 분야에서는 수질관리 및 하천환경계획 수립, 수질 예측 및 개선대책 수립,
환경영향평가 등을 담당할 수 있다. 그 밖에 TF팀을 구성하여 유관기관 업무협의, 기술자
문단, 하천관리위원회 관련 공동업무를 수행토록 할 수 있다. 기타사항으로 현황, 종・횡단,
홍수흔적 측량, 토질, 지질조사, 시설물 안정성 검토, 도시 계획 연계성 검토 등이 있다.
2. 세부수행 계획 수립

(1) 관련 계획 등 검토・적용
하천기본 계획 수립에 필요한 관련 법령, 계획 및 지침 등을 검토하고, 계획 수립 시
반영하여야 한다. 계획 수립대상하천과 관련하여 하천, 측량, 토지, 국토이용 등에 관
한 법령, 유역종합치수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하천기본 계획, 풍수 해저감 종합
계획, 소하천장비종합 계획 등 관련 계획,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유역종합치수 계획 수
립지침,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하천설계기준, 지형도면 작성지침, 공공측량 작업규
정 등 관련 지침, 그 밖에 해당 지방자치단체 등의 개발 계획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2) 세부수행방법 제시
주요 공종에 대해 조사, 분석 및 방향설정, 계획수립, 성과품 작성 등 단계별 수행 계
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주요 공종으로는 하천측량, 하천기본 계획, 하천시설 관리
대장 작성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천측량의 경우 현황측량, 홍수흔적측량,
종·횡단측량, 과거 측량성과와의 비교 등 조사단계 후 공공측량 성과심사단계를 거쳐
야 하며, 세부수행방법 제시 시 전체 과업기간을 고려하여 일정도 함께 제시할 수 있

9
도록 한다.

3. 조직운영 계획 수립
설계에 참여사가 다수인 경우 참여사 간 조직, 시간, 전문성을 고려하여 명확한 업무분담
및 상호협력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하며, 원활한 기술토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자체 자문기구 등도 설치하여 운영하여 효율적인 수행조직이 구성될 수 있어야 한다.

󰊲 과업수행 일정 계획 수립

1. 과업지시서 검토
하천관리청의 과업 지시서에 따른 전체과업기간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일정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공종별 필요한 이행절차를 포함하여 업무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2. 일정 계획 수립
과업기간 내 설계공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일정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며, 과업
착수, 현지조사, 하천측량, 하천기본 계획, 하천시설 관리대장 작성, 자문 및 보고 등의 주
요공정 진행 시 필요절차가 원활하게 이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수행 내용 / 과업수행 계획 수립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토양환경보전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소하천장비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
법」, 「산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설계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
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공사설계 실무요령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기본 계획, 도시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수도정비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수요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등 법정 계획

10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조사연보, 지하수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연·월
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및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가수자원 관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물 관리 정
보유통시스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수문자료, 하천 및 유역현황, 관련 계획 등 검색 결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유의 사항


사업책임자는 분야별 세부업무를 반드시 확인하여 공정 계획 수립 시에 누락이 없도록 한다.


관련 법령, 기준, 계획, 규정 등의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유효시기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과업수행 계획을 수립한다.

1. 분야별 세부업무 분장하기


공종별 단계별 수행 계획을 수립하고, 수자원 개발, 환경 분야별 세부업무를 분장한다. 이
때 환경 및 측량・토질・도시 계획 등 기타 분야도 포함한다. 분야별 책임기술자는 관련 분
야를 총괄하도록 하고 참여기술자도 세부 설계 뱡향을 설정하여 항목별 세부업무를 제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야별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되, 상호협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직, 시간 및 전문성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과업부실방지를 위한 기술토
론, 자문기구 설치・운영도 고려할 수 있다. <표 1-6>은 분야별 업무분장 예시이다.
<표 1-6> 분야별 세부업무 분장
구분 세부업무 분장
사업책임자 행정 및 기술업무 총괄, 분야별 업무조정
품질관리 매뉴얼에 의한 성과품 검토
TF팀 공동업무 수행, 설계 일관성 유지, 유관기관 업무협의, 협조
기술자문단, 하천관리위원회
수자원 개발 분야 과업수행 계획, 공정관리, 하천기본 계획 수립
하천시설관리대장 작성 및 전산화, 계획의 방향설정 및 조정
환경분야 수질관리 및 하천환경계획 수립, 수질 예측 및 개선대책 수립
전략환경영향평가 검토 및 상호 연계 활용

11
기타 현황, 종・횡단, 홍수흔적 측량, 토질, 지질조사 및 분석
제방 및 시설물 안정성 검토, 도시 계획 연계성 검토

2. 세부수행 계획 수립

(1) 관련 계획 등 검토・적용
관련 법령, 계획, 지침 등에 따라 하천기본 계획 관련 사항을 검토하여 조치 계획을
제시하거나 설계에 적용토록 제시한다. 필요 시 환경부의 생태・자연도, 문화재청의 문
화재 공간정보서비스, 지자체 등의 도시 개발 계획 등 유관기관 인・허가・계획도 함께
검토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표 1-7>에 관련 법령・계획・지침 등을 제시하였
다. 적용 시는 최신 법령, 계획 및 지침이 적용될 수 있도록 유의한다.
<표 1-7> 관련 법령・계획 및 지침
구분 세부 사항
법령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등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기수립 하천기본 계획, 풍수해
저감종합 계획, 소하천장비종합 계획 등
지침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유역종합치수 계획 수립지침」, 「하천기본
계획수립지침」, 「하천설계기준·해설」, 「지역・지구 등의 지형도면 작
성지침」, 「공공측량 작업규정」 등
기타(환경) 「환경정책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자연환경보전법」, 지자체
중·장기 개발 계획 및 상・하수도 정비 계획 등

(2) 세부수행방법 제시
각종 조사항목과 관련하여 현지조사와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면밀히 검토・분석하여 하
천의 종합적인 정비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또한 참
여기술자 등의 경험 등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공정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수행체계 또는 방법 등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예상 쟁점사항에 대해서는
개선방향 및 방안 등을 제시하여 과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공종・공정 및 단계별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주요 항목별 구체적인 내용 및 수행방법을 제시하도록 한다.

3. 조직운영 계획 수립
과업목표에 부합하는 성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여러 기관이 참여하여 하천기본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대표기관 및 공동참여기관
간 분야별 명확한 업무분담 및 상호협력이 가능하도록 조직운영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과업책임기술자는 해당 하천관리청의 업무지시 또는 협의・보고 사항이 분야별 조직에서
효과적으로 검토될 수 있도록 하고 분야별 조직은 문제점 등 쟁점 사항 등이 사업 책임기
술자를 통해 하천관리청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전문단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12
제시한다. 기술자문단, 하천관리위원회 자문・심의 및 검토의견이 과업에 반영될 수 있어야
하고 필요시 관련 기관, 지역주민 협의도 진행될 수 있도록 조직운영 계획에 반영한다.

󰊲 과업수행 일정 계획을 수립한다.

1. 과업지시서 검토하기
과업지시서를 기본으로 관련 법령, 계획 및 지침을 함께 검토하고,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등 관
련 법령에 따라 하천기본 계획 수립에 관한 이행절차, 공공측량 작업절차, 하천구역 및 홍
수관리구역 등의 설정기준 등을 검토한다. 유역종합치수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기수
립 하천기본 계획, 풍수 해저감 종합 계획, 소하천장비종합 계획 등 관련 계획에 따라 유
역특성, 하천현황, 유역의 치수 계획, 홍수특성, 유역의 배수체계, 수리수문의 적정성 검토,
재해유형조사 및 저감 대책 연계, 소하천 연계를 검토한다.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유역종
합치수 계획 및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하천설계기준・해설, 지역・지구 등의 지형도면 작
성지침, 공공측량 작업규정 등을 통해 하천기본 계획의 수립 및 하천시설물 설치 계획
기준, 설계홍수량 산정절차, 지형도면 작성기준, 공공측량 작업 계획서 작성 기준 및 공공
측량 규격 등을 검토한다. 기타 환경 관련 법령 및 지방자치단체 개발 계획 등을 검토하
여 환경영향 저감 대책, 하천환경개선 계획, 지역 개발 계획 등을 검토한다.

2. 일정 계획 수립하기
조사, 분석, 계획, 성과품 작성 등 과업수행단계를 구분하여 해당 일정을 제시한다. 과업
주요 공정에 따라 과업착수, 계획수립, 현지조사, 하천측량, 하천기본 계획, 하천시설관리
대장, 자문 및 보고 등을 구분하여 작성하되 해당 공정의 상호연관성을 반영하여 일정 계
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한다. 과업착수 공정은 과업수행 계획 수립, 현지조사 공정은 계획
수립, 현지조사, 구조물조사, 하천측량 공정은 하천측량, 공공측량 성과심사, 하천기본 계
획 공정은 수문조사, 하도특성조사, 하천사업의 연혁 및 피해현황 등 기초조사, 관련 계획
검토,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하상변동 분석, 용수수급 계획 수립,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
방향 설정, 하천의 정비・이용・보전에 관한 사항, 하천의 환경에 관한 사항, 하천의 유지관
리에 관한 사항, 하천시설관리대장 작성은 구조물도 작성, 하천시설관리대장 작성, 하천시
설대장 부도 작성, 전산화 등으로 구분하여 일정 계획을 수립하며, 착수보고, 자문, 주민
설명회, 하천관리위원회 심의 등도 일정 계획에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수행 tip

• 과업수행 계획 수립 시 단계별 작업 계획에 따라 필


요한 이행절차를 포함하여 과업수행 일정 계획(예정
공정표)를 작성한다.

13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하천기본 계획 수립목적을 하천에 관한 종합적인 정비, 보전 및 이용 계획 수립에 관한 전체적인


관점과 치수・이수・환경 종합 계획, 하천시설 관리대장 및 부도 작성, 자료의 전산화, 지형도면
작성 등 주요 공종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 수자원 개발, 환경 분야에 대해 조사, 분석, 계획, 성과품 작성 등 구체적인 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주요 항목을 제시하고, 주요 항목에 대한 설계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수립대상하천의 설계범위를 검토하고 수자원 개발, 환경 분야로


구분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관련 법령, 계획 및 지침을 검토하고, 하천기본 계획 공종・공정 및 단계별 세부항목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수행방법 및 일정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에 따른 하천에 관한 종합적인 정비, 보전 및 이용 계획 수립을 위한


하천기본 계획 수립의 기본 목적과 주요 공종별 목적을 파악한다.

•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및 기수립 하천기본 계획을 참고하여 수자원 개발, 환경 분야에 대해


조사, 분석, 계획, 성과품 작성 등의 주요 단계별 설계방향 및 내용을 이해하고 보충 제시해
본다.

• 수자원 개발, 환경 분야로 구분하여 분야별 주요 수행 내용을 제시하고 해당 분야 또는 공정상


우선순위를 설정해 본다.

• 관련 법령, 계획 및 지침을 검토하고, 하천기본 계획 공종·공정 및 단계별 세부항목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수행방법 및 일정 계획을 작성한다.

14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과업지시서 및 사업배경 등을 조사・분석하여 사업의
과업내용 목표 및 기본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조사・분석 - 목표에 따른 과업의 범위 및 발주처의 요구사항 등을
토대로 사업진행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 분야별 업무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업무분장을 통하
여 과업수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과업수행 계획을 수
과업수행 계획 립할 수 있다.
수립 - 분야별 작업의 특성, 소요기간 및 인원 등을 고려하고
공종별 선행작업 등을 감안하여 예정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수립대상하천의 기본 계획 수립목적 제시 여부
과업내용
조사・분석 - 수자원 개발, 환경분야별 주요 설계 항목별 설계방향
제시 여부
- 수립대상하천의 수자원 개발, 환경분야별 설계범위 및
과업수행 계획 우선순위 제시 여부
수립 - 주요 설계항목별 구체적인 수행방법 및 일정 계획 작
성 여부

15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과업내용 - 수립대상하천의 기본 계획 수립목적 이해 여부


조사・분석 - 수자원 개발, 환경분야별 항목별 설계방향 이해 여부

과업수행 계획 - 수자원 개발, 환경분야별 범위 및 우선순위 이해 여부


수립 - 주요 설계항목별 수행방법 및 일정 계획 작성 여부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하천기본 계획 수립 관련 법령, 계획 및 지침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준거를 제공한다.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과의 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16
학습 1 사업개요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1)

관련 계획 분석하기
학습 2
(LM1402010701_14v2.2)
학습 3 유역특성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3)
학습 4 피해현황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4)
학습 5 현황 조사하기(LM1402010701_14v2.5)

2-1. 관련 계획 조사・분석

• 수립대상설계의 법적 체계, 행정체계 등을 고려하여 관련 계획의 범위 및 내용을 분


석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수립대상설계의 목적 및 개요 등을 파악하여 관련 계획의 범위 및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하천기본 계획 수립목적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2015)에 따르면, 하천기본 계획은 「하천법」 제25조 및 같은 법 시
행령 제24조의 규정에 따라 유역의 강우, 하천의 유량, 하천환경 및 하천의 이용현황 등
하천의 치수, 이수, 환경 및 친수 등에 관한 제반 사항을 조사・분석하여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와 자연친화적 하천 이용 및 관리 등에 필요한 기본적 사항을 작성함에 있다.

󰊲 하천기본 계획 수립범위
하천기본 계획의 과업범위는 「하천법」제2조제1호 및 제8호에 따른 하천과 하천수를 수
립대상으로 한다. 여기서, 하천이란 지표면에 내린 빗물 등이 모여 흐르는 물길로서 공공
의 이해에 밀접한 관계가 있어 국가 또는 지방하천으로 지정된 것으로 하천구역과 하천시
설을 포함하며, 하천수란 하천의 지표면에 흐르거나 하천 바닥에 스며들어 흐르는 물 또
는 하천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말한다. 하천기본 계획의 내용적 범위는 유역 및 하천현황
조사, 치수・이수・하천환경 등 종합 분석,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 및 관리 계획 수립, 경제
성 분석 등 투자 계획 마련 등이다.

17
󰊳 하천기본 계획 수립 기본원칙

(1) 수립 주체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2015)에서는 기본원칙으로 수립 주체, 수립단위 및 우선순위를
명시하고 있다. 국가하천이 2개 이상의 지방국토관리청 관할에 속할 때에는 하천 연장
이 가장 긴 구간을 관할하는 지방국토관리청장이 일괄 수립한다. 시・도 경계에 위치하
거나 2개 이상 시・도를 흐르는 지방하천은 「하천법」 제25조제6항의 규정에 따라 관계
시・도지사가 협의하여 하나의 관리청에서 수립한다. 「하천법」 제25조제2항의 규정에
따라 지방국토관리청장이 지방하천에 대한 하천기본 계획을 수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미리 관계 시・도지사와 협의한다. 「하천법」 제92조의 규정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권한 중 홍수통제소장에게 위임된 홍수조절, 하천수 관리, 유역조사, 수자원 정보화 등
에 대한 사항은 한강홍수통제소장 및 관할 홍수통제소장과 협의한다.

(2) 수립단위 및 우선 순위
하천기본 계획은 「하천법시행령」 제24조에 따라 공통 유역도를 기본으로 권역별로 수
립하여야 하며 공통 유역의 구분은 유역종합치수 계획 및 하천기본 계획 수립개선방안
(국토교통부, 2008)의 치수단위구역을 참고한다. 하천기본 계획의 수립은 「하천법」 제25
조에 따라 10년 단위를 원칙으로 하되 하천기본 계획 미수립 하천과 수립연도가 10년
이상 경과한 하천 등은 우선 고려한다. 홍수취약지구(상습수해지역, 자연재해위험개선
지구 등), 도시하천 중 피해 잠재능이 높은 지역, 도시 개발(계획 포함) 등으로 주변 여
건이 크게 변하는 경우, 주요 계획과 연계하여 정비가 필요한 지역 등 시급한 추진이
필요한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시급한 추진이 필요한 경우에는 관
계기관과 협의하여 우선 검토할 수 있다.

수행 내용 / 관련 계획 조사・분석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토양환경보전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소하천장비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
법」, 「산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18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설계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천
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공사설계 실무요령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기본 계획, 도시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수도정비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수요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조사연보, 지하수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연・월
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및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가수자원 관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물관리정보
유통시스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수문정보, 하천 및 유역현황, 관련 계획 등 검색 결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유의 사항


상위 계획 및 기수립 계획은 반드시 검토・분석하여 향후 반영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
관련 법령, 기준, 계획, 규정 등의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유효시기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관련 법령 조사・분석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등 관련 법령을 조사한다. 하천기본 계획 수립에 관한
각종 이행절차, 공공측량 작업절차, 하천구역 및 홍수관리구역 등의 설정기준 등을 검토한
다. 관련 법령에 부합하는 이수, 치수, 환경을 고려한 종합적인 하천기본 계획 수립이 이
루어질 수 있도록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 인・허가사항 등을 조사・분석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1. 환경부의 생태・자연도 조사 및 분석하기


평가등급에 따른 환경계획의 적정성과 입지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협

19
의하여 하천계획 수립 시 반영한다.

2. 문화재청의 문화재 공간정보 서비스 조사 및 분석하기


매장문화재의 부존 여부와 역사적 배경, 전통문화 등을 조사・분석하여 하천 개발방향 설
정 시 반영한다.

3. 지방자치단체의 중・장기종합발전계획 조사 및 분석하기


하천 개발 계획 수립 시 장기적인 방향설정과 지침으로 활용한다.

󰊳 관련 법령 및 지침에 따른 과업 범위 및 내용을 제시한다.

1. 하천측량 검토 및 제시하기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제17조 및 제18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22조
에 따른 공공측량 작업 계획서 작성 및 제출, 측량성과 작성 및 제출, 공공측량성과심사를
검토하여 제시한다.

2. 하천기본 계획 수립 검토 및 제시하기
「하천법」제2조에 따른 과업범위를 검토한다. 「하천법」제23조 및 제24조에 따라 하천장
비・관리 계획 수립 시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을 검토하여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천법」제25조 제6항에 따라 시・도경계가 위치하거나 2개 이상 시・도를
흐르는 지방하천은 관계 시・도지사가 협의하여 하나의 관리청에서 하천기본 계획을 수립한다.
「하천법」제51조에 따라 유역 내에 위치한 기준 지점을 수립대상으로 하천유지유량 고시 현
황을 조사한다. 「소하천장비법」제3조에 따라 소하천과의 중복에 따른 기・종점부를 조정한
다. 설계홍수량 산정요령에 따라 설계홍수량 산정절차를 적용하며, 한국형 수문량 분석 선진
화 기술 개발 연구 등 최근 연구 개발 성과를 통해 산정방법, 절차가 변경된 경우에는 비교・분
석 후 최종 홍수량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계획홍수량
및 계획홍수위 결정, 지구지정 및 하천시설물 계획 등 전반적인 기본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제시한다. 하천설계기준・해설은 하천 관련 사업에 필요한 일반적인 설계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하천공간지구 지정 설정 및 제도개선 사항 등을 종합적인 하천 공간 이용
계획 수립을 위하여 각 지구를 특정할 수 있는 객관적, 정량적인 세부기준에 적용한다.

3. 하천시설관리대장 작성 및 전산화 검토 및 제시하기


「하천법」제10조 및 제15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8조에 따라 하천시설에 대한 관리대장
을 작성하고, 하천구역 결정방법에 따라 하천구역이 결정될 수 있도록 제시한다. 「공간정
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제6조에 따라 좌표체계는 세계 측지계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4. 환경영향평가 검토 및 제시하기
환경영향평가법령에 따라 환경영향평가 조사, 항목 및 검토서 작성기준 등을 검토하여 제
시한다.

20
수행 tip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를 통해 관련 법령을 수집


하여 검토한다.
• 관련 법령, 계획 및 지침에 따른 과업 범위 및 주요
항목별 조치사항 등을 검토한다.

21
2-2. 이수・치수・환경계획 분석

• 각종 설계기준, 지침서 및 실무요령 등을 숙지하여 관련 계획의 범위 및 내용을 분


석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관련 계획 조사를 통하여 계획 수문량, 도시화계획, 치수, 이수, 환경계획 등을 분석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관련 계획과의 위상

1.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1965년 최초 수립된 이래 수자원 정책 및 계획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수자원분야 최상
위 계획이다. 수자원 관리 미래 비전을 제시, 수자원 현황 분석, 물이용 종합 계획, 치수
종합 계획, 하천환경 종합 계획, 수자원 조사・연구 및 기술 개발 계획, 기후변화 대응계획,
대체수원 및 지하수 관리 계획 등으로 구성된다.

2. 유역종합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치수분야의 기본이 되는 계획으로 「하천법」제24조제7항에 따라 수자원장
기종합 계획의 범위 안에서 수립되어야 한다. 치수특성 조사 및 분석, 홍수량 산정, 치수안
전도 설정 등 최적 치수종합 계획 수립, 경제성 분석 등 투자 계획 마련 등으로 구성된다.

3. 하천기본 계획
하천의 치수, 이수, 환경 및 친수 등에 관한 제반 사항을 조사・분석하여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와 자연친화적 하천 이용 및 관리 등에 필요한 기본사항을 제시하는 하천의 기본 계
획이다. 유역의 국토 계획 및 도시 계획 등에 대한 변동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유역 및
하천 현황 조사, 치수, 이수, 하천환경 등 종합 분석,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 및 관리 계획
수립, 경제성 분석 등 투자 계획 마련 등으로 구성된다.

4. 기본 및 실시설계
목적 시설물의 규모, 배치, 형태, 공사방법 및 기간, 소요비용, 유지관리 등에 관한 사항에
대해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최적안을 선정하고 설계를 수행하며, 시공 및 유지관리에 필요
한 세부사항을 결정하는 설계단계이다. 실시설계는 하천기본 계획의 범위 안에서 수립되
어야 한다. 실시설계는 관련 계획 검토 및 현장답사, 지질 및 지반 조사, 구조 및 수리 검
토, 하천시설물 설계, 실시 설계 도면 및 수량산출서 작성, 공사시방서 등으로 구성된다.

22
󰊲 하천기본 계획 전산화
하천기본 계획의 하천시설관리대장 등 전산화 자료는 하천기본 계획 고시 이전에 별도 전
문기관을 통한 자료 검수를 통해 정확도를 확보한 후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에 입력되어
야 한다. 이를 위해 해당 시스템을 운영 중인 국토교통부(한강홍수통제소) 자료가 제출되
어야 한다. 참고로, 주기적으로 한강홍수통제소에서는 필요한 하천기본 계획 자료를 확인
하며, 오류 또는 누락된 자료가 있는 경우 해당 하천관리청에 전산화자료를 요청하여 수
정・보완해야 하며, 전산화 자료를 요청받은 하천관리청은 해당 자료에 대해 전문기관의
검수 후 한강홍수통제소에 제출한다.

수행 내용 / 이수·치수·환경계획 분석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토양환경보전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소하천장비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
법」, 「산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
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공사설계 실무요령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기본 계획, 도시 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수도정비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조사연보, 지하수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 연・월
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및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가수자원 관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물 관리 정
보유통시스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수문정보, 하천 및 유역현황, 관련 계획 등 검색 결과

23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유의 사항


하천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 전에 검수 및 전산화를 위한 사항을 확인해 둔다.


관련 법령, 기준, 계획, 규정 등의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유효시기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관련 지침 조사・분석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유역종합치수 계획 및 하천기본 계획수립지침, 하천설계기준·해설,
지역·지구 등의 지형도면 작성지침, 공공측량 작업규정 등 관련 지침을 조사한다. 하천기본
계획의 수립, 하천시설물 설치 계획기준, 설계홍수량 산정절차, 지형도면 작성기준, 공공측
량 작업 계획서 작성기준 및 공공측량 필요사항 규격 통일을 검토한다. 설계기준 및 관련 지
침 등에 부합하는 이수, 치수, 환경을 고려한 종합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하고, 구역설정
및 고시 규정을 준수하며, 공공측량 작업규정에 부합하는 측량성과가 될 수 있도록 적용방
안을 제시한다.

󰊲 관련 계획 조사 및 분석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풍수 해저감종합 계획, 소하천장
비종합 계획 등 관련 계획을 조사한다. 유역의 특성, 하천현황, 유역의 치수 계획, 홍수특성,
유역의 배수체계, 수리·수문 분석 적정성, 재해유형 및 저감 대책, 소하천 연계 등을 검토
한다. 본류와 지류의 일관된 치수 계획과 장래 유역 개발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계획이 수립
될 수 있도록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수자원분야 최상위 계획인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을 기본
으로 유역종합치수 계획과 하천기본 계획을 수립한다. 하천장비를 위해서는 하천기본 계획
을 기본으로 각 지구별로 실시설계를 수행한다. [그림 2-1]은 계획 수립의 업무단계이다.

출처: 국토교통부(2015).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국토교통부. p.4.


[그림 2-1] 계획 수립의 업무단계

24
󰊳 기타 계획 등 조사 및 분석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환경정책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자연환경보전법」, 해당 하천 유역 지방자치단
체 등의 중・장기 개발 계획, 상・하수도정비 계획 등을 조사한다. 환경영향 저감대책, 하천환
경개선 계획, 지역 개발 계획 등을 검토한다. 합리적인 하천시설물, 환경개선 계획 및 하천
관리 계획에 반영하고, 하천 개발 계획 수립 시 장기적인 방향 설정과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 하천기본 계획 수립절차를 검토한다.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2015)에 따라 기초자료조사 및 분석, 하천기본 계획(초안) 마련, 하
천관리청, 지방자치단체 및 홍수통제소 등 관련 기관 협의 및 조정, 하천기본 계획(안) 수립,
하천시설관리대장 작성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 등의 하천기본 계획(안) 마련, 하천관리위
원회 심의, 자료 전산화, 자료 검수 및 제출 등 하천기본 계획 전산화, 관보 또는 공보에 하
천기본 계획 고시 순으로 수립된다. 또한 단계별로 광역・기초자치단체・지역주민 의견 수렴,
전문가 자문 등이 실시되어야 한다. [그림 2-2]는 하천기본 계획 수립절차이다.

출처: 국토교통부(2015).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국토교통부. p.6.


[그림 2-2] 하천기본 계획 수립절차

25
수행 tip

•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을 숙지하고, 수립절차를 파


악한다.
• 하천기본 계획 수립 시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
종합치수 계획, 기수립 하천기본 계획 등 관련 계획
을 검토하고, 관련 계획상 업무 단계를 파악한다.

26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하천법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등을 토대로 하천기본 계획 수립의 목적, 범위, 수립 주체,


단위 및 우선순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관련 법령 및 지침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하천측량, 하천기본 계획, 하천시설 관리대장


작성 및 전산화, 환경영향평가 등 주요 공정 수행 시 적용기준을 설명한다.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등의 계획 수립의 목적, 계획 간 위상


및 수행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하천기본 계획 수립을 위한 검토대상 관련 계획을 열거하고, 해당 계획의 적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기초자료조사 및 분석, 하천기본 계획(초안) 마련, 관련 기관 협의 및 조정, 하천기본 계획(안)


마련, 하천관리위원회 심의, 하천기본 계획 고시 순으로 하천기본 계획 수립절차를 설명한다.

학습 방법

• 하천기본 계획 수립의 목적, 범위 및 기본원칙을 이해한다.

• 관련 법령 및 지침을 조사하고, 이에 따라 하천기본 계획 수립 시 인·허가 및 주요 공정에


적용되는 기준을 학습하고 이해한다.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등의 계획 간 위상을 이해하고, 각


계획 수립의 목적, 주요 내용 등을 파악한다.

• 기수립 하천기본 계획 등을 참고하여 관련 계획을 조사하고, 해당 계획의 하천기본 계획 수립


공정과의 연관성을 이해한다.

•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과 여러 하천의 기수립 하천기본 계획 등을 참고하여 하천기본 계획


수립절차를 학습하고 각 하천기본 계획의 차이점을 파악한다.

27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대상설계의 법적 체계, 행정체계 등을 고려하여 관련
관련 계획 계획의 범위 및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조사・분석 - 대상설계의 목적 및 개요 등을 파악하여 관련 계획의
범위 및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 각종 설계기준, 지침서 및 실무요령 등을 숙지하여 관
이수・치수・환경 련 계획의 범위 및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계획 등 분석 - 관련 계획 조사를 통하여 계획수문량, 도시화계획, 치
수, 이수, 환경계획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하천기본 계획 수립의 목적, 범위 및 기본원칙을 설명


관련 계획 - 하천측량, 기본 계획, 하천시설관리대장 작성 및 전산
조사・분석 화, 환경영향평가 등 공정별 관련 법령 및 지침의 적
용기준을 설명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하천기본
이수・치수・환경 계획 간의 위상과 연관성을 설명
계획 등 분석 - 단계별 의견수렴, 심의 등을 포함하여 하천기본 계획
수립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

28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관련 계획 - 하천기본 계획의 목적, 범위 및 기본원칙 파악 여부


조사・분석 - 주요 공정별 적용기준 등의 파악 여부

이수・치수・환경 - 계획 간 상호 연관성, 관련 계획의 적용방안 파악 여부


계획 등 분석 - 하천기본 계획 수립절차 파악 여부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관련 법령, 지침 및 계획 등을 활용하여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준거를 제공한다.
- 하천기본 계획 수립목적, 범위 및 기본원칙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수립절차를 설명한다.

29
학습 1 사업개요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1)
학습 2 관련 계획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2)

유역특성 분석하기
학습 3
(LM1402010701_14v2.3)
학습 4 피해현황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4)
학습 5 현황 조사하기(LM1402010701_14v2.5)

3-1. 유역・하도특성 분석

• 각종 기준에 따라 유역면적, 유역평균경사, 유역표고 등 일반적인 유역특성을 분석


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각종 기준에 따라 하도구간의 조도계수, 하상재료, 흔적수위 등 하도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 각종 기준에 따라 배수계통, 내수시설, 침수지역 자산 등 내수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유역특성 분석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2015)에서는 유역의 특성을 지형, 지질 및 토양, 토지이용, 사회・
역사, 기상・수문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지형특성 분석으로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역평
균폭, 유역형상계수, 표고별 누가 면적 및 구성비, 유역평균고도 및 평균경사를 산정하고,
지질특성 분석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수치지질도를 기준으로 하고, 토양특성 분석은
농업과학기술원의 정밀토양도를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토지이용특성 분석은 국토지리
정보원의 토지이용현황도, 환경부의 토지피복도, 지자체의 통계연보 등을 통해 조사토록
하고, 사회・역사특성 분석은 시・군별 통계 연보를 이용하여 조사토록 제시하고 있다. 기
상・수문특성 분석은 기상청, 국토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지자체 등의 관
할 수문관측소를 선정하여 관련 자료를 활용토록 제시하고 있다.
하천설계기준・해설(2009)에서는 일반특성조사, 하천형태조사, 토지이용 및 시설물조사, 기
존 자료조사, 관련 계획조사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일반특성조사는 유역면적, 유역평
균경사, 유역의 방향성, 유역평균고도 등의 유역특성인자조사, 유역 평균 폭, 유역형상계
수, 유역밀집도 등의 유역형상조사, 지형 및 지질조사, 토양 및 토질조사, 수계조사로 구분
하고 있다. 하천형태조사는 유로연장, 하상경사, 하천밀도, 하상계수 등의 하천특성인자조

30
사, 유년기, 장년기, 노년기로 구분하는 하천지형 형태조사, 하천사행 특성조사 등으로 구
분하고 있다. 토지이용 및 시설물조사는 유역 내 토지의 용도별 이용상태 및 구성비, 식생
피복의 종류, 투수 및 불투수 면적, 구성비 및 위치 등의 토지이용조사, 건물의 수와 밀집
도, 하수관거 부설 현황, 도로 및 포장된 면적비율 현황, 유수지, 댐, 저수지, 양수장, 호수
등 저류와 관계되는 시설, 홍수터 및 제방의 관리 상태와 홍수터의 시설현황, 교량, 철도
및 하천부지에 설치된 교각 상황 등의 주요 시설물조사로 구분하고 있다. 기존 자료조사
는 기상자료, 수문자료, 홍수예보시스템, 인문자료, 기타 홍수흔적, 홍수피해현황, 상습침수
지역, 유사량에 대한 자료조사로 구분하고 있다. 관련 계획조사로 치수 및 이수계획 조사,
국토이용 및 도시 계획 조사, 하천환경계획 조사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 하도특성 분석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2015)에서는 하상재료 및 유사량 조사, 하도 현황 및 특성량, 하상
변동량 조사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하상재료조사는 지점별 대표입경, 입도분포, 단위
중량 등을 분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하천설계기준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하도
현황 및 특성량으로 하천 만곡도, 하상경사, 하천횡단특성 등 하도의 평면 및 종·횡단 특
성을 조사토록 하고 있으며, 조도계수 추정을 위해 저수로와 고수부지의 구성 재료, 식생
및 수목군 등을 조사토록 하고 있다. 하도 안정성 평가를 위해 지배유량, 유속, 에너지경
사, 마찰속도, 무차원소류력 등 유량규모에 따른 하도 특성량을 분석하도록 제시하고 있으
며, 해당 하천의 골재채취 현황을 조사하여 하상변동 원인 분석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하천설계기준・해설(2009)에서는 하도조사를 하도조사, 조도계수조사, 하구조사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하도조사는 하상재료조사, 하상단면변화조사, 하도조사를 위한 하천측량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특히, 조도계수조사는 결정을 위한 고려사항, 하도구간의 조도계
수 산정방법, 흔적수위를 이용한 조도계수 결정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하구조
사는 파일조사, 하구수위조사, 하구유량조사, 조위조사, 표사조사, 하구 하상재료조사, 하구
수질조사, 풍향·풍속조사, 하천・해안지형조사, 비사조사, 하구흐름조사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기타조사로 필요 시 홍수에 의해 사주가 씻겨내려 가는 정도에 대한 조
사, 사주가 씻겨 나간 후 파도에 의한 사주 복원현황조사, 유출 토사량조사, 하구유황조사,
연안류조사, 파랑이 거슬러 올라오는 정도 조사, 하구피해조사, 인접하구조사, 하구환경조
사, 사횡경제조사 등을 실시토록 하고 있다.

31
수행 내용 / 유역특성 분석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토양환경보전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소하천장비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
법」, 「산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
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공사설계 실무요령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기본 계획, 도시 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수도정비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
관리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
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조사연보, 지하수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연・월
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및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가수자원 관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물 관리 정
보유통시스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수문정보, 하천 및 유역현황, 관련 계획 등 검색 결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유의 사항


유역 및 하도특성 인자 분석 시 수리・수문학 교재 등을 활용하여 오류가 없도록 한다.


관련 법령, 기준, 계획, 규정 등의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유효 시기에 유의한다.

32
수행 순서

󰊱 유역특성을 분석한다.

1. 유역면적과 유로연장 분석하기

(1) 유역면적
수치지도를 활용 GIS기법을 응용하여 유역의 배수구역을 추출하고 유역면적을 추출한
다. 래스터자료, 벡터자료 및 등고선 기반의 추출방법이 있다.

(2) 유로연장
수치지도상에서 유로연장을 추출한다.

2. 표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분석하기


표고별 면적분포를 산정하여 증발, 식생, 수문사항 등에 영향 요인을 파악한다. 수치지형
도를 토대로 TIN 및 DEM을 구성하고 DEM의 각 격자의 고도 값은 등고선 및 표고점의
고도 값으로부터 보간법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보간법에는 거리반비례평균법, Spline법,
Kriging법, 다항식 추세법 등이 있다. DEM을 토대로 하천 유역의 하천별 주요 지점별 표
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 표고별 누가면적 백분율을 산정한다. [그림 3-1]은 섬진강수계의
DEM 및 표고별 누가면적 백분율이다.

출처: 건설교통부(2003). 『섬진강수계 하천장비 기본 계획(보완)』. 건설교통부. pp.62, 65


[그림 3-1] 섬진강수계 DEM 및 표고별 누가면적 백분율

3. 유역의 평균고도 및 평균경사 분석하기


DEM을 활용하여 유역평균고도를 산정한다. 유역의 평균경사는 평균 경사 곡선법, 등고선
연장법, 등고선 교점법 및 GIS기법을 이용한 격자법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GIS를 이용
한 격자법을 이용한다. 유역방향에 따른 유출영향을 알기 위해 향 분석을 수행한다.

33
4. 기타사항 분석하기
유역의 토지이용 특성은 국토지리정보원의 토지이용현황도, 환경부의 토지피복도, 지방자
치단체의 통계연보 등을 통하여 조사하며, 유역의 사회・역사, 기상・수문특성도 조사한다
(국토교통부, 2015).

󰊲 하도특성을 분석한다.

1. 특성인자 파악하기

(1) 하상경사
평균하상고 또는 최심하상고를 이용하여 산정하며 일반적으로 평균하상고를 이용하여
하상경사를 산정한다. 평균하상고는 계획홍수위 또는 기준수위에 대한 하상의 평균으
로 계획홍수위 또는 기준수위에서 하도단면적을 수면폭으로 나눈 값을 빼서 산정한다.

(2) 대표입경
대표입경은 하상의 움직임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보통 d 을 사용한다.

(3) 에너지 경사
계획홍수량 규모의 유량에 대한 부등류 계산에 의해 결정된 에너지 경사를 이용한다.

(4) 마찰속도
다음 식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u  
gHIe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 H 는 수심, Ie 는 에너지 경사를 나타낸다.

(5) 무차원소류력
하상변동, 하도안정성 평가, 하안침식 등에 관련된 하상재료의 이동성을 무차원화한
것으로 흐름이 하상재료에 미치는 소류력과 하상재료의 저항력과의 비로 나타낸다. 다
음 식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u 
 R  
sgdR

여기서, s 는 하상재료의 물속에서의 비중이고, dR 은 하상재료의 대표입경이다.

(6) 수면폭-수심비
사주의 성질과 이동상의 흐름을 판단하는 지표로 하도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근거로
이용할 수 있는 수면폭-수심비를 산정한다.

(7) 수심-입경비
소규모 하상파의 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저수로의 흐름에 대한 저항 정도를 결정하
는 요소가 되며 중규모 하상파의 성질 등을 판단하는 지표인 수심-입경비를 산정한다.

34
(8) 조도계수
하도구간의 조도계수는 원칙적으로 흔적수위, 하상재료조사 등 현장조사결과를 활용하
여 조사계수를 산정한다. 흐름이 부등류일 경우는 통상 에너지 경사, 수면경사 및 하
상경사가 다르므로 흔적수위 등을 이용하여 계산에 대하여 조도계수를 산정할 때는
부등류 계산을 이용한다(국토해양부, 2009)

2. 하상변동 분석하기
종단적 하상변동 분석은 과거 측량자료의 최심하상고와 평균하상고를 측량성과와 비교하
여 경년별 변화량을 비교하고 도시한다. 횡단적 하상변동 분석은 횡단면도상에서 과거 단
면과 측량성과를 비교하여 세굴량과 퇴적량을 산정하고 상류에서 하류로 하상변동량의 누
계를 검토한다.

󰊳 내수특성을 분석한다.

1. 배수계통 및 시설 분석하기
수방시설, 시설별 집수면적, 통수능력, 집수구역의 저류특성, 수리특성 등을 조사한다.

2. 과거 침수기록 분석하기
과거 침수 발생 시 수방시설, 강우특성, 침수흔적 및 피해액, 내・외수위 등을 조사한다.

3. 방류하천 분석하기
과거기록으로부터 빈도별 외수위 및 지속시간, 계획홍수위 및 홍수량 등을 조사한다.

4. 침수지역 자산조사 분석하기


내수처리대책이나 치수 경제효과 등을 포함하여 침수지역 자산을 조사한다.

수행 tip

•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하천설계기준・해설에서 제


시한 기준에 따라 하역・하도특성을 조사・분석한다.
• 특성인자 등의 자세한 산정방법은 수리・수문학 교재
등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35
3-2. 환경・지반특성 분석

• 각종 기준에 따라 오염발생원, 오염부하량, 수질, 식생 등 하천환경특성을 분석할 수


학습 목표 있다.
• 각종 기준에 따라 지형, 지질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하천환경조사
하천설계기준・해설(2009)에 따른 하천환경조사는 하천의 환경기능을 하천사업에 반영하기
위하여 하천의 전반적인 특성을 조사・분석하는 것으로 하천환경조사를 통해 하천 환경을
개선시킬 가능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대상하천의 보전과 복원에 대한 정비주제와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한다. 계획수립단계는 사전 자료조사, 전문가그룹 구성, 기초조사, 조사
지구 및 구간 선정, 조사항목 선정 및 일정 계획 수립 순이며, 계획 수립 후 실시되는 현
장조사(중점조사)는 수리・수문조사, 형태조사, 하도조사, 하상재료조사 등의 물리조사, 수질
조사, 저니질 조사, 오염발생원 및 부하량 조사, 수질예측, 토양조사 등의 화학조사, 식물
조사, 동물조사 등의 생물조사, 경관조사, 이용자조사, 시설물조사 등의 공간조사 등이 있
다. 현장조사 후 조사 자료를 정리・분석하고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하천환경정보도를 작성
한다.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2015)에서는 환경시설물 현황, 환경영향평가 등 결과조사,
유역의 오염원 및 수질조사, 유역의 오염 부하량 산정, 하천생태 현황, 수질오염원인 및
취약현황 조사 등을 제시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 수질오염총량관리
환경부 훈령인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제3조에 따르면 오염총량관리는 목표수질을 달
성・유지할 수 있도록 단위 유역 및 지방자치단체별로 정한 오염물질의 배출 부하량을 준
수토록 하는 것이다. 배출허용기준의 농도 규제만으로는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어 도입된
제도이다. 환경부 물 환경정보시스템(http://water.nier.go.kr)를 통해 관련 내용 및 자료 등
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에서는 수계별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따
른 기술적 사항을 정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 유역구분, 수계환경자료 등의 유역환경조사,
오염원의 분류, 생활, 축산, 산업, 토지, 양식, 매립 등 행정구역별 배출원별 현황 및 전망,
환경기초시설 조사 등의 오염원조사, 오염원별 오·폐수 발생유량, 발생 부하량, 배출량
산정, 수질모델링, 오염 부하량 할당 등이다.

36
수행 내용 / 환경・지반특성 분석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토양환경보전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소하천장비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
법」, 「산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
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공사설계 실무요령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기본 계획, 도시 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수도정비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조사연보, 지하수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연・월
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및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가수자원 관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물 관리 정
보유통시스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수문정보, 하천 및 유역현황, 관련 계획 등 검색 결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유의 사항


관련 법정 계획을 확인·분석하고 현행과 비교하여 설계 반영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
관련 법령, 기준, 계획, 규정 등의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유효시기에 유의한다.

37
3수행 순서

󰊱 하천환경특성을 분석한다.

1. 환경시설물 조사하기
하수도통계, 공장폐수의 발생과 처리통계 등을 활용하여 해당 하천 유역의 하수처리시설,
폐수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현황과 신설계획을 조사한다. 환경기초시설은 공공하수처리
시설,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분뇨처리시설, 산업단지폐수종말처리시설, 농공단지폐수처리
시설, 축산폐수처리시설, 기타 공동처리시설 등으로 하・폐수가 수거 또는 배수설비를 통해
이송되어 유입되는 모든 처리시설과 강우 시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처
리하기 이하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또는 관리하는 공공비점오염처리시설이 있다.
또한, 하천 관련 저류시설, 생태수로, 인공 식물 섬, 여울 및 소, 수질정화시설 등의 현황
을 조사한다. <표 3-1>은 2014년 서울특별시 관련 하수처리시설의 유입수 및 방류수의 수
질시험결과를 조사한 사례이다.
<표 3-1> 하수처리시설 수질시험 결과
처리장명 구분 BOD COD SS T-N T-P 대장균군수
중랑물재생센터 유입수 163.3 83.7 109.4 42.1 3.87 108,452.00

방류수 6.9 9.1 4.1 13.87 1.2 980

난지물재생센터 유입수 148.3 64.3 111.5 37.44 3.89 158,815.00

방류수 7.3 10 3.5 14.86 1.14 767

탄천물재생센터 유입수 122.9 65.2 123.5 34.2 3.64 142,008.00

방류수 6.4 9.3 3.1 12.3 0.41 830

서남물재생센터 유입수 126.5 65.7 114.7 33.35 3.6 148,087.10

방류수 7.8 9.5 4.9 13.07 0.91 1,010.10

출처: 환경부(2015). 『2014 하수도통계』. 14. 수질시험결과

2. 오염원 조사하기
해당 유역의 시・군・구 통계연보 및 유관기관 협조를 통해 수집된 자료 등을 활용하여 유
역의 형태 및 하천특성, 지류 및 본류의 합류점, 하천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배수
구역을 분할하고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하여 조사한다.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점오염원으로 전체 하수 중에서 인구에 의한 생활오수, 가축의 사육 등으로 발생되는 축
산폐수, 공장 등 산업 활동에 의한 산업폐수, 내수면 양식 사업에 의한 양식장 폐수 등을
조사한다. 비점오염원으로는 전, 답, 임야, 대지 등에 농경 및 생활 활동에 의하여 발생하
는 토지이용에 따른 오염발생, 유출수 등을 조사한다.

38
3. 오염부하량 산정하기

(1) 오염 부하량 원 단위
오염 부하량을 산정하기 위한 원단위는 조사기관, 조사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2015)에서는 오염총량관리 계획 수립지침, 수질 및 오염원 조사 보
고서, 중권역 물 환경관리 계획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선정기준을 조사하여 해당 유역
의 원단위를 결정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환경부의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
지침에 따라 표준산업분류코드에 따라 업종별 개별 발생원단위를 적용하며 발생원단
위가 없는 경우는 유사업종의 원단위를 적용한다.

(2) 오염물질 발생 부하량 산정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2014)에 따라 오염물질 발생 부하량을 산정한다. 이에 따른
인구, 축산, 산업, 토지, 양식, 매립 등 오염원별 발생 부하량 산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가) 생활
인구에 의한 발생 부하량은 가정인구와 영업 인구에 의한 발생 부하량을 합하여
산정한다. 가정인구의 발생 부하량은 유역 내 시가화 인구와 비 시가와 인구를 구
분하여 가정인구에 발생부하원단위를 곱하여 산정하고, 영업인구의 발생 부하량은
오수발생유량에 오수발생농도를 곱하여 산정한다. 이때 오수발생농도에 대한 실측
자료가 없는 경우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의 표준발생농도를 사용한다.

(나) 축산
축산에 의한 오염물질 발생 부하량은 사육두수에 발생부하 원단위를 곱하여 산정한다.

(다) 산업
산업체에 의한 오염물질 발생 부하량은 폐수발생유량에 발생농도를 곱하여 산정한
다. 이때 폐수발생농도에 대한 실측자료가 없는 경우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의
업종별 표준발생농로를 사용한다.

(라) 토지
토지 이용에 의한 오염물질 발생 부하량은 유량과 수질을 연속 측정하여 수문 곡
선과 오염부하 곡선을 도출하여 부하량을 산정한다. 유역 내 전체 토지를 구획하여
조사하는 것이 원칙이나 대표 유역을 선정하여 표출된 표본조사 결과를 동질한 유
형의 토지에 적용할 수 있다. 실측조사가 어려울 경우 지목별 면적과 연평균 발생
부하원단위를 이용하여 연평균 발생 부하량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질모델링
및 관거 해석 등을 위하여 월별 발생 부하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강우 배출비를 이
용하여 개략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39
(마) 양식
사료투여량 자료가 확보된 경우 양식장의 사료투여량에 발생 부하량을 곱하여 산
정한다. 사료투여량 미확보 시 양식장의 시설면적에 시설면적기준 발생부하원단위
를 곱하여 산정한다.

(바) 매립
폐기물 매립시설의 침술수 발생유량에 발생농도를 곱하여 산정한다.

(3)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2014)에 따라 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한다. 오염물질 배출
량은 배출유량과 배출 부하량으로 구분하여 배출유형별로 산정한다. 배출 부하량 산정
시 적용하는 원단위는 실측자료를 우선 사용하고, 실측자료가 없는 경우 수질오염총량
관리 기술지침에서 제시하는 원단위로 한다.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에 따른 배출
량 산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가) 배출경로 구분
생활, 축산 및 산업에 의한 배출원은 환경기초시설의 처리구역과 미처리구역으로
크게 나눈다. 생활에 의한 배출원에 대한 처리구역은 우수와 오수를 함께 배제하는
합류식 관거 사용인구와 우수와 오수를 분리하여 배제하는 분류식 관거 사용인구
로, 미처리구역은 재래식 화장실, 정화조, 오수처리시설 사용인구로 구분한다. 축산
에 의한 배출원은 각 구역에서 축종, 법적 규제규모 및 개별처리 유형별로 세분한
다. 산업에 의한 배출원은 각 구역에서 업종에 따라 세분한다. 토지 관련 배출원은
토지로부터 유출된 오염물질이 합류식 관거 또는 분류식 관거에 침투되어 환경기
초시설로 유입되는 차집구역과 미차집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에서 지목에 따라
세분한다. 양식에 의한 배출원은 양식어종 및 양식유형에 따라 세분한다. 매립에
의한 배출원인 침출수의 오염물질 배출경로는 개별처리, 환경기초시설로의 이송,
개별배출로 세분한다.

(나) 배출유형별 산정
1) 직접 이송량
관거 배수설비를 통하지 않고 환경기초시설로 직접 이송되는 양으로 개별 파악
이 어려운 경우 직접 이송량은 배출원의 직접 이송 대상량에 배출원별 직접 이
송비를 곱하여 산정한다. 여기서, 직접 이송비는 배출원별 직접 이송량을 해당
처리구역의 배출원별 총 직접 이송 대상량으로 나눈 값이다. 각 오염원별 직접
이송량은 각 오염원의 배출원별 직접 이송량을 모두 합하여 산정한다.
2) 개별 삭감량
환경기초시설이 아닌 배출원의 자체 오염삭감시설에 의한 삭감량으로 배출원별
개별 삭감 대상량에 개별배출원별 개별 삭감비를 곱하여 산정한다. 오염원별 개

40
별삭감량은 오염원별 배출원의 개별삭감량을 모두 합한 양이다.
3) 관거유 입량
관거식 하・폐수 처리구역에서 해당 환경기초시설에 연결된 관거배수설비로 유
입된 양으로서, 관거식 처리구역의 발생량에서 개별삭감량과 직접이송량을 감하
여 산정한다. 오염원별 관거유입량은 오염원별 배출원의 관거유입량을 모두 합
한 양이다.
4) 관거배출량
관거이송 과정에 누수, 월류를 통해 배출되는 양으로 관거유입량에 관거배출비
를 곱하여 산정한다. 여기서 관거배출비는 총관거배출량을 오염원으로부터 유입
되는 총관거유입량으로 나눈 값이다. 오염원별 관거배출량은 오염원별 배출원의
관거배출량을 모두 합한 양이다.
5) 방류량
방류수가 연계처리시설로 유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환경기초시설에 수역으로
직접 방류되는 양으로 환경기초시설이 위치한 해당 유역의 배출량에 포함시킨
다. 오염원별 방류량은 해당 환경기초시설 총방류량에 오염원별 방류비를 곱하
여 산정한다.
6) 직접정화량
하천수에 대한 박층류, 자갈접촉산화 등의 직접정화로 제거되는 양으로, 오염원
별 직접정화량은 직접정화량에 오염원별 직접정화유입비를 곱하여 산정한다. 이
경우 하천유지용수 증가 등 희석에 의한 수질농도 저감은 제외한다. 오염원별
직접정화량은 직접정화시설들에서 정화된 총량이다.

(다) 배출량 산정
배출원별 배출량은 배출원별 개별배출량, 관거 배출량, 간이공공처리방류량, 방류량
의 합에서 배출원별 직접 정화량을 감한 값이다. 여기서 배출원별 개별배출량이란
개별 배출원에서 공공수역으로 직접 배출되는 양으로, 배출원별 발생량에서 배출원
별 개별 삭감량, 직접 이송량, 관거 유입량을 감한 값이다. 오염원별 배출량은 오염
원별로 배출원의 총배출량을 모두 합한 양이다.

4. 하천 수질 조사하기
조사범위 및 지점을 선정하고, 계절적 특성 파악 등을 고려하여 조사기간, 조사항목을 설
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또한, 조사항목별 과거자료를 수집하여 변화양상도 함께 분
석한다. 수질조사항목은 수온, pH, DO, 전기 전도도, 총부유물질(TSS), 생물화학적 산소요
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Mn), 총유기탄소(TOC), 용존유기탄소(DOC), 총질소
(T-N), 용존총질소(DTN), 암모니아성질소(NH4-N), 아질산성질소(NO2-N), 질산성질소
(NO3-N), 총인(T-P), 용존총인(DTP), 인산염인(PO4-P), 투명도, 클로로필 a (Chl. a ) 등이다.

41
5. 하천 저질 조사하기
조사범위 및 지점을 선정하고, 계절적 특성 파악 등을 고려하여 조사기간, 조사항목을 조
사계획을 설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또한, 조사항목별 과거자료를 수집하여 변화양상
도 함께 분석한다. 하천바닥에 쌓이는 저니에는 유역에서 하천으로 유입된 유입수에 포함
된 오염성분이 퇴적되어 있으므로 저니질 조사로부터 과거 유입된 오염성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기적으로 조사하게 되면 표층부의 채니로도 관련 조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하천 수변・경관조사하기
해당 하천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자연경관의 보전과 수변・경관자원을 보전하고, 활용
가능한 경관 요소를 발굴하는 등 설정된 수변・경관조사의 목적에 맞는 조사대상, 방법 및
기간 등 조사계획을 수립하고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7. 하천환경조사의 수행절차 설정하기


하천환경조사를 통해 하천환경을 개선시킬 가능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대상하천의 보전
과 복원에 대한 정비주제 및 방향을 설정한다. 하천환경조사는 대상하천이 정해지면 계획
수립, 현장조사(중점조사) 실시, 자료의 정리 및 분석, 자료 평가, 하천환경정보도 작성 등
일련의 표준절차를 통해 수행된다. 계획수립단계에서 사전자료조사를 한 후 전문가 그룹
을 구성하여 기초조사, 조사지구 및 구간선정, 조사항목과 방법의 선정, 조사일정 등의 계
획을 수립한다. 이를 기준으로 각 항목별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조사된 자료를 정리·분석
하고 평가를 실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하천환경정보도의 작성을 통해 최종 정리한다(국토
해양부, 2009).

󰊲 지형・지질특성을 분석한다.

1. 지질 및 토양 분석하기
지질특성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수치지질도를 기준으로 유역의 지질현황에
대해 전반적인 특성을 기술한다. 토양특성은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작성된 수치 정밀토
양도(1/25,000)를 기준으로 유역의 토양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기술하고 수문학적 토양
군의 분류도 실시한다(국토교통부, 2015).

2. 지형 분석하기

(1) 하도의 평면형


지반의 불균질, 돌기한 암반, 수중장애물 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만곡이 시작되면
외측 원심력에 의해 하안이 침식되고, 내측은 유속이 감소하여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
게 된다. 이러한 대상하천의 평면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곡률반경을 산정한다.

42
(2) 하도의 횡단형
측량성과와 해당 구간의 제방, 하폭, 횡단면형, 고수부지 유무 등을 고려하여 대상하천
의 구간별 대표 횡단형을 정리한다.

(3) 하도의 종단형


종・횡단측량 성과를 기준으로 평균하상고를 산정하고, 평균하상고를 기준으로 주요 구
간별 하상경사를 산정하여 제시한다.

수행 tip

• 하수도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환경시설물 조사에 활


용한다.
•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
방법을 이해한다.

43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유역특성 분석을 위한 유역면적, 유로연장, 표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유역의 평균고도 및


평균경사 등 특성인자 산정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지도한다.

• 하도특성 분석을 위한 하상경사, 대표입경, 에너지 경사, 마찰속도, 무차원소류력, 수면폭-수심


비, 수심-입경비, 조도계수, 하상변동 등 특성인자 산정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지도한다.

• 환경시설물 조사를 위하여 하수도통계를 수집하고, 해당 하천 유역의 하수처리시설, 분뇨처리시


설, 폐수종말처리시설 등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하천환경특성 분석을 위해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등 관련 기준을 수집하여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수리・수문학 교재 등을 활용하여 유역특성인자, 하도특성인자 산정방법을 이해하고 숙지한다.

• 하천설계기준・해설,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역특성, 하도특성 조사 관련


내용을 이해하고 숙지한다.

• 국가하수도정보시스템을 통해 하수도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환경시설물을 정리한다.

•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하천환경특성 조사항목을 확인하고 수질오염총량관


리 기술지침에 따라 오염 부하량 등을 산정한다.

44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각종 기준에 따라 유역면적, 유역평균경사, 유역표고
등의 일반적인 유역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유역・하도특성 - 각종 기준에 따라 하도구간의 조도계수, 하상재료, 흔
분석 적수위 등 하도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 각종 기준에 따라 배수계통, 내수시설, 침수지역 자산
등 내수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 각종 기준에 따라 오염발생원, 오염부하량, 수질, 식생
환경・지반특성 등 하천환경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
- 각종 기준에 따라 지형, 지질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문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유역면적과 유로연장, 표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유
역의 평균고도 및 평균경사 등 유역특성인자 산정방
법을 설명
유역・하도특성 - 하상경사, 대표입경, 에너지 경사, 마찰속도, 무차원소
분석 류력 등 하도특성인자 산정방법을 설명

- 현장조사, 부등류 계산를 통한 조도계수 산정을 설명

- 경년별 하상변동량 산정방법을 설명

45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통계자료 등을 활용한 환경시설물, 오염원 조사방법을
설명
-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
환경・지반특성 방법을 설명
분석 - 하천설계기준・해설에 따른 하천환경조사의 수행절차
를 설명
- 하도의 평면형, 횡단형, 종단형 등 지형특성 분석방법
을 설명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유역특성 분석을 위한 특성인자 산정방법 숙지 여부

유역・하도특성 - 하도특성 분석을 위한 특성인자 산정방법 숙지 여부


분석 - 하천설계기준・해설 등의 조도계수 산정방법 숙지 여부

- 하상변동량 산정방법 숙지 여부

- 하수도통계 등을 활용한 환경시설물, 오염원 조사방법


숙지 여부

환경・지반특성 -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숙지 여부


분석 - 하천설계기준・해설에 따른 하천환경조사 수행절차 숙
지 여부

- 하도의 평면형, 횡단형, 종단형 분석방법 숙지 여부

피드백

1. 서술형 문제
- 유역, 하도특성 분석의 특성인자 산정방법을 구체적 예시를 통해 보충하여 설명한다.
-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방법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준거를 제공한다.
- 수리・수문학 교재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특성인자 산정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46
학습 1 사업개요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1)
학습 2 관련 계획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2)
학습 3 유역특성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3)

피해현황 분석하기
학습 4
(LM1402010701_14v2.4)
학습 5 현황 조사하기(LM1402010701_14v2.5)

4-1. 수문특성 조사・분석

• 피해지역의 강우기록을 조사하여 피해 당시의 강우패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피해지역의 흔적수위 등을 조사하여 공간적인 피해범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수문자료 수집・분석
하천기본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강우량, 증발량, 하천수위, 하천유량, 유사량 기타 기상자
료 및 지하수위 등 다양한 자료가 필요하다. 해당 하천 유역의 수문자료를 체계적으로 정
리하고 자료의 신뢰성에 대한 판단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신뢰성이 확보된 수문자
료에 대해 수문 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1. 수문관측소 선정
기초 수문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먼저 해당 하천 유역의 수문관측소 현황을 조사하고, 자
료의 보유연한, 신뢰성 등을 고려하여 활용가능한 관측소를 선정하여야 한다. <표 4-1>는
2014년말 기준 권역별 기관별 관측소 현황이다.
<표 4-1> 수위관측소 현황 (단위: 개소)
권역 계 국토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환경부 한국수력원자력
계 629 476 140 4 2 7
한강 176 142 68 0 0 6
낙동강 194 124 19 0 2 0
금강 153 130 20 4 0 0
섬진강 51 30 5 0 0 1
영산강 55 50 5 0 0 0
출처: 국토교통부(2015). 『한국수문조사연보 2014』. p.225.

47
2. 수문자료 수집・분석
선정된 수문관측소에 대해 강우의 경우는 월강우량, 연강우량 및 지속기간별 강우량 등을
산정하여 해당 유역의 강우상황을 분석하야여 한다. 수위의 경우 전 기록기간에 대해 최
고수위 기록, 해당 연도의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을 조사하고, 유출특성을 분석하며, 자료
기록연수가 짧아 유출특성 분석이 어려운 경우는 월별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유출
고를 추정하기 위해 월가지야마 유출고 공식, 탱크 모형 등을 활용하며, 수자원부존량 산
정하고, 하천유황을 분석한다.

󰊲 기상자료 수집・분석
해당 하천 유역에 대해 평균기온, 최저・최고기온, 습도 및 증발량, 풍속, 천기일수 등을 수
집하여 정리・분석한다.

수행 내용 / 수문특성 조사·분석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토양환경보전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소하천장비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
법」, 「산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
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기본 계획, 도시 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수도정비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조사연보, 지하수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연·월
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및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48

국가수자원 관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물 관리정보
유통시스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수문정보, 하천 및 유역현황, 관련 계획 등 검색 결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유의 사항


수문 및 기상자료는 원칙적으로 정부승인통계 및 해당 기관 확인 통계자료를 활용한다.


관련 법령, 기준, 계획, 규정 등의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유효시기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피해지역의 강우량을 조사 및 분석한다.

1. 강우의 공간분포 조사 및 분석하기


국토교통부, 기상청, 지자체 등이 운영하는 수문관측소 현황을 파악하고 강우량자료를 수
집한다. 강우의 시・공간적 특성에 따라 강우기간에 따라 강우를 구분한다. 분석대상 강우
에 대해 누가강우를 지체시킨 강우의 공간분포를 도시하고, 지속시간에 대한 최대강우 등
의 발생 지점과 강우량을 분석한다. [그림 4-1]은 2006년 태풍 에위니아와 장마전선으로
인해 발생한 2006년 7월 8일∼7월 10일 강우에 대해 24시간 누가강우량을 12시간씩 지체
시킨 강우의 공간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남부지방 및 낙동강 하류지역의 강우가 남해안에
서 동해안을 따라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표 4-2> 지속시간 24시간 누가강우 강우중심 및 강우량(2006.7.8.∼7.10.)
최대 2순위
구분
관측소 강우량(mm) 관측소 강우량(mm)
7.8 00:00~7.8 24:00 고산(185) 188.5 가곡(947) 128.0
7.8 12:00~7.9 12:00 금정구(939) 209.0 양산(202320) 191.0
7.9 00:00~07.9 24:00 금정구(939) 168.5 향로봉(320) 165.0
7.9 12:00~7.10 12:00 지리산(872) 236.0 개천(929) 230.5
7.10 00:00~7.10 24:00 개천(929) 332.5 지리산(872) 295.5
7.10 12:00~7.11 12:00 온정(802) 193.5 울진서(843) 149.0
출처: 건설교통부(2006). 『2006년 7월 태풍 및 집중호우 피해조사』. 건설교통부. p.9.

49
(가) 7.8. 00:00∼ (나) 7.8. 12:00∼ (다) 7.9. 00:00∼

(라) 7.9. 12:00∼ (마) 7.10. 00:00∼ (바) 7.10. 12:00∼

출처: 건설교통부(2006). 『2006년 7월 태풍 및 집중호우 피해조사』. 건설교통부. p.8.


[그림 4-1] 지속시간 24시간 누가강우량의 공간분포(2006.7.8.∼7.10.)

2. 강우의 시간분포
강우의 공간분포 분석에 따라 최대 강우량이 발생한 지점, 2순위, 3순위 강우가 발생한 지
점을 토대로 시간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지점을 선정하고 시간분포와 누가강우량을 도
시한다. [그림 4-2]는 2006년 태풍 에위니아와 장마전선으로 인해 발생한 2006년 7월 8일
∼7월 10일 강우 시 개천 지점에서의 시간분포와 누가강우를 도시한 예이다. 개천 지점의
총 누가강우량은 502㎜, 1시간 최대 강우량은 66㎜로 태풍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강우
의 첨두가 발생하고 있고, 무강우 시간이 12시간 이상으로 두 개의 독립호우로 분리할 수
있으나, 강우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점 등을 들어 해당 보고서에서는 구분하지 않고 있다.

50
출처: 건설교통부(2006). 『2006년 7월 태풍 및 집중호우 피해조사』. 건설교통부. p.20.
[그림 4-2] 개천(929) 지점에서의 시간분포와 누가강우량(2006.7.8.∼7.10.)

3. 강우 이동
공간 및 시간분포 분석 강우에 대해 지체시간을 조정하여 호우중심 이동상황을 파악한다.

4. 강우규모 평가
지점별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을 산정하고, 한국 확률강우량도개선 및 보완 연구(2011, 국
토해양부)의 빈도별 확률강우량과 비교하여 제시한다. 점 강우량의 분석으로 강우규모를
알기 어려울 경우 DAD 분석을 통해 상대적인 강우규모를 평가한다.

󰊲 피해지역의 수위를 조사 및 분석한다.

1. 대상 지점 선정하기
피해지역 해당 하천 유역의 관측소 현황을 조사하고 강우기간 동안의 자료 유무를 고려하
여 홍수특성 분석을 위한 관측소를 선정한다. 이때 홍수예보 지점 등을 포함하여 선정하고,
선정된 관측소에 대해 계획홍수위, 계획홍수량을 함께 정리한다. 유출특성 분석을 위해 댐
자료도 함께 조사한다. <표 4-3>은 2006년 7월 10일∼21일 홍수특성 분석을 위한 대상 지
점 선정 예로, 선정 지점 중 2006년 당시 홍수예보 지점은 한강대교, 여주 두 지점이다.
<표 4-2> 대상 지점 선정 현황
지점명 하천명 유역면적(km2) 영점표고(EL.m) 계획홍수위(m) 계획홍수량(m3/s)
한강대교 한강 24,753.2 1.945 13.40 37,000
여주 한강 11,104.4 32.829 10.10 15,600
영춘 한강 4760.5 159.971 12.61 10,712
영월 한강 2,429.0 183.263 9.35 5,656
영월1 한강 1,610.3 192.189 - -
달천 달천 1,398.0 71.187 6.43 3,530
문막 섬강 1,359.2 51.65 5.51 5,900
청미 청미천 510.9 51.066 7.08 2,120
서면 홍천강 1,325.4 67.338 6.90 3,495
출처: 건설교통부(2006). 『2006년 7월 태풍 및 집중호우 피해조사』. 건설교통부. p.47

51
2. 홍수위 분석하기
선정 대상 지점에 대해 강우기간을 고려하여 홍수위를 도시하고, 최고수위에 대한 발생일
시, 최고수위와 계획홍수위의 수위차를 비교한다. 홍수예보 지점은 주의보, 경보 수위도
함께 검토하며, 홍수예보가 발령된 경우는 발령 관련 사항을 함께 정리한다. [그림 4-3]은
2006년 7월 10일∼21일 여주 지점의 홍수위를 도시예로 최고수위는 7월 17일 오전 4시
9.91m로 계획홍수위 10.10m와의 차이는 0.19m였다.

출처: 건설교통부(2006). 『2006년 7월 태풍 및 집중호우 피해조사』. 건설교통부. p.51


[그림 4-3] 여주 지점 수위상황(2006.7.10.∼7.21.)

3. 과거 홍수위와 비교하기
피해지역에 금회 발생한 홍수위에 대해 과거 발생한 홍수위와 비교하여 해당 홍수위규모
를 검토한다.

4. 댐 유입・방류량 분석하기
댐의 유입량과 방류량을 비교하여 저류효과를 검토한다. 2006년 7월 15일 ∼ 7월 17일 강
우 당시 한강수계 소양강댐, 충주댐, 횡성댐 유역에 많은 유량이 유입되었으나, 적정 저류
를 통해 홍수피해 저감 효과가 있었다. 당시 충주댐은 최대 약 26,000㎥/s가 유입되었으나,
최대 방류량은 약 9,000㎥/s였다. [그림 4-4]는 2006년 7월 10일∼21일 충주댐 수문 곡선
도시 예이다. 수문 곡선을 살펴보면 유입량에 비해 방류량은 상대적으로 적으며, 유입량
저류로 댐 수위가 계획홍수위까지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 홍수흔적 수위 및 피해지역 범위를 분석한다.


홍수흔적 수위는 홍수 시에 하천흐름이 남긴 흔적에 해당하는 수위로 하천측량 수행 시
홍수흔적 수위 측량을 포함하여 실시한다. 홍수 발생 직후 조사된 흔적수위 조사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해당 하천에서 자료 수집이 곤란한 경우 인근 수위관측소의 수

52
위자료, 주민 탐문조사 등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하천 유역의 피해
지역의 공간범위도 함께 조사한다.

출처: 건설교통부(2006). 『2006년 7월 태풍 및 집중호우 피해조사』. 건설교통부. p.61


[그림 4-4] 충주댐 수문 곡선(2006.7.10.∼7.21.)

수행 tip

• 피해지역의 강우량 자료를 수집하고 강우의 시·공


간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호우 중심의 이동상황 등을
파악한다.
• 피해지역의 활용 가능한 수위관측소를 선정하고 최
고수위와 계획홍수위, 과거 홍수위와 비교하여 규모
를 검토한다.

53
4-2. 피해현황 조사・분석

• 피해지역의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피해액 및 피해시설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피해지역의 유역특성을 조사하여 피해원인 및 피해특성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홍수피해 취약지역 조사
수해상습지구는 홍수피해지역들을 조사・분석하여 취수사업 추진 시 국고보조가 필요한 지
역을 국토교통부에서 수행상습지구로 지정한 지역이며, 재해위험지역지구는 내수와 외수
침수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 요구에 따라 행정안전부에서 지정한
지역을 말한다. 해당 하천의 홍수피해 취약지역 조사로는 수해상습지, 재해위험지구 지정
현황 및 침수취약지구를 조사한다. 취약지역에 대해 치수 계획 수립 시 반영하도록 한다.

󰊲 물이용 취약현황 조사
하천에서 물을 취수하는 하천수 사용시설의 경우 하천수위 저하 시 취수구 등의 높이 제
약으로 인해 취수에 지장을 받게 된다. 하천수 사용시설별 취수가 가능한 최저수위를 조
사하고, 하천수위 저하로 취수가 불가능했던 시기와 해당 시설을 조사하고 지하수 이용시
설에 대해서는 하천변 지하수위가 감소하여 안정적으로 지하수를 이용할 수 없었던 시기
와 해당 시설을 조사하고 이수계획 수립 시 반영하여야 한다. 댐, 다기능보, 하굿둑 관리
구역에 위치한 취수시설의 경우 시설물 관리수위가 제약조건으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함께
검토하여야 하며 또한, 염분농도, 하구 막힘 등으로 인해 하천의 유수 소통에 지장이 발생
하여 안정적으로 취수가 불가능했던 시기와 해당 시설도 조사하여야 한다.

󰊳 수질오염 원인 및 취약현황
하천의 수질, 저니질, 표준 유역별 오염원, 오염부하량 등을 활용하여 유역의 수질 및 오
염원 현황도를 작성하고 수질오염 취약지역, 주요 원인 등을 분석하여 환경계획 수립 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유역별 수질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현황을 토대로 개발사업
으로 인한 인구증가, 하수 직접 유입, 환경기초시설 처리효율 부족 등 수질오염 주요 원인
을 환경계획 수립 시 제시하고, 환경기초시설 투자 계획, 기타 개발계획 등을 조사하고 계
획 추진실적 및 완료시점을 파악하여 장래 수질 예측에 활용한다.

54
수행 내용 / 피해현황 조사・분석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토양환경보전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소하천장비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
법」, 「산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
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공사설계 실무요령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기본 계획, 도시 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수도정비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수요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조사연보, 지하수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 연・월
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및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가수자원 관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물 관리정보
유통시스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수문정보, 하천 및 유역현황, 관련 계획 등 검색 결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유의 사항


학회, 협회, 단체 등에서 조사한 자료와 필요 시 해당 주민 탐문조사도 함께 실시한다.


관련 법령, 기준, 계획, 규정 등의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유효시기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피해액 및 피해시설을 조사한다.


국민안전처의 재해연보, 재난연감, 통계연보와 시・군구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피해액 및 피

55
해시설을 조사한다. 또한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및 기존 하천기본 계획
등 관련 계획을 검토하여 해당 하천 유역의 피해상황을 조사한다. 참고로, <표 4-4>는 2015
재해연보(국민안전처, 2016)에서 발췌한 2015년 권역별 수계별 종목별 피해액 현황이다.
<표 4-4> 수계별 종목별 피해액 현황
(단위: 백만 원)
인명 이재민 침수 공공
구분 합계 건물 선박 농경지 기타
(인) (인) (㏊) 시설
합계 31,862 92 - 255 305 10 13,132 18,160
한강 한강 4,582 - 19 - 125 - 4 131 4,322
권역 안성천 1,303 - 32 - 22 - - - 1,281
양양남대천 1,816 - - - - - - 467 1,349
삼척오십천 1,059 - 3 - 1 37 - 953 68
강릉남대천 926 - - - - 39 - 764 123
한강서해권 903 - 14 - 8 23 - 489 383
한강통해권 2,951 - - - - - - 352 2,599
낙동 낙동강 202 - 1 - 15 6 - - 181
강 형산강 - - - - - - - - -
권역
태화강 - - - - - - - - -
영덕오십천 1,531 - - - 15 13 - 1,415 88
서낙동강 1 - - - 1 - - - -
회야강 1,061 - - - - - - 1,048 13
낙동강 7,226 - 18 - 3 36 - 7,114 73
동해권
낙동강 2 - - - - - - - 2
남해권
금강 금강 2,083 - - - - - - - 2,083
권역 삽교천 522 - - - 18 - 1 164 339
만경강 1,609 - - - - - - - 1,609
동진강 479 - 1 - - - - - 479
금강서해권 605 - 4 - - - - - 605
섬진 섬진강 2,608 - - - 15 16 - 94 2,483
강 섬진강 159 - - - 32 17 - 78 32
권역 남해권
영산 영산강 12 - - - - - - 10 2
강 탐진강 - - - - - - - - -
권역
영산강 216 - - - - 118 - 53 45
서해권
제주 제주도 6 - - - - - 5 - 1

56
인명 이재민 침수 공공
구분 합계 건물 선박 농경지 기타
(인) (인) (㏊) 시설

권역
출처: 국민안전처(2006). 『2015 재해연보』. 국민안전처. p.105.

󰊲 피해원인 및 피해특성을 조사한다.


국민안전처의 과거 재해 상황에 대한 재해연보, 재난연감, 통계연보와 시・군・구의 통계자료
를 활용하여 피해원인별 피해액을 조사한다. 또한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및 기존 하천기본 계획 등 관련 계획을 검토하여 해당 하천 유역의 피해상황을 조사한다. 참
고로, <표 4-5>는 2015 재해연보에서 발췌한 최근 10년간 원인별(종목별) 피해액 현황이다.
<표 4-5> 수계별 종목별 피해액 현황
(단위: 백만 원)
구분 평균 2006 2007 2008 2009 2010
계 547,741 2,237,301 285,847 66,620 313,140 430,836
태풍 154,087 13,592 182,613 897 - 174,145
호우 357,870 2,195,035 49,371 60,749 267,130 182,479
대설 21,802 5,959 8,447 3,808 13,392 45,386
강풍 6,266 16,166 7,810 1,166 7,373 -
풍랑 7,716 6,549 37,606 - 25,245 283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계 751,331 1,023,320 164,354 172,795 31,862
태풍 206,530 942,997 1,613 5,079 13,404
호우 499,132 36,106 150,980 136,505 1,213
대설 45,386 19,121 10,829 31,120 13,021
강풍 - 25,096 890 91 3,891
풍랑 283 - 42 - 333
출처: 국민안전처(2006). 『2015 재해연보』. 국민안전처. p.23.

홍수로 인한 하천의 피해 원인을 분석하고 주요대책을 제시한다. 참고로, 홍수로 인한 주


요 하천피해 원인으로 만곡하천의 수충부, 중소하천의 소규모 교량, 하천제방 세굴, 월류,
도로횡단 배수암거, 산지하천의 부유목, 산지하천의 토석류, 산간지역의 산사태, 하천설계
개선 및 저류시설 확충 등이 있으며, 하천의 외수와 내수로 인한 침수를 하천 유역에 고
려할 경우 더욱 다양한 양상을 나타낸다. 관련 사례로 <표 4-6>에 2006년 7월 홍수 시 주
요 하천피해 원인 및 대책을 정리하였다.

57
<표 4-6> 주요 하천피해 원인 및 주요대책
(단위: 백만 원)
구분 특징 문제점 주요대책
만곡하천의 심한 만곡, 급경사 만곡으로 인한 수충부 수위상승 고려 도로·제
수충부 하천 연안 도로, 제방 대책 미흡, 빠른 유속 및 방 증고, 빠른 유속 고려
높은 수위로 인한 세굴 옹벽·호안시설 강화
발생
중소하천의 중소하천 구교량 짧은 유목 등 부유물로 인한 교량 높이, 경간장 확대,
소규모 교량 경간장, 소하천 세월교 교량 유실, 교량 폐색으로 아치교 등 교량형식개선
하천범람 으로 공간 확보
하천제방 세굴, 강원도(제방침식, 월류), ∙ 하천단면 급축소 지점에 설계빈도 상향, 단면 급축
월류 남강(월류), 안성천(침식) 서의 홍수위 상승 소 지점 제방 증고, 취약
∙ 취약구간 호안설치 미흡 구간 호안설치 확대
도로횡단 세천에서 떠내려 온 부유물 세천에서 발생하는 부유물, 세천의 홍수량, 부유물을
배수암거 토석이 도로횡단 배수암거 토석, 홍수량 등의 고려 고려한 배수암거 설계,
를 막아 도로 유실 부족 일정 규모 이상은 교량으
로 대체
산지하천의 산사태로 인한 부유목, 간벌 미흡, 뿌리가 얕은 부유목 고려한 하천통수
부유목 계곡 토석류로 인해 하천변 수목이 많아 집중호우시 단면 확보, 주요 지역에
유실 많은 부유목 발생 스크린댐, 사방댐 설치
산지하천의 강원도의 경우 산의 토심이 큰 지형 변화, 주요 지역 사방댐, 스크린
토석류 얕음, 한계천, 덕산천 등에 고랭지 채소밭 토사유출 댐 설치, 고랭지 경작지 적
서 많은 토석류 발생 정 규모 배수지 및 침사지
산간지역의 덕산천, 평창지역 많은 산사태로 인한 하천, 산사태 예보시스템, 위험
산사태 산사태 발생 도로, 주택지 매몰 지역 주거지 이전
하천설계 소하천에서 많은 재산 및 소하천 주변 거주지 설계 소하천 주변 중요지역에
개선 및 인명피해 발생, 빈도 과소, 대하천 홍수량 대한 설계빈도 상향, 취약
저류시설 확충 대하천 홍수위 급증 저류 및 분담시설 부족 하천 홍수저류시설 확충
출처: 건설교통부(2006). 『2006년 7월 태풍 및 집중호우 피해조사』. 건설교통부. pp.457~480.

58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피해지역의 강우량을 조사하고 분석대상 강우에 대해 누가강우를 지체시켜 강우의 공간·시간분


포를 실시하여 강우 중심과 강우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피해지역의 활용 가능한 수위관측소를 선정하고 기와 최대홍수위, 계획홍수위 등과 비교를 통해


홍수위를 분석하고, 댐 유입량과 방류량 비교를 통해 저류효과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홍수흔적 수위사, 주민 탐문조사 등을 통해 피해지역의 공간범위를 조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재해연보, 시·군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피해지역, 피해시설, 피해액, 피해원인 및 피해특성을 파악


할 수 있도록 하고, 구체적인 홍수 피해사례를 제시하고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강우자료를 수집하고 강우 분석대상기간을 설정하고 누가강우를 지체시켜 강우의 공간·시간분


포를 도시하고, 이동경로를 파악한다.

• 홍수예보, 강우 분석대상기간 자료유무 등을 고려하여 수위관측소를 선정하고, 수위자료를 수집


하여 기왕 최대수위, 계획홍수위 등과 비교하여 홍수규모를 파악한다.

• 피해지역 상류 댐의 유입량과 방류량을 수집하고 유입량, 방류량, 수위자료를 계획홍수위, 상시


만수위 등과 함께 도시하여 저류효과를 검토한다.

• 국민 안전처 재해연보, 지방자치단체 통계자료 등을 수집하여 해당 하천 유역의 피해현황을


정리한다.

59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피해지역의 강우기록을 조사하여 피해 당시의 강우패
수문특성 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조사・분석 - 피해지역의 흔적수위 등을 조사하여 공간적인 피해범
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 피해지역의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피해액 및 피해시
피해현황 설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조사・분석 - 피해지역의 유역특성을 조사하여 피해원인 및 피해특
성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문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피해지역의 우량관측소를 선정하여 강우 분석을 통해
호우의 이동경로 등의 분석방법을 설명
수문특성 - 피해지역의 수위관측소를 선정하여 수위분석을 통해
조사・분석 홍수규모 분석방법을 설명
- 피해지역 상류의 댐 유입량과 방류량 자료를 수집하
여 저류효과 분석방법을 설명
- 피해지역의 피해액, 피해시설, 피해원인 및 피해특성
피해현황 자료의 수집방법을 설명
조사・분석 - 홍수피해사례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하천피해 원인 및
주요대책을 설명

60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강우의 시간・공간분포를 도시하여 강우특성을 파악하
고 댐의 저류효과를 검토할 수 있는지 여부
수문특성
- 홍수위를 조사하고 기왕최대홍수위, 계획홍수위 등과
조사・분석
비교하여 홍수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지 여부

- 댐의 저류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지 여부

- 재해연보, 시・군 통계자료를 통해 종목별 피해액 등을


피해현황 파악할 수 있는지 여부
조사・분석
- 하천피해원인별 주요대책을 제시할 수 있는지 여부

피드백

1. 서술형 문제
- 피해지역의 강수량관측소, 수위관측소 선정방법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 호우중심, 호우의 이동경로 분석방법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준거를 제공한다.
- 피해상황조사 보고서, 각종 통계자료를 활용한 피해현황조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61
학습 1 사업개요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1)
학습 2 관련 계획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2)
학습 3 유역특성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3)
학습 4 피해현황 분석하기(LM1402010701_14v2.4)

현황 조사하기
학습 5
(LM1402010701_14v2.5)

5-1. 사업지역현황 조사

• 사업지역의 지형 및 지세, 지반특성, 기상조건, 동식물상 등과 같은 자연 환경조건을


조사할 수 있다.
• 측량을 통하여 하천(댐)설계 관련 구조물의 정확한 위치, 지형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사업 계획위치에 포함되어 있거나 인접해 있는 지장물을 조사할 수 있다.
• 사업지역의 주거시설, 문화재, 종교시설, 축사와 지역주민의견 등을 사전에 조사하여
민원발생에 의한 사업진행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유역의 사회・문화적 현황 조사

1. 사회적 현황
유역의 사회현황으로 해당 하천 유역의 행정구역별 유역 내 면적구성비를 산정하고, 행정
구역도를 확인하여 제시토록 하고, 시・군의 통계연보를 이용하여 해당 하천 유역의 행정
구역별 세대수, 인구밀도 등 인구현황을 조사하고 하천별 인구 및 세대 현황 및 인구추이
등도 함께 조사하여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문화적 현황
문화적 현황으로 해당 하천 유역의 국가지정 문화재, 지방지정 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
문화재 등을 조사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국가지정 문화재는 국보, 보물, 사적 및 명승, 천
연기념물, 민속자료 등으로 구분하고, 지방지정 문화재는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62
󰊲 공공측량 작업규정 검토

1. 관련 근거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이하“공간정보법”이라 한다)」제17조(공공측
량의 실시 등)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1조(공공측량 작업 계획서의 제출)에 따라 공공측
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법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권한의 위임을 받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하여 고시 및 관리하고 있는 규정이다.

2. 발주・작업 계획서 제출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용역으로 발주하고자 할 때는 공간정보법 시행령 제34조
별표7의 측량업의 종류별 업무 내용을 고려하여 발주하여야 하며, 같은 법 시행규칙 제21
조에 따라 공공측량 사업명, 목적 및 활용범위, 위치와 사업량, 작업기간, 작업방법, 측량
기기의 종류 및 성능, 측량성과의 명칭, 종류 및 내용 등을 포함한 작업 계획서를 작성하
여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사업수행 계획
공공측량수행자는 측량계획 내용, 대리인 선임, 인력투입계획, 기기투입계획, 작업공정 관
리 계획, 정확도 확보방안 등을 포함한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측량시행자에게 제출하여
검토를 받아야 한다.

4. 측량기기 사용
공간정보법 92조에 따라 성능검사를 마친 기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작업자는 적절한 점검
을 하고 필요한 조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5. 공정・정확도 관리
공공측량수행자는 작업 계획에 따라 공정을 관리하고, 작업 진행사항을 공공측량 시행자
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측량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정확도 관리를 하며, 정확도 관
리표를 작성하여 공공측량시행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6. 성과 제출・심사・관리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수행자에게 납품받은 성과품에 대하여 신속히 검사를 실시하고
공간정보법 제18조(공공측량성과의 심사) 및 제105조(권한의 위임・위탁 등), 같은 법 시행
령 제104조(권한의 위탁 등), 같은 법 시행규칙 제22조(공공측량성과의 심사)에 따라 법령
에서 정한 기관에 심사를 받아야 한다. 심사를 마친 경우에는 같은 법 제19조(공공측량성
과의 보관 및 열람 등)에 따라 관리한다.

63
수행 내용 / 사업지역현황 조사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민법」,「지하수
법」,「한국수자원공사법」,「소하천장비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법」, 「산
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
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공공측량 작업규정,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하천공사설계 실무요령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기본 계획, 도시 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수도정비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조사연보, 지하수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 연・월
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및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가수자원 관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물 관리정보
유통시스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수문정보, 하천 및 유역현황, 관련 계획 등 검색 결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유의 사항


관련 법령, 기준, 계획, 규정 등의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유효시기에 유의한다.

64
수행 순서

󰊱 유역의 일반현황을 조사한다.

1. 유역 개황 조사하기

(1) 지리적 현황
해당 하천 유역의 본류 및 주요 하천별 지리적 현황을 조사한다. 조사대상 지리적 현
황은 발원지, 지류 하천현황, 유역경계, 유역면적, 유로연장, 행정구역, 강수량, 기온 등
기상조건, 토지이용 특성, 지형・지반특성, 도시화 정도 등이 있다.

(2) 사회·환경적 현황
해당 하천 유역의 행정구역별 사회・환경적 현황을 조사한다. 조사대상 사회・환경적 현
황은 행정구역별 또는 도시별 경제, 사회적 특징, 인구, 토지이용 상황, 지형・지반특성
등이 있다.

2. 수계 현황 조사하기
해당 하천 유역의 수계, 국가 및 지방하천 현황을 조사한다. 한국하천일람, 유역종합치수
계획, 기수립 하천기본 계획 등 관련 통계 및 계획을 참고한다. 조사대상 현황은 유수의
계통, 하천등급, 기・종점, 하천 연장, 유로연장, 유역면적 등이다.

3. 유역 특성 조사하기

(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


해당 하천 유역의 홍수량 산정 지점 등 주요 지점을 기준으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역 평균 폭, 형상계수 등 유역의 평균적 특성을 산정한다.

(2) 표고별 누가 면적 구성비 및 평균표고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표고별 등고선도를 작성한 후 표고별 면적 및 누가면적을 구
하여 구성비를 산정한다.

(3) 하상변동 현황
유역전체면적에 대한 특정표고의 비인 상대면적과 유역 내 최고표고에 대한 특정표고
의 비인 상태표고를 각각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하는 면적-표고 곡선을 작성하여 유년
기, 장년기, 노년기 등 하상의 지형발달과정을 조사한다.

(4) 유역 평균표고 및 평균경사


유역을 일정한 간격의 격자로 나누고 격자가 교차하는 교차점에서 가장 가까운 하천
에 선을 그어 이 선의 길이와 경사를 측정하는 격자법에 의해 유역평균표고를 산정한
다. 또는 전체 유역면적을 지류를 포함한 하천길이의 2배로 나누어 산정할 수 있다.
평균경사곡선법, 등고선연장법, 등고선교점법, GIS기법을 이용한 격자법 등을 활용하여
평균경사를 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GIS기법을 이용한 격자

65
법에 의해 평균경사를 산정한다.

(5) 하상경사, 유역의 방향성, 하천구간의 경계설정 등


하천측량 시 측정한 종・횡단 측량성과를 이용하여 하상경사를 상·하류 등으로 구분
하여 하상경사를 산정한다. 유역의 방향성 분석을 실시하고, 합류 또는 분기되는 하천
구간의 경계를 설정하여 제시한다.

󰊲 유역의 자연현황을 조사한다.

1. 지질 및 토양 특성 조사하기

(1) 지형현황
하천의 발달 정도, 상・하류별 하상경사, 하상토, 토지이용 등을 조사한다.

(2) 지질특성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수치지질도를 통하여 해당 하천 유역의 지질구조를 조사한다.

2. 소유권 및 임상별 임야면적 조사하기


통계연보 등을 활용하여 해당 하천 유역의 지방자치단체별 소유권과 임상별 임야면적을
조사한다.

3. 토지이용현황 조사하기
국토지리정보원의 토지이용현황도를 이용하여 지목별 토지이용현황을 조사한다.

󰊳 하천측량을 실시한다.
해당 하천 유역의 대상하천에 대해 하천 양안의 지형, 지물 위치와 그 현황을 공공측량
작업규정에 따라 하천측량을 실시한다.

1. 지형현황측량 실시하기
항공사진촬영, 항공사진 및 양화필름 제작, 지상기준점 측량, 사진기준점 측량, 현지조사
순으로 지형현황측량을 실시한다. 지형현황측량은 하천의 좌・우안 구간에 대하여 항공사
진촬영을 실시하고, 기왕 측량성과, 현지조사 자료, 신설 제방의 설계도면, 지적도 등을
참조하여 보완한다.

(1) 항공사진촬영
설계서상의 설계 설명서 및 과업 지시서를 숙지하고 사업 수행 상 발생될 수 있는 문
제점 등을 분석한 후 각 공종별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촬영축척, 촬영기선장, 코스
간격, 촬영고도 및 도하기 C계수, 촬영경로, 기준점의 배치, 사진 매수, 촬영 일시, 촬
영사진기의 선정, 촬영계획도 작성, 지도의 사용 목적, 사진축척, 정확도 및 기상 등을
고려하여 촬영계획을 수립하고 촬영을 실시한다.

66
(2) 항공사진 및 양화필름 제작
항공사진 및 양화필름 제작은 필름현상, plotting, 필름주기 삽입, 밀착인화, 양화필름
제작 순으로 실시한다.

(3) 지상기준점 측량
사진기준점 측량 및 해석도화작업을 위해 작업 계획, 측량기준점 선점, 측량, 표석측
량, 점의 조서, 정리 순으로 지상기준점 측량을 실시한다. 국가수준점 및 표석점으로부
터 다각측량 방법 등을 이용하고, 직접 수준측량이 불가능한 점은 간접수준측량 방법
으로 높이를 구한다.

(4) 사진기준점 측량
측량성과 인수, 인덱스 작성, 선점, 점각, 관측, 조정 순으로 사진기준점 측량을 실시한다.

(5) 현지조사
도화과정에서 누락되거나 표기되지 못한 사항 등의 지리지명상태를 표기해 지도의 정
확도 또는 사용자의 지도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료수집, 지명조사, 지리조사, 정
리 순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시・군의 한국토지정보시스템 자료를 활용하여 지적도
편집 및 복제를 실시한다.

(6) 정위치 편집 및 도면제작 편집


작업 계획, 편집자료 작성, 정 위치자료 검수 순으로 정위치 편집을 실시한다. 도면제
작자료 파일의 작성, 도면제작 자료파일의 점검 순으로 도면제작편집을 실시한다.

2. 하천 종단측량 실시하기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점 성과를 이용하여 하천의 좌・우 양안에 대하여 왕복측량을 실시
한다. 낙차공, 취수보, 교량, 취·배수문 등 하천시설물의 표고 등도 함께 측정하여 종단
상에 표시한다.

3. 하천 횡단측량 실시하기
종단 측점을 따라 하천유심의 직각방향으로 횡단측량을 실시한다. 무제부는 계획 홍수위
이상, 유제부는 제외지를 포함하여 현지 지형을 고려하여 제내지도 함께 측량을 실시한다.

4. 지적도 복사 및 축도 실시하기
해당 하천 유역의 지방자치단체의 연속지적도를 수집하고 평면도에 삽입하여 지형지적도
를 작성하고 이를 축도하여 하천기본 계획 보고서 및 하천관리대장 부도에 수록한다.

5. 표석 매설하기
기준점 표석매설은 좌・우안 이격하여 일정간격(대개 1㎞)으로 횡단 측점마다 설치한다. 매
설 지점의 지형지물을 표시한 상세도를 작성하여 부도에 수록한다.

67
6. 홍수 흔적수위 측량 실시하
해당 하천 유역의 기왕 홍수사상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현지 주민 탐문조사를 병행하여
홍수 흔적수위를 측량한다.

󰊴 지장물 등 각종 시설을 조사한다.


사업 계획구간의 건물, 높이제한시설 등 각종 지장물 조사를 실시하고, 조서를 작성한다.
민원발생에 의한 사업진행 지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주거시설, 문화재, 종교시설, 축사와
지역주민의견 등을 사전에 조사한다.

68
5-2. 재료원・사토장 조사

• 하천(댐)공사에 필요한 재료원과 사토장의 위치를 조사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조사 자료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로 자료를 정리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연약지반 지반정수 산정
점성토는 하중재하 후 시점별 강도특성을 달리 평가할 수 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매우
작은 투수특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점성토에 대한 대표적인 설계정수는 강도특성, 그리고
투수특성에 따라 지배되는 시간적 개념의 압밀특성(C v ) 및 압축특성(C c)으로 구분될 수 있
으며, 각각의 설계정수는 다양한 시험방법과 경험적 방법을 통하여 평가될 수 있다.

1. 비배수전단강도(cu )
포화점성토지반이 내포하는 가장 불안정측시기인 하중재하 직후의 발현강도, 즉 비배수강
도(이하 cu )로서 점성토지반의 강도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비배수전단강도(cu )를 평가하
기 위한 토질시험으로는 삼축압축시험(UU)이 있다.

2. 강도증가율(m)
문헌자료와 경험식에 의한 산정결과 비교·검토를 통해 강도증가율을 평가할 수 있다.

3. 압밀정수(e , C C , C S , C V , K V )
점성토층 압밀특성은 비교란 시료 표준압밀시험(Oedometer) 결과를 적용할 수 있다.

󰊲 쌓기재 지반정수 산정
토취 재료를 대상으로 수행된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쌓기재의 단위중량과 전
단강도 등의 지반정수를 산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 토사층 지반정수 산정
시추조사, 표준관입시험(SPT), 현장들밀도시험(FDT) 및 실내시험의 결과와 문헌자료 등의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적정 토질정수를 선정한다.

69
수행 내용 / 재료원・사토장 조사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민법」,「지하수
법」,「한국수자원공사법」,「소하천장비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법」, 「산
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설계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천
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폐공관리통합지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공사설계 실무요령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기본 계획, 도시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수도정비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조사연보, 지하수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 연・월
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및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가수자원 관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물 관리정보
유통시스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의 수문정보, 하천 및 유역현황, 관련 계획 등 검색 결과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유의 사항


관련 법령, 기준, 계획, 규정 등의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유효 시기에 유의한다.

70
수행 순서

󰊱 토질조사를 실시한다.

1. 조사계획 수립하기
과업구간 내 조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장조사 및 실내조사항목 및 수량을 파악하고 조사
장비 및 기구를 선정한다. 지반조사를 위한 위치선정은 계획 하도선형을 대상으로 기 작
성된 평면도에서 위치 및 지형을 고려하여 조사 지점을 계획한 후 현장답사를 실시하여
시추조사 위치를 선정한다.

2. 현장조사 실시하기
현장조사로 시추조사, 시험굴조사, 자연시료채취, 지하수위측정, 현장투수시험, 현장밀도시
험 등을 실시하고 결과를 정리하여 기록한다.

3. 실내시험 실시하기
시추조사 시 채취된 표준관입시험 시료 및 U/D샘플에 의해 채취된 자연시료, 시험굴 시
료에 대하여 한국산업규격의 규정에 따라 실내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정리하여 기록한
다. 실내시험은 물성시험, 역학시험, 재료시험으로 나눌 수 있다. 물성시험에는 함수비시
험, 액소성시험, 비중시험, 입도시험 등이 있다. 역학시험에는 다짐시험, CBR시험, 직접전
단시험, 삼축압축시험, 압밀시험 등이 있다. 재료시험으로는 하상골재시험 등이 있다.

4. 폐공처리 실시하기
시추조사 등에 의한 시추공은 폐공관리 통합지침(2002)에 따라 폐공조치를 실시한다.

5. 토질조사 결과정리하기
지형 및 지질, 지층개요, 지반개황, 표준관입시험, 공내 지하수위, 현장투수시험, 시험굴조
사 및 현장들밀도시험, 실내시험 결과를 정리하여 기록한다.

6. 재료원・사토장조사 결과정리하기
하천공사 시 각종 재료원의 원활한 수급을 위하여 계획노선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재료원
과 발생 사토 처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 사토장 현황도 함께 조사한다.

(1) 조사범위 선정
재료원의 경우 조골재 및 세골재, 아스콘, 레미콘 등의 적정 개소수를 선정하고 지역
적 범위를 확인한다. 사토장의 경우 토양특성에 따라 일정기간 적치 후 매립, 매립지
활용, 타공사 및 농경지 활용 등 다양한 사토조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토
공유용계획 등과 연계하여 검토한다.

(2) 분포현황 조사
기 수립된 자료와 지형도를 이용하여 분포예상지역을 도상에 계획한 후 현장답사를
실시하여 재료원에 대한 규모, 개발가능성, 현장여건, 매장량 등을 조사·검토하고 결

71
과를 정리하여 기록한다. 골재원은 인근 지역에서 현재 생산 중이거나 생산계획이 수
립되어 있는 개발자에 대해 재료의 품질, 운반거리, 경제성 등을 검토하여 선정하고
업체명, 위치, 허가량, 운반거리, 연락처 등을 정리하여 수록한다. 아스콘 및 레미콘은
현황 및 생산능력을 감안하여 업체명, 위치, 생산능력, 운반거리, 연락처 등을 정리하
여 수록한다. 도상에 사업구간을 중심으로 해당 재료원의 거리를 표시한 위치도를 작
성하여 함께 수록한다.

󰊲 지반정수를 산정한다.

1. 연약지반 지반정수 산정하기


연약지반에 대한 조사자료 분석을 통해 물리특성, 강도특성 및 압밀특성 검토결과를 기록
한다. 연약지반 지반정수로는 습윤단위중량, 초기간극비, 비배수강도, 강도증가율, 압축지
수, 압림계수, 투수계수 등을 산정하고 분석결과를 기록한다.

2. 토사지반 지반정수 산정하기


시추조사, 표준관입시험, 현장들밀도시험 및 실내시험의 결과와 문헌조사 등에 제시되어
있는 지반정수 값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적정 토질정수를 선정하여 분석결과를 기록한다.

수행 tip

• 토질조사 및 지반정수를 산정하고 조사결과정리 시


재료원 및 사토장도 함께 조사한다.
• 토질조사 시 폐공관리 통합지침에 따른 폐공조치도
함께 고려한다.

72
학습5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유역 개황, 수계, 유역특성 등의 유역의 일반현황 조사항목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 지질 및 토양특성, 소유권과 임상별 임야면적, 토지이용현황 등 유역의 자연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 수집방법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 하천측량을 위한 관련 법령 및 규정을 설명하고, 지형현황측량, 하천종단측량, 횡단측량, 지적도


복사 및 축도, 표석매설, 홍수 흔적수위 측량 방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사업구간 및 인접지역의 지장물 조사를 실시하고 지장물 조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하천설계기준・해설,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기수립


하천기본 계획 유역 등 관련 법령, 기준 및 계획 등을 참고하여 해당 하천 유역의 일반현황,
자연현황 파악을 조사대상 항목 및 조사방법을 숙지한다.

•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및 공공측량 작업규정을 통해 관련 기준을 숙지하


고, 측량 관련 교재를 통해 구체적인 측량방법을 이해한다.

• 기수립 실시설계 보고서 등을 참고하여 지장물 조사대상항목을 파악하고, 해당 하천의 지장물


조서를 작성한다.

• 조사계획 수립, 현장조사 실시, 실내시험 실시, 토질조사 결과정리 등 토질조사 실시순서, 조사항
목 및 방법을 토질 관련 교재를 통해 이해하고 관련 규정, 법령 및 계획을 참고하여 숙지한다.

• 폐공관리 통합지침을 참고하여 시추조사 후 시추공 처리의 필요성, 문제점 및 처리방법 등에


대해 이해한다.

• 계획노선 인근에 있는 재료원 및 사토장 조사방법을 파악한다.

73
학습5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사업지역의 지형 및 지세, 지반특성, 기상조건, 동식물
상 등과 같은 자연 환경조건을 조사할 수 있다.
- 측량을 통하여 하천(댐)설계 관련 구조물의 정확한 위
치, 지형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사업지역현황
- 사업 계획위치에 포함되어 있거나 인접해 있는 지장
조사
물을 조사할 수 있다.

- 사업지역의 주거시설, 문화재, 종교시설, 축사와 지역


주민의견 등을 사전에 조사하여 민원발생에 의한 사
업진행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 하천(댐)공사에 필요한 재료원과 사토장의 위치를 조


재료원・사토장 사할 수 있다.
조사 - 조사자료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로 자료
를 정리할 수 있다.

74
평가 방법

• 서술형 문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유역의 일반현황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을 설명
- 유역의 자연현황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을 설명
사업지역현황 - 공공측량 작업규정에 따른 공공측량 작업 계획서, 사
조사 업수행 계획 작성항목을 설명
- 하천 지형현황측량 작업절차별 측량방법을 설명
- 지장물 조사목적, 대상 및 지장물조서 작성항목 설명
- 토질조사를 현장조사와 실내조사로 구분하고 조사항
재료원・사토장 목 및 방법을 설명
조사 - 연약지반 지반정수 산정항목 및 산정방법을 설명
- 토사지반 지반정수 산정항목 및 산정방법을 설명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유역의 일반현황, 자연현황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의
파악 여부
사업지역현황
조사 - 공공측량 관련 법령 및 규정의 이해 여부

- 하천측량의 작업절차 및 측량방법의 이해 여부

- 토질조사 항목 및 방법의 파악 여부
재료원・사토장
조사 - 연약지반 및 토사지반 등의 지반정수 산정항목 및 산
정방법 파악 여부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토질조사 항목별 조사방법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보충하여 설명한다.
- 시추공 처리를 위한 폐공관리 통합지침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준거를 제공한다.
- 하천측량 작업절차별 측량방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75
∙ 건설교통부(2006). 『2006년 7월 태풍 및 집중호우 피해조사』. 건설교통부.

∙ 건설교통부(2003). 『섬진강수계 하천장비 기본 계획(보완)』. 건설교통부. 62., 65.

∙ 건설교통부(2006).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06~2020)』. 건설교통부.

∙ 건설교통부(2008). 『유역종합치수 계획 및 하천기본 계획 수립개선방안』. 건설교통부.

∙ 건설교통부(2002). 『폐공관리 통합지침』. 건설교통부.

∙ 국립환경과학원(2014).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국립환경과학원.

∙ 국립환경과학원, 전국오염원 조사 온라인 시스템(2016). http://wems.nier.go.kr에서 2016. 7. 26.


검색.

∙ 국민안전처(2016). 『2015 재해연보』. 국민안전처. 23., 105.

∙ 국민안전처 홈페이지(2016). http://www.mpss.go.kr에서 2016. 7. 26. 검색.

∙ 국토교통부(2015). 『2015 지하수조사연보』.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2015). 『만경강 반월지구 하천환경정비사업 실시설계』.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2015). 『하천기본 계획 수립지침』. 국토교통부. 4., 6.

∙ 국토교통부(2015). 『한국수문조사연보 2014』. 국토교통부. 225.

∙ 국토교통부(2014). 『한국하천일람』.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 K-water 국가지하수정보센터(2016). http://www.gims.go.kr에서 2016. 8. 6. 검색.

∙ 국토지리정보원(2015). 『공공측량 작업규정』. 국토지리정보원.

∙ 국토해양부(2012). 『댐건설장기 계획(2012∼2021)』.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2012). 『만경강 하천기본 계획(보완)』.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2011).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2012). 『지하수관리기본 계획(2012〜2021)』.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2009). 『하천설계기준・해설』.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2009).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 국토해양부.

∙ 기상청 홈페이지(2016). http://kma.go.kr에서 2016. 8. 6. 검색.

∙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2016). http://mafra.go.rk에서 2016. 8. 6. 검색.

76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2016). http://www.law.go.kr에서 2016. 7. 26. 검색.

∙ 통계청 홈페이지(2016). http://kostat.go.kr에서 2016. 7. 28. 검색.

∙ 한강홍수통제소 홈페이지(2016). http://www.hrfco.go.kr에서 2016. 8. 6. 검색.

∙ 한국농어촌공사 농업기반시설관리 홈페이지(2016). http://rims.ekr.or.kr에서 2016. 8. 6. 검색.

∙ 한국산업단지공단 홈페이지(2016). http://www.e-cluster.net에서 2016. 8. 6. 검색.

∙ 한국수자원공사(2015). 『댐 운영 실무편람』. 한국수자원공사.

∙ 한국수자원공사 홈페이지(2016). http://www.kwater.or.kr에서 2016. 8. 6. 검색.

∙ 환경부 홈페이지(2016). http://www.me.go.kr에서 2016. 7. 28. 검색.

∙ 환경부(2015). 『2014 하수도통계』. 환경부. 14.

∙ 환경부. 국가하수도정보시스템. http://hasudoinfo.or.kr에서 2016. 8. 6. 검색.

∙ 환경부. 환경통계포털. http://stat.me.go.kr에서 2016. 8. 6. 검색.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이종형(공주대학교) 김영호((주)이산) 김만식(신성대학교)
김창환(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김영기(삼안엔지니어링)
송용진(도화엔지니어링) 박환철(도화엔지니어링)
신용노(한국수자원공사) 서상원((주)유신)
신희범((주)삼안) 윤여진(건양대학교)
원희영(前(주)이산)
전환돈(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차준호(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최익배((주)유신)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김석화(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미아(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우성훈(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이민욱(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본정(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여성훈(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습모듈은 자격기본법 시행령(제8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80

You might also like